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1363A -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1363A
KR20120111363A KR1020110029794A KR20110029794A KR20120111363A KR 20120111363 A KR20120111363 A KR 20120111363A KR 1020110029794 A KR1020110029794 A KR 1020110029794A KR 20110029794 A KR20110029794 A KR 20110029794A KR 20120111363 A KR20120111363 A KR 20120111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ynthetic resin
resin pipe
inclined surface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김성훈
주식회사 초성
정석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훈, 주식회사 초성, 정석희 filed Critical 김성훈
Priority to KR1020110029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1363A/ko
Publication of KR20120111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3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33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using flexible hoo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16L17/03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having annular axial lips
    • F16L17/03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having annular axial lips the sealing rings having only one l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4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a swivel nut or collar engag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16L47/08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one pipe en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or socket, the sealing rings being placed previously in the sleeve or s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편수관 형태를 갖는 합성수지관에 배관을 간단히 연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연결부위에 대해서도 우수한 수밀성 및 고정력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편수관 형상을 갖는 합성수지관(1)에 배관(2)을 연결시키는 장치로서, 합성수지관(1)에 나선결합되는 제1 가이드부재(10)와; 제1 가이드부재(10)에 삽입가능하고 가압스프링(4)의 배치를 위한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제1 지지부재(20)와; 제1 지지부재(20)에 형성된 제1 통공(20-1) 및 제1 가이드부재(10)에 구비되는 제1 경사면(11-1) 사이에 배치되어 가압스프링(4)의 복원력에 의해 배관(2)과 밀착되는 밀착부재(30)와; 합성수지관(1) 및 제1 가이드부재(10) 사이에 배치되어 합성수지관(1) 및 배관(2)간의 수밀성을 보장하기 위한 고무패킹(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PIPE CONNECTING APPARATUS OF ONE-TOUCH TYPE FOR SYNTHETIC RESIN PIPE}
본 발명은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편수관 형상을 갖는 합성수지관에 배관을 간단히 연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연결부위에 대해서도 우수한 수밀성 및 고정력이 보장되도록 하기 위한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체나 유체를 일정경로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크기 및 모양의 관, 관이음체가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 들어서는 특히 상하수와 같은 유체의 이송을 위한 관으로 경량이면서 강성 및 가공성이 양호한 합성수지관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합성수지관의 경우 양단에 설치되는 별도의 연결장치를 통해 상호간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고 있으나,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기존의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는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간의 볼트 조임에 의해 관체에 고정되는 방식이 대부분임에 따라 그 볼트에 충격이 가해져 풀림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배관간 연결부위에서 수밀성 및 고정력을 보장할 수 없게 되는 한편으로, 다수개의 볼트를 견고히 결합해야 하는 과정이 필수적임에 따라 그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편수관 형태를 갖는 합성수지관에 배관을 간단히 연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연결부위에 대해서도 우수한 수밀성 및 고정력을 보장할 수 있는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직경이 확장된 입구 내측면에 나선부 및 지지리브가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합성수지관과, 상기 합성수지관에 삽입가능한 크기를 갖는 배관을 연결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의 나선부와 외주면이 나선결합되고 내측에 제1 경사면이 형성된 제1 체결부와, 상기 제1 체결부로부터 합성수지관 외측으로 연장되고 일측면이 합성수지관 외측면과 접촉되며 제1 체결부보다 내부 직경이 더 큰 제1 연장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연장부 끝단에는 이탈방지링의 설치를 위한 고정홈이 형성된 제1 가이드부재와; 상기 배관이 삽입가능하게 천공된 형상으로 상기 제1 가이드부재에 삽입되되, 상기 제1 경사면에 위치되는 부분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제1 통공과, 상기 제1 체결부 및 제1 연장부와 함께 가압스프링의 배치를 위한 밀폐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홈에 설치된 이탈방지링과의 접촉에 의해 외부로의 노출이 방지되는 제1 돌출리브와, 상기 제1 돌출리브에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그 제1 돌출리브와의 사이에 이탈방지링의 설치공간을 마련하고 이탈방지링이 외부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돌출리브가 구비된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제1 통공에 삽입되는 톱니부와 상기 톱니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지지부재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걸림편으로 이루어져, 상기 배관이 합성수지관에 삽입될 경우 가압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제1 경사면에 걸림편이 밀착되면서 톱니부의 톱니가 배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착부재와; 상기 합성수지관 및 제1 가이드부재가 결합될 시에 지지리브에 밀착되면서 합성수지관 및 배관간의 수밀성을 보장하기 위한 고무패킹;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으로 본 발명은, 직경이 확장된 입구 내측면에 나선부 및 지지리브가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합성수지관과, 상기 합성수지관에 삽입가능한 크기를 갖는 배관을 연결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의 나선부와 외주면이 나선결합되고 내측에 제2 경사면이 형성된 제2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로부터 합성수지관 외측으로 연장되고 일측면이 합성수지관 외측면과 접촉되며 제2 체결부보다 내부 직경이 더 큰 제2 연장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 경사면 양단에는 내주면을 따라 제1 및 제2 돌기가 형성된 제2 가이드부재와; 상기 배관이 삽입가능하게 천공된 형상으로 상기 제2 가이드부재에 삽입되되, 상기 제2 경사면에 위치되는 부분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제2 통공과, 상기 제2 체결부 및 제2 연장부와 함께 가압스프링의 배치를 위한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제3 돌출리브와, 상기 제3 돌출리브에 대향되도록 외측 끝단에 구비되고 제2 연장부 외측면에 접촉가능한 크기를 갖는 제4 돌출리브가 구비된 제2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제2 통공에 삽입되는 톱니부와 상기 톱니부로부터 연장되어 제2 지지부재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걸림편으로 이루어져, 상기 배관이 합성수지관에 삽입될 경우 가압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경사면에 걸림편이 밀착되면서 톱니부의 톱니가 배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되,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제2 가이드부재에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력이 있는 제2 지지부재에 부분적으로 외력을 중심방향으로 가하여 제2 가이드부재와의 이격된 틈 사이로 삽입되어 제2 통공에 설치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돌기 사이의 제2 경사면에 배치됨에 따라 외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는 밀착부재와; 상기 합성수지관 및 제2 가이드부재가 결합될 시에 지지리브에 밀착되면서 합성수지관 및 배관간의 수밀성을 보장하기 위한 고무패킹;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는 가이드부재, 지지부재 및 밀착부재가 상호간에 결합된 상태에서 합성수지관에 가이드부재를 나선결합한 다음 배관을 합성수지관에 삽입하는 단순한 과정만으로도 가압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밀착부재가 가이드부재의 경사면에 밀착되면서 배관의 외주면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음에 따라, 합성수지관 및 배관간의 연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고정상태가 지속적으로 변동없이 유지될 수 있는 이유로 우수한 수밀성 및 고정력을 보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의 제1 실시예를 통한 배관 연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의 제2 실시예를 통한 배관 연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의 제3 실시예를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의 제3 실시예를 결합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의 제3 실시예에 사용된 이동방지부재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가 병기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의 제1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편수관 형상을 갖는 합성수지관(1)에 배관(2)을 연결시키는 장치로서, 합성수지관(1)에 나선결합되는 제1 가이드부재(10)와, 제1 가이드부재(10)에 삽입가능하고 가압스프링(4)의 배치를 위한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제1 지지부재(20)와, 제1 지지부재(20)에 형성된 제1 통공(20-1) 및 제1 가이드부재(10)에 구비되는 제1 경사면(11-1) 사이에 배치되어 가압스프링(4)의 복원력에 의해 배관(2)과 밀착되는 밀착부재(30)와, 합성수지관(1) 및 제1 가이드부재(10) 사이에 배치되어 합성수지관(1) 및 배관(2)간의 수밀성을 보장하기 위한 고무패킹(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합성수지관(1)은 편수관 형상으로 직경이 확장된 입구를 갖고 그 확장된 입구 내측면에 나선부(1-1) 및 지지리브(1-2)가 순차적으로 구비된 구조를 갖는 것임을 밝혀둔다.
상기 제1 가이드부재(10)는 합성수지관(1)의 나선부(1-1)와 외주면이 나선결합되고 내측에 제1 경사면(11-1)이 형성된 제1 체결부(11)와, 제1 체결부(11)로부터 합성수지관(1) 외측으로 연장되고 일측면이 합성수지관(1) 외측면과 접촉되며 제1 체결부(11)보다 내부 직경이 더 큰 제1 연장부(12)로 이루어지며, 제1 연장부(12) 끝단에는 이탈방지링(3)의 설치를 위한 고정홈(12-1)이 형성된 것으로, 이에 의해 합성수지관(1) 및 제1 가이드부재(10)간의 연결이 나선부(1-1) 및 제1 체결부(11)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 상태에서 제1 경사면(11-1) 및 제1 지지부재(20)의 제1 통공(20-1) 사이에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밀착부재(30)가 배치되고 제1 연장부(12) 외측 둘레로 가압스프링(4) 및 이탈방지링(3)이 배치된다.
상기 제1 지지부재(20)는 배관(2)이 삽입가능하게 천공된 형상으로 제1 경사면(11-1)에 위치되는 부분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제1 통공(20-1)과, 제1 체결부(11) 및 제1 연장부(12)와 함께 가압스프링(4)의 배치를 위한 밀폐공간을 형성하고 고정홈(12-1)에 설치된 이탈방지링(3)과의 접촉에 의해 외부로의 노출이 방지되는 제1 돌출리브(21)와, 제1 돌출리브(21)에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그 제1 돌출리브(21)와의 사이에 이탈방지링(3)의 설치공간을 마련하고 이탈방지링(3)이 외부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돌출리브(22)가 구비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상기 제1 지지부재(20) 구조에 따르면, 이 제1 지지부재(20)를 제1 가이드부재(10)로 삽입할 시에 제1 통공(20-1)에 배치된 밀착부재(30)의 일부(이하 기술되는 '톱니부' 전체)가 제1 통공(20-1) 및 제1 지지부재(20)의 내측공간으로 위치될 수 있음에 따라 제1 경사면(11-1)까지 도달하게 되고, 가압스프링(4)에 의해 제1 가이드부재(10)로의 제1 지지부재(20) 삽입이 제한되는 한편, 제1 지지부재(20)를 합성수지관(1)측으로 압박한 상태에서 배관(2)을 제1 지지부재(20)로부터 합성수지관(1)까지 통과시킨 다음으로 제1 지지부재(20)의 압박을 해제하게 되면 그 가압스프링(4)의 복원력에 의해 제1 지지부재(20)가 외측으로 밀려나면서 밀착부재(30)가 제1 경사면(11-1)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그 제1 경사면(11-1)에서 더 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되는 동시에 밀착부재(30)가 배관(2)에 밀착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이탈방지링(3)은 제1 지지부재(20)가 제1 가이드부재(1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및 제2 돌출리브(21, 22) 사이에 마련된 공간을 통해 설치되는데, 다시 말해서 제1 돌출리브(21)가 제1 가이드부재(10) 내측에 위치되고 제2 돌출리브(2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다음 그 사이의 공간을 활용해 제1 가이드부재(10)의 고정홈(12-1)을 따라 이탈방지링(3)이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밀착부재(30)는 제1 지지부재(20)의 제1 통공(20-1)에 삽입되는 톱니부(31)와 톱니부(31)로부터 연장되어 제1 지지부재(20)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걸림편(32)으로 이루어져, 기술된 바와 같이 배관(2)이 제1 가이드부재(10) 및 제1 지지부재(20)를 거쳐 합성수지관(1)에 삽입될 경우 가압스프링(4)의 복원력에 의해 제1 경사면(11-1)에 걸림편(32)이 밀착되면서 톱니부(31)의 톱니가 배관(2)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고무패킹(40)은 배관(2) 외주면에 끼움설치되는 링형상으로 합성수지관(1) 및 제1 가이드부재(10)가 결합될 시에 지지리브(1-2)에 밀착되면서 합성수지관(1) 및 배관(2)간의 수밀성을 보장하게 되며, 도 3에서와 같이 중앙의 관통된 구멍이 배관(2) 직경보다 작도록 하고 배관(2)의 이동방향을 따라 구멍 둘레가 휘어지면서 배관(2)이 삽입가능한 형상을 갖도록 하여 복원력에 의해 합성수지관(1)과 배관(2)간에 수밀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의 제2 실시예는 언급된 바와 같이 나선부(1-1) 및 지지리브(1-2)가 구비된 합성수지관(1)에 적용되고 기술된 제1 실시예의 연결장치와 동일한 구성요소 및 동작원리에 따라 이루어지나 이탈방지링(3)을 사용하지 않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편수관 형상을 갖는 합성수지관(1)에 나선결합되는 제2 가이드부재(50)와, 제2 가이드부재(50)에 삽입가능하고 가압스프링(4)의 배치를 위한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제2 지지부재(60)와, 제2 지지부재(60)에 형성된 제2 통공(60-1) 및 제2 가이드부재(50)에 구비되는 제2 경사면(51-1) 사이에 배치되어 가압스프링(4)의 복원력에 의해 배관(2)과 밀착되는 밀착부재(30)와, 합성수지관(1) 및 제2 가이드부재(50) 사이에 배치되어 합성수지관(1) 및 배관(2)간의 수밀성을 보장하기 위한 고무패킹(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는 제1 가이드부재(10) 및 제1 지지부재(20) 각각이 제2 가이드부재(50) 및 제2 지지부재(60)에 대응하여 합성수지관(1) 및 배관(2) 연결 시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이유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원리는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 가이드부재(50)는 합성수지관(1)의 나선부(1-1)와 외주면이 나선결합되고 내측에 제2 경사면(51-1)이 형성된 제2 체결부(51)와, 제2 체결부(51)로부터 합성수지관(1) 외측으로 연장되고 일측면이 합성수지관(1) 외측면과 접촉되며 제2 체결부(51)보다 내부 직경이 더 큰 제2 연장부(52)로 이루어지며, 제2 경사면(51-1) 양단에는 내주면을 따라 제1 및 제2 돌기(51-11, 51-12)가 형성된 구조를 갖게 되는데, 여기서의 제1 및 제2 돌기(51-11, 51-12)는 밀착부재(30)의 이동범위를 한정하기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제2 지지부재(60)는 배관(2)이 삽입가능하게 천공된 형상으로 제2 가이드부재(50)에 삽입되되, 제2 경사면(51-1)에 위치되는 부분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제2 통공(60-1)과, 제2 체결부(51) 및 제2 연장부(52)와 함께 가압스프링(4)의 배치를 위한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제3 돌출리브(61)와, 제3 돌출리브(61)에 대향되도록 외측 끝단에 구비되고 제2 연장부(52) 외측면에 접촉가능한 크기를 갖는 제4 돌출리브(62)가 구비된 구조로, 제4 돌출리브(62)의 경우는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이탈방지링(3)이 필요치 않아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2 지지부재(60) 전체를 압박하거나 잡아당기는 등 이의 설치 및 분해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밀착부재(30)는 제2 지지부재(60)의 제2 통공(60-1)에 삽입되는 톱니부(31)와 톱니부(31)로부터 연장되어 제2 지지부재(60)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걸림편(32)으로 이루어져, 배관(2)이 합성수지관(1)에 삽입될 경우 가압스프링(4)의 복원력에 의해 제2 경사면(51-1)에 걸림편(32)이 밀착되면서 톱니부(31)의 톱니가 배관(2)의 외주면에 밀착되되, 제2 가이드부재(50)에 삽입된 제2 지지부재(60)에 부분적으로 외력을 내부 중심방향으로 가하여 제2 통공(60-1)이 형성된 부분이 휘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제2 가이드부재(50)와의 이격된 틈 사이로 삽입되어 제2 통공(60-1)에 설치되면서 제1 및 제2 돌기(51-11, 51-12) 사이의 제2 경사면(51-1)과 제2 지지부재(6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서만 이동가능하게 됨으로써 제1 실시예에서의 이탈방지링(3) 없이도 제2 지지부재(60)나 밀착부재(3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해 밀착부재(3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제2 지지부재(60)의 제2 통공(60-1)이 형성된 부분이 휨성을 가져야 하는 이유로, 금속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소재로 제작될 시에 내측으로 휘어진 다음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탄성력을 갖고 두께 또한 적절히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패킹(40)은 합성수지관(1) 및 가이드부재(10)가 결합될 시에 지지리브(1-2)에 밀착되면서 합성수지관(1) 및 배관(2)간의 수밀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다.
추가로 상기 밀착부재(30)가 제2 경사면(51-1)에서 더 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되면서 배관(2)에 밀착되는 상황에서 제2 경사면(51-1)을 강하게 압박하여 부분적인 손상을 줄 수 있음에 따라, 이러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2 경사면(51-1)측에 띠형상의 금속밴드(미도시)가 밀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의 제3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양측을 통해 배관(2)이 삽입되는 제2 합성수지관(5)과, 제2 합성수지관(5) 내 배치되어 배관(2)을 고정시키기 위한 배관고정부재(70)로 구성된다.
상기 제2 합성수지관(5)은 양측 중 적어도 일측에 내부 직경이 중앙을 향해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확경부(5-1)와, 확경부(5-1)로부터 내주면이 함몰된 형태로 연장되는 함몰부(5-2)가 순차적으로 구비되고 나머지 부분은 직관형상을 갖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확경부(5-1)는 그 직경의 변화를 통해 경사진 내주면을 갖게 됨에 따라 제2 합성수지관(5)으로 삽입된 배관(2)과 확경부(5-1)간의 틈 사이로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배관고정부재(70)의 제2 톱니부(72)가 끼움되거나 끼움해제되어 배관(2)이 제2 합성수지관(5) 내 지속적으로 위치되도록 하거나 이로부터 이탈가능하게 한다.
상기 함몰부(5-2)는 배관고정부재(70)의 제2 고무패킹(71)과 제2 톱니부(72)의 대부분이 배치되는 곳으로, 제2 고무패킹(71) 외주면과 긴밀하게 접촉되는 밀착부위(5-21)를 경사진 형태로 구비하여 배관(2) 설치 시 제2 고무패킹(71)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한다.
상기 배관고정부재(70)는 배관(2)이 삽입가능하도록 중앙부가 천공된 형상으로 외력에 의해 구부려져 제2 합성수지관(5)으로 삽입되어 외주면이 함몰부(5-2) 내측과 밀착되는 제2 고무패킹(71)과, 제2 고무패킹(71)에 일측이 매설 고정되어 배관(2)과 밀착가능한 제2 톱니부(72)로 이루어져, 제2 고무패킹(71) 및 제2 합성수지관(5)으로 삽입된 배관(2)이 확경부(5-1)로 이동될 경우 제2 톱니부(72)가 확경부(5-1) 및 배관(2)간의 틈 사이에 끼움되어 배관(2)이 제2 합성수지관(5)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제2 톱니부(72)는 단순히 제2 고무패킹(71)에 끼움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도 있으나, 배관고정부재(70)의 구조상 제2 합성수지관(5) 내에서 제2 고무패킹(71)과 일체로 거동되는 것이 바람직함에 따라 제2 톱니부(72)를 사전 제작한 후에 제2 고무패킹(71) 제작 시에 제2 톱니부(72) 일측이 매설되도록 한다.
상기 제2 합성수지관(5) 및 배관고정부재(70)의 동작원리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2 합성수지관(5)에 배관고정부재(70)가 설치된 상태에서 배관(2)을 삽입한 다음 배관(2)을 외측으로 일정간격 강제로 이동시키게 되면 제2 톱니부(72)가 확경부(5-1) 및 배관(2)간의 틈 사이에 끼움되면서 톱니가 배관(2)에 밀착됨에 따라 배관(2)이 제2 합성수지관(5)으로부터 이탈 불가능하게 된다. 이후 제2 합성수지관(5) 및 배관(2)을 통해 물이 이송될 경우 제2 합성수지관(5) 및 배관(2)간에 수압이 가해지게 되고 이 수압이 강할수록 배관(2)이 외측으로 밀려나는 힘 또한 더 크게 작용하여 결과적으로 톱니부(72)가 배관(2) 및 확경부(5-1) 틈 사이에서 견고히 끼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으로 상기 제2 합성수지관(5) 및 배관고정부재(70)에 의해 고정된 배관(2)을 분리하게 위해서는 제2 톱니부(72)의 끼움상태가 해제되도록 함몰부(5-2)측으로 이동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배관(2) 삽입방향과 직각이 되도록 확경부(5-1) 끝단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지지리브(5-3)에 밀착되는 반호형 접촉리브(81)와, 접촉리브(81)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확경부(5-1) 및 배관(2)간의 틈 사이에 끼움된 제2 톱니부(72)의 일측면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편(82)으로 이루어진 배관분리부재(8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배관(2) 분리를 위해 배관분리부재(80)를 사용할 시에는 그 배관분리부재(80)가 제2 톱니부(82)를 함몰부(5-2)측으로 이동시킨 상태가 유지되도록 해야 배관(2)의 원활한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배관(2)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배관분리부재(8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2 합성수지관(5)의 지지리브(5-3)와 배관분리부재(80)의 접촉리브(81)가 밀착되어 확경부(5-1) 및 배관(2)간의 틈 사이에 끼움된 제2 톱니부(72)가 함몰부(5-2)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그 지지리브(5-3) 및 접촉리브(81)를 상호간에 결속시키기 위한 이동방지부재(90)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로 하면, 상기와 같은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이동방지부재(90)는 반원형으로 분리된 한 쌍의 링체(91)와, 링체(91)의 일측 끝단을 상호간에 결합하는 힌지결합부위(92)와, 한 쌍의 링체(91)를 원형으로 결속하도록 힌지결합부위(92) 타측단에 구비되는 볼팅결합부위(93)와, 링체(91) 일측면을 따라 구비되어 볼팅결합부위(93)가 결속되는 과정에서 상호간에 밀착된 상태의 지지리브(5-3) 및 접촉리브(81)를 동시에 둘러싸는 절곡부(94)로 이루어진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Claims (5)

  1. 직경이 확장된 입구 내측면에 나선부(1-1) 및 지지리브(1-2)가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합성수지관(1)과, 상기 합성수지관(1)에 삽입가능한 크기를 갖는 배관(2)을 연결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1)의 나선부(1-1)와 외주면이 나선결합되고 내측에 경사면(11-1)이 형성된 제1 체결부(11)와, 상기 제1 체결부(11)로부터 합성수지관(1) 외측으로 연장되고 일측면이 합성수지관(1) 외측면과 접촉되며 제1 체결부(11)보다 내부 직경이 더 큰 제1 연장부(12)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연장부(12) 끝단에는 이탈방지링(3)의 설치를 위한 고정홈(12-1)이 형성된 제1 가이드부재(10)와;
    상기 배관(2)이 삽입가능하게 천공된 형상으로 상기 제1 가이드부재(10)에 삽입되되, 상기 제1 경사면(11-1)에 위치되는 부분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제1 통공(20-1)과, 상기 제1 체결부(11) 및 제1 연장부(12)와 함께 가압스프링(4)의 배치를 위한 밀폐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홈(12-1)에 설치된 이탈방지링(3)과의 접촉에 의해 외부로의 노출이 방지되는 제1 돌출리브(21)와, 상기 제1 돌출리브(21)에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그 제1 돌출리브(21)와의 사이에 이탈방지링(3)의 설치공간을 마련하고 이탈방지링(3)이 외부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돌출리브(22)가 구비된 제1 지지부재(20)와;
    상기 제1 지지부재(20)의 제1 통공(20-1)에 삽입되는 톱니부(31)와 상기 톱니부(31)로부터 연장되어 제1 지지부재(20)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걸림편(32)으로 이루어져, 상기 배관(2)이 합성수지관(1)에 삽입될 경우 가압스프링(4)의 복원력에 의해 제1 경사면(11-1)에 걸림편(32)이 밀착되면서 톱니부(31)의 톱니가 배관(2)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착부재(30)와;
    상기 합성수지관(1) 및 제1 가이드부재(10)가 결합될 시에 제1 지지리브(1-2)에 밀착되면서 합성수지관(1) 및 배관(2)간의 수밀성을 보장하기 위한 고무패킹(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2. 직경이 확장된 입구 내측면에 나선부(1-1) 및 지지리브(1-2)가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합성수지관(1)과, 상기 합성수지관(1)에 삽입가능한 크기를 갖는 배관(2)을 연결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1)의 나선부(1-1)와 외주면이 나선결합되고 내측에 제2 경사면(51-1)이 형성된 제2 체결부(51)와, 상기 제2 체결부(51)로부터 합성수지관(1) 외측으로 연장되고 일측면이 합성수지관(1) 외측면과 접촉되며 제2 체결부(51)보다 내부 직경이 더 큰 제2 연장부(52)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 경사면(51-1) 양단에는 내주면을 따라 제1 및 제2 돌기(51-11, 51-12)가 형성된 제2 가이드부재(50)와;
    상기 배관(2)이 삽입가능하게 천공된 형상으로 상기 제2 가이드부재(50)에 삽입되되, 상기 제2 경사면(51-1)에 위치되는 부분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제2 통공(60-1)과, 상기 제2 체결부(51) 및 제2 연장부(52)와 함께 가압스프링(4)의 배치를 위한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제3 돌출리브(61)와, 상기 제3 돌출리브(61)에 대향되도록 외측 끝단에 구비되고 제2 연장부(52) 외측면에 접촉가능한 크기를 갖는 제4 돌출리브(62)가 구비된 제2 지지부재(60)와;
    상기 제2 지지부재(60)의 통공(60-1)에 삽입되는 톱니부(31)와 상기 톱니부(31)로부터 연장되어 제2 지지부재(20)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걸림편(32)으로 이루어져, 상기 배관(2)이 합성수지관(1)에 삽입될 경우 가압스프링(4)의 복원력에 의해 제2 경사면(51-1)에 걸림편(32)이 밀착되면서 톱니부(31)의 톱니가 배관(2)의 외주면에 밀착되되, 상기 제2 지지부재(60)가 제2 가이드부재(50)에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력이 있는 제2 지지부재(20)에 부분적으로 외력을 중심방향으로 가하여 제2 가이드부재(50)와의 이격된 틈 사이로 삽입되어 제2 통공(60-1)에 설치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돌기(51-11, 51-12) 사이의 제2 경사면(51-1)에 배치됨에 따라 외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는 밀착부재(30)와;
    상기 합성수지관(1) 및 제2 가이드부재(50)가 결합될 시에 지지리브(1-2)에 밀착되면서 합성수지관(1) 및 배관(2)간의 수밀성을 보장하기 위한 고무패킹(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부재(50)의 제2 경사면(51-1)에는 금속밴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4. 양측 중 적어도 일측에 내부 직경이 중앙을 향해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확경부(5-1)와 상기 확경부(5-1)로부터 내주면이 함몰된 형태로 연장되는 함몰부(5-2)가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제2 합성수지관(5)과, 상기 제2 합성수지관(5)에 삽입가능한 크기를 갖는 배관(2)을 연결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2)이 삽입가능하도록 중앙부가 천공된 형상으로, 외력에 의해 구부려져 상기 제2 합성수지관(5)으로 삽입되어 외주면이 함몰부(5-2) 내측과 밀착되는 제2 고무패킹(71)과, 상기 제2 고무패킹(71)에 일측이 매설 고정되어 배관(2)과 밀착가능한 제2 톱니부(72)로 이루어져, 상기 제2 고무패킹(71) 및 제2 합성수지관(5)으로 삽입된 배관(2)이 확경부(5-1)로 이동될 경우 제2 톱니부(72)가 확경부(5-1) 및 배관(2)간의 틈 사이에 끼움되어 배관(2)이 제2 합성수지관(5)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배관고정부재(70)와;
    상기 배관(2) 삽입방향과 직각이 되도록 확경부(5-1) 끝단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지지리브(5-3)에 밀착되는 반호형 접촉리브(81)와, 상기 접촉리브(81)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확경부(5-1) 및 배관(2)간의 틈 사이에 끼움된 제2 톱니부(72)의 일측면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편(82)으로 이루어져, 상기 배관(2)을 제2 합성수지관(5)으로부터 분리할 시에 사용되는 배관분리부재(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합성수지관(5)의 지지리브(5-3)와 배관분리부재(80)의 접촉리브(81)가 밀착되어 확경부(5-1) 및 배관(2)간의 틈 사이에 끼움된 제2 톱니부(72)가 함몰부(5-2)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그 지지리브(5-3) 및 접촉리브(81)를 상호간에 결속시키기 위한 이동방지부재(9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1020110029794A 2011-03-31 2011-03-31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201201113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794A KR20120111363A (ko) 2011-03-31 2011-03-31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794A KR20120111363A (ko) 2011-03-31 2011-03-31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363A true KR20120111363A (ko) 2012-10-10

Family

ID=47282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794A KR20120111363A (ko) 2011-03-31 2011-03-31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136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488B1 (ko) * 2015-07-06 2016-01-19 주식회사 풍산 이중결합구조를 구비한 포 발사식 탄약
KR101584487B1 (ko) * 2015-07-06 2016-01-19 주식회사 풍산 로켓모터 분리방지형 포 발사식 탄약
KR20200073609A (ko) * 2018-12-14 2020-06-24 한국원자력연구원 전해환원 모듈 플랜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해환원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488B1 (ko) * 2015-07-06 2016-01-19 주식회사 풍산 이중결합구조를 구비한 포 발사식 탄약
KR101584487B1 (ko) * 2015-07-06 2016-01-19 주식회사 풍산 로켓모터 분리방지형 포 발사식 탄약
KR20200073609A (ko) * 2018-12-14 2020-06-24 한국원자력연구원 전해환원 모듈 플랜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해환원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47530B2 (ja) 弧状剛性リブを有する継手
US7878555B2 (en) Coupling device for circular pipes
JP6566485B2 (ja) 分割リング連結器
JP6526770B2 (ja) パイプ要素を継合するための継手
US20170343142A1 (en) Pipe connecting device using rotary wedge
JP5113181B2 (ja) 筒状ジョイント
EP1832793A2 (en) Pipe coupling with a grip washer
KR101007546B1 (ko) 이음관 내부에 구성되는 파이프 연결구
US9383050B1 (en) Quick removal plumbing fitting
JP2011038638A (ja) 硬質ストップリングを有するシール
US20130056976A1 (en) One-touch pipe connection device
KR100977308B1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20120111363A (ko)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101274094B1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EA017032B1 (ru) Трубный фитинг
RU2578258C2 (ru) Фитинг для трубы и способ их соединения
KR101377198B1 (ko) 부품 조립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
KR200269760Y1 (ko) 배관용 조인트
KR20160004978A (ko) 파이프 결속장치 및 방법
KR101458394B1 (ko) 나선관용 연결장치
KR102443762B1 (ko) 배관 연결 형성 장치
KR200381922Y1 (ko) 패킹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KR20220169328A (ko) 파이프 연결용 고정 캡 조립체 및 이음관
KR200269752Y1 (ko) 배관용 조인트
KR102397246B1 (ko) 고정 캡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음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