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521B1 - 물탱크 - Google Patents

물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521B1
KR101890521B1 KR1020170022120A KR20170022120A KR101890521B1 KR 101890521 B1 KR101890521 B1 KR 101890521B1 KR 1020170022120 A KR1020170022120 A KR 1020170022120A KR 20170022120 A KR20170022120 A KR 20170022120A KR 101890521 B1 KR101890521 B1 KR 101890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wall
water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성룡
Original Assignee
권성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성룡 filed Critical 권성룡
Priority to KR1020170022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5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바닥판의 상측면에 소정 높이로 설치되는 제1저수조; 제1저수조의 내부에 소정 높이의 통체 구조로 설치되는 제2저수조; 제2저수조의 내부에 소정 높이의 통체 구조로 설치되는 제3저수조; 제1저수조의 저수공간이 복수개로 구획되도록 제1저수조의 측벽 내면과 제2저수조의 측벽 외면에 구성되어 제1저수조에 유입된 물이 복수개의 저수공간들 사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도류벽그룹; 제2저수조의 저수공간이 복수개로 구획되도록 제2저수조의 측벽 내면과 제3저수조의 측벽 외면에 구성되어 제1저수조로부터 제2저수조에 유입된 물이 복수개의 저수공간들 사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2도류벽그룹; 제1저수조의 저수공간 중 가장 마지막에 해당되는 부분에 대응된 제2저수조의 측벽에 관통 형성되어 제1저수조의 저수공간을 순차적으로 이동한 물이 제2저수조의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1연통로; 제2저수조의 저수공간 중 가장 마지막에 해당되는 부분에 대응된 제3저수조의 측벽에 관통 형성되어 제2저수조의 저수공간을 순차적으로 이동한 물이 제3저수조의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2연통로; 및 제1저수조 내지 제3저수조의 상측부를 커버하는 지붕체로 구성된 물탱크조립체를 포함하는 물탱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물탱크{Water tank}
본 발명은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저수조가 다중 구조를 가지는 상태에서 저수조의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개의 도류벽과 저수조 사이가 연통되도록 하는 연통로를 통하여 저수조 내부의 물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불순물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는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탱크는 송수된 물이 저장되도록 하고 저장된 물이 수요지로 공급되도록 하는 구조물로서, 물탱크의 제작시에는 FRP나 스테인레스 스틸의 재질을 사용하여 통체로 일체 제작되거나 복수개의 패널들이 조립 제작되며, 최근에는 수압으로 인해 물탱크 내부의 측벽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응력이 모서리부분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원통형의 형상으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원통형의 물탱크는, 유입구를 통해 저장된 물이 그대로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기 때문에 물에 투여된 잔류염소를 통한 소독작용이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과 함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에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불순물이 물과 함께 물탱크 내부에 저장되어 있다가 유출구를 통해 유출 및 공급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용 20-0316208호 등과 같은 '도류벽을 가지는 물탱크'가 개시된 바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물탱크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출되는 유출구를 구비하며,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로 물이 지그재그로 흐르도록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 도류벽이 서로 중첩되면서 교차되도록 형성되어 물을 정체시키지 않고 흐르게 하고 이를 통하여, 염소접촉시간이 증가하도록 하여 물의 염소소독 효과 증대를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물탱크는, 저수공간이 다중 구조가 아닌 단일 구조를 가짐에 따라 수압에 따른 응력이 크게 작용하여 구조적 강도가 약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저수조 공간에 도류벽이 형성된다고 하더라도 길이만 서로 다를 뿐 동일한 높이를 가지기 때문에, 서로 다른 비중을 가지는 불순물이 물에 포함된 경우 불순물의 이동이 도류벽에 의해 차단되지 못하고 그대로 유출구를 통해 유출 및 공급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저수조가 다중 구조를 가지는 상태에서 저수조의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개의 도류벽과 저수조 사이가 연통되도록 하는 연통로를 통하여 저수조 내부의 물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염소소독 효과 증대와 불순물 차단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물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바닥판의 상측면에 소정 높이의 통체 구조로 설치되는 제1저수조; 제1저수조의 내부에 소정 높이의 통체 구조로 설치되는 제2저수조; 제2저수조의 내부에 소정 높이의 통체 구조로 설치되는 제3저수조; 제1저수조의 저수공간이 복수개로 구획되도록 제1저수조의 측벽 내면과 제2저수조의 측벽 외면에 구성되어 제1저수조에 유입된 물이 복수개의 저수공간들 사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도류벽그룹; 제2저수조의 저수공간이 복수개로 구획되도록 제2저수조의 측벽 내면과 제3저수조의 측벽 외면에 구성되어 제1저수조로부터 제2저수조에 유입된 물이 복수개의 저수공간들 사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2도류벽그룹; 제1저수조의 저수공간 중 가장 마지막에 해당되는 부분에 대응된 제2저수조의 측벽에 관통 형성되어 제1저수조의 저수공간을 순차적으로 이동한 물이 제2저수조의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1연통로; 제2저수조의 저수공간 중 가장 마지막에 해당되는 부분에 대응된 제3저수조의 측벽에 관통 형성되어 제2저수조의 저수공간을 순차적으로 이동한 물이 제3저수조의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2연통로; 및 제1저수조 내지 제3저수조의 상측부를 커버하는 지붕체로 구성된 물탱크조립체를 포함하는 물탱크가 제공된다.
여기서, 제1도류벽그룹은, 제1저수조의 측벽 내면과 제2저수조의 측벽 내면 사이의 공간을 전부 차단하는 차단벽; 차단벽으로부터 소정 각도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제1저수조의 측벽 내면과 제2저수조의 측벽 내면 사이의 공간 중 하단부로부터 중간부까지를 차단하는 제1상부통과벽; 제1상부통과벽으로부터 소정 각도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제1저수조의 측벽 내면과 제2저수조의 측벽 내면 사이의 공간 중 중간부로부터 상단부까지를 차단하는 하부통과벽; 및 하부통과벽으로부터 소정 각도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제1저수조의 측벽 내면과 제2저수조의 측벽 내면 사이의 공간 중 하단부로부터 중간부까지를 차단하는 제2상부통과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도류벽그룹은, 제2저수조의 측벽 내면과 제3저수조의 측벽 내면 사이의 공간을 전부 차단하는 차단벽; 차단벽으로부터 소정 각도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제2저수조의 측벽 내면과 제3저수조의 측벽 내면 사이의 공간 중 하단부로부터 중간부까지를 차단하는 제1상부통과벽; 제1상부통과벽으로부터 소정 각도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제2저수조의 측벽 내면과 제3저수조의 측벽 내면 사이의 공간 중 중간부로부터 상단부까지를 차단하는 하부통과벽; 및 하부통과벽으로부터 소정 각도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제2저수조의 측벽 내면과 제3저수조의 측벽 내면 사이의 공간 중 하단부로부터 중간부까지를 차단하는 제2상부통과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연통로는, 제1저수조의 차단벽과 제2저수조의 차단벽 사이의 구간에 해당되는 제2저수조의 측벽에 형성되고, 상측단 일부분과 하측단 일부분이 각각 차단되도록 하는 상측차단벽과 하측차단벽 및 그 사이의 중앙연통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연통로는, 제2저수조의 차단벽과 제2상부통과벽 사이의 제4공간 중 차단벽에 근접한 위치의 제3저수조의 측벽에 형성되고, 상측단 일부분과 하측단 일부분이 각각 차단되도록 하는 상측차단벽과 하측차단벽 및 그 사이의 중앙연통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저수조가 다중 구조를 가지는 상태에서 저수조의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개의 도류벽과 저수조 사이가 연통되도록 하는 연통로를 통하여 저수조 내부의 물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염소소독 효과 증대와 불순물 차단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를 나타낸 측단면도, 내부 사시도 및 평단면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물탱크에 있어서 저수조 내부에 구성되는 도류벽과 연통로를 물의 이동경로에 대응되도록 연속적으로 나타낸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에 적용되는 내진구조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를 나타낸 측단면도, 내부 사시도 및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물탱크에 있어서 저수조 내부에 구성되는 도류벽과 연통로를 물의 이동경로에 대응되도록 연속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에 적용되는 내진구조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고 본체바닥판(P)의 상측면에 소정 높이의 통체 구조로 설치되는 제1저수조(110), 제1저수조(110)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본체바닥판(P)의 상측면에 소정 높이의 통체 구조로 설치되는 제2저수조(120), 제2저수조(120)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본체바닥판(P)의 상측면에 소정 높이의 통체 구조로 설치되는 제3저수조(130), 제1저수조(110)의 저수공간이 복수개로 구획되도록 제1저수조(110)의 측벽 내면과 제2저수조(120)의 측벽 외면에 구성되어 제1저수조(110)에 유입된 물이 복수개의 저수공간들 사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도류벽그룹(140), 제2저수조(120)의 저수공간이 복수개로 구획되도록 제2저수조(120)의 측벽 내면과 제3저수조(130)의 측벽 외면에 구성되어 제1저수조(110)로부터 제2저수조(120)에 유입된 물이 복수개의 저수공간들 사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2도류벽그룹(150), 제1저수조(110)의 저수공간 중 가장 마지막에 해당되는 부분에 대응된 제2저수조(120)의 측벽에 관통 형성되어 제1저수조(110)의 저수공간을 순차적으로 이동한 물이 제2저수조(120)의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1연통로(160), 제2저수조(120)의 저수공간 중 가장 마지막에 해당되는 부분에 대응된 제3저수조(130)의 측벽에 관통 형성되어 제2저수조(120)의 저수공간을 순차적으로 이동한 물이 제3저수조(130)의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2연통로(170), 제1저수조(110)의 저수공간 중 가장 첫 번째에 해당되는 부분에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제1저수공간(110)에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I), 제3저수조(130)에 구성되어 수요지로 제3저수조(130)의 물이 수용지로 유출 및 공급되도록 하는 유출구(O) 및 제1저수조(110) 내지 제3저수조(130)의 상측부를 커버하는 지붕체(R) 등으로 구성된 물탱크조립체(1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물탱크조립체(100)에 있어서, 제1저수조(110) 내지 제3저수조(130)는, 본체바닥판(P)의 상측면에 복수개의 저수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테인레스 재질을 가지고 직경이 다른 원통형상 또는 다면체 형상의 통체 구조로 일체 또는 조립 구성되어 다중의 저수공간을 통해 수압에 의한 응력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저수조(110) 내지 제3저수조(130)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판넬유닛이 적층 조립될 수 있으며,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형의 골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파형의 단면을 가지며 이를 통하여 강도가 보강되도록 할 수 있고, 상측단과 하측단에는 각각 적층된 판넬유닛끼리 접합되도록 하기 위한 결합플랜지가 형성되어 대면부위가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저수조(110) 내지 제3저수조(130)는 본체바닥판(P)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부를 향할수록 높은 길이를 가지도록 하여 지붕체(R)가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를 향할수록 하향경사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빗물이나 눈의 무게 전달이 최소화되도록 하거나,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경우에는 제2저수조(120)와 제3저수조(130)의 상측단에 지붕보강찬넬(BC)이 더 구성되어 지붕체(R)가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를 향할수록 하향경사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지붕체(R)에는 각각의 제1저수조(110) 내지 제3저수조(130)에 연통되는 부위에 환풍기(FA)와 환풍덕트(FD)가 구성되어, 환풍덕트(FD)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환풍기(FA)를 통해 배기시 저수조 내부 공간이 강제 환기되도록 하여 염소 등과 같은 약품 처리시 발생되는 냄새가 외부로 외부로 배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저수조(110)의 측벽과 지붕체(R)에는 단열 및 외장용 보호패널(미부호)이 더 구성되어 외부의 충격이나 온도 등으로부터 물탱크(100)와 그 내부의 물이 보호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제1저수조(110) 내지 제3저수조(130)에 의하면, 복수개의 저수공간이 다중으로 구성됨에 따라 수압에 따른 응력의 전달이 최소화되어 구조적 강도 개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1도류벽그룹(140)은, 제1저수조(110)의 저수공간이 복수개로 구획되도록 구성되어 제1저수조(110)에 유입된 물이 복수개의 저수공간들 사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구성부로서, 제1저수조(110)의 측벽 내면과 제2저수조(120)의 측벽 내면 사이의 공간을 전부 차단하는 차단벽(141), 차단벽(141)으로부터 소정 각도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제1저수조(110)의 측벽 내면과 제2저수조(120)의 측벽 내면 사이의 공간 중 하단부로부터 중간부까지를 차단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불순물 중 비중이 큰 불순물이 다음 위치의 저수공간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제1상부통과벽(142), 제1상부통과벽(142)으로부터 소정 각도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제1저수조(110)의 측벽 내면과 제2저수조(120)의 측벽 내면 사이의 공간 중 중간부로부터 상단부까지를 차단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불순물 중 비중이 작은 불순물이 다음 위치의 저수공간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하부통과벽(143) 및 하부통과벽(143)으로부터 소정 각도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제1저수조(110)의 측벽 내면과 제2저수조(120)의 측벽 내면 사이의 공간 중 하단부로부터 중간부까지를 차단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불순물 중 비중이 큰 불순물이 다음 위치의 저수공간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제2상부통과벽(144)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도류벽그룹(140)에 의하면, 제1저수조(110)의 저수공간이 차단벽(141)과 제1상부통과벽(142) 사이의 제1공간, 제1상부통과벽(142)과 하부통과벽(143) 사이의 제2공간, 하부통과벽(143)과 제2상부통과벽(144) 사이의 제3공간 및 제2상부통과벽(144)과 차단벽(141) 사이의 제4공간으로 구획됨에 따라, 제1공간에 유입된 물이 제2공간으로 이동시에는 제1상부통과벽(142)이 상측부가 개구됨에 따라 수조의 상측으로 이동되고 제2공간에 유입된 물이 제3공간으로 이동될 때에는 하부통과벽(143)이 하측부가 개구됨에 따라 수조의 하측으로 이동되며 제3공간에 유입된 물이 제4공간으로 이동될 때에는 제2상부통과벽(144)이 상측부가 개구됨에 따라 수조의 상측으로 이동된다.
즉, 제1저수조(110)에 유입된 물이 복수개의 저수공간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물이 정체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흐르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이를 통하여, 염소접촉시간이 증가하게 되어 물의 염소소독 효과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저수조(110)에 유입된 물에 서로 다른 비중을 가지는 불순물이 혼합되더라도, 큰 비중의 불순물은 제1상부통과벽(142)과 제2상부통과벽(144)에 의해 다음 위치 저수공간으로의 이동이 차단되고, 작은 비중의 불순물은 하부통과벽(143)에 의해 다음 위치 저수공간으로의 이동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제2도류벽그룹(150)은, 제2저수조(120)의 저수공간이 복수개로 구획되도록 구성되어 제1저수조(110)로부터 제2저수조(120)에 유입된 물이 복수개의 저수공간들 사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구성부로서, 제2저수조(120)의 측벽 내면과 제3저수조(130)의 측벽 내면 사이의 공간을 전부 차단하는 차단벽(151), 차단벽(151)으로부터 소정 각도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제2저수조(120)의 측벽 내면과 제3저수조(130)의 측벽 내면 사이의 공간 중 하단부로부터 중간부까지를 차단하여 제1저수조(110)의 제4공간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불순물 중 비중이 큰 불순물이 다음 위치의 저수공간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제1상부통과벽(152), 제1상부통과벽(152)으로부터 소정 각도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제2저수조(120)의 측벽 내면과 제3저수조(130)의 측벽 내면 사이의 공간 중 중간부로부터 상단부까지를 차단하여 제1저수조(110)의 제4공간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불순물 중 비중이 작은 불순물이 다음 위치의 저수공간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하부통과벽(153) 및 하부통과벽(153)으로부터 소정 각도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제2저수조(120)의 측벽 내면과 제3저수조(130)의 측벽 내면 사이의 공간 중 하단부로부터 중간부까지를 차단하여 제1저수조(110)의 제4공간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불순물 중 비중이 큰 불순물이 다음 위치의 저수공간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제2상부통과벽(154)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2도류벽그룹(150)에 의하면, 제2저수조(120)의 저수공간이 차단벽(151)과 제1상부통과벽(152) 사이의 제1공간, 제1상부통과벽(152)과 하부통과벽(153) 사이의 제2공간, 하부통과벽(153)과 제2상부통과벽(154) 사이의 제3공간 및 제2상부통과벽(154)과 차단벽(151) 사이의 제4공간으로 구획됨에 따라, 제1공간에 유입된 물이 제2공간으로 이동시에는 제1상부통과벽(152)이 상측부가 개구됨에 따라 수조의 상측으로 이동되고 제2공간에 유입된 물이 제3공간으로 이동될 때에는 하부통과벽(153)이 하측부가 개구됨에 따라 수조의 하측으로 이동되며 제3공간에 유입된 물이 제4공간으로 이동될 때에는 제2상부통과벽(154)이 상측부가 개구됨에 따라 수조의 상측으로 이동된다.
즉, 제2저수조(120)에 유입된 물이 복수개의 저수공간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물이 정체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흐르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이를 통하여, 염소접촉시간이 증가하게 되어 물의 염소소독 효과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2저수조(120)에 유입된 물에 서로 다른 비중을 가지는 불순물이 혼합되더라도, 큰 비중의 불순물은 제1상부통과벽(152)과 제2상부통과벽(154)에 의해 다음 위치 저수공간으로의 이동이 차단되고, 작은 비중의 불순물은 하부통과벽(153)에 의해 다음 위치 저수공간으로의 이동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연통로(160)는, 제1저수조(110)의 저수공간 중 가장 마지막에 해당되는 부분에 대응된 제2저수조(120)의 측벽에 관통 형성되어 제1저수조(110)의 저수공간을 순차적으로 이동한 물이 제2저수조(120)의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연통부로서, 제1저수조(110)의 차단벽(141)과 제2저수조(120)의 차단벽(151) 사이의 구간에 해당되는 제2저수조(120)의 측벽에 형성되고, 상측단 일부분과 하측단 일부분이 각각 차단되도록 하는 상측차단벽(161)과 하측차단벽(162) 및 그 사이의 중앙연통공(163)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연통로(160)에 의하면, 제1저수조(110)의 제4공간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불순물 중 비중이 크거나 비중이 작은 불순물이 제2저수조(120)의 제1공간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제2연통로(170)는, 제2저수조(120)의 저수공간 중 가장 마지막에 해당되는 부분에 대응된 제3저수조(130)의 측벽에 관통 형성되어 제2저수조(120)의 저수공간을 순차적으로 이동한 물이 제3저수조(130)의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연통부로서, 제2저수조(120)의 차단벽(151)과 제2상부통과벽(154) 사이의 제4공간 중 차단벽(151)에 근접한 위치의 제3저수조(130)의 측벽에 형성되고, 상측단 일부분과 하측단 일부분이 각각 차단되도록 하는 상측차단벽(171)과 하측차단벽(172) 및 그 사이의 중앙연통공(173)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2연통로(170)에 의하면, 제2저수조(120)의 제4공간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불순물 중 비중이 크거나 비중이 작은 불순물이 제3저수조(130)의 공간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유입구(I)는, 제1저수조(110)의 저수공간 중 가장 첫 번째에 해당되는 부분에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제1저수공간(110)에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제1공간의 상측단부에 구성되는 것이 좋으며, 공지의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유출구(O)는, 제3저수조(130)에 구성되어 수요지로 제3저수조(130)의 물이 유출 및 공급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제3저수조(130)의 바닥측에 구성되는 것이 좋으며, 공지의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지붕체(R)는, 제1저수조(110) 내지 제3저수조(130)의 상측부를 커버하는 커버수단으로서,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를 향할수록 하향경사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빗물이나 눈의 무게 전달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지붕체(R)는, 일예로, 부채꼴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지붕판넬이 상호간 연결부위가 원판형 또는 원추형 형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1저수조(110) 내지 제3저수조(130) 즉, 저수조조립체의 상측부를 밀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에 있어서 물탱크조립체(100)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유입구(I)를 통해 외부로부터 제1저수공간(110)에 물이 연속적으로 유입되어 제1저수공간(110) 내지 제3저수공간(130)에 동일한 수위를 가지면서 물이 저장된다.
이후, 제3저수공간(130)의 유출구(O)를 통해 수요지로 제3저수공간(130)에 저장된 물이 유출 및 공급되는 경우, 제1저수조(110)의 제1공간의 물이 제2공간으로 이동할 때에는 제1상부통과벽(142)이 저수공간의 하측부를 차단함에 따라 수조의 상측으로 물의 이동이 이루어지고, 이어서, 제2공간의 물이 제3공간으로 이동될 때에는 하부통과벽(143)이 저수공간의 상측부를 차단함에 따라 수조의 하측으로 물의 이동이 이루어지며, 이어서, 제3공간의 물이 제4공간으로 이동될 때에는 제2상부통과벽(144)이 저수공간의 하측부를 차단함에 따라 수조의 상측으로 물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후, 제1저수조(110)의 제4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은 제2저수조(120)의 측벽에 형성된 중앙연통공(163)을 통해 제2저수조(120)의 제1공간으로 유입되고, 제2저수조(120)의 제1공간의 물이 제2공간으로 이동할 때에는 제1상부통과벽(152)이 저수공간의 하측부를 차단함에 따라 수조의 상측으로 물의 이동이 이루어지고, 이어서, 제2공간의 물이 제3공간으로 이동될 때에는 하부통과벽(153)이 저수공간의 상측부를 차단함에 따라 수조의 하측으로 물의 이동이 이루어지며, 이어서, 제3공간의 물이 제4공간으로 이동될 때에는 제2상부통과벽(154)이 저수공간의 하측부를 차단함에 따라 수조의 상측으로 물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후, 제2저수조(120)의 제4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은 제3저수조(130)의 측벽에 형성된 중앙연통공(173)을 통해 제3저수조(130)의 저수공간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저수조(110,120,130)가 다중 구조를 가지는 상태에서 저수조(110,120)의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개의 도류벽그룹(140,150)과 저수조(110,120,130) 사이가 연통되도록 하는 연통로(160,170)를 통하여 저수조(110,120,130) 내부의 물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염소소독 효과 증대와 불순물 차단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저수조(110,120) 내부에 구성되는 도류벽그룹(140,150)과 저수조(110,120,130) 사이의 연통로(160,170)에 의해 복수개의 저수공간이 상측부, 하측부 및 중간부가 반복적으로 개구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복수개의 저수공간을 순착적으로 이동하는 물의 흐름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운동 방향을 가질 수 있어 물이 정체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흐르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이를 통하여, 염소접촉시간이 증가하게 되어 물의 염소소독 효과가 크게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물탱크는, 물탱크조립체(100)의 본체바닥판(P)과 콘크리트바닥부(C) 사이에 구성되어 지진 등의 진동에 대한 내진을 가능하게 하는 내진구조체(200)를 더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에 있어서, 내진구조체(200)는, 물탱크조립체(100)의 본체바닥판(P) 하측면에 설치되어 진동에 따른 충격으로부터 본체바닥판(P) 또는 본체바닥판(P)을 지지하는 별도의 보호판넬(미도시)이 본체바닥판(P)에 구성시 보호판넬의 가장자리 부분이 지지되도록 하는 프레임(210), 콘크리트바닥부(C)의 상측면에 구성되고 프레임(210)이 상측면에 안착되며 물탱크조립체(100)에 진동 전달시 이를 흡수하여 물탱크조립체(100)에 가해지는 충격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충격흡수용탄성체(220) 및 충격흡수용탄성체(220)와 본체바닥판(P) 또는, 본체바닥판(P)을 지지하는 별도의 보호판넬이 본체바닥판(P)에 구성시 충격흡수용탄성체(220)와 보호판넬의 사이의 공간에 그라우팅되어 물탱크조립체(100)의 하중이 분산되도록 하고 상호간 접착된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몰탈층(230) 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내진구조체(200)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넬(미도시)은, 물탱크조립체(100)의 본체바닥판(P) 하측면에 용접 접합 또는 볼팅 고정 등의 방식에 의해 설치되어 진동에 따른 충격으로부터 본체바닥판(P)을 보호하는 보호수단으로서, 본체바닥판(P)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의 금속판넬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체바닥판(P)의 경우 가공 및 조립의 편의성을 위하여 대략 1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판넬이 사용된다. 이에, 상기 보호판넬이 본체바닥판(P)의 두께 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경우, 콘크리트바닥부(C)로부터 소정 높이로 본체바닥판(P)의 이격 고정시 지진 등의 발생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부닥부(C)와 본체바닥판(P) 사이의 이격 공간에 장애물 등이 침투되어 외력을 발생시키더라도 이를 흡수하여 본체바닥판(P)이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후술된 프레임(210)과의 용접 접합을 위한 소정 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프레임(210)은, 물탱크조립체(100)의 바닥부가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수단으로서, 'ㄷ'자 형강이 물탱크조립체(100)의 단면에 대응되는 모양이나 원형 또는 곡률을 가지는 마름모 모양으로 바닥부에 접합 고정되어 물탱크조립체(100)의 바닥부가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격흡수용탄성체(220)는, 콘크리트바닥부(C)의 상측면에 구성되고 프레임(210)이 상측면에 안착되며 물탱크조립체(100)에 진동 전달시 이를 흡수하여 물탱크조립체(100)에 가해지는 충격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충격흡수수단으로서, 소정의 면적과 두께를 가지는 완충용 강화고무판 또는 완충용 강화고무패드 등과 같은 고무판의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충격흡수용탄성체(220)는, 일예로, 복수개의 고무판이 적층되고 진동에 의해 기울어지거나 뒤틀림 발생시 구조가 완전히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어 충격이 흡수되도록 하는 완충재와 보강재가 상호간 대면부위에 요철구조로 구성되어, 완충재가 불규칙하게 상하로 일그러지더라도 보강재가 원래의 형상을 소정시간 유지하도록 하여 충격 흡수 성능이 크게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충격흡수용탄성체(220)에 의하면, 지진 등과 같은 진동 발생시 콘크리트바닥부(C)로부터 물탱크조립체(100)에 전달되는 진동이 완충재에 의해 흡수됨으로써, 진동에 의해 물탱크조립체(100)가 흔들리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용탄성체(220)에 의해 물탱크조립체(100)가 콘크리트바닥부(C)에 대해 고정 상태가 아닌 자유롭게 안착된 상태를 가짐으로써, 진동 발생시 진동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동작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내부의 저장수 중량에 의해 쓰러질 확률이 최소화되어 내진 성능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몰탈층(230)은, 충격흡수용탄성체(220)와 물탱크조립체(100)의 바닥부 사이에 충전되어 물탱크조립체(100)의 하중을 분산시키고 상호간 접착 또는 접합된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무근 구조를 가지는 상태에서 그라우팅 및 양생을 통해 구성된다.
따라서 몰탈층(230)에 의하면, 물탱크조립체(100)의 바닥부가 전반적으로 고르게 콘크리트바닥부(C) 또는 충격흡수용탄성체(220)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프레임(210)만으로 지지되는 것에 비해 보다 안정적으로 콘크리트바닥부(C) 또는 충격흡수용탄성체(220)에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경우,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진동이 프레임(210)에만 집중되지 않고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여 내진 성능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에 있어서 내진구조체(200)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물탱크조립체(100)의 본체바닥판(P)과 콘크리트바닥부(C) 사이에 내진구조체(200)가 구성된 상태에서 지진 등에 의해 콘크리트바닥부(C)에 진동이 발생되면, 충격흡수용탄성체(220)에 의해 콘크리트바닥부(C)로부터 물탱크조립체(100)에 전달되는 진동이 흡수되어, 진동에 의해 물탱크조립체(100)가 흔들리거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충격흡수용탄성체(220)의 구성에도 불구하고 콘크리트바닥부(C)로부터 물탱크조립체(100)에 진동이 전달되어 물탱크조립체(100)가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게 되더라도, 충격흡수용탄성체(220)가 콘크리트바닥부(C)에 대하여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진동방향으로 물탱크조립체(100)가 소정 거리 이동되도록 하여 고정 상태에서의 흔들림에 의한 파손 등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물탱크조립체(100)의 본체바닥판(P)과 콘크리트바닥부(C) 사이에 내진구조체(200)가 구성됨으로써, 콘크리트바닥부(C)로부터 본체바닥판(P)에 지진 등에 따른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진동에 의해 물탱크조립체(100)가 흔들려 조립체의 구조가 파괴되거나 배관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5)

  1. 본체바닥판(P)의 상측면에 소정 높이의 통체 구조로 설치되는 제1저수조(110); 제1저수조(110)의 내부에 소정 높이의 통체 구조로 설치되는 제2저수조(120); 제2저수조(120)의 내부에 소정 높이의 통체 구조로 설치되는 제3저수조(130); 제1저수조(110)의 저수공간이 복수개로 구획되도록 제1저수조(110)의 측벽 내면과 제2저수조(120)의 측벽 외면에 구성되어 제1저수조(110)에 유입된 물이 복수개의 저수공간들 사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도류벽그룹(140); 제2저수조(120)의 저수공간이 복수개로 구획되도록 제2저수조(120)의 측벽 내면과 제3저수조(130)의 측벽 외면에 구성되어 제1저수조(110)로부터 제2저수조(120)에 유입된 물이 복수개의 저수공간들 사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2도류벽그룹(150); 제1저수조(110)의 저수공간 중 가장 마지막에 해당되는 부분에 대응된 제2저수조(120)의 측벽에 관통 형성되어 제1저수조(110)의 저수공간을 순차적으로 이동한 물이 제2저수조(120)의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1연통로(160); 제2저수조(120)의 저수공간 중 가장 마지막에 해당되는 부분에 대응된 제3저수조(130)의 측벽에 관통 형성되어 제2저수조(120)의 저수공간을 순차적으로 이동한 물이 제3저수조(130)의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2연통로(170); 및 제1저수조(110) 내지 제3저수조(130)의 상측부를 커버하는 지붕체(R)로 구성된 물탱크조립체(100)를 포함하고,
    제1도류벽그룹(140)은,
    제1저수조(110)의 측벽 내면과 제2저수조(120)의 측벽 내면 사이의 공간을 전부 차단하는 차단벽(141); 차단벽(141)으로부터 소정 각도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제1저수조(110)의 측벽 내면과 제2저수조(120)의 측벽 내면 사이의 공간 중 하단부로부터 중간부까지를 차단하는 제1상부통과벽(142); 제1상부통과벽(142)으로부터 소정 각도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제1저수조(110)의 측벽 내면과 제2저수조(120)의 측벽 내면 사이의 공간 중 중간부로부터 상단부까지를 차단하는 하부통과벽(143); 및 하부통과벽(143)으로부터 소정 각도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제1저수조(110)의 측벽 내면과 제2저수조(120)의 측벽 내면 사이의 공간 중 하단부로부터 중간부까지를 차단하는 제2상부통과벽(144)을 포함하며,
    제2도류벽그룹(150)은,
    제2저수조(120)의 측벽 내면과 제3저수조(130)의 측벽 내면 사이의 공간을 전부 차단하는 차단벽(151); 차단벽(151)으로부터 소정 각도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제2저수조(120)의 측벽 내면과 제3저수조(130)의 측벽 내면 사이의 공간 중 하단부로부터 중간부까지를 차단하는 제1상부통과벽(152); 제1상부통과벽(152)으로부터 소정 각도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제2저수조(120)의 측벽 내면과 제3저수조(130)의 측벽 내면 사이의 공간 중 중간부로부터 상단부까지를 차단하는 하부통과벽(153); 및 하부통과벽(153)으로부터 소정 각도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제2저수조(120)의 측벽 내면과 제3저수조(130)의 측벽 내면 사이의 공간 중 하단부로부터 중간부까지를 차단하는 제2상부통과벽(154)을 포함하고,
    제1연통로(160)는,
    제1저수조(110)의 차단벽(141)과 제2저수조(120)의 차단벽(151) 사이의 구간에 해당되는 제2저수조(120)의 측벽에 형성되고, 상측단 일부분과 하측단 일부분이 각각 차단되도록 하는 상측차단벽(161)과 하측차단벽(162) 및 그 사이의 중앙연통공(163)을 포함하며,
    제2연통로(170)는,
    제2저수조(120)의 차단벽(151)과 제2상부통과벽(154) 사이의 제4공간 중 차단벽(151)에 근접한 위치의 제3저수조(130)의 측벽에 형성되고, 상측단 일부분과 하측단 일부분이 각각 차단되도록 하는 상측차단벽(171)과 하측차단벽(172) 및 그 사이의 중앙연통공(17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22120A 2017-02-20 2017-02-20 물탱크 KR101890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120A KR101890521B1 (ko) 2017-02-20 2017-02-20 물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120A KR101890521B1 (ko) 2017-02-20 2017-02-20 물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0521B1 true KR101890521B1 (ko) 2018-08-21

Family

ID=63453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120A KR101890521B1 (ko) 2017-02-20 2017-02-20 물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5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177B1 (ko) 2019-11-21 2020-01-28 이수행 다중탱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789Y1 (ko) * 2003-01-03 2003-03-28 강동열 수조형 간이 정수장치
KR200392307Y1 (ko) * 2005-05-27 2005-08-19 우영배 도류벽이 구비된 저장탱크
KR100597877B1 (ko) * 2005-05-27 2006-07-13 우영배 도류벽이 구비된 저장탱크
KR101044475B1 (ko) * 2011-03-31 2011-06-27 이화자 도류벽이 구비된 물탱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789Y1 (ko) * 2003-01-03 2003-03-28 강동열 수조형 간이 정수장치
KR200392307Y1 (ko) * 2005-05-27 2005-08-19 우영배 도류벽이 구비된 저장탱크
KR100597877B1 (ko) * 2005-05-27 2006-07-13 우영배 도류벽이 구비된 저장탱크
KR101044475B1 (ko) * 2011-03-31 2011-06-27 이화자 도류벽이 구비된 물탱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177B1 (ko) 2019-11-21 2020-01-28 이수행 다중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1774B1 (ko) 내진장치를 구비한 물탱크
TWI398570B (zh) 微震控制建築系統
KR102370085B1 (ko)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재
KR101527209B1 (ko) 건축용 층간 차음바닥구조물
JP4792610B2 (ja) ドーム型シェルター
KR101796510B1 (ko) 내진 구조를 가지는 물탱크
KR101890521B1 (ko) 물탱크
KR20190076174A (ko) 층간소음방지 메쉬에어볼매트
WO2018012556A1 (ja) 空気処理装置における圧縮機カバー
KR101761786B1 (ko) 수평변위 복원이 가능한 유체저장탱크
KR100670842B1 (ko) 건축용 조립식 바닥패널
KR102120458B1 (ko) 볼트조립식 내진용 pdf 물탱크
KR101782286B1 (ko) 물탱크
KR101965852B1 (ko) 내진 시스템이 구비된 물탱크
KR101748108B1 (ko) 물탱크
KR20210048919A (ko) 선박용 차음패널 장치
JP2007332663A (ja) 集合住宅建物の構造
KR101936881B1 (ko) 바닥슬래브의 충격음 저감을 위한 바닥슬래브 절연장치
KR20080003310U (ko)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KR101837105B1 (ko) 내진 시스템이 구비된 pdf 패널 물탱크
WO2008054036A1 (en) Functional mat
KR102278054B1 (ko) 내진용물탱크의 보강구조
KR102387936B1 (ko) 바닥충격음 저감 에어 댐퍼 장치
JP3336516B2 (ja) クリーンルーム用建屋構造
JP2005106554A (ja) 放射性物質貯蔵建物および放射性物質貯蔵建物における換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