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475B1 - 도류벽이 구비된 물탱크 - Google Patents

도류벽이 구비된 물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475B1
KR101044475B1 KR1020110029232A KR20110029232A KR101044475B1 KR 101044475 B1 KR101044475 B1 KR 101044475B1 KR 1020110029232 A KR1020110029232 A KR 1020110029232A KR 20110029232 A KR20110029232 A KR 20110029232A KR 101044475 B1 KR101044475 B1 KR 101044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water
storage space
water tank
storage uni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화자
Original Assignee
이화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자 filed Critical 이화자
Priority to KR1020110029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4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4Contents retaining means
    • B65D90/0066Partition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0Manholes; Inspection openings; Cov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26Overfill pre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06Large containers rigid cylindrical
    • B65D88/08Large containers rigid cylindrical with a vertic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중 동심원 격벽으로 분할된 다중 저수공간를 형성하는 원수 저장부; 상기 원수 저장부의 최내측 동심원 격벽으로부터 최외측 동심원격벽 사이를 방사상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된 다수의 연결 파이프; 및 상기 원수 저장부의 상부를 덮어 밀폐되도록 하되,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맨홀이 형성된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파이프를 이용해 내측 저수공간의 원수를 다음 저수공간으로 이송하는 유로연결구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류벽이 구비된 물탱크가 제공된다.ㅍ

Description

도류벽이 구비된 물탱크{A Water Tank of Training wall}
본 발명은 탱크 내의 물을 정체시키지 않고 계속 유동시켜 활성수를 공급하는 동시에 유동경로를 최대한 연장시켜 원수와 염소의 접촉시간이 증가될 수 있도록 원수 저장부를 다중 동심원 격벽으로 분할된 다중 저수공간를 형성하도록 된 도류벽이 구비된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저수조등과 같은 대형 물탱크는, 정수장 또는 배수장등에 원통형의 물탱크를 설치하여, 소독약품과 물을 동시에 유입시켜 이를 서로 혼합되도록 하여, 상수로 사용되는 물을 소독하거나 일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원통형 저수조에 있어서는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 0317215호에 알려져 있다.
즉, 그 기술적인 구성은 도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바닥판(310)과 상판(311)에 접합되어 유체를 수용토록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챔버(330)갖는 원형의 본체(340) 내측으로 서로 다른 외경을 갖는 원통형 벽체(350)가 다수 개 배열되어 각각 수용공간을 형성토록 하며, 상기 본체(340)와 원통형 벽체(350)에 의해 형성되는 챔버(330)를 분할하여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는 월류 유도벽(360)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한편, 상기 원통형 벽체(350)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월류공(351)을 형성하여 외측의 챔버(330)에 수용된 유체가 인접한 내측 챔버(330)로 월류되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370은 집수관 및 380은 유출관이다.
따라서, 집수관(370)을 통해 챔버(330) 내부로 소독약품과 함께 유입되는 원수는 챔버(330) 내부에 충진시, 그 상측에 마련된 월류공(351)을 통해 내측 챔버(330)로 순차로 흐르게 되어, 물이 어느 한곳에 정체되지 않고 내측으로 순환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정수장 또는 배수장에 설치되는 대형 물탱크는, 단순히 바닥판(310)과 상판(311)을 용접에 의해 밀봉 접합시켜 그 내부에 요홈부 형상의 챔버(330)를 갖는 원통형 벽체(350)가 다수개 입설됨으로써, 챔버 내부에서 물과 함께 소독약품인 염소의 접촉시간이 길게 되는 것이나, 이와 같은 물탱크는 수 톤에서 수천 톤의 원수가 유입되는 관계로,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로 구성된 원통형 벽체(50)의 저부 용접부가 국부적으로 수압을 받게 됨은 물론, 상기 다중 원통형 벽체(50)의 특성상 내부 챔버의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종래기술의 물탱크는 원수의 유입량과 유출량이 거의 동일한 상태, 즉 수위가 대략 일정한 상태에서 사용시, 물탱크의 챔버(330) 내부에 유입된 물이 정체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원통형 벽체(350)등에 이끼가 발생하게 되고, 원수의 살균작업을 염소 등과 같은 소독약품 처리에 의해 수행하는 관계로, 물을 제대로 정화시킬 수 없게 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탱크 내의 물을 정체시키지 않고 계속 유동시켜 활성수를 공급하는 동시에 유동경로를 최대한 연장시켜 원수와 염소의 접촉시간이 증가될 수 있도록 원수 저장부를 다중 동심원 격벽으로 분할된 다중 저수공간를 형성하고, 상기 원수 저장부의 최내측 동심원 격벽으로부터 최외측 동심원격벽 사이를 다수의 연결 파이프를 이용해 방사상으로 연결하며, 상기 연결 파이프를 이용해 내측 저수공간의 원수를 다음 저수공간으로 이송하는 유로연결구간이 형성되도록 한 도류벽이 구비된 물탱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중 동심원 격벽으로 분할된 다중 저수공간를 형성하는 원수 저장부; 상기 원수 저장부의 최내측 동심원 격벽으로부터 최외측 동심원격벽 사이를 방사상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된 다수의 연결 파이프; 및 상기 원수 저장부의 상부를 덮어 밀폐되도록 하되,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맨홀이 형성된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파이프를 이용해 내측 저수공간의 원수를 다음 저수공간으로 이송하는 유로연결구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류벽이 구비된 물탱크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수저장부는 최내측 저수공간의 상부에 원수가 공급되는 원수공급관이 연결되고, 최외측 저수공간의 상부 외벽에 초과 공급되는 원수를 방출하기 위한 오버플로우관이 연결되며, 최외측 저수공간의 상부 외벽에 저장된 원수를 외부로 공급하는 배출관이 연결되고, 다중의 저수공간 바닥에 각각 침전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나의 유로연결구간은 2개의 저수공간이 연결되며, 그 중 내측 저수공간에는 원수 유입구가 형성되도록 하고, 외측 저수공간에 원수 유출구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원수 유입구 및 원수 유출구는 다수의 통공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원수 유입구와 원수 유출구를 하나의 저수공간 내에 하나씩만 배치되도록 하고, 그 사이에 격막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저장탱크 내의 물을 정체시키지 않고 계속 유동시켜 활성수를 공급하는 동시에 유동경로를 최대한 연장시켜 원수와 염소의 접촉시간이 증가될 수 있도록 원수 저장부를 다중 동심원 격벽으로 분할된 다중 저수공간를 형성하고, 상기 원수 저장부의 최내측 동심원 격벽으로부터 최외측 동심원격벽 사이를 다수의 연결 파이프를 이용해 방사상으로 연결하며, 상기 연결 파이프를 이용해 내측 저수공간의 원수를 다음 저수공간으로 이송하는 유로연결구간이 형성되도록 한 도류벽이 구비된 물탱크를 제공함으로써, 원수의 수질을 최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다중 동심원 격벽 사이를 연결 파이프로 지지시켜 구조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격벽 두께를 최소화시켜 물탱크 설치비용을 절감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원통형 벽체가 내설되는 물탱크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류벽이 구비된 물탱크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류벽이 구비된 물탱크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류벽이 구비된 물탱크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류벽이 구비된 물탱크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류벽이 구비된 물탱크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3,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다중 동심원격벽(111)으로 분할된 다중 저수공간(113)를 형성하는 원수저장부(110)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다중 동심원격벽(111)을 이용해 저수공간(113)을 여럿으로 분리하게 되면, 저수압력을 분산시켜 물탱크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원수저장부(110)는 최내측 저수공간(113)의 상부에 원수가 공급되는 원수공급관(N1)이 연결된다.
또한, 최외측 저수공간(113)의 상부 외벽에는 초과 공급되는 원수를 방출하기 위한 오버플로우관(N3)이 연결되며, 최외측 저수공간(113)의 상부 외벽에 저장된 원수를 외부로 공급하는 배출관(N2)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다중의 저수공간(113) 바닥에 각각 침전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관(N4)이 연결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원수저장부(110)의 상부에는 덮개부(120)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덮개부(120)는 원수저장부(110)의 상부를 덮어 밀폐되도록 함과 아울러,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맨홀(MH)이 형성된다. 이때, 맨홀(MH)은 다중 저수공간(113) 상부에 하나씩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맨홀(MH) 각각에는 저수공간(113) 내부로 통하는 내부사다리(102)가 설치되며, 최외측 동심원격벽(111)에는 작업자가 덮개부(120) 위로 오르거나 내릴 수 있도록 외부사다리(10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120)에는 다수의 환풍구(N5)가 형성됨으로써, 원수저장부(110) 내부가 환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 4를 참조하면, 상기 원수저장부(110)의 최내측 동심원격벽(111)으로부터 최외측 동심원격벽(111) 사이를 방사상으로 연결하도록 다수의 연결 파이프(115)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 파이프(115)는 동심원격벽(111) 간을 지지시켜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연결 파이프(115)는 내측 저수공간(113)의 원수를 다음 저수공간(113)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연결 파이프(115)에 유로연결구간(117)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하나의 유로연결구간(117)은 2개의 저수공간이 연결되며, 그 중 내측 저수공간에는 원수 유입구(117a)가 형성되도록 하고, 외측 저수공간에 원수 유출구(117b)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수 유입구(117a) 및 원수 유출구(117b)는 다수의 통공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원수공급관(N1)을 통해 최내측 저수공간(113)으로 원수가 공급된다.
상기 최내측 저수공간(113)에 일정수위의 원수가 채워지게 되면, 최내측 동심원격벽(111)과 관통된 연결 파이프(115)의 유로연결구간(117)을 갖는 연결 파이프(115)의 원수 유입구(117a)를 통해 원수가 유입되어 다음 구간인 두 번째 저수공간(113)의 원수 유출구(117b)로 토출된다.
상기, 유로연결구간(117)의 원수 유입구(117a)는 최내측 동심원격벽(111)과 맞닿아 있는 연결 파이프(115)를 관통되도록 형성할 수 있고, 원수 유출구(117b)는 두 번째 저수공간(113)에 노출된 연결 파이프(115)의 외경에 가공시킨 다수의 통공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두 번째 저수공간(113)의 원수 유출구(117b)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두 번째 저수공간(113)에 일정수위 채워지게 되면, 세 번째 저수공간(113)과 연통되는 유로연결구간(117)을 갖는 연결 파이프(115)의 원수 유입구(117a)를 통해 원수가 유입되어 세 번째 저수공간(113)의 원수 유출구(117b)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두 번째 저수공간(113) 내의 원수 유출구(117b)와 원수 유입구(117a)를 각각 2개 이상 동시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세 번째 저수공간(113)의 원수 유출구(117b)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세 번째 저수공간(113)에 일정수위 채워지게 되면, 네 번째 저수공간(113)과 연통되는 유로연결구간(117)을 갖는 연결 파이프(115)의 원수 유입구(117a)를 통해 원수가 유입되어 네 번째 저수공간(113)의 원수 유출구(117b)로 토출된다.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세 번째 저수공간(113) 내의 원수 유출구(117b)와 원수 유입구(117a)를 각각 2개 이상 동시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네 번째 저수공간(113)에 저장된 원수는 배출관(N2)을 통해 물탱크(100) 외부로 배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류벽이 구비된 물탱크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원수 유입구(117a)와 원수 유출구(117b)를 하나의 저수공간 내에 하나씩만 배치되도록 하고, 그 사이에 격막(119)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각 저수공간(113)의 원수가 일방향으로 일정하게 회전하여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원수공급관(N1)을 통해 최내측 저수공간(113)으로 원수가 공급된다.
상기 최내측 저수공간(113)에 일정수위의 원수가 채워지게 되면, 최내측 동심원격벽(111)과 관통된 연결 파이프(115)의 유로연결구간(117)을 갖는 연결 파이프(115)의 원수 유입구(117a)를 통해 원수가 유입되어 다음 구간인 두 번째 저수공간(113)의 원수 유출구(117b)로 토출된다.
상기, 유로연결구간(117)의 원수 유입구(117a)는 최내측 동심원격벽(111)과 맞닿아 있는 연결 파이프(115)를 관통되도록 형성할 수 있고, 원수 유출구(117b)는 두 번째 저수공간(113)에 노출된 연결 파이프(115)의 외경에 가공시킨 다수의 통공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두 번째 저수공간(113)의 원수 유출구(117b)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두 번째 저수공간(113)에 일정수위 채워지게 되면, 세 번째 저수공간(113)과 연통되는 유로연결구간(117)을 갖는 연결 파이프(115)의 원수 유입구(117a)를 통해 원수가 유입되어 세 번째 저수공간(113)의 원수 유출구(117b)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두 번째 저수공간(113) 내의 원수 유출구(117b)와 원수 유입구(117a)와 사이에는 격막(119)이 형성됨으로써, 공급되는 원수의 흐름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3에서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세 번째 저수공간(113)의 원수 유출구(117b)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세 번째 저수공간(113)에 일정수위 채워지게 되면, 네 번째 저수공간(113)과 연통되는 유로연결구간(117)을 갖는 연결 파이프(115)의 원수 유입구(117a)를 통해 원수가 유입되어 네 번째 저수공간(113)의 원수 유출구(117b)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세 번째 저수공간(113) 내의 원수 유출구(117b)와 원수 유입구(117a)와 사이에는 격막(119)이 형성됨으로써, 공급되는 원수의 흐름을 도 3에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네 번째 저수공간(113)에 저장된 원수는 배출관(N2)을 통해 물탱크(100)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저장탱크 내의 물을 정체시키지 않고 계속 유동시켜 활성수를 공급하는 동시에 유동경로를 최대한 연장시켜 원수와 염소의 접촉시간이 증가될 수 있도록 원수 저장부를 다중 동심원 격벽으로 분할된 다중 저수공간를 형성하고, 상기 원수 저장부의 최내측 동심원 격벽으로부터 최외측 동심원격벽 사이를 다수의 연결 파이프를 이용해 방사상으로 연결하며, 상기 연결 파이프를 이용해 내측 저수공간의 원수를 다음 저수공간으로 이송하는 유로연결구간이 형성되도록 한 도류벽이 구비된 물탱크를 제공함으로써, 원수의 수질을 최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다중 동심원 격벽 사이를 연결 파이프로 지지시켜 구조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격벽 두께를 최소화시켜 물탱크 설치비용을 절감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100: 물탱크 101: 외부사다리
102: 내부사다리 110: 원수저장부
111: 다중 동심원격벽 113: 다중 저수공간
115: 연결 파이프 117: 유로연결구간
117a: 원수 유입구 117b: 원수 유출구
119: 격막 120:덮개부
N1: 원수공급관 N2: 배출관
N3: 오버플로우관 N4: 드레인관
N5: 환풍구 MH: 맨홀

Claims (5)

  1. 다중 동심원격벽(111)으로 분할된 다중 저수공간(113)를 형성하는 원수저장부(110);
    상기 원수저장부(110)의 최내측 동심원격벽(111)으로부터 최외측 동심원격벽(111) 사이를 방사상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된 다수의 연결 파이프(115); 및
    상기 원수저장부(110)의 상부를 덮어 밀폐되도록 하되,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맨홀(MH)이 형성된 덮개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파이프(115)를 이용해 내측 저수공간(113)의 원수를 다음 저수공간(113)으로 이송하는 유로연결구간(11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류벽이 구비된 물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저장부(110)는 최내측 저수공간(113)의 상부에 원수가 공급되는 원수공급관(N1)이 연결되고, 최외측 저수공간(113)의 상부 외벽에 초과 공급되는 원수를 방출하기 위한 오버플로우관(N3)이 연결되며, 최외측 저수공간(113)의 상부 외벽에 저장된 원수를 외부로 공급하는 배출관(N2)이 연결되고, 다중의 저수공간(113) 바닥에 각각 침전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관(N4)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류벽이 구비된 물탱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유로연결구간(117)은 2개의 저수공간이 연결되며, 그 중 내측 저수공간에는 원수 유입구(117a)가 형성되도록 하고, 외측 저수공간에 원수 유출구(117b)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류벽이 구비된 물탱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 유입구(117a) 및 원수 유출구(117b)는 다수의 통공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류벽이 구비된 물탱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 유입구(117a)와 원수 유출구(117b)를 하나의 저수공간 내에 하나씩만 배치되도록 하고, 그 사이에 격막(119)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류벽이 구비된 물탱크.


KR1020110029232A 2011-03-31 2011-03-31 도류벽이 구비된 물탱크 KR101044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232A KR101044475B1 (ko) 2011-03-31 2011-03-31 도류벽이 구비된 물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232A KR101044475B1 (ko) 2011-03-31 2011-03-31 도류벽이 구비된 물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4475B1 true KR101044475B1 (ko) 2011-06-27

Family

ID=44406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232A KR101044475B1 (ko) 2011-03-31 2011-03-31 도류벽이 구비된 물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47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260B1 (ko) * 2013-07-30 2014-03-04 주식회사 시스턴 다중격벽 원통형 물탱크
KR101443556B1 (ko) * 2014-02-13 2014-09-22 김근표 와류 노즐을 갖는 다중격벽 탱크
KR101689262B1 (ko) * 2016-07-10 2016-12-23 (주)금강 맨홀구멍이 형성된 도류벽과 내,외벽이 일체형 구조로 내구성이 향상된 물탱크
KR101890521B1 (ko) * 2017-02-20 2018-08-21 권성룡 물탱크
KR102293688B1 (ko) 2021-01-06 2021-08-26 주식회사 문창 사각 패널형 물탱크
KR102293696B1 (ko) 2021-01-06 2021-08-26 주식회사 문창 무도류벽 자연순환수류 구조의 원통 물탱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383A (ko) * 2001-09-28 2003-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공중망과 유무선 사설망이 연동된 망에서 가입자상태 정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328383Y1 (ko) 2003-06-23 2003-09-29 강동열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
KR100597877B1 (ko) 2005-05-27 2006-07-13 우영배 도류벽이 구비된 저장탱크
KR20080052013A (ko) * 2006-12-07 2008-06-11 주식회사 디에스이엔지 회류유도형 원통저수조
KR100983375B1 (ko) 2009-11-12 2010-09-20 세보금속스텐(주) 독립격벽구조의 활류식 원형 물탱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383A (ko) * 2001-09-28 2003-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공중망과 유무선 사설망이 연동된 망에서 가입자상태 정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328383Y1 (ko) 2003-06-23 2003-09-29 강동열 상수도 정수처리 다중격벽 물탱크
KR100597877B1 (ko) 2005-05-27 2006-07-13 우영배 도류벽이 구비된 저장탱크
KR20080052013A (ko) * 2006-12-07 2008-06-11 주식회사 디에스이엔지 회류유도형 원통저수조
KR100983375B1 (ko) 2009-11-12 2010-09-20 세보금속스텐(주) 독립격벽구조의 활류식 원형 물탱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260B1 (ko) * 2013-07-30 2014-03-04 주식회사 시스턴 다중격벽 원통형 물탱크
KR101443556B1 (ko) * 2014-02-13 2014-09-22 김근표 와류 노즐을 갖는 다중격벽 탱크
KR101689262B1 (ko) * 2016-07-10 2016-12-23 (주)금강 맨홀구멍이 형성된 도류벽과 내,외벽이 일체형 구조로 내구성이 향상된 물탱크
KR101890521B1 (ko) * 2017-02-20 2018-08-21 권성룡 물탱크
KR102293688B1 (ko) 2021-01-06 2021-08-26 주식회사 문창 사각 패널형 물탱크
KR102293696B1 (ko) 2021-01-06 2021-08-26 주식회사 문창 무도류벽 자연순환수류 구조의 원통 물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4475B1 (ko) 도류벽이 구비된 물탱크
ES2814923T3 (es) Aparato de filtración
KR101628712B1 (ko) 복합 다단 탈취 장치
KR100886156B1 (ko) 회류유도형 원통저수조
CN105060618B (zh) 多级动态生物膜反应器
US9011679B2 (en) Apparatus for waste water treatment
JP5474482B2 (ja) 膜浸漬槽及び膜処理装置
KR100906743B1 (ko) 배수지 또는 정수지에 사용되는 용수저장탱크
JP6401913B2 (ja) 排水ますおよびそれを備えた排水システム
KR100982283B1 (ko) 다수의 격벽이 형성된 저수탱크
KR100772337B1 (ko) 수압방지 및 도류벽 기능을 갖는 물탱크
KR101657508B1 (ko) 식물성 오일의 유수분리 탱크
KR102293696B1 (ko) 무도류벽 자연순환수류 구조의 원통 물탱크
KR101204816B1 (ko) 내벽보호형 수조
KR101261868B1 (ko) 선박의 비상배수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720201B1 (ko) 정체층 형성을 방지하는 무동력 저장탱크
KR102556218B1 (ko) 물탱크 천장판 세정장치
KR101205380B1 (ko) 배수 시스템
KR102409419B1 (ko) 배수지 기초벽 구조물
JP3626981B2 (ja) 非常用給水装置
KR20120062475A (ko) 무보강형 타원형수조
KR100809868B1 (ko) 수압방지 및 도류벽 기능을 갖는 물탱크
KR101442964B1 (ko) 다단낙수판이 구성된 정수 시스템
JP3716044B2 (ja) 非常用給水装置
KR200281762Y1 (ko) 원통형 저장탱크의 내부 격벽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