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7358B1 - 중량충격음 및 경량충격음 저감 특성이 우수한 바닥 마감 구조 - Google Patents

중량충격음 및 경량충격음 저감 특성이 우수한 바닥 마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7358B1
KR100927358B1 KR1020070078985A KR20070078985A KR100927358B1 KR 100927358 B1 KR100927358 B1 KR 100927358B1 KR 1020070078985 A KR1020070078985 A KR 1020070078985A KR 20070078985 A KR20070078985 A KR 20070078985A KR 100927358 B1 KR100927358 B1 KR 100927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layer
base material
finishing
impact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4779A (ko
Inventor
김범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앤테크
Priority to KR1020070078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358B1/ko
Publication of KR20090014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실내 바닥을 마감하는 구조로서, 특히 공동주택 등 다층 건축물에 있어 슬래브 구조체를 통해 위층에서 발생하는 바닥 충격음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바닥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바닥 마감 구조는, 건축물의 상층과 하층을 분리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층과;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층의 상부에 타설되며, 시멘트, 퍼라이트, 석고, 수산화칼슘 및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고단열 고강성 경량 콘크리트 층과; 상기 고단열 고강성 경량 콘크리트 층의 상부에 다수개의 통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탄성 재질의 바닥마감용 하지재를 깔아 형성된 하지재층 및; 상기 하지재층의 상부에 바닥 마감재를 깔아 형성된 바닥 마감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닥 마감 구조에 따르면, 중량 충격음과 경량 충격음 모두에 대해 우수한 저감 성능을 가지므로 공동 주택 등에서 층간 소음으로 인한 분쟁 및 피해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층간 충격음, 경량 충격음, 하지재, 바닥 마감, 온돌, 난방, 파이프

Description

중량충격음 및 경량충격음 저감 특성이 우수한 바닥 마감 구조 {FLOOR STRUCTURE FOR PREVENTING PROPAGATION OF IMPACT SOUND}
본 발명은 공동주택 등 다층 건축물에 있어 슬래브 구조체를 통해 위층에서 발생하는 바닥 충격음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바닥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닥구조 전체의 매스를 일체화하여 전체 바닥 구조가 함께 거동하도록 함으로써 중량 충격음의 저감에 매우 효과적임과 동시에, 실내용 마감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닥 마감재용 하지재로 상하 통공이 형성된 형태의 하지재를 사용함으로써 층간 경량 충격음의 저감에 있어서도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바 층간 중량 충격음과 경량 충격음 모두에 대해 저감 특성이 우수한 새로운 형태의 실내 바닥 마감 구조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주거용 건축물의 실내 바닥을 마감하는 방식으로는 여러 가지 방식이 있으나 보통 거실 등의 마감의 경우 바탕면에 마루판과 같은 각종 마감재를 부착하여 마감하는 방식에 따라 이루어진다. 이러한 마감재 부착 방식 마감에 있어 기존에는 주로 원목 마루판이나 합판 마루판을 사용하여 마감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이러한 원목 또는 합판 마루판을 대신하여 강화 마루판을 사용하여 마감 시공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강화 마루는 기존의 가구나 인테리어용으로 주로 사용되던 파티클 보드나 HDF를 소재로 하여 그 위에 다양한 색상 및 각종 무늬 등이 인쇄된 장식 필름을 부착하고 표면을 HPL 또는 LPL 처리하여 제조된 바닥 마감재의 일종으로서, 이러한 강화 마루의 경우 표면이 강하여 흠집이 잘 나지 않고 청소 등 유지관리의 편의성이 높아 근래 들어 소비자의 선호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한편, 이러한 강화마루의 시공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시멘트 몰탈층 바탕면 위에 직접 강화마루판을 까는 대신, 일정한 쿠션을 위해 먼저 바탕면 위에 가교 발포 폴리에틸렌폼 시트 등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하지재를 일정한 두께(보통 2mm 이상)로 깐 다음, 그 위에 강화마루를 시공하여 바닥 마감 처리함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 경우 하지재 시트의 재질 특성상 시트 자체가 가지는 단열 성능으로 인하여 바닥의 온돌 파이프로부터 올라오는 열이 일정 부분 차단되게 되며, 이에 따라 전체적인 바닥 구조 시스템상 열 전달 성능이 떨어져 바닥 온도 저하가 일어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최근 들어 국내 주거 형태가 아파트나 연립주택 등 공동 주택 중심으로 바뀌어 가면서 공동주택에서의 층간 소음 문제로 인한 분쟁이나 민원이 급증하 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공동주택의 건설에 있어서 상하층 세대간 층간 소음 문제가 매우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층간 소음은 일반적으로 아이들이 뛰는 소리 등‘비교적 무겁고 부드러운 충격에 의한 바닥충격음’인 중량 충격음과, 의자 끄는 소리나 문 여닫는 소리 등 ‘비교적 가볍고 딱딱한 충격에 의한 바닥충격음’인 경량 충격음으로 분류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소음 및 충격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로부터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현재 이러한 층간 충격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로서 가장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방식으로는 슬래브 구조체와 상부 미장 몰탈층 사이에 차음과 충격 흡수성이 좋은 완충재를 깔고 그 위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 및 온돌 미장몰탈을 일정 두께로 타설함으로써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가 상기 층간 완충재에 의해 흡수될 수 있도록 한 이른바 뜬바닥 구조(floating floor)를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뜬바닥 구조의 경우 실제로 시공하여 시험해 본 결과, 경량 충격음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효과를 보이고 있지만 실제 생활에서 문제를 야기하는 중량 충격음의 해결에는 그다지 큰 저감 효과를 보이고 있지 못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최근 건설교통부에서 고시한 바닥 충격음 차단을 위한 표준바닥구조에 의하면 층간 완충재에 대한 권장 성능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제시하고 있는 동탄성 계수 40MN/㎡ 이하의 층간 완충재의 경우 층간 완충재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중량 충격음의 저감면에서 거의 효과가 없거나 오히려 중량 충격음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이 실험적, 학술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기존 뜬바닥 구조의 중량 충격음 면에서의 취약점을 극복하고자 기존의 탄성 층간 완충재 대신 새로운 조성으로 배합된 고단열 고강성 경량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하부의 슬래브 구조체와 상부의 시멘트 몰탈층을 서로 일체화함으로써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중량충격음 저감 바닥 구조를 개발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57375호로 출원한 바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고단열 고강성 경량 콘크리트를 이용한 층간 충격음 저감용 바닥 구조의 경우 실험 결과 기존 뜬바닥 구조에서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었던 중량 충격음에 대해서는 매우 뛰어난 효과를 보이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나, 이에 비해 경량 충격음에 대해서는 그다지 좋지 못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선출원 발명에서 나타난 경량 충격음에 대한 취약점을 극복하고자 연구를 계속한 결과, 바닥 마감재용 하지재에 일정한 간격으로 상하 통공을 형성하여 사용하는 경우 경량 충격음 저감에 상당히 유리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고 이를 이용하여 중량 충격음과 경량 충격음 모두에 대해 우수한 저감 효과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바닥 구조를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 마감 구조를 형성함에 있어, 기존의 뜬바닥 구조에서 사용되던 층간 완충재를 사용하는 대신, 높은 강성을 갖도록 한 고단열 고강성 경량 콘크리트 층을 통해 바닥구조 전체의 매스를 일체화하여 전체 바닥 구조가 함께 거동하도록 함으로써 중량 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실내용 마감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닥 마감재용 하지재로 상하 통공이 형성된 형태의 하지재를 사용함으로써 층간 경량 충격음도 효과적으로 저감시킴으써 중량 충격음과 경량 충격음 모두에 대해 저감 특성이 우수한 새로운 형태의 실내 바닥 마감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건축물의 실내 바닥을 마감하는 구조에 있어서, 건축물의 상층과 하층을 분리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층;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층의 상부에 타설되며, 시멘트, 퍼라이트, 석고, 수산화칼슘 및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고단열 고강성 경량 콘크리트 층; 상기 고단열 고강성 경량 콘크리트 층의 상부에 다수개의 통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탄성 재질의 바닥마감용 하지재를 깔아 형성된 하지재층; 및, 상기 하지재층의 상부에 바닥 마감재를 깔아 형성된 바닥 마감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중량충격음 및 경량충격음 저감 특성이 우수한 바닥 마감 구조를 특징적인 구성으로서 제공한다.
이때,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닥 마감 구조에 있어서 바닥마감용 하지재의 재질은 폴리에틸렌 폼인 것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본 발명의 바닥 마감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 마감재는 강화 마루판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닥 마감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단열 고강성 경량 콘크리트 층과 상기 하지재층의 사이에는 시멘트 모르터를 타설하여 된 시멘트 모르터층이 더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바닥 마감 구조에 따르면, 기존의 뜬바닥 구조에서 사용되던 층간 완충재를 사용하는 대신, 시멘트, 퍼라이트, 석고, 수산화칼슘 및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특수한 조성을 통해 높은 강성을 갖도록 한 고단열 고강성 경량 콘크리트 층을 사용함으로써 전체 바닥 구조가 함께 거동하도록 함으로써 중량 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닥 마감 구조에 따르면, 실내용 마감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닥 마감재용 하지재로서 상하 통공이 형성된 형태의 하지재를 사용함으로써 하지재 시트 자체가 가지는 단열 성능으로 인해 바닥의 온돌 파이프에서 올라오는 열이 일정부분 차단되어 바닥온도가 저하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층간 경량 충격음의 저감에 있어서 매우 우수한 성능을 나타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중량 충격음과 경량 충격음 모두에 대해 우수한 저감 성능을 가짐으로써 공동 주택 등에서 층간 소음으로 인한 분쟁 및 피해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바닥 마감재용 하지재(10)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바닥 마감재용 하지재는 일반적인 기존의 시트형 하지재와 비교할 때, 다수개의 통공(11)이 일정 간격마다 상하로 관통 형성되도록 한 것에 그 주요한 기술적 특징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바닥 마감재용 하지재(10)는 기본적으로 실내 바닥 마감시 바탕면인 시멘트 모르터층의 상부면에 깔아 설치하여 각종 바닥 마감재의 하부를 지지함으로써 바닥 마감재의 유동을 방지하고 거주자가 마감재 상부에서 생활함에 있어 바닥 충격 및 딱딱한 감을 줄여주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시트 형태의 받침부재로서, 특히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하지재는 강화 마루판을 사용한 마감시 경량 충격음 저감 효과가 뛰어나므로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바닥 마감재용 하지재(10)에 있어서의 재질은 마감재 하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그 원래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기본적으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폴리에틸렌(PE) 폼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그 두께는 대략 2mm 정도면 적당하다. 기타 주요한 재질 특성으로서 겉보기 밀도는 0.008g/cm3 이상으로 하고, 동탄성계수는 150MN/m2 이하가 되도록 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바닥 마감재용 하지재 에는 일반적인 하지재 시트들과는 달리 일정 간격으로 통공(11)을 다수개 형성하여 제작되는데, 여기서 상기 통공(11)의 직경은 5mm 가 적당하며, 이 경우 천공된 통공들 간의 중심거리는 10mm 정도가 적당하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공의 형태로서 원형으로 천공된 예를 제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경우에 따라서는 사각 격자형으로 천공하거나 혹은 그외에 다른 형태의 통공으로 형성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닥 마감재용 하지재는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평판형 하지재 시트에 다수개의 통공(11)이 관통 형성되어 있음에 그 주요한 구성상의 특징이 있으며, 본 발명의 바닥 마감재용 하지재 시트는 상기와 같은 통공(11)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기존의 바닥 마감재용 하지재 시트에서 일어났던 바닥 열 손실의 단점을 상당 부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즉, 기존의 폴리에틸렌 폼 등으로 제조된 바닥 마감재용 하지재 시트에 따르면 그 재질 특성으로 인해 하부의 온돌 파이프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하지재 시트에 의해 상당 부분 차단됨으로써 바닥온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에 대하여, 본 발명의 경우에는 하지재 시트에 통공들이 형성됨으로써 이를 통해 온돌 파이프의 열이 마감재 표면으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어 기존 하지재 시트에서 나타난 난방 효율 저하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닥 마감재용 하지재 시트를 강화마루 구조에 적용하여 경량 충격음에 대한 저감 성능을 테스트해 본 결과, 본 발명의 경우 기존의 통공이 없는 평판형의 하지재 시트를 적용하였을 때와 비교할 때, 경량 충격음 저감의 면에서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구체적인 시험 결과는 아래 표1, 2, 3에 나타내었다.
[표1] 기존 2mm 폴리에틸렌 폼 한 겹 적용시
주파수 Ln,r,o 측정된 저감량 Ln,r 단일수치 78dB-Ln,r,w (저감량)
100 67 0.4 66.6 67 11
125 67.5 -3.8 71.3
160 68 -3.6 71.6
200 68.5 -5.1 73.6
250 69 -4.0 73.0
315 69.5 -3.4 72.9
400 70 -3.1 73.1
500 70.5 0.9 69.6
630 71 8.3 62.7
800 71.5 9.9 61.6
1000 72 21.9 50.1
1250 72 26.9 45.1
1600 72 32.2 39.8
2000 72 37.6 34.4
2500 72 42.1 29.9
3150 72 45.6 26.4
[표2] 기존 2mm 폴리에틸렌 폼 두 겹(4mm) 적용시
주파수 Ln,r,o 측정된 저감량 Ln,r 단일수치 78dB-Ln,r,w (저감량)
100 67 1.0 66.0 66 12
125 67.5 -3.5 71.0
160 68 -3.6 71.6
200 68.5 -5.0 73.5
250 69 -4.1 73.1
315 69.5 -4.0 73.5
400 70 -1.3 71.3
500 70.5 3.4 67.1
630 71 9.5 61.5
800 71.5 12.7 58.8
1000 72 24.0 48.0
1250 72 29.1 42.9
1600 72 34.0 38.0
2000 72 39.6 32.4
2500 72 43.3 28.7
3150 72 46.6 25.4
[표3] 본 발명 적용시 (2mm 한 겹 적용)
주파수 Ln,r,o 측정된 저감량 Ln,r 단일수치 78dB-Ln,r,w (저감량)
100 67 1.3 65.7 61 17
125 67.5 1.7 65.8
160 68 2.5 65.5
200 68.5 0.9 67.6
250 69 0.8 68.2
315 69.5 2.3 67.2
400 70 2.8 67.2
500 70.5 7.2 63.3
630 71 14.7 56.3
800 71.5 16.6 54.9
1000 72 27.7 44.3
1250 72 33.1 38.9
1600 72 37.3 34.7
2000 72 43.1 28.9
2500 72 47.0 25.0
3150 72 51.6 20.4
위 표에 기재된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통공이 형성된 하지재 시트의 경우, 기존의 일반적인 하지재 시트와 비교할 때 상당한 경량 충격음 저감 능력의 향상을 보여 주고 있으며, 아울러 본 발명의 경우 2mm 시트 한겹을 적용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하지재 시트를 2겹(4mm) 적용한 경우보다도 오히려 더욱 우수한 경량 충격음 저감 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닥 마감재용 하지재를 이용한 바닥 마감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닥 마감재용 하지재를 이용하여 이루어진 바닥 마감 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바닥 마감 구조는 일반적인 공동주택의 슬래브 구조에 특별한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나, 그 경량 충격음 저감 성능면에서의 특성 및 이점을 극대화하기 위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닥 구조로 적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도2에 도시된 바닥 마감 구조는 그 도시된 바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전체적으로 볼 때, 건축물의 상층과 하층을 분리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층(100)과;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층(100)의 상부에 타설된 고강성 경량 콘크리트 층(200)과; 상기 고강성 경량 콘크리트 층(200)의 상부에 타설되며 그 내부에 난방 파이프(350)가 매설된 시멘트 모르터 층(300); 상기 시멘트 모르터층(300) 상부에 전술한 본 발명의 바닥 마감재용 하지재를 깔아 형성된 하지재층(400) 및; 상기 하지재층(400)의 상부에 바닥 마감재를 깔아 형성된 바닥 마감층(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와 같은 바닥 구조는 본 발명자가 중량 충격음 저감을 위해 개발하여 특허출원 제 10-2007-57375호로 출원한 바닥 구조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이는 기존의 층간 완충재를 사용한 뜬바닥 구조와 비교하여 볼 때, 층간 충격음 저감을 위해 층간 완충재를 사용하는 대신 시멘트; 퍼라이트; 석고; 수산화칼슘, 탄산칼슘 및 염화칼슘을 포함하여 조성되는 고강성 경량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고강성 경량 콘크리트 층(200)을 일정한 두께로 형성하고 이 고강성 경량 콘크리트 층(200)에 의해 층간 충격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선출원된 바닥 구조에 의하면, 콘크리트 슬래브(100)와 시멘트 모르터 층(300) 사이에 타설된 고강성 경량 콘크리트층(200)이 상기한 콘크리트 슬래브층(100)과 시멘트 모르터 층(300)을 상호 연결시켜 일체로 거동하게 함으로써 층간 소음, 특히 중량 충격음 저감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이 실험적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상기와 같은 선출원된 바닥 구조의 경우 중량 충격음의 면에서는 매우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반면, 경량 충격음 면에서는 그다지 좋은 결과를 나타내고 있지 못하였는바, 이러한 선출원 바닥 구조에서의 경량 충격음에 대한 취약점에 대하여 앞서 상세하게 설명한 본 발명의 바닥 마감재용 하지재를 적용하여 바닥 마감 시공을 하게 되면 양 기술의 상호 보완에 의해 층간 충격음 면에서 매우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시멘트; 퍼라이트; 석고; 수산화칼슘, 탄산칼슘 및 염화칼슘을 포함하여 일반적인 경량 콘크리트에 비해 고강성/고밀도를 갖도록 특별히 조성된 고강성 경량 콘크리트를 이용함으로써 중량 충격음 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바닥 구조에 대하여, 그 바닥 마감을 함에 있어 경량 충격음 저감에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바닥 마감재용 하지재를 이용하여 바닥 마감을 하게 되면 중량 충격음과 경량 충격음 모두에 대하여 우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바,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동 주택 등에서 층간 소음으로 인한 분쟁 및 피해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바닥 마감재용 하지재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닥 마감재용 하지재를 이용하여 이루어진 바닥 마감 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5)

  1. 건축물의 실내 바닥을 마감하는 구조에 있어서,
    건축물의 상층과 하층을 분리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층;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층의 상부에 타설되며, 시멘트, 퍼라이트, 석고, 수산화칼슘 및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고단열 고강성 경량 콘크리트 층;
    상기 고단열 고강성 경량 콘크리트 층의 상부에 다수개의 통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탄성 재질의 바닥마감용 하지재를 깔아 형성된 하지재층; 및,
    상기 하지재층의 상부에 바닥 마감재를 깔아 형성된 바닥 마감층;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중량충격음 및 경량충격음 저감 특성이 우수한 바닥 마감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마감재는 강화 마루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충격음 및 경량충격음 저감 특성이 우수한 바닥 마감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마감용 하지재는 폴리에틸렌 폼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충격음 및 경량충격음 저감 특성이 우수한 바닥 마감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단열 고강성 경량 콘크리트 층과 하지재층의 사이에는 시멘트 모르터를 타설하여 된 시멘트 모르터 층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충격음 및 경량충격음 저감 특성이 우수한 바닥 마감 구조.
  5. 삭제
KR1020070078985A 2007-08-07 2007-08-07 중량충격음 및 경량충격음 저감 특성이 우수한 바닥 마감 구조 KR100927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985A KR100927358B1 (ko) 2007-08-07 2007-08-07 중량충격음 및 경량충격음 저감 특성이 우수한 바닥 마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985A KR100927358B1 (ko) 2007-08-07 2007-08-07 중량충격음 및 경량충격음 저감 특성이 우수한 바닥 마감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779A KR20090014779A (ko) 2009-02-11
KR100927358B1 true KR100927358B1 (ko) 2009-11-19

Family

ID=40684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985A KR100927358B1 (ko) 2007-08-07 2007-08-07 중량충격음 및 경량충격음 저감 특성이 우수한 바닥 마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73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069B1 (ko) * 2014-02-10 2014-12-09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노후된 공동주택에 내력 향상이 가능한 매입형 차음진동 보강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02291A (zh) * 2020-10-23 2021-02-02 神州必晟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楼层隔声减振空腔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887Y1 (ko) 2003-10-10 2003-12-24 오상일 건축용 바닥씨트
KR20040055045A (ko) * 2002-12-20 2004-06-26 우진물산 주식회사 천공시트를 이용한 방음성 바닥재
KR200359977Y1 (ko) * 2004-05-20 2004-08-30 (주)삼세대시공 방진흡음재가 부착된 조립식 마루
KR20050000305A (ko) * 2003-06-23 2005-01-03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집합건축물에 사용되는 차음 및 제진 기능을 갖는 층간바닥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045A (ko) * 2002-12-20 2004-06-26 우진물산 주식회사 천공시트를 이용한 방음성 바닥재
KR20050000305A (ko) * 2003-06-23 2005-01-03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집합건축물에 사용되는 차음 및 제진 기능을 갖는 층간바닥구조
KR200336887Y1 (ko) 2003-10-10 2003-12-24 오상일 건축용 바닥씨트
KR200359977Y1 (ko) * 2004-05-20 2004-08-30 (주)삼세대시공 방진흡음재가 부착된 조립식 마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069B1 (ko) * 2014-02-10 2014-12-09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노후된 공동주택에 내력 향상이 가능한 매입형 차음진동 보강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779A (ko) 200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5259A (en) Sound rated floor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US7886488B2 (en) Acoustical isolation floor underlayment system
CA2808903C (en) Lightweight acoustical flooring underlayment
KR100632147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저감재
EP3004480B1 (en) An acoustic damping building material
KR102295294B1 (ko) 복층건물의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시공구조
KR102403744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695613B1 (ko) 층간의 소음방지를 위한 건축물의 바닥구조
KR100927358B1 (ko) 중량충격음 및 경량충격음 저감 특성이 우수한 바닥 마감 구조
KR200236412Y1 (ko) 건물 바닥재용 방음보드
JP2005509771A (ja) 音響伝播を減衰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366651Y1 (ko) 층간 소음방지재
KR100874885B1 (ko) 공동주택의 층간 완전건식구조
KR200378497Y1 (ko) 콘크리트 바닥 방음재
KR100546445B1 (ko) 건축물의 층간바닥구조
KR20080029515A (ko) 다층건물의 바닥충격음 감쇄구조
KR101373091B1 (ko) 바닥 충격음 저감용 층간 차음재
JPH0333884Y2 (ko)
KR200359989Y1 (ko) 층간 소음 방지재의 적층구조
KR200378944Y1 (ko) 댐핑시트를 구비한 건축물 층간소음저감재
KR200447489Y1 (ko) 온돌마루판
KR200315770Y1 (ko) 건물의 바닥충격 방음판넬
CN210194935U (zh) 一种楼板减振隔声板
KR200387009Y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저감재
TWM540153U (zh) 制音樓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