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786B1 - 배관 결합유닛 - Google Patents

배관 결합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786B1
KR101744786B1 KR1020150030939A KR20150030939A KR101744786B1 KR 101744786 B1 KR101744786 B1 KR 101744786B1 KR 1020150030939 A KR1020150030939 A KR 1020150030939A KR 20150030939 A KR20150030939 A KR 20150030939A KR 101744786 B1 KR101744786 B1 KR 101744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ortions
variable
unit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8699A (ko
Inventor
전한병
전영규
Original Assignee
전한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한병 filed Critical 전한병
Priority to KR1020150030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786B1/ko
Publication of KR20160108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62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pipe ends abutting each other

Abstract

배관 결합유닛은 배관부 및 클램프부를 포함한다. 상기 배관부는 제1 끝단부를 포함하는 제1 배관, 및 상기 제1 끝단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2 끝단부를 포함하는 제2 배관을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제1 끝단부 및 상기 제2 끝단부를 내측에 위치시키며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을 내측에 위치시키며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외부 고정부들,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과 상기 제1 및 제2 외부 고정부들을 서로 고정시키는 제1 및 제2 고정유닛들, 및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유닛들에 의해 고정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 결합유닛{PIPE CONNECTING UNIT}
본 발명은 배관 결합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와 같은 배관의 끝단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배관 결합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파이프와 같은 배관을 서로 연결하는 기술은, 수돗물, 가스, 원유 등을 장거리로 전달하는 용도를 포함하여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어 왔으며, 현재까지 대부분의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용접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파이프 등의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접 기술의 경우, 용접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인건비나 재료비 등의 공정비용이 높고, 용접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용접으로 연결된 배관의 경우, 시간이 증가할수록 용접 부위에서의 부식 등의 문제로, 연결부의 밀폐성이 감소하는 등 내구성도 높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용접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4-0078159호에서는 상수도용 배관에서 이음부 구조의 단순화를 위한 배관 연결 구조를 개시하고 있으나, 용접 공정을 생략한 배관 연결 구조의 경우 구조가 복잡해지고 내구성이 용접 공정시 보다 감소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적으로 단순한 구조로 배관을 연결하면서도 결합성, 밀폐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관 결합유닛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결합유닛은 배관부 및 클램프부를 포함한다. 상기 배관부는 제1 끝단부를 포함하는 제1 배관, 및 상기 제1 끝단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2 끝단부를 포함하는 제2 배관을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제1 끝단부 및 상기 제2 끝단부를 내측에 위치시키며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을 내측에 위치시키며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외부 고정부들,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과 상기 제1 및 제2 외부 고정부들을 서로 고정시키는 제1 및 제2 고정유닛들, 및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유닛들에 의해 고정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제1 및 제2 끝단부들 사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 끝단부들과 접촉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개재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재유닛은 중앙부가 개구된 원형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끝단부들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배관들의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의 내면은 상기 제1 및 제2 끝단부들의 외면에 각각 접촉하며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외부 고정부들은 중앙부는 상기 제1 및 제2 배관들이 통과하도록 개구되며,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외부 고정부들의 내경은 상기 제1 및 제2 배관들의 외경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외부 고정부들 각각은 2개의 분리 유닛들로 분리되고, 상기 분리 유닛들은 제1 및 제2 가변 고정유닛들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외부 고정부들 각각은 제1 및 제2 외부 가변 결합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가변 고정유닛들은 상기 제1 및 제2 외부 가변 결합부들을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관부가 상기 클램프부에 의해 고정되는 경우, 상기 배관부의 제1 및 제2 끝단부들이 상기 분리 유닛들 사이에 위치한 후, 상기 분리 유닛들은 상기 제1 및 제2 외부 가변 결합부들을 관통하는 상기 제1 및 제2 가변 고정유닛들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 각각은 제1 및 제2 내부 가변 결합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가변 고정유닛들이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가변 결합부들을 관통하도록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배관부가 상기 클램프부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종래 용접 공정을 통해 서로 고정하던 파이프 등의 배관을 클램프부를 통해 상대적으로 단순하면서도 결합력이 높게 결합할 수 있어, 사용성 및 효율성이 향상된다.
또한, 한 쌍의 내부 및 외부 고정부들이 배관들의 양 끝단을 서로 고정하도록 결합되므로, 구조적으로 단순하면서도 결합력이 높은 장점이 있다. 나아가, 배관들의 양 끝단 사이에 개재유닛이 포함되므로 볼트 결합에서 와셔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여 충격을 흡수하며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클램프부를 통해 배관을 결합하기 위해, 배관의 끝단부들이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므로, 상기 클램프부에 의한 고정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부는 결합이 필요한 두 배관들의 끝단부들과 배관들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결합되므로, 결합력 및 밀착성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내구성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부의 한 쌍의 내부 및 외부 고정부들은 회전하여 서로 결합되는 분리 유닛들로 분리되고, 회전중심유닛에 대하여 회전하여 가변 고정유닛에 의해 서로 결합되므로, 상기 배관의 끝단부들을 상기 한 쌍의 내부 및 외부 고정부들의 사이에 배치한 상태에서 내부 및 외부 고정부들을 회전중심유닛에 대하여 회전시켜 배관을 고정할 수 있으므로, 배관의 고정 및 결합 공정이 매우 단순하면서 효율적이다.
특히, 상기 가변 고정유닛은 외부 가변 결합부의 가변 개구부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며, 내부 가변 결합부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배관을 밀착 및 고정할 수 있으므로, 배관의 고정 및 결합 공정이 매우 단순하면서도 효율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관 결합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관 결합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관 결합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의 배관 결합유닛의 클램프부가 배관부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관 결합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관 결합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관 결합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배관 결합유닛(10)은 클램프부(100) 및 배관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부(100)는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110, 120), 제1 및 제2 외부 고정부들(130, 140), 개재유닛(150), 탄성부(160) 및 제1 및 제2 고정유닛들(170, 180)을 포함한다.
상기 배관부(200)는 제1 및 제2 배관들(210, 2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배관들(21, 220)은 단면이 원형인 다양한 크기의 파이프 등의 배관일 수 있으며, 상기 배관들의 내경에 따라 상기 클램프부(100)의 내경도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프부(100)에 의해 상기 배관부(200)가 서로 결합 및 고정되기 위해서, 상기 제1 및 제2 배관들(210, 220)은 각각 끝단에 제1 및 제2 끝단부들(211, 221)이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제1 및 제2 끝단부들(211, 221)은 각각 제1 및 제2 배관들(210, 220)의 끝단에 상기 제1 및 제2 배관들(210, 22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소정 길이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그리하여, 상기 제1 및 제2 끝단부들(211, 221)은 상기 제1 및 제2 배관들(210, 220)의 연장방향에 수직인 방향인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배관들(210, 220)의 내경보다 소정 길이 길게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후술되는 상기 클램프부(100)는 상기 제1 및 제2 끝단부들(211, 221)과 상기 제1 및 제2 배관들(210, 220)의 외주면을 동시에 고정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끝단부들(211, 221)의 돌출 길이는 후술되는 상기 클램프부(100)의 내부 또는 외부 고정부들의 외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110, 120)은 상기 제1 및 제2 끝단부들(211, 221)을 내측에 위치시키며 상기 제1 및 제2 끝단부들(211, 221)에 내면이 각각 접촉하도록 서로 마주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110, 120)은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원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클램프부(100)의 내측 유닛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110, 120) 각각은 두 개의 분리 유닛들로 분리되어, 벌어지거나 서로 모아져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110, 120)의 분리 유닛이 서로 벌어지는 경우, 벌어진 공간으로 상기 제1 및 제2 배관들(210, 220)이 위치하게 되며, 상기 분리 유닛이 서로 모아져 결합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배관들(210, 220)이 서로 결합 및 고정된다.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110, 120) 각각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개구홀들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홀들을 통해 후술되는 상기 제1 및 제2 고정유닛들(170, 180)이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110, 120)을 서로 고정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110, 120)은 각각 제1 및 제2 내부 가변결합부들(113, 123)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가변결합부들(113, 123)은 'U'자형 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및 제2 배관들(210, 220)의 원주의 외부 방향을 향해 개구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가변결합부들(113, 123)은 서로 서로 정렬되도록 위치한다.
상기 제1 및 제2 외부 고정부들(130, 140)은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110, 120)을 내측에 위치시키며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110, 120)에 내면이 각각 접촉하도록 서로 마주하며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외부 고정부들(130, 140)도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원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클램프부(100)의 외측 유닛에 해당된다.
상기 제1 및 제2 외부 고정부들(130, 140) 각각도 두 개의 분리 유닛들로 분리되어, 벌어지거나 서로 모아져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외부 고정부들(130, 140)의 분리 유닛이 서로 벌어지는 경우, 벌어진 공간으로 상기 제1 및 제2 배관들(210, 220)이 위치하게 되며, 상기 분리 유닛이 서로 모아져 결합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배관들(210, 220)이 서로 결합 및 고정된다.
상기 제1 및 제2 외부 고정부들(130, 140) 각각에도 일정한 간격으로 개구홀들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홀들을 통해 후술되는 상기 제1 및 제2 고정유닛들(170, 180)이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외부 고정부들(130, 140)을 서로 고정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외부 고정부들(130, 140)에 형성된 개구홀들은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110, 120)에 형성된 개구홀들과 서로 정렬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외부 고정부들(130, 140)은 각각 제1 및 제2 외부 가변 결합부들(133, 143)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외부 가변 결합부들(133, 143)에는 후술되는 제1 가변 고정유닛(171)이 내부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인 제1 및 제2 가변 개구부들(134, 144)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외부 가변 결합부들(133, 143)은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가변 결합부들(113, 123)과 정렬되도록 위치한다.
상기 개재유닛(150)은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110, 12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배관부(200)와의 결합시 상기 제1 및 제2 끝단부들(211, 221)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끝단부들(211, 221)을 서로 밀착시키며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개재유닛(150)은 중앙부가 개구된 원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160)는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110, 120)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클램프부(100)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110, 12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160)는 스프링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110, 120)에 형성된 개구홀들과 정렬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유닛들(170, 180)은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110, 120), 및 상기 제1 및 제2 외부 고정부들(130, 140)을 서로 고정시켜 상기 클램프부(100)를 상기 배관부(200)에 고정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제1 고정유닛(170)은 복수의 볼트들이고, 상기 제2 고정유닛(180)은 상기 제1 고정유닛(170)과 결합되는 복수의 너트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고정유닛들(170, 180)은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110, 120) 및 상기 제1 및 제2 외부 고정부들(130, 140)에 형성된 개구홀들에 삽입되어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 고정유닛(170)이 상기 개구홀들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고정유닛(170)은 상기 탄성부(160)를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160)도 상기 제1 및 제2 고정유닛들(170, 180)에 의해 동시에 고정되며 상기 클램프부(100)의 충격을 흡수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고정유닛들(170, 180)은 각각 제1 및 제2 가변 고정유닛들(171, 181), 및 제1 및 제2 회전 중심유닛들(172, 18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회전 중심유닛들(172, 182)은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분리유닛들로 서로 분리되는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110, 120) 및 제1 및 제2 외부 고정부들(130, 140)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회전 중심에 해당되며, 상기 제1 및 제2 가변 고정유닛들(171, 181)은 상기 분리 유닛들이 서로 고정되는 경우 고정을 위한 고정유닛들에 해당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후술되는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내부 고정부(110)는 서로 분리되는 제1 및 제2 분리유닛들(111, 11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내부 고정부(120)도 서로 분리되는 제1 및 제2 분리유닛들(121, 122)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외부 고정부(130)는 서로 분리되는 제1 및 제2 분리유닛들(131, 13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내부 고정부(140)도 서로 분리되는 제1 및 제2 분리유닛들(141, 142)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1 내부 고정부(110)의 제1 분리유닛(111)은 상기 제1 외부 고정부(130)의 제2 분리유닛(132)과 서로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내부 고정부(110)의 제2 분리유닛(112)은 상기 제1 외부 고정부(130)의 제1 분리유닛(131)과 서로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내부 고정부(110)의 제2 분리유닛(112) 및 상기 제1 외부 고정부(130)의 제2 분리유닛(132)은, 상기 제1 내부 고정부(110)의 제1 분리유닛(111) 및 상기 제1 외부 고정부(130)의 제1 분리유닛(131)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1 및 제2 회전중심유닛들(172, 182)은 상기 제1 내부 고정부(110)의 제1 분리유닛(111) 및 상기 제1 외부 고정부(130)의 제1 분리유닛(131)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가변 고정유닛들(171, 181)도 상기 제1 내부 고정부(110)의 제1 분리유닛(111) 및 상기 제1 외부 고정부(130)의 제1 분리유닛(131)에 고정된다. 즉, 상기 제1 내부 가변 결합부(113) 및 상기 제1 외부 가변 결합부(133)는 각각 상기 제1 내부 및 외부 고정부들(110, 130)의 제1 분리유닛들(111, 131)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내부 고정부(120)의 제1 분리유닛(121)은 상기 제2 외부 고정부(140)의 제2 분리유닛(142)과 서로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내부 고정부(120)의 제2 분리유닛(122)은 상기 제2 외부 고정부(140)의 제1 분리유닛(141)과 서로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내부 고정부(120)의 제2 분리유닛(122) 및 상기 제2 외부 고정부(140)의 제2 분리유닛(142)은, 상기 제2 내부 고정부(120)의 제1 분리유닛(121) 및 상기 제2 외부 고정부(140)의 제1 분리유닛(141)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1 및 제2 회전중심유닛들(172, 182)은 상기 제2 내부 고정부(120)의 제1 분리유닛(121) 및 상기 제2 외부 고정부(140)의 제1 분리유닛(141)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가변 고정유닛들(171, 181)도 상기 제2 내부 고정부(120)의 제1 분리유닛(121) 및 상기 제2 외부 고정부(140)의 제1 분리유닛(141)에 고정된다. 즉, 상기 제2 내부 가변 결합부(123) 및 상기 제2 외부 가변 결합부(143)는 각각 상기 제2 내부 및 외부 고정부들(120, 140)의 제1 분리유닛들(121, 141)에 형성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의 배관 결합유닛의 클램프부가 배관부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배관부(200)가 상기 클램프부(100)에 의해 결합되기 전에, 상기 클램프부(100)를 벌인 상태로 위치한다.
즉, 상기 내부 고정부들(110, 120) 및 상기 외부 고정부들(130, 140)은 모두 2 개의 서로 분리된 분리유닛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분리유닛들은 상기 제1 및 제2 회전중심유닛들(172, 182)에 의해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내부 고정부들 및 외부 고정부들(110, 120, 130, 140)을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한 벌인 상태로 위치시킨다.
도 4b를 참조하면, 이후, 상기 벌여진 공간에 상기 배관부(200)의 제1 및 제2 배관들(210, 220)을 위치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배관들(210, 220)의 제1 및 제2 끝단부들(211, 221)을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110, 120)의 제1 분리유닛들(111, 121)의 사이에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시킨다.
이 후,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개재유닛(150)을 상기 제1 및 제2 끝단부들(211, 22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개재유닛(150)을 상기 제1 및 제2 회전중심유닛들(172, 182)에 대하여 회전시킨다.
도 4c를 참조하면, 이 후, 상기 제1 외부 고정부(130)의 제1 분리유닛(131) 및 이와 밀착된 상기 제1 내부 고정부(110)의 제2 분리유닛(112), 및 상기 제2 외부 고정부(140)의 제1 분리유닛(141) 및 이와 밀착된 상기 제2 내부 고정부(120)의 제2 분리유닛(122)을 상기 제1 및 제2 회전중심유닛들(172, 182)에 대하여 회전시켜 상기 제1 외부 고정부(130)의 제1 외부 가변 결합부(133)가 상기 제1 내부 고정부(110)의 제1 내부 가변 결합부(113)와 정렬되고, 상기 제2 외부 고정부(140)의 제2 외부 가변 결합부(143)가 상기 제2 내부 고정부(120)의 제2 내부 가변 결합부(123)와 정렬되도록 위치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배관들(210, 220)의 외면은 상기 클램프부(100)에 의해 커버된다.
도 4d를 참조하면, 이 후, 상기 제1 및 제2 가변 고정유닛들(171, 181)을 상기 제1 및 제2 외부 가변 결합부들(133, 143)의 제1 및 제2 가변 개구부들(134, 144)에서 슬라이딩시켜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가변 결합부들(113, 123)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가변 고정유닛들(171, 181)이 상기 제1 및 제2 내부 및 외부 가변 결합부들(113, 123, 133, 143)에 고정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110, 120) 및 상기 제1 및 제2 외부 고정부들(130, 140)은 서로 고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배관들(210, 220)이 서로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 후, 상기 제1 및 제2 고정유닛들(170, 180)을 조여 서로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클램프(100)에 의한 상기 배관부(200)의 고정이 종료된다.
한편, 상기 배관부(200)의 고정을 풀기 위해서는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설명한 고정과정과 반대의 과정을 반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종래 용접 공정을 통해 서로 고정하던 파이프 등의 배관을 클램프부를 통해 상대적으로 단순하면서도 결합력이 높게 결합할 수 있어, 사용성 및 효율성이 향상된다.
또한, 한 쌍의 내부 및 외부 고정부들이 배관들의 양 끝단을 서로 고정하도록 결합되므로, 구조적으로 단순하면서도 결합력이 높은 장점이 있다. 나아가, 배관들의 양 끝단 사이에 개재유닛이 포함되므로 볼트 결합에서 와셔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여 충격을 흡수하며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클램프부를 통해 배관을 결합하기 위해, 배관의 끝단부들이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므로, 상기 클램프부에 의한 고정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부는 결합이 필요한 두 배관들의 끝단부들과 배관들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결합되므로, 결합력 및 밀착성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내구성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부의 한 쌍의 내부 및 외부 고정부들은 회전하여 서로 결합되는 분리 유닛들로 분리되고, 회전중심유닛에 대하여 회전하여 가변 고정유닛에 의해 서로 결합되므로, 상기 배관의 끝단부들을 상기 한 쌍의 내부 및 외부 고정부들의 사이에 배치한 상태에서 내부 및 외부 고정부들을 회전중심유닛에 대하여 회전시켜 배관을 고정할 수 있으므로, 배관의 고정 및 결합 공정이 매우 단순하면서 효율적이다.
특히, 상기 가변 고정유닛은 외부 가변 결합부의 가변 개구부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며, 내부 가변 결합부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배관을 밀착 및 고정할 수 있으므로, 배관의 고정 및 결합 공정이 매우 단순하면서도 효율적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결합유닛은 파이프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배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10 : 배관 결합유닛 100 : 클램프부
110 : 제1 내부 고정부 113 : 제1 내부 가변결합부
120 : 제2 내부 고정부 123 : 제2 내부 가변결합부
130 : 제1 외부 고정부 133 : 제1 외부 가변결합부
134 : 제1 가변 개구부 140 : 제2 외부 고정부
143 : 제2 외부 가변결합부 144 : 제2 가변 개구부
150 : 개재유닛 151 : 가변 개재부
160 : 탄성부 170 : 제1 고정유닛
171 : 제1 가변 고정유닛 172 : 제1 회전 중심유닛
180 : 제2 고정유닛 181 : 제2 가변 고정유닛
182 : 제2 회전 중심유닛 200 : 배관부
210 : 제1 배관 211 : 제1 끝단부
220 : 제2 배관 221 : 제2 끝단부

Claims (9)

  1. 제1 끝단부를 포함하는 제1 배관, 및 상기 제1 끝단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2 끝단부를 포함하는 제2 배관을 포함하는 배관부; 및
    상기 제1 끝단부 및 상기 제2 끝단부를 내측에 위치시키며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을 내측에 위치시키며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외부 고정부들,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과 상기 제1 및 제2 외부 고정부들을 서로 고정시키는 제1 및 제2 고정유닛들, 및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유닛들에 의해 고정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클램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외부 고정부들 각각은 2개의 분리 유닛들로 분리되고, 상기 분리 유닛들은 제1 및 제2 가변 고정유닛들에 의해 서로 고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 외부 고정부들 각각은 제1 및 제2 외부 가변 결합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가변 고정유닛들은 상기 제1 및 제2 외부 가변 결합부들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외부 가변 결합부들에는 상기 제1 및 제2 가변 고정유닛들이 내부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가변 개구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 각각은 'U'자형 홈으로 외부를 향해 개구된 제1 및 제2 내부 가변 결합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가변 고정유닛들이 상기 제1 및 제2 가변 개구부들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가변 결합부들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배관들이 서로 고정되고,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제1 및 제2 끝단부들 사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 끝단부들과 접촉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개재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재유닛은 중앙부가 개구된 원형 플레이트 형상이고,
    상기 제1 및 제2 끝단부들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배관들의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의 내면은 상기 제1 및 제2 끝단부들의 외면에 각각 접촉하며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외부 고정부들은 중앙부는 상기 제1 및 제2 배관들이 통과하도록 개구되며,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외부 고정부들의 내경은 상기 제1 및 제2 배관들의 외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결합유닛.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50030939A 2015-03-05 2015-03-05 배관 결합유닛 KR101744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939A KR101744786B1 (ko) 2015-03-05 2015-03-05 배관 결합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939A KR101744786B1 (ko) 2015-03-05 2015-03-05 배관 결합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699A KR20160108699A (ko) 2016-09-20
KR101744786B1 true KR101744786B1 (ko) 2017-06-09

Family

ID=57102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939A KR101744786B1 (ko) 2015-03-05 2015-03-05 배관 결합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7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521B1 (ko) * 2023-10-05 2024-02-02 조인형 활성탄 흡입 및 집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39313B (zh) * 2016-08-01 2019-01-22 杨顺立 多瓣斜平面卡箍及其管连接件
KR102161183B1 (ko) * 2018-10-18 2020-09-29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폭 가변 클램프 및 이를 구비하는 케미컬 공급 호스 고정 장치
KR102483901B1 (ko) * 2021-12-02 2022-12-30 한국토지주택공사 내진용 상수도관 조인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8055A (ja) * 1998-03-06 2000-01-25 Buech Labortechnik Ag 連結エレメント
KR200377859Y1 (ko) * 2004-12-14 2005-03-11 이병운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8055A (ja) * 1998-03-06 2000-01-25 Buech Labortechnik Ag 連結エレメント
KR200377859Y1 (ko) * 2004-12-14 2005-03-11 이병운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521B1 (ko) * 2023-10-05 2024-02-02 조인형 활성탄 흡입 및 집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699A (ko) 201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4786B1 (ko) 배관 결합유닛
JP6526770B2 (ja) パイプ要素を継合するための継手
US10107428B2 (en) Clamp for connecting pipe and device for connecting pipe including the same
KR101326079B1 (ko) 파이프 연결장치
US11402040B2 (en) Clamp connector and a connecting component including the clamp connector
US20080169648A1 (en) Pipe coupling
KR20180131215A (ko) 그루브드 커플러
JPS61274195A (ja) 管継手
KR20180091459A (ko) 무용접 배관 플랜지 연결구
JP4665177B2 (ja) フランジ
US20030025329A1 (en) Spacer-less type pipe joint and packing ring used for the same
KR20000075397A (ko) 내진성과 밀봉성을 향상시킨 관이음매
JP3180153U (ja) 管継ぎ手
KR101449428B1 (ko) 파이프 커플링
KR102524348B1 (ko) 배관연결클램프
KR200477672Y1 (ko) 클램프 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
CN112856067A (zh) 排水管道连接装置
KR20140064256A (ko) 배관 연결용 클램프
CN108662327B (zh) 一种软管快速锁紧密封装置
KR20120111363A (ko)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20170129573A (ko) 배관 결속용 구조체
KR20210066522A (ko) 관 이음 장치
JP4341954B2 (ja) 管継手及びパッキン輪ユニット
KR102575408B1 (ko) 탄성커넥터가 적용된 파이프 구조체
JP2002310350A (ja) 管継ぎ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