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743B1 - 배수지 또는 정수지에 사용되는 용수저장탱크 - Google Patents

배수지 또는 정수지에 사용되는 용수저장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743B1
KR100906743B1 KR1020080056474A KR20080056474A KR100906743B1 KR 100906743 B1 KR100906743 B1 KR 100906743B1 KR 1020080056474 A KR1020080056474 A KR 1020080056474A KR 20080056474 A KR20080056474 A KR 20080056474A KR 100906743 B1 KR100906743 B1 KR 100906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hamber
storage tank
wall
wat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중호
김형구
마광열
마문덕
곽특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080056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67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27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rigidly mounted in or on tanks or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06Large containers rigid cylind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 외벽과, 상기 외벽의 상하부를 밀폐하는 지붕 및 바닥판으로 구성되고, 유수가 유입되는 유입관 및 유입된 유수가 배출되는 배출관과 연결되어 배수지 또는 정수지에 사용되는 용수저장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외벽의 내부에는 직경이 상이하고 유수출입홀이 형성된 복수개의 원통형 집수벽이 구획지게 배열되어 각각의 챔버를 형성하되, 상기 집수벽은 유수출입홀이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유입관은 가장 바깥쪽 챔버에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은 계단 형태로 구성되되, 바깥쪽 챔버에서 안쪽 챔버로 갈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고, 동일한 챔버 내에서는 집수벽의 유수출입홀에 가까울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며, 챔버 내에는 복수개의 배플이 지그재그로 설치되어, 유수를 오랫동안 체류하게 할 뿐만 아니라 용수와 소독약품이 잘 섞이도록 함으로써 유수의 소독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정수지, 배수지, 저장탱크, 소독

Description

배수지 또는 정수지에 사용되는 용수저장탱크{Water storage tank at reservoir}
본 발명은 용수저장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수와 소독약품이 잘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소독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할 수 있는 배수지 또는 정수지에 사용되는 용수저장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수는 암반대 수층안의 지하수나 용천수와 같은 자연상태의 물과, 강이나 호수의 물에 물리적, 화학적 처리를 가하여 먹기 적합한 상태로 만든 수돗물로 분류할 수 있다.
특히, 수돗물의 경우 국민 대다수가 일생동안 음용하기 때문에 철저한 수질관리가 수행되어야 하고,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정수지나 배수지를 설치하여 물을 소독함으로써 음용하기에 적절한 수질을 유지시킨다. 이러한 배수지나 정수지에는 저장탱크가 사용되는데, 상기 저장탱크는 물을 저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정수처리 운전관리상 발생하는 여과수량과 송수량 사이에 불균형을 조절 완화시킴과 동시에 염소 등과 같은 소독약품을 투입하여 물과 소독약품을 균일하게 혼합시켜 물을 소독하거나 저장탱크 내에 정체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된 시설물이다.
종래의 저장탱크는 원통형상의 외벽 내부에 형상은 동일하지만 직경이 상이한 다수개의 집수벽이 구비되고, 이 집수벽에 의하여 챔버가 형성되며, 챔버 내부를 용수가 원활하게 회전하면서 용수와 소독약품이 균일하게 혼합되어 용수가 소독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저장탱크는 소독약품이 혼합된 용수가 저장탱크 내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짧아서 용수의 소독이 효과적이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수지 또는 정수지에 사용되는 용수저장탱크에 소독약품과 같이 투입되는 유수를 오랫동안 체류하게 할 뿐만 아니라 유수와 소독약품이 잘 섞이도록 함으로써 유수의 소독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배수지 또는 정수지에 사용되는 용수저장탱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배수지 또는 정수지에 사용되 는 용수저장탱크는 원통형 외벽과, 상기 외벽의 상하부를 밀폐하는 지붕 및 바닥판으로 구성되고, 유수가 유입되는 유입관 및 유입된 유수가 배출되는 배출관과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외벽의 내부에는 직경이 상이하고 유수출입홀이 형성된 복수개의 원통형 집수벽이 구획지게 배열되어 각각의 챔버를 형성하되, 상기 집수벽은 유수출입홀이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유입관은 가장 바깥쪽 챔버에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은 계단 형태로 구성되되, 바깥쪽 챔버에서 안쪽 챔버로 갈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고, 동일한 챔버 내에서는 집수벽의 유수출입홀에 가까울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집수벽의 유수출입홀 양측에는 복수개의 유통홀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유통패널이 챔버를 가로질러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챔버에는 복수개의 배플이 지그재그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배수지 또는 정수지에 사용되는 용수저장탱크는 바닥판이 계단형태로 구성되고 챔버 내에 복수개의 배플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어 유수에 소독약품이 잘 혼합될 수 있으므로 용수의 소독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복수개의 집수벽 유수출입홀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위치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유통공이 형성된 유통패널이 챔버를 가로질러 설치되므로, 유수가 저장탱크 내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이로 인하여 유수의 소독효과를 한층 더 향상시 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배수지 또는 정수지에 사용되는 용수저장탱크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수지 또는 정수지에 사용되는 용수저장탱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용수저장탱크의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용수저장탱크는 원통형 외벽(10)과, 상기 외벽(10)의 상하부를 밀폐하는 지붕(20) 및 바닥판(30)으로 구성되고, 유수가 유입되는 유입관(40) 및 유입된 유수가 배출되는 배출관(50)과 연결되어 배수지 또는 정수지에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외벽(10)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직경이 상이한 복수개의 집수벽이 구획지게 배열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외벽(10)의 내부에 직경이 상이하고 제1,2,3,4유수출입홀(61a,62a,63a,64a)이 각각 형성된 원통형의 제1,2,3,4집수벽(61,62,63,64)이 구획지게 배열된다. 즉, 외벽(10)의 중심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은 집수벽이 직경이 큰 집수벽에 삽입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상기 외벽(10)의 내주면과 집수벽 중 가장 직경이 큰 제1집수벽(61)의 외주면 및 집수벽과 집수벽 사이에는 제1,2,3,4챔버(71,72,73,74)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2,3,4집수벽(61,62,63,64)은 각각 제1,2,3,4유수출입홀(61a,62a,63a,64a)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2,3,4집수벽(61,62,63,64)을 외벽(10) 내부에 배열할 때 상기 제1,2,3,4유수출입홀(61a,62a,63a,64a)이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열한다.
그리고, 상기 유입관(40)은 챔버 중에서 가장 바깥쪽의 챔버, 즉 제1챔버(71)에 연통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소독약품이 혼합된 유수는 제1챔버(71)를 통하여 용수저장탱크 내부로 유입되어 순차적으로 제2챔버(72)와 제3챔버(73) 및 제4챔버(74)를 거쳐 제4집수벽(64)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제4집수벽(74)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된 배출관(50)을 통하여 용수저장탱크의 외부로 유출된다.
상기 제1,2,3,4집수벽(61,62,63,64)에 각각 형성된 제1,2,3,4유수출입홀(61a,62a,63a,64a) 양측에는 복수개의 유통홀(80a)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유통패널(80)이 상기 제1,2,3,4챔버(71,72,73,74)를 가로질러 설치된다. 따라서, 제1,2,3,4챔버(71,72,73,74)를 흘러 제1,2,3,4유수출입홀(61a,62a,63a,64a)에 도달한 유수는 순간적으로 유통패널(80) 앞에서 정체되어 용수와 약품이 균일하게 혼합되고, 이후 유통홀(80a)을 통하여 다음 챔버로 이동한다.
상기 제1,2,3,4챔버(71,72,73,74)에는 복수개의 배플(90)이 지그재그로 설치되는데, 이러한 배플(90)은 유수가 흐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챔버(71)에 형성된 배플은 상기 외벽(10)의 내주면에 일단 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1챔버(71)의 일정구간까지 가로지르며, 반대쪽에 형성된 배플은 상기 제1집수벽(61)의 외주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1챔버(71)의 일정구간까지 가로지른다. 이때 배플은 외벽(10) 및 제1집수벽(61)의 접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유수가 흐르는 방향으로 외벽(10)및 제1집수벽(61)에 고정되지 않은 배플의 타단이 경사지도록 설치한다. 배플을 이렇게 설치하는 이유는 유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음과 동시에 배플에 의하여 용수저장탱크 내에 유수가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바닥판(30)은 계단 형태로 구성되되, 바깥쪽 챔버에서 안쪽 챔버로 갈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구성한다. 즉, 제1챔버(71)의 바닥판 높이가 가장 높고 제4챔버(74)의 바닥판 높이가 가장 낮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동일한 챔버 내에서는 집수벽의 유수출입홀에 가까울수록 바닥판(30)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한 바닥판(30)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돌기(30a)를 소정간격으로 형성시킨다.
한편, 바닥판(30)의 상면은 유수가 흐르는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바닥판(30)을 구성하면 유수가 용수저장탱크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용수저장탱크 내부에 너무 오랫동안 정체되어 부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용수저장탱크에서 유수가 흐르는 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입관(40)으로부터 제1챔버(71) 내에 소독약품이 혼합된 유수가 공급된다. 제1챔버(71)에 유입된 유수는 계단형태로 구성된 바닥판(30)을 흐르면서 복수회 낙하되고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소독약품과 물이 균일하게 혼합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유수가 배플(90)에 충돌하면서 소독약품과 유수가 균일하게 혼합되고, 바닥판(30)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30a)에 의하여 미세한 와류가 형성되면서 소독약품과 유수는 한 번 더 혼합된다.
상기 제1챔버(71)를 흘러 제1집수벽(61)의 제1유수출입홀(61a)에 당도한 유수는 유통패널(80) 앞에서 일시적으로 정체되면서 와류가 형성되고 그 이후 제2챔버(72)의 바닥판 위로 낙하되며, 제1챔버(71)에서와 동일한 과정으로 제2챔버(72)와 제3챔버(73) 및 제4챔버(74)의 바닥판 상면을 흘러서 유수와 소독약품이 균일하게 혼합된다.
제4챔버(74)를 흘러 제4집수벽(64) 내부로 유입된 유수는 배출관(50)을 통하여 용수저장탱크의 외부로 유출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수지 또는 정수지에 사용되는 용수저장탱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용수저장탱크의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외벽 20: 지붕
30: 바닥판 40: 유입관
50: 배출관 61,62,63,64 : 제1,2,3,4집수벽
61a,62a,63a,64a: 제1,2,3,4유수출입홀
71,72,73,74: 제1,2,3,4챔버
80: 유통패널 90: 배플

Claims (5)

  1. 원통형 외벽(10)과, 상기 외벽(10)의 상하부를 밀폐하는 지붕(20) 및 바닥판(30)으로 구성되고, 유수가 유입되는 유입관(40) 및 유입된 유수가 배출되는 배출관(50)과 연결되는 용수저장탱크로서, 상기 외벽(10)의 내부에는 직경이 상이하고 유수출입홀(61a,62a,63a,64a)이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원통형 집수벽(61,62,63,64)이 구획지게 배열되어 각각의 챔버(71,72,73,74)를 형성하되, 상기 집수벽은 유수출입홀(61a,62a,63a,64a)이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유입관(40)은 가장 바깥쪽 챔버(74)에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집수벽(61,62,63,64)의 유수출입홀(61a,62a,63a,64a) 양측에는 복수개의 유통홀(80a)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유통패널(80)이 챔버(71,72,73,74)를 가로질러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챔버(71,72,73,74)에는 복수개의 배플(90)이 용수가 흐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배수지 또는 정수지에 사용되는 용수저장탱크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30)은 계단 형태로 구성되되, 바깥쪽 챔버에서 안쪽 챔버로 갈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고, 동일한 챔버 내에서는 집수벽(61,62,63,64)의 유수출입홀(61a,62a,63a,64a)에 가까울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지 또는 정수지에 사용되는 용수저장탱크.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30)은 그 상면에 복수개의 돌기(30a)가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지 또는 정수지에 사용되는 용수저장탱크.
  5. 삭제
KR1020080056474A 2008-06-16 2008-06-16 배수지 또는 정수지에 사용되는 용수저장탱크 KR100906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474A KR100906743B1 (ko) 2008-06-16 2008-06-16 배수지 또는 정수지에 사용되는 용수저장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474A KR100906743B1 (ko) 2008-06-16 2008-06-16 배수지 또는 정수지에 사용되는 용수저장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6743B1 true KR100906743B1 (ko) 2009-07-09

Family

ID=41337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474A KR100906743B1 (ko) 2008-06-16 2008-06-16 배수지 또는 정수지에 사용되는 용수저장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67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143B1 (ko) 2009-12-21 2010-04-09 (주) 창우텍 오버플로우관 겸용 배수지 통기시스템
KR100974076B1 (ko) * 2010-01-06 2010-08-04 이코리더 주식회사 탁도 제거기
KR102028403B1 (ko) 2019-03-29 2019-10-04 김교민 정수처리장치용 스트레이너 구조
KR200494668Y1 (ko) 2021-05-31 2021-12-01 이에스피 주식회사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820Y1 (ko) * 2002-11-12 2003-02-05 강동열 정류벽을 갖는 다중 격벽 저장탱크
KR200328383Y1 (ko) 2003-06-23 2003-09-29 강동열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
KR100486852B1 (ko) * 2004-07-08 2005-05-03 강동열 저장탱크를 이용한 배수지
KR100840014B1 (ko) * 2007-05-28 2008-06-20 주식회사 미로 원통형 물탱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820Y1 (ko) * 2002-11-12 2003-02-05 강동열 정류벽을 갖는 다중 격벽 저장탱크
KR200328383Y1 (ko) 2003-06-23 2003-09-29 강동열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
KR100486852B1 (ko) * 2004-07-08 2005-05-03 강동열 저장탱크를 이용한 배수지
KR100840014B1 (ko) * 2007-05-28 2008-06-20 주식회사 미로 원통형 물탱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143B1 (ko) 2009-12-21 2010-04-09 (주) 창우텍 오버플로우관 겸용 배수지 통기시스템
KR100974076B1 (ko) * 2010-01-06 2010-08-04 이코리더 주식회사 탁도 제거기
KR102028403B1 (ko) 2019-03-29 2019-10-04 김교민 정수처리장치용 스트레이너 구조
KR200494668Y1 (ko) 2021-05-31 2021-12-01 이에스피 주식회사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496B1 (ko) 정수처리장치가 구비된 물탱크
US20130153493A1 (en) Moving bed membrane bioreactor
CN103395905B (zh) 废水深度处理工艺和装置
KR100906743B1 (ko) 배수지 또는 정수지에 사용되는 용수저장탱크
KR100886156B1 (ko) 회류유도형 원통저수조
KR101628712B1 (ko) 복합 다단 탈취 장치
KR100983375B1 (ko) 독립격벽구조의 활류식 원형 물탱크
WO2011029191A1 (en) Apparatus for waste water treatment
KR20110029506A (ko) 비점오염원 정화 및 여과장치
KR20090120622A (ko) 간이 집수정
KR20080043753A (ko)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
JP2014113511A (ja) 膜分離設備および膜分離設備の運転方法
KR100885969B1 (ko) 수조의 물 흐름 정체방지 기능을 갖는 소독약 분사장치
CN114560594B (zh) 一种模块化快装湿地污水处理装置
KR200308789Y1 (ko) 수조형 간이 정수장치
KR100326685B1 (ko) 오수정화조와 병합하는 정화조의 여과장치
KR100894571B1 (ko) 부분청소가 용이한 배수지 또는 정수지의 용수저장탱크
KR200219789Y1 (ko) 선박오수처리장치
JP2005199175A (ja) 浄化槽
CN207792980U (zh) 一种生活污水专用一体化处理设备
KR20070105450A (ko) 정수처리장치가 형성된 저장탱크
JP2005199277A (ja) 浄化槽
KR100439484B1 (ko) 호기혐기 조합형 이중통기공법에 의한 자연정화하수처리시스템
KR100455647B1 (ko) 원통형 저장탱크를 이용한 상하수도 정수처리 시스템
KR100800298B1 (ko) 정수처리용 이중 격벽 저장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