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085B1 -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재 - Google Patents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085B1
KR102370085B1 KR1020190063159A KR20190063159A KR102370085B1 KR 102370085 B1 KR102370085 B1 KR 102370085B1 KR 1020190063159 A KR1020190063159 A KR 1020190063159A KR 20190063159 A KR20190063159 A KR 20190063159A KR 102370085 B1 KR102370085 B1 KR 102370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pacer
sound insulation
insulation layer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7203A (ko
Inventor
정상옥
김상준
정해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정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정상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Priority to KR1020190063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085B1/ko
Publication of KR20200137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5Underlayers in the form of studded or ribbed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Abstract

본 발명의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재는 다층건물 내 발생하는 층간소음에 의한 충격음(음파장)을 차단하여 층간에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재는 흡음재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바닥면의 평평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경도나 강도를 가져 다층건물에 적합하며, 다층건물 내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차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재{SPACER AND IMPACT SOUND INSULATING MATERIAL THEREOF}
본 발명은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층건물 내 발생하는 층간소음에 의한 충격음(음파장)이 차단되어 층간에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재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다층으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은 상,하층 간의 층간소음으로 인한 이웃 간의 다툼이 최근에 많이 발생되어 이에 대한 방지를 위해 대부분 건물을 시공할 때 바닥에 층간소음 차단을 위한 수단이 시공되어지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층간소음이란 다세대 주택 및 아파트 등 공동주거 공간에서 주로 발생하는 소음 공해로 아이들의 뛰는 소리나 발걸음 소리 또는 가구 끄는 소리 또는 전자기기에서 발생되는 소리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이러한 층간소음은 가볍고 딱딱한 경량충격음, 무겁고 충격이 큰 중량충격음, 그리고 기체를 통해 전달되는 가벼운 소리인 공기전달음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통상적으로 아파트의 상층과 아랫층을 구획하는 바닥층의 바닥면에는 상층의 바닥에서 고무, EPS, EVA발포체 등의 완충력을 구비하는 차음재를 30㎜정도로 깔고 바닥층의 상부에 차음재의 고정과 단열을 위하여 기포콘크리트층을 40㎜정도로 발포 타설한다. 그 후 기포콘크리트층의 상부에 15~20㎜의 직경을 갖는 난방코일을 배관을 고정한 후 상기 배관코일을 감싸면서 외장마감을 위하여 몰탈층을 40㎜정도로 타설한다. 따라서 층간의 소음방지를 위하여는 고무등의 완충력을 갖는 차음재의 30㎜정도에 의존하게 되는 것이다.
층간의 소음은 상층에서의 충격에 따른 진동소음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인데 단순한 완충수단만으로 이루어지는 차음재는 충격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동에 따른 소음을 흡음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결국 이러한 진동은 다양한 형태로 아래층으로 전달되면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흡음재를 사용해야만 층간의 소음을 어느 정도 차단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흡음을 위한 소재는 수많은 셀의 구조를 갖는 것이면서 유연성이 있어야 함에 따라 이러한 것을 아파트와 같은 다층건물의 구조상 상층의 바닥면에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층의 바닥면에서는 많은 하중에 의하여도 침하방지를 위하여 푹신함이 없어야 하고, 일정한 평평함 유지를 위한 경도나 강도를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층의 바닥면에는 에너지절감 및 바닥난방을 위하여 단열재(본 발명에서는 기포콘크리트층)나 난방 코일을 깔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상층의 바닥면에는 일정한 경도와 강도는 물론 어떤 상태에서도 평활도가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층간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흡음하여 차단하기 위한 층간소음 방지재 및 건물구조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8-0083194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번째 과제는 다층건물 내 발생하는 층간소음에 의한 충격음(음파장)이 차단되어 층간에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번째 과제는 흡음재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바닥면의 평평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경도나 강도를 가지는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층간소음 방지재의 방음층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양 말단에 형성되고, 상기 방음층의 외부로 돌출되어 층간소음 방지재 내에서 방음층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타층의 일면과 접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와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어 스페이서가 방음층에 삽입되는 경우에 스페이서가 방음층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방음층의 상부에 형성된 음파장 확산층의 하부면에 적어도 일부가 접하고 있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와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와 상기 돌출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방음층의 외부로 돌출되어 층간소음 방지재 내에서 방음층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타층의 일면과 접점을 이룰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부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분리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돌출부 및 삽입부가 일체를 이루고 있는 일체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층간소음 방지재의 방음층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양 말단에 형성되고, 상기 방음층의 외부로 돌출되어 층간소음 방지재 내에서 방음층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타층의 일면과 접하여 방음층과 타층 간에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부; 및 상기 방음층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스페이서 내부 중심축을 기준으로 스페이서 전체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중공부;를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방음층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방음층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삽입부가 상기 지지부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방음층의 외부로 돌출되어 층간소음 방지재 내에서 방음층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타층의 일면과 접선 또는 접면을 이룰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양 말단에 형성되는 지지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원뿔대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술한 어느 한 항의 스페이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방음층; 및 상기 방음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음파장 확산층;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방음층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음파장 확산층과 접하는 구조를 이루고, 상기 방음층과 상기 음파장 확산층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층간소음 방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파장 확산층은 상기 방음층보다 경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파장 확산층은 철판, 알루미늄판, 고강도 플락스틱 판 및 합판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음층은 단열 기능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음층은 발포 합성 수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재는 다층건물 내 발생하는 층간소음에 의한 충격음(음파장)을 차단하여 층간에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재는 흡음재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바닥면의 평평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경도나 강도를 가져 다층건물에 적합하며, 다층건물 내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차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재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재를 사용한 건물구조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재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상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재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재를 사용한 건물구조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층간소음 방지재는 흡음을 위한 소재는 수많은 셀의 구조를 갖는 것이면서 유연성이 있어야 함에 따라 이러한 것을 아파트와 같은 다층건물의 구조상 상층의 바닥면에 구현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층간소음 방지재의 방음층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양 말단에 형성되고, 상기 방음층의 외부로 돌출되어 층간소음 방지재 내에서 방음층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타층의 일면과 접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문제점의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다층건물 내 발생하는 층간소음에 의한 충격음(음파장)을 차단하여 층간에 소음이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페이서가 방음층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방음층과 음파장 확산층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층간에 발생하는 충격음 등의 소음이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재(1)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층간소음 방지재(1)는 방음층(20) 및 층간소음 방지재(1) 내에서 방음층(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타층(일례로, 음파장 확산층(30))을 포함하고, 방음층(20)은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10)를 포함한다. 이 때, 스페이서(10)는 방음층(20)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층간소음 방지재(1) 내에서 방음층(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타층과 적어도 일부가 접하는 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방음층(20)과 층간소음 방지재(1) 내에서 방음층(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타층 사이에는 이격 공간(d)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충격음 등의 소음이 차단되어 층간에 전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10)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페이서(10)는 상기 방음층(20)에 관통하여 삽입되는 삽입부(11) 및 상기 삽입부(11)의 양 말단에 형성되는 돌출부(12a, 12b)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스페이서(10)는 방음층(20)에 포함되며, 방음층(20)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포함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방음층(20)에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10)가 포함되어 있고, 스페이서(10)가 방음층(20)을 관통하여 삽입된 구조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10)는 상기 방음층(20)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층간소음 방지재(1) 내에서 방음층(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타층과 접하는 구조를 이룬다.
이와 같은 구조로 스페이서(10)가 방음층(20)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스페이서(10)가 방음층(20)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층간소음 방지재(1) 내에서 방음층(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타층과 접하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방음층(20)과 타층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층건물 내에서 발생하는 층간소음에 의한 충격음(음파장)이 타층을 통해 빠르게 확산되도록 함과 동시에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차음할 수 있다.
한편, 스페이서(10)는 바람직하게는 KS M 6518 규정으로 경도측정방법 A Type 경도계로 40~90이 유지될 수 있으며, 고무, PVC, TPVC, TPU, TPE 엘라스트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10)는 끼임 결합에 의하여 방음층(20) 내에 보다 단단하게 고정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페이서(10)는 방음층(20) 내에 분포되어 존재함으로써 방음층(20)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페이서(20)가 방음층(20) 자체의 경도 및 강도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방음층의 물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 결과 다층건물, 특히 아파트의 바닥면으로 시공하기에 적합한 장점이 있다.
스페이서(10)는 방음층(20)을 관통하여 삽입된 구조로 방음층(20)에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방음층(20)에 포함되는 스페이서(10)의 개수는 본 발명의 총 면적, 시공하고자 하는 공간의 구조 등에 따라서 적절한 범위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스페이서(10)가 방음층(20)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복수 개의 스페이서(10) 간의 간격은 균등할 수도 있고 불균등할 수도 있으며, 이는 시공하고자 하는 공간의 특성 및 구조에 따라서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먼저, 삽입부(11)는 방음층(20)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는 부분으로, 층간소음 방지재를 형성하는 경우에 방음층(20) 내에 존재하게 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삽입부(11)가 반드시 방음층(20)을 관통하여 삽입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기둥부로서의 기능도 할 수 있다.
삽입부(11)는 방음층(20)을 관통하여 삽입되거나 방음층(20)의 하부에 형성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바닥면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삽입부(11)는 방음층(20)에 삽입되어 방음층(20)의 침하를 방지하고, 일정한 경도 및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실린더 형상, 직육면체 형상, 구 형상, 정육면체 형상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린더 형상 또는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층간 사이의 충격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삽입부(11)가 분포될 수 있어 침하 방지 및 강도 유지에 보다 유리한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돌출부(12a, 12b)는 상기 삽입부(11)의 양 말단에 형성된 것으로, 방음층(2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돌출부(12a, 12b)는 방음층(20)의 외부로 돌출되어 층간소음 방지재(1) 내에서 방음층(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타층의 일면과 접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 때, '층간소음 방지재(1) 내에서 방음층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타층'이란 상기 방음층(20)과 함께 층간소음 방지재(1)에 포함되는 다른 층들로, 방음층(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어떠한 층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음층(20)의 상부에는 음파장 확산층(30)이 형성될 수 있고, 돌출부(12a, 12b)는 상기 음파장 확산층(30)과 접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12a, 12b)가 방음층(20)의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부(12a, 12b)의 적어도 일부가 층간소음 방지재(1) 내에서 방음층(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타층의 일면과 접하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방음층(20)과 타층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격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다층건물 내에서 발생하는 층간소음에 의한 충격음(음파장)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차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12)는 상기 방음층(20)의 상부에 형성된 음파장 확산층(30)의 하부면에 적어도 일부가 접하고 있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와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를 참조하면 삽입부(11)의 양 말단에 돌출부(12a, 12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돌출부(12a)는 삽입부(11)의 상부로부터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페이서(10)가 방음층(20)에 관통하여 삽입되는 경우에는 제1 돌출부(12a)는 방음층(10)의 외부로 돌출하게 된다. 방음층(10) 외부로 돌출된 제1 돌출부(12a)의 적어도 일부는 방음층(20)의 상부에 형성된 타층의 하부면과 접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층의 하부면과 접하게 되는 제1 돌출부(12a)의 면적이 좁아지면 층간소음을 차단하는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즉, 층간소음 방지재(1) 내에서 방음층(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타층과 접하는 제1 돌출부(12a)의 면적이 좁을수록 다층건물 내 발생하는 층간소음에 의한 충격음(음파장)을 차단하여 층간에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10)는 상기 층간소음 방지재(1) 내에서 방음층(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타층의 일면에 접점으로 접하고 있을 수 있다. 스페이서(10)가 방음층(20)에 삽입되고, 스페이서(10)의 돌출부(12a, 12b)가 접점으로 층간소음 방지재(1) 내에서 방음층(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타층의 일면에 접하게 되는 경우에는 가장 최소한의 면적만으로 타층을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타층을 지지하고, 방음층(20)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격음(음파장)의 층간 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어 층간소음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재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페이서(10)의 돌출부(12a)는 삽입부(11)와 연결된 상태로 방음층(20)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부(12a)는 층간소음 방지재(1) 내에서 방음층(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타층의 일면과 접하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상기 방음층(20)과 상기 타층 사이에는 이격 공간(d)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a)와 타층이 접하는 부분의 확대도를 살펴보면, 접점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스페이서(10)는 접점으로 층간소음 방지재(1) 내에서 방음층(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타층과 접하는 구조를 이룰 수 있고,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타층을 지지하고 방음층(20)이 침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격 공간(d)을 형성함으로써 충격음의 전달을 차단하여 층간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도 2(a) 및 도 2(c)는 돌출부(12a, 12b)가 반구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2(c)는 돌출부(12a, 12b)가 반구 및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돌출부(12a, 12b)는 방음층(20)의 외부로 돌출되어 층간소음 방지재(1) 내에서 방음층(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타층과 접하는 면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층간소음 방지재(1) 내에서 방음층(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타층 및 돌출부(12a, 12b)가 접점으로 접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구, 반구, 원뿔 형상, 음파장 확산층(30)과 접점을 이룰 수 있는 다각뿔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돌출부(12b)는 제1 돌출부(12a)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방음층(2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삽입부(11)의 양 말단에 돌출부(12a, 12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중 삽입부(11)와 연결되고, 삽입부(11)의 상부로부터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층간소음 방지재(1) 내에서 방음층(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타층의 하부면에 접하고 있는 것이 제1 돌출부(12a)이며, 이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제2 돌출부(12b)이다.
제2 돌출부(12b)는 제1 돌출부(12a)와 반대측에 형성되어 하부에 위치하는 다른 층과 접하는 면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부에 위치하는 층과 접점으로 접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구, 반구, 원뿔 형상, 층간소음 방지재(1) 내에서 방음층(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타층과 접점을 이룰 수 있는 다각뿔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돌출부(12b)는 제1 돌출부(12a)와 대응되는 위치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출부(12b)의 형상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돌출부(12b)의 적어도 일부가 방음층(20)의 하부에 위치하는 층과 접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형상이면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구, 반구, 원뿔 형상, 층간소음 방지재(1) 내에서 방음층(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타층과 접점을 이룰 수 있는 다각뿔 형상일 수 있으며, 제1 돌출부(12a)와 반드시 동일한 형상일 필요는 없다. 이와 관련하여 도 2(b)를 참조하면, 제1 돌출부(12a)와 제2 돌출부(12b)는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나 상이한 형상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이 때, 제1 돌출부(12a) 및 제2 돌출부(12b)의 형상에 관하여 상술한 내용은 스페이서(10)를 외부에서 관찰하였을 때 육안으로 관찰 가능한 형상에 관한 것이다. 이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10)는 상기 삽입부(11)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11)와 돌출부(12b) 사이에 형성되어 스페이서(10)가 방음층(20)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며, 방음층이 상부, 하부 타설면과 일정하게 이격거리를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고정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스페이서(10)가 방음층(20)에 관통하여 삽입된 상태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고, 충격 등의 외력에 의해서도 스페이서(10)가 방음층(20)에 삽입되어 포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고정부(13)는 삽입부(11)와 돌출부(12b) 사이에 형성되어 스페이서(10)가 방음층(20)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며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 할 수 있는 형상이면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삽입부(11)의 수평 길이보다 고정부(13)의 수평 길이가 더 길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10)는 상기 돌출부(12a, 12b)가 상기 삽입부(11) 및 고정부(13)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분리형일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12a, 12b)만을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돌출부(12a, 12b)가 마모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경우에 돌출부(12a, 12b)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10)는 상기 돌출부(12a, 12b), 삽입부(11) 및 고정부(13)가 일체를 이루고 있는 일체형일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조립 공정 없이 간단한 공정만으로 스페이서(10)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스페이서(10)는 돌출부(12a, 12b)와 삽입부(11) 및 고정부(13)가 분리되는 분리형일 수도 있고, 도 3(c)와 같이 스페이서(10)는 상기 돌출부(12a, 12b), 삽입부(11) 및 고정부(13)가 일체를 이루고 있는 일체형일 수도 있다.
한편, 스페이서(10)가 분리형인 경우에는 돌출부(12a, 12b)가 삽입부(11)에 물리적 결합, 흡착, 부착 등의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그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상술한 돌출부(12a, 12b)가 상기 층간소음 방지재(1) 내에서 방음층(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타층과 접점을 이룰 수 있는 형상임이 바람직하다는 의미는 돌출부(12a, 12b)가 삽입부(11)에 연결되어 스페이서(10)를 이룬 후에 관찰 가능한 형상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삽입부(11)와 결합되기 전에 돌출부(12a, 12b)의 전체 형상을 불문하고, 삽입부(11)와 결합하여 층간소음 방지재(1) 내에서 방음층(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타층과 접점을 이룰 수 있는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면 본 발명의 스페이서(10)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돌출부(12a, 12b)가 삽입부(11)와 결합한 후에는 반구 형상으로 관찰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분해 사시도를 살펴보면, 돌출부(12a, 12b)는 구 형상이거나 둥근 갓 형상임을 알 수 있다. 즉, 돌출부(12a, 12b)는 삽입부(11)에 결합하여 돌출되어 층간소음 방지재(1) 내에서 방음층(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타층과 접할 수 있는 형상으로 제한 없이 선택될 수 있고, 접착제 등을 통해 고정될 수도 있고, 둥근 갓 형상으로 제작되어 끼우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층간소음 방지재의 방음층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양 말단에 형성되고, 상기 방음층의 외부로 돌출되어 층간소음 방지재 내에서 방음층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타층의 일면과 접하여 방음층과 타층 간에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부; 및 상기 방음층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스페이서 내부 중심축을 기준으로 스페이서 전체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중공부;를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제공하여 상술한 문제점의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다층건물 내 발생하는 층간소음에 의한 충격음(음파장)을 차단하여 층간에 소음이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페이서가 방음층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방음층과 음파장 확산층, 방음층과 바닥층 사이에 일정한 이격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층간에 발생하는 충격음 등의 소음이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재(1)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층간소음 방지재(1)는 방음층(20) 및 층간소음 방지재(1) 내에서 방음층(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타층(일례로, 음파장 확산층(30))을 포함하고, 방음층(20)은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10)를 포함한다. 이 때, 스페이서(10)는 방음층(20)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층간소음 방지재(1) 내에서 방음층(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타층과 적어도 일부가 접하는 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방음층(20)과 층간소음 방지재(1) 내에서 방음층(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타층 사이에는 이격 공간(d)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충격음 등의 소음이 차단되어 층간에 전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10)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스페이서(10)는 상기 방음층(20)에 관통하여 삽입되는 삽입부(11), 상기 삽입부(11)의 양 말단에 형성되는 지지부(14a, 14b) 및 상기 방음층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내부 중심축을 기준으로 스페이서 전체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중공부(15)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11)의 양 말단에 형성되는 지지부(14a, 14b)는 각각 독립적으로 원기둥 형상 또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중복되는 내용을 제외하고 상세히 설명한다.
지지부(14a, 14b)는 상기 삽입부(11)의 양 말단에 형성된 것으로, 방음층(2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지지부(14a, 14b)는 층간소음 방지재(1) 내에서 방음층(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타층의 일면과 접하여 방음층(20)과 타층 간에 이격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14a, 14b)가 방음층(20)의 외부로 돌출되고, 지지부(14a, 14b)의 적어도 일부가 층간소음 방지재(1) 내에서 방음층(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타층과 접하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방음층(20)과 타층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격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다층건물 내에서 발생하는 층간소음에 의한 충격음(음파장)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14a,14b)는 적어도 일부가 층간소음 방지재(1) 내에서 방음층(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타층의 일면과 접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태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14a, 14b)는 원뿔대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이 때 양 말단에 형성된 지지부(14a, 14b)는 각각 독립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일측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층간소음 방지재(1)를 보다 견고히 지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10)가 상기 방음층(20)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스페이서(10)가 상기 방음층(20)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삽입부(11)가 상기 지지부(14a, 14b)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페이서(10)가 상기 방음층(20)에 물리적으로 빠질 수 없도록 단단히 삽입될 수 있어 층간소음 방지재(1)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을 참조하면 스페이서(10)의 삽입부(11)가 지지부(14a, 14b) 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삽입부(11)가 지지부(14a, 14b)보다 얇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층간소음 방지재(1)의 방음층(20)에 스페이서(10)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 삽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층간소음 방지재(1) 내에 스페이서(10)가 단단히 고정 삽입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중공부(15)는 상기 방음층(20)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스페이서(10) 내부 중심축을 기준으로 스페이서(10) 전체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10)가 중공부(15)를 포함함으로써 스페이서(10)의 극히 일부분만이 층간소음 방지재(1) 내에서 방음층(20)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는 타층의 일면과 접하여 방음층(20)과 타층과 접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방음층(20)과 타층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여 충격음(음파장)이 층간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접점을 이루는 경우에 비해서는 보다 단단히 층간소음 방지재(1) 내에서 타층을 지지할 수 있어 층간소음 방지재(1)를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바닥면의 평평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경도나 강도를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중공부(15)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방음층(20)을 관통한 스페이서(10)의 지지부(14a, 14b)의 극히 일부분만이 타층과 접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14a, 14b)는 상기 방음층(20)의 외부로 돌출되어 층간소음 방지재(1) 내에서 방음층(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타층의 일면과 접선 또는 접면을 이룰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페이서(10)가 방음층(20)에 삽입되고, 스페이서(10)의 지지부(14a, 14b)가 접선 또는 접면으로 타층과 접하게 되는 경우에는 층간소음 방지재(1)를 충분히 지지하면서도 방음층(20)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격음(음파장)의 층간 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어 층간소음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중공부(15)는 스페이서(10) 내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스페이서(10) 전체를 관통하는 구멍 형상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 을 함께 참조하면, 중공부(15)는 방음층(20)에 수직하는 방향, 즉 방음층(20)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중공부(15)가 형성된 스페이서(10)가 층간소음 방지재(1) 내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스페이서(10)의 지지부(14a, 14b)가 접선 또는 접면으로 타층과 접하게 될 수 있어 상술한 물성 향상 및 층간소음 차단 효과를 모두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9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재(1)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10)의 상면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스페이서(1)의 지지부(14a, 14b)가 타층(일례로, 음파장 확산층(30))과 접하고 있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중공부(15)가 형성됨으로써 지지부(14a, 14b)의 상면이 링 형상의 부분 단면을 이루거나 선을 이룰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층간소음 방지재(1) 내에서 스페이서(10)의 지지부(14a, 14b)는 타층과 접선 또는 접면으로 접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10)는 상기 지지부(14a, 14b)가 상기 삽입부(11)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분리형일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14a, 14b)만을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지지부(14a, 14b)가 마모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경우에 지지부(14a, 14b)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10)는 상기 지지부(14a, 14b) 및 삽입부(11)가 일체를 이루고 있는 일체형일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조립 공정 없이 간단한 공정만으로 스페이서(10)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어느 한 항의 스페이서(10)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방음층(20); 및 상기 방음층(20)의 상부에 형성되는 음파장 확산층(30);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10)는 상기 방음층(20)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음파장 확산층(30)과 접하는 구조를 이루고, 상기 방음층(20)과 상기 음파장 확산층(30)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층간소음 방지재(1)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다층건물 내 발생하는 층간소음에 의한 충격음(음파장)을 차단하여 층간에 소음이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흡음재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바닥면의 평평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경도나 강도를 가져 다층건물에 적합하며, 다층건물 내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차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층간소음 방지재(1)는 방음층(20) 및 음파장 확산층(30)을 포함하고, 방음층(20)은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10)를 포함한다. 또한, 스페이서(10)는 방음층(20)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음파장 확산층(30)과 적어도 일부가 접하는 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방음층(20)과 음파장 확산층(30) 사이에는 이격 공간(d)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충격음 등의 소음이 차단되어 층간에 전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을 제외하고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방음층(20)에 대해 설명한다.
방음층(20)은 음파장 확산층(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층간소음 방지재(1)를 지지할 수 있으며, 방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방음층(20)은 방음을 목적으로 하는 방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방음재는 크게 흡음재와 차음재로 구분된다. 흡음재는 소음과 진동을 흡수하는 효과를 가지며 차음재는 금속판, 세라믹판, 합판, 플라스틱판등 밀도가 높은 재질로 소음을 차단하여 투과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방음층(20)은 바람직하게는 흡음재로 이루어지고, 층간소음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방음층(20)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단열 기능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소음을 감소시키는 기능 및 단열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어, 다층건물에서 바닥재로 폭넓게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방음층(20)은 발포 합성 수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포합성수지는 EPS(발포폴리스티렌), EPP(발포폴리프로필렌) EPE(발포폴리에틸렌), EPU(발포폴리우레탄) 및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EPS(발포폴리스티렌) 및 EPE(발포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EPE(발포폴리에틸렌)일 수 있다. 한편, 상기 EPS(발포폴리스티렌)은 진공 압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흡음재를 이용하여 방음층(20)을 형성하는 경우, 이들은 구멍이 많은 특성을 가지는 재질들로 소음이 접촉하는 경우 효과적으로 흡수됨과 동시에 단열 효과를 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공이 용이하고 간편한 장점이 있다.
한편, 방음층(20)의 두께는 충격음, 소음 등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정도의 두께이면 족하나, 바람직하게는 10 ~ 120mm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 100mm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80mm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 50mm일 수 있다. 만일 방음층(20)의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충격음, 소음 등을 흡수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거리를 제공하지 못하여 층간소음 저감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만일 방음층(20)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건축구조의 바닥면의 높이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방음층(20)의 상부에 형성되는 음파장 확산층(30)에 대해 설명한다.
음파장 확산층(30)은 건물 내에서 충격에 의하여 발생하는 충격음(음파장)을 빠르게 확산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음파장 확산층(30)에 의하여 충격음(음파장)이 빠르게 확산되고, 이렇게 확산된 충격음(음파장)은 방음층(20) 등을 통해 흡음 처리됨으로써 층간소음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음파장 확산층(30)의 경도는 방음층(20)의 경도보다 높음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음파장 확산층(30)의 경도가 방음층(20)의 경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충격음(음파장)을 보다 빠르게 확산시킬 수 있고, 층간소음 방지재(1)를 다층건물의 바닥면에 시공하는 경우 일정한 강도 및 경도를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음파장 확산층(30)의 두께는 충격음(음파장)을 빠르게 확산시킬 수 있는 것으로 층간소음 방지재의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이면 족하나, 바람직하게는 0.05 ~ 12mm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8 ~ 5mm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1mm일 수 있다.
만일 음파장 확산층(30)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시공성이 저하되어 현장 작업이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음파장 확산층(30)은 방음층(20) 보다 경도가 높은 재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파장 확산층(30)은 철판, 알루미늄판, 고강도 플락스틱 판 및 합판 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나무 합판, 철판 또는 알루미늄판일 수 있다. 이 경우 비중이 높고 강도 및 경도가 우수하여, 충격음(음파장)을 빠르게 확산시킴으로써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평평한 정도를 유지할 수 있어 다층건물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층간소음 방지재(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10)를 포함하는 방음층(20) 및 상기 방음층(20)의 상부에 형성되는 음파장 확산층(30)을 하나의 반복 유닛으로 하여 반복하여 적층된 다층 구조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층간소음 방지재(1)는 상기 방음층(20) 및 음파장 확산층(30) 외에도 층간소음을 차단하거나 바닥재를 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특성의 재질을 더 적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층간소음 방지재(1)가 다층 구조를 이루는 경우에는 충격음(음파장)의 빠른 확산 및 차단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다층건물의 상층에서 하층으로 전달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향상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5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재의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11(a)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10)가 포함된 방음층(20)과 음파장 확산층(30)이 반복 유닛으로 2회 적층되어 다층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10)가 포함된 방음층(20)과 음파장 확산층(30)이 교번하여 적층되는 경우에는 충격음(음파장)의 빠른 확산 및 차단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5(b), 도 5(c), 도 11(b) 및 도 11(c)를 참조하면, ,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10)가 포함된 방음층(20)과 음파장 확산층(30) 외에 별도의 음파장 확산층(30’)이 더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10)가 관통하여 삽입되지 않은 방음층(20’)이 더 적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10)가 포함된 방음층(20) 및 상기 방음층(20)의 상부에 음파장 확산층(30)이 형성된 구조를 이루면 족하고, 적층 횟수 및 부가적인 적층재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10)가 포함된 방음층(20) 및 음파장 확산층(30)은 하나의 반복 유닛을 이루어 수회 반복하여 적층될 수 있으며, 반복 횟수가 많아질수록 층간소음을 방지하는 효과는 향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반복 횟수는 1 ~ 10회일 수 있다. 이 경우 층간소음을 방지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바닥재로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스페이서(10) 상에 형성되는 음파장 확산층(30); 및 상기 음파장 확산층(30) 상에 형성되는 충격 완화층;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10)는 상기 음파장 확산층(30)과 접하는 구조를 이루어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층간소음 방지재(1)를 제공한다.
이 경우, 스페이서(10)는 이격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쇼바와 같이 충격 완화를 도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충격 완화층은 발포 합성 수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포합성수지는 EPS(발포폴리스티렌), EPP(발포폴리프로필렌) EPE(발포폴리에틸렌), EPU(발포폴리우레탄) 및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EPS(발포폴리스티렌) 및 EPE(발포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EPE(발포폴리에틸렌)일 수 있다. 한편, 상기 EPS(발포폴리스티렌)은 진공 압출된 것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다층건물의 층간을 형성하는 기초 콘크리트층에 의하여 층간을 구획하는 바닥층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층간소음 방지재(1); 상기 층간소음 방지재 상면에 형성되는 시멘트 몰탈층; 및 다층건물의 벽면을 형성하는 기초 콘크리트층과 상기 층간소음 방지재의 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지지벽체;을 포함하는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건물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다층건물 내 발생하는 층간소음에 의한 충격음(음파장)을 빠르게 확산시켜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닥재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바닥면의 평평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경도나 강도를 가져 다층건물에 적합하며, 다층건물 내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차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중복되는 내용을 제외하고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층간소음 방지재(1)를 활용하여 층간소음 저감 효과가 우수한 건물구조를 제공할 수 있고, 이는 다수의 층으로 형성된 다층건물, 특히 아파트, 빌라, 오피스텔 등의 주거 공간에 적극 활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재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재를 사용한 건물구조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다층건물의 층간을 형성하는 기초 콘크리트층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기초 콘크리트층은 다층건물의 한 층의 바닥면과 벽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가로로 도시된 바닥층 부분은 층간을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바닥층의 상층으로 본 발명의 층간소음 방지재(1)를 시공하는 경우 층간소음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층간소음 방지재(1) 상면에는 배관 등이 포함된 시멘트 몰탈층(2)이 형성된다. 상기 층간소음 방지재(1) 및 시멘트 몰탈층(2)의 측면에는 지지벽체(3)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벽체(3)는 벽면을 형성하는 기초 콘크리트층과 층간소음 방지재(1) 사이에 형성된다.
지지벽체(3)는 벽면을 통해 전달될 수 있는 충격, 소음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층간소음 저감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지지벽체(3)의 두께는 다층건물의 벽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 소음 등을 방지하기에 적합한 두께로, 주거공간을 일정 수준 이상 확보할 수 있는 정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벽체(3)는 발포 합성 수지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포합성수지는 EPS(발포폴리스티렌), EPP(발포폴리프로필렌) EPE(발포폴리에틸렌), EPU(발포폴리우레탄) 및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지지벽체(3)는 방음층(20)과 동일한 소재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소재로 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멍이 많은 특성을 가지는 재질들로 소음이 접촉하는 경우 효과적으로 흡수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공이 용이하고 간편한 장점이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층간소음 방지재 및 건물구조는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다층건물의 바닥면으로 사용되는 경우 일정 수준 이상의 평평함을 유지할 수 있는 물성을 만족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다층건물의 시공에 유용한 장점이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직경이 0.7mm인 구 형상의 볼을 삽입부와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된 고무의 양 말단에 접착제를 통해 고정시켜 스페이서를 제조하였다. 600 mm x 900 mm x 20 mm(세로 x 가로 x 두께)의 발포 폴리 스티렌(EPS)에 상기 스페이서 32개를 관통하여 삽입하였다. 그 후 600 mm x 900 mm x 0.4 mm의 철판을 적층하여, 상기 스페이서의 볼과 철판이 접점으로 접하도록 하였다. 그 후 상기 철판 상에 600 mm x 900 mm x 12 mm 의 나무 합판을 적층하고, 상기 나무 합판 상에 600 mm x 900 mm x 30 mm 발포 폴리 스티렌(EPS)을 적층하여 층간소음 방지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직경이 1.2mm인 구 형상의 볼을 삽입부와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된 고무의 양 말단에 접착제를 통해 고정시켜 스페이서를 제조하였다. 600 mm x 900 mm x 20 mm(세로 x 가로 x 두께)의 발포 폴리 스티렌(EPS)에 상기 스페이서 2개를 관통하여 삽입하였다. 그 후 600 mm x 900 mm x 0.4 mm의 철판을 적층하였다. 상기 철판 상에 직경이 0.7 인 구 형상의 볼을 삽입부와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된 고무의 양 말단에 접착제를 통해 고정시켜 제조된 스페이서가 3 2개 관통하여 삽입된 600 mm x 900 mm x 20 mm(세로 x 가로 x 두께)의 발포 폴리 스티렌(EPS)을 적층하였다. 그 후 600 mm x 900 mm x 0.4 mm의 철판을 적층하였다. 다음으로, 일체형의 통고무로 제조된 스페이서가 32개 관통하여 삽입된 600 mm x 900 mm x 20 mm(세로 x 가로 x 두께)의 발포 폴리 스티렌(EPS)을 적층한 후 600 mm x 900 mm x 0.4 mm의 철판을 적층하여 층간소음 방지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직경이 0.7mm인 구 형상의 볼을 삽입부와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된 고무의 양 말단에 접착제를 통해 고정시켜 스페이서를 제조하였다. 600 mm x 900 mm x 20 mm(세로 x 가로 x 두께)의 발포 폴리 스티렌(EPS)에 상기 스페이서 32개를 관통하여 삽입하였다. 그 후 600 mm x 900 mm x 0.4 mm의 철판을 적층하였다. 상기 철판 상에 직경이 1.2 인 구 형상의 볼을 삽입부와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된 고무의 양 말단에 접착제를 통해 고정시켜 제조된 스페이서가 32개 관통하여 삽입된 600 mm x 900 mm x 20 mm(세로 x 가로 x 두께)의 발포 폴리 스티렌(EPS)을 적층하였다. 그 후 600 mm x 900 mm x 0.4 mm의 철판을 적층하였다. 다음으로, 일체형의 통고무로 제조된 스페이서 32개가 관통하여 삽입된 600 mm x 900 mm x 20 mm(세로 x 가로 x 두께)의 발포 폴리 스티렌(EPS)을 적층한 후 600 mm x 900 mm x 0.4 mm의 철판을 적층하여 층간소음 방지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직경이 0.7mm인 구 형상의 볼을 삽입부와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된 고무의 양 말단에 접착제를 통해 고정시켜 스페이서를 제조하였다. 600 mm x 900 mm x 20 mm(세로 x 가로 x 두께)의 발포 폴리 스티렌(EPS)에 상기 스페이서 32개를 관통하여 삽입하였다. 그 후 600 mm x 900 mm x 0.4 mm의 철판을 적층하였다. 그 후 일체형의 통고무로 제조된 스페이서 2개가 관통하여 삽입된 600 mm x 900 mm x 20 mm(세로 x 가로 x 두께)의 발포 폴리 스티렌(EPS)을 적층한 후 600 mm x 900 mm x 0.4 mm의 철판을 적층하여 층간소음 방지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직경이 0.7mm인 구 형상의 볼을 삽입부와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된 고무의 양 말단에 접착제를 통해 고정시켜 스페이서를 제조하였다. 600 mm x 900 mm x 25 mm(세로 x 가로 x 두께)의 발포 폴리 스티렌(EPS)에 상기 스페이서 32개를 관통하여 삽입하였다. 그 후 600 mm x 900 mm x 0.4 mm의 철판을 적층하였다. 상기 철판 상에 600 mm x 900 mm x 30 mm 발포 폴리 스티렌(EPS)을 적층한 후, 600 mm x 900 mm x 0.4 mm의 철판을 적층하여 층간소음 방지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최상층에 적층된 철판을 적층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직경이 0.7mm인 구 형상의 볼을 삽입부와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된 고무의 양 말단에 접착제를 통해 고정시켜 스페이서를 제조하였다. 600 mm x 900 mm x 20 mm(세로 x 가로 x 두께)의 발포 폴리 스티렌(EPS)에 상기 스페이서 32개를 관통하여 삽입하였다. 그 후 600 mm x 900 mm x 0.4 mm의 철판을 적층하여, 상기 스페이서의 볼과 철판이 접점으로 접하도록 하였다. 그 후 600 mm x 900 mm x 30 mm 발포 폴리 스티렌(EPS)을 적층하여 층간소음 방지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직경이 0.7mm인 구 형상의 볼을 삽입부와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된 고무의 양 말단에 접착제를 통해 고정시켜 스페이서를 제조하였다. 600 mm x 900 mm x 20 mm(세로 x 가로 x 두께)의 발포 폴리 스티렌(EPS)에 상기 스페이서 32개를 관통하여 삽입하였다. 그 후 600 mm x 900 mm x 0.4 mm의 철판을 적층하여, 상기 스페이서의 볼과 철판이 접점으로 접하도록 하였다. 상기 발포 폴리 스티렌(EPS) 및 철판을 반복 유닛으로 하여 1회 더 적층하여 층간소음 방지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삽입부, 지지부 및 중공부를 포함하는 경도 A Type53의 일체형 스페이서를 제조하였다. 상기 스페이서 12개를 평면 상에 배치한 후, 600 mm x 900 mm x 0.4 mm(세로 x 가로 x 두께)의 철판 및 600 mm x 900 mm x 3 mm의 합판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였다. 그 후 600 mm x 900 mm x 20 mm의 발포 폴리 스티렌(EPS)을 적층하여 층간소음 방지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삽입부, 지지부 및 중공부를 포함하는 경도 A Type53의 일체형 스페이서를 제조하였다. 상기 스페이서 18개를 평면 상에 배치한 후, 600 mm x 900 mm x 0.4 mm(세로 x 가로 x 두께)의 철판 및 600 mm x 900 mm x 3 mm의 합판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였다. 그 후 600 mm x 900 mm x 20 mm의 발포 폴리 스티렌(EPS)을 적층하여 층간소음 방지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삽입부, 지지부 및 중공부를 포함하는 경도 A Type53의 일체형 스페이서를 제조하였다. 상기 스페이서 12개를 평면 상에 배치한 후, 600 mm x 900 mm x 0.4 mm의 철판 및 600 mm x 900 mm x 3 mm의 합판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였다. 그 후 600 mm x 900 mm x 20 mm(세로 x 가로 x 두께)의 발포 폴리 스티렌(EPS)을 적층하여 층간소음 방지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삽입부, 지지부 및 중공부를 포함하는 경도 A Type53의 일체형 스페이서를 제조하였다. 600 mm x 900 mm x 20 mm(세로 x 가로 x 두께)의 발포 폴리 스티렌(EPS)에 상기 스페이서 12개를 관통하여 삽입하였다. 그 후 600 mm x 900 mm x 0.4 mm의 철판 및 600 mm x 900 mm x 3 mm의 합판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였다. 그 후 600 mm x 900 mm x 20 mm의 발포 폴리 스티렌(EPS)을 적층하여 층간소음 방지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삽입부, 지지부 및 중공부를 포함하는 경도 A Type60의 일체형 스페이서를 제조하였다. 600 mm x 900 mm x 20 mm(세로 x 가로 x 두께)의 발포 폴리 스티렌(EPS)에 상기 스페이서 12개를 관통하여 삽입하였다. 그 후 600 mm x 900 mm x 0.4 mm의 철판 및 600 mm x 900 mm x 3 mm의 합판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였다. 그 후 600 mm x 900 mm x 20 mm의 발포 폴리 스티렌(EPS)을 적층하여 층간소음 방지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삽입부, 지지부 및 중공부를 포함하는 경도 A Type53의 일체형 스페이서를 제조하였다. 600 mm x 900 mm x 20 mm(세로 x 가로 x 두께)의 발포 폴리 스티렌(EPS)에 상기 스페이서 9개를 관통하여 삽입하였다. 그 후 600 mm x 900 mm x 0.4 mm의 철판 및 600 mm x 900 mm x 3 mm의 합판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였다. 그 후 600 mm x 900 mm x 20 mm의 발포 폴리 스티렌(EPS)을 적층하여 층간소음 방지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삽입부, 지지부 및 중공부를 포함하는 경도 A Type53의 일체형 스페이서를 제조하였다. 600 mm x 900 mm x 20 mm(세로 x 가로 x 두께)의 발포 폴리 스티렌(EPS)에 상기 스페이서 12개를 관통하여 삽입하였다. 그 후 600 mm x 900 mm x 12 mm의 합판을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600 mm x 900 mm x 20 mm의 발포 폴리 스티렌(EPS)을 적층하여 층간소음 방지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6
삽입부, 지지부 및 중공부를 포함하는 경도 A Type60의 일체형 스페이서를 제조하였다. 600 mm x 900 mm x 20 mm(세로 x 가로 x 두께)의 발포 폴리 스티렌(EPS)에 상기 스페이서 9개를 관통하여 삽입하였다. 그 후 600 mm x 900 mm x 12 mm의 합판을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600 mm x 900 mm x 20 mm의 발포 폴리 스티렌(EPS)을 적층하여 층간소음 방지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7
삽입부, 지지부 및 중공부를 포함하는 경도 A Type60의 일체형 스페이서를 제조하였다. 600 mm x 900 mm x 20 mm(세로 x 가로 x 두께)의 발포 폴리 스티렌(EPS)에 상기 스페이서 12개를 관통하여 삽입하였다. 그 후 600 mm x 900 mm x 12 mm의 합판을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600 mm x 900 mm x 20 mm의 발포 폴리 스티렌(EPS)을 적층하여 층간소음 방지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600 mm x 900 mm x 40 mm의 발포 폴리 에틸렌(EPE) 및 600 mm x 900 mm x 10 mm의 발포 폴리 에틸렌(EPE)을 적층하여 층간소음 방지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600 mm x 900 mm x 50 mm의 발포 폴리 스티렌(EPS)을 층간소음 방지재로 준비하였다.
비교예 3
600 mm x 900 mm x 10 mm의 발포 폴리 에틸렌(EPE)을 준비하고, 그 위에 600 mm x 900 mm x 40 mm의 발포 폴리 에틸렌(EPE)을 적층하였다. 그 후 600 mm x 900 mm x 0.4 mm의 철판을 적층하여 층간소음 방지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600 mm x 900 mm x 50 mm의 발포 폴리 스티렌(EPS)을 준비하고, 그 위에 600 mm x 900 mm x 0.4 mm의 철판을 적층하여 층간소음 방지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진동값 측정
실험 테이블 상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의 층간소음 방지재를 실험체로 설치하고, 상기 실험체 상에 작업판을 설치하였다. 상기 작업판을 1 m 높이에서 도르래 및 가이드를 이용하여 중공부의 직경이 15 inch인 타이어를 자유낙하하여 타격하였다. 상기 실험 테이블 상의 진동값을 측정하였다. 각 실시예 또는 비교예 당 5회 반복 측정하였으며, 그 측정값 및 평균값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진동값 (m/s 2 )
1차 2차 3차 4차 5차 평균값
실시예 1 3.5 2.7 3.1 3.1 2.6 3.0
실시예 2 3.7 3,4 3.6 3.9 3.9 3.7
실시예 3 3.7 3.7 3.6 3.6 2.8 3.48
실시예 4 3.3 4.0 3.8 3.4 3.5 3.6
실시예 5 3.7 4.3 4.2 4.1 4.2 4.1
실시예 6 4.0 3.4 2.8 4.2 2.8 3.44
실시예 7 3.9 4.6 3.7 4.6 3.7 4.1
실시예 8 3.1 4.2 4.3 3.4 4.3 3.86
실시예 9 3.53 3.47 4.12 4.26 3.4 3.76
실시예 10 4.44 5.6 5.05 5.56 4.56 5.04
실시예 11 4.97 5.03 6.1 5.28 5.65 5.41
실시예 12 2.68 2.37 2.32 2.32 2.54 2.45
실시예 13 5.91 4.57 5.79 4.96 5.93 5.43
실시예 14 2.79 3.45 3.32 3.78 3.48 3.36
실시예 15 3.87 4.36 3.54 4.4 4.67 4.17
실시예 16 3.82 5.01 3.68 4.78 3.47 4.16
실시예 17 7.74 6.87 5.9 5.8 6.14 6.49
비교예 1 15.5 14.1 12.8 21.5 14.2 15.6
비교예 2 21.9 16.8 12.7 26.2 16.9 18.9
비교예 3 9.70 13.7 10.1 25.7 13.1 14.5
비교예 4 10.3 20.5 19.8 13.7 25.5 18.6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층간소음 방지재는 진동값이 현저히 낮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이 층간소음에 의한 충격음(음파장)을 차단하여 층간에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를 방음층 내에 삽입하지 않고 방음층의 하부에 배치하는 경우에도 층간소음에 의한 충격음(음파장)을 차단하여 층간에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스페이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방음층;및
    상기 방음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음파장 확산층;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방음층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음파장 확산층과 접하는 구조를 이루고, 상기 방음층과 상기 음파장 확산층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음파장 확산층은 상기 방음층보다 경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페이서는,
    층간소음 방지재의 방음층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양 말단에 형성되고, 상기 방음층의 외부로 돌출되어 층간소음 방지재 내에서 방음층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타층의 일면과 접하여 방음층과 타층 간에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부;및 상기 방음층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스페이서 내부 중심축을 기준으로 스페이서 전체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의 지지부는 상기 방음층의 외부로 돌출되어 층간소음 방지재 내에서 방음층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타층의 일면과 접선 또는 접면을 이룰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양 말단에 형성되는 지지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원뿔대 형상이며,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방음층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방음층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삽입부가 상기 지지부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페이서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음파장 확산층은 철판, 알루미늄판, 고강도 플라스틱 판 및 합판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음파장 확산층의 두께는 0.05 ~ 12mm이며,
    상기 방음층과 음파장 확산층은 이를 반복 유닛으로 하여 2회 적층되어 다층 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방음층과 음파장 확산층이 교번하여 적층된 구조를 이루는 층간소음 방지재.
  14. 삭제
  15. 삭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층은 단열 기능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방지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층은 발포 합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방지재.
KR1020190063159A 2019-05-29 2019-05-29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재 KR102370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159A KR102370085B1 (ko) 2019-05-29 2019-05-29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159A KR102370085B1 (ko) 2019-05-29 2019-05-29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203A KR20200137203A (ko) 2020-12-09
KR102370085B1 true KR102370085B1 (ko) 2022-03-04

Family

ID=73787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159A KR102370085B1 (ko) 2019-05-29 2019-05-29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0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9776B2 (en) * 2019-10-08 2022-10-04 Zhejiang Runyang New Materials Technology Co., Ltd. Floor mat for laying on the ground and floor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3894B1 (ko) * 2021-02-02 2023-06-14 조창문 바닥용 방진조립체
KR102470284B1 (ko) * 2021-09-07 2022-11-25 (주)한국방재기술 바닥 충격음 차단 구조 및 그 바닥 충격음 차단 구조의 시공방법
KR102628126B1 (ko) * 2021-10-25 2024-01-23 조창문 바닥용 방진조립체
KR102577821B1 (ko) * 2022-01-11 2023-09-12 조창문 바닥용 방진조립체
KR102500306B1 (ko) * 2022-09-08 2023-02-16 주시회사 대일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2675B2 (ja) * 1998-03-30 2006-07-26 株式会社エス・アイ・テクノロジー 浮床
KR20050017952A (ko) * 2003-08-11 2005-02-23 윤인수 아파트, 다층다가구 공동주택 또는 다층건물의 소음방지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83194A (ko) 2017-01-12 2018-07-20 이종헌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에서 들뜬 구조의 층간소음방지재
KR20180116540A (ko) * 2017-04-17 2018-10-25 두 년 김 온돌바닥에 단열재의 비접촉 설치수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9776B2 (en) * 2019-10-08 2022-10-04 Zhejiang Runyang New Materials Technology Co., Ltd. Floor mat for laying on the ground and floor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203A (ko) 202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0085B1 (ko)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재
KR100563097B1 (ko)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KR101548985B1 (ko)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 바닥 구조물
KR20190076174A (ko) 층간소음방지 메쉬에어볼매트
KR101477783B1 (ko) 복합자재를 이용한 뜬바닥구조용 층간차음재
KR20160104507A (ko) 소음방지재
KR100762925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재
KR20060021933A (ko)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플로팅 플로어 시스템
KR100683839B1 (ko) 공동주택 온돌바닥의 중량충격음 소음방지재
KR102403744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092992B1 (ko)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
KR200425209Y1 (ko) 층간 차음을 위한 건축용 바닥판재
KR101428590B1 (ko) 바닥충격음 전달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KR100645116B1 (ko) 제진 기능을 갖는 바닥 시스템
KR20100046842A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200421085Y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재
KR102194835B1 (ko) 이중 뜬바닥 구조를 갖는 층간소음방지용 바닥구조재
KR101070306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200423540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200336862Y1 (ko) 층간 소음 차단용 복합판넬
KR200381737Y1 (ko) 층간소음방지재
KR20060026780A (ko)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방음재 및 이를 이용하는 건물의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형성방법
KR100927358B1 (ko) 중량충격음 및 경량충격음 저감 특성이 우수한 바닥 마감 구조
KR200359989Y1 (ko) 층간 소음 방지재의 적층구조
KR20160115615A (ko) 난방 배관용 흡음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