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651Y1 - 층간 소음방지재 - Google Patents

층간 소음방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651Y1
KR200366651Y1 KR20-2004-0021369U KR20040021369U KR200366651Y1 KR 200366651 Y1 KR200366651 Y1 KR 200366651Y1 KR 20040021369 U KR20040021369 U KR 20040021369U KR 200366651 Y1 KR200366651 Y1 KR 2003666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plastic structure
floor
layer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13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점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텍
Priority to KR20-2004-00213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6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6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6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04F15/225Shock absorber memb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층간 소음방지재에 관한것으로, 좀더 상세 하게는 아파트등의 공동주택에 있어 상층으로부터 하층으로 전달되는 각종 바닥 충격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연장 결합설치를 위한 각 측면의 요철부와 상면외측에 덥개부가 일체로 된 일정면적을 갖는 플라스틱구조체의 내면에 스치로폼으로 구성된 흡음재를 삽입하고, 상기 플라스틱 구조체의 하부에는 다수의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고무부재로된 끼움다리가 각각 끼워 이루어진 소음방지재를 제공함으로서 소음의 최소화 및 단열효과 향상과 에너지의 절감뿐만 아니라 특히,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방음 및 방습, 단열효과를 우수하게 하면서 그 시공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수 있게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층간 소음방지재{Layer for sound arresting prevention}
본 고안은 층간 소음방지재에 관한것으로, 좀더 상세 하게는 아파트등의 공동주택에 있어 상층으로부터 하층으로 전달되는 각종 바닥 충격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연장 결합설치를 위한 각 측면의 요철부와 상면외측에 덥개부가 일체로 된 일정면적을 갖는 플라스틱구조체의 내면에 스치로폼으로 구성된 흡음재를 삽입하고, 상기 플라스틱 구조체의 하부에는 다수의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고무부재로된 끼움다리가 각각 끼워 이루어진 소음방지재를 제공함으로서 소음의 최소화 및 단열효과 향상과 에너지의 절감뿐만 아니라 특히,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방음 및 방습, 단열효과를 우수하게 하면서 그 시공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수 있게 한 층간 소음방지재에 관한것이다.
우리나라는 온돌이라는 독특한 난방구조로 인해 공동주택의 바닥을 건축하는경우에 슬라브 상부에 비중이 0.5 전후인 경량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난방용 코일을 위한 수평도와 난방코일 하단의 단열층을 확보하며 이 경량콘크리트 상부에 난방코일을 설치하고, 40 ~ 60mm 정도의 두께로 마감몰탈을 타설함으로서 바닥 구조물을 완료하는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층간 소음 방지재 업계에서도 다양한 재료의 제품을 개발 출시하고 있는데, 초기에는 폐 타이어 분쇄물을 아크릴, 우레탄, 아크릴등과 같은 접착성분과 혼합하여 슬라브 위에 타설하고 압착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이 경우에는 이 완충재 상부에 타설되는 경량 콘크리트가 매우 용이하게 스며들어 차음성과 단열성을 개선하기 어려우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일부에서는 폐 타이어칩을 이용한 방음판을 제안하였고, 일부에서는 폐 타이어칩과 콜크분말을 이용한 흡음재를 제안하고 있으나, 이 두가지 기술 모두 폐 타이어칩의 차음성과 단열성 저하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하지는 못하였으며, 시공의 불편함 등 개선해야될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고분자 발포재료의 표면에 돌출문양을 형성시켜 입사되는 소음의 흡수, 반사, 상쇄효과를 통해 차음성의 개선을 꾀하고 있으나, 층간 소음은 진동의 형태로 전달되므로 흡수, 반사, 상쇄 효과를 통해 만족한 성능을 기대하기가 어려우며, 일부에서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와 같은 발포성 합성수지 분쇄물을 이용한 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나 이또한 폐 타이어칩의 문제와 동일한 경향의 문제와 높은 열전도의 문제를 여전히 안고 있었다.
종래부터 건축물의 단열재로 주로 사용되어 오던 발포 스티렌은 단열재 이면서도 어느정도의 바닥 충격음 저감 효과가 있기 때문에 많은 현장에서는 이 발포스티렌 자체만을 층간소음방지재로 사용하고 있으며, 발포스티렌을 주재료로하여 표면에 마감처리를 통해 질감만을 변경하여 층간 소음방지재로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이 또한 발포스티렌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며, 발포스티렌, 발포에틸비닐아세테이트, 폴리우레탄 발포체, 무기물이 다량 함유된 차음시트등과의 복합화로 경쟁력있는 바닥 충격음 저감재를 만들려는 노력들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층간 소음방지재는 특성상 발포스티렌의 특성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바닥충격음 저감의 기본요인이 되는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의 차단이라는 측면을 무시한 작업으로 높은 바닥충격음 저감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다.
상기에서의 충격음은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으로 구분되는데, 경량 충격음은 된소리, 즉 동전 떨어지는 소리 또는 하이힐의 따각 거리는 소리 등으로서 기존의 차음재로도 충격음 저감이 가능한 것이지만, 중량충격음으로 구분하는 아이들이 뛰노는 소리등의 둔탁한소리는 진동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기존의 바닥구조에 기존의 차음재로는 중량충격음의 저감효과를 볼수 없는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바닥충격음 차음재로 최근에는 단열, 방음, 방습성을 갖는 스치로폼층과 이 스치로폼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상부 및 하부 접착제층을 통하여 접착되는 다공질의 상하부 부직포층을 형성하고, 상부 부직포층의 상측면에 엠보싱면을 형성한 내화학성, 내유성, 내마모성, 내부식성을 갖는 천연 발포고무층으로 구성되는 층간 소음 방지재가 제시되어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려 시도하고 있었으나, 이는 단순 적층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진동에 의해 전달되는 중량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수 없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었다.
또한 시공방법에 있어서도 상기한 차음재를 설치한후 그 상부에 별도의 중간부재를 개재시키고 그 상부에 보일러관을 별도 설치한후 마감하는것이 일반적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이를 제공하는 목적은 아파트등의 공동주택에 있어, 상층으로부터 하층으로 전달되는 각종 바닥 충격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연장 결합설치를 위한 각 측면의 요철부와 상면외측에 덥개부가 일체로 된 일정면적을 갖는 플라스틱구조체의 내면에 스치로폼으로 구성된 흡음재를 삽입하고, 상기 플라스틱 구조체의 하부에는 다수의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고무부재로된 끼움다리가 각각 끼워 이루어진 소음방지재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소음 방지재를 제공함으로서 소음의 최소화 및 단열효과 향상과 에너지의 절감뿐만 아니라 특히,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방음 및 방습, 단열효과를 우수하게 하면서 그 시공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수 있게 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소음방지재의 상부에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그 상부에 보일러관을 설치함으로서 경량 기포콘크리트에 의한 소음의 차단효과를 배가 시킬수 있게 하려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시공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저면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시공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라스틱 구조체,
2 : 흡음재,
3 : 받침다리,
11 : 요부,
12 : 철부
13 : 덥개부,
14 : 끼움돌기,
15 : 이탈방지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 해 질것이다.
즉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장 결합설치를 위한 각 측면의 요부(11) 및 철부(12)와 상면외측에 덥개부(13)가 일체로 된 일정면적을 갖는 플라스틱구조체(1)의 내면에 스치로폼으로 구성된 흡음재(2)를 삽입하고,
상기 플라스틱 구조체(1)의 하부에는 다수의 끼움돌기(14)가 형성되어 고무부재로된 끼움다리(3)가 각각 끼워져 이루어지되,
상기 덥개부(13)가 형성된 플라스틱구조체(1)의 내면 상부 타측에는 상기 흡음재(2)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15)이 복수개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미설명부호로서, 16 은 보강격살, 4 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 5는 보일러관, 6 은 마감층, 7 은 콘크리트골조를 각각 나타낸다.
이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플라스틱 구조체(1)는 연장결합이 가능하고 내부에 삽입되는 흡음재(2)의 이탈을 방지할수 있도록 복수개의 이탈방지턱(15)을 일체로 사출성형한다.
이러한 구조의 플라스틱 구조체(1)를 양산, 다수 구비하고 그 내면에 일치되도록 스치로폼으로 된 흡음재(2)를 커팅하여 내면에 삽입, 개재시키면 되는데,
이때 덥개부(13)가 형성된 그 타측에 복수개의 이탈방지턱(1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흡음재(2)를 상기 이탈방지턱(15)의 내면에 안착되도록 끼워 현장으로 이동시 플라스틱구조체(1)의 내부로 부터 흡음재(2)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비, 양산된 본 고안의 소음방지재를 시공할 때에는 기 시공되어 있는 콘크리트골조(7), 즉 슬라브층 상부 일측에서부터 플라스틱구조체(1)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요부(11)와 철부(12)를 끼워 조립하여 주면 되므로 그 시공작업 또한 매우 간단 용이하게 되는데,
이때 받침다리(3)가 콘크리트골조(7)의 상면에 당접된 상태로 플라스틱 구조체(1)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철부를 타 플라스틱구조체(1)의 요부에 끼워주게 되면 그 끼움 동작과 동시에 상면으로 그 두께만큼 돌출, 연장되어 있는 덥개부(13)가 타 플라스틱 구조체(1)의 상면을 덥어 그 이음부에 발생되는 틈새를 상부에서 차단하게된다.
이와같은 작업을 반복수행하여 소음방지재의 시공작업이 완료되면 하부의 받침다리(3)에 의해 발생되는 공간층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일정두께를 갖도록 경량기포콘크리트층(4)을 타설, 형성시킨다음 경화시켜 그 상부에 보일러관(5)을 배열하고 마감층(6)을 형성시켜 마감완료 시키면 되는데, 이때 상기 받침다리(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층은 또 다른 하나의 소음제거 내지 차단작용을 하게된다.
이와같은 구조의 본 고안에 의한 소음 차단작용을 잠시 살펴보면, 상부층에서 발생된 소음은 경량기포콘크리트층(4)에서 1차 소거하고, 나머지 전달 된 소음은 스치로폼층으로 되는 본 고안의 흡음재(2)에서 2차에 거쳐 소거되며, 진동으로 전달되는 중량층격음은 그 하부의 받침다리(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층에 의해 소거되어 그 소음이 최소화 되게된다.
이와같은 소음의 소거작용은 흡음재(2)와 공간층에 소음이 갖혀 상쇄되는 역할을 하게되므로 진동으로 전달되는 중량충격음의 효과적인 차단이 이루어질수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아파트등의 공동주택에 있어, 상층으로부터 하층으로 전달되는 각종 바닥 충격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연장 결합설치를 위한 각 측면의 요철부와 상면외측에 덥개부가 일체로 된 일정면적을 갖는 플라스틱구조체의 내면에 스치로폼으로 구성된 흡음재를 삽입하고, 상기 플라스틱 구조체의 하부에는 다수의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고무부재로된 끼움다리가 각각 끼워 이루어진 소음방지재를 제공함으로서 소음의 최소화 및 단열효과 향상과 에너지의 절감뿐만 아니라 특히,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방음 및 방습, 단열효과를 우수하게 하면서 그 시공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수 있게 되는등의 여러 유용한 효과를 동시에 거둘수 있는 매우 유익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Claims (1)

  1. 연장 결합설치를 위한 각 측면의 요부(11) 및 철부(12)와 상면외측에 덥개부(13)가 일체로 된 일정면적을 갖는 플라스틱구조체(1)의 내면에 스치로폼으로 구성된 흡음재(2)를 삽입하고,
    상기 플라스틱 구조체(1)의 하부에는 다수의 끼움돌기(14)가 형성되어 고무부재로된 끼움다리(3)가 각각 끼워져 이루어지되,
    상기 덥개부(13)가 형성된 플라스틱구조체(1)의 내면 상부 타측에는 상기 흡음재(2)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15)이 복수개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층간 소음 방지재.
KR20-2004-0021369U 2004-07-27 2004-07-27 층간 소음방지재 KR2003666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369U KR200366651Y1 (ko) 2004-07-27 2004-07-27 층간 소음방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369U KR200366651Y1 (ko) 2004-07-27 2004-07-27 층간 소음방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651Y1 true KR200366651Y1 (ko) 2004-11-06

Family

ID=49440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369U KR200366651Y1 (ko) 2004-07-27 2004-07-27 층간 소음방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651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715B1 (ko) 2006-04-27 2007-04-23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층간소음 저감용 패널
KR100810502B1 (ko) 2004-12-28 2008-03-07 정한석 사출성형물에 의한 층간 소음방지 시공방법
KR200452855Y1 (ko) 2008-05-19 2011-03-25 박연준 지지판 연결부재를 이용한 인접한 완충층의 연결구조
KR101440556B1 (ko) * 2012-12-24 2014-09-1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
KR101460239B1 (ko) 2014-06-26 2014-11-20 이종번 층간 소음방지용 매트
KR102106054B1 (ko) * 2019-10-17 2020-04-29 한석관 슬라브 시공용 트레이블록 및 그를 이용한 슬라브 시공방법
KR102541093B1 (ko) * 2022-03-29 2023-06-08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바닥 충격음 차단 패널 조립체 및 그 조립체를 이용한 바닥 충격음 차단 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502B1 (ko) 2004-12-28 2008-03-07 정한석 사출성형물에 의한 층간 소음방지 시공방법
KR100710715B1 (ko) 2006-04-27 2007-04-23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층간소음 저감용 패널
KR200452855Y1 (ko) 2008-05-19 2011-03-25 박연준 지지판 연결부재를 이용한 인접한 완충층의 연결구조
KR101440556B1 (ko) * 2012-12-24 2014-09-1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
KR101460239B1 (ko) 2014-06-26 2014-11-20 이종번 층간 소음방지용 매트
KR102106054B1 (ko) * 2019-10-17 2020-04-29 한석관 슬라브 시공용 트레이블록 및 그를 이용한 슬라브 시공방법
KR102541093B1 (ko) * 2022-03-29 2023-06-08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바닥 충격음 차단 패널 조립체 및 그 조립체를 이용한 바닥 충격음 차단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097B1 (ko)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KR101589525B1 (ko) 복층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KR100763434B1 (ko) 층간 소음방지 바닥재
KR101062268B1 (ko) 다층건물의 중공층을 갖는 충격음 차단구조
KR200366651Y1 (ko) 층간 소음방지재
KR100606943B1 (ko) 층간 소음방지재
KR20060021933A (ko)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플로팅 플로어 시스템
KR100683839B1 (ko) 공동주택 온돌바닥의 중량충격음 소음방지재
KR200365686Y1 (ko) 층간 소음방지재
KR20180025420A (ko) 차음 및 흡음 성능이 향상된 복합몰탈을 이용한 철근콘트리트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공법
KR101942161B1 (ko) 완충재의 상이한 두께를 이용한 층간 소음 완충 구조
KR101979346B1 (ko) 철근콘크리트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구조물
KR20100005135U (ko)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저감재
KR100874885B1 (ko) 공동주택의 층간 완전건식구조
KR200398590Y1 (ko) 차음용부재
KR200359989Y1 (ko) 층간 소음 방지재의 적층구조
KR100546445B1 (ko) 건축물의 층간바닥구조
KR200433751Y1 (ko) 공동주택 층간바닥의 소음진동차단 및 단열 구조
KR200378497Y1 (ko) 콘크리트 바닥 방음재
KR100607829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및 진동 흡수구조
KR200401924Y1 (ko) 건축물용 층간소음 저감패널
KR200403891Y1 (ko) 층간 소음방지재
KR200378944Y1 (ko) 댐핑시트를 구비한 건축물 층간소음저감재
KR100927358B1 (ko) 중량충격음 및 경량충격음 저감 특성이 우수한 바닥 마감 구조
KR20070032430A (ko) 층간 소음방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