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306B1 -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 - Google Patents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0306B1 KR102500306B1 KR1020220114346A KR20220114346A KR102500306B1 KR 102500306 B1 KR102500306 B1 KR 102500306B1 KR 1020220114346 A KR1020220114346 A KR 1020220114346A KR 20220114346 A KR20220114346 A KR 20220114346A KR 102500306 B1 KR102500306 B1 KR 1025003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pact
- shock
- absorbing
- buffering
- floo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1358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3
- QQONPFPTGQHPMA-UHFFFAOYSA-N Propene Chemical compound CC=C QQONPFPTGQHPM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9000004794 expanded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083 cement mort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3 anti-fung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805 propylene group Chemical group [H]C([H])([H])C([H])([*:1])C([H])([H])[*:2]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19 thick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7—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8—Edge insulation strips, e.g. for floor screed lay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충격음을 차단하도록 한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100)에 관한 것으로, 충격감쇄부재(120)가 물이 접촉 함유되지 않도록 보호해주면서 충격 소음을 차단시키는 하부충격방지부재(110); 빠른 충격흡수와 배출기능 및 내구성이 강한 충격감쇄부재(120);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된 충격방지부재구멍(131)에 내부완충부재(150)가 끼워져 구비된 상부충격방지부재(130); 충격방지부재구멍(131)과 같은 선상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된 완충부재구멍(141)에 내부완충부재(150)가 끼워져 구비된 외부완충부재(140); 및 내열성이 우수하고 상단에 마감층이 마무리될 수 있도록 해주는 마감부재(160);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아파트 등과 같이 다층 건물의 층간 슬래브의 상부에 설치하여 상층에서 발생된 소음 및 충격 등이 하층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소음 및 충격 등을 차단, 흡수하여 완충시키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건축용 층간 차음 및 흡음재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100)에 관한 것으로, 충격감쇄부재(120)가 물이 접촉 함유되지 않도록 보호해주면서 충격 소음을 차단시키는 하부충격방지부재(110); 빠른 충격흡수와 배출기능 및 내구성이 강한 충격감쇄부재(120);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된 충격방지부재구멍(131)에 내부완충부재(150)가 끼워져 구비된 상부충격방지부재(130); 충격방지부재구멍(131)과 같은 선상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된 완충부재구멍(141)에 내부완충부재(150)가 끼워져 구비된 외부완충부재(140); 및 내열성이 우수하고 상단에 마감층이 마무리될 수 있도록 해주는 마감부재(160);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아파트 등과 같이 다층 건물의 층간 슬래브의 상부에 설치하여 상층에서 발생된 소음 및 충격 등이 하층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소음 및 충격 등을 차단, 흡수하여 완충시키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건축용 층간 차음 및 흡음재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바닥충격음을 차단하도록 한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 등과 같이 다층 건물의 층간 슬래브의 상부에 설치하여 상층에서 발생된 소음 및 충격 등이 하층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소음 및 충격 등을 차단, 흡수하여 완충시키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건축용 층간 차음 및 흡음재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 출원하여 등록 및 공개된 다수개의 건축용 층간 차음재를 개량 발명한 것임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주지하다시피 아파트 및 빌라와 같은 공동주택은 다층으로 건축이 되면서 다세대가 입주하지만, 이러한 다세대 건물은 상하층 간의 층간소음을 발생시켜 많은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층간의 경계를 이루는 바닥 콘크리트(슬래브)의 간격을 두껍게 하여 소음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으나, 이럴 경우에 한정된 높이 내에서 건축이 되는 공동주택의 층수가 줄어들 수밖에 없어 현실적으로 무조건적인 층 간격의 두께 확장은 당해 업계에서는 고려되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공동주택을 건축할 때에는 상층의 충격과 소음 등을 차단할 목적으로 차음(遮音) 설비로써, 건물의 층간 바닥면 슬래브에 단열과 층간 방음 역할을 하는 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후 온돌파이프를 설치하고 미장하여 마감하여 왔다.
상기 기포 콘크리트는 시멘트에 물과 공기를 혼합하여 타설한 후 양생시키는 제품으로 강도는 매우 높고, 비중이 매우 낮아 물에 뜨는 재질이며, 열전도율이 매우 낮아 단열제품으로 매우 우수하고 소리에 대한 방음효과도 뛰어난 편이다.
또한, 일부에서는 하부에 충격을 완화시켜 소음을 제거할 수 있도록 저면에 흡음부재가 장착된 흡음판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 바, 판상의 몸체의 저면에 탄성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흡음부재가 내설되는 내설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 개의 흡음판이 전후좌우로 서로 밀착되어 건축물의 바닥면의 상부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건축물의 바닥면에 설치된 흡음판의 상부에 기포성 시멘트몰탈층이 도포되며, 그 상부로 배관층과 시멘트몰탈층 및 마감재가 적층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층간 소음방지 방법을 사용할 경우에는 시멘트의 세밀한 구조와 높은 강도로 인하여 상층에서 발생되는 충격진동을 기포 콘크리트 층에서 흡수하지 못하고 층간 슬래브에 그대로 전달하여 상층부에서 발생된 충격 및 진동 등을 방지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또한, 종래의 흡음판은 소재가 고가이고, 설치공정이 까다로워 시공비가 많이 들고, 공사기간이 길어 비경제적 이라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특히 상기 종래 기술에는 슬래브상에 직접 충격방지부재인 폴리에스터가 맞닿게 설치되어 사용되나, 상기 폴리에스터는 콘크리트몰탈에 포함된 물이 직접 침투 함유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그리고 상기 종래 기술은 반발 탄성을 분산시키지 못하는 기술적 결함에 의해 결과적으로 충격 에너지 흡수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아울러 최근에 층간소음 갈등이 강력범죄로 이어지는 일들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층간소음은 사회적 문제로 떠올랐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층간소음 논란은 커지고 있다.
한국환경공단 층간소음 이웃사이센터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층간소음 신고 건수는 4만6596건으로 집계됐다. 지난 2020년(4만2250건) 4만건을 돌파한 이후 꾸준히 증가세다. 올 상반기에만 2만1915건이 접수됐다. 이에 따라 주요 건설사도 소비자 요구에 맞춰 앞다퉈 층간소음 저감기술 개발에 공을 들이고 있으나 별 뾰족한 방법이 없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문헌들이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건축용 층간 차음 및 흡음재에 하부충격방지부재, 충격감쇄부재, 상부충격방지부재, 외부완충부재, 내부완충부재 및 마감부재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아파트 등과 같이 다층 건물의 층간 슬래브의 상부에 설치하여 상층에서 발생된 소음 및 충격 등이 하층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소음 및 충격 등을 차단, 흡수하여 완충시키도록 한 것이고, 제3목적은 충격감쇄부재(고밀도 폴리에스터)가 하부충격방지부재(발포폴리스타이렌(EPS))상에 설치되어 물이 접촉 함유되지 않도록 함으로 단열효과 상승, 반발 탄성 분산 및 곰팡이 억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우레탄 반발 탄성 분산 효과를 극대화시켜 충격 에너지 흡수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5목적은 하부충격방지부재(발포폴리스타이렌(EPS)), 충격감쇄부재(고밀도 폴리에스터), 상부충격방지부재(중밀도 폴리에스터), 외부완충부재(폴리에틸렌(PE)) 및 마감부재(폴리프로필렌(PP))을 적절히 배치하여 차음 및 흡음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6목적은 고성능 층간 차음 및 흡음재를 적용해 진동에너지와 소음을 동시에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7목적은 건축용 층간 차음 및 흡음재의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작비를 크게 절감시킴으로써 시공비를 줄이고, 공사기간을 단축시켜 경제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따라서 제8목적은 시공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9목적은 이로 인해 건축용 층간 차음 및 흡음재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에 관한 것으로, 철근콘크리트 바닥 슬래브 상에 설치되며, 충격감쇄부재가 물이 접촉 함유되지 않도록 보호해주면서 충격 소음을 차단시키는 하부충격방지부재; 하부충격방지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며, 빠른 충격흡수와 배출기능 및 내구성이 강한 충격감쇄부재; 충격감쇄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며,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된 충격방지부재구멍에 내부완충부재가 끼워져 구비된 상부충격방지부재; 상부충격방지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며, 충격방지부재구멍과 같은 선상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된 완충부재구멍에 내부완충부재가 끼워져 구비된 외부완충부재; 및 외부완충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열성이 우수하고 상단에 마감층이 마무리될 수 있도록 해주는 마감부재;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용 층간 차음 및 흡음재에 하부충격방지부재, 충격감쇄부재, 상부충격방지부재, 외부완충부재, 내부완충부재 및 마감부재가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파트 등과 같이 다층 건물의 층간 슬래브의 상부에 설치하여 상층에서 발생된 소음 및 충격 등이 하층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소음 및 충격 등을 차단, 흡수하여 완충시키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충격감쇄부재(고밀도 폴리에스터)가 하부충격방지부재(발포폴리스타이렌(EPS))상에 설치되어 물이 접촉 함유되지 않도록 함으로 단열효과 상승, 반발 탄성 분산 및 곰팡이 억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우레탄 반발 탄성 분산 효과를 극대화시켜 충격 에너지 흡수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하부충격방지부재(발포폴리스타이렌(EPS)), 충격감쇄부재(고밀도 폴리에스터), 상부충격방지부재(중밀도 폴리에스터), 외부완충부재(폴리에틸렌(PE)) 및 마감부재(폴리프로필렌(PP))을 적절히 배치하여 차음 및 흡음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고성능 층간 차음 및 흡음재를 적용해 진동에너지와 소음을 동시에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건축용 층간 차음 및 흡음재의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작비를 크게 절감시킴으로써 시공비를 줄이고, 공사기간을 단축시켜 경제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공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건축용 층간 차음 및 흡음재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의 분
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의 결
합상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의 결
합상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의 사
용상태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내부완충부재의 다른 실시예 요부 구성도.
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의 결
합상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의 결
합상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의 사
용상태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내부완충부재의 다른 실시예 요부 구성도.
본 발명에 적용된 바닥충격음을 차단하도록 한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는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은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100)에 관한 것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바닥 슬래브 상에 설치되며, 충격감쇄부재(120)가 물이 접촉 함유되지 않도록 보호해주면서 충격 소음을 차단시키는 하부충격방지부재(110)가 구비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하부충격방지부재(110)는 내수성·단열성·방음성·완충성을 위해 발포폴리스타이렌(EPS)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부충격방지부재(110)의 상부에 설치되며, 빠른 충격흡수와 배출기능 및 내구성이 강한 충격감쇄부재(1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충격감쇄부재(120)이 네 모서리에는 내부완충부재(150)의 저면이 하부충격방지부재(110)의 상면에 상호 맞닿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절개부(121)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충격감쇄부재(120)의 상부에 설치되며,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된 충격방지부재구멍(131)에 내부완충부재(150)가 끼워져 구비된 상부충격방지부재(13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충격방지부재(130)의 상부에 설치되며, 충격방지부재구멍(131)과 같은 선상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된 완충부재구멍(141)에 내부완충부재(150)가 끼워져 구비된 외부완충부재(140)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외부완충부재(140)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열성이 우수하고 상단에 마감층이 마무리될 수 있도록 해주는 마감부재(160)가 구비된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충격감쇄부재(120)는 내구성을 감안해 고밀도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충격방지부재(130)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중밀도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부충격방지부재(130)에는 충격시 완충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복수개의 공기층구멍(135)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외부완충부재(140)는 내수성·단열성·방음성·완충성을 위해 발포폴리스타이렌(EPS)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내마모성, 내화학성이 우수하도록 폴리에틸렌(PE)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내부완충부재(150)는 내마모성, 내산화성, 내유성이 좋은 우레탄수지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내오존성·내마모성이 좋은 폴리우레탄(PU)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마감부재(160)는 기계적인 성질과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PP)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내부완충부재(150)는 완충부재구멍(141)과 충격방지부재구멍(131)에 끼워졌을 때 구멍의 상하로 돌출되게 구성함과 아울러 양 측면에는 완충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완충홈(155)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상부충격방지부재(130)와 외부완충부재(140)의 외곽 네모서리에 있는 내부완충부재(150)의 상,하부는 마감부재(160)와 하부충격방지부재(110)에 상호 맞닿게 설치되고, 상기 외곽 네모서리에 있는 내부완충부재(150)를 제외한 나머지 또 다른 내부완충부재(150)의 상,하부는 마감부재(160)와 충격감쇄부재(120)에 상호 맞닿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외곽 네모서리에 있는 내부완충부재(150)의 상하면에는 각각 양면접착테이프(170)가 구비되어 마감부재(160)와 하부충격방지부재(110)에 상호 접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건축용 층간 차음 및 흡음재(100)의 측면과 벽면의 사이에는 벽면으로 전달되는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해 발포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측면완충재(180)가 구비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측면완충재(180)의 일측면에는 건축용 층간 차음 및 흡음재(100)의 끝단이 끼워지게 요홈(181)이 구비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측면완충재(180)는 건축용 층간 차음 및 흡음재(100)의 측면에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바닥충격음을 차단하도록 한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아파트 등과 같이 다층 건물의 층간 슬래브의 상부에 설치하여 상층에서 발생된 소음 및 충격 등이 하층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소음 및 충격 등을 차단, 흡수하여 완충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된 도 1 은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100)의 분해 사시도로, 하부충격방지부재(110), 충격감쇄부재(120), 상부충격방지부재(130), 외부완충부재(140), 내부완충부재(150) 및 마감부재(160)가 상호 분린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또한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100)의 결합상태 사시도로, 하부충격방지부재(110), 충격감쇄부재(120), 상부충격방지부재(130), 외부완충부재(140), 내부완충부재(150) 및 마감부재(160)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100)의 결합상태 요부 확대 단면도로, 하부충격방지부재(110), 충격감쇄부재(120), 상부충격방지부재(130), 외부완충부재(140), 내부완충부재(150) 및 마감부재(160)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적용된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100)의 작용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하부충격방지부재(110)의 상부에 충격감쇄부재(120)를 조립 설치한다.
이후 본 발명 상기 충격감쇄부재(120)의 상부에는 상부충격방지부재(130)를 조립 설치한다.
이어서 본 발명 상기 상부충격방지부재(130)의 상부에는 외부완충부재(140)를 조립 설치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정에서 상부충격방지부재(130)의 충격방지부재구멍(131)과 외부완충부재(140)의 완충부재구멍(141)에 내부완충부재(150)를 끼워 조립한다.
이후 본 발명은 상기 내부완충부재(150)의 상부에 마감부재(160)를 조립 설치하여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100)를 완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과정에서 충격감쇄부재(120)이 네 모서리에는 내부완충부재(150)의 저면이 하부충격방지부재(110)의 상면에 상호 맞닿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절개부(12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충격방지부재(130)와 외부완충부재(140)의 외곽 네모서리에 있는 내부완충부재(150)의 상,하부는 마감부재(160)와 하부충격방지부재(110)에 상호 맞닿게 설치되고, 상기 외곽 네모서리에 있는 내부완충부재(150)를 제외한 나머지 또 다른 내부완충부재(150)의 상,하부는 마감부재(160)와 충격감쇄부재(120)에 상호 맞닿게 설치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외곽 네모서리에 있는 내부완충부재(150)의 상하면에는 각각 양면접착테이프(170)가 구비되어 마감부재(160)와 하부충격방지부재(110)에 상호 접착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조립된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100)를 도 4 와 같이 슬래브 상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100)의 사용상태 단면도로, 슬래브 상에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100)를 설치하고, 이후 상기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100)의 상부에 배관과 함께 마감층으로 마무리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바닥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마감부재(160)가 외부완충부재(140)는 물론 내부완충부재(150)에 충격을 가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외부완충부재(140)와 내부완충부재(150)가 압축됨에 있어서 외부완충부재(140)는 폴리에틸렌(PE)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완충부재(150)는 폴리우레탄(PU)으로 이루어져 상기 외부완충부재(140)가 폴리우레탄(PU)으로 이루어진 내부완충부재(150)의 반발 탄성을 분산시키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충격흡수를 분산시키면서 충격 흡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부충격방지부재(130)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중밀도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지고, 충격감쇄부재(120)는 내구성을 감안해 고밀도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상부충격방지부재(130)에는 복수개의 공기층구멍(135)이 형성되어 충격시 완충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고, 충격감쇄부재(120)는 반발탄성 및 완충효과가 적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상호 발란스가 맞아 충격시 층간 차음 및 흡음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은 건축용 층간 차음 및 흡음재(100)의 측면과 벽면의 사이에 발포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측면완충재(180)가 구비되어 벽면으로 전달되는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측면완충재(180)의 일측면에는 요홈(181)이 형성되어 건축용 층간 차음 및 흡음재(100)의 끝단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였다.
한편,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내부완충부재(150)의 다른 실시예 요부 구성도로, 내부완충부재(150)가 완충부재구멍(141)과 충격방지부재구멍(131)에 끼워졌을 때 구멍의 상하로 약간 돌출되게 구성함과 아울러 내부완충부재(150)를 'Z'자 모양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양 측면에 완충홈(155)을 형성하여 충격시 내부완충부재(150)가 완충홈과 함께 눌리면서 완충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아파트 등과 같이 다층 건물의 층간 슬래브의 상부에 설치하여 상층에서 발생된 소음 및 충격 등이 하층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소음 및 충격 등을 차단, 흡수하여 완충시키도록 한 것이고, 충격감쇄부재(고밀도 폴리에스터)가 하부충격방지부재(발포폴리스타이렌(EPS))상에 설치되어 물이 접촉 함유되지 않도록 함으로 단열효과 상승, 반발 탄성 분산 및 곰팡이 억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우레탄 반발 탄성 분산 효과를 극대화시켜 충격 에너지 흡수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하부충격방지부재(발포폴리스타이렌(EPS)), 충격감쇄부재(고밀도 폴리에스터), 상부충격방지부재(중밀도 폴리에스터), 외부완충부재(폴리에틸렌(PE)) 및 마감부재(폴리프로필렌(PP))을 적절히 배치하여 차음 및 흡음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고성능 층간 차음 및 흡음재를 적용해 진동에너지와 소음을 동시에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건축용 층간 차음 및 흡음재
110: 하부충격방지부재
120: 충격감쇄부재
130: 상부충격방지부재
140: 외부완충부재
150: 내부완충부재
160: 마감부재
100: 건축용 층간 차음 및 흡음재
110: 하부충격방지부재
120: 충격감쇄부재
130: 상부충격방지부재
140: 외부완충부재
150: 내부완충부재
160: 마감부재
Claims (5)
-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100)에 관한 것으로,
철근콘크리트 바닥 슬래브 상에 설치되며, 충격감쇄부재(120)가 물이 접촉 함유되지 않도록 보호해주면서 충격 소음을 차단시키는 하부충격방지부재(110); 하부충격방지부재(110)의 상부에 설치되며, 빠른 충격흡수와 배출기능 및 내구성이 강한 충격감쇄부재(120); 충격감쇄부재(120)의 상부에 설치되며,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된 충격방지부재구멍(131)에 내부완충부재(150)가 끼워져 구비된 상부충격방지부재(130); 상부충격방지부재(130)의 상부에 설치되며, 충격방지부재구멍(131)과 같은 선상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된 완충부재구멍(141)에 내부완충부재(150)가 끼워져 구비된 외부완충부재(140); 및 외부완충부재(140)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열성이 우수하고 상단에 마감층이 마무리될 수 있도록 해주는 마감부재(160);가 포함되되,
상기 상부충격방지부재(130)에는 충격시 완충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복수개의 공기층구멍(135)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완충부재(150)는 완충부재구멍(141)과 충격방지부재구멍(131)에 끼워졌을 때 구멍의 상하로 돌출되게 구성함과 아울러 양 측면에는 완충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완충홈(155)이 형성되고,
상기 건축용 층간 차음 및 흡음재(100)의 측면과 벽면의 사이에는 벽면으로 전달되는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해 발포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측면완충재(180)가 포함되되, 상기 측면완충재(180)의 일측면에는 건축용 층간 차음 및 흡음재(100)의 끝단이 끼워지게 요홈(181)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
-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충격감쇄부재(120)이 네 모서리에는,
내부완충부재(150)의 저면이 하부충격방지부재(110)의 상면에 상호 맞닿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절개부(121)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
-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상부충격방지부재(130)와 외부완충부재(140)의 외곽 네모서리에 있는 내부완충부재(150)의 상,하부는 마감부재(160)와 하부충격방지부재(110)에 상호 맞닿게 설치되고,
상기 외곽 네모서리에 있는 내부완충부재(150)를 제외한 나머지 또 다른 내부완충부재(150)의 상,하부는 마감부재(160)와 충격감쇄부재(120)에 상호 맞닿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
-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외곽 네모서리에 있는 내부완충부재(150)의 상하면에는 각각 양면접착테이프(170)가 구비되어 마감부재(160)와 하부충격방지부재(110)에 상호 접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4346A KR102500306B1 (ko) | 2022-09-08 | 2022-09-08 |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4346A KR102500306B1 (ko) | 2022-09-08 | 2022-09-08 |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00306B1 true KR102500306B1 (ko) | 2023-02-16 |
Family
ID=85325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14346A KR102500306B1 (ko) | 2022-09-08 | 2022-09-08 |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00306B1 (ko) |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3839B1 (ko) * | 2005-12-01 | 2007-02-15 | 엠에스건설(주) | 공동주택 온돌바닥의 중량충격음 소음방지재 |
KR100894597B1 (ko) | 2007-04-09 | 2009-04-24 | 백해숙 | 층간소음방지용 스티로폼 판넬 및 그 차음 및 흡음구조 |
KR20100052697A (ko) * | 2008-11-11 | 2010-05-20 | 김석규 | 건축물의 층간소음 방지재 및 설치방법 |
KR20100087873A (ko) | 2009-01-29 | 2010-08-06 | (주)현광 | 소음저감용 완충부재 및 이를 이용한 소음저감용 구조물 |
KR20100104401A (ko) * | 2009-03-17 | 2010-09-29 |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 소음방지부재 |
KR101526541B1 (ko) | 2013-10-25 | 2015-06-10 | 송종근 | 건축용 층간 차음재 |
KR20150111176A (ko) | 2014-03-25 | 2015-10-05 | 김석규 | 건축용 층간 차음재 |
KR20160002430U (ko) * | 2015-01-02 | 2016-07-12 | 주식회사 우진이엔지 | 층간 소음 방지재 |
KR20170087146A (ko) | 2016-01-20 | 2017-07-28 | 김석규 | 건축용 층간 차음재 |
KR20190079758A (ko) | 2017-12-28 | 2019-07-08 | 오형희 | 건축용 층간 차음재 방법 |
KR20200137203A (ko) * | 2019-05-29 | 2020-12-09 |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재 |
-
2022
- 2022-09-08 KR KR1020220114346A patent/KR10250030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3839B1 (ko) * | 2005-12-01 | 2007-02-15 | 엠에스건설(주) | 공동주택 온돌바닥의 중량충격음 소음방지재 |
KR100894597B1 (ko) | 2007-04-09 | 2009-04-24 | 백해숙 | 층간소음방지용 스티로폼 판넬 및 그 차음 및 흡음구조 |
KR20100052697A (ko) * | 2008-11-11 | 2010-05-20 | 김석규 | 건축물의 층간소음 방지재 및 설치방법 |
KR20100087873A (ko) | 2009-01-29 | 2010-08-06 | (주)현광 | 소음저감용 완충부재 및 이를 이용한 소음저감용 구조물 |
KR20100104401A (ko) * | 2009-03-17 | 2010-09-29 |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 소음방지부재 |
KR101526541B1 (ko) | 2013-10-25 | 2015-06-10 | 송종근 | 건축용 층간 차음재 |
KR20150111176A (ko) | 2014-03-25 | 2015-10-05 | 김석규 | 건축용 층간 차음재 |
KR20160002430U (ko) * | 2015-01-02 | 2016-07-12 | 주식회사 우진이엔지 | 층간 소음 방지재 |
KR20170087146A (ko) | 2016-01-20 | 2017-07-28 | 김석규 | 건축용 층간 차음재 |
KR20190079758A (ko) | 2017-12-28 | 2019-07-08 | 오형희 | 건축용 층간 차음재 방법 |
KR20200137203A (ko) * | 2019-05-29 | 2020-12-09 |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388066Y1 (ko) | 충격 및 소음 흡수용 복합 구조물 | |
KR100563097B1 (ko) |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 |
KR20170087146A (ko) | 건축용 층간 차음재 | |
KR101477783B1 (ko) | 복합자재를 이용한 뜬바닥구조용 층간차음재 | |
KR20080073905A (ko) |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 | |
KR102295294B1 (ko) | 복층건물의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시공구조 | |
KR20060021933A (ko) |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플로팅 플로어 시스템 | |
KR100762925B1 (ko) |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재 | |
KR200311493Y1 (ko) | 방진 및 방음 패널 | |
KR102331143B1 (ko) |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방지재 | |
KR100995303B1 (ko) | 방진매트를 이용한 공동주택 층간 바닥충격음 완충재 | |
KR100429103B1 (ko) | 바닥충격음 저감용 뜬바닥층 구조 및 건축용 바닥재 | |
KR102500306B1 (ko) |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 | |
KR100803350B1 (ko) | 층간 소음방지용 패널 | |
KR100721850B1 (ko) | 에어홀을 갖는 층간 차음시트 | |
KR200421085Y1 (ko) |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재 | |
KR20180025420A (ko) | 차음 및 흡음 성능이 향상된 복합몰탈을 이용한 철근콘트리트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공법 | |
KR20180021308A (ko) | 철근콘크리트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구조물 | |
KR100730700B1 (ko) | 다층건물의 바닥충격소음 감쇄구조 | |
KR200410609Y1 (ko) |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 |
KR100718700B1 (ko) |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 |
KR200423540Y1 (ko) |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 |
KR200378945Y1 (ko) | 건축물의 층간소음저감재 | |
KR200386447Y1 (ko) | 소음 및 진동 방지용 바닥 방진판 | |
KR102571170B1 (ko) | 기능이 향상된 건축물 층간소음 저감용 차음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