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193B1 -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193B1
KR102147193B1 KR1020200012146A KR20200012146A KR102147193B1 KR 102147193 B1 KR102147193 B1 KR 102147193B1 KR 1020200012146 A KR1020200012146 A KR 1020200012146A KR 20200012146 A KR20200012146 A KR 20200012146A KR 102147193 B1 KR102147193 B1 KR 102147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ice
water
sluice plate
water channel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길
Priority to KR1020200012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1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에 결합된 용수로 수문판이 결합되어 있는 좌우측 수문레일각관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어 용수로 수문판이 수동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수동으로 용수로 수문판을 열고 닫히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터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좌우측 수문레일각관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자동으로 용수로 수문판이 열고 닫히게 할 수 있는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apparatus}
본 발명은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에 결합된 용수로 수문판이 결합되어 있는 좌우측 수문레일각관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어 용수로 수문판이 수동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수동으로 용수로 수문판을 열고 닫히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터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좌우측 수문레일각관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자동으로 용수로 수문판이 열고 닫히게 할 수 있는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지에 물을 효율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어 농업용수 공급라인을 형성하는 용수로는 농업용지를 개간한 후 개간된 농업용지 등에 농업용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며 용수로는 통상적으로 U자형상의 단면을 이루면서 상부가 개방된 일정길이를 지닌 콘크리트 재질의 수로관을 지중에 매설하고 다수개의 수로관을 전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조립시공하여 농업용수 공급라인을 형성하게 된다.
다수개의 수로관이 서로 연결조립되어 형성된 용수로는 농지를 가로지르거나 또는 농지 주위에 설치되면서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는 물의 흐름에 따라 농업용수가 용수로의 상류부에서 유말부로 자연적으로 흐르도록 설치되고 용수로를 따라 흐르는 물은 수로관의 측벽 하부에 천공된 급수공을 통해 각 농지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수로관을 통한 농업용수의 공급시 용수 공급량이 충분한 시기에는 고지대인 상류부나 저지대인 유말부의 토지 모두에 원활한 급수가 이루어지지만 가뭄이나 용수 공급량이 적은 시기에는 상류부에는 원활한 급수가 이루어지나 유말부에는 용수 공급량이 매우 적어 유말부의 토지에 용수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유말부를 흐르는 용수는 수로관에 천공된 급수공의 높이까지 수위가 채워져야만 토지로 공급되나 그 이하의 용수는 그대로 배수로를 통해 버려져 막대한 양의 농업용수가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0922874호에서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로가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콘크리트 소재의 본체와; 수로를 가로질러 설치되고 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된 장착홈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본체의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높이에 월류공이 형성된 격벽과; 격벽에 상부가 고정핀으로 힌지 결합되며 수로의 수위 변동에 따라 하부가 고정핀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월류공을 개폐하는 도어와; 도어의 개방을 설정된 각도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며, 고정수단은 도어의 하부에 설치되고 고정 결합공이 형성된 제 1결합플레이트와, 제 1결합플레이트와 대향되게 상기 격벽에 설치되고 다수의 회동 결합공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제 2결합 플레이트와, 고정 결합공과 회동 결합공을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결
합부재를 구비하는 수로관이 개시되었다.
종래의 용수로 수문판은 상부면에 부력장치가 부착되어 있어 용수로 수문판이 수동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수동으로 열고 닫히게 할 수 있으나 수문판 자체가 크고 무거운 경우 사람의 힘만으로 용수로 수문판을 열고 닫히게 할 수 없으며, 모터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수동으로 열고 닫히게 할 수 있는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에 결합된 용수로 수문판이 결합되어 있는 좌우측 수문레일각관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어 용수로 수문판이 수동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수동으로 용수로 수문판을 열고 닫히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터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좌우측 수문레일각관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자동으로 용수로 수문판이 열고 닫히게 할 수 있는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용수로 수문(20)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열릴 때 용수로가 흐를 수 있도록 용수로의 유말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용수로관(10)의 양쪽 측면(12, 12')에 측면급수공(14, 14')이 형성되어 있고, 용수로관(10)의 후면에 후면급수공(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용수로관(10)의 한쪽 측면(12') 상부면에 모터장착홈(18)이 형성되어 있는 농업용수용 용수로관(10); 상기 용수로관(10)의 좌우측 측면(12, 12') 안쪽면에 서로 대향되게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좌우측 수문판지지용 레일각관(30, 30')은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의 전방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으로 개구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용수로 수문판(2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32)의 내측 후방에는 상하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롤러(40)가 롤러축(42)에 따라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좌우측 수문판지지용 레일각관(30, 30')의 상단이 회전지지축(60)으로 연결되어 있어 회전지지축힌지(62, 62')를 중심으로 좌우측 수문레일각관(30, 30')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는 좌우측 수문판지지용 레일각관(30, 30'); 상기 용수로관(10)의 내측 하부를 수문판(20)이 경사지게 가로막은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용수로관(10)에 흐르는 농업용수가 수문판(20)에 의해 가로막혀 저수될 수 있도록 용수로관(10)의 좌우측 측면(12, 12') 안쪽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부면에 부력장치(22)가 부착된 수문판(20); 및 상기 좌우측 수문판지지용 레일각관(30, 30')이 상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쪽 수문판지지용 레일각관(30)의 회전지지축힌지(62)에 회전축기어(70)가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축기어(70)에 감속기어(72)가 연결되어 있고, 감속기어(72)에 모터가 연결되어 있는 회전축기어(70);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는 용수로 수문판이 결합되어 있는 좌우측 수문레일각관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어 용수로 수문판이 수동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수동으로 용수로 수문판을 열고 닫히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터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좌우측 수문레일각관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자동으로 용수로 수문판이 열고 닫히게 할 수 있는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용수로 수문(20)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열릴 때 용수로가 흐를 수 있도록 용수로의 유말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용수로관(10)의 양쪽 측면(12, 12')에 측면급수공(14, 14')이 형성되어 있고, 용수로관(10)의 후면에 후면급수공(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용수로관(10)의 한쪽 측면(12') 상부면에 모터장착홈(18)이 형성되어 있는 농업용수용 용수로관(10);
상기 용수로관(10)의 좌우측 측면(12, 12') 안쪽면에 서로 대향되게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좌우측 수문판지지용 레일각관(30, 30')은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의 전방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으로 개구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용수로 수문판(2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32)의 내측 후방에는 상하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롤러(40)가 롤러축(42)에 따라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좌우측 수문판지지용 레일각관(30, 30')의 상단이 회전지지축(60)으로 연결되어 있어 회전지지축힌지(62, 62')를 중심으로 좌우측 수문레일각관(30, 30')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는 좌우측 수문판지지용 레일각관(30, 30');
상기 용수로관(10)의 내측 하부를 수문판(20)이 경사지게 가로막은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용수로관(10)에 흐르는 농업용수가 수문판(20)에 의해 가로막혀 저수될 수 있도록 용수로관(10)의 좌우측 측면(12, 12') 안쪽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부면에 부력장치(22)가 부착된 수문판(20); 및
상기 좌우측 수문판지지용 레일각관(30, 30')이 상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쪽 수문판지지용 레일각관(30)의 회전지지축힌지(62)에 회전축기어(70)가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축기어(70)에 감속기어(72)가 연결되어 있고, 감속기어(72)에 모터가 연결되어 있는 회전축기어(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개폐수문장치는 좌우측 수문판지지용 레일각관(30, 30')의 회전이 고정될 수 있도록 회전고정용 곡선바(50)가 농업용수용 용수로관(10)의 양쪽 내부면에 볼트(59)로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고정용 곡선바(50)의 한쪽 측면에 다수개의 걸림돌기(52)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회전고정용 곡선바(5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좌우측 수문판지지용 레일각관(30, 30')의 외측하부쪽에 곡선바관통홈(39, 39')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쪽 곡선바관통홈(39, 39')에 회전고정용 곡선바(50)가 관통되면서 상기 회전고정용 곡선바(50)의 걸림돌기(52)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좌우측 수문판지지용 레일각관(30, 30')의 한쪽에 스프링(33) 결합용 걸림돌기(35)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9와 같이 본 발명에서 농업용수용 용수로관(10)은 용수로 수문(20)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열릴 때 용수로가 흐를 수 있도록 용수로의 유말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용수로관(10)의 양쪽 측면(12, 12')에 측면급수공(14, 14')이 형성되어 있고, 용수로관(10)의 후면에 후면급수공(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용수로관(10)의 한쪽 측면(12') 상부면에 모터장착홈(18)이 형성되어 있어 용수로 수문판(20)이 수동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수동으로 열고 닫히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터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자동으로 열고 닫히게 할 수 있는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와 같이 본 발명에서 좌우측 수문판지지용 레일각관(30, 30')은 용수로관(10)의 좌우측 측면(12, 12') 안쪽면에 서로 대향되게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좌우측 수문판지지용 레일각관(30, 30')은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의 전방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으로 개구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용수로 수문판(2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32)의 내측 후방에는 상하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롤러(40)가 롤러축(42)에 따라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좌우측 수문판지지용 레일각관(30, 30')의 상단이 회전지지축(60)으로 연결되어 있어 회전지지축힌지(62, 62')를 중심으로 좌우측 수문레일각관(30, 30')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어 용수로 수문판(20)이 수동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수동으로 열고 닫히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터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자동으로 열고 닫히게 할 수 있는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와 같이 본 발명에서 수문판(20)은 용수로관(10)의 내측 하부를 수문판(20)이 경사지게 가로막은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용수로관(10)에 흐르는 농업용수가 수문판(20)에 의해 가로막혀 저수될 수 있도록 용수로관(10)의 좌우측 측면(12, 12') 안쪽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부면에 부력장치(22)가 부착되어 용수로 수문판(20)이 수동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수동으로 열고 닫히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터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자동으로 열고 닫히게 할 수 있는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와 같이 본 발명에서 회전축기어(70)는 좌우측 수문판지지용 레일각관(30, 30')이 상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쪽 수문판지지용 레일각관(30)의 회전지지축힌지(62)에 회전축기어(70)가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축기어(70)에 감속기어(72)가 연결되어 있고, 감속기어(72)에 모터(74)가 연결되어 있어 용수로 수문판(20)이 수동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수동으로 열고 닫히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터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자동으로 열고 닫히게 할 수 있는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는 수문을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부력장치(22)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부력장치의 상부와 하부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측면에 양쪽으로 가이드레일(22-1,22-2)을 형성하고, 중앙에는 고정볼트레버(22-3)를 형성하여 수위에 다른 높낮이를 조절하여 고정볼트레버(22-3)를 회전하여 고정하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22-1,22-2)에 부력장치의 끼움돌기(미도시함)가 끼워져 결합하도록 형성하였다.
도 1 내지 도 9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개폐수문장치는 좌우측 수문판지지용 레일각관(30, 30')의 회전이 고정될 수 있도록 회전고정용 곡선바(50)가 농업용수용 용수로관(10)의 양쪽 내부면에 볼트(59)로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고정용 곡선바(50)의 한쪽 측면에 다수개의 걸림돌기(52)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회전고정용 곡선바(5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좌우측 수문판지지용 레일각관(30, 30')의 외측하부쪽에 곡선바관통홈(39, 39')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쪽 곡선바관통홈(39, 39')에 회전고정용 곡선바(50)가 관통되면서 상기 회전고정용 곡선바(50)의 걸림돌기(52)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좌우측 수문판지지용 레일각관(30, 30')의 한쪽에 스프링(33) 결합용 걸림돌기(35)가 부착되어 있어 용수로 수문판(20)이 수동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수동으로 열고 닫히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터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자동으로 열고 닫히게 할 수 있는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10: 농업용수용 용수로관 20: 수문판
30, 30': 수문판지지용 레일각관 40: 롤러
79: 기어보관함

Claims (3)

  1. 용수로 수문(20)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열릴 때 용수로가 흐를 수 있도록 용수로의 유말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용수로관(10)의 양쪽 측면(12, 12')에 측면급수공(14, 14')이 형성되어 있고, 용수로관(10)의 후면에 후면급수공(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용수로관(10)의 한쪽 측면(12') 상부면에 모터장착홈(18)이 형성되어 있는 농업용수용 용수로관(10); 용수로관(10)의 좌우측 측면(12, 12') 안쪽면에 서로 대향되게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좌우측 수문판지지용 레일각관(30, 30')은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의 전방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으로 개구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용수로 수문판(2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32)의 내측 후방에는 상하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롤러(40)가 롤러축(42)에 따라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좌우측 수문판지지용 레일각관(30, 30')의 상단이 회전지지축(60)으로 연결되어 있어 회전지지축힌지(62, 62')를 중심으로 좌우측 수문레일각관(30, 30')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는 좌우측 수문판지지용 레일각관(30, 30'); 용수로관(10)의 내측 하부를 수문판(20)이 경사지게 가로막은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용수로관(10)에 흐르는 농업용수가 수문판(20)에 의해 가로막혀 저수될 수 있도록 용수로관(10)의 좌우측 측면(12, 12') 안쪽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부면에 부력장치(22)가 부착된 수문판(20); 및 상기 좌우측 수문판지지용 레일각관(30, 30')이 상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쪽 수문판지지용 레일각관(30)의 회전지지축힌지(62)에 회전축기어(70)가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축기어(70)에 감속기어(72)가 연결되어 있고, 감속기어(72)에 모터(74)가 연결되어 있는 회전축기어(70);로 이루어진 자동개폐수문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개폐수문장치는,
    좌우측 수문판지지용 레일각관(30, 30')의 회전이 고정될 수 있도록 회전고정용 곡선바(50,50')가 농업용수용 용수로관(10)의 양쪽 내부면에 볼트(59)로 각각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고정용 곡선바(50)의 한쪽 측면에 다수개의 걸림돌기(52)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회전고정용 곡선바(5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좌우측 수문판지지용 레일각관(30, 30')의 외측하부쪽에 곡선바관통홈(39,39')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곡선바관통홈(39,39')에 회전고정용 곡선바(50,50')가 관통되면서, 상기 회전고정용 곡선바(50,50')의 걸림돌기(52)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좌우측 수문판지지용 레일각관(30,30')의 한쪽에 스프링(33) 결합용 걸림돌기(35)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에 부력장치(22)가 부착된 수문판(20)는
    상기 부력장치의 상부와 하부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측면에 양쪽으로 가이드레일(22-1,22-2)을 형성하고, 중앙에는 고정볼트레버(22-3)를 형성하여 수위에 다른 높낮이를 조절하여 고정볼트레버(22-3)를 회전하여 고정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
KR1020200012146A 2020-01-31 2020-01-31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 KR102147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146A KR102147193B1 (ko) 2020-01-31 2020-01-31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146A KR102147193B1 (ko) 2020-01-31 2020-01-31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193B1 true KR102147193B1 (ko) 2020-08-25

Family

ID=72292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146A KR102147193B1 (ko) 2020-01-31 2020-01-31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1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19259A (zh) * 2021-12-30 2022-04-12 盐城市水利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水闸下游引河消能防冲设施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879B1 (ko) * 1998-07-21 2001-01-15 한상관 수문 개폐장치
KR100922874B1 (ko) * 2008-12-22 2009-10-20 광주광역시 남구 수로관
KR101936539B1 (ko) * 2018-04-02 2019-01-08 송준영 용수로용 부력식 자동개폐수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879B1 (ko) * 1998-07-21 2001-01-15 한상관 수문 개폐장치
KR100922874B1 (ko) * 2008-12-22 2009-10-20 광주광역시 남구 수로관
KR101936539B1 (ko) * 2018-04-02 2019-01-08 송준영 용수로용 부력식 자동개폐수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19259A (zh) * 2021-12-30 2022-04-12 盐城市水利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水闸下游引河消能防冲设施
CN114319259B (zh) * 2021-12-30 2024-02-02 盐城市水利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水闸下游引河消能防冲设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7193B1 (ko)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
KR101183935B1 (ko) 폐문 시 수문판의 휨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식 수문
KR101393181B1 (ko) 우수 조절 및 오물 차단 기능이 구비된 맨홀 그레이팅 장치
KR102348570B1 (ko)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
KR101372813B1 (ko) 하수차집관거 유입유량 조절 및 토사유입방지 장치
KR101976669B1 (ko)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
KR101405099B1 (ko) 저층수 배출이 가능한 가동보
KR200425877Y1 (ko)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
KR101183934B1 (ko) 편심롤러에 의해 게이트의 처짐 방지 및 구간별 처짐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회전식 수문
KR101025254B1 (ko) 농업용 배수장치
KR101815490B1 (ko) 저층수 배출용 수문장치
KR20200145192A (ko) 저층수 배출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장치
EP0521857B1 (de) Stauwerk, insbesondere für die absperrung eines tidewasserlaufes bei sturmflut
KR100619459B1 (ko) 수위에 따라 자동조절되는 하천용 수문
JP2552256B2 (ja) 多目的可動ゲート
KR200178138Y1 (ko) 수압 자동 수문
KR20140122974A (ko) 가동보의 파이핑 수문장치
KR20160108988A (ko) 전도 게이트
EP1219753A2 (de) Schwallspül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Abwasserkanälen
EP1627957B1 (en) Water control gate
KR200392567Y1 (ko) 개수로의 문비개폐 조절장치
JP3668907B2 (ja) 水力エレベータ式魚道装置
JP3507811B2 (ja) ゲート
KR200377423Y1 (ko) 수압차를 이용한 자동개폐식 하천 배수문
KR101988044B1 (ko) 다목적 수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