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130U - 유량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유량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130U
KR20200000130U KR2020180003141U KR20180003141U KR20200000130U KR 20200000130 U KR20200000130 U KR 20200000130U KR 2020180003141 U KR2020180003141 U KR 2020180003141U KR 20180003141 U KR20180003141 U KR 20180003141U KR 20200000130 U KR20200000130 U KR 202000001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le
compartment
metering
meter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1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0922Y1 (ko
Inventor
이승태
Original Assignee
이승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태 filed Critical 이승태
Priority to KR20201800031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922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1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1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9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9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06Regulation methods for 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문건은, 작동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관리가 용이한 유량조절 장치를 개시한다.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원통 형태의 제1 보디; 상기 제1 보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독립된 격실을 형성시키는 제2 보디 - 상기 제2 보디는, 반원 형태의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방에 위치하며, 내측에 제1 계량홀이 형성된 반원 형태의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3 플레이트를 가짐 - ; 내측에 제2 계량홀과 반송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바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2 바디의 상부에 위치하는 원형 플레이트 형태의 제3 보디; 상기 제1 보디에 형성되되, 상기 제3 보디에 비하여 높은 지점에 위치하는 유입홀; 및, 상기 제1 보디에 형성되며, 상기 격실과 연통되는 배출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량조절 장치{FLOW CONTROL EQUIPMENT}
본 개시(Disclosure)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예 : 유량조절 밸브)와 관련된다.
본 섹션(Section)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되는 종래기술을 기재된다. 다만, 공지여부에 대한 명확한 언급이 없는 한, 기재된 종래기술이 출원 전 공지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오폐수처리시설은 오폐수를 물리·화학·생물학적 반응 등에 의해 처리하는 반응조를 포함한다. 한편, 산업폐수 및 생활하수는 시간대별로 발생량의 차이가 큰데, 반응조에 한번에 많은 양의 오폐수가 유입될 경우, 오폐수처리 효율이 현격히 저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일정량의 오폐수가 반응조에 유입될 수 있도록, 통상적으로 오폐수 원수가 저장되는 원수조와, 전술한 반응조 사이에는, 유량조절 장치가 설치된다.
유량조절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일례를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3019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KR 10-1023019 B1 (2011.03.24. 공고)
작동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관리가 용이한 유량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원통 형태의 제1 보디; 상기 제1 보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독립된 격실을 형성시키는 제2 보디 - 상기 제2 보디는, 반원 형태의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방에 위치하며, 내측에 제1 계량홀이 형성된 반원 형태의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3 플레이트를 가짐 - ; 내측에 제2 계량홀과 반송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바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2 바디의 상부에 위치하는 원형 플레이트 형태의 제3 보디; 상기 제1 보디에 형성되되, 상기 제3 보디에 비하여 높은 지점에 위치하는 유입홀; 및, 상기 제1 보디에 형성되며, 상기 격실과 연통되는 배출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계량홀과 상기 제2 계량홀의 겹쳐진 형태에 따라, 상기 격실로 들어가는 유량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보디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홀을 둘러싸는 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보디의 상면에는, 손잡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그 구조상,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제1 보디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작동상태(유체의 흐름)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그 구조상, 정비가 용이하다. 예컨데, 제1 계량홀, 제2 계량홀, 반송홀 등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더라도, 긴 막대만 있다면, 간단히 수리할 수 있고, 각 구성들을 분리하여 세척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제3 보디를 단순 회전시켜, 유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3 보디(150), 제2 보디(130), 제1 보디(110)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의 제3 보디(150)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6는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의 변형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는 유입홀(112)과 배출홀(114)이 형성된 제1 보디(110), 제1 보디(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 보디(130) 및, 제1 보디(110)의 내부에 구비되되, 제2 보디(130)의 상방에 위치되는 제3 보디(150)를 포함한다.
제1 보디(110), 제2 보디(130) 및, 제3 보디(150)는 금속 재질, 합성수지 재질, 시멘트 재질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그 각각이 각기 다른 재질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제1 보디(110)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태로 소정 높이를 갖는다.
제2 보디(130)는 제1 보디(1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독립된 격실(A)를 형성시킨다. 하나의 예로서, 제2 보디(130)는, 제1 플레이트(132), 제2 플레이트(134) 및 제3 플레이트(136)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32)는 반원 또는 활꼴 형태일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32)는 제1 보디(110)의 개방된 하부의 일부 면적을 가리는 기능을 한다.
제2 플레이트(134)는 제1 플레이트(132)와 동일한 형태일 수 있고, 제1 플레이트(132)의 직 상방에 위치한다. 또한, 제2 플레이트(134)의 내측에는 제1 계량홀(134a)이 형성된다.
제3 플레이트(134)는 제1 보디(110)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위치하며, 제1 플레이트(132)와 제2 플레이트(134)를 상호 연결한다.
제1 플레이트(132)의 상면, 제2 플레이트(134)의 하면, 제3 플레이트(136)의 전면과, 제1 보디(110)의 일부 내벽면은, 전술한 격실(A)를 형성시킨다. 한편, 제3 플레이트(136)를 사이에 두고, 격실(A) 마주하는 곳에는 반송공간(B)이 형성된다.
한편, 정비 및 관리의 용이성을 위해, 제2 플레이트(134)는 제3 플레이트(136)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제2 보디(130) 전체가 제1 보디(110)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제3 보디(150)는 원형 플레이트 형태로, 내측에는 제2 계량홀(152)과 반송홀(154)이 형성되고, 제1 보디(1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1 보디(130)의 내부에 구비된 제3 보디(150)는 제2 보디(130)의 상방에 위치한다. 즉, 제2 보디(130)가 제1 플레이트(132), 제2 플레이트(134) 및 제3 플레이트(136)로 구성될 때, 제3 보디(150)는 제2 플레이트(134)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제2 플레이트(134)에 림(134b)이 더 형성되면, 제3 보디(150)가 제2 플레이트(134)에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을 것이다.
제2 보디(130)가 제3 플레이트(134)에 안착될 때, 제2 계량홀(152)은 격실(A)의 상부 영역에 위치되고, 반송홀(154)은 반송공간(B)의 상부 영역에 위치된다.
유입홀(112)은 제1 보디(112)에 형성되되, 제3 보디(150)에 비하여 높은 지점에 위치한다.
배출홀(114)은 제1 보디(112)에 형성되며, 격실(A)과 연통된다.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에서의 유체 흐름을 간략히 설명한다.
유입홀(112)을 통하여, 제1 보디(112)의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면, 유입된 유체는 제3 보디(150)의 상면으로 낙하하게 되고, 제3 보디(150)의 상면에 고인 일부 유체는 반송홀(154)과 반송공간(B)을 거쳐 반송되고, 또 다른 일부 유체는 제2 계량홀(152)과 제1 계량홀(134a), 격실(A), 배출홀(114)을 거쳐 외부(다음 고정)로 배출된다.
도 3은 제3 보디(150), 제2 보디(130), 제1 보디(110)의 평면도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의 제3 보디(150)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는 제1 계량홀(134a)과 제2 계량홀(152)의 겹쳐진 형태에 따라, 격실(A)로 들어가는 유량이 변화되도록 구성된다. 도 3 내지 도 4는, 제1 계량홀(134a)과 제2 계량홀(152)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제1 계량홀(134a)과 제2 계량홀(152)의 형태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 계량홀(134a)과 제2 계량홀(152)를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3 보디(150)의 상면에는 턱(15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턱(156)은 배출홀(114)을 둘러싼다. 제3 보디(150)에 턱(156)이 구비될 경우, 제1 보디(110)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반송홀(154)보다 제2 계량홀(152)로 조금 더 먼저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즉, 제3 보디(150)의 상부에 일정 수위에 물이 고여, 격실(A)로 들어가는 유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제3 보디(150)의 상면에 이물질이 굳을 우려가 줄어든다.
또한, 제3 보디(150)의 상면에는, 손잡이(15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158)은 제3 보디(150)의 조작성을 높인다. 또한, 제3 보디(150)에 손잡이(158)가 구비되면, 제3 보디(150)를 제1 보디(11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제1 보디(110)의 상부에는 덮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는 하수처리시설의 원수조(TN1)와 반응조(TN2) 사이 등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하수처리시설이 지하에 매설되는 점을 감안하면, 도 5와 도시된 것처럼,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가 설치되었을 때, 사용자는 제1 보디(110)에서 덮개(미도시)를 제거한 후, 제1 보디(1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작동상태(유체의 흐름)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제3 보디(150)를 단순 회전시킴으로서, 반응조(TN2)로 배출되는 유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계량홀(134a), 제2 계량홀(152), 반송홀(154) 등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더라도, 사용자는 전술한 홀(134a, 152, 154)들에 막대 등을 밀어 넣어, 간단히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각 구성들을 분리하여 세척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는, 작동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관리가 용이하다.
추가로, 도 6는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의 변형 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보디(130)에는 격실(A)을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가림 플레이트(138)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제1 보디(110)에는 복수 개의 배출홀(114, 114')이, 제2 플레이트(134)에는 복수 개의 제1 계량홀(134a, 134a')이, 제3 보디(150)에는 복수 개의 제2 계량홀(152, 152')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원수조등에서 공급된 유체를 복수 개의 반응조 등에,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제2 계량홀(152, 152')을 막을 수 있는 마개(160, 160')가 더 구비되면, 특정 반응조 등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차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발명의 설명' 및 '도면' 전반에 내포된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장치
110 : 제1 보디
112 : 유입홀
114, 114' : 배출홀
130 : 제2 보디
132 : 제1 플레이트
134 : 제2 플레이트
134a, 134a' : 제1 계량홀
134b : 림
136 : 제3 플레이트
138 : 가림 플레이트
150 : 제3 보디
152, 152' : 제2 계량홀
154 : 반송홀
156 : 턱
158 : 손잡이
160, 160' : 마개
A : 격실 / B : 반송공간
--
TN1 : 원수조 / TN2 : 반응조 / PU : 펌프

Claims (3)

  1. 원통 형태의 제1 보디;
    상기 제1 보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독립된 격실을 형성시키는 제2 보디 - 상기 제2 보디는, 반원 형태의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방에 위치하며, 내측에 제1 계량홀이 형성된 반원 형태의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3 플레이트를 가짐 - ;
    내측에 제2 계량홀과 반송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바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2 바디의 상부에 위치하는 원형 플레이트 형태의 제3 보디;
    상기 제1 보디에 형성되되, 상기 제3 보디에 비하여 높은 지점에 위치하는 유입홀; 및,
    상기 제1 보디에 형성되며, 상기 격실과 연통되는 배출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계량홀과 상기 제2 계량홀의 겹쳐진 형태에 따라, 상기 격실로 들어가는 유량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보디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홀을 둘러싸는 턱;을 더 포함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보디의 상면에는, 손잡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2020180003141U 2018-07-09 2018-07-09 유량조절 장치 KR2004909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141U KR200490922Y1 (ko) 2018-07-09 2018-07-09 유량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141U KR200490922Y1 (ko) 2018-07-09 2018-07-09 유량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130U true KR20200000130U (ko) 2020-01-17
KR200490922Y1 KR200490922Y1 (ko) 2020-02-11

Family

ID=69227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141U KR200490922Y1 (ko) 2018-07-09 2018-07-09 유량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92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515B1 (ko) * 2020-07-21 2022-12-26 주식회사 다함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885Y1 (ko) * 2002-07-08 2002-11-13 주식회사 백두엔지니어링 분류식 하수관용 빗물유도판
KR20050100504A (ko) * 2004-04-14 2005-10-19 주식회사 한국한신테크노 초과유량을 바이패스하는 유량조절장치
KR200425877Y1 (ko) * 2006-06-26 2006-09-19 송화석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
KR100681265B1 (ko) * 2004-07-26 2007-02-12 알에스티이엔씨 주식회사 하수처리장치
KR101023019B1 (ko) 2008-05-08 2011-03-24 주식회사 에코다임 유량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885Y1 (ko) * 2002-07-08 2002-11-13 주식회사 백두엔지니어링 분류식 하수관용 빗물유도판
KR20050100504A (ko) * 2004-04-14 2005-10-19 주식회사 한국한신테크노 초과유량을 바이패스하는 유량조절장치
KR100681265B1 (ko) * 2004-07-26 2007-02-12 알에스티이엔씨 주식회사 하수처리장치
KR200425877Y1 (ko) * 2006-06-26 2006-09-19 송화석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
KR101023019B1 (ko) 2008-05-08 2011-03-24 주식회사 에코다임 유량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922Y1 (ko) 202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7877B1 (ko) 도류벽이 구비된 저장탱크
US20100122944A1 (en) Grey water filtering system
US10780377B2 (en) Sanitizing filter system and method for a residential water filtering system
EP2872399B1 (en) Scale prevention for aircraft water system
KR200490922Y1 (ko) 유량조절 장치
EP2416862A2 (en) A water treatment device
WO2014135837A1 (en) Fluid treatment apparatus & method
US6974536B2 (en)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dosing and recirculation chambers within a single tank
EP2334417B1 (en) Automatic dry granular chemical dispenser, for example for the chlorination of water in a swimming pool
RU2585191C1 (ru)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JP2015107464A (ja) 循環水利用システム
KR100906743B1 (ko) 배수지 또는 정수지에 사용되는 용수저장탱크
RU2364912C2 (ru) Водоочист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контроля выделения биоцидов в воду
KR101133370B1 (ko) 에너지 절약형 중수처리 및 공급시스템
EP4095105A1 (en) Multistage greywater treatment system
EP3746605B1 (en) Water recycling system
US20160258136A1 (en) Modular electrical appliance which reuses greywater
KR102265161B1 (ko) 염소가스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는 물탱크
US20100314330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an effluent
KR200317215Y1 (ko) 원통형저수조
JP2023545613A (ja) 航空機のための流体リサイクルユニット
US20100122739A1 (en) Grey water distributed control system
US7662277B1 (en)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RU220013U1 (ru) Станция очистки хозяйственно-бытовых сточных вод
CN115135396B (zh) 堆砌式多级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