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836B1 -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 - Google Patents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63836B1 KR101963836B1 KR1020180090146A KR20180090146A KR101963836B1 KR 101963836 B1 KR101963836 B1 KR 101963836B1 KR 1020180090146 A KR1020180090146 A KR 1020180090146A KR 20180090146 A KR20180090146 A KR 20180090146A KR 101963836 B1 KR101963836 B1 KR 1019638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r
- concrete
- concrete structure
- concrete structures
- expan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in foundation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구조물의 신축을 수용하는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에 있어서, 일정 간격 상호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의 사이에 충진되어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의 신축에 따라 신축하는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의 배면으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하는 충진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콘크리트구조물의 내측에 충진되는 충진재와 충진재의 내측에 매립되는 스프링이 일체로 제작되어 일체거동함으로써, 콘크리트구조물의 수칙 및 팽창 변위에 적절하게 대응함으로써, 콘크리트구조물과 충진재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콘크리트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에 관한 것이다.
옹벽, 지하차도, 암거와 같은 콘크리트구조물은 일반적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이 경우 콘크리트구조물은 온도변화 등에 따른 신축으로 균열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 누수가 발생할 뿐 아니라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콘크리트구조물을 일정 간격으로 분리하여 신축이음부를 형성하고, 이 신축이음부에 충진재를 충진함으로써 누수를 방지함과 동시에 콘크리트구조물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그러나 신축이음부에 충진되는 충진재는 콘크리트구조물의 수축 및 팽창에 잘 대응하기 어렵고, 대응한다 하더라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경화되고 균열되어 지하수 등의 누수가 발생하고 외관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2330호 "지하차도용 신축이음장치 및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도 7a, 7b 참조) 이 종래기술은 "지하차도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박스 형태를 이루는 다수의 콘크리트 블럭(10,10')이 연결 구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블럭(10,10')의 연결부위 양측 바닥면에는 커팅홈(11)을 형성하며, 상기 커팅홈(11) 부위에 신축이음재(20)가 타설 구성되는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블럭(10,10')의 연결부위 틈새에는 다수의 통공(31)이 형성된 유공관(30)이 삽입 구성되고; 상기 양측 커팅홈(11)에는 유공관(30)과 수평을 이루는 코일스프링(40)이 안착 구성되며; 상기 코일스프링(40)은 유공관(30)에 형성된 통공(31)과 연결스프링(50)에 의해 연결 구성되고; 상기 유공관(30)과 코일스프링(40) 및 연결스프링(50) 상면에는 방수시트(60)가 부착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차도용 신축이음장치"(청구항 1참조)에 관한 것으로서, 지하차도의 도로면에서, 콘크리트 블럭으로 스며들어서 신축이음장치 측으로 유입되는 침출수를 일측으로 유도하여 신속하게 배출시킴으로서 침출수로 인한 신축이음재의 파손 등과 같은 악영향 발생을 방지하고, 양측의 커팅홈 코너부에는 코일스프링이 안착되어짐으로서 침출수의 내부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대한 흡수효과가 향상되는 지하차도용 신축이음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여전히 신축이음재의 균열을 억제하기 어렵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지 아니하며, 또한 유공관, 코일스프링, 연결스프링 등의 설치 구조가 복잡하여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신축이음부에 충진되는 충진재의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스프링을 매립 설치하여 충진재의 신축량을 균등하게 분산시킴으로써, 충진재의 균열을 방지하는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플레이트의 배면에 유도관을 설치하여 지하수를 하측으로 유도 배출함으로써, 지하수의 누출을 방지하고 미관을 증진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스프링들의 양단부의 강성을 크게 하거나, 스프링의 양 단부를 2중 스프링으로 형성함으로써, 특히 단부에서의 충진재의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는, 콘크리트구조물의 신축을 수용하는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에 있어서, 일정 간격 상호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의 사이에 충진되어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의 신축에 따라 신축하는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의 배면으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하는 충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충진재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플레이트 각각의 배면에는 앵커들이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에 각각 매립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플레이트 각각은 배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플랜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플랜지 사이에 유도관이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의 배면으로부터 스며드는 지하수를 하측으로 유도 배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유도관은 외부관과 내부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관은 상기 외부관과 분리된 것으로서 필요시 인출 후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외부관은 철재관, 합성수지관, 네트호스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내부관은 철재관, 합성수지관, 네트호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내부관의 내부에는 걸림부들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관을 인출할 때 내부의 이물질들이 함께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각각은 배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ㄷ자형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ㄷ자형 플랜지의 배면부쪽은 상기 플레이트와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격 설치된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의 사이에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충진재에 매립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의 신축에 따라 신축하는 스프링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들은 양단부의 탄성력이 큰 것이거나, 또는 양단부에는 2중의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축이음부에 충진되는 충진재의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스프링을 매립 설치하여 충진재의 신축량을 균등하게 분산시킴으로써, 충진재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의 배면에 유도관을 설치하여 지하수를 하측으로 유도 배출함으로써, 지하수의 누출을 방지하고 미관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스프링들의 양단부의 강성을 크게 하거나, 스프링의 양 단부를 2중 스프링으로 형성함으로써, 특히 단부에서의 충진재의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구조물의 양측에 플레이트가 설치됨으로써, 스프링들의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유도관을 이중관으로 함으로써 유도관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에 충진재가 충진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서 콘크리트구조물이 사다리꼴 형상인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에 플레이트, 스프링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평면도, 전면도이다.
도 2d는, 도 2a에서 콘크리트구조물이 사다리꼴 형상인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에 앵커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평면도, 전면도이다.
도 3d는, 도 3a에서 콘크리트구조물이 사다리꼴 형상인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에 플랜지와 유도관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평면도, 전면도, 및 ㄷ자형 플랜지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e는, 도 4a에서 콘크리트구조물이 사다리꼴 형상인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에 2중 스프링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평면도 및 전면도이다.
도 5d는, 도 5a에서 콘크리트구조물이 사다리꼴 형상인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에 2중 스프링의 다른 설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평면도 및 전면도이다.
도 6d는, 도 6a에서 콘크리트구조물이 사다리꼴 형상인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종래기술의 도면들이다.
도 1b는, 도 1a에서 콘크리트구조물이 사다리꼴 형상인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에 플레이트, 스프링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평면도, 전면도이다.
도 2d는, 도 2a에서 콘크리트구조물이 사다리꼴 형상인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에 앵커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평면도, 전면도이다.
도 3d는, 도 3a에서 콘크리트구조물이 사다리꼴 형상인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에 플랜지와 유도관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평면도, 전면도, 및 ㄷ자형 플랜지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e는, 도 4a에서 콘크리트구조물이 사다리꼴 형상인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에 2중 스프링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평면도 및 전면도이다.
도 5d는, 도 5a에서 콘크리트구조물이 사다리꼴 형상인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에 2중 스프링의 다른 설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평면도 및 전면도이다.
도 6d는, 도 6a에서 콘크리트구조물이 사다리꼴 형상인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종래기술의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의 따른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는 일정 간격 상호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의 사이에 충진되어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의 신축에 따라 신축하는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의 배면으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하는 충진재(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콘크리트구조물(1)의 배면은 콘크리트구조물(1)이 지반에 접하는 방향을 지칭하고, 전면은 그 반대 방향을 지칭한다.
본 실시예의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는 옹벽에 주로 적용되나, 지하차도, 암거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일정 간격 상호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콘크리트구조물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나, 신축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일정 지점마다 분리되고, 분리된 지점은 일정 간격 이격된 신축이음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의 분리된 지점의 사이에는 충진재(10)가 충진될 수 있다. 충진재(10)는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의 사이에 충진되어 양측의 콘크리트구조물(1)에 결합되며, 양측의 콘크리트구조물(1)의 신축에 따라 신축할 수 있다. 충진재(10)는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 배면의 지하수 등이 전면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충진재(10)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충진재(10)는 아스팔트, 합성고무, 합성수지, 특수첨가제 등이 적절히 배합된 고무화 아스팔트충진재, 실란트, 또는 상온에서 고무칩과 혼화재를 혼합하여 교반한 고무계열의 충진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충진재(10)는 양측의 콘크리트구조물(1)이나 후술하는 플레이트(20) 등에 잘 부착되고, 콘크리트구조물(1)의 신축에 잘 대응하며, 외부 환경에 대한 내구성을 구비하는 것이면 적절하다.
도 1b를 참조하면,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비탈면에 설치되는 옹벽의 경우 안정성을 위해 하부가 넓은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의 분리된 지점의 전면부쪽에 충진재(10)가 충진될 수 있다.
도 2a 내지 2c를 참조하면,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 각각에는 한 쌍의 플레이트(20)가 결합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에 한 쌍의 플레이트(20)가 각각 결합되고 한 쌍의 플레이트(20) 사이에 충진재(10)가 충진될 수 있다. 플레이트(20)는 충진재(10)가 잘 부착되게 하고, 후술하는 스프링(40)들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 쌍의 플레이트(20)는 콘크리트구조물(1)의 제작 시 거푸집에 플레이트(20)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콘크리트구조물(1)에 일체화 결합할 수 있다.
한 쌍의 플레이트(20) 각각의 배면에는 앵커(22)들이 결합될 수 있다. 앵커(22)들은 플레이트(20)의 배면에 용접 등으로 결합되고, 콘크리트구조물(1)에 매립됨으로써, 플레이트(20)가 콘크리트구조물(1)에 견고하게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이하 플레이트(20)의 배면은 플레이트(20)가 콘크리트구조물(1)에 접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한 쌍의 플레이트(20)는 콘크리트구조물(1)의 단부에 잘 부착됨으로써, 콘크리트구조물(1)의 단부의 균열이나 박리를 방지하여 단부를 보호하고, 동시에 균열, 박리된 부분을 통한 지하수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d를 참조하면,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비탈면에 설치되는 옹벽의 경우 안정성을 위해 하부가 넓은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의 분리된 지점의 전면부쪽에 한 쌍의 플레이트(20)가 설치되고, 한 쌍의 플레이트(20) 사이에 충진재(10)가 충진되며, 충진재(10) 속에는 후술하는 스프링(40)들이 매립될 수 있다.
도 4a 내지 4c를 참조하면, 한 쌍의 플레이트(20) 각각의 배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플랜지(24)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플랜지(24)는 배면으로부터 전면쪽으로 지하수의 침투경로를 증가시킴으로써 지하수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 쌍의 플랜지(24)는 콘크리트구조물(1)의 전면이나 배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즉, 한 쌍의 플레이트(20)의 전면이나 배면에서 이격되어 콘크리트구조물(1)의 중간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한 쌍의 플랜지(24) 중 배면 쪽의 플랜지(24)가 콘크리트구조물(1)의 배면에 접하는 경우, 지반에 접함으로써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플랜지(24) 중 전면 쪽의 플랜지(24)가 콘크리트구조물(1)의 전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경우, 미관이 불량할 수 있다. 다만 전면에 노출되는 플랜지(24)를 착탈식으로 구성함으로써, 내부에 설치되는 후술하는 유도관(30)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한 쌍의 플랜지(24) 사이에는 유도관(30)이 설치될 수 있다. 유도관(30)은 관통공(36)들이 형성될 수 있다. 유도관(30)은 배면 쪽에서 전면 쪽으로 누출되는 지하수 등을 하측으로 유도 배수함으로써 지하수가 전면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쌍의 플랜지(24) 각각은 11자 형상이나, 필요에 따라 단부가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한 쌍의 플랜지(24)가 형성하는 공간의 일부를 막을 수 있다. 이 절곡된 형상은 타설되는 콘크리트로부터 유도관(30)을 잘 보호할 수 있다.
유도관(30)은 외부관(32)과 내부관(3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관(32)과 내부관(34)은 각각 철재관, 합성수지관, 네트호스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관(34)은 외부관(32)의 내부에 삽입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필요시에 따라 내부관(34) 만을 인출하여 새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즉, 일정한 시간의 경과 후 내부관(34)을 교체함으로써 유입되는 지하수의 유도 배출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네트호스는 물은 잘 투과하나 이물질은 잘 투과하지 않는 그물 모양의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상기 내부관(34)의 내부에는 걸림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들은 상기 내부관(34)을 외부관(32)으로부터 인출할 때 내부관(34) 내부의 이물질들을 함께 인출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내부관(34)을 인출하는 것만으로도 유도관(30) 내에 축척된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효과적으로 유도관(30)을 유지 관리할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전술한 한 쌍의 플랜지(24) 대신, 한 쌍의 플레이트(20) 각각의 배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ㄷ자형 플랜지(25)가 설치될 수 있다. ㄷ자형 플랜지(25)는 전면부쪽은 플레이트(20)에 결합되고, 배면부쪽은 절개되어 플레이트(20)와 분리될 수 있다. ㄷ자형 플랜지(25)의 내부에는 전술한 유도관(30)이 설치될 수 있다. 절개부는 콘크리트구조물(1)의 배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지하수를 ㄷ자형 플랜지(25) 내부로 유입되게 하고, 유입된 지하수는 유도관(30)을 통해 하부로 유도 배출될 수 있다. ㄷ자형 플랜지(25)는 유도관(30)을 보호함으로써 유도관(30)의 성능을 잘 유지할 수 있게 한다. ㄷ자형 플랜지(25)의 절개부는 일정 간격으로 플레이트(20)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ㄷ자형 플랜지(25)가 콘크리트구조물(1)의 전면쪽에 설치되는 경우 전면을 착탈식으로 함으로써 유도관(30)을 용이하게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도 4e를 참조하면,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비탈면에 설치되는 옹벽의 경우 안정성을 위해 하부가 넓은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의 분리된 지점의 전면부쪽에 한 쌍의 플레이트(20)가 설치되고, 한 쌍의 플레이트(20) 사이에 충진재(10)가 충진되며, 충진재(10) 속에는 후술하는 스프링(40)들이 매립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플레이트(20) 각각의 배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플랜지(24) 또는 ㄷ자형 플랜지(25)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 5,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는 콘크리트구조물(1)의 사이에 스프링(40)들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40)은 이격 설치된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의 사이에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충진재(10)에 매립 설치될 수 있다. 스프링(40)은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의 신축에 따라 신축하면서, 충진재(10)의 신축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즉, 충진재(10)의 경우 콘크리트구조물(1)과의 접착 상태, 충진재(10) 자체의 균질성, 충진 과정에서의 분리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불균일하게 신장할 수 있고, 이 경우 신장량이 큰 곳에서 균열이 시작된 후 점차 확대될 수 있다. 스프링(40)은 충진재(10)의 불균일 신장을 가급적 균일하게 함으로써, 충진재(10)의 균열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스프링(40)은 콘크리트구조물(1)의 양측에 결합되거나, 플레이트(20)가 설치되는 경우 플레이트(20)에 양단부가 용접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스프링(40)은 양단부의 탄성력을 더 크게 하거나, 또는 양단부에 2중으로 설치할 수 있다. 충진재(10)의 경우 이물질인 콘크리트구조물(1) 또는 플레이트(20)와 결합된 양측 단부에서 떨어지거나 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양 단부의 스프링(40)의 탄성력을 증대시키거나, 스프링(40)을 2중으로 설치함으로써, 즉 충진재(10)가 양 단부에서 덜 신장되게 함으로써, 양 단부에서의 충진재(10)의 떨어짐이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스프링(40)을 2중으로 설치하는 경우, 2중으로 설치되는 스프링(40)은 직경을 크게 하여 이미 설치된 스프링(40)의 외측에 설치되거나, 또는 이미 설치된 스프링(40)들의 사이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 즉, 길이가 짧은 2개의 스프링(40)을 양측에 각각 설치할 수 있다.
도 5d, 6d를 참조하면,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비탈면에 설치되는 옹벽의 경우 안정성을 위해 하부가 넓은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의 분리된 지점의 전면부쪽에 한 쌍의 플레이트(20)가 설치되고, 한 쌍의 플레이트(20) 사이에 충진재(10)가 충진되며, 충진재(10) 속에는 스프링(40)들이 매립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플레이트(20) 각각의 배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플랜지(24) 또는 ㄷ자형 플랜지(25)가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콘크리트구조물
10: 충진재
20: 플레이트
22: 앵커
24: 플랜지
25: ㄷ자형 플랜지
30: 유도관
32: 외부관
34: 내부관
36: 관통공
40: 스프링
10: 충진재
20: 플레이트
22: 앵커
24: 플랜지
25: ㄷ자형 플랜지
30: 유도관
32: 외부관
34: 내부관
36: 관통공
40: 스프링
Claims (11)
- 콘크리트구조물의 신축을 수용하는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에 있어서,
일정 간격 상호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의 사이에 충진되어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의 신축에 따라 신축하는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의 배면으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하는 충진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충진재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각각은 배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플랜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플랜지 사이에 유도관이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의 배면으로부터 스며드는 지하수를 하측으로 유도 배수하며,
상기 유도관은 외부관과 내부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관은 상기 외부관과 분리된 것으로서 필요시 인출 후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고,
상기 내부관의 내부에는 걸림부들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관을 인출할 때 내부의 이물질들이 함께 인출되며,
상기 이격 설치된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의 사이에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충진재에 매립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의 신축에 따라 신축하는 스프링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들은 양단부의 탄성력이 큰 것이거나, 또는 양단부에는 2중의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각각의 배면에는 앵커들이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에 각각 매립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관은 철재관, 합성수지관, 네트호스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내부관은 철재관, 합성수지관, 네트호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0146A KR101963836B1 (ko) | 2018-08-02 | 2018-08-02 |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0146A KR101963836B1 (ko) | 2018-08-02 | 2018-08-02 |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63836B1 true KR101963836B1 (ko) | 2019-04-01 |
Family
ID=66104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0146A KR101963836B1 (ko) | 2018-08-02 | 2018-08-02 |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63836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06070A (zh) * | 2019-05-27 | 2019-09-06 |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 一种地下室墙壁后浇带保护墙施工方法 |
KR102207475B1 (ko) | 2020-09-10 | 2021-01-26 |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 콘크리트 구조물 신축이음 장치 |
CN112411771A (zh) * | 2020-10-24 | 2021-02-26 | 北京中易房建筑工程有限公司 | 一种地下室外墙后浇带的钢板安装结构及施工方法 |
KR20220104384A (ko) | 2021-01-18 | 2022-07-26 | (주) 명덕건설 | 안전성과 신축성을 겸비한 건축 구조물용 바닥슬라브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신축이음방법 |
CN115419114A (zh) * | 2022-08-31 | 2022-12-02 | 四川华构建筑工程有限公司 | 一种装配式综合管廊预制段变形缝施工方法及施工结构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63951A (ko) * | 1999-12-24 | 2001-07-09 | 양윤영 |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 |
KR101089664B1 (ko) * | 2011-06-01 | 2011-12-06 |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 유도배수관 및 유도배수관을 이용한 조인트 누수 방지 공법 |
KR101259785B1 (ko) * | 2012-03-06 | 2013-05-03 | (주)양지엔지니어링 | 교량 신축 이음 구조의 배수 장치 |
KR101330024B1 (ko) * | 2013-01-24 | 2013-11-15 | (주)경동엔지니어링 | 하수암거를 포함한 시설물용 차수형 신축이음장치 |
KR101456895B1 (ko) * | 2014-05-08 | 2014-10-31 | 주식회사 브리텍 |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교량 신축이음장치 |
KR101743961B1 (ko) * | 2016-11-14 | 2017-06-07 | 주식회사 이레하이테크이앤씨 | 신축이음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KR101802330B1 (ko) | 2017-08-28 | 2017-11-29 | 주식회사 브리텍 | 지하차도용 신축이음장치 및 시공방법 |
-
2018
- 2018-08-02 KR KR1020180090146A patent/KR10196383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63951A (ko) * | 1999-12-24 | 2001-07-09 | 양윤영 |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 |
KR101089664B1 (ko) * | 2011-06-01 | 2011-12-06 |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 유도배수관 및 유도배수관을 이용한 조인트 누수 방지 공법 |
KR101259785B1 (ko) * | 2012-03-06 | 2013-05-03 | (주)양지엔지니어링 | 교량 신축 이음 구조의 배수 장치 |
KR101330024B1 (ko) * | 2013-01-24 | 2013-11-15 | (주)경동엔지니어링 | 하수암거를 포함한 시설물용 차수형 신축이음장치 |
KR101456895B1 (ko) * | 2014-05-08 | 2014-10-31 | 주식회사 브리텍 |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교량 신축이음장치 |
KR101743961B1 (ko) * | 2016-11-14 | 2017-06-07 | 주식회사 이레하이테크이앤씨 | 신축이음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KR101802330B1 (ko) | 2017-08-28 | 2017-11-29 | 주식회사 브리텍 | 지하차도용 신축이음장치 및 시공방법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06070A (zh) * | 2019-05-27 | 2019-09-06 |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 一种地下室墙壁后浇带保护墙施工方法 |
KR102207475B1 (ko) | 2020-09-10 | 2021-01-26 |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 콘크리트 구조물 신축이음 장치 |
CN112411771A (zh) * | 2020-10-24 | 2021-02-26 | 北京中易房建筑工程有限公司 | 一种地下室外墙后浇带的钢板安装结构及施工方法 |
KR20220104384A (ko) | 2021-01-18 | 2022-07-26 | (주) 명덕건설 | 안전성과 신축성을 겸비한 건축 구조물용 바닥슬라브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신축이음방법 |
CN115419114A (zh) * | 2022-08-31 | 2022-12-02 | 四川华构建筑工程有限公司 | 一种装配式综合管廊预制段变形缝施工方法及施工结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63836B1 (ko) |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 | |
US4522531A (en) | Transverse joint cell for concrete structures | |
JP3415802B2 (ja) | 止水遮断装置 | |
KR101109320B1 (ko) | 현장 조립식 침하방지 구조를 갖는 경사지 설치가 용이한 콘크리트 암거 박스 및 그의 시공 방법 | |
KR101036277B1 (ko) | 도로와 교량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신축이음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부 시공 공법 | |
KR101498512B1 (ko) | 유도배수를 위한 공간 확보용 가드 | |
KR101669417B1 (ko) | 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101837093B1 (ko) | 지하차도, 교량, 복개암거 또는 터널 등을 포함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의 차량 주행면 신축이음 구조 및 시공방법 | |
KR101901154B1 (ko) | 콘크리트 케이스 관 연결장치 | |
JP2006144534A (ja) | 地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継手構造とその施工方法 | |
KR101232309B1 (ko) | 배수설비가 구비된 신축이음의 시공방법 | |
KR102207475B1 (ko) | 콘크리트 구조물 신축이음 장치 | |
KR100258297B1 (ko) |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 | |
KR20150029421A (ko) |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 |
KR101131242B1 (ko) | 선형구조물의 경사면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 |
KR100386913B1 (ko) |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를 위한 방수층 보호재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1014838B1 (ko) | 프리캐스트 암거의 결합부 차수 및 지수 차단장치 | |
KR101821570B1 (ko) | 확장형 탄성채움재가 구비된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2461339B1 (ko) |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부 지수판 | |
KR20090008964U (ko) | 배수용 유공 측구 | |
KR100749052B1 (ko) | 링 팽창지수제 스리브를 구비한 옹벽용 배수관 | |
KR101089664B1 (ko) | 유도배수관 및 유도배수관을 이용한 조인트 누수 방지 공법 | |
KR200461508Y1 (ko) | 차수판을 갖는 파형강판 터널구조물 | |
KR101545812B1 (ko) | 터널용 매립 실런트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2517949B1 (ko) | 사장형 철근 겹이음 박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연속벽체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