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8383Y1 -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 - Google Patents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383Y1
KR200328383Y1 KR20-2003-0019704U KR20030019704U KR200328383Y1 KR 200328383 Y1 KR200328383 Y1 KR 200328383Y1 KR 20030019704 U KR20030019704 U KR 20030019704U KR 200328383 Y1 KR200328383 Y1 KR 2003283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hamber
partition
filter pap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97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열
Original Assignee
강동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동열 filed Critical 강동열
Priority to KR20-2003-00197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3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3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3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27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rigidly mounted in or on tanks or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1/007Processes including a sedimentation step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2011/005Tanks with two or more separate compartments divided by, e.g. a flexible membrane

Abstract

본 고안은 제반적인 상수도 정수처리 시설을 다중 격벽 구조에 순차적으로 구비시켜, 위생적인 정수처리가 가능하고, 설비 시공이 간편한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는 유체를 담는 내부 공간에 나이테 형상의 공간을 갖되, 이런 공간을 구획하여 만든 응집지 챔버(180), 제1침전지 챔버(181), 제2침전지 챔버(182), 여과지 챔버(183), 정수지 챔버(184)를 갖는 다중 격벽 탱크 구조물(100)과; 원수 공급 배관(102)으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혼화 및 응집시키도록 응집지 챔버(180)에 설치된 교반기(200)와; 제1, 제2침전지 챔버(181, 182)의 바닥에 웅덩이 형상으로 형성되고, 슬러지 배출관(420)을 배관한 슬러지 배출 바닥 구조(400)와; 제2침전지 챔버(182)의 물을 유입시키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류관(600)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과지(700)와; 이런 여과지(700) 하부에 배치된 역세척 여과지 구조물(800)과; 여과지(700)의 상부에 배치된 여과사 표면 세척기(9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WATER TANK HAVING MULTI-BULKHEADS AND WATER SYSTEM}
본 고안은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적 안정성이 뛰어나고 위생적이며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한 대용량 스테인레스 다중 격벽 저장 수단에 원수를 음용 가능한 상수로 정수 처리하는 상수도 시스템이 구비된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수란 1997년 8월 28일 개정한 환경부의 '먹는물 관리법'에 정의된 바와 같이, 통상 사용하는 자연상태의 물과 자연상태의 물을 먹는데 적합하도록 처리한 먹는 물을 의미한다.
즉 식수는 각종 유해물질에 대해 일생동안 섭취하여도 유해하지 않은 자연상태의 물(암반대 수층안의 지하수, 용천수 등)과 같은 샘물과, 이런 샘물을 먹는데 적합하도록 물리적/화학적 처리를 가하여 제조한 먹는샘물과, 수자원(수원지, 댐, 계곡수, 강물 등)을 식수로 음용하기 위해 정수처리한 수돗물로 분류될 수 있다.
특히, 수돗물의 경우 국민 대다수가 경제적으로 일생동안 음용하기 때문에 국민건강 관리를 위해 철저한 수질 관리가 수행되고 있다.
일반적인 상하수도 정수처리 시스템은 대부분 부상법에 기초한 것으로서, 빗물, 강물, 계곡수 등과 같은 수자원을 확보하는 댐 내지 수원지에서 정수처리하기 전 상태의 원수를 공급받는다.
이런 원수는 ① 착수정, ② 약품투입시설, ③ 혼화지, ④ 응집지, ⑤ 침전지, ⑥ 여과지, ⑦ 고도정수처리시설, ⑧ 정수지, ⑨ 송수펌프시설을 통과하면서 소비자가 믿고 안심하게 음용 가능한 식수로 처리된다.
① 착수정은 유량을 균등하게 조정 배분하고,
② 약품투입시설은 원수 중 각종 탁질을 쉽게 제거하기 위하여 원수량과 수질상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PAC(폴리염화알루미늄), 황산알루미늄, 소석회, 활성탄 등 약품(응집제)을 혼화지에 투입하는 시설이고,
③ 혼화지는 원수와 투입 약품을 교반기로 균일하게 섞어주는 시설이고,
④ 응집지는 균일하게 섞인 탁질을 침강 덩어리로 응결시키는 시설이고,
⑤ 침전지는 응결된 덩어리(floc)를 가라앉혀 맑고 깨끗하게 하는 시설이고,
⑥ 여과지는 미세 부유물질을 모래, 안트라사이트로 여과시키는 시설이고,
⑦ 고도정수처리시설은 오존접촉 및 생물활성탄 필터로 물속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시설이고,
⑧ 정수지는 정수에 살균 소독 약품을 투입 후 일시 저장하는 시설이고,
⑨ 송수펌프시설은 정수지의 수돗물을 소비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시설이다.
그러나, 종래의 정수처리 시스템은 부상법을 기초로 하여, 그에 대응한 필수 처리 설비(혼화지, 응집지, 침전지, 여과지, 정수지 등)를 매우 광활한 면적의 부지에 설치하거나, 이에 상응하는 수리, 배관, 건물, 토목 시설물 등이 반드시 요구되는 대형 플랜트 시설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한편, 부상법이 아닌 다른 정수 처리 시설 중, MACF(Micro Air Coagulate Flotation)공법, 생물막을 이용한 하층박층류법이나, 역간접촉산화지법 또는, 수초와 수생식물을 이용한 자연식생법 또는, 고속응집침전공법 및 중공사정밀여과막(Hollow Fiber Micro Filter or Membrane)공법 내지 막분리활성슬러지법(MBR : Membrane BioReactor) 등이 현재 오폐수, 정수 처리에 응용되고 있으나, 기존의 부상법을 대체할 만큼 대용량으로 정수처리를 수행하기에 계층적이나 기술적으로 실용화 단계에 접근을 시도하고 있거나 연구 중에 있을 뿐이다.
한편, 부상법이나 상기 중공사 여과막을 이용한 간이형 정수처리 시설에 대한 많은 연구와 노력이 시도 중이다.
그러나, 간이형 정수처리 시설은 단일의 물 저장 공간을 사용하면서, 세대 단위 또는 소규모 시골 마을 단위 정도의 식수를 원수로부터 정수할 수 있는 정수 능력만을 제공할 수밖에 없는 단점을 갖고 있다.
즉, 소용량 정수 처리 시설로서 공간적 효율성이나 사용상 간편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위생적이면서 대용량으로 정수 처리를 수행할 수 없다.
특히, 마을, 읍, 면, 구 단위로 대용량 원수 처리 능력을 갖고 있으면서도, 시공 경제상 매우 뛰어나며, 상대적으로 설치 부지를 많이 차지 않으면서도,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한 물 저장 시설 및 정수처리 시설이 개발된 다면, 더할 나이 없는 유익한 신기술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물을 저장 및 처리하는 대형 정수지의 역할을 담당하여 대용량 물을 저장 및 공급할 수 있고, 부식이 되거나 수질이 변질될 우려가 없는 다중 격벽을 구비한 원통형 저장탱크를 개발한 바 있다.
이는 본 출원인에 출원된 특허 및 실용신안등록 출원 기술로서, 대한민국 2002년 특허출원 제4085호와, 동일 일자 이중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272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다중 격벽을 구비한 원통형 저장탱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체(1)에 상판(도시 안됨)과 바닥판(2)을 밀봉시켜 유체를 담을 수 있도록 구성하되, 외벽체(1)의 내부에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고 다단으로 적층시공된 원통유니트(3, 4, 5, 6)들이 축심으로부터 나이테 형상을 갖게 다중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단과 하단 부위에 유체가 관통할 수 있는 유입구(7, 8, 9)들을 구비한 다수의 격벽(10, 11, 12)들과, 외벽체(1)와 격벽(10, 11, 12)들에 의해 분할된 다수의 챔버(13, 14, 15, 16)들로 이루어진 원통형 본체(17)를 포함하되, 이런 원통형 본체(17)의 내부에서는 입수된 유체가 챔버(13, 14, 15, 16)들에 순차적으로 채워질 때 원주방향으로 회류하면서 유입구(7, 8, 9)를 통해 월류함으로써, 입수에서부터 출수까지의 유체의 체류 시간과 흐름 방향을 제어하고, 이에 따라 물속에 남이 있는 잔류 약품(염소, 불소)을 하나의 탱크에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고, 사수 발생이 없는 특유의 장점이 있다.
종래의 외벽체(1)와 격벽(10, 11, 12)은 모두 스테인레스 재질의 원통형 유니트(3, 4, 5, 6)를 동일 재질의 바닥판(2)의 상부에 적층 시공 후, 용접에 의해 서로 고정한 것이다.
이런 종래의 다중 격벽을 구비한 원통형 저장탱크는 2t에서 3t 정도의 스테인레스 스트립을 원재료로 하여 시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챔버(13, 14, 15, 16), 즉 바깥쪽 챔버(13)와 그 다음의 챔버(14) 사이의 격벽(10)에 가해지는 각각의 챔버 내부 수압이 서로 평행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격벽(10) 내지 외벽체(1)에서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별도의 보강대를 필요로 하지 않고, 구조적으로나 수리 역학적으로도 매우 튼튼하고 안정적인 액체 보관 성능을 갖게 되는 것이 특징이다.
물론, 종래의 다중 격벽을 구비한 원통형 저장탱크는 유니트 적층 및 용접 시공 방법에 의해 제작됨으로 제작의 편의성은 더할 나이가 없이 수월하며, 빠른 시간 내에 대용량의 물탱크를 만들어 낼 수 있는 특징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출원인은 종래 기술의 다중 격벽을 구비한 원통형 저장탱크의 연구 노력 가운데, 이러한 물탱크가 수 천 톤 이상으로서 정수 처리 시설이나 대용량 일반 산업 용수 처리 시설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게 되었다.
특히, 종래의 다중 격벽을 구비한 원통형 저장탱크는 하나의 본체부 내부에 다수의 격벽으로 구분된 수로 내지 챔버를 구획시키고 있고, 격벽의 수만큼 서로 다른 챔버를 만들거나, 물의 유동 길이와 유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독특한 구조이다.
그러나, 종래의 다중 격벽을 구비한 원통형 저장탱크는 원통형 내부의 물 유동의 특성상 특정 외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원주방향으로 물이 회전하는 원리만을 적용할 뿐, 물 여과용 부상법과, 여과법 및 정수원리에 입각한 여과시스템을 하나의 본체에 구비하지 못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앞서 대형 플랜트 설비를 요구하지 않은 단일의 본체부의 내부에 제반적인 상수도 정수처리 시설과 다중 격벽 구조를 구비하여, 위생적인 정수처리가 가능하고, 설비 시공이 간편한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다중 격벽 물탱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의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 A-A'의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선 B-B'의 단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선 C-C'의 단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제1슬러지 수집기의 사시도,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선 D-D'의 단면도,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선 E-E'의 단면도,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선 F-F'의 단면도,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여과지 물 분사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제2슬러지 수집기의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다중 격벽 탱크 구조물 111 : 제1원형격벽
112 : 제2원형격벽 180, 181, 182, 183, 184 : 챔버
200 : 교반기 300, 500 : 제1, 제2슬러지 수집기
400 : 슬러지 배출 바닥 구조 420 : 슬러지 배출관
600 : 월류관 700 : 여과지
800 : 역세척 여과지 구조물 900 : 여과사 표면 세척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유체를 담는 내부 공간에 나이테 형상의 공간을 갖는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공간을 구획하여 만든 응집지 챔버, 제1침전지 챔버, 제2침전지 챔버, 여과지 챔버, 정수지 챔버를 갖는 다중 격벽 탱크 구조물과; 이런 다중 격벽 탱크 구조물의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혼화 및 응집시키도록 응집지 챔버에 설치된 교반기와; 제1, 제2침전지 챔버의 바닥에 웅덩이 형상으로 형성되고, 슬러지 배출관을 배관한 슬러지 배출 바닥 구조와; 제2침전지 챔버의 물을 유입시키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류관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과지와; 이런 여과지 하부에 배치된 역세척 여과지 구조물과; 여과지의 상부에 배치된 여과사 표면 세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서,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다중 격벽 물탱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3에 도시된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 A-A'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선 B-B'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선 C-C'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제1슬러지 수집기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선 D-D'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선 E-E'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선 F-F'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여과지 물 분사장치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제2슬러지 수집기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는 기본적으로 부상법에 기초하여, 약품투입과, 혼화 및 응집과, 침전과, 여과와, 정수 처리를 다중 격벽 탱크 구조물(100)에서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다중 격벽 탱크 구조물(100)은 외벽체(110)의 안쪽에서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겹겹이 세워져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이테 형상의 제1, 제2원형격벽(111, 112)과, 외벽체(110)에 의해 지지되는 상판이나 지붕(120)과, 외벽체(110)와 제1, 제2원형격벽(111, 112)의 하단에 부착되어 다중 격벽 탱크 구조물(100)의 바닥이 되는 하판(130)을 용접에 의해 결합시킨 것이다.
외벽체(110)와 제1, 제2원형격벽(111, 112)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격벽와 외벽체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부분적으로 각각 확대한 원 내부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하판(130)은 산과 골을 형성한 웨이브 표면 형상 또는 'V'자 형상으로서, 물 흐름뿐만 아니라 슬러지 및 기타 이물질의 배출과 청소가 용이하다. 물론, 콘크리트 기저부(132)에서 외벽체(110)가 설치될 표면(133)의 형상도, 하판(130)의 표면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된다.
콘크리트 기저부(132)는 하판(130)을 지면을 기준으로 지지하고, 각종 배관을 설치하는 공간으로 사용된다. 콘크리트 기저부(132)에는 청소관과 슬러지 배출관 등이 배관되어 있으며, 각각의 챔버 또는 슬러지 배출 바닥 구조의 바닥에 형성된 배관구멍에 관통하게 결합되어 있다. 다만, 다중 격벽 탱크 구조물(100)이 지면, 지중, 지하에 형성되는 경우와 어떠한 이유에 의해서, 콘크리트 기저부(132)가 필요하지 않을 수 도 있다.
원형 퇴수로(190)는 경사형, 'U'자형, 'V'자형, 채널형 단면으로서, 외벽체(110)의 상단부위의 외측 테두리에 고정되고, 그의 바닥 부위에 퇴수관(191)을 하향으로 배관하여, 여과지 역세척시 월류된 슬러지나 제2슬러지 수집기가 수집한 슬러지를 수거 및 배출시킨다.
다중 격벽 탱크 구조물(100)의 내부 용적률은 하루에 수천에서 수만 톤 이상의 물을 저장 및 정수처리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챔버를 구분하고 분리시키는 제1, 제2, 제3, 제4구획격벽(141, 142, 143, 144)을 갖는다.
다중 격벽 탱크 구조물(100)의 내, 외부에는 약품투입시설(101)과, 원수 공급 배관(102)과, 혼화 및 응집용 교반기(20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제2, 제3유공판(151, 152, 153)과, 제1슬러지 수집기(300)와, 슬러지 배출 바닥 구조와, 제2슬러지 수집기(50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류관(60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과지(700)와, 이런 여과지(700) 하부에 배치된 역세척 여과지 구조물과, 여과사 표면 세척기(90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다중 격벽 탱크 구조물(100)의 외측 부위나 또는 소정 위치에 여과사의 역세척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역세척수 또는 역세척공기 공급시설(도시 안됨)을 더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수도 시스템의 관리 본부에 본 고안의 전반적인 작동 제어에 필요한 제어시스템(도시 안됨)을 구비시킨다.
제어시스템은 여과사 표면 세척기의 작동 제어, 역세척 여과지 구조물의 역세척 설비 작동 제어, 제1슬러지 수집기(300)의 작동 제어 및 슬러지 배출관의 밸브 개폐 제어, 제2슬러지 수집기의 작동 제어, 원수 공급 배관의 밸브 개폐 제어 및 약품투입시설의 작동 제어, 혼화 및 응집용 교반기의 회전 제어, 입수 및 출수유량 제어 등을 위해 통상의 전기적 제어회로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다중 격벽 탱크 구조물(100)은 본 출원인에 의해 고안된 다중 격벽을 구비한 원통형 저장탱크와 동일 내지 유사한 형상으로서, STS 444계열의 저수조 전용 스테인레스 재질 또는 기타 물탱크용 스테인레스 재질의 철판을 사용한다.
다중 격벽 탱크 구조물(100)에는 축심쪽에서 방사 방향 쪽으로 제1원형격벽(111), 제2원형격벽(112), 외벽체(110)가 배열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별도의 다른 원형격벽을 상기 제1, 제2원형격벽(111, 112) 또는 상기 외벽체(110)의 사이사이에 더 많이 배열할 경우, 입수에서부터 출수까지의 물의 체류 시간과 흐름 방향을 길게 가져갈 수 있고, 이에 따라 착수처리와 고도정수처리와 기타 다른 수 처리 시설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각각의 제1, 제2원형격벽(111, 112)과 외벽체(110)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고 다단으로 적층 및 용접 시공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용접에 의해 연장되는 원호형 패널들로 시공된다.
특히, 원호형 패널은 상하변 플랜지 부위를 일체형으로 절곡하여 만든 'ㄴ'자, 'ㄷ'자, 'ㅁ'자, 절곡 후 컬링 가공에 의한 'ㅇ'자, 계속되는 절곡에 의해 만든 'ㄹ'자 단면을 갖고 있어서, 별도의 보강재나 보강판을 필요로 하지 않는 일체형 절곡 구조를 갖고, 적층과 용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용접력이 상대적으로 강하다.
여기에서, 원호형 패널들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원통형유니트 형상을 갖게 되고, 이후, 종래 기술에서처럼 적층 및 용접되어 제1, 제2원형격벽(111, 112)과 외벽체(110)의 구조재가 된다.
또한, 각각의 제1, 제2원형격벽(111, 112)과 외벽체(110)는 본 출원인이 제안한 바 있는 콘크리트 철제패널 일체형 다중 격벽 물탱크(특허 출원번호 제10-2003-0029485호 또는 실용신안등록이중 출원번호 제20-2003-0014379호)에 의해서, 스테인레스 재질을 포함한 철제패널-콘크리트 샌드위치 구조의 벽체로서 시공된다.
또한, 제2원형격벽(112) 및 제2통로(162)의 상단과 외벽체(110)의 상단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반 'I'자 단면 또는 랙기어 형상의 레일(171, 172)이 형성되어 있다.
레일(171, 172)은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제1슬러지 수집기(300)와 제2슬러지 수집기(500)와 여과사 표면 세척기(900)의 이동(왕복) 궤적을 레일의 연장 방향으로 구속 및 가이딩하고,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제1, 제2원형격벽(111, 112)과 제1, 제2, 제3, 제4구획격벽(141, 142, 143, 144)과 외벽체(110)에 의해서, 축심 부위에는 응집지 챔버(18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약품투입시설(101) 측의 원수 공급 배관(102)에는 원수가 입수(W/I)되고, 이때의 원수에는 약품투입시설(101)의 약품이 투입된다.
약품이 투입된 원수는 응집지 챔버(18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제1통로(161)를 빠져나와서, 시계의 태엽이 풀려 나가는 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런 물의 유동 방향에 대응하게, 제1통로(161)부터 응집지 챔버(180)의 외주변에는 제1침전지 챔버(181)가 형성되고, 제2통로(162)부터 제1침전지 챔버(181)의 외주변에는 제2침전지 챔버(182)가 형성되어 있다. 이후, 역세척 여과지 구조물을 하부에 구비한 여과지 챔버(183)와 정수지 챔버(184)가 차례로 형성된다.
이때, 응집지 챔버(180)와 제1침전지 챔버(181)는 제1통로(161)를 통해서 관통하고, 제1침전지 챔버(181)와 제2침전지 챔버(182)는 제2통로(162)를 통해서 관통한다.
제1, 제2, 제3, 제4구획격벽(141, 142, 143, 144)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서 제1, 제2원형격벽(111, 112)들의 높이와 그들의 사이 폭과 동일한 크기의 판부재이다.
제1, 제2, 제3, 제4구획격벽(141, 142, 143, 144)은 상기 원통유니트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일자유니트를 적층 및 용접 시공하여 얇은 두께의 스테인레스 철판을 사용하면서도 구조적으로 튼튼한 벽체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에서, 제1구획격벽(141)은 제1원형격벽(111)에 형성된 제1통로(161)의 우측변에서 지름의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2원형격벽(112)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제2구획격벽(142)은 제2원형격벽(112)에 형성된 제2통로(162)의 우측변에서 지름의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된 후 외벽체(110)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제1, 제2통로(161, 162)의 우측변에 각각 제1, 제2구획격벽(141, 142)이 배열됨에 따라 다중 격벽 탱크 구조물(100)에서 물의 흐름은 나선형 시계 태엽 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만일, 제1, 제2통로(161, 162)의 좌측변에 제1, 제2구획격벽(141, 142)이 배열될 경우, 다중 격벽 탱크 구조물(100)에서 물의 흐름은 나선형 반시계 태엽 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또한, 제3, 제4구획격벽(143, 144)은 제2침전지 챔버(182)의 끝자락에서 여과지 챔버(183)와 정수지 챔버(184)를 구획시키도록, 제2원형격벽(112)의 외표면과 외벽체(110)의 내표면 사이에 각각 고정된다.
외벽체(110)는 단열과 마감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세라믹타일, 스톤코트, 드라이피트, 발포형 기포벽돌(일반도색 포함)에 의해 피복된 외표면(외측면)을 갖게 됨으로 써, 내구성, 단열성, 방음성이 더욱 뛰어나게 마감처리 된다. 물론, 외벽체(110)는 별개의 단열재와 마감재로 처리할 수 있다.
약품투입시설(101)은 인체에 무해한 폴리 염화 알루미늄, 폴리 황산 규산 알루미늄, 폴리 유기 황산 알루미늄, 폴리 수산화 염화 규산 알루미늄, 분말 활성탄과 같은 응집제 약품을 원수에 투입시키는 통상의 수처리 설비로서, 약품투입 배관을 원수 공급 배관(102)과 배관시키고 있다.
원수 공급 배관(102)은 착수정 또는 기타 장소에서 유입되는 원수를 응집지 챔버(180)의 내부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다중 격벽 탱크 구조물(100)의 상부에 배열되며, 기타 지지 부재 등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혼화 및 응집용 교반기(200)는 교반 날개(210)로 와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원수와 응집제가 잘 혼합(혼화)되도록 하고, 결과적으로 원수가 응집 플록화(덩어리화)되게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제1유공판(151)은 필터구멍을 제외하고 제1통로(161)를 가로막게 장착되고, 플록화된 비교적 큰 슬러지가 응집지 챔버(180)의 내부에서 제1침전지 챔버(181) 쪽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는 필터의 역할을 수행한다.
제2, 제3유공판(152, 153)은 제1침전지 챔버(181)의 소정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더 장착되는 것으로서, 제1침전지 챔버(181)의 원주방향에 수직하게 각각 배치되고, 양 측변은 제1원형격벽(111)과 제2원형격벽(112)의 측면에 고정된다.
제1슬러지 수집기(300)는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내용과 같이 피견인 커버판(310)을 사용하여서, 제1침전지 챔버(181)의 바닥 부위에 쌓이는 침강 슬러지를 슬러지 배출 바닥 구조(400) 쪽으로 쓸어모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슬러지 수집기(500)는 제1침전지 챔버(181)와 제2침전지 챔버(182)의 바닥 부위에 쌓이는 침강 슬러지를 펌프의 여압으로 수거하여 다중 격벽 탱크 구조물(100)의 원형 퇴수로(190)와 퇴수관(191)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월류관(600)은 제2침전지 챔버(182)에서 부상된 물을 월류시켜서 여과지 챔버(183)의 여과지(700)와 그의 하부에 있는 역세척 여과지 구조물 쪽으로 공급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여과지(700)는 급속 또는 완속 모래법에 기초를 하여, 복층 여재인 여과사, 여과자갈, 여과재(안트라사이트) 등에 물을 통과시켜서 탁도를 맑게 함과 동시에각종 이물질을 물에서 분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역세척 여과지 구조물은 여과지(700)의 역세척을 담당하는 하부 구조물로서, 물 또는 공기를 스테인레스 유공 플레이트의 아래쪽에서 상향으로 공급함으로써, 유공 플레이트와 복층 여재의 표면에 부착된 현탁물질을 분리시켜 부양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과사 표면 세척기(900)는 여과지(700)의 상부로 제2원형격벽(112)과 외벽체(110)의 사이에 가로지르게 배열되며, 제2원형격벽(112)과 외벽체(110)의 상단에 형성된 레일(171, 172)을 따라 왕복 운동하면서, 소정 시간 간격동안 상부 여과사 표면의 현탁물질, 머드 등을 고압의 수압으로 분리시킨 후, 물 표면에 떠오른 부유물을 일명 트라프(trough)라 불리는 직선 퇴수거(退水渠 : 790) 또는 원형 퇴수로(190)의 웨이브형 월류벽(791) 쪽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하, 도 4내지 도 9를 통해서, 본 고안의 주요 부위의 구성과 결합관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집지 챔버(180)에는 혼화 및 응집용 교반기(200)가 배열되어 있다.
혼화 및 응집용 교반기(200)는 응집지 챔버(180)의 축심에 일치하는 회전축(201)의 원주면에 3∼4개의 교반 날개(210)를 배열한 것으로서, 회전축(201)의 상단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가로 지지대(202)를 갖는다.
교반 날개(210)는 통상 스크루 형상이나, 소정 부위를 제외한 표면이 관통된 사각 틀 형상이나, 스파이럴 형상 내지 스파이럴 틀 형상을 갖는다.
가로 지지대(202)의 양 끝단은 제1원형격벽(111)의 상단에 용접에 의해서 고정되며, 용접부위에는 별도의 지지용 브래킷이나 보강 부재가 더 구비 될 수 있다.
가로 지지대(202)의 중앙부위에는 모터 보호 케이싱(230)이 배치되어 있고, 모터 케이싱(230)의 내부에는 모터와 기어박스가 결합되어 있다.
모터는 기어박스의 회전수 또는 토크 조절 수단에 의해서, 저속도로 회전축(201)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큰 토크력을 발생시킨다.
응집지 챔버(180) 축심에는 회전축 지지 프레임(240)이 형성되고, 하향으로 향하는 회전축(201)의 하단부는 회전축 지지 프레임(2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 지지 프레임(240)이 회전축(201)의 하중을 담당함과 동시에, 회전방향으로만 잘 회전될 수 있게 회전축(201)의 요동을 제한한다.
한편, 응집지 챔버(180)의 바닥판(250)은 중앙 집중식 콘형상을 갖고 있고, 콘형상의 축심에서 외부의 개폐 밸브와 결합되고 콘크리트 기저부(132)에 타설된 슬러지 청소관(251)과 관통하게 배관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공판(151)은 제1통로(161)가 형성된 제1원형격벽(111)에 설치된다.
제1통로(161)의 양측변에는 제1유공판(151)을 상방향으로 삽입 후 장착할 수 있는 장착 프레임(163, 164)이 형성되어 있다.
제1유공판(161)을 비롯하여 제2유공판에는 플록화된 슬러지(응집물)의 직경에 따라 순차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필터구멍(165)들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필터구멍(165)에는 별도의 스프링타입의 여과필터, 중공사막 필터 등이 더 장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스프링타입의 여과필터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3∼4개의 고정축이 배열되어 있고, 이런 고정축을 감싸듯이 스프링 와이어가 나선 방향으로 감겨져 압접되어 있으며, 이때 스프링 와이어들간의 이격 거리에 대응한 크기의 이물질을 여과시키게 된다. 중공사막 필터는 통상의 시제품을 사용한다.
제1통로(161)의 우측변에는 단면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제1구획격벽(141)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응집지 챔버(180)에서 응집제와 잘 섞여 플록화된 응집물들은 필터구멍(165) 또는 여과필터를 통과하지 못하고, 다만 필터구멍 또는 여과필터를 통과할 수 있는 입자를 함유한 물만이 제1구획격벽(141)의 반대쪽 방향으로 투과되어 나와서 제1침전지 챔버(181) 쪽으로 유동하게 된다.
즉, 제1유공판(161)을 투과한 물은 제1구획격벽(141)에 의해서 좌측 방향으로 유동하게 되고, 제1원형격벽(111)과 제2원형격벽(112)의 평균 원주 거리만큼 제1침전지 챔버(181)를 따라 유동하면서 상대적으로 질량이 무거운 이물질들이 점차적으로 침강 및 침전하게 된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슬러지 수집기(300)는 원수 중에서 슬러지, 일반적인 탁질성분, 미립자를 쓸어모아 퇴거시키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제1침전지 챔버(181)의 제1구획격벽으로부터 제2유공판 사이를 유한한 시간 동안 왕복 이동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서, 제1슬러지 수집기(300)는 제2원형격벽(112)의 제1레일(171)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전기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장치(320)와, 이런 구동장치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구동바퀴를 구비한다. 구동바퀴는 일반 레일에 사용 가능하게 타이어 형상이 될 수 있거나, 기어 레일에 결합될 수 있도록 원형 기어가 될 수 있다.
제1슬러지 수집기(300)의 구동장치(320)의 외부에는 제1원형격벽(111) 근처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된 외팔보(330)와, 이런 외팔보(330)의 하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한 쌍인 복수개의 파이프 부재, 견인 와이어, 견인 체인 중 어느 하나로 만든 견인수단(340)을 구비한다. 견인수단(340)은 외팔보(330)로부터 하향으로 제1침전지 챔버(181)의 바닥 근처까지 연장된다.
각각의 견인수단(340)은 그의 끝단을 피견인 커버판(310)에 결합시키고 있어서, 구동장치(320)의 이동에 따라 피견인 커버판(310)으로 제1침전지 챔버(181)의 바닥을 쓸어내게 된다.
여기에서, 피견인 커버판(310)은 견인수단(340)과 연결될 수 있는 결합 구멍을 형성하고 있고, 물에 뜨지 않을 만큼 상당한 중량을 가지며, 제1침전지 챔버(181)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는 폴리우레탄 내지 합성수지 계열의 재질로 형성된다. 예컨대, 피견인 커버판은 두께 10∼20㎝ 정도, 제1침전지 챔버(181)의 폭에 대응한 넓이, 제1침전지 챔버(181)의 바닥판 형상(평면, 'V'자 형상)에 대응하여 밀착 가능한 평판 형상, 경사 형상, 쐐기 형상과, 측변 또는 표면의 갈고리 형상, 돌기 형상, 평면 형상, 요철 형상을 갖는다.
도 3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침전지 챔버(181)의 바닥판에는 웅덩이 형상으로 파여 있는 슬러지 배출 바닥 구조(400)가 형성되어 있다.
슬러지 배출 바닥 구조(400)는 제1침전지 챔버(181)의 바닥 안쪽으로 파인 웅덩이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슬러지를 한 곳에 모으는 역할을 담당한다.
슬러지 배출 바닥 구조(400)는 제2유공판(152)의 좌측 부위 또는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은 제3유공판(153)의 좌측 부위(401), 또는 제1구획격벽(141) 및 제2구획격벽(142) 중 어느 한 측 부위(402)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참조).
각각의 슬러지 배출 바닥 구조(400)는 제1침전지 챔버(181)의 바닥판과 동일 재질의 스테인레스 판재로 덮여 있고, 콘형상의 바닥판(410)을 형성하고 있으며, 바닥판(410)의 중심에 슬러지 배출관(420)을 배관하고 있다. 슬러지 배출관(420)은 콘크리트 기저부(132)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며, 관 개폐를 위해 밸브를 장착하고 있다.
앞서 설명한 제1슬러지 수집기(300)가 제1레일(171)을 따라 이동할 때, 견인수단(340)에 연결된 피견인 커버판(310)이 슬러지(30)를 슬러지 배출 바닥 구조(400)의 안쪽으로 쓸어옴으로 써, 결과적으로 슬러지 배출 바닥 구조(400)에는 슬러지(31)가 모아지게 된다.
한편, 주기적으로 슬러지 배출 바닥 구조(400)에 모아진 슬러지(31)를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 작업이 아래와 같이 수행된다.
슬러지 배출 작업시, 제1슬러지 수집기(300)가 피견인 커버판(310)을 슬러지배출 바닥 구조(400)의 상부로 이동시킨 후 정지한다(f). 이런 경우, 피견인 커버판(310)이 슬러지 배출 바닥 구조(400)의 상부 개구 부위를 완전 덮게 된다. 이후, 슬러지 배출관(420)의 밸브가 개방되면, 압력 차이에 의해서 슬러지 배출 바닥 구조(400)의 슬러지(31)가 슬러지 배출관(4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S/O). 이때, 피견인 커버판(310)은 압력 차이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굴곡 형상을 이루면서 슬러지 배출 바닥 구조(400)의 상부 개구 부위를 거의 밀폐시키게 되고, 제1침전지 챔버(181)의 물이 슬러지 배출관(420)으로 잘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슬러지 배출관(420)을 통해서 슬러지 배출 바닥 구조(400)의 슬러지(31)가 거의 배출되면서 약간의 물이 빠져 나올 즈음에, 슬러지 배출관(420)의 밸브는 폐쇄되고, 제1슬러지 수집기(300)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g).
도 9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류관(600)이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월류관(600)은 제3구획격벽(143)의 상부에서 제2침전지 챔버(182)쪽으로 축길이를 연장시키는 외팔형 중공관 형태로 고정되며, 이때, 제3구획격벽(143)과 관통하게 배관된다. 각각의 월류관(600)은 다수의 월류 구멍이 형성된 관부재로 제작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월류관(600)은 절단선을 축심에 일치시킨 후, 관의 축방향으로 절단하여 반원관을 형성하고, 좌측 끝단부를 반원형 판부재로 막고, 우측 끝단부는 제3구획격벽의 관통부위에 용접한 둑 형상을 갖는다.
즉, 월류관(600)은 둑과 같은 웨어(weir)식 또는 구멍과 같은 오리피스(orifice)식이다.
따라서, 월류관(600)은 자신이 설치된 수위만큼 물이 차 올라 왔을 때, 물이 상기 월류 구멍 또는 반원관의 개구된 상부위를 오버플로우 하여, 여과지 챔버(183)로 유입되도록 한다.
월류관(600)의 설치 개수 및 직경은 물의 유량과 여과지의 용량(성능)에 따라 정해진다.
월류관(600)에도 어느 한 여과지를 청소할 때 다른 쪽 여과지에서 계속적으로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밸브가 장착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지 챔버(183)에는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직선 퇴수거(790)를 구비한 여과사 표면 세척기(90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과지(700)와, 역세척 여과지 구조물(800)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인 트라프와 유사한 직선 퇴수거(790)는 제4구획격벽(144)에 고정되어 있고, 퇴출관(792)을 통해 외벽체(110)의 외부 또는 원형 퇴수로와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직선 퇴수거(790)는 스테인레스 재질로서, 최대 배출수량의 약20% 여유를 둠으로써, 직선 퇴수거(790)에서 완전히 월류하는 상태가 유지되는 용량으로 제작하고, 완전하게 수평이고 또한 동일 수준 높이로 설치되어 있으며, 그의 형식은 웨어식 또는 오리피스식이다.
직선 퇴수거(790)의 설치 높이는 여과지(700)의 높이에 대응하며, 여과지(700)의 수직 프레임(801)보다 낮은 높이에 설치한다.
한편, 여과지(700)의 설치 높이는 역세척 여과지 구조물(800)의 두께와 월류관(600)의 설치 높이에 따라 달라진다.
원형 퇴수로와 직선 퇴수거(790)는 여과사 표면 세척기(900)에서 분사되는 수압에 의해서 여과사 표면에 부착된 현탁물질, 머드 등을 퇴수와 함께 배출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여과사 표면 세척기(900)는 외벽체(110)와 제2원형격벽의 상단에 지지되는 한 쌍의 일자형 레일(172)을 따라 구동모터, 구동기어박스, 구동바퀴 등으로 이루어진 구동장치(910)에 의해서 왕복 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외벽체(110)와 제2원형격벽을 가로지르는 중공 다리관(920)의 양 끝단에는 구동장치(910)와 롤러 지지부가 체결된다.
여과사 표면 세척기(900)는 외부로부터 세척수를 압송 받거나, 또는 여과지 상의 물을 흡입하여 고압으로 분산시키기 위한 세척수 분사 펌프를 구동장치(910)에 장착하거나, 외부의 분사 펌프로부터 고압의 물을 전달받는 배관 구조를 갖는다.
여기에서, 배관 구조는 중공 다리관(920)의 내부로 고압의 물이 전달되는 구조로서, 그의 제작 방법은 통상적인 수압 라인 배관 기술에 의존한다. 특히, 중공 다리관(920)의 하부쪽 원주면에는 다수개의 노즐 부재(930)들이 고압의 물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배관되어 있다.
노즐 부재(930)들은 여과지(700)의 물에 잠겨져 있을 정도로 중공 다리관(920)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며, 중공 다리관(920)의 축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로 배열되어 있다. 노즐 부재(9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과 연결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세척수 분사 펌프 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물은 중공 다리관(920)을 통해 각각의 노즐 부재(930)로 이동 후, 여과지(700)의 물속에서 여과사의 표면을 향해 분사된다.
여과지(700)는 하나의 여과지가 청소 및 역세척 되는 동안 다른 하나의 여과지가 계속 정수처리를 수행하기 위해서, 한 쌍으로 여과지 챔버(183)에 배열되는 것이 가능하다.
각각의 여과지(700)는 급속 또는 완속 모래법에 기초를 두고, 여과사, 여과자갈, 여과재(안트라사이트) 등의 복층 여재(750)를 통해 상기 월류관(600)에서 유입되는 물(W)을 여과시킨다.
이런 복층 여재(750)들의 하부에는 급속여과지 하부집수장치와 유사한 역세척 여과지 구조물(800)이 여과지 챔버(183)의 바닥에 세워져 있다.
역세척 여과지 구조물(800)은 상기 복층 여재(750)를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역세척 여과지 구조물(800)도 여과사 청소, 역세척시에 계속적으로 정수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단 하나 또는 한 쌍으로 구비된다.
역세척 여과지 구조물(800)은 스트레이너 블록과, 스트레이너형 유공블록과, 일반 유공블록과, 나사산 형상의 티피블록 및, 스테인레스 유공 플레이트(810) 중 어느 하나를 수직 프레임(801)의 중간 격벽의 형태로 사용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에서 스테인레스 유공 플레이트(810)는 네 주변에 위치한 외벽체(110)와 제2원형격벽과 제3구획격벽(143)과 수직 프레임(801)에 고정되는 다수의 구멍을 갖는 판부재이다.
스테인레스 유공 플레이트(810)의 각각의 구멍에는 여과사의 유출을 방지하면서 정류된 물을 수집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은 스프링 타입의 여과필터(81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스테인레스 유공 플레이트(810)는 스트레이너(812 : strainers)를 별도로 장착하여 역세척 시의 물, 공기 또는 물과 여과재 상호 간의 충돌이나 마찰, 수류의 압력으로 떨어뜨려 탁질을 여과지 상단의 직선 퇴수거(790)로 유출시키게 하는 장치이다. 스트레이너(812)는 물역세척, 물 및 공기역세척용으로 대한민국 '(주)한힘테크놀러지'의 모델명 HH-ST-W, HH-ST-AW 제품을 사용 가능하다.
스테인레스 유공 플레이트(810)의 하부 공간(860)에는 역세척수 내지 역세척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역세척 배관부재(870)가 배관되어 있다. 이런 역세척 배관부재(870)의 바깥쪽 끝단부는 역세척수 또는 역세척공기 공급시설과 배관된다.
또한, 정수지 배관부재(880)는 여과된 물이 모여지는 스테인레스 유공 플레이트의 하부 공간(860)과 정수지 챔버(184)의 공간을 서로 관통하게 배관되어 있어서, 복층 여재(750)와 스테인레스 유공 플레이트(810)의 여과필터(811)를 통과한 물을 정수지 챔버(184)쪽으로 유동시킨다.
도 3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세척과 여과사 표면세척시, 여과사 표면 세척기(900)가 한 쌍의 일자형 레일(172)을 따라 왕복 이동하고, 역세척 배관부재(870)에서 역세척수 및 역세척공기가 스테인레스 유공 플레이트(810)의 하부 공간(860)의 내부로 유입된다(A/I).
여과사 표면 세척기(900)의 노즐에서는 고압의 세척수가 여과사 상부의 표면을 세척하고 현탁물질, 머드, 미생물을 여과사로부터 탈착 시킨다.
이와 동시에, 하부 공간(860)으로 유입된 역세척수 또는 역세척공기는 스트레이너(812)를 통해 복층 여재(750)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복층 여재(750)의 사이사이에 흡착 내지 부착되어 있던 현탁물질을 분리시켜 부양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여과사 표면 세척기(900)의 작동 방향으로 부유되고 탈착된 현탁물질, 머드, 미생물들은 직선 퇴수거(790)와 퇴출관(792)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고, 기타 슬러지 처리 시설에 전달된다.
정수지 챔버(184)는 제4구획격벽과 제2구획격벽과 제2원형격벽(112) 및 외벽체(110)로 둘러 쌓인 공간으로서, 물이 다음 정수시설로 유입되기 전에 소정시간 동안 머물러 있는 공간이다.
또한, 본 고안의 정수지 챔버(184)는 제4구획격벽과 제2구획격벽과의 사이에 별도의 구획격벽과 연결 배관(도시 안됨)을 구비함으로 써, 고도정수처리시설과 정수지 시설로 구획될 수 있다.
정수지 챔버(184)와 관통하게 배관된 출수 배관부재(109)는 송수펌프시설에 배관되어 소비자가 믿고 안심하게 음용 가능한 식수를 송수펌프시설에 공급한다(CW/O).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슬러지 수집기(500)는 제1침전지 챔버(181), 제2침전지 챔버(182)의 하부로 퇴적되는 슬러지, 일반적인 탁질성분, 미립자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제2원형격벽(112)의 레일(171, 172)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유한한 시간 간격동안 왕복 이동하면서, 슬러지 흡입 작동을 수행한다(도 2참조).
이를 위해서, 제2슬러지 수집기(500)의 작동 범위는 상기 제1슬러지 수집기(300)의 작동 범위를 고려하여, 상수도 시스템의 관리 본부의 제어시스템에 의해서 제한된다.
제2슬러지 수집기(500)는 제2원형격벽(112) 상의 레일(171)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전기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구동바퀴로 결합된 구동장치(510)를 구비한다.
구동장치(510)에는 하기의 제1관절배관(511)과 관통한 슬러지 토출관(521)이 결합되어 있다.
슬러지 토출관(521)은 외벽체(110) 상의 레일(172)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롤러 지지부(520)에 지지되며, 그의 끝단은 원형 퇴수로(190)의 상부에 놓여있다.
제2슬러지 수집기(500)의 구동장치에는 외부의 여압 발생용 펌프와 연결된 제1관절배관(511)이 결합되어 있다.
제1관절배관(511)은 여압을 전달하면서, 기구적으로 힌지 작동(m)이 가능한 배관 장치이다.
이런 제1관절배관(511)은 외팔형 중공관(512)과, 그의 제2관절배관(513)과, 제2관절배관(513)에 관통하여 하방향으로 연장된 연장관(514)과, 이런 연장관(514)의 하단에서 'T'자 형상으로 배관된 슬러지 흡입관(515)을 갖는다.
제2관절배관(513)은 역시 기구적으로 힌지 작동(k)이 가능하면서 내부에 여압을 전달할 수 있는 배관 장치이다.
제1관절배관(511)과 제2관절배관(513)에 결합된 외팔형 중공관(512)과 연장관(514)과 슬러지 흡입관(515)은 작업자의 인력 또는 호이스트 등의 견인 설비 등에 의해서, 힌지 작동(k, m) 한 후, 제1침전지 챔버(181)와 제2침전지 챔버(182)로 선택적으로 배치된다.
이후, 제2슬러지 수집기(500)는 구동장치(510)의 구동력에 의해서 제2원형격벽(112)과 외벽체(110) 상의 레일(171, 172)을 따라 움직이면서, 제1침전지 챔버(181)와 제2침전지 챔버(182)의 슬러지를 여압으로 흡입한다.
이렇게 흡입된 슬러지는 슬러지 토출관(521)을 통해서 원형 퇴수로(190) 쪽으로 모여진 후, 슬러지 처리 시설로 배출된다.
제2실시예에서, 본 고안의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는 도 13의 평면도를 참조하면, 정수 처리를 사각형 다중 격벽 탱크 구조물(100')로서 사각형, 사각 상자형 외관(layout)을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앞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는 위생적이고 튼튼한 수 처리 시설 및 물탱크를 원하는 소비자에게 다중 격벽 구조로서 구조적 강성과 대용량의 물저장 능력 및 콘크리트와 스테인레스의 모든 장점을 구비하여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한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는 일련의 정수처리를 단 하나의 구조물 내에서 계통적으로 수행하므로, 대규모 플랜트 시설 및 건축물이 필요 없이, 중소 규모의 정수설비를 매우 용이하게 설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는 정수량과 정수처리시간에 따라 원형격벽 내지 구획격벽을 증가시켜서, 대규모의 정수설비를 매우 용이하게 설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는 물탱크 내부에서 상수도 정수처리가 모두 완벽하게 수행됨은 물론, 동일 종류의 다중격벽탱크를 모듈별로 연결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수질의 상급수를 양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는 다수의 배출관 퇴수로, 퇴수거, 여과사 청소 설비(여과사 표면 세척 및 역세척 설비), 다양한 방식의 슬러지 수집기 등을 구비하여, 청소 및 유지 관리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유체를 담는 내부 공간에 나이테 형상의 공간을 갖는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공간을 구획하여 만든 응집지 챔버(180), 제1침전지 챔버(181), 제2침전지 챔버(182), 여과지 챔버(183), 정수지 챔버(184)를 갖는 다중 격벽 탱크 구조물(100)과;
    상기 다중 격벽 탱크 구조물(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혼화 및 응집시키도록 상기 응집지 챔버(180)에 설치된 교반기(200)와;
    상기 제1, 제2침전지 챔버(181, 182)의 바닥에 웅덩이 형상으로 형성되고, 슬러지 배출관(420)을 배관한 슬러지 배출 바닥 구조(400)와;
    상기 제2침전지 챔버(182)의 물을 유입시키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류관(600)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과지(700)와;
    이런 여과지(700) 하부에 배치된 역세척 여과지 구조물(800)과;
    상기 여과지(700)의 상부에 배치된 여과사 표면 세척기(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격벽 탱크 구조물(100)은 외벽체(110)의 안쪽에서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겹겹이 세워져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이테 형상의 제1, 제2격벽(111, 112)과;
    상기 외벽체(110)에 의해 지지되는 지붕(120)과;
    상기 외벽체(110)와 제1, 제2격벽(111, 112)의 하단에 부착되어 다중 격벽 탱크 구조물(100)의 바닥이 되는 하판(130)과;
    상기 챔버(180, 181, 182, 183, 184)를 구분하고 분리시키는 제1, 제2, 제3, 제4구획격벽(141, 142, 143, 1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격벽(111, 112)에는 플록화된 슬러지를 여과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제2, 제3유공판(151, 152, 153)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체(110)의 상단부위의 외측 테두리에 고정되어서, 경사형, 'U'자형, 'V'자형, 채널형 퇴수로(190)와, 상기 퇴수로(190)의 바닥 부위에서 하향으로 배관된 퇴수관(19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물탱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격벽(111, 112)과 상기 외벽체(110)는 상하변 플랜지 부위를 일체형으로 절곡하여 만든 'ㄴ'자, 'ㄷ'자, 'ㅁ'자, 'ㅇ'자, 'ㄹ'자 단면을 갖고 있고 길이방향으로 용접에 의해 연장되는 원호형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격벽(111, 112)과 상기 외벽체(110)는 스테인레스 재질을 포함한 철제패널-콘크리트 샌드위치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격벽 탱크 구조물(100)의 외부에는 상기 응집지 챔버(180)로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 공급 배관(102)에 약품을 투입시키기 위한 약품투입시설(101)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격벽 탱크 구조물(100)의 레일(171, 172)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1침전지 챔버(181)와 상기 제2침전지 챔버(182)의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제2슬러지 수집기(300, 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척 여과지 구조물(800)은 복층 여재(750)를 중간 격벽의 형태로 지지하도록, 상기 외벽체(110)와 상기 제2격벽(112)과 상기 제3구획격벽(143)과 수직 프레임(801)에 고정되고 여과사의 유출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 타입의 여과필터(811)를 장착한 스테인레스 유공 플레이트(8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
  10. 유체를 담는 내부 공간에 나이테 형상의 공간을 갖는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공간을 구획하여 만든 응집지 챔버, 제1침전지 챔버, 제2침전지 챔버,여과지 챔버, 정수지 챔버를 갖는 사각형 다중 격벽 탱크 구조물(100')과;
    상기 다중 격벽 탱크 구조물(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혼화 및 응집시키도록 상기 응집지 챔버에 설치된 교반기와;
    상기 제1, 제2침전지 챔버의 바닥에 웅덩이 형상으로 형성되고, 슬러지 배출관을 배관한 슬러지 배출 바닥 구조와;
    상기 제2침전지 챔버의 물을 유입시키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류관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과지와;
    이런 여과지 하부에 배치된 역세척 여과지 구조물과;
    상기 여과지의 상부에 배치된 여과사 표면 세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
KR20-2003-0019704U 2003-06-23 2003-06-23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 KR2003283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704U KR200328383Y1 (ko) 2003-06-23 2003-06-23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704U KR200328383Y1 (ko) 2003-06-23 2003-06-23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0565A Division KR100486851B1 (ko) 2003-06-23 2003-06-23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8383Y1 true KR200328383Y1 (ko) 2003-09-29

Family

ID=49416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9704U KR200328383Y1 (ko) 2003-06-23 2003-06-23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38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026B1 (ko) * 2003-12-08 2005-09-05 강동열 상수도 정수처리 시스템을 구비한 기능성 물탱크
KR100906743B1 (ko) 2008-06-16 2009-07-09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배수지 또는 정수지에 사용되는 용수저장탱크
KR101044475B1 (ko) 2011-03-31 2011-06-27 이화자 도류벽이 구비된 물탱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026B1 (ko) * 2003-12-08 2005-09-05 강동열 상수도 정수처리 시스템을 구비한 기능성 물탱크
KR100906743B1 (ko) 2008-06-16 2009-07-09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배수지 또는 정수지에 사용되는 용수저장탱크
KR101044475B1 (ko) 2011-03-31 2011-06-27 이화자 도류벽이 구비된 물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3583A (en) Sewage dewatering equipment
KR100486851B1 (ko)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
US8349176B2 (en) Modular integrated water-purifying device
CN201132782Y (zh) 含油污水净化装置及具有该装置的净化系统
US20060006114A1 (en) Process for combining solids thickening and dewatering in one vessel
CN104108830A (zh) 新型中水深度处理及回用系统
CN103007625A (zh) 一体化净水装置及净水方法
CN203144168U (zh) 一种垂直侧向流过滤器
KR200328383Y1 (ko)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
CN206232523U (zh) 一体化污水处理设备
CN201400615Y (zh) 循环水排污水的处理系统
KR101543548B1 (ko) 중력식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총인여과방법
CN201882931U (zh) 一种海水淡化预处理用滤池
CN202924854U (zh) 一种污水处理絮凝转盘滤池
CN203700089U (zh) 一种气浮转盘一体化污水处理装置
CN206607047U (zh) 气浮滤池
CN109354335A (zh) 城镇生活污水处理的优化组合工艺
KR100455647B1 (ko) 원통형 저장탱크를 이용한 상하수도 정수처리 시스템
JP2003251115A (ja) 固液分離装置
CN216005337U (zh) 一种生物流动床曝气生物滤池生活污水处理设备
KR100512027B1 (ko) 물탱크용 상수도 정수처리 시스템
KR200294003Y1 (ko) 원통형 저장탱크를 이용한 상하수도 정수처리 시스템
RU93083U1 (ru) Автономная установка очистки бытовых сточных вод "ау обсв-1"
CN103086500B (zh) 垂直侧向流储污过滤器
CN109867377A (zh) 一种污水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