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891Y1 - 층간 소음방지재 - Google Patents

층간 소음방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891Y1
KR200403891Y1 KR20-2005-0026717U KR20050026717U KR200403891Y1 KR 200403891 Y1 KR200403891 Y1 KR 200403891Y1 KR 20050026717 U KR20050026717 U KR 20050026717U KR 200403891 Y1 KR200403891 Y1 KR 2004038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holes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67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점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Priority to KR20-2005-00267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8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8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8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5Underlayers in the form of studded or ribbed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층간 소음방지재에 관한것으로, 좀더 상세 하게는 아파트등의 공동주택에 있어 상층으로부터 하층으로 전달되는 각종 바닥 충격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일정 면적을 갖도록 고밀도 발포 스치로폼을 성형제작하되, 상부면과 하부면에 다수의 흡음홀을 형성하여 상하층에서 발생된 소음이 그 흡음홀에 유도 안내되면서 효과적으로 소거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소음의 최소화 및 단열효과 향상과 에너지의 절감뿐만 아니라 특히,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방음 및 방습, 단열효과를 우수하게 하면서 그 시공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수 있게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층간 소음방지재{Layer for sound arresting prevention}
본 고안은 층간 소음방지재에 관한것으로, 좀더 상세 하게는 아파트등의 공동주택에 있어 상층으로부터 하층으로 전달되는 각종 바닥 충격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일정 면적을 갖도록 고밀도 발포 스치로폼을 성형제작하되, 상부면과 하부면에 다수의 흡음홀을 형성하여 상하층에서 발생된 소음이 그 흡음홀에 유도 안내되면서 효과적으로 소거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소음의 최소화 및 단열효과 향상과 에너지의 절감뿐만 아니라 특히,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방음 및 방습, 단열효과를 우수하게 하면서 그 시공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수 있게 한 층간 소음방지재에 관한것이다.
우리나라는 온돌이라는 독특한 난방구조로 인해 공동주택의 바닥을 건축하는경우에 슬라브 상부에 비중이 0.5 전후인 경량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난방용 코일을 위한 수평도와 난방코일 하단의 단열층을 확보하며 이 경량콘크리트 상부에 난방코일을 설치하고, 40 ~ 60mm 정도의 두께로 마감몰탈을 타설함으로서 바닥 구조물을 완료하는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층간 소음 방지재 업계에서도 다양한 재료의 제품을 개발 출시하고 있는데, 초기에는 폐 타이어 분쇄물을 우레탄, 아크릴등과 같은 접착성분과 혼합하여 슬라브 위에 타설하고 압착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이 경우에는 이 완충재 상부에 타설되는 경량 콘크리트가 매우 용이하게 스며들어 차음성과 단열성을 개선하기 어려우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일부에서는 폐 타이어칩을 이용한 방음판을 제안하였고, 일부에서는 폐 타이어칩과 콜크분말을 이용한 흡음재를 제안하고 있으나, 이 두가지 기술 모두 폐 타이어칩의 차음성과 단열성 저하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하지는 못하였으며, 시공의 불편함 등 개선해야될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고분자 발포재료의 표면에 돌출문양을 형성시켜 입사되는 소음의 흡수, 반사, 상쇄효과를 통해 차음성의 개선을 꾀하고 있으나, 층간 소음은 진동의 형태로 전달되므로 흡수, 반사, 상쇄 효과를 통해 만족한 성능을 기대하기가 어려우며, 일부에서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와 같은 발포성 합성수지 분쇄물을 이용한 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나 이또한 폐 타이어칩의 문제와 동일한 경향의 문제와 높은 열전도의 문제를 여전히 안고 있었다.
종래부터 건축물의 단열재로 주로 사용되어 오던 발포 스티렌은 단열재 이면서도 어느정도의 바닥 충격음 저감 효과가 있기 때문에 많은 현장에서는 이 발포스티렌 자체만을 층간소음방지재로 사용하고 있으며, 발포스티렌을 주재료로하여 표면에 마감처리를 통해 질감만을 변경하여 층간 소음방지재로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이 또한 발포스티렌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며, 발포스티렌, 발포에틸비닐아세테이트, 폴리우레탄 발포체, 무기물이 다량 함유된 차음시트등과의 복합화로 경쟁력있는 바닥 충격음 저감재를 만들려는 노력들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층간 소음방지재는 특성상 발포스티렌의 특성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바닥충격음 저감의 기본요인이 되는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의 차단이라는 측면을 무시한 작업으로 높은 바닥충격음 저감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다.
상기에서의 충격음은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으로 구분되는데, 경량 충격음은 된소리, 즉 동전 떨어지는 소리 또는 하이힐의 따각 거리는 소리 등으로서 기존의 차음재로도 충격음 저감이 가능한 것이지만, 중량충격음으로 구분하는 아이들이 뛰노는 소리등의 둔탁한소리는 진동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기존의 바닥구조에 기존의 차음재로는 중량충격음의 저감효과를 볼수 없는것이 현실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이를 제공하는 목적은 아파트등의 공동주택에 있어, 상층으로부터 하층으로 전달되는 각종 바닥 충격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고밀도 발포스치폼의 상하부 표면에 다수개의 회오리형 흡음홀을 형성하여 상, 하층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유도하여 그 내부에서 소거하도록 함으로서 소음의 최소화 및 단열효과 향상과 에너지의 절감뿐만 아니라 방음 및 방습, 단열효과를 우수하게 하면서 그 시공작업성을 더욱 간편하게 하려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 해 질것이다.
즉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정 면적을 갖는 고밀도 발포스치로폼을 장방형 혹은 정방형의 형태로 성형 제작하여 층간소음방지재(1)를 이루되,
그 상, 하부면에는 회오리형 흡음홀(2)이 다수개 배치 형성되어 상, 하층에서 발생된 소음이 상기 흡음홀(2)에 유도 안내되면서 소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오리형 흡음홀(2)은 첨부된 도면 도 1에서와 같이, 내부에서부터 외부로 일정 각도를 유지한 채 회전되어 나선형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상면에 형성된 흡음홀(2)에 비하여 하부면에 형성된 흠음홀(2)의 수를 더욱 많게 형성하여 하부층으로 전달되는 상층의 소음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흠음홀(2)은 첨부도면 도 4 에서 보여주는 바와같이, 내부에서 외부로 점차 커지는 원이 다수 개 반복 형성되고, 그 최 외측에 형성된 흡음홀(2)의 외면에는 방사상 나선형을 이룬 독립된 다수개의 흡음홀(2')이 균등 형성되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또한 첨부된 도면 도 5 는 상기 흠음홀(2),(2')을 다수개 배치구성한 일례를 보여주는데, 상부 또는 하부에 치중하여 어느 일측면에 비해 더 많은 수의 흠음홀(2)을 형성 한 일례를 보여준다.
또한 첨부된 도면 도 6 은 상면에 상기의 흠음홀(2)을 형성하고, 하부면에는 같은 크기의 홈(3)과 돌출부(4)를 반복적으로 형성 함으로서 상기 돌출부(4)에 의해 슬라브층(10)과 일정 간극을 유지케 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첨부된 도면 도 7 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돌출부(4)의 하부에 같은 재질의 박막형 흡음보조재(5)를 개재하여 돌출부(4)와 홈(3)을 포함한 공간부(6)를 형성함으로서 이를 통해 소음이 더욱 원할 하게 소거될 수 있도록 하였다.
미설명 부호, 11 은 기포 콘크리트층, 12 는 보일러관, 13 은 마감층을 각각 나타낸다.
이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고밀도 발포스치로폼을 성형제작할 경우 일정 면적을 갖도록 하고 상하부에 흡음홀(2)을 형성하여준다.
이는 한벌의 금형에서 양산가능하다.
이를 시공할 경우에는 일정 면적을 갖도록 규격화되어 있는 층간 소음 방지재(1)를 슬라브층(10)의 바닥면에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배치하고, 그 연결부는 통상의 접착성 테이프(미도시하였음)로 접착, 마감하여 주는 것에 의해 그 공간을 마감 처리 할 수 있다.
이는 결국, 상기 층간 소음 방지재(1)가 일정한 높이로 배치고정되어 있음으로 상기 층간 소음방지재(1)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흡음홀(2)에 의해 슬라브층(10)의 바닥면과 층간 소음방지재(1)의 하부 사이에 회오리형을 갖는 다수개의 흡음 유도홀이 형성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층간 소음방지재(1)의 상면에 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평탄작업을 행하고 건조후 그 상부에 보일러관(12)을 배치구성한다.
보일러관(12)의 배치작업이 완료되면 마감층(13)을 형성함으로서 바닥면의 시공작업이 완료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층간 소음방지재(1)의 재질이 고밀도 발포스치로폼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상, 하부에 흡음홀(2),(2')이 배치구성되어 있음으로 상하층에서 발생된 소음은 상기 흡음홀(2),(2')에 유도 안내되면서 소거되는 형태를 띠고 있어 효과적으로 소음이 제거되게 되며, 그로 인한 소음의 최소화 및 단열효과 향상과 에너지의 절감뿐만 아니라 방음 및 방습, 단열효과를 우수하게 하면서 그 시공작업성을 더욱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첨부된 도면 도 7 에서와 같이 층간 소음방지재(1)의 저면에 홈(3)과 돌출부(4)가 반복적으로 균등형성되어 있는 것의 경우, 같은 재질의 박막형 흡음보조재(5)를 개재하여 돌출부(4)와 홈(3)을 포함한 공간부(6)를 형성함으로서 이를 통해 소음이 더욱 원할 하게 소거될 수 있다.
이와같은 구조의 본 고안에 의한 소음 차단작용을 잠시 살펴보면, 상부층에서 발생된 소음은 경량기포콘크리트층(11)에서 1차 소거하고, 나머지 전달 된 소음은 스치로폼층으로 되는 본 고안의 층간 소음방지재(1)에서 2차에 거쳐 소거되며, 진동으로 전달되는 중량층격음은 그 상,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회오리형 흡음홀(2)에 유도 안내면서 소거되어 그 소음이 최소화 되게 된다.
이와같은 소음의 소거작용은 층간 소음방지재(1)의 흡음홀(2),(2')과 슬라브층(1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6)에 소음이 갖혀 유도되면서 상쇄되는 역할을 하게되므로 진동으로 전달되는 중량충격음의 효과적인 차단이 이루어질수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아파트등의 공동주택에 있어, 상층으로부터 하층으로 전달되는 각종 바닥 충격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고밀도 발포스치폼의 상하부 표면에 다수개의 회오리형 흡음홀을 형성하여 상, 하층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유도하여 그 내부에서 소거하도록 함으로서 소음의 최소화 및 단열효과 향상과 에너지의 절감뿐만 아니라 방음 및 방습, 단열효과를 우수하게 하면서 그 시공작업성을 더욱 간편하게 되는 등의 여러 유용한 효과를 동시에 거둘수 있는 매우 유익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2는 도 1 의 저면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시공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5는 도 4 의 저면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례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도7은 도 6 의 시공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층간소음방지재,
2 : 흡음홀,
3 : 홈,
4 : 돌출부,
5 : 흡음보조재,
6 : 공간부,

Claims (7)

  1. 일정 면적을 갖는 고밀도 발포스치로폼을 장방형 혹은 정방형의 형태로 성형 제작하여 층간소음방지재(1)를 이루되,
    그 상, 하부면에는 회오리형 흡음홀(2)이 다수개 배치 형성되어 상, 하층에서 발생된 소음이 상기 흡음홀(2)에 유도 안내되면서 소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방지재.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회오리형 흡음홀(2)은 내부에서부터 외부로 일정 각도를 유지한 채 회전되어 나선형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방지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소음방지재의 상면에 형성된 흡음홀(2)에 비하여 하부면에 형성된 흠음홀(2)의 그 수를 더욱 많게 형성하여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방지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흠음홀(2)은 내부에서 외부로 점차 커지는 원이 다수 개 반복 형성되고, 그 최 외측에 형성된 흡음홀(2)의 외면에는 방사상 나선형을 이룬 독립된 다수개의 흡음홀(2')이 균등 형성되어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방지재.
  5.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흠음홀(2),(2')을 다수개 배치구성 하되, 상부 또는 하부에 치중하여 어느 일측면에 비해 더 많은 수의 흠음홀(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방지재.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소음방지재(1)의 상면에 상기의 흠음홀(2)을 형성하고, 하부면에는 같은 크기의 홈(3)과 돌출부(4)를 반복적으로 형성 함으로서 상기 돌출부(4)에 의해 슬라브층(10)과 일정 간극을 유지케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방지재.
  7.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4)의 하부에 같은 재질의 박막형 흡음 보조재(5)를 개재하여 돌출부(4)와 홈(3)을 포함한 공간부(6)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방지재.
KR20-2005-0026717U 2005-09-16 2005-09-16 층간 소음방지재 KR2004038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717U KR200403891Y1 (ko) 2005-09-16 2005-09-16 층간 소음방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717U KR200403891Y1 (ko) 2005-09-16 2005-09-16 층간 소음방지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6627A Division KR20070032430A (ko) 2005-09-16 2005-09-16 층간 소음방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891Y1 true KR200403891Y1 (ko) 2005-12-14

Family

ID=43704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717U KR200403891Y1 (ko) 2005-09-16 2005-09-16 층간 소음방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89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603B1 (ko) 2007-09-14 2009-03-11 동화자연마루(주) 강화 마루용 발포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88822B1 (ko) * 2014-12-18 2016-01-26 (주)에스지아이 나선형 흡음판이 돌출된 흡음재 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603B1 (ko) 2007-09-14 2009-03-11 동화자연마루(주) 강화 마루용 발포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88822B1 (ko) * 2014-12-18 2016-01-26 (주)에스지아이 나선형 흡음판이 돌출된 흡음재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0085B1 (ko)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재
KR100653596B1 (ko)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건식형 다층부상구조
KR101929628B1 (ko) 층간소음 차음재
KR100718701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저감재
KR200403891Y1 (ko) 층간 소음방지재
KR20070032430A (ko) 층간 소음방지재
KR100606943B1 (ko) 층간 소음방지재
KR200366651Y1 (ko) 층간 소음방지재
KR200365686Y1 (ko) 층간 소음방지재
KR100546445B1 (ko) 건축물의 층간바닥구조
KR20100005135U (ko)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저감재
KR200398590Y1 (ko) 차음용부재
KR200421085Y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재
KR101076381B1 (ko) 층간 소음방지재
KR20080029515A (ko) 다층건물의 바닥충격음 감쇄구조
KR200378497Y1 (ko) 콘크리트 바닥 방음재
JP2007529659A (ja) 建物の層間の騷音・振動の低減板、及びこれを含む騷音・振動の低減構造
KR20140030513A (ko) 바닥충격음 전달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KR200359989Y1 (ko) 층간 소음 방지재의 적층구조
KR100927358B1 (ko) 중량충격음 및 경량충격음 저감 특성이 우수한 바닥 마감 구조
KR100607829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및 진동 흡수구조
KR20040066230A (ko) 공동주택용 온돌 바닥의 차음방법 및 그 장치
KR200226733Y1 (ko) 흡음구조를 갖는 마루판의 시공구조
KR20070088233A (ko)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완충재
KR20190031823A (ko) 층간소음방지용 흡음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