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877Y1 -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5877Y1
KR200425877Y1 KR2020060017127U KR20060017127U KR200425877Y1 KR 200425877 Y1 KR200425877 Y1 KR 200425877Y1 KR 2020060017127 U KR2020060017127 U KR 2020060017127U KR 20060017127 U KR20060017127 U KR 20060017127U KR 200425877 Y1 KR200425877 Y1 KR 2004258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ody portion
bolt
control devic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1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화석
Original Assignee
송화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화석 filed Critical 송화석
Priority to KR20200600171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58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58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58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수로에 삽입한 후 외부에서 회전식으로 개폐함으로써 농수로에서 공급되는 농업용수의 급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주요구성은 농업용수가 유입되는 농수로 유입관에 고정되는 고정부(21)와; 상기 고정부(21)의 전방에 위치하며 전면에 농업용수가 배출되는 배출공(32)과, 전면 일측에 스톱돌기(33)가 돌출 형성된 몸체부(31)와; 상기 배출공(32)과 동일한 크기의 관통홀(42)과 상기 몸체부의 스톱돌기(33)에 대응하여 걸림홈(44) 및 일측면에서 돌출된 걸이공(45)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31)의 전면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41)와; 일단이 상기 걸이공(45)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부로 연장된 손잡이부(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농수로, 회전유량조절, 몸체부, 관통홀, 스톱돌기

Description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Flow control device for agricultural waterway}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농수로용 수문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작동상태도.
도 6은 가이드가 부착된 도 1의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의 적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도 7의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고정부 31 : 몸체부
32 : 배출공 33 : 스톱돌기
41 : 커버부 42 : 관통홀
43 : 차단판 44 : 걸림홈
45 : 걸이공 51 : 손잡이부
53 : 와이어 61 : 삽입공
62 : 볼트 63 : 너트
64 : 스프링지지판 65 : 스프링
본 고안은 농수로에 삽입한 후 외부에서 회전식으로 개폐함으로써 농수로에서 공급되는 농업용수의 급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수로에 물을 공급하는 수문은 논이나 밭 주변에 물을 끌어들이기 위한 수로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농수로용 수문은 다수 공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수문은 수로(1)의 방벽(2)에 콘크리트 구조로 문틀(3)을 시공하고 문틀(3) 내에 금속재의 수문(4)을 설치하며, 문틀(3)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수문개폐 핸들(5)의 회전축(6) 하단과 결합시켜 구성시킴으로써 수문개폐 핸들(5)의 조작으로 수문(4)을 개폐하면서 급수량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수문(4)은 상측으로 들어 올리기 위해 문틀(3)의 상판(7)과 나사식으로 결합된 수문 개폐핸들(5)의 회전축을 따라 수십차례 돌려가며 수문(4)을 개폐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개폐시간도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의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9-0039749호에서는 일측 유입구(12)가 일체로 형성되어 농수로 내의 일측벽부에 고정되는 고정부(11)와, 상기 고정부에 유입구(12)와 수평된 방향으로 연통 형성되어 농수로의 분기구에 삽입되는 삽입부(13)와, 상기 고정부(11)에 유입구(12)와 수직된 방향으로 연통 형성된 개폐판 결합부(14)와, 상기 개폐판 결합부에 수직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부(11)에 형성된 유입구(1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주는 개폐판(15)과, 상기 개폐판의 상단에 형성되어 개폐판(15)의 수직이동을 원활히 행하여 주기 위한 손잡이공(16)을 구비하는 "농수로용 분기전"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공개실용신안 제1999-0039749호의 농수로용 분기전은 손잡이를 들어올려 수문을 열기 때문에 쉽게 수문이 개방되는 장점이 있으나, 수문으로 유입되는 농업용수의 양을 제대로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농수로에 삽입한 후 외부에서 회전식으로 개폐함으로써 농수로에서 공급되는 농업용수의 급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는 농업용수가 유입되는 농수로 유입관에 고정되는 고정부(21)와; 상기 고정부(21)의 전방에 위치하며 전면에 농업용수가 배출되는 배출공(32)과, 전면 일측에 스톱돌기(33)가 돌출 형성된 몸체부(31)와; 상기 배출공(32)과 동일한 크기의 관통홀(42)과 상기 몸체부의 스톱돌기(33)에 대응하여 걸림홈(44) 및 서로 대응되는 측면에서 돌출된 걸이공(45)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31)의 전면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41)와; 일단이 상기 걸이공(45)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부로 연장된 손잡이부(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부(51)와 커버부(41) 사이에는 상기 손잡이부를 지지하는 가이드(54,5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3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6은 가이드가 부착된 도 1의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의 적용상태도이고,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도 7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는 농업용수가 유입되는 농수로 유입관에 설치되는 고정부(21)와, 고정부의 전방에서 농업용수를 농수로로 배출시키며 스톱돌기(33)가 형성된 몸체부(31)와, 몸체부의 전면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농업용수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커버부(41)와, 커버부의 회전을 조절하는 손잡이부(51)로 구성된다.
농수로 유입관에 설치되는 고정부(21)는 농수로와 동일하게 원형 또는 다각형상으로 형태로서 내부가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부(21)는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하부가 농수로의 유입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고정부는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어 농수로의 유입관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고정부(21)의 전방에 설치되는 몸체부(31)는 고정부(21)와 동일한 재질로서 고정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조립식으로 결합된다. 한편, 몸체부(31)의 일측에는 농수로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농업용수가 배출되는 배출공(32)이 형성되며, 전방 일측에는 후술하는 커버부(41)의 회전을 조절하기 위한 스톱돌기(33)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배출공은 몸체부의 전체 면적에서 1/2이상을 넘지 않도록 형성된다.
농업용수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커버부(41)는 몸체부(31)와 동일한 형성으로 몸체부의 전면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커버부의 전면 또는 측면에는 외부로 돌출된 걸이공(45)이 형성된다. 커버부(41)와 몸체부(31)의 중앙에는 삽입공(61)이 형성되고, 몸체부의 후면에서 삽입된 볼트(62)가 커버부의 전면으로 결합된다. 이때, 걸이공(45)은 양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몸체부 후면의 볼트(62)에는 스프링(65)이 장착되고, 스프링(65)이 볼 트(6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볼트(65)와 스프링(65) 사이에 스프링지지판(64)이 결합된다. 이러한 스프링에 의해 몸체부를 커버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
커버부(41)의 일측면에는 몸체부의 배출공(32)에 대응하여 농업용수가 배출되는 관통홀(42)이 관통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몸체부의 배출공(32)으로부터 배출되는 농업용수를 차단시키는 차단판(43)으로 구별된다. 이러한 관통홀(42)과 차단판(43)은 동일한 원판에서 관통홀(42)이 형성된 곳과 형성되지 않은 곳을 구별하기 위한 명칭이다. 예를 들면, 몸체부의 배출공(32)이 상하좌우의 4구역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경우에 커버부의 관통홀(42)도 역시 배출공과 동일하게 상하좌우의 4구역에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차단판(43)은 배출공(32)에 이웃하게 각각 형성된다.
또한, 커버부(41)의 일측에는 상기 몸체부의 스톱돌기(33)에 대응하여 걸림홈(44)이 형성되어 커버부의 회전각도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몸체부의 배출공(32)과 커버부의 관통홀(42)이 상하좌우의 4구역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경우에 걸림홈(44)이 관통홀(42)을 개폐할 수 있는 범위에 형성되면 커버부의 회전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커버부의 회전을 조절하는 손잡이부(51)는 일단에 커버부의 걸이공(45)에 연결되고, 타단에 사용자가 손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된다. 이러한 손잡이부(51)는 와이어, 강철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손잡이부(51)는 커버부의 걸이공(45)이 양측면에 각각 설치된 경우에는 각각의 걸이공(45)에 연결된다. 예를 들면, 커버부의 양측면에 위치하는 걸이공 (45)에 각각 손잡이부가 연결된 상태에서 일측의 와이어를 잡아당기면 커버부의 걸림홈이 몸체부의 스톱돌기에 닿을 때까지 회전되어 몸체부의 배출공에 커버부의 관통홀가 위치하여 농업용수가 외부로 배출된다. 반대로, 타측의 와이어를 잡아당기면 커버부의 걸림홈이 몸체부의 스톱돌기에 닿을 때까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몸체부의 배출공에 커버부의 차단판이 위치하여 농업용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된다. 한편, 커버부의 걸림홈이 몸체부의 스톱돌기에 닿지 않도록 일부만 회전시키면 커버부의 관통홀과 몸체부의 배출공이 일부만 일치되어 농업용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손잡이부(51)와 커버부(41) 사이에는 와이어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와이어를 지지하는 가이드부(54,55)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52)를 가이드부(54,55)에 고정하면 농업용 수로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유량조절장치를 쉽게 조작할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는 농수로 유입관에 설치되는 고정부(21)와, 고정부의 전방에서 농업용수를 농수로로 배출시키며 스톱돌기(33)가 형성된 몸체부(31)와, 몸체부의 전면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농업용수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커버부(41)와, 커버부의 회전을 조절하는 손잡이부(70)로 구성된다.
고정부(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농수로와 동일하게 원형 또는 다각형상으로 형태로서 내부가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몸체부(31)는 고정부(21)와 동일한 재질로서 고정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조립식으로 결합된다. 몸체 부(31)의 중앙에는 관통공(61)이 형성되고, 관통공(61)을 통하여 몸체부(31)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볼트(62')가 삽입된다.
커버부(41)는 몸체부(31)와 동일한 형성으로 몸체부의 전면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커버부(41)의 중앙에는 몸체부의 관통공(60)에 대응되는 삽입공(61')이 형성되고, 몸체부(31)의 후면에서 삽입된 볼트(62')가 커버부(41)의 전면으로 돌출된다. 이때, 커버부(41)의 삽입공(61')은 일자형, 십자형, 삼각형 등의 다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몸체부 후면에서 커버부(41)의 전면으로 관통된 볼트(62')는 커버부의 삽입공(61')과 동일한 형상이며, 몸체부의 후면과 볼트의 머리 사이에는 스프링(65)이 장착되어 몸체부(31)를 커버부(41)에 밀착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부(41)의 일측면에는 몸체부의 배출공(32)에 대응하여 농업용수가 배출되는 관통홀(42)이 관통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몸체부의 배출공(32)으로부터 배출되는 농업용수를 차단시키는 차단판(43)으로 구별된다. 이러한 관통홀(42)과 차단판(43)은 동일한 원판에서 관통홀(42)이 형성된 곳과 형성되지 않은 곳을 구별하기 위한 명칭이다.
한편, 커버부의 회전을 조절하는 손잡이부(70)는 일단이 커버부의 전면으로 관통된 볼트(62')와 동일한 형상의 결합공(71)이 형성되고, 타단은 상부로 연장된다. 즉, 커버부의 삽입공(61')을 관통한 볼트(62')는 손잡이부의 결합공(71)이 삽입된 후 볼트(63)에 의해 고정된다. 이에 따라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연장된 손잡이부(70)를 회전시키면 손잡이의 결합공(71)에 연결된 볼트(62')가 회 전하고, 볼트의 회전에 의해 커버부의 걸림홈(44)이 몸체부의 스톱돌기(33)에 닿을 때까지 커버부(41)도 함께 회전하게되어 몸체부의 배출공에 커버부의 관통홀이 위치하여 농업용수가 외부로 배출된다. 반대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70)를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손잡이의 결합공(71)에 연결된 볼트(62')가 반대로 회전하고, 커버부의 걸림홈이 몸체부의 스톱돌기에 닿을 때까지 커버부(41)가 볼트(62')와 함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몸체부의 배출공에 커버부의 차단판이 위치하여 농업용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의 배출공(32)과 커버부의 관통홀(42)을 각각 3부분에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과 같이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는 농수로에 삽입한 후 외부에서 회전식으로 개폐함으로써 농수로에서 공급되는 농업용수의 급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는 조작이 간편하여 대형 수문의 개폐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농업용수가 유입되는 농수로 유입관에 고정되는 고정부(21);
    상기 고정부(21)의 전방에 위치하며 전면에 농업용수가 배출되는 배출공(32)과, 전면 일측에 스톱돌기(33)가 돌출 형성된 몸체부(31);
    상기 배출공(32)과 동일한 크기의 관통홀(42)과 상기 몸체부의 스톱돌기(33)에 대응하여 걸림홈(44) 및 일측면에서 돌출된 걸이공(45)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31)의 전면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41);
    일단이 상기 걸이공(45)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부로 연장된 손잡이부(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와 커버부 사이에는 상기 손잡이부를 지지하는 가이드(54,5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1)와 커버부(41)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41)와 몸체부(31)의 중앙에는 삽입공(61)이 형성되고, 몸체부의 후면에서 삽입된 볼트(62)가 커버부의 전면에서 너트(63)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후면의 볼트에는 스프링(65)이 장착되고, 스프링(65)이 볼트(6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볼트와 스프링 사이에 스프링지지판(64)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
  6. 농업용수가 유입되는 농수로 유입관에 고정되는 고정부(21);
    상기 고정부(21)의 전방에 위치하며 전면에 농업용수가 배출되는 배출공(32)과, 전면 일측에 스톱돌기(33)가 돌출 형성되며, 중앙에 관통공(61)이 형성된 몸체부(31);
    상기 배출공(32)과 동일한 크기의 관통홀(42)과 상기 몸체부의 스톱돌기(33)에 대응하여 걸림홈(44) 및 중앙에 다각형상의 삽입공(61')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31)의 전면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41);
    상기 삽입공(61')과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몸체부(31)의 관통공(61)과 상기 커버부의 삽입공(61')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부(31)와 커버부(41)를 밀착시키는 볼트(62);
    일단이 상기 볼트와 동일한 형상으로 관통된 결합공(71)이 형성되고, 타단이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커버부()의 전면에서 상기 볼트에 결합되는 손잡이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1)와 커버부(41)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후면의 볼트에는 스프링(65)이 장착되고, 스프링(65)이 볼트(6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볼트와 스프링 사이에 스프링지지판(64)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
KR2020060017127U 2006-06-26 2006-06-26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 KR2004258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127U KR200425877Y1 (ko) 2006-06-26 2006-06-26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127U KR200425877Y1 (ko) 2006-06-26 2006-06-26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5877Y1 true KR200425877Y1 (ko) 2006-09-19

Family

ID=41774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127U KR200425877Y1 (ko) 2006-06-26 2006-06-26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587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412Y1 (ko) * 2008-03-06 2010-09-30 오재대 농수로의 유로개폐 기구
KR20180056170A (ko) * 2016-11-18 2018-05-2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전식 수위 조절형 논 배수 물꼬
KR200490386Y1 (ko) * 2018-12-11 2019-11-05 홍중철 슬라이딩 방식의 수문 장치
KR20200000130U (ko) * 2018-07-09 2020-01-17 이승태 유량조절 장치
KR102333924B1 (ko) * 2021-01-22 2021-12-01 김용주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412Y1 (ko) * 2008-03-06 2010-09-30 오재대 농수로의 유로개폐 기구
KR20180056170A (ko) * 2016-11-18 2018-05-2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전식 수위 조절형 논 배수 물꼬
KR20200000130U (ko) * 2018-07-09 2020-01-17 이승태 유량조절 장치
KR200490922Y1 (ko) 2018-07-09 2020-02-11 이승태 유량조절 장치
KR200490386Y1 (ko) * 2018-12-11 2019-11-05 홍중철 슬라이딩 방식의 수문 장치
KR102333924B1 (ko) * 2021-01-22 2021-12-01 김용주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5877Y1 (ko)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
KR101748159B1 (ko) 농수로용 급수개폐기
KR101370040B1 (ko) 복식 문비
KR101025254B1 (ko) 농업용 배수장치
KR100654294B1 (ko) 하천 수위조절용 기어내장형 회전식 수문
KR101184608B1 (ko) 농업용수의 수량을 조절하고 급수기능을 갖는 게이트
KR20180111223A (ko)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급수 개폐기
KR102283653B1 (ko)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
KR100256845B1 (ko) 농업용수의 자동급수장치
KR102320912B1 (ko) 농수로 수문 개폐구조체
KR102393318B1 (ko) 용수 조절이 가능한 농수로 수문 개폐장치
KR100541030B1 (ko) 유압식 수문장치
JP2673666B2 (ja) 水田の水位制御装置
KR200392567Y1 (ko) 개수로의 문비개폐 조절장치
KR20100037393A (ko) 관개수로용 수문
KR100226205B1 (ko) 농업용 자동 급수장치
KR20170000599A (ko) 관개수로용 수문
KR200214288Y1 (ko) 농업용수의 자동급수장치
KR100919132B1 (ko) 수문용 관리수위 유지구조 및 그를 이용한 수문
KR100730692B1 (ko) 비데용 복합 밸브 조립체
KR20000003683U (ko) 수로용 수문
KR200219536Y1 (ko) 농업용 급수문
KR200236296Y1 (ko) 유동흰지의 작용에 의해 수직 또는 전,후 작동이 되도록구성되는 자동수문
KR101348310B1 (ko) 레버형 분수문장치
KR200320676Y1 (ko) 수문 인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