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057B1 -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20057B1 KR102420057B1 KR1020200163938A KR20200163938A KR102420057B1 KR 102420057 B1 KR102420057 B1 KR 102420057B1 KR 1020200163938 A KR1020200163938 A KR 1020200163938A KR 20200163938 A KR20200163938 A KR 20200163938A KR 102420057 B1 KR102420057 B1 KR 1024200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und
- absorbing
- thin metal
- metal plate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장치는 내부가 비어있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측 바닥에 설치되는 방진패드와, 방진패드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판과 이격된 흡음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장치는 내부가 비어있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측 바닥에 설치되는 방진패드와, 방진패드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판과 이격된 흡음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파트, 빌라, 연립주택, 다세대 주택 등과 같은 공동주택에 있어서 소음공해는 거주자의 주거환경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층간 바닥충격음은 직접적으로 거주자의 불쾌감을 유발하게 되어 주거환경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일반적인 공동주택 바닥구조는 콘크리트 슬래브 상부면에 단열성능을 위한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타설 완료된 경량기포 콘크리트 상부면에 난방배관을 설치하여 시멘트 몰탈로 마감하고 있다. 이러한 바닥구조가 적용된 공동주택은 바닥충격음이 바닥슬래브 및 벽체를 통해 그대로 하층세대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61573호에는 건물의 층간흡음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건물의 층간흡음장치는 건물의 바닥에 상하부가 탄성유닛으로 지지되는 웨이트부재를 설치하여 건물 상층에서 발생된 소음으로 인해 건물의 하층으로 전달되는 진동이 웨이트부재로 전달되어 흡수됨으로써 하층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상기의 층간흡음장치는 하우징의 내부에 웨이트부재를 스프링으로 매달아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및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장치는 내부가 비어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바닥에 설치되는 방진패드와; 상기 방진패드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판과 이격된 흡음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흡음유닛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프레임틀과, 상기 프레임틀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틀의 내측을 다수의 흡음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흡음공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흡음공간으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진동을 일으키는 금속박판들과, 상기 금속박판들과 하나씩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금속박판과 이격되어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금속박판의 주위에서 진동을 흡수하는 흡음패드들을 구비한다.
상기 금속박판은 두께가 0.2 내지 5mm이다.
상기 흡음패드는 양면에 움푹한 오목부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틀 또는 상기 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금속박판과 상기 흡음패드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이격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물의 각 층의 바닥에 매립하여 상층에서 발생된 소음을 흡음유닛에서 효과적으로 감쇠시킴으로써 층간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박판과 흡음패드를 교대로 배치하는 구조를 통해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및 시공이 용이하다.
도 1은 건물의 바닥에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층간소음 방지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적용된 흡음유닛의 요부를 발췌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적용된 흡음유닛의 작동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장치에 적용된 흡음패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층간소음 방지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적용된 흡음유닛의 요부를 발췌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적용된 흡음유닛의 작동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장치에 적용된 흡음패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건물, 특히나 아파트, 빌라, 연립주택, 다세대 주택 등과 같은 공동주택의 바닥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하기 위하여 건물의 바닥에 매립되는 층간소음 방지장치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장치(9)는 내부가 비어있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측 바닥에 설치되는 방진패드(20)와, 방진패드(20)의 상부에 안착되어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되며 하우징(10)의 상판(15)과 이격된 흡음유닛(30)을 구비한다.
통상적인 다층 건물의 바닥구조는 바닥슬라브층(1)으로부터 경량기포 콘크리트층(3), 마감몰탈층(4) 및 장식마감층(5)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바닥슬라브층(1)은 건물의 층간을 나누는 골격으로 철근콘크리트로 이루어지며, 경량기포 콘크리트층(3)은 콘크리트에 기포를 주입하여 단위 중량을 줄이면서 단열효과가 있는 경량기포 콘크리트가 적층되어 형성된다. 마감몰탈층(4)은 장식마감층(5)이 경량기포 콘크리트층에 고착될 수 있도록 몰탈이 적층되어 형성된다. 장식 마감층(5)은 마감몰탈층(4)의 상부를 장식하기 위해 장판이나 타일 등이 시공된다.
본 발명의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장치(9)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층(3)에 매립되어 있다.
하우징(10)은 내부가 비어있는 박스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0)은 상부가 개방된 본체(11)와, 본체(11)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판(15)으로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는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판(15)은 진동이 흡음유닛(30)으로 잘 전달될 수 있도록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진패드(20)는 본체(11)의 내측 바닥에 설치된다. 방진패드(20)는 사각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방진패드(20)는 진동 흡수가 우수한 소재로 형성된다. 가령, 방진패드(20)는 고무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방진패드(20)는 하우징(10)의 바닥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종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흡음유닛(30)은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된다. 흡음유닛(30)은 방진패드(20)의 상부에 안착된다. 흡음유닛(30)은 사각의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흡음유닛(30)의 하부는 방진패드(20)에 닿아 있지만 흡음유닛(30)의 측면은 하우징(10)의 내측면과 이격된다. 그리고 흡음유닛(30)의 상부 역시 하우징(10)의 상판(15)과 이격된다.
흡음유닛(30)은 하우징의 상판(15)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켜 소음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흡음유닛(30)은 프레임틀(31)과, 프레임틀(31)의 내측에 설치되어 프레임틀(31)의 내측을 다수의 흡음공간(35)으로 구획하는 격벽(33)과, 흡음공간(35)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흡음공간(35)으로 전달되는 소음에 의해 진동을 일으키는 금속박판들(37)과, 금속박판들(37)과 하나씩 교대로 배치되고 금속박판(37)과 이격되어 나란하게 설치되어 금속박판(37)의 주위에서 진동을 흡수하는 흡음패드들(39)을 구비한다.
프레임틀(31)은 사각의 액자 구조로 이루어진다. 프레임틀(31)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다. 프레임틀(31)은 합성소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격벽(33)은 프레임틀(31)의 내측에 설치되어 프레임틀(31)의 내측을 다수의 흡음공간(35)으로 구획한다. 도시된 예에서 격벽(33)은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격벽(33)에 의해 프레임틀(31)의 내측에는 격자 형태의 다수의 흡음공간(35)이 형성된다. 격벽(33)은 프레임틀(31)과 동일한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각 흡음공간(35)마다 금속박판(37)과 흡음패드(39)가 교대로 번갈아 가면서 설치된다.
금속박판(37)은 흡음공간(37)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된다. 금속박판(37)은 흡음공간(37)으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진동을 일으킬 수 있도록 탄성이 있는 얇은 두께의 판재로 이루어진다. 금속박판(37)은 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박판(37)의 두께는 0.2 내지 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박판의 두께가 0.2mm 미만이면 내구성이 약하고, 금속박판의 두께가 2mm를 초과하면 진동의 감쇠효과가 낮다.
하우징의 상판(15)을 통해 흡음공간으로 충격에 의한 진동이 전달되면 얇은 금속박판(15)이 진동하면서 충격에 의한 진동의 일부를 상쇄시키고 나머지의 진동은 주위로 전달한다.
흡음패드(39)는 흡음공간(35)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된다. 흡음패드(39)는 금속박판(37)과 이격되어 나란하게 설치된다. 흡음패드(39)는 금속박판들(37)과 하나씩 교대로 배치된다. 따라서 2장의 흡음패드(39) 사이에 한장의 금속박판(37)이 위치한다.
흡음패드(39)는 금속박판(37)에 의해 주위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흡음패드(39)는 흡음성이 우수한 소재로 형성된다. 가령, 흡음패드(39)는 다수의 기공을 갖는 발포소재 예를 들면, 발포 우레탄 수지, 발포고무, EPS, EPP, PE, EVA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흡음패드(39)는 흡음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금속박판(37)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흡음패드(39)는 2 내지 20mm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박판(37)과 흡음패드(39)를 교대로 번갈아가면서 배치시킨 구조에 의해 상술한 흡음유닛은 소음차단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시공성이 우수하다.
한편, 본 발명은 금속박판(37)과 흡음패드(39)가 접촉되지 않고 분리될 수 있도록 이격수단이 구비된다. 이격수단은 프레임틀(31) 또는 격벽(33)에 형성된다.
도시된 이격수단은 다수의 돌출턱들(40)로 이루어진다. 돌출턱(40)은 프레임틀(31)과 격벽(33)에 형성된다. 돌출턱(40)은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돌출턱(40)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된다. 돌출턱들(40) 사이에 금속박판(37)과 흡음패드(39)가 한장씩 번갈아가면서 끼워진다. 금속박판(37)과 흡음패드(39)의 두께가 다르므로 금속박판(37)이 끼워지는 돌출턱들(40)의 간격과 흡음패드(39)가 끼워지는 돌출턱들(40)의 간격은 다르다. 금속박판(37)이 끼워지는 돌출턱들의 간격은 좁고, 흡음패드(39)가 끼워지는 돌출턱들의 간격은 넓다.
한편, 도 6에 본 발명에 적용되는 흡음패드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흡음패드(50)는 양면에 움푹한 오목부(51)가 각각 형성된다. 오목부(51)에 의해 흡음패드(50)의 표면적을 넓힐 수 있다. 또한, 오목부(51)에 의해 형성된 흡음패드(50) 양면의 오목한 공간은 주위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수렴시키므로 흡음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하우징 11: 본체
15: 상판 30: 흡음유닛
31: 프레임틀 33: 격벽
35: 흡음공간 37: 금속박판
39: 흡음패드 40: 돌출턱
15: 상판 30: 흡음유닛
31: 프레임틀 33: 격벽
35: 흡음공간 37: 금속박판
39: 흡음패드 40: 돌출턱
Claims (4)
- 내부가 비어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바닥에 설치되는 방진패드와;
상기 방진패드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판과 이격된 흡음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흡음유닛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프레임틀과, 상기 프레임틀의 내측에 설치되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교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틀의 내측을 다수의 흡음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흡음공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흡음공간으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진동을 일으키는 금속박판들과, 상기 금속박판들과 하나씩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금속박판과 이격되어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금속박판의 주위에서 진동을 흡수하는 흡음패드들을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틀 또는 상기 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금속박판과 상기 흡음패드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이격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이격수단은 상기 금속박판과 상기 흡음패드가 한장씩 번갈아가면서 끼워지는 다수의 돌출턱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턱들 중 상기 금속박판이 끼워지는 돌출턱들의 간격은 좁고, 상기 흡음패드가 끼워지는 돌출턱들의 간격은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판은 두께가 0.2 내지 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패드는 양면에 움푹한 오목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3938A KR102420057B1 (ko) | 2020-11-30 | 2020-11-30 |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3938A KR102420057B1 (ko) | 2020-11-30 | 2020-11-30 |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5642A KR20220075642A (ko) | 2022-06-08 |
KR102420057B1 true KR102420057B1 (ko) | 2022-07-11 |
Family
ID=81981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3938A KR102420057B1 (ko) | 2020-11-30 | 2020-11-30 |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20057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1574Y1 (ko) * | 2000-06-07 | 2000-11-01 | 정상준 | 제진용 방음벽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9118B1 (ko) * | 2004-10-25 | 2007-09-19 | 이광우 | 층간 차음용 패널 구조체 및 이를 적용한 다층 건물의 바닥구조체 |
KR102061573B1 (ko) * | 2016-12-19 | 2020-01-09 | 이광우 | 건물의 층간흡음장치 |
-
2020
- 2020-11-30 KR KR1020200163938A patent/KR10242005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1574Y1 (ko) * | 2000-06-07 | 2000-11-01 | 정상준 | 제진용 방음벽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5642A (ko) | 2022-06-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63097B1 (ko) |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 |
KR102061573B1 (ko) | 건물의 층간흡음장치 | |
KR20190076174A (ko) | 층간소음방지 메쉬에어볼매트 | |
KR200311493Y1 (ko) | 방진 및 방음 패널 | |
KR100684686B1 (ko) | 층간차음재 | |
KR101435993B1 (ko) | 복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재 | |
KR102361502B1 (ko) | 층간 차음용 단독 패널 | |
KR100683839B1 (ko) | 공동주택 온돌바닥의 중량충격음 소음방지재 | |
KR101492508B1 (ko) | 건축물의 층간 소음 차단 구조 | |
KR102546126B1 (ko) |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장치 | |
KR200385010Y1 (ko) | 층간차음재 | |
KR101448010B1 (ko) | 바닥 시공재 | |
KR102420057B1 (ko) |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장치 | |
KR101488443B1 (ko) | 층간소음 저감용 진동흡진기 및 이를 이용한 바닥구조 | |
KR200410609Y1 (ko) |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 |
KR101942161B1 (ko) | 완충재의 상이한 두께를 이용한 층간 소음 완충 구조 | |
KR100546445B1 (ko) | 건축물의 층간바닥구조 | |
KR102334371B1 (ko) | 층간소음 차단구조의 시공방법 | |
KR20150111176A (ko) | 건축용 층간 차음재 | |
KR200378497Y1 (ko) | 콘크리트 바닥 방음재 | |
KR102077089B1 (ko) | 층간소음 저감재 | |
KR102557475B1 (ko) |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패널 | |
KR102557476B1 (ko) |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장치 | |
KR102420058B1 (ko) |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장치 | |
KR100766127B1 (ko) | 건물용 완충바닥구조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