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624B1 - 동배관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배관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624B1
KR102263624B1 KR1020200060656A KR20200060656A KR102263624B1 KR 102263624 B1 KR102263624 B1 KR 102263624B1 KR 1020200060656 A KR1020200060656 A KR 1020200060656A KR 20200060656 A KR20200060656 A KR 20200060656A KR 102263624 B1 KR102263624 B1 KR 102263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ody
pipe
ring
connecto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미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인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인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인공조
Priority to KR1020200060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6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2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3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placed in the socket before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파이프를 다른 하나의 파이프 또는 배관 부속부품과 연결하기 위한 동배관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커넥터 바디,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어 관통하도록 양 단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바디의 단부에 체결되는 압착캡,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압착캡이 상기 커넥터 바디의 단부에 체결되면 상기 압착캡에 의해 압착되는 탄성 재질의 실링 부재,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보다 안쪽에 배치되는 와셔링, 및 상기 와셔링에 조립되어 상기 커넥터 바디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가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파이프를 탄성 지지하는 그립부 및 상기 그립부와 연결되고 상기 와셔링에 조립되기 위해 형성되는 조립부를 갖도록 제공되는 스냅링을 포함하는, 동배관용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동배관용 커넥터{PIPE CONNECTOR}
본 발명은 동배관용 커넥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은 유체의 공급이 이루어져야 하는 각종 기계에서부터 일반 가정이나 대형 산업설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치나 설비의 유체 이송에 이용된다. 이러한 배관은 유체의 공급부에서 사용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파이프는 운반이나 취급 상의 제약에 의해 일정 규격으로 제조되고 있으므로, 파이프의 규격 길이보다 긴 길이로 배관을 구성해야 하거나, 굽은 배관을 설치하여야 할 경우에 다양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연결하게 된다. 파이프 연결장치로는 커플링, 엘보우, T형 조인트 또는 각종 소켓 등이 있다.
배관을 구성하는 파이프로는 배관을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종류 등에 따라 동 파이프, 스테인리스 스틸 파이프, 합성수지 파이프 등 다양한 소재의 파이프가 있으며, 파이프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연결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파이프의 연결방식으로는, 서로 대응되는 파이프 각각의 선단에 플랜지를 형성하여 연결하는 플랜지 결합방식, 커플링에 각 파이프의 선단을 삽입하여 연결하는 커플링 연결방식, 서로 대응되는 파이프의 각 선단에 나사선을 형성하여 나사 결합하는 나사 결합방식, 스테인리스 밴드를 이용하여 파이프들의 단부를 연결하는 밴드 연결방식, 메시 형태의 열선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들의 단부를 용융 접착하는 전기융착방식 등이 있다. 이 밖에, 냉매 등 고압의 유체 이송을 위한 배관의 경우 플레어 연결방식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에어컨 등의 냉, 난방을 위한 설비에 주로 사용되는 동배관의 경우 산소용접기를 이용하여 용접봉을 녹여서 연결시키는 땜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여기서, 동배관은 구리 또는 구리합금 소재로 제조되는 배관을 말한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들 중 커플링 연결방식은 주로 파이프내의 허용압력이 2kg/㎠ 이내로 설정되어야 한다는 제한이 있으며, 고압의 유체가 유동하는 배관에 대해서는 적용하기 어려운 방식이다.
또한, 종래의 다른 파이프 연결 방식들의 경우에도, 나사 결합을 위해 커플러 또는 파이프를 복수 회 회전시키거나, 파이프의 단부를 소성 가공 또는 융착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므로, 파이프 연결 작업이 번거롭고, 특히 좁은 공간에서의 작업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에어컨 등의 설비를 설치할 때 주로 사용되는 동배관을 시공할 때에는 산소용접기가 필수적으로 사용되었는데, 이러한 산소용접기는 화재 위험이 있어 다루기가 매우 어렵고, 위험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파이프를 연결하는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좁은 공간에서의 작업도 가능하며, 동배관 시공시 산소용접기를 사용함이 없이 배관 연결이 가능한 동배관용 커넥터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에어컨 등의 설비를 설치할 때 주로 사용되는 동배관을 시공할 때, 산소용접기 등의 화재 위험이 존재하는 장비를 사용함이 없이 수작업으로 동배관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행 가능하고, 높은 곳이나 좁은 공간에서의 작업도 가능하며, 배관의 구경 및 크기에 관계 없이 연결 부위의 기밀성 및 견고성이 확보될 수 있는 동배관용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나의 파이프를 다른 하나의 파이프 또는 배관 부속부품과 연결하기 위한 동배관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커넥터 바디;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어 관통하도록 양 단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바디의 단부에 체결되는 압착캡;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압착캡이 상기 커넥터 바디의 단부에 체결되면 상기 압착캡에 의해 압착되는 탄성 재질의 실링 부재;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보다 안쪽에 배치되는 와셔링; 및 상기 와셔링에 조립되어 상기 커넥터 바디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가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파이프를 탄성 지지하는 그립부 및 상기 그립부와 연결되고 상기 와셔링에 조립되기 위해 형성되는 조립부를 갖도록 제공되는 스냅링을 포함하고, 상기 와셔링은, 상기 실링 부재와 밀착되는 외측 링; 상기 외측 링과 밀착되는 중간 링; 및 상기 중간 링과 밀착되는 내측 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냅링은, 상기 외측 링과 상기 중간 링의 사이에 조립되는 제1 스냅링; 및 상기 중간 링과 상기 내측 링의 사이에 조립되는 제2 스냅링을 포함하는, 동배관용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부 공간은, 상기 압착캡이 수용되는 캡 수용 공간, 상기 캡 수용 공간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와셔링 및 상기 스냅링이 수용되는 링 수용 공간 및 상기 파이프의 단부가 수용되는 파이프 단부 수용 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캡 수용 공간과 상기 링 수용 공간의 내경은 상기 파이프 단부 수용 공간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고, 상기 파이프 단부 수용 공간의 내경은 상기 파이프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되며,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캡 수용 공간과 상기 링 수용 공간의 경계를 형성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동배관용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바디의 일 단까지 연장되는 체결홀이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주면에 요입 형성되고, 상기 압착캡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체결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돌기가 상기 체결홀에 수용되어 체결됨으로써 상기 압착캡과 상기 커넥터 바디가 서로 체결되는, 동배관용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홀은 적어도 이 회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 돌기가 상기 커넥터 바디의 일 단을 통해 상기 체결홀 내부로 진입한 후, 상기 압착캡이 상기 커넥터 바디에 대하여 일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됨에 따라 적어도 이 회 방향 전환되어 상기 체결홀의 내부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압착캡과 상기 커넥터 바디의 체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동배관용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캡은, 단부에 형성되고,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는 평면 형상으로 구비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고, 상기 헤드부보다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플랜지부보다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삽입부의 둘레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 돌기가 상기 체결홀의 내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바디의 단부와 상기 플랜지부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동배관용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바디는, 양 측에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가 수용되는 한 쌍의 수용부; 및 한 쌍의 상기 수용부를 서로 연결하는 중앙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 내부에 상기 캡 수용 공간 및 상기 링 수용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중앙 연결부의 내부에는 상기 파이프의 내부 공간이 연통하는 연결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 공간을 둘러싸는 내측 둘레면으로부터 상기 커넥터 바디의 단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확관탭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가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체결될 때, 상기 확관탭과의 간섭에 의해 삽입된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 확관부가 형성될 수 있는, 동배관용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링, 상기 중간 링 및 상기 내측 링 중 적어도 어느 두 개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스냅링의 상기 조립부가 삽입되는 조립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내측 링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스냅링의 상기 그립부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꺾일 경우에 상기 그립부와 간섭되도록 간섭부가 형성되는, 동배관용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바디는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동배관용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바디는 중앙 부분이 소정 각도로 벤딩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배관용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바디는 중앙 부분이 일 방향으로 45도 또는 90도 벤딩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배관용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배관용 커넥터에 의하면, 특히 에어컨 등의 설비를 설치할 때 주로 사용되는 동배관을 시공할 때, 산소용접기 등의 화재 위험이 존재하는 장비를 사용함이 없이 수작업으로 동배관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행 가능하고, 높은 곳이나 좁은 공간에서의 작업도 가능하며, 배관의 구경 및 크기에 관계 없이 연결 부위의 기밀성 및 견고성이 확보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배관용 커넥터에 의해 두 개의 파이프가 서로 견고하게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단면을 도시한 분해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커넥터 바디와 압착캡 간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커넥터 바디에 형성된 체결홀에 압착캡의 체결 돌기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1의 커넥터 바디 내부에 형성된 확관탭에 의해 파이프의 단부가 확관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배관용 커넥터에 의해 두 개의 파이프가 서로 견고하게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배관용 커넥터에 의해 두 개의 파이프가 서로 견고하게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 '고정',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결합, 고정,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측, 타 측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배관용 커넥터(1)는 하나의 파이프를 다른 하나의 파이프 또는 밸브 등과 같은 다른 종류의 배관 부속부품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동배관용 커넥터(1)를 통해 연결되는 파이프는 일 예로 에어컨 등의 설비에 주로 사용되는, 구리 또는 구리합금 소재로 이루어진 동관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동배관용 커넥터(1)는 커넥터 바디(10)와 압착캡(20)을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커넥터 바디(10)는 파이프(P1, P2)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다. 또한, 커넥터 바디(10)는 내측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 중공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짧은 파이프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커넥터 바디(10)는 수용부(110)와 중앙 연결부(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용부(110)는 커넥터 바디(10)의 양 측에 형성되어 파이프(P1, P2)의 단부를 포함하는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중앙 연결부(120)는 한 쌍의 수용부(110)를 서로 연결하도록 커넥터 바디(1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중앙 연결부(120)는 수용부(110)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커넥터 바디(10)의 "길이 방향"이라 함은 파이프(P1, P2)가 삽입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하고, 커넥터 바디(10)의 "반경 방향"이라 함은 파이프 형상의 커넥터 바디(10)의 종단면을 형성하는 원의 반경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수용부(110)는 체결홀(112), 캡 수용 공간(114), 스토퍼(115), 링 수용 공간(116), 파이프 단부 수용 공간(117), 연결 공간(118) 및 확관탭(119)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홀(112)은 커넥터 바디(10)의 일 단까지 연장되도록 커넥터 바디(10)의 내주면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 바디(10)의 내주면으로부터 커넥터 바디(10)의 일 단으로 개구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체결홀(112)은 커넥터 바디(10)의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소에 대하여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결홀(112)은 한 개소, 두 개소, 세 개소 또는 다섯 개소 이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체결홀(112)은 적어도 이 회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체결홀(112)은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커넥터 바디(10)의 일 단에 형성된 개구와 인접한 제1 구역(112a), 제1 구역(112a)과 인접하여 커넥터 바디(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 연결부(120)를 향해 연장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2 구역(112b), 제2 구역(112b)과 인접하여 커넥터 바디(10)의 길이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방향 전환되어 연장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3 구역(112c) 및 제3 구역(112c)과 인접하여 커넥터 바디(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 연결부(120)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4 구역(112d)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역(112a)과 제4 구역(112d)은 서로 연통되지 않으며, 제1 구역(112a)과 제2 구역(112b)을 합한 길이보다 제3 구역(112c) 및 제4 구역(112d)을 합한 길이가 더 짧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구역(112d)은 커넥터 바디(10)의 일 단을 통해 개구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캡 수용 공간(114)에는 압착캡(20) 및 후술할 실링 부재(30)가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체결홀(112)은 캡 수용 공간(114)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링 수용 공간(116)은 캡 수용 공간(114)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후술할 와셔링(40) 및 스냅링(50)이 수용될 수 있다. 이때, 링 수용 공간(116)과 캡 수용 공간(114)은 서로 내경이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토퍼(115)는 커넥터 바디(10)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캡 수용 공간(114)과 링 수용 공간(116)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115)는 커넥터 바디(1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져서 첨단이 형성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캡 수용 공간(114)을 향하는 면이 커넥터 바디(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파이프 단부 수용 공간(117)은 링 수용 공간(116)과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그 내부에 파이프(P1, P2)의 단부가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캡 수용 공간(114)과 링 수용 공간(116)의 내경은 파이프 단부 수용 공간(117)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고, 파이프 단부 수용 공간(117)의 내경은 파이프(P1, P2)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로써, 링 수용 공간(116)과 파이프 단부 수용 공간(117)이 접하는 부분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파이프 단부 수용 공간(117)은 수용부(110)와 중앙 연결부(120)의 연결 부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 공간(118)은 중앙 연결부(120)의 내부에서 파이프(P1, P2)의 내부 공간이 연통하도록 형성되며, 파이프(P1, P2)가 삽입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연결 공간(118)의 내경은 파이프 단부 수용 공간(117)의 내경보다 작고, 파이프(P1, P2)의 외경보다도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로써, 파이프 단부 수용 공간(117)과 연결 공간(118)이 접하는 부분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단차 부위에 파이프(P1, P2)의 단부가 접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확관탭(119)은 연결 공간(118)을 둘러싸는 내측 둘레면으로부터 커넥터 바디(10)의 단부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확관탭(119)은 파이프 단부 수용 공간(117)과 연결 공간(118)이 접하는 부분의 단차 부위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확관탭(119)의 반경 방향 외측 둘레면은 길이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첨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이프(P1, P2)가 커넥터 바디(1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체결될 때, 파이프(P1, P2)가 커넥터 바디(1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그 단부가 확관탭(119)과 간섭됨에 따라, 삽입된 파이프(P1, P2)의 단부에 확관부(Pt)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로 돌아오면, 압착캡(20)은 파이프(P1, P2)가 삽입되어 관통하도록 양 단이 관통 형성되고, 커넥터 바디(10)의 단부에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압착캡(20)은 커넥터 바디(10)의 일 단에 체결되는 제1 파이프(P1)에 결합되는 제1 압착캡(21) 및 커넥터 바디(10)의 타 단에 체결되는 제2 파이프(P2)에 결합되는 제2 압착캡(22)의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압착캡(20)은 파이프(P1, P2)가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커넥터 바디(1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압착캡(20)은 커넥터 바디(10)에 체결되면 후술할 실링 부재(30)를 압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압착캡(20)은 커넥터 바디(10)에 고정됨에 따라 커넥터 바디(10)의 내부에서 고압의 압력이 발생되더라도 커넥터 바디(10) 내부에 배치된 실링 부재(30), 후술할 와셔링(40) 및 스냅링(50)이 커넥터 바디(10)의 외부로 튕겨나가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압착캡(20)은 헤드부(210), 플랜지부(220) 및 삽입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210)는 압착캡(20)의 단부에 형성되고,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는 평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헤드부(210)는 육각 너트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헤드부(210)의 형상에 의해, 렌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헤드부(210)를 그립핑하는 것이 가능하며, 헤드부(210)를 공구로 그립핑한 상태로 회전시켜서 압착캡(20)을 커넥터 바디(10)에 체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헤드부(210)의 중앙에는 파이프(P1, P2)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220)는 헤드부(210)와 연결되고, 헤드부(210)보다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압착캡(20)이 커넥터 바디(10)에 체결될 때 커넥터 바디(10)의 단부와 플랜지부(220)의 간섭에 의해 압착캡(20)이 커넥터 바디(10)의 내부 공간으로 완전히 인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플랜지부(220)의 중앙에는 파이프(P1, P2)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30)는 플랜지부(220)와 연결되고, 플랜지부(220)보다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압착캡(20)이 커넥터 바디(10)에 체결될 때 삽입부(230)가 커넥터 바디(10)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230)의 중앙에는 파이프(P1, P2)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 돌기(232)는 삽입부(230)의 둘레면 상에 형성되고, 체결 돌기(232)가 커넥터 바디(10)의 체결홀(112)에 수용되어 체결됨으로써 압착캡(20)과 커넥터 바디(10)가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돌기(232)는 일 예로, 단면이 사각형인 돌기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돌출되는 길이는 플랜지부(220)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체결 돌기(232)는 삽입부(230)의 둘레면 상에서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소에 대하여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결 돌기(232)는 한 개소, 두 개소, 세 개소 또는 다섯 개소 이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체결 돌기(232)가 커넥터 바디(10)의 일 단을 통해 체결홀(112) 내부로 진입한 후, 압착캡(20)이 커넥터 바디(10)에 대하여 일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됨에 따라 적어도 이 회 방향 전환되어 체결홀(112)의 내부에 안착됨으로써 압착캡(20)과 커넥터 바디(10)의 체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체결 돌기(232)가 체결홀(112)의 내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커넥터 바디(10)의 단부와 플랜지부(220)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압착캡(20)이 커넥터 바디(10)에 체결될 때, 체결 돌기(232)가 체결홀(112)에 진입될 수 있도록 압착캡(20)과 커넥터 바디(10)가 동축 정렬된 상태에서 압착캡(20)이 커넥터 바디(10)에 접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 돌기(232)가 체결홀(112)로 진입할 수 있다.
체결 돌기(232)가 체결홀(112)에 진입되면 제1 위치(232a)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위치(232a)는 체결홀(112)의 제1 구역(112a) 내에 해당된다. 압착캡(20)이 커넥터 바디(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압되면 체결 돌기(232)가 제1 위치(232a)에서 제2 위치(232b)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위치(232b)는 체결홀(112)의 제2 구역(112b) 내에 해당된다. 압착캡(20)이 커넥터 바디(10)에 대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체결 돌기(232)는 제2 위치(232b)에서 제3 위치(232c)로 전이될 수 있다. 제3 위치(232c)는 체결홀(112)의 제3 구역(112c) 내에 해당된다. 이때, 압착캡(20)이 회전하는 일 방향은 제2 구역(112b)에서 제3 구역(112c)으로 향하는 방향과 일치할 수 있다. 체결 돌기(232)가 제3 위치(232c)에 놓이게 되면, 후술할 실링 부재(30)의 탄성력에 의해 압착캡(20)이 커넥터 바디(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밀리게 되고, 이로써 체결 돌기(232)가 제3 위치(232c)에서 제4 위치(232d)로 전이될 수 있다. 제4 위치(232d)는 체결홀(112)의 제4 구역(112d) 내에 해당된다. 체결 돌기(232)가 제4 위치(232d)에 놓이게 되면 체결 돌기(232)가 체결홀(112) 내에 안착되며, 이로써 압착캡(20)이 커넥터 바디(10)에 체결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동배관용 커넥터(1)는 실링 부재(30), 와셔링(40) 및 스냅링(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부재(30)는 커넥터 바디(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압착캡(20)이 커넥터 바디(10)의 단부에 체결되면 압착캡(20)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이러한 실링 부재(30)는 일 예로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오링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실링 부재(30)는 커넥터 바디(10)의 캡 수용 공간(114)에 커넥터 바디(1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 바디(10)의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실링 부재(30)는 압착캡(20)의 단부와 스토퍼(115) 사이에서 압착되어 고정 지지될 수 있으며, 압착캡(20)의 체결 돌기(232)가 커넥터 바디(10)의 체결홀(112) 내에 안착되어 압착캡(20)과 커넥터 바디(10) 간의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압착캡(20)의 단부가 실링 부재(30)에 밀착된 상태에서 실링 부재(30)가 압착캡(20)에 의해 압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링 부재(30)는 커넥터 바디(10)의 내부로 진입하는 파이프(P1, P2)의 외주면에 밀착됨으로써 커넥터 바디(10)와 파이프(P1, P2)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와셔링(40)은 커넥터 바디(10)의 내부에 구비되되, 커넥터 바디(10)의 내부에 있어서 실링 부재(30)보다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와셔링(40)은 실링 부재(30)와 밀착되는 외측 링(410), 외측 링(410)과 밀착되는 중간 링(420) 및 중간 링(420)과 밀착되는 내측 링(430)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 링(410), 중간 링(420) 및 내측 링(430)은 모두 중앙에 파이프(P1, P2)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와셔링(40)은 링 수용 공간(116) 내에 수용될 수 있으며, 커넥터 바디(1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 바디(10)의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외측 링(410), 중간 링(420) 및 내측 링(430) 중 적어도 어느 두 개의 내주면으로부터 스냅링(50)의 조립부(510)가 삽입되는 조립홈(422, 432)이 요입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홈이 중간 링(420)과 내측 링(430)에 각각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나, 조립홈이 외측 링(410)에 형성되고, 중간 링(420) 또는 내측 링(430)에는 조립홈이 생략되는 구성도 실시 가능하다.
간섭부(434)는 내측 링(430)의 내측 단부에 스냅링(50)의 그립부(520)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꺾일 경우에 그립부(520)와 간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간섭부(434)는 스냅링(50)의 그립부(520)와 선택적으로 접촉됨으로써, 그립부(520)의 탄성 변형량이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간섭부(434)는 그립부(520)의 경사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와셔링(40)의 외측 링(410)과 중간 링(420)의 사이 및 중간 링(420)과 내측 링(430)의 사이에는 스냅링(50)이 구비될 수 있다.
스냅링(50)은 와셔링(40)에 조립되어 커넥터 바디(10)의 내부에 구비되고, 파이프(P1, P2)가 커넥터 바디(10)의 내부에 삽입되면 파이프(P1, P2)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파이프(P1, P2)를 탄성 지지하는 그립부(520) 및 그립부(520)와 연결되고 와셔링(40)에 조립되기 위해 형성되는 조립부(510)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스냅링(50)은 중앙에 파이프(P1, P2)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스냅링(50)은 커넥터 바디(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커넥터 바디(10)의 내부로 진입하는 파이프(P1, P2)를 커넥터 바디(10)로부터 분리되지 못하도록 고정한다. 또한, 그립부(520)는 복수 개로 제공되어 파이프(P1, P2)의 외주면에 접하여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조립부(510)는 복수의 그립부(520)을 이웃하는 것끼리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그립부(520)는 복수 개가 조립부(5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커넥터 바디(10)의 내부로 진입하는 파이프(P1, P2)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때, 그립부(520)는 파이프(P1, P2)를 향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그립부(520)는 파이프 단부 수용 공간(117)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파이프 단부 수용 공간(117)을 향해 가면서 점진적으로 오므려지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들 그립부(520)는 내측 링(430)에 형성된 간섭부(434)에 의해 선택적으로 간섭됨으로써 일정 각도 이상 꺾임이 제한될 수 있다.
스냅링(50)은 조립부(510)가 와셔링(40)의 조립홈(422, 432) 내에 삽입됨으로써 커넥터 바디(10)의 내부 공간과 안정적으로 동축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스냅링(50)은 외측 링(410)과 중간 링(420)의 사이에 조립되는 제1 스냅링(52) 및 중간 링(420)과 내측 링(430)의 사이에 조립되는 제2 스냅링(5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측 링(410), 중간 링(420) 및 내측 링(430)들의 사이에 끼어 커넥터 바디(10)의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P1, P2)의 끝단이 커넥터 바디(10)의 내부로 진입할 때 복수의 그립부(520)가 파이프(P1, P2)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탄성 변형됨으로써 파이프(P1, P2)가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실링 부재(30), 와셔링(40) 및 스냅링(50)은 커넥터 바디(10)의 중앙 연결부(120)를 중심으로 대칭이 되도록 양 측 수용부(11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압착캡(20)은 제1 파이프(P1)에 끼워지는 제1 압착캡(21) 및 제2 파이프(P2)에 끼워지는 제2 압착캡(22)의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동배관용 커넥터(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두 개의 파이프(P1, P2)를 연결하기 위해 먼저 각각의 파이프(P1, P2)들에 대하여 압착캡(20)이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다음, 파이프(P1, P2)가 삽입된 압착캡(20)을 커넥터 바디(10)의 단부에 삽입하여 체결한다. 이때, 압착캡(20)의 체결 돌기(232)와 커넥터 바디(10)의 체결홀(112)이 서로 정렬되도록 배열된 상태에서 압착캡(20)의 삽입부(230)를 커넥터 바디(10) 내부로 밀어넣어서 플랜지부(220)와 커넥터 바디(10)의 단부가 밀착될 수 있다. 이때, 파이프(P1, P2)의 끝단이 커넥터 바디(10) 내부의 파이프 단부 수용 공간(117)의 안쪽 끝 부분까지 도달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외력이 작용하면, 파이프 단부 수용 공간(117)과 연결 공간(118)의 경계 부분에 돌출 형성된 확관탭(119)과 파이프(P1, P2)의 단부가 서로 간섭될 수 있다. 이렇게 파이프(P1, P2)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파이프(P1, P2) 단부에는 확관탭(119)과의 간섭에 따른 확관부(Pt)가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압착캡(20)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외력을 제거하면 체결 돌기(232)가 체결홀(112) 내부에 안착될 수 있다. 이렇게 체결 돌기(232)가 체결홀(112)에 안착되면 플랜지부(220)가 커넥터 바디(10)의 단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 때에도, 압착캡(20)은 실링 부재(30)를 압착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 대상이 되는 파이프(P1, P2)는 커넥터 바디(10)에 원터치 삽입 방식으로 간단히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파이프(P1, P2)의 끝단을 커넥터 바디(10)의 내부로 진입시키면 스냅링(50)이 파이프(P1, P2)에 밀착되어 파이프(P1, P2)가 커넥터 바디(1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또한, 확관탭(119)에 의해 파이프(P1, P2)의 단부에 형성된 확관부(Pt)에 의해서도 파이프(P1, P2)가 커넥터 바디(1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또한, 파이프(P1, P2)가 커넥터 바디(10)의 내부에 삽입되면 실링 부재(30)가 파이프(P1, P2)의 외면에 밀착됨으로써 커넥터 바디(10)와 파이프(P1, P2) 사이가 실링될 수 있다.
한편, 커넥터 바디(10)는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직선 경로 상에서 배관을 구성하기 위한 파이프(P1, P2)의 길이가 짧을 경우에 이를 연장하기 위하여 다른 파이프(P1, P2)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배관용 커넥터(1')는 커넥터 바디(10)는 중앙 부분이 90도 벤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터 바디(10)의 중앙 연결부(120')가 90도 벤딩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배관용 커넥터(1'')는 커넥터 바디(10)는 중앙 부분이 일 방향으로 45도 벤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터 바디(10)의 중앙 연결부(120'')가 일 방향으로 45도 벤딩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커넥터 바디(10)는 임의의 각도로 벤딩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다양한 경로로 구성된 배관에 대하여도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배관용 커넥터에 의하면, 배관 구성을 위한 파이프 연결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좁은 공간에서의 작업도 가능하며, 연결 부위의 기밀성 및 견고성이 확보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1', 1'': 동배관용 커넥터 10: 커넥터 바디
112: 체결홀 114: 캡 수용 공간
115: 스토퍼 116: 링 수용 공간
117: 파이프 단부 수용 공간 118: 연결 공간
119: 확관탭 120, 120', 120'': 중앙 연결부
20: 압착캡 21: 제1 압착캡
22: 제2 압착캡 210: 헤드부
220: 플랜지부 230: 삽입부
232: 체결 돌기 30: 실링 부재
40: 와셔링 410: 외측 링
420: 중간 링 422, 432: 조립홈
430: 내측 링 434: 간섭부
50: 스냅링 52: 제1 스냅링
54: 제2 스냅링 510: 조립부
520: 그립부

Claims (10)

  1. 하나의 파이프를 다른 하나의 파이프 또는 배관 부속부품과 연결하기 위한 동배관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커넥터 바디;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어 관통하도록 양 단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바디의 단부에 체결되는 압착캡;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압착캡이 상기 커넥터 바디의 단부에 체결되면 상기 압착캡에 의해 압착되는 탄성 재질의 실링 부재;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보다 안쪽에 배치되는 와셔링; 및
    상기 와셔링에 조립되어 상기 커넥터 바디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가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파이프를 탄성 지지하는 그립부 및 상기 그립부와 연결되고 상기 와셔링에 조립되기 위해 형성되는 조립부를 갖도록 제공되는 스냅링을 포함하고,
    상기 와셔링은,
    상기 실링 부재와 밀착되는 외측 링;
    상기 외측 링과 밀착되는 중간 링; 및
    상기 중간 링과 밀착되는 내측 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냅링은,
    상기 외측 링과 상기 중간 링의 사이에 조립되는 제1 스냅링; 및
    상기 중간 링과 상기 내측 링의 사이에 조립되는 제2 스냅링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바디의 일 단까지 연장되는 체결홀이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주면에 요입 형성되고,
    상기 압착캡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체결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돌기가 상기 체결홀에 수용되어 체결됨으로써 상기 압착캡과 상기 커넥터 바디가 서로 체결되고,
    상기 압착캡은,
    단부에 형성되고, 육각 너트 형상을 가지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고, 상기 헤드부보다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플랜지부보다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삽입부의 둘레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 돌기가 상기 체결홀의 내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바디의 단부와 상기 플랜지부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삽입부, 상기 플랜지부, 및 상기 헤드부는 상기 압착캡의 관통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연결되는,
    동배관용 커넥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부 공간은, 상기 압착캡이 수용되는 캡 수용 공간, 상기 캡 수용 공간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와셔링 및 상기 스냅링이 수용되는 링 수용 공간 및 상기 파이프의 단부가 수용되는 파이프 단부 수용 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캡 수용 공간과 상기 링 수용 공간의 내경은 상기 파이프 단부 수용 공간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고, 상기 파이프 단부 수용 공간의 내경은 상기 파이프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되며,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캡 수용 공간과 상기 링 수용 공간의 경계를 형성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동배관용 커넥터.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은 적어도 이 회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 돌기가 상기 커넥터 바디의 일 단을 통해 상기 체결홀 내부로 진입한 후, 상기 압착캡이 상기 커넥터 바디에 대하여 일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됨에 따라 적어도 이 회 방향 전환되어 상기 체결홀의 내부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압착캡과 상기 커넥터 바디의 체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동배관용 커넥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링, 상기 중간 링 및 상기 외측 링 각각은 상기 커넥터 바디의 연장방향에 수직한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 링의 상기 제2 면의 내주측에는 상기 중간 링의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요입된 제1 조립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 링의 상기 제2 면의 내주측에는 상기 내측 링의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요입된 제2 조립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스냅링은 외주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1 조립홈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중간 링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2 스냅링은 외주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2 조립홈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내측 링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내측 링의 상기 제2 면과 상기 중간 링의 상기 제1 면은 서로 접촉하고, 상기 중간 링의 상기 제2 면과 상기 외측 링의 상기 제1 면은 서로 접촉하는,
    동배관용 커넥터.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바디는,
    양 측에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가 수용되는 한 쌍의 수용부; 및
    한 쌍의 상기 수용부를 서로 연결하는 중앙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 내부에 상기 캡 수용 공간 및 상기 링 수용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중앙 연결부의 내부에는 상기 파이프의 내부 공간이 연통하는 연결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 공간을 둘러싸는 내측 둘레면으로부터 상기 커넥터 바디의 단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확관탭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가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체결될 때, 상기 확관탭과의 간섭에 의해 삽입된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 확관부가 형성될 수 있는,
    동배관용 커넥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링, 상기 중간 링 및 상기 내측 링 중 적어도 어느 두 개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스냅링의 상기 조립부가 삽입되는 조립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내측 링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스냅링의 상기 그립부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꺾일 경우에 상기 그립부와 간섭되도록 간섭부가 형성되는,
    동배관용 커넥터.
  8. 제1 항, 제2 항, 제4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바디는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동배관용 커넥터.
  9. 제1 항, 제2 항, 제4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바디는 중앙 부분이 소정 각도로 벤딩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배관용 커넥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바디는 중앙 부분이 일 방향으로 45도 또는 90도 벤딩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배관용 커넥터.
KR1020200060656A 2020-05-21 2020-05-21 동배관용 커넥터 KR102263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656A KR102263624B1 (ko) 2020-05-21 2020-05-21 동배관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656A KR102263624B1 (ko) 2020-05-21 2020-05-21 동배관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3624B1 true KR102263624B1 (ko) 2021-06-10

Family

ID=76378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656A KR102263624B1 (ko) 2020-05-21 2020-05-21 동배관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62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8007A (ko) 2021-08-20 2023-02-28 이희환 탄성커넥터가 적용된 파이프 구조체
WO2023033225A1 (ko) * 2021-08-30 2023-03-09 정우금속공업 주식회사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
US11655923B2 (en) * 2018-12-27 2023-05-23 Junsungenc Co., Ltd. Pipe coupler
KR20230143825A (ko) 2022-04-06 2023-10-13 강정석 공조기용 배관연결로의 커넥터 연결 구조
WO2024107433A1 (en) * 2022-11-18 2024-05-23 Reliance Worldwide Corporation Retainer cap for use with plumbing connector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904A (ko) * 1998-08-14 2000-03-06 이도연 배관이음용 커플링
KR20000021090U (ko) * 1999-05-20 2000-12-15 박옥수 호스의 커플링 장치
KR20040011586A (ko) * 2004-01-14 2004-02-05 곽병운 파이프 고정 장치
KR200391678Y1 (ko) * 2005-03-30 2005-08-08 주식회사 프럼파스트 투명관 이음장치
US20140152002A1 (en) * 2010-12-30 2014-06-05 Quick Fitting, Inc. Push-to-Connect Joint Assembly, Device and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904A (ko) * 1998-08-14 2000-03-06 이도연 배관이음용 커플링
KR20000021090U (ko) * 1999-05-20 2000-12-15 박옥수 호스의 커플링 장치
KR20040011586A (ko) * 2004-01-14 2004-02-05 곽병운 파이프 고정 장치
KR200391678Y1 (ko) * 2005-03-30 2005-08-08 주식회사 프럼파스트 투명관 이음장치
US20140152002A1 (en) * 2010-12-30 2014-06-05 Quick Fitting, Inc. Push-to-Connect Joint Assembly, Device and Metho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55923B2 (en) * 2018-12-27 2023-05-23 Junsungenc Co., Ltd. Pipe coupler
KR20230028007A (ko) 2021-08-20 2023-02-28 이희환 탄성커넥터가 적용된 파이프 구조체
WO2023033225A1 (ko) * 2021-08-30 2023-03-09 정우금속공업 주식회사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
KR20230143825A (ko) 2022-04-06 2023-10-13 강정석 공조기용 배관연결로의 커넥터 연결 구조
WO2024107433A1 (en) * 2022-11-18 2024-05-23 Reliance Worldwide Corporation Retainer cap for use with plumbing connecto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3624B1 (ko) 동배관용 커넥터
ES2931032T3 (es) Elemento de junta de estanqueidad anular metálico
US5080405A (en) Corrugated pipe coupling
EP0803677B1 (en) A connector device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hoses and a plurality of pipes
EP3771855B1 (en) Connecting device for piping
RU2518731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6986533B2 (en) Pipe coupling
KR890014943A (ko) 관 연결장치
RU2544296C2 (ru) Компонент соединителя текучей среды, содержащий несколько встраиваемых элементов
MX2011010893A (es) Guia de cable.
WO2018062431A1 (ja) 管継手及び継手連結装置
JP2004011912A (ja) 二つのダクト要素を相互接続するための接続手段
US20070236017A1 (en) Fitting
CN215215223U (zh) 多软管装置
KR20160079880A (ko) 2개의 파이프라인을 동축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그 장치를 분리하기 위한 배열체
KR20070015069A (ko) 덕트
IT201600093853A1 (it) Sistema universale di giunzione indissolubile per tubi e giunto compreso in detto sistema
KR102286155B1 (ko) 유체 분배기와 이를 포함하는 유체 분배기 조립체 및 유체 분배기의 제조방법
US20200256494A1 (en) Method of assembling a female connector of a plug-in connector
KR200445162Y1 (ko) 냉온수 난방용 분배기
KR101410783B1 (ko) 배관피팅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JP2023070436A (ja) チューブ管用継手
KR200220160Y1 (ko) 파이프 연결관
JP2019183983A (ja) 波付管の接続体及び拡開防止具
CN108730650A (zh) 管道连接装置及管道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