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669B1 -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 - Google Patents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6669B1 KR101976669B1 KR1020170054385A KR20170054385A KR101976669B1 KR 101976669 B1 KR101976669 B1 KR 101976669B1 KR 1020170054385 A KR1020170054385 A KR 1020170054385A KR 20170054385 A KR20170054385 A KR 20170054385A KR 101976669 B1 KR101976669 B1 KR 1019766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round bar
- screw round
- water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liding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수로의 개구된 상부에 고정되는 수로관고정받침부(100),
수로관고정받침부(100)의 일측에 고정되어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개폐되는 문비결합부(200), 문비결합부(200)와 결합되고 수로관고정받침부(100)의 일측에 고정되는 문비조작부(300)로 이루어진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1)에 있어서,
관리자가 문비결합부(200)와 결합된 문비조작부(300)를 조작하여 문비결합부(200)를 임의의 구간 내에 위치하게 함으로서 수로의 개폐 정도를 관리자가 결정할 수 있도록 하여 농업용수의 공급량을 조절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으로 제한된 범위 내에서 관리자가 경작지로 유입되는 농업용수의 저장량을 수로 내에서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세하게는, 수로의 개구된 상부에 고정되는 수로관고정받침부(100),
수로관고정받침부(100)의 일측에 고정되어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개폐되는 문비결합부(200), 문비결합부(200)와 결합되고 수로관고정받침부(100)의 일측에 고정되는 문비조작부(300)로 이루어진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1)에 있어서,
관리자가 문비결합부(200)와 결합된 문비조작부(300)를 조작하여 문비결합부(200)를 임의의 구간 내에 위치하게 함으로서 수로의 개폐 정도를 관리자가 결정할 수 있도록 하여 농업용수의 공급량을 조절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으로 제한된 범위 내에서 관리자가 경작지로 유입되는 농업용수의 저장량을 수로 내에서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특히 개거(開渠)에 설치되어 농업용수를 수로에서 경작지로 급수할 때 간단한 조작으로 수로 내에 농업용수의 저장량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물을 농업용수라 하며, 농업용수의 공급을 위해 경작지의 둘레에는 농업용수가 흐르는 관개수로가 형성되어 있고, 관개수로와 경작지를 구획하는 논둑에는 관개수로로부터 경작지로 농업용수가 유입되는 곳인 급수로와 경작지로부터 관개수로로 농업용수가 유출되는 곳인 배수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급수로와 배수로를 통해 경작지에 필요한 만큼의 농업용수를 공급하거나 배출함으로써 농사시기에 따라 적절한 양과 수위의 농업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조절하고 있다.
종래에는 농업용수를 수로에서 경작지로 급수할 때 경작지에 설치한 뚝막이를 헤치고 농업용수를 경작지 내로 유입되게 하는 것이 보통이며, 유입되는 농업용수의 유량조절은 뚝막이의 헤침 정도에 따라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흙으로 세워진 뚝막이는 흙이 물살에 씻겨 내려가는 경우, 그 농업용수의 조절을 제대로 할 수 없어 가마니나 비닐지 등을 바닥에 깔아 뚝막이 흙의 유실을 방지하도록 하지만 이때도 농업용수의 유입량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농업용수의 유입량은 경작지와 농작물에 크게 영향을 끼치는데, 이러한 농업용수의 유입량을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해서 먼저 수로 내의 담수 수위를 관리자가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에,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2000-0004210호의 "수로용 수문"(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은 수로에 설치되어 수로를 따라서 흐르는 물의 수압 변화에 따라 자동적으로 수문이 개폐되도록 된 수로용 수문에 관한 것으로, 문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문의 가장자리에 수로를 흐르는 물의 수압이 일정하게 집중되도록 경사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돌부에 패킹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에 의해, 수로를 흐르는 물의 수압에 의해 수문이 자동적으로 개폐되어 별도의 조작이 없이도 담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고, 수압의 변화에 따라 수문의 개폐각도의 변화 시 문틀과 수문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틈새를 패킹이 문틀과 접하면서 덮어주고 이동이 되어 틈새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여 주게 되고, 문틀과 수문의 틈새를 패킹이 덮어줌에 따라 수압의 영향을 최대한 이용하게 되어 개폐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수로용 수문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0071호의 "수로용 수문"(이하, "선행기술 2"라 함.)은 힌지핀과 일측이 상기 힌지핀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배출관 상단에 고정결합되며 중간부분이 계단형상으로 절곡형성된 제1경첩과 일측이 상기 힌지핀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수문 전면에 고정결합되는 제2경첩으로 이루어진 경첩과 수문 하부의 중량을 높여서 배출관 둘레에 수문이 밀착지지되도록 상기 수문 내측에 무게추가 결합구비되는 수로용 수문이 구비되므로 무게추에 의해 수문 하부의 하중이 증가되므로 배출관 내부의 수압이 증가하여도 수문이 쉽게 열리지 않게 되어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물공급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제1경첩의 절곡부에 의해 제2경첩이 수문의 전면에 대향된 상태에서 제2고정볼트에 의해 체결되기 때문에 수문에 체결된 제2고정볼트의 길이방향과 수문에 작용하는 하중의 방향이 서로 다르며 이에 따라 제2고정볼트의 수나사산과 수문의 암나나산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지 않게 되어 나사산들이 마모가 최소화되고 결국 장기간 사용하여도 수문이 제2경첩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 수로용 수문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를 포함한 종래의 기술은 대부분 관리자의 제어가 아닌 물의 수압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는 기술 또는 관리자가 수로 내의 담수 수위를 제어하되 조작하기 어렵거나 수문의 개폐 정도가 단계별로 정해져 관리자가 자유롭게 담수 수위를 제어하지는 못하는 기술로 이루어져 수로의 관리 및 이로 인한 경작지의 관리가 용이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경작지로 유입되는 농업용수의 유입량을 제한된 범위 내에서 수로 내의 담수 수위를 관리자가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농업용수의 원활한 유입과 차단을 할 수 있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를 조작함에 있어 관리자가 간단한 방법으로 크게 힘을 들이지 않고도 용이하게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게 함과 동시에 간단한 구성으로 내구성 및 관리가 우수하여 오랜 기간 사용에도 고장율이 적어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의 효용성을 극대화시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수로의 개구된 상부에 고정되는 수로관고정받침부,
수로관고정받침부의 일측에 고정되어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개폐되는 문비결합부,
문비결합부와 결합되고 수로관고정받침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문비조작부로 이루어진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에 있어서,
관리자가 문비결합부와 결합된 문비조작부를 조작하여 문비결합부를 임의의 구간 내에 위치하게 함으로서 수로의 개폐 정도를 관리자가 결정할 수 있도록 하여 농업용수의 공급량을 조절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수로관고정받침부는,
제 1횡바, 제 1횡바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되 제 1횡바와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 2횡바, 제 1횡바와 제 2횡바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 1종바, 제 1종바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되 제 1횡바와 제 2횡바의 타단부에 제 2종바가 결합되어 "ㅂ"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받침부하우징;
상기 받침부하우징의 제 1횡바 상면에 돌출되어 문비조작부의 일측을 고정시키는 제 1고정홀이 형성된 제 1문비조작부고정브라켓;
상기 받침부하우징의 제 1종바와 제 2종바 상면 일측에 각각 형성되어 문비결합부의 일측이 삽입되고, 문비결합부의 회전운동을 보조하는 문비결합부고정브라켓;으로 구성되어 수로의 개구된 상부에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 고정되고,
문비결합부는,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수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다수 개의 관통된 제 1지수고무결합공과 상부 일측에 수로관고정받침부와 결합되도록 하는 문비돌출보가 형성된 문비;
상기 문비의 외주면에 연장되어 결합되되, 문비와 일정 폭 중첩되어 결합됨으로서 문비의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다수 개의 관통된 제 2지수고무결합공이 형성된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문비지수고무;
상기 문비와 문비지수고무가 고정되도록 하는 다수 개의 관통된 제 3지수고무결합공이 형성된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수고무결합플레이트;
상기 문비, 문비지수고무, 지수고무결합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상기 문비의 일면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관리자에 의한 문비조작부 조작에 의해 문비가 개폐될 수 있도록 문비조작부와 결합되도록 하는 제 2고정홀이 형성된 제 2문비조작부고정브라켓;으로 구성된다.
또한, 문비조작부는,
관리자가 임의로 문비결합부의 개폐 정도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가 형성된 조작핸들;
상기 조작핸들과 결합되고, 관리자의 조작에 의한 조작핸들의 회전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전되는 외주연이 수나사로 이루어진 스크류환봉;
상기 스크류환봉이 내삽되고 수로관고정받침부의 일측과 결합되도록 제 1고정홀이 형성된 제 1스크류환봉하우징;
상기 스크류환봉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제 1스크류환봉하우징과 결합되되, 제 1스크류환봉하우징의 고정에도 제 1스크류환봉하우징에 내삽된 스크류환봉의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크류환봉회전운동부;
상기 조작핸들, 스크류환봉, 제 1스크류환봉하우징, 스크류환봉회전운동부의 유기적인 결합으로 인한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제 1스크류환봉하우징 내부로 삽입되거나 배출되는 일정 스트로크를 가지며, 문비결합부의 일측과 결합되는 제 2고정홀이 형성된 제 2스크류환봉하우징;
상기 제 2스크류환봉하우징에 내삽되어 고정되고, 스크류환봉의 일부와 결합되어 제 2스크류환봉하우징이 제 1스크류환봉하우징 내부로 삽입되거나 배출되는 일정 스트로크가 발생되도록 하는 중공이 형성된 원통의 내경이 암나사로 이루어진 스크류환봉결합요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경작지로 유입되는 농업용수의 유입량을 제한된 범위 내에서 수로 내의 담수 수위를 관리자가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농업용수의 원활한 유입과 차단이 가능하다.
또한,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를 조작함에 있어 관리자가 간단한 방법으로 수압에 상관없이 크게 힘을 들이지 않고도 용이하게 조작이 가능하며, 간단한 구성으로 내구성 및 관리가 우수하므로 오랜 기간 사용에도 고장율이 적다.
따라서, 한 번의 설치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므로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의 효용성을 극대화시킨다.
또한,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 조작 시 조작핸들을 회전시키는 행위만으로 수문의 개폐가 이루어지므로 농업용수의 수압에 영향을 받지 않고 농업용수의 유입량 및 담수 수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수직방향으로 문비결합부가 개폐되는 것이 아닌 문비결합부고정브라켓을 기준으로 문비조작부와 제 1문비조작부고정브라켓 및 제 2문비조작부고정브라켓의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의해 문비결합부가 회전하여 개폐되므로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용이한 개폐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개폐 속도에 있어서도 종래의 수직방향으로 개폐되는 수문과 대비하여 현저히 빠르게 작동된다.
또한, 내구성이 강하므로 경제적이며,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의 마모 및 고장에 의한 원치 않은 수압 및 담수 수위로 경작지 및 수로가 훼손되거나 범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인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에 대한 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의 작동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의 구성요소 중 문비조작부에 대한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의 구성요소 중 문비조작부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의 구성요소 중 스크류환봉회전운동부에 대한 상세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가 현장에 설치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에 대한 선행기술의 대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에 대한 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의 작동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의 구성요소 중 문비조작부에 대한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의 구성요소 중 문비조작부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의 구성요소 중 스크류환봉회전운동부에 대한 상세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가 현장에 설치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에 대한 선행기술의 대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에 대한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에 대한 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로의 개구된 상부에 고정되는 수로관고정받침부(100),
수로관고정받침부(100)의 일측에 고정되어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개폐되는 문비결합부(200),
문비결합부(200)와 결합되고 수로관고정받침부(100)의 일측에 고정되는 문비조작부(300)로 이루어진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1)에 있어서,
관리자가 문비결합부(200)와 결합된 문비조작부(300)를 조작하여 문비결합부(200)를 임의의 구간 내에 위치하게 함으로서 수로의 개폐 정도를 관리자가 결정할 수 있도록 하여 농업용수의 공급량을 조절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수로관고정받침부(100)는,
제 1횡바(111), 제 1횡바(111)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되 제 1횡바(111)와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 2횡바(112), 제 1횡바(111)와 제 2횡바(112)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 1종바(113), 제 1종바(113)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되 제 1횡바(111)와 제 2횡바(112)의 타단부에 제 2종바(114)가 결합되어 "ㅂ"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받침부하우징(110);
상기 받침부하우징(110)의 제 1횡바(111) 상면에 돌출되어 문비조작부(300)의 일측을 고정시키는 제 1고정홀(H1)이 형성된 제 1문비조작부고정브라켓(120);
상기 받침부하우징(110)의 제 1종바(113)와 제 2종바(114) 상면 일측에 각각 형성되어 문비결합부(200)의 일측이 삽입되고, 문비결합부(200)의 회전운동을 보조하는 문비결합부고정브라켓(130);으로 구성되어,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의 개구된 상부에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 고정된다.
한편, 수로의 개구된 내부에 위치하여 유입되는 농업용수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본 발명의 문비결합부(200)는,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수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다수 개의 관통된 제 1지수고무결합공(211)과 상부 일측에 수로관고정받침부(100)와 결합되도록 하는 문비돌출보(212)가 형성된 문비(210);
상기 문비(210)의 외주면에 연장되어 결합되되, 문비(210)와 일정 폭 중첩되어 결합됨으로서 문비(210)의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다수 개의 관통된 제 2지수고무결합공(221)이 형성된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문비지수고무(220);
상기 문비(210)와 문비지수고무(220)가 고정되도록 하는 다수 개의 관통된 제 3지수고무결합공(231)이 형성된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수고무결합플레이트(230);
상기 문비(210), 문비지수고무(220), 지수고무결합플레이트(230)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240);
상기 문비(210)의 일면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관리자에 의한 문비조작부(300) 조작에 의해 문비(210)가 개폐될 수 있도록 문비조작부(300)와 결합되도록 하는 제 2고정홀(H2)이 형성된 제 2문비조작부고정브라켓(25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의 수로관고정받침부(100)와 문비결합부(200)의 일측에 각각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수로관고정받침부(100)를 기준으로 문비결합부(200)가 회전운동하여 수로 내의 농업용수의 담수 수위 및 유입량이 관리자에 의해 자유롭게 제어되거나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문비조작부(300)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가 임의로 문비결합부(200)의 개폐 정도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311)이가 형성된 조작핸들(310);
상기 조작핸들(310)과 결합되고, 관리자의 조작에 의한 조작핸들(310)의 회전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전되는 외주연이 수나사로 이루어진 스크류환봉(320);
상기 스크류환봉(320)이 내삽되고 수로관고정받침부(100)의 일측과 결합되도록 제 1고정홀(H)이 형성된 제 1스크류환봉하우징(330);
상기 스크류환봉(320)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제 1스크류환봉하우징(330)과 결합되되, 제 1스크류환봉하우징(330)의 고정에도 제 1스크류환봉하우징(330)에 내삽된 스크류환봉(320)의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크류환봉회전운동부(340);
상기 조작핸들(310), 스크류환봉(320), 제 1스크류환봉하우징(330), 스크류환봉회전운동부(340)의 유기적인 결합으로 인한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제 1스크류환봉하우징(330) 내부로 삽입되거나 배출되는 일정 스트로크를 가지며, 문비결합부(200)의 일측과 결합되는 제 2고정홀(H2)이 형성된 제 2스크류환봉하우징(350);
상기 제 2스크류환봉하우징(350)에 내삽되어 고정되고, 스크류환봉(320)의 일부와 결합되어 제 2스크류환봉하우징(350)이 제 1스크류환봉하우징(330) 내부로 삽입되거나 배출되는 일정 스트로크가 발생되도록 하는 중공이 형성된 원통의 내경이 암나사로 이루어진 스크류환봉결합요소(360);로 구성된다.
이때, 제 1스크류환봉하우징(330)이 문비조작부고정브라켓(120)과 고정됨에도 관리자에 의한 조작핸들(310)의 회전운동으로 스크류환봉(320)도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스크류환봉회전운동부(340)는 더욱 상세하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환봉(320)의 외주연과 용접결합되는 제 1중공원통플레이트(341);
상기 제 1중공원통플레이트(341)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 1스크류환봉하우징(330)의 고정에도 스크류환봉(320)이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공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스러스트베어링(342);
상기 제 1스러스트베어링(342)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 1스크류환봉하우징(330)과 수로관고정받침부(100)의 문비조작부고정브라켓(120)이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되, 스크류환봉(320)의 공회전은 유지되도록 하는 제 1고정홀(H1)이 형성된 중공원통결합요소(343);
상기 중공원통결합요소(343)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 1스러스트베어링(342)의 스트레스(응력)를 감소시키면서 제 1스러스트베어링(342)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제 2스러스트베어링(344);
상기 제 2스러스트베어링(344)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 1중공원통플레이트(341)와 동일하게 스크류환봉(320)의 외주연과 용접결합되는 제 2중공원통플레이트(345);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의 결합관계를 설명하면,
상기 수로관고정받침부(100)의 제 1문비조작부고정브라켓(120)에 형성된 제 1고정홀(H1)과 문비조작부(300)의 제 1스크류환봉하우징(330)에 형성된 제 1고정홀(H1) 및 제 1스크류환봉하우징(330)에 내삽되어 있는 스크류환봉회전운동부(340)의 중공원통결합요소(343)에 형성된 제 1고정홀(H1)은 동일한 축 선상에 위치되어 볼트로 고정된다.
이때, 중공원통결합요소(343)에 형성된 제 1고정홀(H1)의 내주연은 암나사로 이루어져 볼트가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로관고정받침부(100)의 문비결합부고정브라켓(130)에는 문비결합부(200)의 문비돌출보(212)가 삽입되는데, 이때 문비(210)가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임의의 구간 내에서 개폐 가능하도록 문비(210)의 회전반경을 방해하지 않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문비결합부(200)의 제 2문비조작부고정브라켓(250)에 형성된 제 2고정홀(H2)과 문비조작부(300)의 제 2스크류환봉하우징(350)에 형성된 제 2고정홀(H2)은 볼트/너트의 조합으로 결합되어 고정되고, 제 2스크류환봉하우징(350)에 내삽된 스크류환봉결합요소(360)에는 스크류환봉(320)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게 함으로서 관리자의 조작핸들(310)의 조작에 의해 스크류환봉(320)을 기준으로 스크류환봉결합요소(360)가 승강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스크류환봉하우징(350)이 제 1스크류환봉하우징(330) 내부로 삽입되거나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문비결합부(200)가 개폐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수로관에 별도의 문틀 고정장치나 구조물을 형성할 필요가 없는 수문이 필요한 위치의 수로에 끼워 맞춰 즉시 사용가능하게 하는 수문으로 문비결합부(200)의 문비지수고무(220)로 인해 완벽한 수밀을 요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들의 유기적인 결합에 의해 조작핸들(310)의 간단한 조작으로 관리자가 용이하게 수로 내의 농업용수의 담수 수위 조절 및 이로 인한 경작지로의 농업용수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문비결합부(200)가 문비지수고무(220)로 인해 일정각도로 유지되어 수로에 설치되므로 물의 부력으로 인해 문비결합부(200)를 개방시키기 위한 초기 조작 힘이 많이 소요되지 않는 효과도 있다.
한편, 스크류환봉(320)은 더하여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연이 수나사로 이루어지되, 끝단부의 일부는 스크류환봉(320)의 직경보다 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크류환봉(320)이 스크류환봉결합요소(36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때, 스크류환봉(320)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과 스크류환봉결합요소(360)와의 고착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크류환봉(320)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과 스크류환봉결합요소(360) 사이에 고탄성체(S);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적용되는 장소 특성상 장치의 자동제어보다는 수동제어가 관리함에 있어 편리한 수문 개폐기를 제공하되, 수로 내의 담수 수위를 장치 내의 기계적인 제한 없이 관리자가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는 수문 개폐기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문비(210), 문비지수고무(220), 지수고무결합플레이트(230)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240)은 통상적인 결합방법인 볼트/너트의 조합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연속성이라 함은, 문비결합부(200)의 회전으로 인한 개폐 정도를 제한된 범위 내에서 관리자가 원하는 만큼 결정할 수 있다는 의미이며, 제한된 범위라 함은, 관리자에 의한 문비조작부(300)의 조작으로 결정되는 문비결합부(200)의 회전반경(θ)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비결합부(200)의 회전반경(θ)은 15[°] 내지 90[°]이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정된 회전반경(θ)은 문비지수고무(220)로 인해 문비결합부(200)가 수로와 수직(0°)이 아닌 15[°]의 기울기로 형성되어 위치되게 함으로서 문비결합부(200)에 작용되는 부력으로, 부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되는 수압을 상쇄시켜 관리자의 조작핸들(310)에 대한 초기 조작 힘이 감소되게 하는, 관리자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되 문비지수고무(220)로 인해 수밀성 또한 향상시킨 최적의 범위인 것이다.
또한, 종래 수직방향으로 개폐되는 방식의 수문 개폐기와 대비하여 그 개폐의 용이성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스크류환봉(320)의 수나사와 스크류환봉결합요소(360)의 암나사의 비가 손잡이(311) 1회전 시 문비(210)가 6[mm] 상승되는 비를 가질 때, 본 발명인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는 문비(210)를 수로의 바닥면으로부터 1000[mm] 권양 시 상술한 바와 같이 문비조작부(300)와 제 1문비조작부고정브라켓(120) 및 제 2문지조작부고정브라켓(250)의 유기적인 결합관계로 인해 25회전으로 개방이 되는 반면, 종래 수직방향으로 개폐되는 수문 개폐기는 167번의 회전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는 종래 수직방향으로 개폐되는 수문 개폐기와 대비하여 문비(210)의 개폐 용이성 및 개폐 속도에 있어 효과가 우수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에 관한 것으로 이를 제작하는 제작업 및 판매업, 본 발명이 적용되는 농업용수를 이용하여 농작물을 생육하는 농업 등 다양한 산업분야 증진에 기여하는 데에 적용할 수 있다.
1: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
100: 수로관고정받침부 110: 받침하우징
111: 제 1횡바 112: 제 2횡바
113: 제 1종바 114: 제 2종바
120: 제 1문비조작부고정브라켓 130: 문비결합부고정브라켓
200: 문비결합부 210: 문비
211: 제 1지수고무결합공 212: 문비돌출보
220: 문비지수고무 221: 제 2지수고무결합공
230: 지수고무결합플레이트 231: 제 3지수고무결합공
240: 결합수단 250: 제 2문비조작부고정브라켓
300: 문비조작부 310: 조작핸들
311: 손잡이 320: 스크류환봉
330: 제 1스크류환봉하우징 340: 스크류환봉회전운동부
341: 제 1중공원통플레이트 342: 제 1스러스트베어링
343: 중공원통결합요소 344: 제 2스러스트베어링
345: 제 2중공원통플레이트 350: 제 2스크류환봉하우징
360: 스크류환봉결합요소 H1: 제 1고정홀
H2: 제 2고정홀 S: 고탄성체
100: 수로관고정받침부 110: 받침하우징
111: 제 1횡바 112: 제 2횡바
113: 제 1종바 114: 제 2종바
120: 제 1문비조작부고정브라켓 130: 문비결합부고정브라켓
200: 문비결합부 210: 문비
211: 제 1지수고무결합공 212: 문비돌출보
220: 문비지수고무 221: 제 2지수고무결합공
230: 지수고무결합플레이트 231: 제 3지수고무결합공
240: 결합수단 250: 제 2문비조작부고정브라켓
300: 문비조작부 310: 조작핸들
311: 손잡이 320: 스크류환봉
330: 제 1스크류환봉하우징 340: 스크류환봉회전운동부
341: 제 1중공원통플레이트 342: 제 1스러스트베어링
343: 중공원통결합요소 344: 제 2스러스트베어링
345: 제 2중공원통플레이트 350: 제 2스크류환봉하우징
360: 스크류환봉결합요소 H1: 제 1고정홀
H2: 제 2고정홀 S: 고탄성체
Claims (4)
- 수로의 개구된 상부에 고정되는 수로관고정받침부(100), 수로관고정받침부(100)의 일측에 고정되어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개폐되는 문비결합부(200), 문비결합부(200)와 결합되고 수로관고정받침부(100)의 일측에 고정되는 문비조작부(300)로 이루어진,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1)에 있어서,
수로관고정받침부(100)는,
제 1횡바(111), 제 1횡바(111)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되 제 1횡바(111)와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 2횡바(112), 제 1횡바(111)와 제 2횡바(112)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 1종바(113), 제 1종바(113)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되 제 1횡바(111)와 제 2횡바(112)의 타단부에 제 2종바(114)가 결합되어 "ㅂ"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받침부하우징(110);
상기 받침부하우징(110)의 제 1횡바(111) 상면에 돌출되어 문비조작부(300)의 일측을 고정시키는 제 1고정홀(H1)이 형성된 제 1문비조작부고정브라켓(120);
상기 받침부하우징(110)의 제 1종바(113)와 제 2종바(114) 상면 일측에 각각 형성되어 문비결합부(200)의 일측이 삽입되고, 문비결합부(200)의 회전운동을 보조하는 문비결합부고정브라켓(130);으로 구성되어,
수로의 개구된 상부에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 고정되고,
문비결합부(200)는,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수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다수 개의 관통된 제 1지수고무결합공(211)과 상부 일측에 수로관고정받침부(100)와 결합되도록 하는 문비돌출보(212)가 형성된 문비(210);
상기 문비(210)의 외주면에 연장되어 결합되되, 문비(210)와 일정 폭 중첩되어 결합됨으로서 문비(210)의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다수 개의 관통된 제 2지수고무결합공(221)이 형성된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문비지수고무(220);
상기 문비(210)와 문비지수고무(220)가 고정되도록 하는 다수 개의 관통된 제 3지수고무결합공(231)이 형성된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수고무결합플레이트(230);
상기 문비(210), 문비지수고무(220), 지수고무결합플레이트(230)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240);
상기 문비(210)의 일면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관리자에 의한 문비조작부(300) 조작에 의해 문비(210)가 개폐될 수 있도록 문비조작부(300)와 결합되도록 하는 제 2고정홀(H2)이 형성된 제 2문비조작부고정브라켓(250);으로 구성되어,
수로의 개구된 내부에 위치하여, 관리자에 의한 문비조작부(300)의 조작으로 유입되는 농업용수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개방하고,
문비조작부(300)는,
관리자가 임의로 문비결합부(200)의 개폐 정도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311)가 형성된 조작핸들(310);
상기 조작핸들(310)과 결합되고, 관리자의 조작에 의한 조작핸들(310)의 회전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전되는 외주연이 수나사로 이루어진 스크류환봉(320);
상기 스크류환봉(320)이 내삽되고 수로관고정받침부(100)의 일측과 결합되도록 제 1고정홀(H1)이 형성된 제 1스크류환봉하우징(330);
상기 스크류환봉(320)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제 1스크류환봉하우징(330)과 결합되되, 제 1스크류환봉하우징(330)의 고정에도 제 1스크류환봉하우징(330)에 내삽된 스크류환봉(320)의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크류환봉회전운동부(340);
상기 조작핸들(310), 스크류환봉(320), 제 1스크류환봉하우징(330), 스크류환봉회전운동부(340)의 유기적인 결합으로 인한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제 1스크류환봉하우징(330) 내부로 삽입되거나 배출되는 일정 스트로크를 가지며, 문비결합부(200)의 일측과 결합되는 제 2고정홀(H2)이 형성된 제 2스크류환봉하우징(350);
상기 제 2스크류환봉하우징(350)에 내삽되어 고정되고, 스크류환봉(320)의 일부와 결합되어 제 2스크류환봉하우징(350)이 제 1스크류환봉하우징(330) 내부로 삽입되거나 배출되는 일정 스트로크가 발생되도록 하는 중공이 형성된 원통의 내경이 암나사로 이루어진 스크류환봉결합요소(360);
스크류환봉(320)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과 스크류환봉결합요소(360)와의 고착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크류환봉(320)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과 스크류환봉결합요소(360) 사이에 위치되는 고탄성체(S);로 구성되되,
스크류환봉회전운동부(340)는,
스크류환봉(320)의 외주연과 용접결합되는 제 1중공원통플레이트(341);
상기 제 1중공원통플레이트(341)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 1스크류환봉하우징(330)의 고정에도 스크류환봉(320)이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공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스러스트베어링(342);
상기 제 1스러스트베어링(342)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 1스크류환봉하우징(330)과 수로관고정받침부(100)의 문비조작부고정브라켓(120)이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되, 스크류환봉(320)의 공회전은 유지되도록 하는 제 1고정홀(H1)이 형성된 중공원통결합요소(343);
상기 중공원통결합요소(343)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 1스러스트베어링(342)의 스트레스(응력)를 감소시키면서 제 1스러스트베어링(342)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제 2스러스트베어링(344);
상기 제 2스러스트베어링(344)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 1중공원통플레이트(341)와 동일하게 스크류환봉(320)의 외주연과 용접결합되는 제 2중공원통플레이트(345);로 구성되어,
수로관고정받침부(100)와 문비결합부(200)의 일측에 각각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수로관고정받침부(100)를 기준으로 문비결합부(200)가 회전운동하여 수로 내의 농업용수의 담수 수위 및 유입량이 관리자에 의해 자유롭게 제어되거나 저장될 수 있도록 하여,
관리자가 문비결합부(200)와 결합된 문비조작부(300)를 조작, 문비결합부(200)를 임의의 구간 내에 위치하게 함으로서, 수로의 개폐 정도를 관리자가 결정, 농업용수의 공급량을 조절하게 하는 것과,
관리자에 의한 문비조작부(300)의 조작으로 결정되는 문비결합부(200)의 회전반경(θ)이 15[°] 내지 90[°]의 범위 내에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문비지수고무(220)로 인해 문비결합부(200)가 수로와 수직이 아닌 15[°]의 기울기로 형성되어 위치되게 함으로서, 문비결합부(200)에 작용되는 부력으로, 부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되는 수압을 상쇄, 관리자의 조작핸들(310)에 대한 초기 조작 힘을 감소시켜 관리자의 조작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문비지수고무(220)로 인해 수밀성 또한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4385A KR101976669B1 (ko) | 2017-04-27 | 2017-04-27 |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4385A KR101976669B1 (ko) | 2017-04-27 | 2017-04-27 |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0439A KR20180120439A (ko) | 2018-11-06 |
KR101976669B1 true KR101976669B1 (ko) | 2019-05-10 |
Family
ID=64329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54385A KR101976669B1 (ko) | 2017-04-27 | 2017-04-27 |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666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86657B1 (ko) | 2020-12-16 | 2021-08-04 | 황대수 | 용수 조절 게이트 |
KR20220045516A (ko) * | 2020-10-05 | 2022-04-12 | 허광회 | 자동 수위 조절 물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0424B1 (ko) * | 2020-05-25 | 2020-07-31 | 김기옥 | 농수로용 경사수문장치 |
KR102684020B1 (ko) * | 2024-01-18 | 2024-07-10 | 차상율 | 농수로용 농업용수 조절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4753Y1 (ko) * | 2006-08-14 | 2006-12-27 | 이진수 | 개도계가 구비된 수동 횡형 권양기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82729B1 (ko) | 1998-06-30 | 2001-03-02 | 김영환 | 플래쉬 메모리 셀 제조 방법 |
KR200320071Y1 (ko) | 2003-04-10 | 2003-07-16 | 안종근 | 수로용 수문 |
KR101110123B1 (ko) * | 2009-02-24 | 2012-01-31 | 주식회사 제일기공 | 탄성재질의 패킹을 구비한 수밀용 수문 |
KR101725916B1 (ko) * | 2015-05-18 | 2017-04-26 | 일성보산업(주) | 라디얼 핀랙 수문 |
-
2017
- 2017-04-27 KR KR1020170054385A patent/KR10197666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4753Y1 (ko) * | 2006-08-14 | 2006-12-27 | 이진수 | 개도계가 구비된 수동 횡형 권양기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45516A (ko) * | 2020-10-05 | 2022-04-12 | 허광회 | 자동 수위 조절 물꼬 |
KR102421205B1 (ko) * | 2020-10-05 | 2022-07-14 | 허광회 | 자동 수위 조절 물꼬 |
KR102286657B1 (ko) | 2020-12-16 | 2021-08-04 | 황대수 | 용수 조절 게이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0439A (ko) | 2018-1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76669B1 (ko) |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 | |
KR101146131B1 (ko) | 부력을 이용한 관로 자동개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US20100276015A1 (en) | Groundwater control system with automatic water flow regulator | |
KR200450776Y1 (ko) | 농수로용 급수개폐장치 | |
KR102348570B1 (ko) |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 | |
US4179243A (en) | Floatation pump device | |
KR20180111223A (ko) |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급수 개폐기 | |
KR101811355B1 (ko) | 문비위치조절기어부가 내삽된 용수조절 게이트 | |
KR102147193B1 (ko) |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 | |
KR101760682B1 (ko) | 초절수 양변기 | |
KR101744152B1 (ko) | 핸들식 급수조절장치 | |
KR100375550B1 (ko) | 관로 및 수로용 자동개폐수문 | |
US3794294A (en) | Adjustable valve for use on irrigation pipes | |
KR101238984B1 (ko) | 다기능형 자동 수문 | |
WO2018221154A1 (ja) | 水閘及び水閘の排水方法 | |
JPH1128028A (ja) | 水位調整器 | |
KR101815490B1 (ko) | 저층수 배출용 수문장치 | |
KR102393318B1 (ko) | 용수 조절이 가능한 농수로 수문 개폐장치 | |
KR200294017Y1 (ko) | 수압자동수문 | |
KR102320912B1 (ko) | 농수로 수문 개폐구조체 | |
JP3927697B2 (ja) | 棚田における用水の給排水装置 | |
JP6832754B2 (ja) | 地下灌漑システム | |
KR200471420Y1 (ko) | 농업용 급수 개폐기 | |
JP2002034362A (ja) | 水田の用排水管理システム | |
KR102048336B1 (ko) | 염전 수문 자동 개폐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