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7812A - 커넥터가 구비된 맨홀,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가 구비된 맨홀,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7812A
KR20140107812A KR1020130021839A KR20130021839A KR20140107812A KR 20140107812 A KR20140107812 A KR 20140107812A KR 1020130021839 A KR1020130021839 A KR 1020130021839A KR 20130021839 A KR20130021839 A KR 20130021839A KR 20140107812 A KR20140107812 A KR 20140107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connector
connection port
pipe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선
Original Assignee
최승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선 filed Critical 최승선
Priority to KR1020130021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7812A/ko
Publication of KR20140107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78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56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incorporating reinforcements or inserts
    • B28B21/563Gas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1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between shaft elements, e.g. of rings forming said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6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 B28B7/168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for holders or similar hollow articles, e.g. vaults, sewer p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8Cores; Mandrels
    • B28B7/30Cores; Mandrels adjustable, collapsible, or expan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85Shapes cylind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가 구비된 맨홀은, 소정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일측에는 소정의 접속관이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접속구가 형성된 맨홀 본체 및 상기 접속관이 상기 접속구에 끼워진 상태에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상기 맨홀 본체에 형성된 상기 접속구의 내주면 상에 상기 맨홀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맨홀 본체에 매립되는 매립부와, 상기 매립부에 연결되어 상기 맨홀 본체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노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매립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맨홀 본체 제조 시 사용되는 접속구 형성용 지그의 일단이 걸리도록 돌출된 지그걸림턱이 형성된 커넥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의 제조장치는, 콘크리트가 투입되어 맨홀을 성형하는 맨홀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맨홀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부 몰드, 상기 맨홀의 내면을 형성하는 내부 몰드, 성형될 맨홀과 일체로 형성되어 소정의 접속관이 상기 접속구에 끼워질 경우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커넥터 및 상기 외부 몰드에 결합되며, 상기 커넥터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를 지지하여 성형될 맨홀의 접속구를 형성하는 탈착 가능한 접속구 형성용 지그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의 제조방법은, 소정의 재료를 혼합하여 생성된 콘크리트를 내부 몰드와 외부 몰드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투입시키는 콘크리트 투입단계, 성형될 맨홀과 일체로 형성되어 소정의 접속관이 상기 접속구에 끼워질 경우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커넥터와, 상기 외부 몰드에 결합되며, 상기 커넥터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를 지지하여 성형될 맨홀의 접속구를 형성하는 탈착 가능한 접속구 형성용 지그에 의해 투입된 콘크리트로 맨홀을 성형하는 맨홀 성형단계, 성형이 완료된 맨홀을 소정의 계획된 온도에 의해 양생을 행하는 양생단계 및 양생이 완료된 맨홀을 상기 제조몰드와 분리시키는 탈형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가 구비된 맨홀,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Manhole Having Connector, Its Manufacturing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커넥터가 구비된 맨홀과, 이의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가 일체로 맨홀에 구비되어 품질과 생산성을 향상시킨 맨홀과, 이의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토목, 건축공사 및 도로공사를 함에 있어서, 우수, 오수, 폐수 등을 처리하기 위한 하수관거 공사가 필요하다. 맨홀블록은 관거 내의 검사, 청소, 통풍, 환기, 접합, 분기 등의 목적으로 상기 하수관거의 중간에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맨홀의 제조방법은, 크게 현장타설 방법과 기성(旣成) 맨홀블록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구별된다.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현장타설 방법은, 실제 맨홀블록이 설치되는 장소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을 조립한 후, 소정의 재료를 혼합하여 생성된 콘크리트를 상기 거푸집 내에 타설하고 소정의 양생기간을 거친 후 거푸집을 제거하여 맨홀블록을 제작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현장타설 방법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우선, 제조된 맨홀블록은 유입관 및 유출관과 연결되는 연결부가 정밀하게 시공되는 방법이 개발되지 못하여 완전한 누수 차단이 어렵고,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기간이 필요함으로 인해 공사기간이 장기화되고, 이로 인하여 교통체증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민원이 증가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현장타설 방법이 대안으로서 기성 맨홀블록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며, 이에 대한 국가규격(KS F 4012: 하수도용 콘크리트 맨홀블록)이 1970년에 제정되어 개정을 거듭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현재에는 콘크리트 관련기술의 발달로 현장타설 방법도 콘크리트의 고강도화가 가능하고 양생시간도 단축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상술한 종래의 맨홀블록 제조방법인 현장타설 방법과 기성맨홀블록을 에서 접속관을 연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우선, 무수축 몰탈로 주입하여 접속관을 연결하는 방법은, 무수축 몰탈의 경화시간만큼 시공시간이 필요하고, 경화되기까지 후속 작업을 진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시공시간이 연장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멘트 몰탈의 특성상 굳기 전에 진동 등에 의하여 접속부위에 충격이 가해지면 접속관과 몰탈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수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몰탈의 혼합, 타설, 내부거푸집의 설치 등 접속관 연결을 위해 여러 가지 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시공과정이 복잡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셋트앵커와 플랜지를 이용하여 접속관을 연결하는 방법은, 셋트앵커의 설치를 위하여 맨홀에 구멍을 뚫는 작업이 필요하며, 구멍을 뚫는 과정에서 맨홀에 충격을 주어 맨홀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니플관, 수팽창 고무링, 원형 씰링판, 니플관 플랜지, 보강 플랜지 등 많은 부속 자재들이 필요하므로 시공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셋트앵커의 설치 불량시에는 맨홀의 재사용이 어려운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국내 특허 등록번호 제10-0749823호를 등록받았으며, 이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맨홀블록 제조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도 1에는 국내 특허 등록번호 제10-0749823호의 맨홀 제조장치가 도시되며, 이를 참조하면 맨홀 제조장치는 크게 외부 몰드(310) 및 내부 몰드(320)를 포함한다.
접속구 형성 금형(340)은, 상기 외부 몰드(310)와 내부 몰드(320) 중 최소한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제조될 맨홀의 접속구를 형성한다. 그리고 소정의 체결부재(347a)에 의해 상기 외부 몰드(3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속구 형성 금형(340)의 외측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맨홀과 일체로 형성되어 접속관이 접속구에 끼워진 상태에서 유체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씰링부(370)가 구비된다.
상기 접속구 형성 금형(340)은, 상기 씰링부(370)의 내주면 상에 구비되는 접속구 형성관(345)과,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구 형성관(345)은 서로 별개 부재로 이루어진 연결관(341)과 분리관(3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341)과 분리관(343)은 모두 씰링부(370)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구체적으로 내주면의 내측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향후 하수관을 맨홀에 시공 시 시공되는 접속관과 맞닿는 연결관(341)이 구비되며, 내주면의 외측에는 맨홀에서 분리 가능한 분리관(343)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341)과 분리관(343)은 서로 맞닿은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347)는 일종의 지그로서, 이에 대한 일예로 중간의 샤프트는 턴바클과 같이 회전시 암(arm)이 펴지거나 접히면서 폭이 조절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국내 특허 등록번호 제10-0749823호는 맨홀의 접속구에 씰링부(370)가 일체화된 상태로 제조되어, 상술한 종래 맨홀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본 기술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연결관(341)을 씰링부(370)의 지지용으로 사용하고 콘크리트 맨홀에 일체화 시켜 생산하므로 연결관(341)이 반복적으로 소모되어 연결관(341)의 절단, 사용 등으로 자재비, 인건비 등의 제조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제품 제작 후 연결관(341)의 제거가 불가능해 연결관(341)이 맨홀두께의 일정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접속되는 하수관의 삽입 깊이가 짧아져 접속의 안정성이 저하된다.
하수관이 설치되는 장소의 온도차가 심할 시 하수관의 수축, 팽창에 의한 길이변화에 의하여 연결관(341)과 접속관의 연결부위가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접속관의 설치를 마친 후 하수관의 상부에 토사를 매입할 시 토사의 중량에 의하여 하수관이 하부로 처질 시 연결관(341)과 접속관의 연결부위가 이격 될 수 있다.
또한 조립지그의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이 어려우며, 조립지그를 연결관(341) 내부에 압착하여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므로 콘크리트 타설 시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하여 체결볼트가 이완되어 씰링부(370)의 위치가 이동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접속구 형성용 금형(340)을 체결볼트로 체결 시 외부 몰드 쪽으로 슬라이딩 형상이 발생하여 외부 몰드와 접속구 형성용 금형의 강력한 체결이 어렵다.
또한 연결관(341)과 접속되는 하수관의 절단면이 평활하지 않는 경우 접합 부위에 틈이 발행하여 하수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으며, 분리관(343)의 두께가 두꺼워 씰링부(370)를 내측으로 접어넣기가 어렵다.
이에 따라 분리관(343)을 얇게 하는 경우에는 접속구 형성용 금형(340)의 지지력이 감소하여 조립의 견고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가 단순화된 접속구 형성용 지그를 사용한 맨홀의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구조적으로 성능이 개선된 커넥터가 구비된 맨홀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분리가 가능한 지지관을 사용하는 맨홀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정을 해결하기 위한 커넥터가 구비된 맨홀은, 소정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일측에는 소정의 접속관이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접속구가 형성된 맨홀 본체 및 상기 접속관이 상기 접속구에 끼워진 상태에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상기 맨홀 본체에 형성된 상기 접속구의 내주면 상에 상기 맨홀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맨홀 본체에 매립되는 매립부와, 상기 매립부에 연결되어 상기 맨홀 본체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노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매립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맨홀 본체 제조 시 사용되는 접속구 형성용 지그의 일단이 걸리도록 돌출된 지그걸림턱이 형성된 커넥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의 노출부 외주면과 상기 맨홀 본체 사이에는 체결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공간의 전후 길이는 상기 노출부 전후 길이의 1/2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출부 외주면 전단에는 체결밴드를 장착 시 상기 체결밴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출부의 내주면 전단부는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출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접속관 결합 시 지수력을 향상시키는 수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그걸림턱의 끝단은 둘레가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매립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맨홀 본체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도록 돌출된 지수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립부의 외주면 후단에는 상기 커넥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앵커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앵커돌기의 끝단은 둘레가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정을 해결하기 위한 커넥터가 구비된 맨홀 제조장치는, 콘크리트가 투입되어 맨홀을 성형하는 맨홀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맨홀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부 몰드, 상기 맨홀의 내면을 형성하는 내부 몰드, 성형될 맨홀과 일체로 형성되어 소정의 접속관이 상기 접속구에 끼워질 경우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커넥터 및 상기 외부 몰드에 결합되며, 상기 커넥터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를 지지하여 성형될 맨홀의 접속구를 형성하는 탈착 가능한 접속구 형성용 지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속구 형성용 지그는,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 외주면과의 사이에 체결공간을 형성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의 외주면에는 상기 접속구 형성용 지그의 연장부가 걸리도록 돌출된 지그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구 형성용 지그는, 상기 연장부의 하측이 수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의 내주면 및 상기 접속구 형성용 지그의 삽입부 사이에는 상기 커넥터를 지지하는 지지관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관은, 길이 방향을 따라 완전히 절개된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일정 깊이 절개된 하나 이상의 부분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관은 상기 절개부에 결합되어 상기 절개부를 고정시키는 고정핀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관의 개구된 양단 중 어느 일측에는 절개선이 형성된 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관 외주면 중 적어도 상기 절개선과 연결된 일부 영역은 탈착 가능한 탈착부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관의 내주면에는 상기 지지관의 내주면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턴버클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정을 해결하기 위한 커넥터가 구비된 맨홀 제조방법은, 소정의 재료를 혼합하여 생성된 콘크리트를 내부 몰드와 외부 몰드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투입시키는 콘크리트 투입단계, 성형될 맨홀과 일체로 형성되어 소정의 접속관이 상기 접속구에 끼워질 경우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커넥터와, 상기 외부 몰드에 결합되며, 상기 커넥터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를 지지하여 성형될 맨홀의 접속구를 형성하는 탈착 가능한 접속구 형성용 지그에 의해 투입된 콘크리트로 맨홀을 성형하는 맨홀 성형단계, 성형이 완료된 맨홀을 소정의 계획된 온도에 의해 양생을 행하는 양생단계 및 양생이 완료된 맨홀을 상기 제조몰드와 분리시키는 탈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맨홀 성형단계는, 상기 커넥터의 내주면 및 상기 접속구 형성용 지그의 삽입부 사이에는 상기 커넥터를 지지하는 지지관을 더 포함하여 맨홀을 성형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형단계는, 상기 접속구 형성용 지그 및 상기 지지관을 상기 커넥터로부터 분리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가 구비된 맨홀,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접속구 형성용 지그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조립이 간단하고 제조 비용 및 소요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지지관이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지지관을 재사용할 수 있어 자재비, 인건비 등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지지관이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므로 제품 제작 후 접속되는 하수관의 삽입 깊이를 충분히 깊게 할 수 있어 접속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넷째, 커넥터의 고정력 및 수밀성이 대폭 향상되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등록특허의 맨홀 제조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에 구비된 커넥터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제조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제조장치에 접속구 형성용 지그 및 커넥터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제조장치에 있어서, 커넥터의 내측에 지지관이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제조장치에 있어서, 지지관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제조장치에 있어서, 커넥터의 보스 전단부를 접어 넣은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제조장치에 있어서, 커넥터에 접속구 형성용 지그를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제조장치에 있어서, 접속구 형성용 지그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제조장치에 있어서, 지지관의 내측에 누실방지마개를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제조장치에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양생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맨홀을 탈형하고, 접속구 형성용 지그를 분리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제조장치에 있어서, 지지관의 분리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커넥터에서 지지관을 분리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커넥터에 접속관을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제조장치에 있어서, 접속구 형성용 지그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제조장치에 있어서, 지지관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제조장치에 있어서, 지지관이 커넥터 내측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및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제조장치에 있어서, 지지관을 분리시키기 위해 턴버클의 길이를 짧게 조절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상 주로 조립식 맨홀 중 하부구체 맨홀을 대상으로 한 접속관 연결 구조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맨홀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연직구체 맨홀 등의 조립식 맨홀뿐만 아니라 일체형으로 형성된 맨홀, 현장타설 맨홀, 우수받이 등 다양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총칭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맨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맨홀은, 맨홀 본체(10), 접속구(14) 및 커넥터(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맨홀 본체(10)는 소정의 내부공간(S)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막혀 있는 형태나, 상하부가 모두 개방된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맨홀 본체(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바닥부(12)에 의해 막혀 있는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맨홀 본체(10)의 내부의 횡단면은 일반적으로 속이 비어있는 원형으로 이루어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사각형, 4개의 모서리에 모가 따진 사각형, 4개의 모서리에 사각 홈이 형성된 사각형 등 여러 가지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접속구(14)는 맨홀 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로서, 상기 접속구(14)에는 소정의 접속관이 끼워진다.
그리고 이러한 접속관은 유체의 유출입을 위한 유입관이나 유출관인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커넥터(20)는 상기 맨홀 본체(10)에 형성된 접속구(14)의 내주면 상에 상기 맨홀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접속관이 상기 접속구(14)에 끼워진 상태에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도 3에는 이와 같은 커넥터(20)의 보다 구체적인 모습이 도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20)의 형상은 원통형 형상으로 보스(22)가 형성된다.
또한 커넥터(20)는 맨홀 본체에 매립되는 매립부(20b)와, 상기 매립부(20b)에 연결되어 맨홀 본체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노출부(20a)를 포함한다.
상기 노출부(20a)의 내주면에는 수밀돌기(23)가 하수관과 접합 시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체결밴드가 체결되는 지점 내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매립부(20b)의 외주면에는 지수플랜지(26)가 직립하게 형성된다. 상기 지수플랜지(26)는 구체적으로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단턱이 하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부에 수평 양방향으로 형성된 수평돌기가 형성된다. 다만, 지수플랜지(26)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매립부(20b)의 외주면에는 지그걸림턱(24)이 형성된다. 지그걸림턱(24)은 상기 맨홀 본체 제조 시 사용되는 접속구 형성용 지그의 일단이 걸리도록 돌출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지그걸림턱(24)은 콘크리트와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원형 또는 사각형 등으로 적어도 일부가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끝단 부분이 원형으로 단면적 일부가 증가된 형태를 가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노출부(20a)의 외주면 전단에는 체결밴드 이탈방지턱(28)이 형성되며, 매립부(20b)의 외주면 후단에는 앵커돌기(27)가 형성된다. 체결밴드 이탈방지턱(28)은 이후 체결밴드를 장착 시 상기 체결밴드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앵커돌기(27)는 후술할 맨홀 제조과정 중 커넥터로부터 지지관을 분리할 경우 커넥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앵커돌기(27)는 지그걸림턱(24)과 마찬가지로 콘크리트와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원형 또는 사각형 등으로 적어도 일부가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노출부(20a)의 내주면 전단부(25)는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이후 하수관을 커넥터(20)에 삽입 시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때 커넥터(20)의 재질은 고무, 합성고무 등으로 플렉시블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맨홀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제조장치(100)의 모습이 도시된다. 도 4의 경우 접속구 형성용 지그(40) 및 커넥터(20)가 구비되지 않은 상태이며, 도 5는 이들이 모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제조장치(100)는 전체적으로 외부 몰드(110), 내부 몰드(120), 커넥터(20) 및 접속구 형성용 지그(4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 외에 지지관(30), 인버트 몰드(125) 및 파렛트(115)를 더 포함한다
외부 몰드(110)는 맨홀의 외부를 형성하는 몰드로 제조될 맨홀의 외부 형상에 따라 사각형, 원형, 팔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파렛트(115) 상부에 볼트 조립된다.
그리고 파렛트(115)는 맨홀의 하부구체 제조 시 하부구체의 상부를 형성하는 금형으로 하부구체와 상부구체의 연결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내부 몰드(120)는 맨홀의 내부를 형성하는 몰드로 외부 몰드(110)와 마찬가지로 제조될 맨홀의 내부 형상에 따라 사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파렛트(115)에 결합된다.
그리고 생략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내부 몰드(120)의 상측에는 하수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 오물의 침적을 방지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인버트를 형성하는 인버트 몰드(125)가 추가로 조립될 수 있다.
한편 외부 몰드(110)에는 하수관이 접합되는 방향으로 커넥터(20)에 장착된 접속구 형성용 지그(40)를 볼트(50) 및 너트(46)로 고정하기 위한 볼트관통홀(112)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커넥터(20), 접속구 형성용 지그(40) 및 지지관(30)의 구조 및 연결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커넥터(20)의 보스(22) 내주면에 지지관(30)을 삽입한 모습이 도시된다. 지지관(30)은 맨홀 제조장치에 콘트리트를 투입 시 커넥터(20)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지지관(30)은 접속되는 하수관경과 동일한 하수관으로 제작된 것을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되는 하수관과 동일한 지지관(30)이 준비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접속되는 하수관과 유사한 외경의 지지관(30)을 별도 가공하여 준비한다.
그리고 지지관(30)을 커넥터(20)에 삽입 전 고무판을 지지관(30)의 외부에 감싸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지지관(30)이 커넥터(20)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과 접속관의 외부 형태가 평탄하지 않은 경우 등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며, 고무판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착 테이프 등으로 더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고무판이 설치된 지지관(30)의 외경은 반드시 접속되는 하수관의 외경보다 크게 제작되어 맨홀 제작 후 접속관이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관(30)의 보다 구체적인 형상이 도시된다. 지지관(30)은 맨홀 제품에 최종 접합되는 하수관과 같은 종류의 관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폴리에틸렌. PVC, PE재질 등 그 재질은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관(30)은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완전히 절개된 절개부(34a)와, 상기 절개부(34a)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일정 깊이 절개된 하나 이상의 부분절개부(34b)를 포함한다. 절개부(34a)는 지지관(30)의 두께 전체에 걸쳐 절단된 상태를 가지며, 부분절개부(34b)는 두께의 외측부터 절단하여 내측에서 소정 길이가 미 절단된 상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지지관(30)은 기준관 외측에서 절개부(34a)에 힘을 주면 부분절개부(34b)가 접혀 전체적으로 내측으로 접힐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관(30)의 절개부(34a) 위치는 지지관 몸체(32)의 소정 부분을 임의 지정하여 절단하여도 문제가 없으며 절개부(34a)의 형상은 절단 후 내측으로 쉽게 접힐 수 있도록 절단면의 일측을 대각선으로 모따기하여 다듬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지지관(30)의 부분절개부(34b)는 절개부(34a) 형성 후 절개부(34a)로부터 일측으로는 지지관(30) 둘레의 대략 40% 지점, 타측으로는 지지관(30) 둘레의 대략 20%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절개부(34a)가 부분절개부(34b)를 중심으로 내측으로 회전될 때 간섭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지지관(30)의 절개부(34a)에는 조립된 상태에서 절개부(34a)의 어긋남을 방지시켜 주는 고정핀(36)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핀(36)의 재질은 강성이 유지되는 철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에 따라 지지관(30)의 절개부(34a) 일단 양측에는 고정핀(36)을 삽입할 수 있는 고정핀 삽입용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지지관(30)이 삽입된 커넥터(20)의 보스(22) 전단부를 내측으로 접은 모습이 도시된다. 이는 이후 접속관의 접속 시 커넥터(20)와의 접촉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보스(22)의 길이를 충분히 할당하였을 경우 전단부가 외부 몰드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후 도 9와 같이, 커넥터(20)에 접속구 형성용 지그(40)를 삽입하여 장착한다. 또한 도 10에는 이와 같은 접속구 형성용 지그(40)의 구체적인 모습이 자세히 도시된다.
접속구 형성용 지그(40)는 커넥터(20)를 지지하여 성형될 맨홀의 접속구를 형성하도록 하는 탈착 가능한 구성요소이며, 상기 외부 몰드에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2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4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삽입부(42)는 지지관(30)의 내주면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거나 조금 작게 형성되어 지지관(30) 내측에 직접 삽입되나, 지지관(30)이 구비되지 않을 경우에는 커넥터(20)의 내측에 접촉되도록 삽입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접속구 형성용 지그(40)는 삽입부(42)와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2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20) 외주면과의 사이에 체결공간(A)을 형성하는 연장부(44)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연장부(44)는 맨홀 제조 시 커넥터(20)의 외측을 지지하고, 체결공간(A)에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이후 체결밴드를 결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장부(44)는 외측몰드 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때 커넥터(20)의 외주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접속구 형성용 지그(40)의 연장부(44)가 걸리도록 돌출된 지그걸림턱(24)이 형성된다. 즉 이에 따라 접속구 형성용 지그(40)의 삽입 깊이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접속구 형성용 지그(40)의 삽입 깊이는 커넥터(20)의 노출부 길이를 고려하여 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접속구 형성용 지그(40)의 깊이는 체결공간(A)의 전후 길이가 상기 노출부 전후 길이의 1/2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설정된다. 이는 커넥터(20)의 노출부를 내측으로 접을 경우, 지지관에 의해 지그걸림턱(24)보다 깊이 접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접속구 형성용 지그(40)의 재질은 스틸, FRP 등 열에 잘 견디고 변형이 잘 안 되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접속구 형성용 지그(40)의 단판 외부 몰드의 볼트관통홀을 통해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 가능하도록 체결너트(46)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체결너트가 아닌 다른 체결 형태를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커넥터(20)에 지지관(30), 접속구 형성용 지그(40)를 장착한 후에는, 도 11과 같이 지지관(30)의 내측에 누실방지마개(60)를 조립한다. 이때 접속구 형성용 지그(40)의 삽입부(42) 길이는 생산되는 제품의 두께에 따라 누실방지마개(60)의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맨홀 제조장치를 사용하여 맨홀을 제조하는 방법은, 소정의 재료를 혼합하여 생성된 콘크리트를 내부 몰드와 외부 몰드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투입시키는 콘크리트 투입단계, 성형될 맨홀과 일체로 형성되어 소정의 접속관이 상기 접속구에 끼워질 경우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커넥터와, 상기 외부 몰드에 결합되며, 상기 커넥터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를 지지하여 성형될 맨홀의 접속구를 형성하는 탈착 가능한 접속구 형성용 지그에 의해 투입된 콘크리트로 맨홀을 성형하는 맨홀 성형단계, 성형이 완료된 맨홀을 소정의 계획된 온도에 의해 양생을 행하는 양생단계 및 양생이 완료된 맨홀을 제조몰드와 분리시키는 탈형단계를 포함한다.
도 12에는 콘크리트(C)를 외부 몰드(110)와 내부 몰드 사이에 투입하고, 맨홀을 성형하는 단계의 모습이 도시된다. 이 과정에서 커넥터(20)의 지수플랜지(26)는 콘크리트(C)에 노출되어 단단히 고정되며, 커넥터(20)의 전단부는 접속구 형성용 지그(40)에 의해 콘크리트에 노출되지 않는다.
이후 성형이 완료된 맨홀을 소정의 계획된 온도에 의해 양생을 행하는 양생단계를 수행하고, 양생이 완료된 맨홀을 상기 제조몰드와 분리시키는 탈형단계가 수행된다. 이하에서는 탈형단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탈형단계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생이 완료된 맨홀을 외부 몰드 및 내부 몰드로부터 분리하고, 접속구 형성용 지그를 커넥터(20)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에 따라 커넥터(20)의 내측으로는 접속구(14)가 형성되며, 접속구 형성용 지그의 연장부에 의해 맨홀 본체(10)는 커넥터(20)의 지그걸림턱 전방 영역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체결공간(G)이 형성된다.
이후 커넥터(20) 내측의 지지관(30)을 분리시키는 작업이 수행되며, 이는 도 14와 같이 지지관(30)을 접어 분리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관(30)에는 절개부(34a)와 부분절개부(34b)가 형성되므로, 먼저 고정핀(36)을 제거한 뒤 절개부(34a)에 힘을 가해 부분절개부(34b)가 접히도록 하여 직경을 축소시킨다. 이에 따라 지지관(30)을 커넥터(2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와 같이 커넥터(20)의 보스(22) 전단부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킨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맨홀의 제조가 완료된다.
그리고 도 16에서와 같이, 이후 접속관(5)을 접속구(14)에 삽입시키고, 커넥터(20)의 외측에 체결밴드(7)를 감싸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과,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제조장치에 사용되는 접속구 형성용 지그와 지지관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제조장치에 사용되는 접속구 형성용 지그(140)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제조장치에 사용되는 접속구 형성용 지그(140)의 경우 삽입부(142), 체결너트(146), 연장부(144) 및 체결공간(A)이 형성된다는 것은 전술한 일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나, 연장부(144)의 하측(145)이 수평하게 형성되어 커넥터에 결합 시 하측(145)이 커넥터에 접촉된다는 것이 다르다. 따라서 이후 접합되는 하수관을 보다 견고히 받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 1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제조장치에 사용되는 지지관(130)의 모습이 도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제조장치에 사용되는 지지관(130)의 경우, 지지관(130)의 개구된 양단 중 어느 일측에는 절개선(136)이 형성된 지지면(135a, 135b)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관(130) 외주면(132) 중 적어도 상기 절개선(136)과 연결된 일부 영역은 탈착 가능한 탈착부(133)로 형성된다.
즉 지지면(135a, 135b)은 절개선(136)에 의해 두 파트로 분리되며, 이에 따라 탈착부(133)를 분리할 경우 탈착부(133)의 폭만큼 지지관(130)의 직경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를 위해 지지관(130)의 내주면에는 상기 지지관(130)의 내주면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턴버클(T)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탈착부(133)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지지관(130)에는 탈착부 수용홈이 형성된 수용부(134)가 2개소 구비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제조장치의 지지관(130)을 커넥터(20)에 삽입한 모습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양생단계를 거친 후, 도 20과 같이 지지관(130)에서 탈착부를 분리시키고, 턴버클(T)의 길이를 짧게 조절함으로써 양 지지면(135a, 135b)이 서로 겹치도록 하여 지지관(130)의 직경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커넥터로부터 지지관(130)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맨홀 본체 14: 접속구
20: 커넥터 30: 지지관
40: 접속구 형성용 지그 100: 맨홀 제조장치
110: 외부 몰드 115: 파렛트
120: 내부 몰드 125: 인버트 몰드
C: 콘크리트

Claims (22)

  1. 소정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일측에는 소정의 접속관이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접속구가 형성된 맨홀 본체; 및
    상기 접속관이 상기 접속구에 끼워진 상태에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상기 맨홀 본체에 형성된 상기 접속구의 내주면 상에 상기 맨홀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맨홀 본체에 매립되는 매립부와, 상기 매립부에 연결되어 상기 맨홀 본체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노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매립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맨홀 본체 제조 시 사용되는 접속구 형성용 지그의 일단이 걸리도록 돌출된 지그걸림턱이 형성된 커넥터;
    를 포함하는 맨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노출부 외주면과 상기 맨홀 본체 사이에는 체결공간이 형성된 맨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간의 전후 길이는 상기 노출부 전후 길이의 1/2보다 길게 형성된 맨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 외주면 전단에는 체결밴드를 장착 시 상기 체결밴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돌출 형성된 맨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의 내주면 전단부는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맨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접속관 결합 시 지수력을 향상시키는 수밀돌기가 형성된 맨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걸림턱은 적어도 일부가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형성된 맨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맨홀 본체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도록 돌출된 지수플랜지가 형성된 맨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의 외주면 후단에는 상기 커넥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앵커돌기가 형성된 맨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돌기는 적어도 일부가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형성된 맨홀.
  11. 콘크리트가 투입되어 맨홀을 성형하는 맨홀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맨홀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부 몰드;
    상기 맨홀의 내면을 형성하는 내부 몰드;
    성형될 맨홀과 일체로 형성되어 소정의 접속관이 상기 접속구에 끼워질 경우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커넥터; 및
    상기 외부 몰드에 결합되며, 상기 커넥터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를 지지하여 성형될 맨홀의 접속구를 형성하는 탈착 가능한 접속구 형성용 지그;
    를 포함하는 맨홀 제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 형성용 지그는,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 외주면과의 사이에 체결공간을 형성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맨홀 제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외주면에는 상기 접속구 형성용 지그의 연장부가 걸리도록 돌출된 지그걸림턱이 형성된 맨홀 제조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 형성용 지그는,
    상기 연장부의 하측이 수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에 접촉되는 맨홀 제조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내주면 및 상기 접속구 형성용 지그의 삽입부 사이에는 상기 커넥터를 지지하는 지지관이 더 구비된 맨홀 제조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은,
    길이 방향을 따라 완전히 절개된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일정 깊이 절개된 하나 이상의 부분절개부를 포함하는 맨홀 제조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은 상기 절개부에 결합되어 상기 절개부를 고정시키는 고정핀이 더 포함된 맨홀 제조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의 개구된 양단 중 어느 일측에는 절개선이 형성된 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관 외주면 중 적어도 상기 절개선과 연결된 일부 영역은 탈착 가능한 탈착부로 형성된 맨홀 제조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의 내주면에는 상기 지지관의 내주면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턴버클이 더 구비된 맨홀 제조장치.
  20. 소정의 재료를 혼합하여 생성된 콘크리트를 내부 몰드와 외부 몰드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투입시키는 콘크리트 투입단계;
    성형될 맨홀과 일체로 형성되어 소정의 접속관이 상기 접속구에 끼워질 경우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커넥터와, 상기 외부 몰드에 결합되며, 상기 커넥터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를 지지하여 성형될 맨홀의 접속구를 형성하는 탈착 가능한 접속구 형성용 지그에 의해 투입된 콘크리트로 맨홀을 성형하는 맨홀 성형단계;
    성형이 완료된 맨홀을 소정의 계획된 온도에 의해 양생을 행하는 양생단계; 및
    양생이 완료된 맨홀을 상기 제조몰드와 분리시키는 탈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맨홀의 제조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 성형단계는,
    상기 커넥터의 내주면 및 상기 접속구 형성용 지그의 삽입부 사이에는 상기 커넥터를 지지하는 지지관을 더 포함하여 맨홀을 성형하는 것으로 하는 맨홀 제조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탈형단계는,
    상기 접속구 형성용 지그 및 상기 지지관을 상기 커넥터로부터 분리하는 것으로 하는 맨홀의 제조방법.
KR1020130021839A 2013-02-28 2013-02-28 커넥터가 구비된 맨홀,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401078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839A KR20140107812A (ko) 2013-02-28 2013-02-28 커넥터가 구비된 맨홀,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839A KR20140107812A (ko) 2013-02-28 2013-02-28 커넥터가 구비된 맨홀,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812A true KR20140107812A (ko) 2014-09-05

Family

ID=51755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839A KR20140107812A (ko) 2013-02-28 2013-02-28 커넥터가 구비된 맨홀,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78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842B1 (ko) * 2016-11-14 2017-03-14 동양콘크리트산업 주식회사 접속관 제조장치, 이에 의한 접속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일체형 접속관
KR20220158974A (ko) * 2021-05-25 2022-12-02 이상섭 콘크리트 맨홀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맨홀 및, 이 맨홀의 시공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842B1 (ko) * 2016-11-14 2017-03-14 동양콘크리트산업 주식회사 접속관 제조장치, 이에 의한 접속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일체형 접속관
KR20220158974A (ko) * 2021-05-25 2022-12-02 이상섭 콘크리트 맨홀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맨홀 및, 이 맨홀의 시공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9312A (en) Gasket and method of casting same in a wall
KR101566229B1 (ko)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
KR100749823B1 (ko) 맨홀, 이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연결방법
KR20140107812A (ko) 커넥터가 구비된 맨홀,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890825B1 (ko) 관 일체형 조립식 콘크리트 맨홀블럭의 성형몰드 및 이를이용한 맨홀블럭 제조방법
KR20150029421A (ko)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KR100415965B1 (ko) 오염방지를 위한 조립식 거푸집과 이를 이용한 맨홀 및 옹벽구체, 그리고 그 시공방법
KR20090078316A (ko) 맨홀, 이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
KR101208606B1 (ko) 관거의 맨홀 결합구조 및 이의 결합방법
KR102156064B1 (ko)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와 이러한 관로구조립체를 갖는 지중화맨홀
KR20080058295A (ko) 맨홀, 이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연결방법
KR200192083Y1 (ko) 조립식 맨홀
KR20070036101A (ko) 지수단관 일체형 맨홀
KR100582713B1 (ko)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용 거푸집 및 그 타설방법
KR100680871B1 (ko) 배관 접속구 소켓 일체형 인버트 맨홀
KR101053677B1 (ko) 관을 조립한 후 일체형을 성형하는 맨홀과 그 제조방법
KR100617522B1 (ko) 수밀형 맨홀의 접속관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100642295B1 (ko) 맨홀 접속관 및 그 연결구조
KR100766716B1 (ko) 맨홀에 연결되는 배관 결합구 및 그 시공 방법
KR101268843B1 (ko) 평면형 마감판을 이용한 충진재 충진방법
KR102374691B1 (ko) 레진관 성형틀의 소켓플랜지 및 단부켓칭플랜지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성형 제작된 레진관
KR20090015775A (ko) 맨홀, 이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연결방법
KR101960698B1 (ko) 지하 공동구 이음 구조
KR100683911B1 (ko)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내부연결부재
KR101304987B1 (ko) 소켓 및 커넥터 일체형 조립식 pc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