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4976B1 - 각도조절형 물꼬장치 - Google Patents

각도조절형 물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4976B1
KR102624976B1 KR1020230063366A KR20230063366A KR102624976B1 KR 102624976 B1 KR102624976 B1 KR 102624976B1 KR 1020230063366 A KR1020230063366 A KR 1020230063366A KR 20230063366 A KR20230063366 A KR 20230063366A KR 102624976 B1 KR102624976 B1 KR 102624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emale
male
wat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3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연
김식
Original Assignee
굿비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굿비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굿비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63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49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각도조절형 물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본 발명은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의 외향측 말단에는 환형 플랜지가 마련된 암관; 상기 암관과 직각을 이루는 제1 관으로 이루어진 농수로측 물꼬관; 상기 암관의 내부로 삽관되되 그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와 체결되는 숫나사가 형성되어 풀림 또는 조임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이며, 상기 숫나사의 내향측 말단부에는 상기 환형 플랜지와 대응되는 위치에 오링 설치부가 마련된 숫관; 상기 숫관과 직각을 이루는 제2 관으로 이루어진 농지측 물꼬관; 및 상기 오링 설치부에 고정 설치된 채, 상기 암관과 숫관의 결합에 의해 상기 환형 플랜지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암관과 숫관 사이를 수밀하는 수밀오링;을 포함하며, 상기 암나사의 내향측 말단부에는 나선 사이가 점차 벌어지는 확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숫관의 외단부 일측 구간에는 절취부를 형성하여 상기 숫나사의 말단이 노출되도록 함에 따라, 숫나사를 암나사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숫나사의 말단에 의해 암나사골에 끼여 있는 이물질을 스크레이핑(scraping)하여 확장부로 밀어서 배출되도록 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환형 플랜지의 폭은 상기 오링 설치부의 폭보다 큰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각도조절형 물꼬장치{Angle-adjustable wat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농지와 농수로 사이를 연결하여 농수로의 물을 농지로 공급하거나 또는 농지의 물을 농수로로 배수하기 위한 수로 역할을 하는 물꼬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농지측 물꼬관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점, 농수로측 물꼬관과 농지측 물꼬관을 나사방식으로 직결하여 결합구조를 단순화 한 점, 암나사의 나사골 사이로 이물질이 끼였을 때 별도의 도구 없이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점에 특징을 갖는 각도조절형 물꼬장치에 관한 것이다.
논과 같은 담수 농경지는 그 둘레에 물을 가두기 위한 둑이 있고, 둑에는 담수 농경지의 안쪽으로 물을 급수하기 위한 취수 물꼬와 농경지 안쪽의 담수를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 물꼬가 설치된다. 이들 취수 물꼬와 배수 물꼬는 취수로 또는 배수로와 연결된다.
관련 선행문헌 중 하나인 공개실용신안 제1999-1639호(선행문헌 1)에서는 담수 농경지의 안쪽과 바깥쪽을 연결하는 수문을 만들고, 이 수문을 수위조절판으로 개폐시키는 물꼬가 개시되어 있다. 이 물꼬는 수문을 갖는 물꼬본체와, 물꼬본체의 수문에 힌지 결합되는 수위 조절판과, 물꼬본체의 양측 고정벽에 구성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며, 수위조절판을 회전시켜 수위조절판의 하부 양측에 구비되는 후크걸림구를 가이드레일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성되는 복수의 후크걸림홈에 걸리게 함으로써 수위조절판의 열림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선행문헌 1에 개시된 배수물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위조절판 회전부위와 물꼬본체의 양 측 고정벽과의 사이에 틈새가 생겨서 이를 통해 누수가 발생하게 되며, 여름철 뜨거운 태양열에 의한 열화작용으로 플라스틱 회전부재 또는 양 측 고정부재가 변형되면서 개폐작동이 원활치 않을 수 있다.
또한, 수위조절판이 회전하면서 수문의 하부로부터 개방되기 때문에 배수압이 커서 수위조절판의 열림각도를 조절하기가 쉽지 않고, 수위조절판을 닫기 위해서는 큰 힘이 필요하다.
또한, 가이드레일에 흙이나 덤불 등의 이물질이 끼게 되면 수위조절판의 후크걸림구를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시키기 어렵고, 장시간 사용하면 후크걸림구가 마모되어 후크걸림구가 가이드레일의 후크걸림홈에서 이탈되어 수문이 쉽게 개방되는 문제도 있다.
또 다른 선행문헌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29382호(선행문헌 2)는 담수 농격지의 둑에 설치되어, 담수 농격지에 담수된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물관용 수동 배수물꼬로서, 둑에 매립 설치되는 물꼬 몸체와, 상기 담수 농경지의 안쪽과 바깥쪽을 연결하도록 물꼬 몸체에 관통 설치되는 배수관과, 배수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담수 농경지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와 배수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갖되, 유입부와 연결부가 소정걱도를 이루는 엘보우형 유입관을 포함하고, 엘보우형 유입관의 회전 각도에 따라 유입부의 높이가 담수 농경지의 수위보다 높거나 낮게 조절되도록 한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선행문헌 2는 물꼬 몸체가 구비되어 있어서 구성이 복잡하고 볼륨이 커서 설치가 난해하고, 배수관이 직관형으로 되어 각도 조절이 어려운 구조여서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설치상 제약이 따른다.
한편, 본인의 선행특허인 특허등록 제2348570호(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는 제1 드레인 엘보우관과 제2 드레인 엘보우관이 파이프 소켓에 의해 연결되고, 그 내부에 다수의 오링과 스냅링 등 다소 많은 부품이 구성되어 있어서 생산 및 조립공정이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상대적으로 비싸고, 사용중 파손율도 높아서 제품의 신뢰로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1639호 (문헌 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9382호 (문헌 3) 등록특허공보 제10-1757717호 (문헌 4) 등록특허공보 제10-2348570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농지측 물꼬관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점, 농수로측 물꼬관과 농지측 물꼬관을 나사방식으로 직결하여 결합구조를 단순화 한 점, 암나사의 나사골 사이로 이물질이 끼였을 때 별도의 도구 없이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점에 특징을 갖는 각도조절형 물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의 외향측 말단에는 환형 플랜지가 마련된 암관; 상기 암관과 직각을 이루는 제1 관으로 이루어진 농수로측 물꼬관; 상기 암관의 내부로 삽관되되 그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와 체결되는 숫나사가 형성되어 풀림 또는 조임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이며, 상기 숫나사의 내향측 말단부에는 상기 환형 플랜지와 대응되는 위치에 오링 설치부가 마련된 숫관; 상기 숫관과 직각을 이루는 제2 관으로 이루어진 농지측 물꼬관; 및 상기 오링 설치부에 고정 설치된 채, 상기 암관과 숫관의 결합에 의해 상기 환형 플랜지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암관과 숫관 사이를 수밀하는 수밀오링;을 포함하며, 상기 암나사의 내향측 말단부에는 나선 사이가 점차 벌어지는 확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숫관의 외단부 일측 구간에는 절취부를 형성하여 상기 숫나사의 말단이 노출되도록 함에 따라, 숫나사를 암나사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숫나사의 말단에 의해 암나사골에 끼여 있는 이물질을 스크레이핑(scraping)하여 확장부로 밀어서 배출되도록 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환형 플랜지의 폭은 상기 오링 설치부의 폭보다 큰 것을 더 포함하는 각도조절형 물꼬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관은 숫관측 단부로부터 반대쪽 단부로 갈수록 그 내용적이 점차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환형 플랜지의 폭은 상기 오링 설치부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오링 설치부는 서로 이격된 2개의 환형돌기로 구성되며, 상기 수밀오링은 상기 2개의 환형돌기 사이에 요입되는 환형의 오링 몸체와, 상기 오링 몸체의 외주면 상에 마련되는 경사형 날개부로 구성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농지측 물꼬관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서 농지의 수위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농수로측 물꼬관과 농지측 물꼬관을 나사방식으로 직결하여 결합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두 물꼬관의 조립이 손쉽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설치장소의 특성상 암나사의 나사골에 진흙이나 이물질이 쉽게 끼일 수 있는 점을 감안하여 농수로측 물꼬관과 농지측 물꼬관을 나사 결합하는 과정 중에 이물질을 손쉽게 밀어 낼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농지측 물꼬관의 각도조절은 물론 분해 결합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형 물꼬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암관과 숫관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암관의 확장부를 나타낸 요부 발췌 사시도,
도 5는 숫관의 절취부 및 숫나사 말단 부위를 나타낸 요부 발췌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형 물꼬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암관과 숫관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암관의 확장부를 나타낸 요부 발췌 사시도, 도 5는 숫관의 절취부 및 숫나사 말단 부위를 나타낸 요부 발췌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형 물꼬장치()는 기본적으로 농지측 물꼬관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농수로측 물꼬관과 농지측 물꼬관을 나사방식으로 직결하여 결합구조를 단순화하고, 암나사의 나사골 사이로 이물질이 끼였을 때 별도의 도구 없이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점에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각도조절형 물꼬장치(100)는 농수로측 물꼬관(200), 농지측 물꼬관(300) 및 수밀오링(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농수로측 물꼬관(200)은 내주면에 암나사(211)가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의 외향측 말단에는 환형 플랜지(212)가 마련된 암관(210)과, 상기 암관과 직각을 이루는 제1 관(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암관(210)과 제1 관(220)은 사출에 의해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암나사(211)의 내향측 말단부에는 나선 사이가 점차 벌어지는 확장부(211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암나사(211)의 말단부를 만곡형으로 벌어지도록 형성하여 암나사골에 끼여 있는 이물질이 벌어진 확장부(211a)를 통하여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환형 플랜지(212)는 그 폭이 하기의 오링 설치부(후술함)의 폭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농지측 물꼬관(300)의 각도 조절 시 하기의 나사 풀림 및 조임에 의해 상기 수밀오링(400)의 위치가 도면상(도 3) 좌측 또는 우측으로 미세하게 변위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수밀오링(400)의 변위를 감안하여 환형 플랜지(212)의 폭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정확하게는 수밀오링(400)의 변위범위 보다 환형 플랜지(212)의 폭을 크게 해야 한다. 이에 따라, 수밀오링(400)과 환형 플랜지(212)간의 접촉이 항상 유지되어 수밀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농지측 물꼬관(300)은 상기 암관(210)의 내부로 삽관되되, 그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211)와 체결되는 숫나사(311)가 형성되며, 상기 숫나사의 내향측 말단부에 상기 환형 플랜지(212)와 대응되는 위치에 오링 설치부(312)가 마련된 숫관(310)과, 상기 숫관과 직각을 이루는 제2 관(3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숫관(310)과 제2 관(320)은 사출에 의해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숫관(310)의 외단부 일측 구간에는 절취부(313)를 형성하여 상기 숫나사(311)의 말단이 노출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숫나사(311)를 암나사(211)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숫나사의 노출된 말단에 의해 암나사골에 끼여 있는 이물질을 스크레이핑(scraping)하여 상기 확장부(211a)로 밀어서 배출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상기 숫나사(311)의 말단(311a)을 절취부(313)에 의해 노출시킴에 따라 체결과정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레이퍼 역할을 할 수 있게 되며, 확장부(211a)에 의해 이물질을 암나사(211) 영역으로부터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물질 제거는 농수로측 물꼬관(200)과 농지측 물꼬관(300)을 나사 체결할 때나, 또는 농지측 물꼬관(300)의 각도를 변경할 때 이물질에 의해 방해받지 않으므로 사용상 편리성을 제공한다.
상기 농지측 물꼬관(300)의 각도 조절은 농수로측 물꼬관(200)에 나사 체결된 상태이므로 풀림 또는 조임방향으로 회전을 통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각도 조절의 이유는 농지 내의 물을 외부로 적절하게 배출하면서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농지측 물꼬관(300)을 수직으로 세우게 되면 농지의 수위보다 농지측 물꼬관(300)의 입수구가 높게되므로 농지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반면, 농지측 물꼬관(300)을 바닥으로 눕히게 되면 그 입수구가 농지 내의 물수위 보다 낮아지게 되어 농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농지측 물꼬관(300)은 그 눕힘각도에 따라 입수구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물은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며, 입수구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물은 농지 내에 잔류하게 할 수 있으므로 농지 내의 수위 조절을 할 때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상기 제2 관(320)은 숫관(310)측의 단부로부터 반대쪽으로 갈수록 그 내용적이 점차 넓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농지의 물을 배출할 때 입수구 쪽에서는 유속이 느리도록 하여 농지 내의 이물질이 휩쓸려 들어오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고, 배출측으로 갈수록 내용적이 줄으듦에 따라 빠른 유속을 유발하여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오링 설치부(312)는 서로 이격된 2개의 환형돌기(312a)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밀오링(400)은 상기 2개의 환형돌기(312a) 사이에 요입될 수 있다.
상기 수밀오링(400)은 그 단면이 원형인 일반형의 오링이 사용될 수도 있고, 이와는 달리 오링 몸체(410)와, 상기 오링 몸체의 외주면 상에 마련되는 경사형의 날개부(420)로 구성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날개부(420)에 의해 상기 환형 플랜지(212)의 내주면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지게 되므로 수밀력을 보다 강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날개부(420)는 상기 제2 관을 향해 비스듬히 경사진 형태로 됨으로써 제1 관(220)에 제2 관(320)을 삽관할 때 원활성이 보장된다.
이상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100 : 각도조절형 물꼬장치 200 : 농수로측 물꼬관
210 : 암관 220 : 제1 관
211 : 암나사 211a : 확장부
212 : 환형 플랜지 300 : 농지측 물꼬관
310 : 숫관 311 : 숫나사
311a : 숫나사의 말단 312 : 오링 설치부
312a : 환형돌기 313 : 절취부
320 : 제2 관 400 : 수밀오링
410 : 오링몸체 420 : 날개부

Claims (4)

  1.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의 외향측 말단에는 환형 플랜지가 마련된 암관; 상기 암관과 직각을 이루는 제1 관으로 이루어진 농수로측 물꼬관;
    상기 암관의 내부로 삽관되되 그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와 체결되는 숫나사가 형성되어 풀림 또는 조임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이며, 상기 숫나사의 내향측 말단부에는 상기 환형 플랜지와 대응되는 위치에 오링 설치부가 마련된 숫관; 상기 숫관과 직각을 이루는 제2 관으로 이루어진 농지측 물꼬관; 및
    상기 오링 설치부에 고정 설치된 채, 상기 암관과 숫관의 결합에 의해 상기 환형 플랜지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암관과 숫관 사이를 수밀하는 수밀오링;을 포함하며,
    상기 암나사의 내향측 말단부에는 나선 사이가 점차 벌어지는 확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숫관의 외단부 일측 구간에는 절취부를 형성하여 상기 숫나사의 말단이 노출되도록 함에 따라, 숫나사를 암나사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숫나사의 말단에 의해 암나사골에 끼여 있는 이물질을 스크레이핑(scraping)하여 확장부로 밀어서 배출되도록 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환형 플랜지의 폭은 상기 오링 설치부의 폭보다 큰 것을 더 포함하는 각도조절형 물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관은 숫관측 단부로부터 반대쪽 단부로 갈수록 그 내용적이 점차 넓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형 물꼬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링 설치부는 서로 이격된 2개의 환형돌기로 구성되며,
    상기 수밀오링은 상기 2개의 환형돌기 사이에 요입되는 환형의 오링 몸체와, 상기 오링 몸체의 외주면 상에 마련되는 경사형 날개부로 구성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형 물꼬장치.
KR1020230063366A 2023-05-16 2023-05-16 각도조절형 물꼬장치 KR102624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3366A KR102624976B1 (ko) 2023-05-16 2023-05-16 각도조절형 물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3366A KR102624976B1 (ko) 2023-05-16 2023-05-16 각도조절형 물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4976B1 true KR102624976B1 (ko) 2024-01-15

Family

ID=89542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3366A KR102624976B1 (ko) 2023-05-16 2023-05-16 각도조절형 물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497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639U (ko) 1997-06-20 1999-01-15 한원교 물꼬
JP2001027215A (ja) * 1999-07-12 2001-01-30 Iwata Bolt Kk ボルト及びナット
KR200429382Y1 (ko) 2006-07-24 2006-10-2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물관리용 수동 배수물꼬
KR20110012665A (ko) * 2009-07-31 2011-02-09 김봉이 아파트용 엘보 일체형 플렉시블 조인트 스프링클러 시스템
KR20150027537A (ko) * 2013-09-04 2015-03-12 박노수 집수실을 형성한 매설형 배수물꼬
KR101757717B1 (ko) 2017-03-22 2017-07-26 (주)지금강이엔지 가요성의 주름관이 적용된 물꼬장치
KR102348570B1 (ko) 2021-08-25 2022-01-07 굿비비 주식회사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
KR20220169328A (ko) * 2021-06-18 2022-12-27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파이프 연결용 고정 캡 조립체 및 이음관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639U (ko) 1997-06-20 1999-01-15 한원교 물꼬
JP2001027215A (ja) * 1999-07-12 2001-01-30 Iwata Bolt Kk ボルト及びナット
KR200429382Y1 (ko) 2006-07-24 2006-10-2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물관리용 수동 배수물꼬
KR20110012665A (ko) * 2009-07-31 2011-02-09 김봉이 아파트용 엘보 일체형 플렉시블 조인트 스프링클러 시스템
KR20150027537A (ko) * 2013-09-04 2015-03-12 박노수 집수실을 형성한 매설형 배수물꼬
KR101757717B1 (ko) 2017-03-22 2017-07-26 (주)지금강이엔지 가요성의 주름관이 적용된 물꼬장치
KR20220169328A (ko) * 2021-06-18 2022-12-27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파이프 연결용 고정 캡 조립체 및 이음관
KR102348570B1 (ko) 2021-08-25 2022-01-07 굿비비 주식회사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8570B1 (ko)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
KR102624976B1 (ko) 각도조절형 물꼬장치
KR101025254B1 (ko) 농업용 배수장치
KR101976669B1 (ko)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
KR100375550B1 (ko) 관로 및 수로용 자동개폐수문
RU2377369C2 (ru) Колодец и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колодце
US7478645B2 (en) Hot and cold hydrant with swivel outlet
KR101248102B1 (ko) 농업 용수로용 급수조절장치
CN202164678U (zh) 一种全封闭侧排防臭易清洗地漏
KR102162939B1 (ko) 보울용 담수탱크를 갖는 가변식 직수 절수양변기
AU2017204467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 flow from an irrigation ditch
CN106284546A (zh) 可旋转管道连接系统
KR20150025711A (ko) 소음 저감식 물받이 관로
KR200195746Y1 (ko) 관로 지수체
KR100762411B1 (ko) 하수도용 덮개 판 높이 조절이 가능한 2중 힌지식 자동수문
CN212742795U (zh) 一种排水管道防倒灌装置
KR200282353Y1 (ko) 배수트랩
CN216009864U (zh) 一种便于组装的空调机组用排水管道
CN212294889U (zh) 一种防渗漏潜置地漏管道结构
KR200322595Y1 (ko) 우오수받이의 유입/출구 위치조정장치
JP2015137486A (ja) 排水装置
CN218972393U (zh) 一种可排污波纹疏水阀
KR20090043711A (ko) 시공이 용이한 우수 및 오수 공공물받이
US20240200701A1 (en) Check valve connector system
KR200332761Y1 (ko) 부동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