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2713B1 -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용 거푸집 및 그 타설방법 - Google Patents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용 거푸집 및 그 타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2713B1
KR100582713B1 KR1020040013335A KR20040013335A KR100582713B1 KR 100582713 B1 KR100582713 B1 KR 100582713B1 KR 1020040013335 A KR1020040013335 A KR 1020040013335A KR 20040013335 A KR20040013335 A KR 20040013335A KR 100582713 B1 KR100582713 B1 KR 100582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anhole
formwork
coupl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3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5794A (ko
Inventor
남진희
Original Assignee
세종종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종합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종종합건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45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5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02F1/685Devices for dosing the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8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83Miner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8Corrosion inhibi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용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맨홀 등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내부거푸집과, 상기 맨홀 등의 외벽면을 형성하며 일측면에 하단부가 개방된 형상의 연결부재결합구가 형성되어 있는 외부거푸집과, 상기 외부거푸집의 연결부재결합구의 둘레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결합구의 상부영역을 차단하고 하부영역 폭방향 양측에 관보강거푸집과 연결되는 개방구를 형성하며 중앙에 관결합구가 형성되는 외부연결부재와, 상기 관결합구 둘레영역으로부터 상기 관결합구의 축선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관체의 외경에 대응하는 관결합개구를 형성하는 관결합구가변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맨홀 등의 시공과 맨홀 등과 관체의 결합 시공 및 맨홀 등과 관체의 결합영역 보강시공을 일체로 시공하여, 시공작업이 용이하고 시공기간이 단축되며, 맨홀 등과 관체의 결합영역과 보강영역에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용 거푸집 및 그 타설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다양한 관체의 직경에 상관없이 관체를 맨홀 등의 정확한 위치에 일체로 결합할 수 있고, 시공불량을 방지 할 수 있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용 거푸집 및 그 타설방법이 제공된다.
맨홀, 거푸집, 관체, 연결, 보강, 일체, 타설

Description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용 거푸집 및 그 타설방법{Unification mold for connecter of manhole etc and pipe and mold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용 거푸집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거푸집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외부연결부재 및 관결합구가변수단 영역 정면도,
도 4은 도 1 및 도 2의 거푸집을 이용한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시공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로서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의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을 이용하여 맨홀 등과 관체를 일체로 타설하는 시공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결합구가변수단 영역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관체 7 : 맨홀
10 : 내부거푸집 20 : 외부거푸집
21 : 연결부재결합구 40 : 외부연결부재
41 : 지지벽형성판 43 : 관위치조절판
45 : 조절판지지대 50 : 관결합구가변수단
51 : 곡면판 53 : 가이더
55 : 가이드공 70 : 관보강거푸집
본 발명은,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용 거푸집 및 그 타설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하에 하수나 우수 및 통신케이블 등의 이동경로(이하 "관로"라 함)를 형성할 때는 관로의 시작부인 옹벽구체로부터 다수의 관체를 연결하여 관로를 형성하게 되며, 관로의 분기점나 교차지점(이하 "분기점"으로 함) 등에서는 맨홀을 이용하여 관로를 분산시키거나 교차시킨다.
이러한 맨홀과 옹벽구체(이하 "맨홀"로 설명함)와 관로의 시공은 먼저, 관로를 따라 터파기를하고, 터파기 자리의 담짐공사를 시행한다. 그리고, 터파기자리에 버림콘크리트와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관로와 맨홀을 형성할 수 있는 기초를 형성한다. 그런 다음, 관로의 분기점에 해당하는 영역에 관체가 결합될 수 있는 맨홀을 형성한다.
맨홀의 시공방법으로는 기초콘크리트 상부에 맨홀에 대응하는 거푸집을 제작 조립하고,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킴으로써, 관체가 결합될 맨홀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거푸집에는 관로를 향하는 맨홀의 일측으로 관체의 결합을 위한 결합개구가 형성될 수 있도록 결합개구형성구조가 마련된다.
맨홀의 또 다른 시공방법으로는 미리 제작된 맨홀을 관로의 분기점에 해당하는 영역에 설치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관로를 향하는 맨홀의 일측에는 역시 관체의 결합을 위한 결합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맨홀의 시공후에는 맨홀의 결합개구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형성될 관로에 대응하는 기초콘크리트의 폭방향 양측에 관보강거푸집을 시공한다.
그런 다음, 맨홀의 결합개구에 관체의 일단부영역을 결합하고 관보강거푸집 내측을 따라 관체를 연결해 나감으로써 관로를 형성한다. 이때, 맨홀의 결합개구와 관체사이에는 수밀벨트가 개재된다. 그리고, 연결된 관로의 양측에는 관보강거푸집과의 이격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이격공간이 관체보강콘크리트 타설공간으로 형성된다.
맨홀에 관체를 결합하고 이 관체에 또 다른 관체들을 연결하여 관로를 형성하는 시공이 완료되면, 맨홀과 관체의 결합영역을 사춤하여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한다. 맨홀과 관체의 결합영역 사춤이 완료되면, 관보강거푸집과 관체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관체보강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킴으로써, 관로와 맨홀의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맨홀과 관체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맨홀을 현장에서 제작하거나 미리 제작하여 관체와 결합시키기 때문에, 맨홀의 제작시공과 제작된 맨홀과 관체의 연결시공이 별개로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시공작업의 불편함과 시공기간 연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맨홀의 시공과 맨홀과 관체의 결합 시공 및, 맨홀과 관체의 결합영역 보강 시공이 별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 시공부위의 분리에 의한 결합영역이 취약해져 균열이 발생하기 쉽고 이에따른 누수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맨홀의 결합개구를 관체의 외경에 맞추어 정밀하게 작업할 수 없기 때문에, 관체를 결합할 때 맨홀의 결합개구와 관체 간의 진원도 및 수평도가 부정확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결합개구와 관체간에 형성되는 공극이 일 측으로 치우치는 현상이 발생하여 공극의 반대영역은 결합상태가 취약해진다.
이 상태로 맨홀 등과 관체가 지하에 매설된 후 관체에 지반하중이 가해지면 관체에 굽힘응력이 발생하면서 맨홀 등과 관체의 취약한 결합부위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파손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초래된다.
또한, 거푸집의 결합개구는 시공현장에서 시공될 관체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다른 직경의 관체를 시공할 때는 재사용이 불가능하다. 즉, 종래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을 위한 거푸집은 다양한 직경의 관체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맨홀 등의 시공과 맨홀 등과 관체의 결합 시공 및 맨홀 등과 관체의 결합영역 보강시공을 일체로 시공하여, 시공작업이 용이하고 시공기간이 단축되며, 맨홀 등과 관체의 결합영역과 보강영역에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용 거푸집 및 그 타설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관체의 직경에 상관없이 관체를 맨홀 등의 정확한 위치에 일체로 결합할 수 있고, 시공불량을 방지 할 수 있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용 거푸집 및 그 타설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용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맨홀 등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내부거푸집과, 상기 맨홀 등의 외벽면을 형성하며 일측면에 하단부가 개방된 형상의 연결부재결합구가 형성되어 있는 외부거푸집과, 상기 외부거푸집의 연결부재결합구의 둘레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결합구의 상부영역을 차단하고 하부영역 폭방향 양측에 관보강거푸집과 연결되는 개방구를 형성하며 중앙에 관결합구가 형성되는 외부연결부재와, 상기 관결합구 둘레영역으로부터 상기 관결합구의 축선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관체의 외경에 대응하는 관결합개구를 형성하는 관결합구가변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용 거푸집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연결부재는 상기 연결부재결합구 둘레에 결합되는 지지벽형성판과, 상기 지지벽형성판 전방에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결합구의 상부영역을 차단하고, 하부영역의 폭방향 양측에 상기 관보강거푸집과 연결된 개방구를 형성하며, 중앙에 상기 관결합구가 형성되어 있는 관위치조절판을 가지며; 상기 관결합구가변수단은 상기 관위치조절판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벽형성판의 전방 둘레단부에는 외향절곡된 플렌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렌지부에는 상기 관위치조절판을 사이에 두고 결합핀에 의해 조절판지지대가 결합되며, 상기 관위치조절판은 한 쌍의 판상부재로 마련되고, 외측둘레단부에는 상기 결합핀이 관통되며 상기 결합핀에 비해 큰 직경의 조절판유동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관결합구가변수단은 상기 관위치조절판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서 상기 관결합구의 둘레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관결합구 축선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 이동하는 복수의 곡면판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각 곡면판의 슬라이딩 이동은 상기 관위치조절판과 상기 곡면판 중 어느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더와, 상기 관위치조절판과 상기 곡면판 중 타측에 상기 축선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을 향해 장공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더를 안내하는 가이드공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관결합구가변수단은 상기 관결합구의 둘레영역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관결합구 축선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각각 회동하는 복수의 곡면판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각 곡면판의 둘레방향 양 단부영역은 상기 관결합개구를 형성하는 상태에서 상호 겹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맨홀 등과 관체의 매설영 역을 터파기하는 단계와, 상기 터파기된 매설영역을 다지는 단계와, 상기 다짐자리에 기초를 시공하는 단계를 갖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초에 상기 맨홀 등을 형성하는 내부 및 외부거푸집과, 상기 외부거푸집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거푸집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방구를 형성하며 상기 개방구와 일체로 형성되고 구경의 가변이 가능한 관결합구를 형성하는 관결합구가변수단이 결합된 외부연결부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개방구 양측으로부터 상기 관결합구에 결합될 관체의 길이방향 양측을 따라 관보강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관보강거푸집 사이에서 상기 관결합구에 관체를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관결합구를 상기 관체의 외경에 대응하게 가변하는 단계와, 상기 내부 및 외부거푸집 내부와 상기 개방구 및 상기 관체와 상기 관보강거푸집 사이 영역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연결부재는 상기 연결부재결합구 둘레에 결합되는 지지벽형성판과, 상기 지지벽형성판 전방에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결합구의 상부영역을 차단하고, 하부영역의 폭방향 양측에 상기 관보강거푸집과 연결된 개방구를 형성하며, 중앙에 상기 관결합구가 형성되어 있는 관위치조절판을 가지며; 상기 관결합구가변수단은 상기 관위치조절판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서 상기 관결합구의 둘레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관결합구 축선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 이동하는 복수의 곡면판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용 거푸집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거푸집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용 거푸집(1)은, 맨홀 등(이하 "맨홀(7)"로 설명함)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내부거푸집(10)과, 맨홀(7)의 외벽면을 형성하는 외부거푸집(20)과, 내부거푸집(10)에 결합되어 관체(5)의 일 단부를 기밀하는 내부연결부재(30)와, 외부거푸집(20)의 외측에 결합되어 맨홀(7) 형성시 관체(5)가 맨홀(7)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는 외부연결부재(40)와, 외부연결부재(40)의 관체(5) 결합영역에 마련되어 관결합개구를 관체(5)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가변하는 관결합구가변수단(50)을 포함한다.
내부거푸집(10)과 외부거푸집(20)은 형성될 맨홀(7)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판상부재가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원형맨홀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거푸집(10)과 외부거푸집(20)은 각각 복수의 원호판상부재가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며, 사각맨홀을 형성할 경우에는 평판상부재가 상호 결합되어 사각형을 이루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들 내부거푸집(10)과 외부거푸집(20)은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FRP 또는 아크릴수지 등의 합성수지재료나, 금속판, 목판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거푸집(10)과 외부거푸집(20)을 형성하는 복수의 판상부재는 볼트, 너트, 피스 등의 결 합부품을 이용하여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외부거푸집(20)의 일측에는 관체(5)의 결합을 위한 외부연결부재(40)가 결합되는 연결부재결합구(21)가 형성된다. 이 연결부재결합구(21)는 외부거푸집(20)의 일영역으로부터 하단부가 개방되는 거의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연결부재결합구(21)는 외부거푸집(20)을 형성하는 단일의 판상부재 판면에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맨홀(7) 타설 시공후 외부거푸집(20)의 원할한 분리를 고려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접하는 두 판상부재에 1/2씩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연결부재(30)는 중앙영역에 부분 원호상으로 돌출된 기밀부(31)와, 기밀부(31)의 둘레영역으로부터 판상으로 외향 연장된 내부부착부(33)를 갖도록 제작된다. 기밀부(31)는 맨홀(7)의 내부를 향하는 관체(5)의 일 단부에 접하여 관체(5)를 기밀시킨다. 기밀부(31)는 부분원호 형상, 원뿔형상 또는 반구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도 있으며, 단일의 부재 또는 복수개로 나누어진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 이때, 기밀부(31)의 중앙영역에는 맨홀(7)과 관체(5)의 일체 타설이 완료된 후 내부연결부재(30)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탈착구(31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외부연결부재(40)는 외부거푸집(20)의 연결부재결합구(21) 둘레에 결합되는 지지벽형성판(41)과, 지지벽형성판(41) 전방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관위 치조절판(43)과, 관위치조절판(43)을 사이에 두고 지지벽형성판(41)에 결합되는 조절판지지대(45)을 갖는다.
지지벽형성판(41)은 외부거푸집(20)의 연결부재결합구(21)에 대응하는 거의 ∩자 단면 형상을 갖도록 판재를 굴곡시켜서 제작된다. 이 지지벽형성판(4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결합에 의해 ∩자 단면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굴곡판(41a)이 ∩자 단면의 대칭되는 1/2 형상을 갖는 구조이다.
그리고, 지지벽형성판(41)의 전방 둘레단부에는 조절판지지대(45)의 결합을 위해 외향절곡된 플렌지부(41b)가 형성되어 있으며, 플렌지부(41b)의 판면에는 복수의 결합공(42a)이 형성되어 있다.
관위치조절판(43)은 상호 대칭된 구조로 접하여 지지벽형성판(41)의 상부 전면을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한 쌍의 판상부재로 제작되며, 지지벽형성판(41) 상부 전면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관위치조절판(43)의 하부 중앙영역에는 관체(5)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거의 반원호상의 관결합구(43a)가 형성된다. 그리고, 각 관위치조절판(43)의 외측둘레단부에는 지지벽형성판(41)의 플렌지부(41b)에 형성된 결합공(42a)에 비해 큰 직경의 조절판유동공(43b)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위치조절판(43)은 지지벽형성판(41)에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거푸집(10)과 외부거푸집(20)에 의해 형성되는 맨홀(7)과 이 맨홀(7)에 결합되는 관체(5) 간의 결합영역에서의 콘크리트타설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관위치조절판(43) 하부에 형성되는 외부연결부재(40)와 관보강거푸집(70)을 연결하는 개방구(도 3의 43c)를 형성한다.
조절판지지대(45)는 지지벽형성판(41)의 플렌지부(41b)에 대응하는 판상의 띠형상으로 제작된다. 이 조절판지지대(45) 역시 상호 결합에 의해 ∩자 띠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지지대(45a)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조절판지지대(45)의 판면에는 지지벽형성판(41)의 플렌지부(41b)에 형성된 결합공(42a)에 대응하는 복수의 결합공(4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지지벽형성판(41)과 관위치조절판(43) 및 조절판지지대(45)의 상호 결합은 관위치조절판(43)의 조절판유동공(43b)을 통과하는 결합핀(47)이 지지벽형성판(41)의 플렌지부(41b)와 조절판지지대(45)의 결합공(42a)에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관위치조절판(43)은 조절판유동공(43b)의 크기에 대응하는 영역만큼 유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의 외부연결부재(40)는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벽형성판(41)의 하부영역에 외부로 개방되는 개방구(43c)를 형성한다. 이 개방구(43c)의 양측 지지벽형성판(41)에는 관체(5)의 보강콘크리트타설을 위한 관보강거푸집(70)이 도 4와 같이 연결된다. 그리고, 이 개방구(43c)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가 통과될 정도의 메쉬를 갖는 타설망(91)이 설치된다. 타설망(91)은 맨홀(7)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타설시 맨홀(7)측에서 발생하는 타설압력에 의해 관보강거푸집(70) 상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관결합구가변수단(50)은 슬라이딩 작용에 의해 관위치조절판(43)에 형성된 관결합구(43a)의 직경을 조절하는 복수의 곡면판(51)과, 곡면판(51)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가이더(53) 및 가이드공(55)으로 이루어진다.
각 곡면판(51)은 관위치조절판(43)의 관결합구(43a) 내측 둘레면을 따라 상호 양 단부영역이 겹쳐지도록 설치되며, 각 곡면판(51)의 양단부에는 가이더(53)가 외향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더(53)에 대응하는 관위치조절판(43)의 관결합구(43a) 둘레면에는 관결합구(43a)의 축선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장공상의 가이드공(55)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더(53)는 가이드공(55)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데, 이 노출 단부영역에는 가이더(5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편(53a)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이더(53)는 나사산을 갖는 볼트 형태로 마련하고, 이탈방지편(53a)은 나사산에 체결되는 나비너트 형태로 마련하여 곡면판(51)의 슬라이딩 위치를 고정 및 고정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곡면판(51)의 설치위치는 관위치조절판(43)의 관결합구(43a) 외측 둘레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곡면판(51)의 형상은 관위치조절판(43)의 관결합구(43a) 둘레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관결합구가변수단(50)은 관체(5)의 결합전 곡면판(51)을 관결합구(43a)의 외측으로 최대한 슬라이딩 이동시켜 두었다가, 관체(5)가 관결합구(43a)를 통해 맨홀(7)과의 결합위치에 설치되면 곡면판(51)을 관체(5)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각 곡면판(51)의 단부가 관체(5)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외경의 관체(5)에 상관없이 관체(5)를 정확한 위치에 결합할 수 있다.
한편, 관결합구가변수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판(51')이 관결합구(43a)의 자유단부에 힌지(63)에 의해 회동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힌지(63)는 관결합구(43a) 둘레면 외측에 형성되는 것이 시공후 맨홀(7)과 관체(5) 결합영역의 외관을 저해하지 않아 바람직하다.
이 관결합구가변수단(50')은 곡면판(51')을 관결합구(43a) 둘레면 외측을 향하는 개방방향으로 회동시켜 놓은 상태에서 관체(5)를 관결합구(43a)로 삽입한 후 곡면판(51')을 관체(5)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동시켜 곡면판(51')의 자유단부가 관체(5)의 외주면에 접촉함으로써 관체(5)의 외경에 대응하여 관결합구(43a)의 직경을 가변한다. 이에 의해,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관결합구(43a)의 직경을 가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맨홀(7)과 관체(5)의 일체 타설용 거푸집(1)을 이용하여 맨홀(7)과 관체(5)를 일체 타설하는 과정을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시공될 관로를 따라 터파기를 하고(S01), 터파기 자리의 담짐공사를 시행한다(S02). 그리고, 터파기자리에 버림콘크리트 또는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관로와 맨홀(7)을 형성할 수 있는 기초(도 4의 90)를 형성한다(S03).
그런 다음, 관체(5)를 시공될 관로에 대응하는 위치의 기초 상에 설치하고(S04), 관로의 분기점에 해당하는 영역에 본 발명에 따른 맨홀(7)과 관체(5)의 일체 타설용 거푸집(1)을 설치한다(S05). 이때, 맨홀(7)과 연결되는 관체(5)의 일단부영역을 외부연결부재(40)의 관결합구(43a)를 통해 내부연결부재(30)에 접하도록 도 4와 같이 설치한다.
관체(5)와 거푸집(1)의 설치가 완료되면 관위치조절판(43)과 관결합구가변수단(50)의 곡면판(51)을 조절하여 관체(5) 외경과의 치수에 따라 관결합구(43a)의 크기를 적절히 가변하여 관체(5)의 결합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한다(S06).
그런 다음, 도 4와 같이, 외부연결부재(40)의 하부 개방영역 양측에 관보강거푸집(70)을 연결한다(S07). 이때, 관보강거푸집(70)은 콘크리트 타설시 외향 밀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 외측을 버팀목(93)으로 지지하거나, 관체(5)를 지지체로 하는 거푸집지지띠(95) 등으로 위치 고정시킨다.
그리고, 내부거푸집(10)에 결합되는 내부연결부재(30)의 중심과 외부연결부재(40)의 관위치조절판(43)에 형성된 관결합구(43a)는 동심적으로 배치된다.
한편, 외부연결부재(40)의 지지벽형성판(41) 내측에 위치하는 관체(5)의 일단부영역에는 도시않은 수밀벨트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관체(5)의 하부에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기초(90)와 관체(5)가 콘크리트 충전공간을 가지고 이격되도록 관체(5)를 지지하는 복수의 버팀부재(80)가 관체(5)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관체(5)를 외부연결부재(40)에 결합하고 난 후에는 관보강거푸집(70) 내측을 따라 관체(5)를 연결해 나감으로써 관로를 형성한다. 이때, 연결된 관로의 양측에는 관보강거푸집(70)과의 관체(5)사이에 관체(5) 보강콘크리트 타설공간이 형성된다.
외부연결부재(40)에 관체(5)를 결합하고 관체(5)를 연결하여 관로를 형성하는 시공이 완료되면, 내부거푸집(10)과 외부거푸집(20)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S08).
그러면, 내부거푸집(10)과 외부거푸집(20) 사이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면서 외부연결부재(40)의 관위치조절판(43) 하부에 형성된 개방구(43c)를 통해 콘크리트가 관체(5) 보강콘크리트 타설공간으로 흘러가면서 충전된다. 이때 개방구(43c)에는 타설망(91)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관보강거푸집(70)의 상부로 콘크리트가 넘치지 않고 보강콘크리트 타설공간으로 흘러간다.
내부거푸집(10)과 외부거푸집(20) 사이와 관체(5) 보강콘크리트 타설공간에 도 5와 같이, 충전된 콘크리트는 소정의 양생기간을 거쳐 맨홀(7)을 형성함과 동시에, 맨홀(7)과 관체(5)를 일체로 연결하고, 맨홀(7)과 관체(5)의 결합영역에서 보강구조를 형성한다(S09).
이와 같이, 맨홀을 형성하는 내부거푸집과 외부거푸집을 마련하고, 외부거푸집의 일측에 관체의 결합 및 관체보강콘크리트타설 공간과 연결되는 외부연결부재 및 관결합구의 직경을 가변할 수 있은 관결합구가변수단을 마련함으로써, 맨홀과 관체의 일체 타설이 가능함과 동시에 맨홀과 관체의 경합영역에 보강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맨홀의 제작시공과 맨홀과 관체의 연결시공 및 맨홀과 관체의 결합부 보강구조 시공이 동시에 이루어져 시공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시공기간을 현격하게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맨홀의 시공과 맨홀과 관체의 결합 시공 및, 맨홀과 관체의 결합영역 보강 시공이 한번에 일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 시공부위가 분리되지 않아 결합영역이 견고하게 시공된다. 이에 의해, 결합영역의 균열을 방지함과 동시에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관결합구가변수단을 이용하여 관체의 직경에 대응하는 관결합구 및 결합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맨홀 등에 관체를 결합할 때 관체를 정확한 진원도와 수평도를 유지하며 결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맨홀 등과 관체가 지하에 매설된 후 관체에 지반하중이 가해지더라도 결합부위에 균열 등의 시공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관결합수단을 이용하여 다양한 관체의 직경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관체의 시공시 거푸집을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맨홀 등의 시공과 맨홀 등과 관체의 결합 시공 및 맨홀 등과 관체의 결합영역 보강시공을 일체로 시공하여, 시공작업이 용이하고 시공기간이 단축되며, 맨홀 등과 관체의 결합영역과 보강영역에서 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용 거푸집 및 그 타설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다양한 관체의 직경에 상관없이 관체를 맨홀 등의 정확한 위치에 일체로 결합할 수 있고, 시공불량을 방지 할 수 있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용 거푸집 및 그 타설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9)

  1.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용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맨홀 등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내부거푸집과,
    상기 맨홀 등의 외벽면을 형성하며 일측면에 하단부가 개방된 형상의 연결부재결합구가 형성되어 있는 외부거푸집과,
    상기 외부거푸집의 연결부재결합구의 둘레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결합구의 상부영역을 차단하고 하부영역 폭방향 양측에 관보강거푸집과 연결되는 개방구를 형성하며 중앙에 관결합구가 형성되는 외부연결부재와,
    상기 관결합구 둘레영역으로부터 상기 관결합구의 축선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관체의 외경에 대응하는 관결합개구를 형성하는 관결합구가변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용 거푸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연결부재는
    상기 연결부재결합구 둘레에 결합되는 지지벽형성판과,
    상기 지지벽형성판 전방에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결합구의 상부영역을 차단하고, 하부영역의 폭방향 양측에 상기 관보강거푸집과 연결된 개방구를 형 성하며, 중앙에 상기 관결합구가 형성되어 있는 관위치조절판을 가지며;
    상기 관결합구가변수단은 상기 관위치조절판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용 거푸집.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형성판의 전방 둘레단부에는 외향절곡된 플렌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렌지부에는 상기 관위치조절판을 사이에 두고 결합핀에 의해 조절판지지대가 결합되며,
    상기 관위치조절판은 한 쌍의 판상부재로 마련되고, 외측둘레단부에는 상기 결합핀이 관통되며 상기 결합핀에 비해 큰 직경의 조절판유동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용 거푸집.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결합구가변수단은
    상기 관위치조절판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서 상기 관결합구의 둘레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관결합구 축선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 이동하는 복수의 곡면판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용 거푸 집.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곡면판의 슬라이딩 이동은 상기 관위치조절판과 상기 곡면판 중 어느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더와,
    상기 관위치조절판과 상기 곡면판 중 타측에 상기 축선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을 향해 장공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더를 안내하는 가이드공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용 거푸집.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결합구가변수단은
    상기 관결합구의 둘레영역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관결합구 축선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각각 회동하는 복수의 곡면판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용 거푸집.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곡면판의 둘레방향 양 단부영역은 상기 관결합개구를 형성하는 상태 에서 상호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용 거푸집.
  8. 맨홀 등과 관체의 매설영역을 터파기하는 단계와, 상기 터파기된 매설영역을 다지는 단계와, 상기 다짐자리에 기초를 시공하는 단계를 갖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초에 상기 맨홀 등을 형성하는 내부 및 외부거푸집과, 상기 외부거푸집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거푸집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방구를 형성하며 상기 개방구와 일체로 형성되고 구경의 가변이 가능한 관결합구를 형성하는 관결합구가변수단이 결합된 외부연결부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개방구 양측으로부터 상기 관결합구에 결합될 관체의 길이방향 양측을 따라 관보강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관보강거푸집 사이에서 상기 관결합구에 관체를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관결합구를 상기 관체의 외경에 대응하게 가변하는 단계와,
    상기 내부 및 외부거푸집 내부와 상기 개방구 및 상기 관체와 상기 관보강거푸집 사이 영역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연결부재는
    상기 연결부재결합구 둘레에 결합되는 지지벽형성판과,
    상기 지지벽형성판 전방에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결합구의 상부영역을 차단하고, 하부영역의 폭방향 양측에 상기 관보강거푸집과 연결된 개방구를 형성하며, 중앙에 상기 관결합구가 형성되어 있는 관위치조절판을 가지며;
    상기 관결합구가변수단은 상기 관위치조절판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서 상기 관결합구의 둘레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관결합구 축선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 이동하는 복수의 곡면판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방법.
KR1020040013335A 2003-11-12 2004-02-27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용 거푸집 및 그 타설방법 KR1005827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79697 2003-11-12
KR1020030079697 2003-1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794A KR20050045794A (ko) 2005-05-17
KR100582713B1 true KR100582713B1 (ko) 2006-05-22

Family

ID=37245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3335A KR100582713B1 (ko) 2003-11-12 2004-02-27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용 거푸집 및 그 타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27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268B1 (ko) * 2005-07-08 2007-08-29 세종산업개발(주) 맨홀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맨홀 구조체
KR100691191B1 (ko) * 2005-07-15 2007-03-09 삼성전기주식회사 Led를 이용한 면광원 및 이를 구비하는 lcd 백라이트유닛
KR100964324B1 (ko) * 2007-09-27 2010-06-17 위성배 지중 관로 매설용 거푸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794A (ko) 200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311387A (ja) 既設管路の補修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補修材並びに管路
KR101566229B1 (ko)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
KR100582713B1 (ko)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용 거푸집 및 그 타설방법
KR100749823B1 (ko) 맨홀, 이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연결방법
US5927346A (en) Concrete pipes and method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KR101965801B1 (ko) 흄관 연결용 조립식 맨홀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415965B1 (ko) 오염방지를 위한 조립식 거푸집과 이를 이용한 맨홀 및 옹벽구체, 그리고 그 시공방법
KR20150029421A (ko)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KR100752268B1 (ko) 맨홀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맨홀 구조체
KR100571179B1 (ko)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
KR100546951B1 (ko) 흄관과 맨홀 및 인버터의 기초 타설 일체형 거푸집 및 이의시공공법
KR200275363Y1 (ko) 거푸집 설치가 필요 없는 조립식 원형 도로 배수관
KR100683911B1 (ko)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내부연결부재
KR100490956B1 (ko) 토목및도로공사용하수로관연결용거푸집
KR20140107812A (ko) 커넥터가 구비된 맨홀,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635482B1 (ko)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연결부재
KR200397660Y1 (ko)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
KR200178968Y1 (ko) 조립체 맨홀
KR200192083Y1 (ko) 조립식 맨홀
KR101304987B1 (ko) 소켓 및 커넥터 일체형 조립식 pc맨홀
KR100733583B1 (ko) 맨홀거푸집
JP3266873B2 (ja) 下水道用駆体ブロック及びその構築方法
KR101960698B1 (ko) 지하 공동구 이음 구조
JP3035500B2 (ja) 電線共同溝の特殊部に用いる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継手管付妻壁の製造法
KR200396761Y1 (ko) 맨홀 등의 관체결합구 형성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