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408B1 - 탄성커넥터가 적용된 파이프 구조체 - Google Patents

탄성커넥터가 적용된 파이프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408B1
KR102575408B1 KR1020210110416A KR20210110416A KR102575408B1 KR 102575408 B1 KR102575408 B1 KR 102575408B1 KR 1020210110416 A KR1020210110416 A KR 1020210110416A KR 20210110416 A KR20210110416 A KR 20210110416A KR 102575408 B1 KR102575408 B1 KR 102575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eceiving pipe
clip
receiving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8007A (ko
Inventor
이희환
Original Assignee
이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환 filed Critical 이희환
Priority to KR1020210110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408B1/ko
Publication of KR20230028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8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4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0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comprising locking means for the threaded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커넥터가 적용된 파이프 구조체에 대한 것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너트가 형성된 수용파이프;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된 삽입파이프; 상기 수용파이프를 외부판에 결착시키는 와셔클립; 및 상기 삽입파이프를 상기 수용파이프(100)와 결착시키는 조인트클립;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탄성커넥터가 적용된 파이프 구조체 {Pipe structure with elastic connector applied}
본 발명은 탄성커넥터가 적용된 파이프 구조체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과 같이 볼트와 너트를 고정수단으로 하지 않고, 새로운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복수의 파이프를 견고하게 연결 및 결합하는 발명에 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도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분리될 수 있는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인트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결합되고, 전원이 인가되는 2개 이상의 터미널;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서 빠지지 않으면서 왕복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왕복됨에 의해 상기 터미널들을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분리시키는 커넥터 버튼을 제공한다.
특허문헌 002는 조인트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조인트커넥터와 상대커넥터로 구성되는데, 상기 조인트커넥터는 그 내부에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결합보스가 구비되고, 내부공간에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결합보스의 외주면을 따라 안착되는 다수개의 단자부가 형성된 제1터미널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상대커넥터의 내부에는 상기 결합보스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내면을 갖는 결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조인트커넥터와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터미널의 단자부와 각각 연결되는 다수개의 제2터미널이 상기 결합공간의 내주면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조인트커넥터와의 상대회전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터미널(20,40)이 서로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특허문헌 003은 본 발명은 하나의 파이프를 다른 하나의 파이프 또는 배관 부속부품과 연결하기 위한 동배관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커넥터 바디,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어 관통하도록 양 단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바디의 단부에 체결되는 압착캡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압착캡이 상기 커넥터 바디의 단부에 체결되면 상기 압착캡에 의해 압착되는 탄성 재질의 실링 부재,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보다 안쪽에 배치되는 와셔링, 및 상기 와셔링에 조립되어 상기 커넥터 바디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가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파이프를 탄성 지지하는 그립부 및 상기 그립부와 연결되고 상기 와셔링에 조립되기 위해 형성되는 조립부를 갖도록 제공되는 스냅링을 포함하는, 동배관용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특허문헌 004는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접촉불량을 억제하고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다각형의 삽입홀부를 구비하는 제1단자부와, 상기 삽입홀부에 결합되는 제2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KR 20-0420046 (등록일자:2006년 06월 21일) KR 10-0922149 (등록일자:2009년 10월 09일) KR 10-2263624 (등록일자:2021년 06월 04일) KR 10-1102577 (등록일자:2011년 12월 28일)
본 발명은 탄성커넥터가 적용된 파이프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결합의 용이성, 조립의 효율성 등을 확보하여 복수의 파이프를 간편하게 연결 및 결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탄성커넥터가 적용된 파이프 구조체에 대한 발명이며,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너트가 형성된 수용파이프;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된 삽입파이프; 상기 수용파이프를 외부판에 결착시키는 와셔클립; 및 상기 삽입파이프를 상기 수용파이프와 결착시키는 조인트클립;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탄성커넥터가 적용된 파이프 구조체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삽입파이프는 상기 수용파이프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조인트클립과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탄성커넥터가 적용된 파이프 구조체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와셔클립은 고리형상으로 상기 수용파이프에 끼워지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용파이프와 고정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탄성커넥터가 적용된 파이프 구조체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클립은 상기 연결부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홀이 형성된 탄성지지부; 상기 탄성지지부의 양측단에서부터 꺽여져서 연장형성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에서부터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탄성커넥터가 적용된 파이프 구조체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너트와 상기 외부판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실링부재; 및 상기 걸림턱과 상기 수용파이프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볼트와 너트가 아닌 새로운 탄성커넥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파이프를 손쉽게 연결 및 결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셔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판에 설치된 파이프 구조체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클립의 조립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탄성커넥터가 적용된 파이프 구조체에 있어서,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너트(110)가 형성된 수용파이프(100);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210)이 형성된 삽입파이프(200); 상기 수용파이프(100)를 외부판(P)에 결착시키는 와셔클립(300); 및 상기 삽입파이프(200)를 상기 수용파이프(100)와 결착시키는 조인트클립(40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탄성커넥터가 적용된 파이프 구조체에 대한 것으로, 수용파이프(100), 삽입파이프(200), 와셔클립(300) 및 조인트클립(40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파이프(100)는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너트(110)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너트(110)는 수용파이프(100)와 일체로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너트(110)는 수용파이프(100)의 외주면을 권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너트(110)는 외부판(P)과 졉하는 구조로서, 수용파이프(1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삽입파이프(200)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210)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210)은 후술할 바와 같이 일측은 조인트클립(400)과 접하고, 타측은 수용파이프(100)의 수용부(120)와 접할 수 있다. 걸림턱(210)에 의하여 삽입파이프(200)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와셔클립(300)은 외부판(P)과 수용파이프(100)를 결착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수용파이프(100)의 나사산(131)과 같은 홈이 파여져 있는 구조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조인트클립(400)은 삽입파이프(200)를 수용파이프(100)의 결착하여 삽입파이프(200)의 이동을 제한하는 구성이다. 각 구성이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실시예 1-2)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수용파이프(100)는 상기 고정너트(110)를 기준으로 일측에 상기 와셔클립(300)과 체결되는 체결부(130); 및 타측에 상기 삽입파이프(200)가 수용되는 수용부(120);를 포함한다.
(실시예 1-3)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30)는 상기 와셔클립(300)을 고정하는 나사산(131);이 형성된다.
수용파이프(100)는 고정너트(110)를 기준으로 체결부(130)와 수용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 체결부(130)는 외부판(P)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지고 고정너트(110)와 와셔클립(300)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체결부(130)에 형성된 나사산(131)과 같이 홈이 파여져 있는 구조에 와셔클립(300)이 체결되어질 수 있다. 체결부(130)에 형성된 나사산(131)은 와셔클립(300)의 고정부(320)와 체결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 1-4)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20)는 상기 삽입파이프(200)가 삽입되는 수용홀(121);을 포함한다.
(실시예 1-5) 실시예 1-4에 있어서, 상기 수용홀(121)의 직경은 상기 삽입파이프(200)의 직경보다 크다.
수용파이프(100)의 수용부(120)는 삽입파이프(200)가 삽입되어지는 수용홀(121)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홀(121)에는 삽입파이프(200)가 삽입되기 위하여 수용홀(121)의 직경이 삽입파이프(20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다만 파이프를 통해 유체가 유동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누수를 차단하기 위하여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어질 수 있다.
(실시예 1-6)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20)는 상기 조인트클립(400)이 체결되는 조인트홈(122);이 형성된다.
(실시예 1-7) 실시예 1-6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홈(122)은 상기 수용부(120)의 원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조인트클립(400)은 삽입파이프(200)와 수용파이프(100)를 결합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조인트클립(400)은 삽입파이프(200)에 끼워진 후, 수용파이프(100)와 체결될 수 있다. 수용파이프(100)와 체결되는 부분은 수용부(120)에 형성되어 있는 조인트홈(122)일 수 있다.
조인트홈(122)은 수용부(120)의 외면을 따라 내측으로 파여져 있는 형성일 수 있다. 파여진 홈에 조인트클립(400)의 걸림부(430)가 결착되어 삽입파이프(200)와 수용파이프(10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실시예 2-1)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삽입파이프(200)는 상기 수용파이프(100)에 삽입되는 삽입부(220);, 상기 조인트클립(400)과 결합되는 연결부(23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220)는 상기 수용파이프(10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진다.
(실시예 2-3)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30)는 상기 조인트클립(400)과 결합되고, 상기 조인트클립(400)에 의해 수용파이프(100)와 체결된다.
(실시예 2-4)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210)은 상기 삽입파이프(200)의 외주면을 권취하며 형성된다.
삽입파이프(200)는 수용파이프(100)에 삽입되는 삽입부(220)와 조인트클립(400)과 결합되는 연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220)와 연결부(230)는 걸림턱(210)을 기준으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20)는 수용파이프(100)의 수용홀(121)에 삽입되어질 수 있다. 삽입파이프(200)에 형성된 걸림턱(210)에 의하여 삽입부(220)의 삽입되는 정도가 특정되어질 수 있다. 걸림턱(210)의 직경이 수용파이프(100)의 수용홀(121)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아서 걸림턱(210)이 수용파이프(100)로 삽입되어지지 않는다. 이를 통해 삽입파이프(200)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연결부(230)는 조인트클립(400)이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구성일 수 있다. 걸림턱(210)은 조인트클립(4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조인트클립(400)은 삽입파이프(200)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될 수 있는데, 걸림턱(210)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걸림턱(210)은 삽입파이프(200)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삽입파이프(200)의 외주면을 따라 권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3-1)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와셔클립(300)은 고리형상으로 상기 수용파이프(100)에 끼워지는 몸체부(310); 상기 몸체부(310)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용파이프(100)와 고정결합되는 고정부(320);를 포함한다.
와셔클립(300)은 외부판(P)과 수용파이프(100)를 결합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와셔클립(300)은 몸체부(310)와 고정부(320)를 포함할 수 있는데, 몸체부(310)는 내부가 개방되어 있는 고리형상으로, 수용파이프(100)의 체결부(130)에 끼워지면서 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부(320)는 몸체부(310)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구성으로, 수용파이프(100)와와 결합하는 구성이다. 수용파이프(100)의 체결부(130)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131)과 고정부(320)가 접하면서 와셔클립(300)의 이동이 제한되고, 고정된 와셔클립(300)의 몸체부(310)가 외부판(P)과 접하면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와셔클립(300)이 외부판(P)에 수용파이프(1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실시예 3-2)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20)는 복수개가 균등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실시예 3-3)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310)에 대하여 각변위가 형성된다.
도3을 참조하면, 고정부(320)는 몸체부(31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고정부(320)는 복수가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320)는 몸체부(310)의 내측에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320)와 몸체부(310)가 결합되는 경계선을 축으로 하여 고정부(320)는 몸체부(310)에 대하여 각변위가 만들어질 수 있다. 만들어진 각변위에 의하여 도 4와 같이 나사산(131)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각변위가 형성된 고정부(320)가 나사산(131)과 일방향으로 체결되어 반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4-1)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클립(400)은 상기 연결부(230)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홀(411)이 형성된 탄성지지부(410); 상기 탄성지지부(410)의 양측단에서부터 꺽여져서 연장형성되는 측면부(420); 상기 측면부(420)에서부터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부(43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4를 참조하면, 조인트클립(400)은 탄성지지부(410), 측면부(420), 걸림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지지부(410)는 삽입파이프(200)의 연결부(230)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홀(411)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지지부(410)는 삽입파이프(200)의 걸림턱(210)과 접하면서 삽입파이프(200)를 수용파이프(100)의 방향으로 밀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삽입파이프(200)와 수용파이프(100)는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다.
측면부(420)는 탄성지지부(410)의 양측단에서부터 꺽여져서 형성될 수 있고, 측면부(420)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부(430)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430)는 수용파이프(100)의 조인트홈(122)에 걸리면서 고정될 수 있다.
(실시예 4-2)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410)는 상기 수용파이프(100)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이다.
탄성지지부(410)는 삽입파이프(200)를 수용파이프(100) 방향으로 밀착고정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삽입파이프(200)의 걸림턱(210)에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력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탄성지지부(410)는 수용파이프(100)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탄성지지부(41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걸림턱(210)을 통해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지지부(410)는 탄성계수가 충분히 큰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4-3)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410)와 상기 측면부(420)는 라운딩되어진 필렛부(440);에 의하여 결합된다.
(실시예 4-4)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430)는 상기 측면부(420)의 말단에서 돌출된다.
탄성지지부(410)와 측면부의 경계면은 라운딩되어진 필렛부(440)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는 탄성지지부(410)의 변형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함이다. 필렛부(440)와 같이 라운딩되어진 구성이 없다면, 탄성지지부(410)와 측면부(420)는 탄성지지부(410)의 변형에 따라 목적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없을 수 있다. 이를 차단하기 위한 필렛부(440)는 탄성의 성질을 내포하고 있을 수 있다.
(실시예 4-5)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430)의 상기 수용파이프(100)와 접하는 경계면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실시예 4-6) 실시예 4-5에 있어서, 상기 경계면은 상기 수용파이프(100)의 외주면과 같은 곡률로 형성된다.
걸림부(430)의 수용파이프(100)와 접하는 경계면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조임트홈과 접하는 걸림부(430)는 선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실시예뿐 아니라, 조인트홈(122)과 접하는 걸림부(430)의 경계면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조인트홈(122)과 넓은 면적이 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인트홈(122)의 외주면과 같은 곡률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걸림부(430)의 모든 외측이 조인트홈(122)과 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통해 수용파이프(100)와 조인트클립(400)의 결합력이 증가하고, 이를 통해 삽입파이프(200)와 수용파이프(100)의 결합력도 증가될 수 있다.
(실시예 4-7)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클립(400)은 제1 클립(400(a))과 제2 클립(400(b))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클립(400(a)) 및 제2 클립(400(b))은 상기 수용파이프(100)를 기준으로 양측면에서부터 조립된다.
(실시예 4-8) 실시예 4-7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립(400(a))은 상기 제2 클립(400(b))과 체결되는 제1 조립지지부(402(a))와 제1 조립걸림부(403(a))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클립(400(b))은 상기 제1 클립(400(a))과 체결되는 제2 조립지지부(402(b))와 제2 조립걸림부(403(b))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조인트클립(400)은 삽입파이프(200)의 연결부(230)에 끼움홀(411)이 끼워지면서 결합되어질 수 있다. 다만, 도 5를 참조하면, 조인트클립(400)은 제1 클립(400(a))과 제2 클립(400(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클립(400(a))과 제2 클립(400(b))은 이미 삽입되어 있는 삽입파이프(200)와 수용파이프(100)의 양측면에서부터 조립되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고, 연결부(230)에서부터 끼움홀(411)로 끼울 수 없는 구조에서도 조인트클립(400)을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조인트클립(400)이 고장나거나 파괴된 경우에도, 쉽게 해체하고 재결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클립(400(a))과 제2 클립(400(b))은 제1 및 제2 조립지지부(402(a,b)), 제1 및 제2 조립걸림부(403(a,b))를 통해 서로 조립되어질 수 있다. 조립되어진 클립은 전술한 바와 같이 조인트클립(400)의 구성, 효과를 동일하게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5-1)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고정너트(110)와 상기 외부판(P)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실링부재(500); 및 상기 걸림턱(210)과 상기 수용파이프(100)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실링부재(600);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부재(500)는 고무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파이프(100)의 외주면에 끼워진다.
(실시예 5-3)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링부재(600)는 고무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파이프(200)의 외주면에 끼워진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외부판(P)(P)을 기준으로 수용파이프(100)와 삽입파이프(200)가 연결되면서 고정되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구성은 삽입파이프(200)와 수용파이프(100)의 내부가 연결되어 유체가 유동되어지게 목적을 갖는다. 유체가 파이프 내부를 유동하는 과정에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링부재(500)는 고정너트(110)와 외부판(P)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실링부재(600)는 걸림턱(210)과 수용파이프(100) 사이에 위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실링부재는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링부재(500)는 외부판(P)과 수용파이프(100) 사이의 누수를 차단하기 위한 구성이고, 목적하는 효과를 확보하기 위해 수용파이프(100)의 체결부(130) 외주면에 끼워질 수 있다.
제2 실링부재(600)는 수용파이프(100)와 삽입파이프(200)의 연결위치에서의 누수를 차단하기 위한 구성이고, 목적하는 효과를 확보하기 위해 삽입파이프(200)의 삽입부(220) 외주면에 끼워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수용파이프 110 : 고정너트
120 : 수용부 130 : 체결부
200 : 삽입파이프 210 : 걸림턱
220 : 삽입부 230 : 연결부
300 : 와셔클립 310 : 몸체부
320 : 고정부 400 : 조인트클립
410 : 탄성지지부 420 : 측면부
430 : 걸림부 P : 외부판

Claims (5)

  1. 탄성커넥터가 적용된 파이프 구조체에 있어서,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너트(110)가 형성된 수용파이프(100);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210)이 형성된 삽입파이프(200);
    상기 수용파이프(100)를 외부판(P)에 결착시키는 와셔클립(300); 및 상기 삽입파이프(200)를 상기 수용파이프(100)와 결착시키는 조인트클립(400);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파이프(200)는,
    상기 수용파이프(100)에 삽입되는 삽입부(220); 및
    상기 조인트클립(400)과 결합되는 연결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조인트클립(400)은,
    상기 연결부(230)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홀(411)이 형성된 탄성지지부(410);
    상기 탄성지지부(410)의 양측단에서부터 꺽여져서 연장형성되는 측면부(420); 및
    상기 측면부(420)에서부터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부(430);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지지부(410)는 상기 수용파이프(100)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이며,
    상기 걸림부(430)의 상기 수용파이프(100)와 접하는 경계면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경계면은 상기 수용파이프(100)의 외주면과 같은 곡률로 형성하는 탄성커넥터가 적용된 파이프 구조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셔클립(300)은 고리형상으로 상기 수용파이프(100)에 끼워지는 몸체부(310); 및
    상기 몸체부(310)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용파이프(100)와 고정결합되는 고정부(320);를 포함하는 파이프 구조체.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너트(110)와 상기 외부판(P)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실링부재(500); 및
    상기 걸림턱(210)과 상기 수용파이프(100)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실링부재(600);를 포함하는 파이프 구조체.
KR1020210110416A 2021-08-20 2021-08-20 탄성커넥터가 적용된 파이프 구조체 KR102575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416A KR102575408B1 (ko) 2021-08-20 2021-08-20 탄성커넥터가 적용된 파이프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416A KR102575408B1 (ko) 2021-08-20 2021-08-20 탄성커넥터가 적용된 파이프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8007A KR20230028007A (ko) 2023-02-28
KR102575408B1 true KR102575408B1 (ko) 2023-09-06

Family

ID=85326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416A KR102575408B1 (ko) 2021-08-20 2021-08-20 탄성커넥터가 적용된 파이프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40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14996A (ja) * 2014-05-08 2015-12-03 株式会社タカギ 継手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7140A (en) * 1989-11-21 1991-08-06 Evergreen Tool Company, Inc. Fire suppression apparatus
JPH10259892A (ja) * 1997-03-19 1998-09-29 Togo Seisakusho Corp 継手装置
KR200420046Y1 (ko) 2006-04-13 2006-07-0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KR100922149B1 (ko) 2007-10-29 2009-10-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조인트커넥터 어셈블리
KR101102577B1 (ko) 2010-04-21 2012-01-03 주식회사 비씨엠케이 커넥터
KR102263624B1 (ko) 2020-05-21 2021-06-10 주식회사 트인공조 동배관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14996A (ja) * 2014-05-08 2015-12-03 株式会社タカギ 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8007A (ko) 202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21346C2 (ru) Зажимная система, содержащая хомут и отдельные зажимы для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го прикрепления
RU2698381C1 (ru) Муфта, имеющая фиксатор с лапками
US8474877B2 (en) Push-in fitting for electrical metallic tubing with enhanced sealing and continuity
US7841630B1 (en) Electric metal tube push-in fitting
KR101326079B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101989885B1 (ko) 가변 깊이의 개스킷 포켓을 갖는 커플링
CN108779883A (zh) 带有弹簧的联接器
US20090189389A1 (en) System for pre-positioning a hose clamp on a hose end
ES2902133T3 (es) Juntas con proyecciones
KR20160030880A (ko) 아치형 강성 리브들을 갖는 설치부
US7108291B2 (en) Clip coupling
US6073977A (en) Device for coupling pipe sections
KR20180091459A (ko) 무용접 배관 플랜지 연결구
KR102575408B1 (ko) 탄성커넥터가 적용된 파이프 구조체
CN1273338A (zh) 具有增强的抗震性和密封性的管接头
KR101744786B1 (ko) 배관 결합유닛
KR200454571Y1 (ko) 배관용 연결구
CN210566813U (zh) 卡箍组件
CN213270596U (zh) 精益管连接结构
KR101003293B1 (ko) 내구성이 강화된 관 연결장치
GB2375569A (en) A plug-in coupling
CA2751965C (en) Push-in fitting for electrical metallic tubing with enhanced sealing and continuity
RU98112586A (ru) Пробка с уплотняющей прокладкой для патрона водопроводного крана
CN212455867U (zh) 一种管路连接结构
CN220228082U (zh) 固定卡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