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733Y1 - 흡음구조를 갖는 마루판의 시공구조 - Google Patents

흡음구조를 갖는 마루판의 시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733Y1
KR200226733Y1 KR2019980008688U KR19980008688U KR200226733Y1 KR 200226733 Y1 KR200226733 Y1 KR 200226733Y1 KR 2019980008688 U KR2019980008688 U KR 2019980008688U KR 19980008688 U KR19980008688 U KR 19980008688U KR 200226733 Y1 KR200226733 Y1 KR 2002267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sound
floorboard
construction
absorb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86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2120U (ko
Inventor
정기관
Original Assignee
정기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기관 filed Critical 정기관
Priority to KR20199800086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733Y1/ko
Publication of KR199800321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1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7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733Y1/ko

Links

Landscapes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흡음구조를 갖는 마루판의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시공이 용이하도록 하부에 조립구조를 갖는 합성수지재 저장판체내에 일측면에 일정 두께의 발포성 수지가 충진된 굴곡판을 복수개 구비하여 그 굴곡면이 교차되도록 적층시키되, 그 사이에는 일정두께를 갖는 유리섬유(glass wool)와 같은 흡음재를 개재하여 그 흡음재의 상,하부에 다수의 중공부를 형성함으로써, 흡음효과가 우수하게되고, 굴곡판의 교차적층에 의한 견고함 및 시공작업의 용이성을 함께 얻을수 있게한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흡음구조를 갖는 마루판의 시공구조
본 고안은 흡음구조를 갖는 마루판의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시공이 용이하도록 하부에 조립구조를 갖는 합성수지재 저장판체내에 일측면에 일정 두께의 발포성 수지가 충진된 굴곡판을 복수개 구비하여 그 굴곡면이 교차되도록 적층시키되, 그 사이에는 일정두께를 갖는 유리섬유(glass wool)와 같은 흡음재를 개재하여 그 흡음재의 상,하부에 다수의 중공부를 형성함으로써, 흡음효과가 우수하게되고, 굴곡판의 교차적층에 의한 견고함 및 시공작업의 용이성을 함께 얻을수 있는 흡음구조를 갖는 마루판의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음은 불쾌감을 야기시키고 신경을 거슬르게 하며 반복되는 경우 듣는사람을 흥분시킨다.
이러한 소음의 불쾌감은 음의 강도와 주파수에 의해 결정되는데, 예를들면 높은음은 낮은음보다 시끄럽게 느껴지고, 단순음은 여러 가지 주파수 성분을 합한 음보다 시끄럽게 느껴진다.
벽 또는 상하층을 구분하는 슬라브에 닿는 음은 일부가 반사되고 일부는 흡수되며 나머지는 투과한다.
소음은 차폐물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감쇠되는데, 다공질의 재질에 접하면 흡수되고 시중에 시판되거나 시공되고 있는 흡음재는 음 에너지의 약 70% 이상을 흡수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흡음재는 아파트나 연립주택,사무실이 밀집되어 있는 빌딩등, 다층으로 시공되는 건축물의 시공시 상,하층이 구획,구분되는 슬라브면에 통상의 방법으로 충진된다.
상기에서의 흡음재 충진은 상부층 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완충내지는 소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마루판을 구성함에 있어, 종래에는 상기의 흡음재를 단순히 슬라브면에 배열, 배치하고 그 상부에 마루판등의 마감재를 시공하였기 때문에 마루판에 약간의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흡음재에 의해 감쇠되기는 하나 이를 완전히 흡수하지못하고 대부분의 음,즉 소음이 곧바로 슬라브면에 전달 되므로 건물전체에 진동이 발생된다.
특히, 이러한 소음의 문제는 아파트나 연립주택등 주거환경에서는 그 아래층에 소음을 그대로 전달하는 결과를 초래해 소음공해에 따른 소음규제대책 및 소음의 완전제거를 위한 시공기술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최근에는 각 제조사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흡음부재들이 다수 제안되고 있기는 하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하나같이 그 흡음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이를 제작하기가 매우 까다롭고 그에따라 제작단가 및 공급단가가 매우 높아질수밖에 없으며, 더욱 중요한 문제는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효과가 저하되어 소음제거 기능을 완벽히 수행하지못하고 있다.
그리하여 본 고안자는 이미 국내 특허출원 제 96 - 14657 호로 선출원된 건축용 구조물에서 상기의 종래문제를 해결키 위해 합성수지재로된 저장판체의 상부에 발포성수지가 일측면에 충진도포된 굴곡판을 재치,고정하고 그 상부에 몰탈을 충진한후 하드너를 시공하여 이룬 흡음구조를 갖는 마루판 또는 지붕판을 제공하여 상,하층의 소음을 어느정도 감쇠,흡수케한 잇점을 제공한바 있다.
그러나 상기 본 고안자의 선 특허출원에서는 발포성수지가 도포된 굴곡판을 채용하여 굴곡판 및 발포성수지의 다공질에 의한 흡음기능이 있기는 하나 음을 차단 감쇠시킬수 있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지않고 하드너,몰탈,굴곡판,저장판체가 일체화된채 골조에 재치 결합되는 구조를 띠고 있어, 골조에 의한 내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므로 상기의 판체가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선행 발명의 골조에 재치결합되어 사용되기에는 적합하나, 이를 슬래부에 직접 시공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완벽한 흡음효과를 기대하기가 곤란한 구조적 결함이 내포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와 본 고안자의 선행발명이 해결치못한 문제를 해소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를 제공하는 목적은 합성수지재 저장판체내에 일측면에 일정 두께의 발포성 수지가 충진된 굴곡판을 복수개 구비하여 그 굴곡면이 교차되도록 적층시키되, 그 사이에는 일정두께를 갖는 유리섬유와 같은 흡음재를 개재하여 그 흡음재의 상,하부에 다수의 중공부가 형성된 흡음구조를갖는 마루판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흡음구조를 갖는 마루판을 제공하여 흡음효과가 우수하게되고, 굴곡판의 교차적층에 의한 견고함 및 시공작업의 용이성을 함께 얻을수 있게 하려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발췌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슬래브에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골조 2 : 저장판체
3,4 : 굴곡판 5 : 중공부
6 : 흡음재 7 : 흡음공기층
8 : 마루판체 21 : 걸림턱
22 : 수용공간 31,41 : 발포성수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되어 있는 골조(1)의 상부에는 양측하부에 걸림턱(21)이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22)이 형성된 일정면적의 합성수지재 저장판체(2)가 재치고정되고,
상기 저장판체(2)의 수용공간(22)에는 일측면에 발포성수지(31),(41)가 도포충진된 복수개의 굴곡판체(3),(4)가 서로 맞대어져 교차되는 형태로 적층되는것에 의해 그 사이에 다수의 중공부(5)가 형성되되,
상기 굴곡판체(3),(4)의 사이에는 일정두께를 갖는 유리섬유와 같은 흡음재(6)가 끼워져 흡음,공기층(7)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에 위치한 굴곡판체(4) 상부의 발포성수지(41) 상면에는 조립부착 가능하게 구성된 다수의 마루판체(8)가 재치고정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마루판체(8)는 동일규격으로된 밭침판(81)과 상판(82)이 일측의 대각방향으로어긋나게 고정부착되어 상호 조립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미설명부호로서 9는 건축물의 슬래브를 나타낸다.
이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은 건축물의 슬래브(9) 상면에 일정 길이를 갖는 복수개 이상의 골조(1)를 등간격으로 배열 고정하고 상기 골조(1)의 상면에 통상의 고정수단, 즉 접착제와 같은 도포물을 도포한후 합성수지로된 저장판체(2)의 걸림턱(21)을 일치시켜 재치하면 그 자중에 의해 상기 저장판체(2)가 골조(1)의 상면에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저장판체(2)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공간(22)에 발포성수지(31)가 일면에 충진도포되어 있는 하부측 굴곡판(3)을 먼저 재치고정하고, 그 굴곡판(3)의 상부에는 일정두께와 면적을 갖는 유리섬유와 같은 흡음재(6)를 전면에 배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그 흡음재(6)의 상부에 상부측 굴곡판(4)을 하부측 굴곡판(3)과 마주보면서 그 굴곡면들이 상호 교차되는 형태로 재치시켜 고정하여주면, 상기 굴곡판(3),(4)을 교차 재치하는것과 그 중간부에 개재된 흡음재(6)에 의해 상기 흡음재(6)의 상,하부에는 다수의 중공부(5)가 형성됨과 동시에 흡음공기층(7)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업공정이 이루어지면 상부측에 위치한 굴곡판(4)의 발포성수지(41) 상면에 조립가능하게 구성된 다수개의 마루판체(8)를 배열하여 접착제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고정하여 주면되므로 그 시공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흡음구조를 갖는 마루판체의 시공작업이 이루어지고난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이용 또는 사용하면 되는데,
이때 불측의 발생요인에 의해 마루판체(8)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실내에 소음이 발생되면 상부측 굴곡판체(4)의 발포성수지(41)에 의해 통상 감쇠되는 정도의 소음감쇠효과가 있고, 이를 투과한 소음은 상,하부측 굴곡판체(3),(4) 사이에 형성된 중공부(5)와 흡음재(6)에 의해 형성된 흡음공기층(7)에 이르러 완전히 소거되게 된다.
이러한 흡음공기층(7)으로 부터의 소음제거효과는 상,하굴곡판체(3),(4)에 형성되어 있는 웨이브에 부딪혀 소음의 반사작용이 반복되다가 중공부(5)에 의해 갖혀지는 형태로 대폭 감쇠되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감쇠된 소음은 유리섬유와 같은 다공질 또는 섬유조직으로된 흡음재(6)의 구조적 특성에 의한 흡수작용에 의해 완전히 제거되게 된다.
상기와같은 흡음공기층(7)에 의한 소음제거효과는 아파트나 연립주택과 같은 다층건물의 상,하층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소음공해를 적절히 해소하여 항상 쾌적한 주거 및 사무환경을 조성하여준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합성수지재 저장판체내에 일측면에 일정 두께의 발포성 수지가 충진된 굴곡판을 복수개 구비하여 그 굴곡면이 교차되도록 적층시키고 그 사이에 일정두께를 갖는 유리섬유와 같은 흡음재를 개재하여 흡음공기층을 형성하여줌으로써, 흡음효과가 대폭 향상되었고 굴곡판의 교차적층에 의한 견고함 및 시공작업의 용이성을 함께 얻을수 있는 매우 유익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Claims (1)

  1. 일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되어 있는 골조(1)의 상부에는 양측하부에 걸림턱(21)이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22)이 형성된 일정면적의 합성수지재 저장판체(2)가 재치고정되고,
    상기 저장판체(2)의 수용공간(22)에는 일측면에 발포성수지(31),(41)가 도포충진된 복수개의 굴곡판체(3),(4)가 서로 맞대어져 교차되는 형태로 적층되는것에 의해 그 사이에 다수의 중공부(5)가 형성되되,
    상기 굴곡판체(3),(4)의 사이에는 일정두께를 갖는 유리섬유와 같은 흡음재(6)가 끼워져 흡음,공기층(7)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에 위치한 굴곡판체(4) 상부의 발포성수지(41) 상면에는 조립부착 가능하게 구성된 다수의 마루판체(8)가 재치고정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흡음구조를 갖는 마루판체의 시공구조.
KR2019980008688U 1998-05-25 1998-05-25 흡음구조를 갖는 마루판의 시공구조 KR2002267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688U KR200226733Y1 (ko) 1998-05-25 1998-05-25 흡음구조를 갖는 마루판의 시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688U KR200226733Y1 (ko) 1998-05-25 1998-05-25 흡음구조를 갖는 마루판의 시공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120U KR19980032120U (ko) 1998-08-17
KR200226733Y1 true KR200226733Y1 (ko) 2001-06-15

Family

ID=69505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8688U KR200226733Y1 (ko) 1998-05-25 1998-05-25 흡음구조를 갖는 마루판의 시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7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9132A (ko) * 2014-10-24 2016-05-09 주식회사 포스코 바닥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917B1 (ko) * 1999-01-25 2002-03-22 남상국 다중 구조의 소음 및 진동 차폐층을 갖는 공동주택 바닥구조
KR100539654B1 (ko) * 2002-02-05 2005-12-30 주식회사 에이텍종합건축사사무소 소음, 진동 차단용 바닥재의 제조방법
KR20040033522A (ko) * 2002-10-15 2004-04-28 주식회사히토피아벤처 공기층을 이용한 방음 및 단열 바닥구조체와 그 제조방법
KR100977168B1 (ko) * 2010-03-09 2010-08-20 아덴이엔씨 (주) 층간 소음 방지용 탄성 바닥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9132A (ko) * 2014-10-24 2016-05-09 주식회사 포스코 바닥구조물
KR101725596B1 (ko) * 2014-10-24 2017-04-11 주식회사 포스코 바닥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120U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9645B1 (en) Sound-insulating sandwich element
AU771473B2 (en) Sound-insulating sandwich element
JP4184512B2 (ja) 防音建築構造
KR20170087146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KR200311493Y1 (ko) 방진 및 방음 패널
KR200226733Y1 (ko) 흡음구조를 갖는 마루판의 시공구조
EP0965701A1 (en) Sound insulating panel
KR100546445B1 (ko) 건축물의 층간바닥구조
KR20210080283A (ko) 층간 차음용 단독 패널
KR100519081B1 (ko) 천장용 차음판넬
KR200352230Y1 (ko) 건물의 층간 소음진동 저감판, 및 이를 포함하는소음진동 저감구조
KR102420058B1 (ko)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장치
KR102420057B1 (ko)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장치
CN215670481U (zh) 一种具有隔音功能的混凝土砌块
JPH0720248Y2 (ja) 建築物の遮音構造
KR200317410Y1 (ko) 흡음성 차음 석고보드
CN217460350U (zh) 一种声屏障
JPH10183849A (ja) 防音天井構造
CN213448990U (zh) 一种隔声墙体
KR200304752Y1 (ko) 천장용 차음판넬
JP2536685Y2 (ja) 防音床材
JPH06306974A (ja) 遮音壁
JP2020159141A (ja) 壁構造
JP2005307437A (ja) 建築遮音構造体
JPH045235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