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9328A - 파이프 연결용 고정 캡 조립체 및 이음관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용 고정 캡 조립체 및 이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9328A
KR20220169328A KR1020210079623A KR20210079623A KR20220169328A KR 20220169328 A KR20220169328 A KR 20220169328A KR 1020210079623 A KR1020210079623 A KR 1020210079623A KR 20210079623 A KR20210079623 A KR 20210079623A KR 20220169328 A KR20220169328 A KR 20220169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sher
cap assembly
circumferential surfac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2634B1 (ko
Inventor
이재욱
이영주
조형동
김준
최승태
김한진
구연우
이종태
이혜정
황기웅
Original Assignee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피피아이파이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피피아이파이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9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634B1/ko
Publication of KR20220169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9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 캡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고정 캡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가 연결되는 본체의 연결 부위에 체결되며, 상기 본체와 상기 파이프 사이를 고정하는 고정 캡, 상기 고정 캡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캡의 체결에 따라 상기 본체와 상기 파이프 사이에 개재된 실링부재(120)를 압축시키며, 반경 방향으로 직경이 수축 및 복원되는 와셔, 및 상기 와셔의 내주 면으로부터 상기 파이프의 외주 면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와셔의 수축에 따라 상기 파이프의 외주 면을 가압하여 상기 파이프를 고정하는 복수의 치형 돌기를 포함하는 결착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용 고정 캡 조립체 및 이음관{CAP ASSEMBLY AND JOINT PIPE INCLUDING THE SAME}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파이프 연결용 고정 캡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이음관, 및 파이프 연결이 필요한 오수받이 또는 소형맨홀 등과 같은 설비의 본체에 파이프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고정 캡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는 주로 유체(기체 또는 액체)나 분체의 수송에 사용된다. 파이프에 의해 구성되는 유체의 통로를 '관로' 라고 한다. 그리고 유체의 유량, 물성 값, 마찰저항 등을 고려하여 관로를 설치하는 것을 배관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배관 작업 시에는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파이프들이 서로 연결되는데, 이때 파이프 연결용 캡(이하, 고정 캡 조립체라 함)가 주로 이용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파이프 사이를 연결하는 이음관은 물론, 이외에도 오수받이 또는 소형 맨홀 등과 같은 설비제품에도 고정 캡 조립체는 이용될 수 있다.
이음관은 복수의 파이프 사이를 연결하여 관로 방향을 바꾸거나 관로를 분기하고자 할 때 주로 이용된다.
또한, 오수받이 또는 소형 맨홀은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오수받이 또는 소형 맨홀에 의해 한군데로 모아진 오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기 파이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야 하며, 이때 파이프 연결용 고정 캡 조립체가 이용될 수 있다.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파이프의 연결을 위해 파이프의 일단 부위를 본체에 삽입한 후 캡을 체결시켜 파이프의 연결 부위를 구속시켰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설정 수준 이상의 높은 수압 조건 하에서 압력을 견디기에 부적합한 단점이 있었으며, 수밀 확보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최근 들어, 파이프의 연결을 위해 본체(또는 이음관 본체)와 파이프 사이에 실링부재를 설치하고, 캡의 체결 시 캡이 실링부재를 직접적으로 가압하여 실링 하는 방식이 소개되어 있다.
하지만, 설정 수준의 높은 내수압 조건에서 수밀 기능이 저하됨은 물론, 파이프를 강하게 결착하는 구조가 미흡하고, 파이프 연결 작업이 복잡하여 작업 편의성이 나쁜 단점이 있었다.
본 명세서의 목적은 파이프가 연결되어야 하는 대상 본체(예: 이음관, 오수받이, 소형맨홀 등)와, 파이프 사이의 연결 작업을 간편하게 해주면서도, 강한 결착력으로 파이프의 연결을 유지시켜주는 고정 캡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목적은 상기의 고정 캡 조립체를 이용하여 복수의 파이프 사이를 연결해주는 이음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요소들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음관 또는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가 연결되는 본체, 예를 들어 오수받이, 소형맨홀 등의 파이프 연결부위에 파이프를 연결시키는 고정 캡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고정 캡 조립체는, 이음관의 본체 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파이프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는 고정 캡, 상기 고정 캡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캡의 체결에 따라 상기 본체와 상기 파이프 사이에 개재된 실링부재를 압축시키는 와셔 및 상기 와셔의 내주 면으로부터 상기 파이프의 외주 면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와셔의 수축에 따라 상기 파이프의 외주 면을 가압하여 상기 파이프를 고정하는 결착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결착부재는, 와셔의 내주 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원주 방향으로 삽입 고정되는 복수의 치형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3~10개로 분할된 치형 돌기가 와셔의 내주 면에 원주 방향으로 둘러 배치되어, 와셔의 수축 시 파이프의 외주 면을 가압하여 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결착부재는, 링형 몸체와 복수의 치형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링형 몸체는 상기 와셔의 내주 면에 삽입되며, 상기 와셔에 대응하여 수축 및 복원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치형 돌기 각각은, 일단부는 상기 링형 몸체의 내측에서 소정의 간격 홈을 두고 원주 방향으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파이프의 외주 면을 향해 톱니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치형 돌기 각각의 사이에는 일정거리를 두고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간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간격 홈 각각은, 원형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간격 홈의 형상이 원형 홈 형상, 예를 들어 각각의 간격 홈이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갖는 원형 홈 형상을 가지게 되면, 링형 몸체가 와셔에 대응하여 수축될 때 간격 내에서 특정 부위에 큰 하중이 집중되지 않고 하중이 고르게 분산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링형 몸체가 반복적으로 수축 및 복원되는 경우에도 소재의 국부적인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구수명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링형 몸체의 수축 및 복원 성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형 몸체는, 상기 와셔의 내주 면에 마련된 원형의 끼움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링형 몸체는 와셔의 내주 면에 마련된 원형의 끼움 홈에 삽입되어 와셔의 수축 및 복원에 따라 와셔와 함께 반경 방향으로 수축되거나 복원되는 거동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링형 몸체의 내측에 연결된 복수의 치형 돌기는 파이프의 외주 면을 향해 가압되거나 가압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파이프의 고정 및 해제를 가능하게 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착부재는, 상기 링형 몸체의 수축 시 복원에 필요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연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탄성연결부재는, 상기 링형 몸체의 링 형상 중에서 일부 원호 구간이 단절된 오프닝부에 양단이 연결되며,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서, 탄성연결부재는 링형 몸체의 단절된 오프닝부에 대응하는 형상 및 길이를 갖는 탄성 소재 밴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형 돌기는, 상기 링형 몸체로부터 멀어져 상기 돌출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이 축소되는 첨예부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첨예부는 파이프 외주 면을 물어 고정할 수 있는 날카로운 톱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첨예부의 일면은 상기 파이프의 연결 방향을 향해 구부러진 굴곡 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첨예부의 일면이 라운드 형상으로 구부러진 굴곡 면을 가지고, 이 굴곡 면이 파이프의 연결 방향에 마주하여 형성됨에 따라, 파이프의 삽입 시 파이프와 첨예부 간의 간섭이 줄어들어 파이프의 삽입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첨예부와 파이프 간의 연결 이후에는 파이프가 분리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파이프를 결착할 수 있어, 보다 강한 결착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치형 돌기는 서로 분리된 다수의 조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셔는, 상기 고정 캡의 체결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하며, 반경 방향으로 수축 및 복원되며, 상기 원형의 끼움 홈을 구비하는 제1 환형몸체; 상기 고정 캡의 체결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환형몸체의 후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환형몸체에 비해 축소된 직경을 갖는 제2 환형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환형몸체는 원주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을 두고 일자 형상으로 절개된 복수의 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환형몸체의 외주 면에는 상기 고정 캡의 체결 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돌출된 쐐기 형상 돌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캡은, 상기 파이프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중공을 갖는 환형의 캡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캡 몸체부는 상기 연결 대상 파이프의 외경 사이즈보다 큰 내경 사이즈를 가지며, 상기 캡 몸체부의 외주 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돌출된 복수 개의 원주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캡 몸체부의 내주 면에는, 상기 이음관 본체 양단의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암사나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파이프가 연결되는 상기 본체의 연결부에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파이프 수용부; 상기 파이프 수용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의 삽입 길이를 제한하도록 돌출된 파이프 지지부; 상기 파이프 수용부의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 캡의 암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 및 상기 파이프 수용부의 내부에서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를 수용하는 실링부재 수용부;를 포함한다.
상기 와셔는, 상기 고정 캡의 체결 시 선단 부위가 상기 실링부재 수용부를 향하여 진입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고정 캡의 체결 시 상기 실링부재 수용부 내에서 상기 와셔의 선단 부위의 가압에 의해 상기 본체와 상기 파이프 사이에서 접촉 면적이 확장되도록 탄성 변형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고정 캡 조립체를 이용한 이음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이음관은, 복수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이음관 본체; 상기 이음관 본체의 양단에 삽입되며, 상기 이음관 본체의 양단과 상기 파이프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 및 상기 파이프의 연결 부위를 둘러 감싸면서 상기 이음관 본체의 양단에 나사 체결되는 고정 캡과, 상기 고정 캡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캡의 체결에 따라 상기 이음관 본체와 상기 파이프 사이에 위치한 상기 실링부재를 압축시키며, 반경 방향으로 수축 및 복원되는 와셔, 및 상기 와셔의 내주 면으로부터 상기 파이프의 외주 면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와셔의 수축에 따라 상기 파이프의 외주 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복수의 치형 돌기를 포함하는 결착부재를 포함하는 고정 캡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이음관 본체는, 길이 양단에 위치하며, 복수의 연결 대상 파이프가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의 파이프 수용부; 및 상기 복수의 파이프 수용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복수의 파이프 수용부보다 직경이 축소된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의 길이 중심에는 상기 복수의 연결 대상 파이프 각각의 삽입을 제한하는 파이프 지지부가 상기 연결부의 내경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셔는, 상기 고정 캡의 체결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하며, 반경 방향으로 수축 및 복원되며, 상기 원형의 끼움 홈을 구비하는 제1 환형몸체; 상기 고정 캡의 체결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환형몸체의 후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환형몸체에 비해 축소된 직경을 갖는 제2 환형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환형몸체는 원주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을 두고 일자 형상으로 절개된 복수의 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환형몸체의 외주 면에는 상기 고정 캡의 체결 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돌출된 쐐기 형상 돌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파이프를 강한 결착력으로 연결시켜줌에 따라, 내수압 조건이 높은 경우에도 수밀 확보는 물론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와셔의 내주 면에 끼움 홈을 마련하고, 이 끼움 홈에 각각이 분할된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치형 돌기를 직접 조립하거나, 또는 끼움 홈에 삽입되는 링형 몸체에 복수의 치형 돌기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파이프를 결착하는 결착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고정 캡의 외부로 와셔와 결착부재의 형상이 노출되지 않아 외관 미관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며, 단순히 고정 캡의 체결 만으로도 와셔가 수축되고 결착부재가 파이프의 외주 면을 강하게 가압해 줄 수 있어 파이프의 연결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캡 조립체를 이용하여 본체에 파이프를 연결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캡 조립체를 이용하여 본체에 파이프를 연결한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캡 조립체를 제1 방향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캡 조립체를 제2 방향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캡 조립체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캡 조립체의 세부 구성 중 와셔 및 결착부재 간의 결합 구조 및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캡 조립체의 세부 구성 중 결착부재의 예시적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캡 조립체의 세부 구성 중 결착부재의 예시적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캡 조립체를 이용하여 본체에 파이프를 연결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캡 조립체를 이용하여 본체에 파이프를 연결한 이후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음관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고정 캡 조립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캡 조립체를 이용하여, 본체(예: 오수받이, 소형맨홀. 이음관 등)(110)에 파이프(10)를 연결한 모습을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한 쪽에는 파이프(10)가 연결되는 본체(예: 오수받이, 소형맨홀, 이음관 등)(110)가 위치하고, 다른 한 쪽에는 파이프(10)가 위치한다.
본체(110)와 파이프(10) 사이에는 고정 캡 조립체(130)가 위치하며, 고정 캡 조립체(130)는 본체(110)와 파이프(10)를 간단한 방식으로 신속하게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본체(110)는 설명의 편의상 '본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구체적인 예로는 파이프(10)가 연결되는 각종 설비, 예를 들어 오수받이, 소형맨홀 등의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체(110)는 복수의 파이프(10) 사이에서 유체의 유동 방향을 변경하거나 분기시키도록 연결되는 다양한 형태의 이음관 일 수 있다.
고정 캡 조립체(130)는 높은 내수압 조건에서 본체(110)와 파이프(10)를 연결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높은 방수 성능은 물론 연결된 파이프(10)를 강한 결착력으로 물어 고정하므로, 파이프(10)의 분리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캡 조립체(130)는 본체(110)에 파이프(10)를 연결시키기 위한 복잡한 사전 작업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드시 파이프(10)를 본체(110)에 먼저 일부 삽입시킨 상태에서 고정 캡(140)을 체결해야 한다든가 또는 고정 캡(140)의 체결 전에 별도의 와셔(160)를 미리 삽입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배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캡 조립체(130)를 이용하게 되면, 본체(110)에 파이프(10)를 연결하는 파이프 시공 작업을 작업자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캡 조립체를 이용하여 본체에 파이프를 연결하기 전 분해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고정 캡 조립체(130)는 고정 캡(140), 와셔(160), 결착부재(180)를 포함한다.
고정 캡(140)은 파이프(10)가 연결되는 본체(110)의 연결 부위와 결합되며, 본체(110)에 파이프(1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고정 캡(140)은 파이프(10)의 연결 부위를 감싸면서 본체(110)의 연결 부위에 나사 체결된다.
고정 캡(140)은 본체(110)와 파이프(10) 사이를 고정시키며 본체(110)에 체결됨에 따라, 본체(110)에 연결된 파이프(10)의 연결상태를 구속하여 유지시키며, 파이프(10)의 분리 및 이탈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고정 캡(140)은 환형의 캡 몸체부(141)를 포함한다. 캡 몸체부(141)는 파이프(10)의 외경 사이즈보다 큰 내경 사이즈를 가지며, 파이프(10)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캡 몸체부(141)의 외주 면에는 원주 돌기(142)가 구비된다. 원주 돌기(142)는 캡 몸체부(141)의 외주 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띠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캡 몸체부(141)의 내주 면에는 암나사부(144)가 구비된다. 캡 몸체부(141)의 암나사부(144)는 본체(110)에 구비된 수나사부(112)와 나사 결합된다.
여기서, 본체(110)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10)가 연결되는 다양한 설비 장치, 예를 들어 오수받이, 소형맨홀, 이음관 등의 장치의 본체(110)를 말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10)는 파이프(10)가 연결되는 연결부(115)와, 연결부(115)에 형성되며 파이프(1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파이프 수용부(111)를 포함한다.
파이프 수용부(111)의 내부에는 삽입되는 파이프(10)의 길이를 제한하는 파이프 지지부(11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수나사부(112)는 파이프 수용부(111)의 외부에 형성되며, 고정 캡(140)의 암나사부(144)와 나사 결합되어 고정 캡(140)의 체결을 가능하게 해준다.
한편, 본체(110)의 내부, 더 구체적으로는 파이프 수용부(111)의 내부에는 실링부재(120)를 수용하는 실링부재 수용부(117, 도 9 참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실링부재 수용부(117, 도 9 참조)는 파이프 수용부(11)의 내부에서 단차지게 형성되어 본체(110)와 파이프(10) 사이에서 실링부재(120)가 설정 위치에 개재되어 수밀 확보 기능을 갖도록 해준다.
실링부재(120)는 본체(110)와 파이프(10) 사이에서 수밀 확보 기능을 제공하도록 고정 캡(140)의 체결에 따라 실링부재 수용부(117, 도 9 참조) 상에서 강하게 압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실링부재(120)는 외력에 의해 탄성 수축 및 복원이 가능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부재(120)는 실링용 고무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와셔(160)는 고정 캡(140)의 내측에 위치하며, 고정 캡(140)의 체결에 따라 본체(110)와 파이프(10) 사이에 개재된 실링부재(120)를 압축시켜 수밀 확보 기능을 제공한다.
실링부재(120)는 고정 캡(140)의 체결 시 와셔(160)의 선단 부위의 가압에 의해 본체(110)와 파이프(10) 사이에서 강하게 압축되어 틈새를 밀봉한다. 이로써, 높은 내수압 조건에서도 수밀 확보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와셔(160)는 고정 캡(140)의 내측에 링 형상으로 결합되는데, 고정 캡(140)의 체결에 따라 반경 방향으로 수축되고, 고정 캡(140)의 체결이 해제되면 반경 방향으로 복원된다.
예를 들어, 와셔(160)는 고정 캡(140)의 체결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하며 반경 방향으로 수축 및 복원되는 제1 환형몸체(161)와, 제1 환형몸체(161)의 후단에 연결되는 제2 환형몸체(163)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제1 환형몸체(163)는 원주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을 두고 일자 형상으로 절개된 복수의 갭(1612)을 포함하며, 제1 환형몸체(163)의 외주 면에는 고정 캡(140)의 체결 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돌출되는 쐐기 형상 돌기(1611)가 구비된다.
결착부재(180)는 와셔(160)의 내주 면으로부터 파이프(10)의 외주 면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치형 돌기(18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치형 돌기(183)는 와셔(160)의 수축 시 와셔(160)의 내경을 통해 삽입되는 파이프(10)의 외주 면을 향해 소정 길이로 돌출되어 파이프(10)를 강하게 결착시킬 수 있는 톱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복수의 치형 돌기(183)는 3 ~ 10개 정도의 개수로 분할된 조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데, 각각의 치형 돌기(183)는 와셔(160)의 내주 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씩 삽입 고정되어 원주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를 가짐에 따라, 복수의 치형 돌기(183)는 와셔(160)의 수축 시 파이프(10)의 외주 면을 물어 파이프를 강하게 결착시킬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서, 결착부재(180)는 링형 몸체(181)와 복수의 치형 돌기(183)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캡 조립체를 제1, 2 방향에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고정 캡 조립체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와셔 및 결착부재 간의 결합 구조 및 형상을 보여준다.
고정 캡(140)은 파이프(10)의 연결 부위를 감싸면서 본체(110)의 연결부(115)에 나사 체결되며, 본체(110)와 파이프(10) 사이를 고정시켜준다.
고정 캡(140)은 환형의 캡 몸체부(141)를 포함한다. 환형의 캡 몸체부(141)는 파이프(10)의 외경 사이즈보다 큰 내경 사이즈를 가지며, 캡 몸체부(141)의 외주 면에는 원주 돌기(142)가 구비되어, 설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본체(110)에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원주 돌기(142)는 캡 몸체부(141)의 외주 면에 띠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환형의 캡 몸체부(141)의 내주 면에는 암나사부(144)가 구비되며, 암나사부(144)는 본체(110, 도 2 참조)의 수나사부(112, 도 2 참조)와 나사 결합된다.
고정 캡(140)은 내경축소부(143)를 더 포함한다.
내경축소부(143)는 환형의 캡 몸체부(141)에서 고정 캡(140)의 체결 방향 후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파이프(10)의 외경 사이즈에 대응하는 내경 사이즈를 갖도록 직경이 축소되는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내경축소부(143)는 본체(110)에 연결되는 파이프(10)를 둘러 감싸도록 형성되어 파이프(10)를 지지하는 동시에, 와셔(160)의 제2 환형 몸체(163)와 접촉되어 고정 캡(140)과 와셔(160) 간의 분리 및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와셔(160)는 고정 캡(140)의 내측에 결합된다. 와셔(160)는 고정 캡(140)의 체결 시 본체(110)와 파이프(10) 사이의 실링부재(120)를 압축시킨다.
예를 들어, 와셔(160)는 고정 캡(140)의 체결 시 선단 부위가 실링부재 수용부(117, 도 9 참조)를 향하여 진입하도록 형성된다.
와셔(160)는 고정 캡(140)의 내측에 링 형상으로 결합된다. 특히, 와셔(160)는 고정 캡(140)의 체결에 따라 반경 방향으로 수축되고, 고정 캡(140)의 체결이 해제되면 반경 방향으로 수축된 형상이 원래대로 복원된다. 이를 위해, 와셔(160)는 와셔(160)는 고정 캡(140)의 체결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하며 반경 방향으로 수축 및 복원되는 제1 환형몸체(161)와, 제1 환형몸체(161)의 후단에 연결되는 제2 환형몸체(163)를 포함한다. 제2 환형몸체(163)는 제1 환형몸체(161)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축소된 형상을 갖는다.
제1 환형몸체(161)는 원주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을 두고 일자 형상으로 절개된 복수의 갭(1612)을 포함한다. 복수의 갭(1612)은 제1 환형몸체(161)의 반경 방향 수축 및 복원을 가능하게 해준다. 즉, 복수의 갭(1612)의 축소 및 확장에 의해 제1 환형몸체(161)는 반경 방향으로 수축되거나 복원될 수 있다.
제1 환형몸체(161)의 외주 면에는 쐐기 형상 돌기(1611)가 더 구비된다.
쐐기 형상 돌기(1611)는 제1 환형몸체(161)의 외주 면에서 고정 캡(140)의 체결 방향을 하향 경사지게 돌출되는 쐐기 모양의 부위를 말한다.
쐐기 형상 돌기(1611)는 고정 캡(140)이 본체(110)에 체결 시 본체(110)에서 돌출된 연장몸체(113)의 삽입안내면(118)에 마주하여 반경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에 따라, 고정 캡(140)의 체결 시 제1 환형몸체(161)는 파이프(10) 쪽으로 오므려지도록 와셔(160)가 수축될 수 있다.
결착부재(180)는 와셔(160)의 내주 면으로부터 파이프(10)의 외주 면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치형 돌기(18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결착부재(180)는 링형 몸체(181), 복수의 치형 돌기(183) 및 탄성연결부재(182)를 포함한다. (도 7 참조)
도 7을 참조하면, 링형 몸체(181)는 와셔(160, 도 6 참조)의 내주 면에 삽입되는 링 형상의 금속 부재를 말한다. 링형 몸체(181)는 외부 압력에 의해서 휘어질 수 있는 연성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링형 몸체(181)는 고정 캡(140)의 체결 시 반경 방향으로 수축되는 와셔(160, 도 6 참조)의 내주 면에 삽입되므로, 와셔(160, 도 6 참조)의 수축에 대응하여, 와셔(160, 도 6 참조)와 함께 반경 방향으로 수축될 수 있다.
복수의 치형 돌기(183)는 각각의 일단부는 링형 몸체(181)의 내측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원주 방향으로 연결된다. 복수의 치형 돌기(183) 각각의 타단부는 링형 몸체(181)의 반경 방향으로 톱니 형상으로 돌출된다.
이때, 복수의 치형 돌기(183) 각각의 사이에는 일정거리를 두고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간격 홈(185)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간격 홈(185) 각각은 원형 홈(또는 반원형 홈이나 원호형상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간격 홈(185)이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갖는 원형 홈 형상을 가질 경우, 링형 몸체(181)가 와셔(160, 도 6)의 수축에 대응하여 수축될 때, 간격 홈(185) 중 어느 특정 부위에 큰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치형 돌기(183) 각각의 사이마다 원형 홈 형상의 간격 홈(185)이 하나씩 형성됨에 따라, 결착부재(180)가 수축되거나 팽창(복원)될 때 결착부재(180)에 가해지는 하중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그 결과, 금속 소재의 결착부재(180)의 국부적인 손상 또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결착부재(180)의 수축 및 복원에 따른 내구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링형 몸체(181)는 와셔(160)의 내주 면에 마련된 원형의 끼움 홈(162)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분리된 조각 형태의 복수의 치형 돌기(183)를 일일이 하나씩 와셔(160)에 끼워 조립하지 않아도 되며, 링형 몸체(181)는 와셔(160)의 수축 및 복원에 따라 와셔(160)와 함께 반경 방향으로 수축되거나 복원되는 거동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링형 몸체(181)의 내측에 연결된 복수의 치형 돌기(183)는 파이프(10)의 외주 면을 가압하거나 또는 가압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출몰할 수 있으며, 파이프를 고정 및 고정 해제시킬 수 있다.
탄성연결부재(182)는 링형 몸체(181)의 복원에 필요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연결부재(182)는 링형 몸체(181)의 링 형상 중에서 일부 원호 구간이 단절된 오프닝 부위에 양단이 연결되는 탄성을 갖는 밴드 형상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연결부재(182)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링형 몸체(181)와 달리, 보다 탄력적이고 플렉시블 하며 쉽게 끊어지지는 않으면서 필요한 만큼 신장되거나 신장 후 외력이 해제되면 초기 형상으로 복원 가능한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연결부재(182)는 고무 등의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 캡 조립체(130)가 본체(110)와 회전 결합되면 와셔(160)가 수축되면서 링형 몸체(181)가 반경 방향으로 수축된다. 링형 몸체(181)가 반경 방향으로 수축됨에 따라서 탄성연결부재(182)의 양단이 가압되어 탄성연결부재(182)가 수축된다.
반대로 본체(110)에 회전 결합되었던 고정 캡 조립체(130)가 본체(110)로부터 분리되면 와셔(160)가 팽창된다. 와셔(160)가 팽창될 때 탄성연결부재(182)의 탄성력이 링형 몸체(181)와 탄성연결부재(182)의 연결 부위에 전달된다. 이 탄성력에 의해서, 수축되었던 링형 몸체(181)가 팽창된다. 링형 몸체(181)가 팽창됨으로써 치형 돌기(183)가 파이프(10)의 외주 면을 가압하지 않게 되어 파이프(10)가 본체(11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치형 돌기(183)는 링형 몸체(181)에서 멀어져 돌출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이 축소되는 첨예부(1831)를 가질 수 있다. 첨예부(1831)는 파이프의 외주 면을 날카롭게 물어 고정할 수 있는 톱니 형상의 선단 부위를 말한다.
이때, 첨예부(1831)의 일면은 파이프의 연결 방향(W1, 도 5 참조)을 향해 구부러진 굴곡 면(1832)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첨예부(1831)의 일면이 라운드 형상으로 구부러진 굴곡 면(1832)을 가지고, 이 굴곡 면(1832)이 파이프의 연결 방향(W1, 도 5 참조)에 마주하여 형성될 경우, 파이프(10, 도 10 참조)의 삽입 시 파이프와 첨예부(1831) 간의 마찰 또는 간섭이 줄어들 수 있다. 이로써, 파이프(10)의 삽입이 쉬워지고, 파이프(10)의 표면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첨예부(1831)와 파이프(10) 간의 연결 이후에는 파이프(10)가 분리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첨예부(1831)가 향할 수 있어, 파이프(10)의 분리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다 높은 강도로 파이프를 결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결착부재(180)는 와셔(160)의 내주 면에 직접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된 복수의 치형 돌기(183a 내지 183h)만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 참조) 이 경우 복수의 치형 돌기(183a 내지 183h)는 서로 분리된 다수의 조각 형태로 제공된다.
각각의 치형 돌기(183a 내지 183h)는 외부 압력에 의해서 휘어질 수 있는 연성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치형 돌기(183a 내지 183h)에는 원형 또는 반원 형상의 간격 홈(185)이 형성된다. 각각의 치형 돌기(183a 내지 183h)에 형성되는 간격 홈(185)에 의해서 결착부재(180)가 수축되거나 팽창(복원)될 때 결착부재(180)에 가해지는 하중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그 결과, 금속 소재의 결착부재(180)의 국부적인 손상 또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결착부재(180)의 수축 및 복원에 따른 내구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8에는 결착부재(180)가 8개의 치형 돌기(183a 내지 183h)를 포함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결착부재(180)에 포함되는 치형 돌기의 수는 실시예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각각의 치형 돌기(183a 내지 183h)는 와셔(160)의 내주 면에 삽입 고정되어 톱니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캡 조립체를 이용하여 본체에 파이프를 연결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0는 고정 캡 조립체를 이용하여 본체에 파이프를 연결한 이후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먼저, 본체(110)에 고정 캡 조립체(130)가 일부 체결된다(도 9 참조). 이어서, 본체(110)에 파이프(10)를 삽입시키고, 고정 캡 조립체(130)의 체결을 완료한다(도 10 참조).
도 9을 참조하면, 파이프(10)를 삽입하기 전에, 본체(110)에 실링부재(120)가 삽입된다. 고정 캡(140)의 체결 시, 와셔(160)는 고정 캡(140)과 함께 체결 방향을 향하여 본체(110)의 내부로 진입되며, 실링부재(120)를 가압한다.
실링부재(120)는 탄성 링(121)과 탄성 띠(123)를 포함한다. 탄성 링(121)은 실링부재 수용부(117)에 수용되며, 고정 캡(140)의 체결 시 와셔(160)의 선단 부위에 의해 가압된다. 탄성 띠(123)는 탄성 링(121)에 띠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와셔(160)의 가압에 의해 탄성 링(121)이 접촉 면적이 증가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로써, 높은 내수압 조건에서도 수밀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0를 참조하면, 본체(110)에 파이프(10)가 완전 삽입된 후 고정 캡(140)의 체결이 완료된다.
본체(110)는 파이프(10)가 연결되는 각종 설비, 예를 들어 오수받이, 소형맨홀 등의 장치(101)의 적어도 일부를 말하는데, 파이프(10)는 본체(110)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고정 캡(140)이 완전 체결되는 동안 와셔(160)의 제1 환형 몸체(161)는 삽입안내면(118)에 밀착하여 반경 방향으로 수축된다. 이에 따라, 제1 환형 몸체(161)의 끼움 홈(162)에 고정된 결착부재(180)는 반경 방향으로 수축되며, 치형 돌기(183)는 파이프(10)의 외주 면을 강하게 물어 파이프(10)의 연결 상태를 고정시킨다.
본체(110)의 삽입안내면(118)은 고정 캡(140)의 체결 진행 정도에 따라 와셔(160) 및 결착부재(180)를 반경 방향으로 수축시키는 역할을 하며, 결과적으로 치형 돌기(183)가 파이프(10)의 외주 면을 가압하도록 해준다.
이음관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음관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이음관은 이음관 본체(310), 복수의 실링부재(120), 복수의 고정 캡 조립체(130)를 포함한다.
이음관 본체(310)는 복수의 파이프(10)를 양단에 연결하여 유동 방향을 연장시켜주거나 변경시켜주는 것으로, 반드시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ㄱ' 형상, 'Y'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음관 본체(310)는 파이프가 수용되는 파이프 수용부(311) 및 고정캡(140)의 내주 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144)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312)를 포함한다. 또한 수나사부(112)의 외측 단부에는 이음관 본체(310)의 길이 양단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돌출되는 연장몸체(113)가 형성된다.
또한 이음관 본체(310)는 복수의 파이프 수용부(311) 사이를 연결하는 관형 몸체인 연결부(315)를 포함한다. 연결부(315)는 복수의 파이프 수용부(311)보다 직경이 축소된 관체 형상을 가지는데, 연결부(115)의 길이는 반드시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보다 길거나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연결부(115)는 실시예에 따라서 'ㄱ' 형상, 'Y'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실링부재(120)는 이음관 본체(310)의 양단에 삽입되며, 이음관 본체(310)의 양단과 복수의 파이프(10) 사이를 실링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이음관은 이음관 본체(310)와 복수의 파이프(10) 사이를 연결 및 고정시켜주는 복수의 고정 캡 조립체(130)를 포함한다. 고정 캡 조립체(130)는 고정 캡(140), 와셔(160), 결착부재(180)을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 캡 조립체(130)에 관한 설명은 앞서 도 1 내지 도 10를 참조하여 설명된 내용과 중복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파이프를 강한 결착력으로 연결시켜줌에 따라, 내수압 조건이 높은 경우에도 수밀 확보는 물론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파이프를 강한 결착력으로 연결시켜줌에 따라, 내수압 조건이 높은 경우에도 수밀 확보는 물론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와셔의 내주 면에 끼움 홈을 마련하고, 이 끼움 홈에 각각이 분할된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치형 돌기를 직접 조립하거나, 또는 끼움 홈에 삽입되는 링형 몸체에 복수의 치형 돌기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파이프를 결착하는 결착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고정 캡의 외부로 와셔와 결착부재의 형상이 노출되지 않아 외관 미관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며, 단순히 고정 캡의 체결 만으로도 와셔가 수축되고 결착부재가 파이프의 외주 면을 강하게 가압해 줄 수 있어 파이프의 연결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파이프 110: 본체
111: 파이프 수용부 112: 수나사부
113: 연장몸체 115: 연결부
116: 파이프 지지부 117: 실링부재 수용부
118: 삽입안내면 120: 실링부재
121: 탄성 링 123: 고무 띠
130: 고정 캡 조립체 140: 고정 캡
141: 캡 몸체부 142: 원주 돌기
143: 내경축소부 144: 암나사부
160: 와셔 161: 제1 환형몸체
1611: 쐐기 형상 돌기 1612: 갭
162: 끼움 홈 163: 제2 환형몸체
180: 결착부재 181: 링형 몸체
182: 탄성연결부재 183: 치형 돌기
1831: 첨예부 1832: 굴곡 면
185: 간격 홈(또는 원형 홈) 310: 이음관 본체
311: 파이프 수용부 312: 수나사부
313: 연장몸체 315: 연결부
316: 파이프 지지부 317: 실링부재 수용부
318: 삽입안내면

Claims (12)

  1. 이음관의 본체 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파이프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는 고정 캡;
    상기 고정 캡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캡의 체결에 따라 상기 본체와 상기 파이프 사이에 개재된 실링부재를 압축시키는 와셔; 및
    상기 와셔의 내주 면으로부터 상기 파이프의 외주 면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와셔의 수축에 따라 상기 파이프의 외주 면을 가압하여 상기 파이프를 고정하는 결착부재;
    를 포함하는 고정 캡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재는,
    복수의 치형 돌기; 및
    상기 와셔의 내주 면에 삽입되며, 상기 와셔에 대응하여 반경 방향으로 수축 및 복원되는 링형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치형 돌기 각각은,
    일단부는 상기 링형 몸체의 내측에서 소정의 간격 홈을 두고 원주 방향으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파이프의 외주 면을 향해 톱니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캡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치형 돌기 각각의 사이에는 일정거리를 두고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간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캡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간격 홈 각각은,
    원형 홈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캡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몸체는,
    상기 와셔의 내주 면에 마련된 원형의 끼움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캡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재는,
    상기 링형 몸체의 수축 시 복원에 필요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연결부재는,
    상기 링형 몸체의 링 형상 중에서 일부 원호 구간이 단절된 오프닝부에 양단이 연결되며,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캡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 돌기는,
    상기 링형 몸체로부터 멀어져 상기 돌출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이 축소되는 첨예부를 가지며,
    상기 첨예부의 일면은 상기 파이프의 연결 방향을 향해 구부러진 굴곡 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캡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치형 돌기는
    서로 분리된 다수의 조각 형태로 제공되는
    고정 캡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상기 고정 캡의 체결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하며, 반경 방향으로 수축 및 복원되며, 상기 원형의 끼움 홈을 구비하는 제1 환형몸체;
    상기 고정 캡의 체결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환형몸체의 후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환형몸체에 비해 축소된 직경을 갖는 제2 환형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환형몸체는 원주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을 두고 일자 형상으로 절개된 복수의 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환형몸체의 외주 면에는 상기 고정 캡의 체결 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돌출된 쐐기 형상 돌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캡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캡은,
    상기 파이프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중공을 갖는 환형의 캡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캡 몸체부는 상기 연결 대상 파이프의 외경 사이즈보다 큰 내경 사이즈를 가지며,
    상기 캡 몸체부의 외주 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돌출된 복수 개의 원주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캡 몸체부의 내주 면에는, 상기 본체의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암사나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캡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파이프가 연결되는 상기 본체의 연결부에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파이프 수용부;
    상기 파이프 수용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의 삽입 길이를 제한하도록 돌출된 파이프 지지부;
    상기 파이프 수용부의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 캡의 암나사부(144)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 및
    상기 파이프 수용부의 내부에서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를 수용하는 실링부재 수용부;
    를 포함하는 고정 캡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상기 고정 캡의 체결 시 선단 부위가 상기 실링부재 수용부를 향하여 진입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고정 캡의 체결 시 상기 실링부재 수용부 내에서 상기 와셔의 선단 부위의 가압에 의해 상기 본체와 상기 파이프 사이에서 접촉 면적이 확장되도록 탄성 변형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링을 포함하는
    고정 캡 조립체.

KR1020210079623A 2021-06-18 2021-06-18 파이프 연결용 고정 캡 조립체 및 이음관 KR102632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623A KR102632634B1 (ko) 2021-06-18 2021-06-18 파이프 연결용 고정 캡 조립체 및 이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623A KR102632634B1 (ko) 2021-06-18 2021-06-18 파이프 연결용 고정 캡 조립체 및 이음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328A true KR20220169328A (ko) 2022-12-27
KR102632634B1 KR102632634B1 (ko) 2024-02-01

Family

ID=84567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623A KR102632634B1 (ko) 2021-06-18 2021-06-18 파이프 연결용 고정 캡 조립체 및 이음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6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4976B1 (ko) * 2023-05-16 2024-01-15 굿비비 주식회사 각도조절형 물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3749A (ja) * 2003-10-28 2005-05-26 Bridgestone Corp パイプ継手のサイズの識別方法
KR102201374B1 (ko) * 2020-06-03 2021-01-11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이음관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3749A (ja) * 2003-10-28 2005-05-26 Bridgestone Corp パイプ継手のサイズの識別方法
KR102201374B1 (ko) * 2020-06-03 2021-01-11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이음관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4976B1 (ko) * 2023-05-16 2024-01-15 굿비비 주식회사 각도조절형 물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2634B1 (ko)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88923B2 (ja) 波形のたわみ管用の管継手
CN108431479B (zh) 转接联结件
JPS5854295A (ja) 筒状接続体へのホ−ス固定装置
AU2008220543B2 (en) Pipe coupling
JPH02107886A (ja) 加圧流体を受容する、滑らかなパイプ用の接合具
RU2675959C2 (ru) Вставная муфта
KR20220169328A (ko) 파이프 연결용 고정 캡 조립체 및 이음관
US20070296212A1 (en) Connector and Adapter Piece for Corrugated Pipes
KR102397246B1 (ko) 고정 캡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음관
US11306855B2 (en) Fluid conduit connector
JP2007514108A (ja) 波形管の端部に結合するための装置
KR102201374B1 (ko) 이음관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 방법
JP4135111B2 (ja) 自在継手管
KR101208671B1 (ko) 파이프 고정기구
GB2350656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a conduit with a corrugated outer surface to another element
JP3479354B2 (ja) 管接続構造
JP3335879B2 (ja) パイプ継手
CN212657420U (zh) 一种用于灌溉的旁通装置
JP5427378B2 (ja)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JP7231733B2 (ja) マルチパートコネクタアセンブリ
KR20180051024A (ko) 하수관 연결구용 씰링패드
JP3900448B2 (ja) コルゲート管用継手
JP5238405B2 (ja)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CN110770487A (zh) 用于管夹的密封套筒及具有密封套筒的管夹
KR20230078296A (ko) 범용 사용 가능한 파형관 연결용 멀티 이음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