KR20150029421A -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 Google Patents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9421A
KR20150029421A KR20130108605A KR20130108605A KR20150029421A KR 20150029421 A KR20150029421 A KR 20150029421A KR 20130108605 A KR20130108605 A KR 20130108605A KR 20130108605 A KR20130108605 A KR 20130108605A KR 20150029421 A KR20150029421 A KR 20150029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connector
fastening
connection pipe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8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선
Original Assignee
최승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선 filed Critical 최승선
Priority to KR20130108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9421A/ko
Publication of KR20150029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4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1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between shaft elements, e.g. of rings forming said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2Arrangement of sewer pipe-lines or pipe-lin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은, 맨홀 본체와, 상기 맨홀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접속관이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접속구와, 상기 접속구의 내주면에 매립되는 매립부와, 상기 매립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내측으로 접힌 상태로 설치되었다가 접속구 외측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접속구에 끼워진 접속관을 감싸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탄성재질의 몸체부를 구비한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된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호 간의 거리 조절에 따라 상기 밴드부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는 체결부와, 상기 밴드부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슬라이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Manhole Using Various Connecting Pipe}
본 발명은 다양한 외경의 접속관에 호환되는 맨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속관과 커넥터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체결밴드를 포함하는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에 관한 것이다.
각종 토목 및 건축공사, 도로공사 등의 공사에는 우수 및 오수, 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하수관거 공사가 필수적이다. 그리고 이러한 하수관거의 중간 중간에는 관거 내의 검사, 청소, 통풍, 환기, 접합, 분기의 목적으로 하는 맨홀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종래 가장 많이 활용되는 맨홀 축조 공법으로서, 현장 타설 콘크리트 맨홀 축조 공법은 공사기간의 장기화, 공사비의 증가, 교통체증의 유발, 시공품질의 저하, 기능공 확보의 어려움, 민원의 증가, 완전한 누수 차단의 어려움, 높이 조절의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그 사용을 점차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많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 맨홀 축조 공법의 대안으로 기성 맨홀을 이용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맨홀 축조 공법이 개발되어 있다. 그리고 이를 권장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국가규격(KS F 4012 하수도용 콘크리트 맨홀블록)이 1992년에 제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와 같이, 정부에서 많은 예산을 들여 하수관거 정비공사를 시행하거나 예정하고 있는 이유는 하수관거의 품질을 높이는 동시에 맨홀과 하수관거의 연결부위의 품질을 향상시켜 하수의 유출 및 지하수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목적에 가장 부합하는 하수관과 맨홀의 접합방법이 국내특허 제10-0749823호(이하, "종래기술 1" 이라 함) 및 제10-0728309호(이하, 종래기술 2" 라 함)를 통해 알려져 있다. 이 종래기술들은 맨홀제작시 고무로 제작된 커넥터를 일체로 장착하고 이 커넥터에 접속관(하수관)을 접합하는 방법으로서,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누수방지에도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입증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 1과 종래기술 2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종래기술 1과 종래기술 2는 접속관의 외경에 맞추어 다양한 종류의 커넥터(씰링부)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커넥터 제조금형의 종류가 많아질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하여 연결구 제조비용이 증가하여 연결구 단가가 높아지는 공통된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 1은 상기 커넥터를 지지해 주는 연결관을 반드시 구비하여야 하므로 접속관의 절단, 소모 등으로 인한 자재비, 인건비 등 제조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 1은 연결관이 맨홀두께의 일정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접속되는 접속관의 삽입깊이가 짧아져 접속의 안정성이 저하되고, 지지부재의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접속되는 접속관의 접속방향으로 조정이 안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종래기술 2는 연결구가 맨홀 제조용 몰드의 내측몰드와 외측몰드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어야 하므로 길이가 짧아 접속관과 결속시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상기 종래기술 2는 인버트가 설치되는 맨홀의 경우 접속구의 위치와 인버트의 위치가 동일선상이 되어야 하는데 이 경우 지지체의 절반이 인버트 높이 이하에 묻히게 되므로 지지체를 해체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상기 종래기술 2는 접속관경에 대응되게 지지체와 고깔체를 함께 구비하여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도 있다.
KR 10-0749823 KR 10-072830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외경의 접속관에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성과 제작비용 및 설치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는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접속관과 커넥터를 서로 안정적으로 연결시키고,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은, 맨홀 본체와, 상기 맨홀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접속관이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접속구와, 상기 접속구의 내주면에 매립되는 매립부와, 상기 매립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접힌 상태로 설치되었다가 접속구의 외측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접속구에 끼워진 접속관을 감싸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탄성재질의 몸체부를 구비한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된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호 간의 거리 조절에 따라 상기 밴드부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는 체결부와, 상기 밴드부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체결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각 체결부의 내측에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각 체결부 간을 상호 체결하는 체결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각 체결부의 삽입홀을 관통하는 관통부재와, 상기 관통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관통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관통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각 체결부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부가 상기 커넥터의 둘레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각 체결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의 들뜸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의 매립부와 몸체부는 직각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접속관이 접속구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와 접속관의 결합력을 보강하기 위한 체결밴드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매립부의 중앙에는 매립부와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접속구와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주는 앵커돌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매립부의 일측에는 접속구와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주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의 몸체부와 매립부의 연결부위에는 맨홀본체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에 콘크리트 충진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의 몸체부와 매립부의 연결부위에는 맨홀본체의 중심을 향하는 반대방향에 압축력 흡수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탄성재질의 커넥터가 접속구의 내주면에 매립되는 매립부와 상기 매립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내측으로 접힌 상태로 설치되었다가 접속구 외측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접속구에 끼워진 접속관을 감싸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몸체부로 구성되어 접속관의 외경에 상관없이 내경을 신축시키면서 외경이 각기 다른 접속관과 완벽하게 호환되므로 제조비용 및 관리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와는 달리 연결관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접속되는 접속관의 삽입깊이가 길어져 접속의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고, 접속관 연결부의 구조가 단순할 뿐만 아니라 접속관의 접속방향을 허용범위 내에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조립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체로 이루어진 커넥터 조립용 지그만으로 접속구의 성형이 가능하므로 종래에 비하여 장치의 구성이 단순하여 제조비용이 크게 절감할 수 있고 시공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체결밴드에 의해 접속관과 커넥터를 안정적으로 체결시키고,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체결밴드는 슬라이딩부에 의해 각 체결부 사이의 공백 부분에서 발생하는 누수 역시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체결밴드의 체결 구조가 합리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의 접속관 연결부위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을 구성하는 커넥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제조장치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커넥터 조립용 지그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의 제조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내기 위한 맨홀의 접속관 연결부위의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내기 위한 맨홀의 접속관 연결부위의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맨홀의 접속관 연결부위의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접속관과 접속구와 커넥터 사이의 공간으로 충진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맨홀의 접속관 연결부위의 평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충진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맨홀의 접속관 연결부위의 평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에 있어서, 체결밴드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에 있어서, 체결밴드의 각 구성 간 결합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에 있어서, 체결밴드가 커넥터의 둘레에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에 있어서, 체결밴드의 조임에 의해 슬라이딩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재의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주로 조립식 맨홀 중 하부구체 맨홀을 대상으로 한 접속관 연결구조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맨홀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연직구체 맨홀 등의 조립식 맨홀뿐만 아니라 일체형으로 형성된 맨홀, 우수받이, 오수받이, 밸브실, 하수관 등 다양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총칭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1)은 맨홀 본체(10), 접속구(11), 커넥터(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맨홀 본체(10)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막혀있는 형태나, 상하부가 모두 개방된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가 막혀있는 형태의 맨홀 본체(10)를 도시하고 설명한다.
그리고 맨홀 본체(10)의 내부의 횡단면은 일반적으로 속이 비어있는 원형으로 이루어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사각형, 4개의 모서리에 모가 따진 사각형, 4개의 모서리에 사각 홈이 형성된 사각형 등 여러 가지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접속구(11)는 맨홀 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로서, 상기 접속구(11)에는 접속관(20)이 끼워진다. 상기 접속관(20)은 유체의 유출입을 위한 유입관이나 유출관인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커넥터(100)는 상기 맨홀 본체(10)에 형성된 접속구(11)의 내주면에 상기 맨홀 본체(10)와 일측이 매립된 상태로 성형되어, 상기 접속관(20)이 상기 접속구(11)에 끼워진 상태에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한다. 상기 커넥터(100)는 내경이 자체적으로 신축가능하고 접었다 폈다가 가능하도록 유연한 탄성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커넥터(100)는 접속구(11)에 매립되는 매립부(110)와 상기 매립부(110)로부터 직각으로 연장형성되어 접속관(20)에 밀착되는 몸체부(120)로 구성된다.
매립부(110)와 몸체부(120)가 직각으로 연장형성되면, 접속구(11)에 접속관(20)이 연결될 때, 접속관(20)의 진입방향과 몸체부(120)의 형성방향이 동일하므로 상기 몸체부(120)가 접속관(20)의 외주면을 자연스럽게 감싸면서 접속관(20)과 용이하게 연결된다.
상기 커넥터(100)는 도 2의 (a)와 같은 상태로 제작되며, 맨홀(1)의 제작시 도 2의 (b)와 같이 몸체부(120)가 내측으로 접힌 상태로 설치되고, 접속관(20)이 연결될 때에는 도 2의 (c)와 같이 접속구(11)의 외측으로 펼쳐져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100)는 제작 상태인 도 2의 (a)를 기준으로 할 때 도 2의 (c)와 같이 매립부(110)를 기준으로 뒤집어진 상태로 된다.
한편, 도 2의 (c)와 같이 커넥터의 사용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몸체부(120)의 내주면에는 수밀돌기(1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밀돌기(121)는 접속관(20)과의 부착력을 높여준다.
아울러, 상기 몸체부(1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접속관(20)이 접속구(11)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120)와 접속관(20)의 결합력을 보강하기 위한 체결밴드(300)가 결합될 수도 있다.(도 7 참조)
이 경우, 상기 몸체부(120)의 외주면에는 체결밴드(3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돌기(122)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밴드(300)는 단수 또는 복수로 체결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이탈방지돌기(122)도 체결밴드(300)의 일측 또는 양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몸체부(1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적절한 개수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커넥터(100)의 매립부(110) 중앙에는 앵커돌기(1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 앵커돌기(111)는 매립부(110)와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매립부(110)가 접속구(11)에 매립될 때 접속구(11)에 매립되어 매립부(110)와 접속구(11)와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준다.
아울러, 상기 매립부(110)에는 상기 매립부(110)와 접속구(11)와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주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부(1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목부(112)의 개수와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상기 커넥터(100)의 몸체부(120)와 매립부(110)의 연결부위에는 맨홀 본체(1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에 콘크리트 충진홈(114)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100)의 앵커역할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상기 몸체부(120)의 유연성을 높여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커넥터(100)의 몸체부(120)와 매립부(110)의 연결부위에는 맨홀 본체(10)의 중심을 향하는 반대방향에 압축력 흡수홈(11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맨홀(1)의 제작과정에서 상기 커넥터(100)가 맨홀 본체(10)의 접속구(11)에 접힌 상태로 있다가 접속관(20)이 연결될 때 몸체부(120)가 펼쳐지게 되는데, 몸체부(120)가 펼쳐지면서 맨홀 본체(10)의 외측으로 인출될 때 발생하는 압축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제조장치(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맨홀 제조장치(30)는 상기 맨홀(1)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부 몰드(31)와, 상기 맨홀(1)의 내면을 형성하는 내부 몰드(32)와, 맨홀(1)의 접속구(11)를 형성하는 커넥터 조립용 지그(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성형하는 맨홀(1)의 상호 결합시 끼우는 부분인 스피곳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에 대응하여 단차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팔레트(33)와, 상기 맨홀(1)의 내부공간 하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유로관을 형성시키는 인버트 형성몰드(34)가 더 구비된다.
이중, 커넥터 조립용 지그(2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모두 종래와 유사하므로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커넥터 조립용 지그(200)는 상기 맨홀(1)의 접속구(11)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 몰드(31)와 내부 몰드(32) 사이에 설치되며 커넥터(100)를 접힌 상태로 고정시켜 준다.
상기 커넥터 조립용 지그(200)는 스틸이나 FRP 등과 같이 열에 견디고 쉽게 변형되지 않는 재질이 적당하다.
상기 커넥터 조립용 지그(200)는 커넥터(100)가 접힌 상태로 끼워져 결합되는 커넥터 삽입부(210)와, 체결공간 형성부(220)와, 커넥터(100)의 접힘두께에 상당하는 높이를 가지며 상기 커넥터 삽입부(210)와 체결공간 형성부(220)의 경계부위에 형성된 단차부(2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공간 형성부(220)는 접속관(20)이 접속구(11)에 용이하게 접속되도록 외부 몰드(31)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커넥터 조립용 지그(200)는 외부 몰드(31)에 볼트(35)로써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체결공간 형성부(220)에는 외부 몰드(31)와 접하는 나선결합면(240)이 구비된다. 상기 나선결합면(240)에는 나선홈 또는 상기 볼트체결용 너트(250)가 구비되며, 상기 외부 몰드(31)에는 이에 대응되는 볼트관통공(31a)이 형성된다.
또한, 내부 몰드(32)와 접하게 되는 커넥터 삽입부(210)의 단부는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막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외부 몰드(31)와 접하게 되는 체결공간 형성부(220)는 외부 몰드(31)와 접하는 나선결합면(240)을 제외하고는 개방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커넥터 조립용 지그(200)의 커넥터 삽입부(210)에는 커넥터(100)의 몸체부(120)이 접힌 상태로 삽입된다. 커넥터 조립용 지그(200)의 단차부(230)는 접힌 상태로 커넥터 삽입부(210)에 삽입된 커넥터(100)의 진입을 제한하는 동시에 접힌 커넥터(100)가 체결공간 형성부(220)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회피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커넥터(100)가 커넥터 삽입부(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삽입부(210)에는 접속관 삽입공간 형성링(260)이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접속관 삽입공간 형성링(260)은 접속구(11)가 접속관(20)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적절한 외경을 갖도록 공간을 확보해 줄 뿐만 아니라, 단차부(230)측으로 커넥터(100)와 밀착되어 맨홀(1)의 성형과정에서 커넥터(100)측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막아준다.
따라서, 상기 접속관 삽입공간 형성링(260)의 높이는 맨홀(1)의 벽체두께와 커넥터(100) 높이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관 삽입공간 형성링(260)의 두께는 접속되는 접속관(20)에 대응하여 결정된다.
이를 감안할 때, 상기 접속관 삽입공간 형성링(260)은 원형이 바람직하며, 고무, 합성고무, 실리콘, 연질 PVC 등과 같이 질기고 탄성을 가지며 탈형을 위하여 콘크리트가 잘 부착되지 않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속관 삽입공간 형성링(260)은 내부 몰드(32)에 접촉되는 외주면은 내부 몰드(32)의 형상에 대응하여 평면 또는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접속관 삽입공간 형성링(260)은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분할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커넥터 삽입부(210)에는 접힌 상태로 끼워진 커넥터(100)와 접속관 삽입공간 형성링(260)의 외주면을 동시에 감싸서 상기 커넥터(100) 측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막는 콘크리트 침입방지 시트(27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제조장치(30)를 이용하여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1)을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본 발명의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1)은 맨홀 제조장치(30)가 설치되는 단계와,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맨홀 성형단계와, 양생단계와, 탈형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제조장치(30)가 설치되면, 상기 외부 몰드(31)와 내부 몰드(32) 사이에 형성된 성형공간에 콘크리트(C)가 타설된다.
타설된 콘크리트(C)는 미리 설정된 온도에 따라 일정기간 거쳐 양생된다.
양생과정이 완료되면, 성형된 맨홀(1)과 맨홀 제조장치(30)를 뒤집는다. 즉, 상기 팔레트(33)가 상부로 위치하도록 상하로 뒤집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팔레트(33)가 상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몰드(32)를 해체시키기가 매우 수월해진다.
그리고 커넥터 조립용 지그(200)의 체결공간 형성부(220)와 외부 몰드(31)를 결합시키고 있던 볼트(35)를 풀어서 외부 몰드(31)와 커넥터 조립용 지그(200)를 해체한 다음, 팔레트(33)와 내부 몰드(32)를 해체시킨다. 그리고 인버트 형성 몰드(34)와 커넥터 조립용 지그(200)를 차례로 성형된 맨홀(1)로부터 분리시키면 탈형이 완료된다.
한편, 양성과정이 완료된 후 성형된 맨홀(1)과 맨홀 제조장치(30)를 뒤집지 아니하고 커넥터 조립용 지그(200)의 체결공간 형성부(220)와 외부 몰드(31)를 결합시키고 있던 볼트(35)를 풀어서 외부 몰드(31)와 커넥터 조립용 지그(200)를 해체한 다음, 성형된 맨홀(1)을 인양하여 내부 몰드(32)와 팔레트(33)로부터 맨홀(1)을 탈형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 제조된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1)에 접속관(20)을 연결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몰드(31)와 내부 몰드(32) 사이에 설치된 커넥터 조립용 지그(200)에 의해 커넥터(100)가 내측으로 접힌 상태로 일체 성형된 맨홀(1)이 제작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0)의 몸체부(120)가 맨홀 본체(10)의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접힌 커넥터(100)를 펼친다.
커넥터(100)가 완전히 펼쳐지면, 커넥터(100)의 몸체부(120)의 내주면으로 접속관(20)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접속관(20)은 커넥터(100)의 몸체부(120)가 맨홀 본체(10)의 외측으로 일정길이만큼 인출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100) 또는 접속구(11)측으로의 접속방향을 허용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관(20)의 조립성 및 방향 조정성이 매우 뛰어나다. 한편, 상기 접속관(20)은 인버트(12)에 맞닿을 때까지 진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100)의 몸체부(120)의 내주면으로 접속관(20)이 완전히 삽입되면 커넥터(100)의 몸체부(120)의 외주면 상에 체결밴드(300)를 체결하여 상기 커넥터(100)와 접속관(20)을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상기 체결밴드(300)는 커넥터(100)의 몸체부(120)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122)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안정된 상태로 결합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100)의 몸체부(120)의 내주면으로 접속관(20)이 삽입되어 상기 접속구(11)에 접속관(20)이 끼워지는 단계 이전에 상기 커넥터(100)의 몸체부(120)의 외주면 상에 체결밴드(300)를 가체결 상태로 끼워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100)의 몸체부(120)의 외주면 상에 체결밴드(300)가 가체결되면, 커넥터(100)의 몸체부(120)가 자체 탄성에 의하여 하수관의 외경에 근접되는 내경으로 수축하게 되므로 접속구(11)의 중앙에 접속관(20)을 정확하게 끼울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가체결된 체결밴드(300)를 본 체결하여 상기 커넥터(100)와 접속관(20)을 견고하게 결합시키면 접속관(20)의 연결은 완료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100)의 몸체부(120)의 외주면 상에 체결밴드(300)가 체결되어 상기 커넥터(100)와 접속관(20)이 견고하게 결합된 이후에, 접속관(20)과 접속구(11)와 커넥터(100) 사이의 공간으로 충진부재가 설치되는 단계를 더 거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진부재는 접속관(20)과 접속구(11)와 커넥터(100) 사이의 공간으로 타설되는 무수축 모르타르(410)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충진재가 타설되면, 접속관(20)이 접속구(11) 내에서 유동하지 않게 되므로 맨홀(1)이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진부재는 접속관(20)의 외측으로 끼워지는 신축성을 가진 밀폐링(420)일 수도 있다. 상기 밀폐링(420)은 접속관(20)의 외경에 따라 두께가 결정되고 맨홀(1)벽체의 두께와 커넥터(100)의 매립부(110) 설치위치에 따라 길이가 결정된다.
이와 같이 충진부재가 신축성을 가진 밀폐링(420)으로 이루어지면, 접속구(11)에 접속관(20)이 끼워져 접속관(20)이 인버트(12)에 맞닿은 상태에서 접속관(20)의 접속각도를 조정하여도 인버트(12)와 접속관(20)이 맞닿은 부분의 이격이 최소화되어 접속관(20)과 인버트(12)의 접속 정밀도가 높아지며 접속관(20)의 접속방향이 맨홀(10)의 접속구(11) 중심선에서 벗어난 경우에도 커넥터(100)과 접속관(20)을 체결밴드(300)로 결합시킬 때 결합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밀폐링(420)의 내부에는 복수의 완충용 공간부(421)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용 공간부(421)는 일반적으로 탄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발포 성형시 형성되는 발포공과는 구별되는 것으로서, 밀폐링(420)의 내부에 완충용 공간부(421)들이 형성되면, 상기 완충용 공간부(421)에 의해 콘크리트 단면의 요철과 접속관(20)이나 접속구(11)의 제작 오차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되므로 접속관(20)의 시공이 쉽고 간편해질 뿐 아니라, 접속관(20)에 압축력이 발생할 경우 밀폐링(420)이 상기 압축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므로 외력에 대한 안정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상으로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1)에 접속관(20)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커넥터(100)과 접속관(20)을 결합시키는 체결밴드(30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에 있어서, 체결밴드(3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에 있어서, 체결밴드(300)의 각 구성 간 결합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밴드(300)는 밴드부(310)와, 체결부(320)와, 슬라이딩부(330)를 포함한다.
밴드부(31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커넥터(1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커넥터(100)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밴드부(310)의 길이는 커넥터(100)의 직경을 고려하여 적합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체결부(320)는 상기 밴드부(310)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호 간의 거리 조절에 따라 상기 밴드부(310)의 조임 정도를 조절한다. 즉 체결부(320)는 밴드부(3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체결부(320)가 커넥터(100)의 둘레를 감싼 상태에서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체결부(320)의 이격 거리를 가까워지도록 할 경우 밴드부(320)의 직경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 접속관(20)과 커넥터(100)의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다. 반대로 체결부(320)의 이격 거리를 멀어지도록 할 경우, 밴드부(320)의 직경이 증가하면서 접속관(20)과 커넥터(100)의 결합력이 감소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각 체결부(320)의 내측에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각 체결부(320) 간을 상호 체결하는 체결유닛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각 체결부(320)의 삽입홀을 관통하는 관통부재(340)와, 상기 관통부재(340)에 결합되어 상기 관통부재(34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342)는 상기 관통부재(3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각 체결부(320)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관통부재(340)는 각 체결부(320)를 관통하여 일부가 타측으로 돌출되고, 고정부재(342)는 돌출된 관통부재(340)에 결합된다. 이때 관통부재(340)의 외주면과 고정부재(342)의 내주면에는 서로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호 회전에 의해 각 체결부(320)를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시켜 밴드부(310)의 체결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관통부재(340)와 고정부재(342) 사이에는 와셔(344)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관통부재(340)는 볼트 형태로 형성되며, 고정부재(342)는 너트 형태로 형성되나, 이는 제한된 것이 아니고 상기 체결유닛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3과 같이 체결밴드(300)를 커넥터(100) 및 접속관(20)의 둘레에 체결한 경우, 각 체결부(320)의 사이 공간에는 밴드부(310)가 구비되지 않는 공백 부분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공백 부분에서는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체결밴드(300)는 슬라이딩부(330)를 더 포함한다.
슬라이딩부(33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드부(310)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즉 슬라이딩부(330)는 밴드부(310)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구비된 체결부(320) 중 어느 하나보다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도 13과 같이 체결밴드(300)를 커넥터(100) 및 접속관(20)의 둘레에 체결할 경우, 슬라이딩부(330)는 각 체결부(320) 사이의 공백 부분을 감싸게 되고, 체결밴드(300)는 커넥터(100)의 전체 둘레에 걸쳐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4를 참조하면, 체결밴드(300)의 체결 모습을 보다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부재(340)와 고정부재(342)를 상호 회전시킴에 따라 각 체결부(320)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며, 슬라이딩부(330)는 반대 측의 밴드부(310) 아래쪽으로 슬라이딩된다. 즉 슬라이등부(330)는 반대 측의 밴드부(310) 아래쪽에서 체결 강도의 증가에 따라 밴드부(310)에 의해 보다 강한 압력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체결밴드(300)의 전체적인 체결력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330)의 상부에 위치한 체결부(320)가 슬라이딩부(330)의 상부에서 슬라이딩되어 체결 강도를 증가시키는 현상도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밴드부(310)의 하향 압력에 의해 슬라이딩부(330)가 원활하게 이동하는 것이 방해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슬라이딩부(330)의 후방이 변형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즉 각 체결부(320) 사이 부분에서 슬라이딩부(330)가 들뜨는 현상에 의해 누수를 유발할 가능성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각 체결부(3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부(330)의 들뜸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재(3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변형방지부재(350)는 슬라이딩부(330)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어 슬라이딩부(330)의 일부가 상향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딩부(330)가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변형방지부재(350)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관통부재(340)에 의해 관통되어 고정된 상태를 가진다. 다만, 변형방지부재(350)는 이와 달리 다양한 개수 및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설치되는 위치 역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맨홀 본체 11: 접속구
20: 접속관 31: 외부 몰드
31a: 볼트관통공 32: 내부 몰드
35: 볼트 100: 커넥터
110: 매립부 111: 앵커돌기
112: 오목부 113: 압축력 흡수홈
114: 콘크리트 충진홈 120: 몸체부
121: 수밀돌기 122: 이탈방지돌기
200: 커넥터 조립용 지그 210: 커넥터 삽입부
220: 체결공간 형성부 230: 단차부
250: 볼트체결용 너트 260: 접속관 삽입공간 형성링
270: 콘크리트 침입방지 시트 300: 체결밴드
310: 밴드부 320: 체결부
330: 슬라이딩부 340: 관통부재
342: 고정부재 344: 와셔
350: 변형방지부재 410: 무수축 모르타르
410: 밀폐링

Claims (11)

  1. 맨홀 본체;
    상기 맨홀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접속관이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접속구;
    상기 접속구의 내주면에 매립되는 매립부와, 상기 매립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내측으로 접힌 상태로 설치되었다가 접속구 외측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접속구에 끼워진 접속관을 감싸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탄성재질의 몸체부를 구비한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된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호 간의 거리 조절에 따라 상기 밴드부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는 체결부와, 상기 밴드부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체결밴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체결부의 내측에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각 체결부 간을 상호 체결하는 체결유닛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각 체결부의 삽입홀을 관통하는 관통부재와, 상기 관통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관통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관통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각 체결부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가 상기 커넥터의 둘레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각 체결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의 들뜸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매립부와 몸체부는 직각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접속관이 접속구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와 접속관의 결합력을 보강하기 위한 체결밴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의 중앙에는 매립부와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접속구와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주는 앵커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의 일측에는 매립부의 접속구와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주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몸체부와 매립부의 연결부위에는 맨홀 본체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에 콘크리트 충진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몸체부와 매립부의 연결부위에는 맨홀 본체의 중심을 향하는 반대방향에 압축력 흡수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KR20130108605A 2013-09-10 2013-09-10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KR201500294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8605A KR20150029421A (ko) 2013-09-10 2013-09-10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8605A KR20150029421A (ko) 2013-09-10 2013-09-10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421A true KR20150029421A (ko) 2015-03-18

Family

ID=53023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8605A KR20150029421A (ko) 2013-09-10 2013-09-10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942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474B1 (ko) * 2019-06-25 2019-11-06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흄관과 맨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KR102147273B1 (ko) * 2019-02-21 2020-08-24 주식회사 모현씨앤디 하수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
KR102178222B1 (ko) * 2020-07-17 2020-11-12 박민영 하수맨홀용 커넥터 구조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273B1 (ko) * 2019-02-21 2020-08-24 주식회사 모현씨앤디 하수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
KR102041474B1 (ko) * 2019-06-25 2019-11-06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흄관과 맨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KR102178222B1 (ko) * 2020-07-17 2020-11-12 박민영 하수맨홀용 커넥터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018B1 (ko) 밀림방지와 삽입 후 분리 방지 패킹용 상하수도관
KR101566229B1 (ko)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
KR101817278B1 (ko) 맨홀 제조장치, 이에 의한 맨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일체형 맨홀
JP2001311387A (ja) 既設管路の補修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補修材並びに管路
KR101963836B1 (ko)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
KR101670907B1 (ko) 상하수관용 연결 구조체
KR20150029421A (ko)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KR100749823B1 (ko) 맨홀, 이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연결방법
KR101901154B1 (ko) 콘크리트 케이스 관 연결장치
KR100415965B1 (ko) 오염방지를 위한 조립식 거푸집과 이를 이용한 맨홀 및 옹벽구체, 그리고 그 시공방법
KR100838630B1 (ko) 연결소켓 일체형 콘크리트 맨홀
KR101715842B1 (ko) 접속관 제조장치, 이에 의한 접속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일체형 접속관
KR100617507B1 (ko) 수밀형 맨홀
KR101208606B1 (ko) 관거의 맨홀 결합구조 및 이의 결합방법
KR20140107812A (ko) 커넥터가 구비된 맨홀,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836512B1 (ko) 관로의 보수재, 보수 구조 및 그 보수 방법
JP4327026B2 (ja) コンクリ−ト製ますの補修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192083Y1 (ko) 조립식 맨홀
KR20080030812A (ko) 맨홀용 고무 커넥터 및 그 시공방법
KR100490956B1 (ko) 토목및도로공사용하수로관연결용거푸집
KR100642295B1 (ko) 맨홀 접속관 및 그 연결구조
KR100617522B1 (ko) 수밀형 맨홀의 접속관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JP5406360B2 (ja) 排水管の取り外し方法
KR101825428B1 (ko) 하수관 연결소켓 및 그 시공방법
KR100582713B1 (ko)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용 거푸집 및 그 타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