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821B1 - 바닥용 방진조립체 - Google Patents
바닥용 방진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7821B1 KR102577821B1 KR1020220003965A KR20220003965A KR102577821B1 KR 102577821 B1 KR102577821 B1 KR 102577821B1 KR 1020220003965 A KR1020220003965 A KR 1020220003965A KR 20220003965 A KR20220003965 A KR 20220003965A KR 102577821 B1 KR102577821 B1 KR 1025778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
- panel
- side wall
- space
- elastic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5—Underlayers in the form of studded or ribbed pl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바닥용 방진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용 방진조립체는 패널, 제1 캡, 제1 탄성지지체를 포함한다. 제1 탄성지지체는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소음저감홀을 구비한다. 제1 캡과 패널 사이에는 제1 소음저감공간이 구비된다. 패널은 중간판, 하부판 및 상부판을 포함한다. 하부판의 내부에는 제1 수평통로가 구비되고 상부판의 내부에는 제2 수평통로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용 방진조립체에 의하면, 충격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의 분산 및 소멸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소음 및 진동 저감 효과가 우수한 바닥용 방진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바닥용 방진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을 방지 또는 저감하기 위하여 바닥에 매설되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바닥용 방진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등의 공동주택 건축물에서는 바닥 및 천장에 콘크리트 슬래브(Concrete slab, 건축에서 구조물의 바닥이나 천장을 구성하고 있는 판 형상의 구조 부재)가 시공되는데, 위층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이 층간 슬래브를 통하여 바로 아래층으로 쉽게 전달됨으로써 '층간소음문제'가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공동주택에서 발생되는 층간소음문제가 심화됨에 따라, 최근 이러한 공동주택에서의 생활소음의 최저기준을 담은 '공동주택 층간소음 기준에 관한 규칙'이 마련되었다.
그리고 층간소음을 해소하기 위한 발명들이 소개되고 있고, 본 발명의 출원인 또한 이러한 층간소음을 해소하기 위하여 여러 발명들을 특허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으며, 다만, 여전히 꾸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비교적 경량이면서도 구조적으로 안정적이고, 패널의 상측에서 가해진 외력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을 수평면을 따라 여러방향으로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바닥용 방진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패널의 상측에서 가해진 외력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이 아래쪽 방향으로 전달됨에 있어서 수평방향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로 다른 양상으로 감쇠 및 소멸될 수 있는 바닥용 방진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패널의 상측에서 가해진 외력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이 아래쪽 방향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바닥용 방진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제1 탄성지지체 및 제2 탄성지지체의 상측에서 가해진 외력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을 분산 및 소멸시킬 수 있는 공간이 적어도 1차 및 2차에 걸쳐 구비되는 방진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제1 탄성지지체 및 제2 탄성지지체의 양쪽 위에서 가해진 외력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을 분산 및 소멸시킬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는 방진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용 방진조립체는, 슬래브와 바닥표면층 사이에 개재되어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을 방지 또는 저감하도록 이루어지는 방진조립체로서, 패널, 제1 캡 및 제1 탄성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패널은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캡은 아래로 개구된 제1 수용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캡은 상기 패널 내부로 끼워져 상기 패널에 결합된다. 상기 제1 캡은 복수 개로 구비된다.
상기 제1 탄성지지체는 탄성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탄성지지체는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제1 소음저감홀을 구비한다. 상기 제1 탄성지지체는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캡에 지지되고 일부가 상기 패널의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패널은 하부판, 중간판 및 상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판은 상기 중간판의 하측에 적층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판에는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수평통로가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하부판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판은 상기 중간판의 상측에 적층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판은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수평통로가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상부판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닥용 방진조립체는, 제2 캡 및 제2 탄성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캡은 아래로 개구된 제2 수용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제2 캡은 상기 패널 내부로 끼워져 상기 패널에 결합된다. 상기 제2 캡은 복수 개로 구비된다.
상기 제1 캡과 상기 제2 캡은 수평방향을 따라 서로 반복되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지지체는 탄성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탄성지지체는 상기 제1 탄성지지체보다 연질 또는 경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지지체는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제2 소음저감홀을 구비한다. 상기 제2 탄성지지체는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캡에 지지되고 일부가 상기 패널의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하부판에는, 상기 제1 캡이 끼워지는 입구를 이루는 제1 캡고정입구 및 상기 제2 캡이 끼워지는 입구를 이루는 제2 캡고정입구가 상하로 관통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판에는 수평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 개의 중간홀이 구비되고, 상기 중간판은 상기 하부판의 상측에 적층결합될 수 있다.
일부의 상기 중간홀은 상기 제1 캡이 수용되는 제1 중간홀을 이루고, 다른 일부의 상기 중간홀은 상기 제2 캡이 수용되는 제2 중간홀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중간판은 발포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패널은 제1 캡고정공간, 제2 캡고정공간, 제1 소음저감공간 및 제2 소음저감공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캡고정공간은, 상기 제1 캡이 삽입되도록 상기 패널에서 하측으로 개구되는 구멍 또는 홈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패널에서 상기 제1 캡고정공간은 복수 개로 구비된다.
상기 제2 캡고정공간은, 상기 제2 캡이 삽입되도록 상기 패널에서 하측으로 개구되는 구멍 또는 홈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패널에서 상기 제2 캡고정공간은 복수 개로 구비된다.
상기 제1 캡고정공간과 상기 제2 캡고정공간은 수평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고 서로 반복하여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 소음저감공간은 상기 패널의 내부에 구비되는 공간이다. 상기 제1 소음저감공간은 상기 패널에서 상기 제1 캡고정공간의 위쪽 공간일 수 있다. 상기 패널과 상기 제1 캡이 서로 이격되면서 상기 제1 소음저감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소음저감공간은 상기 패널의 내부에 구비되는 공간이다. 상기 제2 소음저감공간은 상기 패널에서 상기 제2 캡고정공간의 위쪽 공간일 수 있다. 상기 패널과 상기 제2 캡이 서로 이격되면서 상기 제2 소음저감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캡은 제1 수용부 및 제1 날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제1 수용공간을 이루며 상기 제1 캡고정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날개부는 상기 제1 수용부의 하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패널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캡은 제2 수용부 및 제2 날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제2 수용공간을 이루며 상기 제2 캡고정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날개부는 상기 제2 수용부의 하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패널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소음저감공간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제1 수용부의 중간에서 가장 짧고 상기 제1 수용부의 양쪽으로 갈수록 길어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소음저감공간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제2 수용부의 중간에서 가장 짧고 상기 제2 수용부의 양쪽으로 갈수록 길어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부는 제1 측벽, 제2 측벽 및 제1 상부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은, 상기 제1 소음저감홀의 관통 방향과 직교하는 면을 이루고, 테두리가 각각 상측으로 볼록한 반원판 형태로 이루어져 서로 나란하게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벽은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의 곡선의 테두리를 서로 연결한다. 상기 제1 상부벽은 반관 모양으로 굽은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상부벽의 외측면은 둥글게 굽은 면을 이룬다.
상기 제1 상부벽의 내측면에는 제1 지지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면은 상기 제1 탄성지지체와 접촉하는 면이고, 수평방향을 따라 평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면을 제외한 상기 제1 상부벽의 내측면을 곡면일 수 있다.
상기 제1 날개부는 상기 제1 측벽, 상기 제2 측벽 및 상기 제1 상부벽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패널의 저면에 밀착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용부는 제3 측벽, 제4 측벽 및 제2 상부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 측벽과 상기 제4 측벽은, 상기 제2 소음저감홀의 관통 방향과 직교하는 면을 이루고, 테두리가 각각 상측으로 볼록한 반원판 형태로 이루어져 서로 나란하게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부벽은 상기 제3 측벽과 상기 제4 측벽의 곡선의 테두리를 서로 연결한다. 상기 제2 상부벽은 반관 모양으로 굽은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상부벽의 외측면은 둥글게 굽은 면을 이룬다.
상기 제2 상부벽의 내측면에는 제2 지지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면은 상기 제2 탄성지지체와 접촉하는 면이고, 수평방향을 따라 평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면을 제외한 상기 제2 상부벽의 내측면을 곡면일 수 있다.
상기 제2 날개부는 상기 제3 측벽, 상기 제4 측벽 및 상기 제2 상부벽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패널의 저면에 밀착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지지체 및 상기 제2 탄성지지체는 각각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지지체의 외경은 상기 제1 수용부의 내경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지지체의 외경은 상기 제2 수용부의 내경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소음저감홀은 상기 제1 탄성지지체의 상측으로 치우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지지체의 반경방향 두께는 상측부분이 하측부분보다 얇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소음저감홀은 상기 제2 탄성지지체의 상측으로 치우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지지체의 반경방향 두께는 상측부분이 하측부분보다 얇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지지체의 대향되는 양측면이 상기 제1 캡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지지체의 외주면의 일부는, 상기 제1 캡과 상기 제1 탄성지지체의 사이에서 아래쪽으로 연통되는 제1 연통채널이 구비되도록, 상기 제1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기 제1 캡과 이격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지지체의 대향되는 양측면이 상기 제2 캡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지지체의 외주면의 일부는, 상기 제2 캡과 상기 제2 탄성지지체의 사이에서 아래쪽으로 연통되는 제2 연통채널이 구비되도록, 상기 제2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기 제2 캡과 이격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캡은 제1 측벽, 제2 측벽, 제1 상부벽 및 제1 날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은, 각각의 테두리가 상측으로 볼록한 반원판 형태로 이루어져 서로 나란하게 이격되며, 상기 제1 캡고정공간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벽은,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의 곡선의 테두리를 서로 연결하고 곡면을 이루며, 상기 제1 캡고정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소음저감공간을 이루도록 상기 패널과 이격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날개부는, 상기 제1 측벽, 상기 제2 측벽 및 상기 제1 상부벽의 하단에서 절곡되게 연장되고, 상기 패널의 저면에 밀착되어 고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캡은 제3 측벽, 제4 측벽, 제2 상부벽 및 제2 날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 측벽 및 제4 측벽은, 각각의 테두리가 상측으로 볼록한 반원판 형태로 이루어져 서로 나란하게 이격되며, 상기 제2 캡고정공간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상부벽은, 상기 제3 측벽과 상기 제4 측벽의 곡선의 테두리를 서로 연결하고 곡면을 이루며, 상기 제2 캡고정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제2 소음저감공간을 이루도록 상기 패널과 이격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날개부는, 상기 제3 측벽, 상기 제4 측벽 및 상기 제2 상부벽의 하단에서 절곡되게 연장되고, 상기 패널의 저면에 밀착되어 고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지지체는, 외주면이 원형이되 외경이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의 직경보다 작고, 양쪽 측면이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의 내측에 각각 밀착되며, 상기 제1 소음저감홀을 이루는 내주면이 원형이되 상측으로 편심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지지체는, 외주면이 원형이되 외경이 상기 제3 측벽 및 상기 제4 측벽의 직경보다 작고, 양쪽 측면이 상기 제3 측벽 및 상기 제4 측벽의 내측에 각각 밀착되며, 상기 제2 소음저감홀을 이루는 내주면이 원형이되 상측으로 편심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판은 제1 하부층, 제1 상부층 및 제1 격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층은 상기 제1 하부층에서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격벽은, 상기 제1 하부층과 상기 제1 상부층을 연결하고 복수 개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격벽에 의해 상기 제1 수평통로가 구획되고, 상기 제1 수평통로가 복수 개로 구비되게 된다.
상기 상부판은 제2 하부층, 제2 상부층 및 제2 격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상부층은 상기 제2 하부층에서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 격벽은, 상기 제2 하부층과 상기 제2 상부층을 연결하고 복수 개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 격벽에 의해 상기 제2 수평통로가 구획되고, 상기 제2 수평통로가 복수 개로 구비되게 된다.
상기 제1 캡과 상기 제2 캡은, 수평방향과 평행한 제1 방향, 및 수평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반복하여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 캡과 상기 제2 캡은 서로 동일한 모양으로 이루어지되 배열방향이 서로 직교하거나 교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지지체와 상기 제2 탄성지지체는 서로 동일한 모양으로 이루어지되 배열방향이 서로 직교하거나 교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용 방진조립체는 패널, 제1 캡 및 제1 탄성지지체를 포함한다. 제1 탄성지지체는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소음저감홀을 구비한다. 패널은 중간판, 하부판 및 상부판을 포함한다. 하부판의 내부에는 제1 수평통로가 구비되고 상부판의 내부에는 제2 수평통로가 구비된다. 중간판은 발포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하부판에는 제1 수평통로가 구비되고, 상부판에는 제2 수평통로가 구비됨으로써 패널을 포함하는 바닥용 방진조립체는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비교적 경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바닥용 방진조립체에 가해진 진동 및 소음은, 패널의 상측을 이루는 상부판의 제2 수평통로에 의하여 패널의 전체 면적에 걸쳐 분산될 수 있고, 패널의 하측을 이루는 하부판의 제1 수평통로에 의하여 패널의 전체 면적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지지체의 탄성변형 및 제1 소음저감홀에 의하여 진동 및 소음의 저감 및 소멸이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용 방진조립체는 제2 캡 및 제2 탄성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 탄성지지체는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소음저감홀을 구비한다. 제2 탄성지지체는 제1 탄성지지체보다 연질 또는 경질로 이루어진다. 제1 탄성지지체와 제2 탄성지지체는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고, 동일한 외력에 대하여 서로 다른 형태로 탄성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용 방진조립체에 의하면, 충격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이 제1 탄성지지체와 제2 탄성지지체로 전달될 때 제1 탄성지지체와 제2 탄성지지체에서 서로 다른 양상으로 감쇠 및 소멸될 수 있고, 제1 탄성지지체와 제2 탄성지지체 중 어느 하나가 상대적으로 강한 충격을 흡수하면서 진동이 감쇠되고 다른 하나가 상대적으로 약한 충격을 흡수하면서 진동이 감쇠될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지지체를 거치면서 감쇠된 진동의 패턴과 제2 탄성지지체를 거치면서 감쇠된 진동의 패턴은 서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고, 진동 및 소음의 분산 및 소멸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소음 및 진동 저감 효과가 우수한 바닥용 방진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용 방진조립체는 제1 소음저감공간 및 제2 소음저감공간을 구비한다. 제1 소음저감공간은, 제1 캡고정공간의 위쪽 부분을 이루는 패널의 내부 공간으로서, 패널과 제1 캡이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제2 소음저감공간은, 제2 캡고정공간의 위쪽 부분을 이루는 패널의 내부 공간으로서, 패널과 제2 캡이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제1 탄성지지체는 제1 소음저감홀을 구비하고, 제2 탄성지지체는 제2 소음저감홀을 구비한다. 제1 탄성지지체의 바로 위쪽에서 가해진 외력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이 아래쪽으로 진행됨에 있어서 제1 소음저감공간을 거치게 되고 제1 소음저감공간에서 저감 또는 소멸되며, 이후 제1 탄성지지체 및 제1 소음저감홀을 거치며 추가적으로 저감 또는 소멸된다. 또한 제2 탄성지지체의 바로 위쪽에서 가해진 외력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이 아래쪽으로 진행됨에 있어서 제2 소음저감공간을 거치게 되고 제2 소음저감공간에서 저감 또는 소멸되며, 이후 제2 탄성지지체 및 제2 소음저감홀을 거치며 추가적으로 저감 또는 소멸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용 방진조립체에서 패널은 설치면에서 이격되며, 제1 탄성지지체의 양옆의 위쪽에서 가해진 외력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이 아래쪽으로 진행됨에 있어서 설치면쪽으로 바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제1 소음저감공간, 제1 캡, 제1 탄성지지체 및 제1 소음저감홀을 거쳐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진동 및 소음은 저감 또는 소멸된다. 또한, 제2 탄성지지체의 양옆의 위쪽에서 가해진 외력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이 아래쪽으로 진행됨에 있어서 설치면쪽으로 바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제2 소음저감공간, 제2 캡, 제2 탄성지지체 및 제2 소음저감홀을 거쳐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진동 및 소음은 저감 또는 소멸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용 방진조립체에 의하며, 패널의 상측에서 가해진 외력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이 설치면쪽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용 방진조립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소음저감공간, 제1 소음저감홀, 제2 소음저감공간 및 제2 소음저감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용 방진조립체에서, 제1 탄성지지체의 외주면은 제1 수용공간 내부에서 제1 캡과 이격될 수 있고, 제2 탄성지지체의 외주면은 제2 수용공간 내부에서 제2 캡과 이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캡과 제1 탄성지지체의 사이에서 아래쪽으로 연통되는 제1 연통채널이 구비되고, 제2 캡과 제2 탄성지지체의 사이에서 아래쪽으로 연통되는 제2 연통채널이 구비된다. 제1 탄성지지체의 상측에서 가해진 외력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은 제1 소음저감공간에서 1차적으로 분산 및 소멸될 수 있고, 또한 제1 소음저감홀을 거쳐 2차적으로 분산 및 소멸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탄성지지체의 상측에서 가해진 외력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은 제2 소음저감공간에서 1차적으로 분산 및 소멸될 수 있고, 또한 제2 소음저감홀을 거쳐 2차적으로 분산 및 소멸될 수 있다. 또한 일부의 진동 및 소음은 제1 연통채널 및 제2 연통채널을 거치면서 분산 및 소멸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용 방진조립체에 의하면, 방진조립체의 상측에서 발생한 진동 및 소음이 순차적인 공간을 거치면서 분산 및 소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용 방진조립체에서, 패널은 하부판, 중간판 및 상부판으로 구분되고, 중간판은 발포성 소재 및/또는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지면서 패널의 전체면적에 걸쳐 진동 및 소음의 흡수/저감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중간판에는 중간홀이 반복하여 형성되며, 패널의 수평면을 따라 전달되는 진동이 각각의 중간홀을 거치면서 차단되고 소멸되며, 진동이 중간홀을 거칠 때 중간홀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분산될 수 있으며, 진동의 분산 및 감쇠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부판은 제1 하부층, 제1 상부층 및 제1 격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부판은 제2 하부층, 제2 상부층 및 제2 격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하부판쪽으로 전달된 진동 및 소음은 설치면쪽으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상부판 및 하부판의 면의 방향을 따라 전달되므로, 매우 넓은 면적에 걸쳐 진동 및 소음의 분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용 방진조립체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용 방진조립체에서 일부 구성이 상하로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바닥용 방진조립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A-A'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4b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용 방진조립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바닥용 방진조립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B-B'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c는 도 5b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용 방진조립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1에 도시된 제1 탄성지지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제1 탄성지지체의 배면도이다.
도 7a는 도 1에 도시된 제2 탄성지지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제2 탄성지지체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조립체에서 패널의 상부판이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용 방진조립체가 설치된 서로 다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용 방진조립체에서 일부 구성이 상하로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바닥용 방진조립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A-A'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4b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용 방진조립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바닥용 방진조립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B-B'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c는 도 5b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용 방진조립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1에 도시된 제1 탄성지지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제1 탄성지지체의 배면도이다.
도 7a는 도 1에 도시된 제2 탄성지지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제2 탄성지지체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조립체에서 패널의 상부판이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용 방진조립체가 설치된 서로 다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용 방진조립체(1)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용 방진조립체(1)에서 일부 구성이 상하로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바닥용 방진조립체(1)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A-A'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4b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용 방진조립체(1)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바닥용 방진조립체(1)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B-B'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c는 도 5b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용 방진조립체(1)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1에 도시된 제1 탄성지지체(2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제1 탄성지지체(200)의 배면도이다.
도 7a는 도 1에 도시된 제2 탄성지지체(5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제2 탄성지지체(500)의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용 방진조립체(1)(이하, '방진조립체(1)')는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을 방지 또는 저감하기 위하여, 공동주택의 바닥을 이루는 구조물 내에 매설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진조립체(1)는 콘크리트 슬래브(2)와 바닥표면층(7)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방진조립체(1)는 제1 캡(100), 제1 탄성지지체(200), 제2 캡(400), 제2 탄성지지체(500) 및 패널(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제1 방향(X), 제2 방향(Y) 및 제3 방향(Z)은 각각 서로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은 각각 수평방향과 평행한 방향이고, 제3 방향(Z)은 연직방향과 평행한 방향이다. 제1 방향(X)은 전후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Y)은 좌우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으며, 제3 방향(Z)은 상하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방진조립체(1)에서, 하나의 패널(300)과 결합되는 제1 캡(100) 및 제1 탄성지지체(200)는 각각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방진조립체(1)에서, 하나의 패널(300)과 결합되는 제2 캡(400) 및 제2 탄성지지체(500)는 각각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패널(300)과 결합되는 제1 캡(100), 제1 탄성지지체(200), 제2 캡(400) 및 제2 탄성지지체(500) 각각의 개수는 시공조건 등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방진조립체(1)는 복수 개로 구비되면서 바닥의 시공에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방진조립체(1)의 평면도상 크기는 바닥의 시공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방진조립체(1)의 평면도상 크기는, 1m*1m, 1m*2m, 2m*2m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패널(300)에서, 제1 캡(100), 제1 탄성지지체(200), 제2 캡(400) 및 제2 탄성지지체(500) 각각은 복수 개로 구비되면서 수평방향을 따라 반복하여 배열된다.
패널(300)에서 제1 캡(100) 및 제1 탄성지지체(200)는 각각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패널(300)이 이루는 단위면적(1회배=1m2) 당 36개(=6*6)의 제1 캡(100) 및 36개(=6*6)의 제1 탄성지지체(200)가 결합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패널(300)이 이루는 단위면적(1회배=1m2) 당 25개(=5*5)의 제1 캡(100) 및 25개(=5*5)의 제1 탄성지지체(200)가 결합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서, 패널(300)이 이루는 단위면적(1회배=1m2) 당 16개(=4*4)의 제1 캡(100) 및 16개(=4*4)의 제1 탄성지지체(200)가 결합될 수 있다.
패널(300)에서 제2 캡(400) 및 제2 탄성지지체(500)는 각각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패널(300)이 이루는 단위면적(1회배=1m2) 당 36개(=6*6)의 제2 캡(400) 및 36개(=6*6)의 제2 탄성지지체(500)가 결합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패널(300)이 이루는 단위면적(1회배=1m2) 당 25개(=5*5)의 제2 캡(400) 및 25개(=5*5)의 제2 탄성지지체(500)가 결합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서, 패널(300)이 이루는 단위면적(1회배=1m2) 당 16개(=4*4)의 제2 캡(400) 및 16개(=4*4)의 제2 탄성지지체(500)가 결합될 수 있다.
패널(300)에서, 제1 캡(100)과 제2 캡(400)은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고, 또한 제1 탄성지지체(200)와 제2 탄성지지체(500)가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캡(100)과 제2 캡(400)이 수평방향을 따라 서로 반복하여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고, 또한 제1 탄성지지체(200)와 제2 탄성지지체(500)가 수평방향을 따라 서로 반복하여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패널(300)이 이루는 단위면적(1회배=1m2) 당 제1 캡(100)과 제2 캡(400)을 합친 전체 개수는, 일 실시예에서 36개(=6*6)일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 25개(=5*5)일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16개(=4*4)일 수 있으며, 시공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패널(300)이 이루는 단위면적(1회배=1m2) 당 제1 탄성지지체(200)와 제2 탄성지지체(500)를 합친 전체 개수는, 일 실시예에서 36개(=6*6)일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 25개(=5*5)일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16개(=4*4)일 수 있으며, 시공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진조립체(1)는 위층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하거나 차단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고, 제1 탄성지지체(200) 및 제2 탄성지지체(500)가 방진조립체(1)의 가장 아래쪽 부분을 이룬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설치면(B)은, 방진조립체(1)의 시공시 방진조립체(1)가 놓이는 면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진조립체(1)가 콘크리트 슬래브(2) 상측에 안착되어 시공될 때, 설치면(B)은 콘크리트 슬래브(2)의 상부면에 해당될 수 있고, 방진조립체(1)의 제1 탄성지지체(200) 및 제2 탄성지지체(500)의 하단이 설치면(B)에 닿을 수 있다.
패널(300)은 전체적으로 수평방향을 따라 평평한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패널(300)은 설치면(B)과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패널(300)의 하부면에는 제1 캡고정공간(340) 및 제2 캡고정공간(350)이 구비된다.
제1 캡고정공간(340)은 제1 캡(100)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오목한 홈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1 캡고정공간(340)은 패널(300)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하측으로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 캡고정공간(350)은 제2 캡(400)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오목한 홈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2 캡고정공간(350)은 패널(300)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하측으로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캡고정공간(340)은 수평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반복형성될 수 있다. 제1 캡고정공간(340)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을 따라 반복형성될 수 있다.
제1 캡고정공간(340), 제1 캡(100) 및 제1 탄성지지체(200) 각각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을 따라 배열모양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또는 반복하여 변경될 수 있다.
제1 캡고정공간(340)은, 제1 탄성지지체(200) 및 제1 캡(100)이 패널(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탄성지지체(200) 및 제1 캡(100)의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 이격이 없도록(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이격이 없도록), 제1 캡(100)의 크기에 맞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캡고정공간(340)의 크기 및 모양은 제1 캡(100)의 크기 및 모양(제1 캡(100)의 평단면의 크기 및 모양)과 상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캡고정공간(340)에 제1 캡(100)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1 캡(100)의 제1 날개부(150)의 상부면이 패널(300)의 하부면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캡고정공간(350)은 수평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반복형성될 수 있다. 제2 캡고정공간(350)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을 따라 반복형성될 수 있다.
제2 캡고정공간(350), 제2 캡(400) 및 제2 탄성지지체(500) 각각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을 따라 배열모양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또는 반복하여 변경될 수 있다.
제2 캡고정공간(350)은, 제2 탄성지지체(500) 및 제2 캡(400)이 패널(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 탄성지지체(500) 및 제2 캡(400)의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 이격이 없도록(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이격이 없도록), 제2 캡(400)의 크기에 맞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캡고정공간(350)의 크기 및 모양은 제2 캡(400)의 크기 및 모양(제2 캡(400)의 평단면의 크기 및 모양)과 상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캡고정공간(350)에 제2 캡(400)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2 캡(400)의 제2 날개부(450)의 상부면이 패널(300)의 하부면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패널(300)은 소정의 상하방향 두께(h1)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패널(300)의 상하방향(제3 방향(Z)) 두께(h1)는, 제1 캡(100)의 상하방향(제3 방향(Z)) 길이(높이) 및 제2 캡(400)의 상하방향(제3 방향(Z)) 길이(높이)보다 길게(두껍게) 이루어진다.
제1 캡(100)은 복수 개로 구비된다. 각각의 제1 캡(100)은 각각의 제1 캡고정공간(340)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지고, 패널(300)에 결합된다.
제1 캡(100)의 대부분이 제1 캡고정공간(340)에 삽입되어 패널(3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캡(100)은 아래쪽으로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1 캡(100)의 내부에는 제1 수용공간(114)이 구비되며, 제1 탄성지지체(200)는 그 일부가 제1 캡(100)의 제1 수용공간(114)에 삽입된다.
제1 수용공간(114)에는, 제1 탄성지지체(200)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가 제1 캡(100)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아래쪽으로 연통되는 제1 연통채널(115)이 구비된다. 제1 연통채널(115)은 제1 캡(100)과 제1 탄성지지체(200) 사이의 공간이고, 이러한 제1 연통채널(115)이 방진조립체(1)의 아래쪽 공간(C)과 연통된다.
제1 캡(100)은, 제1 탄성지지체(200) 및 패널(300)에 비하여 충분히 단단한(변형률이 작음)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캡(100)은 PVC,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또는 아크릴 등으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캡(100)은 사출성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캡(100)은 그 내부에 수용된 제1 탄성지지체(200)를 지지하고, 패널(300)에 결합되어 패널(300)과 제1 탄성지지체(200)의 안정된 결합을 유지시킨다.
제1 캡(100)이 제1 캡고정공간(340)에 삽입된 후, 제1 캡(100)은 접착방식에 의하여 패널(30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용 방진조립체(1)는 제1 소음저감공간(34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소음저감공간(345)은 제1 캡고정공간(340)의 일부일 수 있다. 제1 소음저감공간(345)은, 제1 캡고정공간(340) 중에서 위쪽 부분을 이루는 공간으로서, 패널(300)과 제1 캡(100)이 서로 이격됨으로써 구비된다.
즉, 제1 캡(100)이 제1 캡고정공간(340)에 삽입되어 패널(300)에 고정됨에 있어서, 제1 캡(100)의 상부면이 제1 캡고정공간(340)의 내측면에 모두 밀착되는 것이 아니고, 제1 캡(100)의 상부면은 패널(300)에서 이격되며, 이에 따라 제1 소음저감공간(345)이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캡(100)과 패널(300)이 결합될 상태에서, 제1 소음저감공간(345)의 최소높이는 약 10mm 내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캡(100)이 제1 캡고정공간(340)에 삽입되고 패널(300)에 고정되어 제1 소음저감공간(345)이 구비될 때, 제1 소음저감공간(345)은 외부와 차단되고 밀폐될 수 있다. 즉, 제1 소음저감공간(345)은 밀폐된 공간일 수 있다.
제1 캡(100)은 좌우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전후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캡(100)은, 제1 수용부(110) 및 제1 날개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수용부(110)는, 제1 수용공간(114)을 이루며 제1 캡고정공간(340)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제1 날개부(150)는, 제1 수용부(110)의 하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고 패널(300)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제1 캡(100)이 패널(300)에 결합될 때, 제1 날개부(150)와 패널(300)이 서로 접착되면서 제1 캡(100)과 패널(300)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수용부(110)는 상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수용부(110)는 상측으로 볼록한 반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캡고정공간(340)의 가장 내측면(패널(300)의 상부판(330)의 저면)은, 대체로 수평방향으로 평평한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소음저감공간(345)의 상하방향 길이(h5)는, 제1 수용부(110)의 중간에서 가장 짧고 제1 수용부(110)의 양쪽으로 갈수록 길어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수용부(110)는, 제1 측벽(111), 제2 측벽(112) 및 제1 상부벽(1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측벽(111)과 제2 측벽(112)은, 제1 수용부(110)의 대향되는 양쪽 벽면을 이룬다. 제1 측벽(111)이 제1 수용부(110)의 앞쪽 벽일 때, 제2 측벽(112)은 제1 수용부(110)의 뒤쪽 벽일 수 있다. 제1 측벽(111)이 제1 수용부(110)의 뒤쪽 벽일 때, 제2 측벽(112)은 제1 수용부(110)의 앞쪽 벽일 수 있다.
제1 측벽(111)과 제2 측벽(112)은 각각 제1 소음저감홀(250)의 관통 방향과 직교하는 면을 이룰 수 있다.
제1 측벽(111) 및 제2 측벽(112)은, 각각 테두리가 상측으로 볼록한 반원판 형태로 이루어져 서로 나란하게 이격된다.
제1 측벽(111) 및 제2 측벽(112)은, 각각의 외측면이 제1 캡고정공간(340)의 내부에서 패널(300)과 밀착될 수 있다.
제1 상부벽(113)은, 제1 측벽(111)과 제2 측벽(112)의 곡선의 테두리를 서로 연결하고, 대체로 곡면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상부벽(113)은, 제1 캡고정공간(340)의 내부에서 제1 소음저감공간(345)을 이루도록 패널(300)과 이격될 수 있다. 제1 상부벽(113)은 반원 형태로 굽은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상부벽(113)의 외측면 및 내측면은 각각 반원 형태로 굽은 곡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상부벽(113)의 내측면에는 제1 지지면(113a)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지지면(113a)은 수평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지지면(113a)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상부벽(113)의 내측면 중에서 제1 지지면(113a)을 제외한 면은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제1 지지면(113a)은 제1 상부벽(113)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부벽(113)은 제1 지지면(113a)이 형성된 부분에서의 두께가 다른 부분에서의 두께보다 두껍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탄성지지체(200)의 상단이 제1 지지면(113a)에 접촉한다.
제1 상부벽(113)의 외경은 제1 캡고정공간(340)의 좌우방향 폭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측벽(111)과 제2 측벽(112)의 외측면 간의 간격은 제1 소음저감공간(345)의 전후방향 폭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4b 참조)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측벽(111)과 제2 측벽(112)의 외측면 간의 간격은 제1 소음저감공간(345)의 전후방향 폭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4c 참조)
제1 날개부(150)는, 제1 측벽(111), 제2 측벽(112) 및 제1 상부벽(113)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제1 날개부(150)는, 제1 측벽(111), 제2 측벽(112) 및 제1 상부벽(113)의 하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날개부(150)는 패널(300)의 저면에 밀착결합될 수 있다. 제1 날개부(150)는 패널(300)의 저면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 수용부(110) 및 제1 날개부(150)의 크기 및 두께는 사용되는 방진조립체(1)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 제1 수용부(110) 및 제1 날개부(150)는 각각 약 2mm의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캡(400)은 복수 개로 구비된다. 각각의 제2 캡(400)은 각각의 제2 캡고정공간(350)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지고, 패널(300)에 결합된다.
제2 캡(400)의 대부분이 제2 캡고정공간(350)에 삽입되어 패널(3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캡(400)은 아래쪽으로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2 캡(400)의 내부에는 제2 수용공간(414)이 구비되며, 제2 탄성지지체(500)는 그 일부가 제2 캡(400)의 제2 수용공간(414)에 삽입된다.
제2 수용공간(414)에는, 제2 탄성지지체(500)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가 제2 캡(400)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아래쪽으로 연통되는 제2 연통채널(415)이 구비된다. 제2 연통채널(415)은 제2 캡(400)과 제2 탄성지지체(500) 사이의 공간이고, 이러한 제2 연통채널(415)이 방진조립체(1)의 아래쪽 공간(C)과 연통된다.
제2 캡(400)은, 제2 탄성지지체(500) 및 패널(300)에 비하여 충분히 단단한(변형률이 작음)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캡(400)은 PVC,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또는 아크릴 등으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캡(400)은 제1 캡(100)과 동일한 소재, 모양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캡(400)은 사출성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캡(400)은 그 내부에 수용된 제2 탄성지지체(500)를 지지하고, 패널(300)에 결합되어 패널(300)과 제2 탄성지지체(500)의 안정된 결합을 유지시킨다.
제2 캡(400)이 제2 캡고정공간(350)에 삽입된 후, 제2 캡(400)은 접착방식에 의하여 패널(30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용 방진조립체(1)는 제2 소음저감공간(35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 소음저감공간(355)은 제2 캡고정공간(350)의 일부일 수 있다. 제2 소음저감공간(355)은, 제2 캡고정공간(350) 중에서 위쪽 부분을 이루는 공간으로서, 패널(300)과 제2 캡(400)이 서로 이격됨으로써 구비된다.
즉, 제2 캡(400)이 제2 캡고정공간(350)에 삽입되어 패널(300)에 고정됨에 있어서, 제2 캡(400)의 상부면이 제2 캡고정공간(350)의 내측면에 모두 밀착되는 것이 아니고, 제2 캡(400)의 상부면은 패널(300)에서 이격되며, 이에 따라 제2 소음저감공간(355)이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캡(400)과 패널(300)이 결합될 상태에서, 제2 소음저감공간(355)의 최소높이는 약 10mm 내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캡(400)이 제2 캡고정공간(350)에 삽입되고 패널(300)에 고정되어 제2 소음저감공간(355)이 구비될 때, 제2 소음저감공간(355)은 외부와 차단되고 밀폐될 수 있다. 즉, 제2 소음저감공간(355)은 밀폐된 공간일 수 있다.
제2 캡(400)은 좌우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전후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캡(400)은, 제2 수용부(410) 및 제2 날개부(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수용부(410)는, 제2 수용공간(414)을 이루며 제2 캡고정공간(350)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제2 날개부(450)는, 제2 수용부(410)의 하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고 패널(300)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제2 캡(400)이 패널(300)에 결합될 때, 제2 날개부(450)와 패널(300)이 서로 접착되면서 제2 캡(400)과 패널(300)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수용부(410)는 상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수용부(410)는 상측으로 볼록한 반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캡고정공간(350)의 가장 내측면(패널(300)의 상부판(330)의 저면)은, 대체로 수평방향으로 평평한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소음저감공간(355)의 상하방향 길이(h6)는, 제2 수용부(410)의 중간에서 가장 짧고 제2 수용부(410)의 양쪽으로 갈수록 길어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수용부(410)는, 제3 측벽(411), 제4 측벽(412) 및 제2 상부벽(4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측벽(411)과 제4 측벽(412)은, 제2 수용부(410)의 대향되는 양쪽 벽면을 이룬다. 제3 측벽(411)이 제2 수용부(410)의 왼쪽 벽일 때, 제4 측벽(412)은 제2 수용부(410)의 오른쪽 벽일 수 있다. 제3 측벽(411)이 제2 수용부(410)의 오른쪽 벽일 때, 제4 측벽(412)은 제2 수용부(410)의 왼쪽 벽일 수 있다.
제3 측벽(411)과 제4 측벽(412)은 각각 제2 소음저감홀(550)의 관통 방향과 직교하는 면을 이룰 수 있다.
제3 측벽(411) 및 제4 측벽(412)은, 각각 테두리가 상측으로 볼록한 반원판 형태로 이루어져 서로 나란하게 이격된다.
제3 측벽(411) 및 제4 측벽(412)은, 각각의 외측면이 제2 캡고정공간(350)의 내부에서 패널(300)과 밀착될 수 있다.
제2 상부벽(413)은, 제3 측벽(411)과 제4 측벽(412)의 곡선의 테두리를 서로 연결하고, 대체로 곡면 형태로 이루이진다. 제2 상부벽(413)은, 제2 캡고정공간(350)의 내부에서 제2 소음저감공간(355)을 이루도록 패널(300)과 이격될 수 있다. 제2 상부벽(413)은 반원 형태로 굽은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상부벽(413)의 외측면 및 내측면은 각각 반원 형태로 굽은 곡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상부벽(413)의 내측면에는 제2 지지면(413a)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지지면(413a)은 수평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지지면(413a)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상부벽(413)의 내측면 중에서 제2 지지면(413a)을 제외한 면은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제2 지지면(413a)은 제1 상부벽(413)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상부벽(413)은 제2 지지면(413a)이 형성된 부분에서의 두께가 다른 부분에서의 두께보다 두껍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탄성지지체(500)의 상단이 제2 지지면(513a)에 접촉한다.
제2 상부벽(413)의 외경은 제2 캡고정공간(350)의 전후방향 폭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측벽(411)과 제4 측벽(412)의 외측면 간의 간격은 제2 소음저감공간(355)의 좌우방향 폭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5b 참조) 다른 실시예에서, 제3 측벽(411)과 제4 측벽(412)의 외측면 간의 간격은 제2 소음저감공간(355)의 좌우방향 폭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5c 참조)
제2 날개부(450)는, 제3 측벽(411), 제4 측벽(412) 및 제2 상부벽(413)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제2 날개부(450)는, 제3 측벽(411), 제4 측벽(412) 및 제2 상부벽(413)의 하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날개부(450)는 패널(300)의 저면에 밀착결합될 수 있다. 제2 날개부(450)는 패널(300)의 저면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수용부(410) 및 제2 날개부(450)의 크기 및 두께는 사용되는 방진조립체(1)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 제2 수용부(410) 및 제2 날개부(450)는 각각 약 2mm의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캡(100)과 제2 캡(400)은 서로 동일하게 배열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르게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측벽(111)(또는 제2 측벽(112))과 제3 측벽(411)(또는 제4 측벽(412))이 서로 평행하도록 제1 캡(100)과 제2 캡(400)이 배열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측벽(111)(또는 제2 측벽(112))과 제3 측벽(411)(또는 제4 측벽(412))이 서로 직교하도록 제1 캡(100)과 제2 캡(400)이 배열될 수 있다.
도 1에는, 제1 측벽(111)(및 제2 측벽(112))과 제3 측벽(411)(및 제4 측벽(412))이 서로 직교하도록 제1 캡(100)과 제2 캡(400)이 배열된 형태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1 탄성지지체(200) 및 제2 탄성지지체(500)는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제1 탄성지지체(200) 및 제2 탄성지지체(500)는 탄성고무(탄성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탄성지지체(200) 및 제2 탄성지지체(500)는 생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탄성지지체(200) 및 제2 탄성지지체(500)는 천연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탄성지지체(200) 및 제2 탄성지지체(500)는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시스폴리부타디엔, 트랜스폴리부타디엔, 부틸고무, 스티렌이소프렌부타디엔 고무 등의 합성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에는 실리카, 분해방지제, 산화아연, 촉진제, 산화방지제, 가공 및 연화 오일, 결합제 등의 첨가물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탄성지지체(200)는 제1 탄성지지체(200)를 보강하는 철심 및/또는 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탄성지지체(500)는 제2 탄성지지체(500)를 보강하는 철심 및/또는 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철심 및/또는 섬유들은 다수의 섬유 가닥이 교차하거나 엮여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목면, 모, 실크, 마 등의 천연섬유, 또는 레이온,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등의 인조섬유를 엮은 벨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탄성지지체(200) 및 제2 탄성지지체(500)는 고무블록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탄성지지체(200)는, 제3 방향(Z)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고, 제2 방향(Y)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제1 방향(X)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제1 탄성지지체(200)의 상측이 제1 캡(100)의 제1 수용공간(114)에 삽입된다.
제1 탄성지지체(200)가 제1 캡(100)의 제1 수용공간(114)에 삽입되면 제1 탄성지지체(200)의 상단면은 제1 캡(100)의 내측면에 직접 밀착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수단을 매개로 제1 캡(100)과 밀착될 수 있다.
제1 탄성지지체(200)의 상단이 제1 캡(100)에 밀착되어 지지된다.
제1 탄성지지체(200)는 상하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지지체(200)는 좌우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탄성지지체(200)는 좌우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탄성지지체(200)는 전후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탄성지지체(200)는 상하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탄성지지체(200)는 상하비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탄성지지체(200)는,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제1 소음저감홀(250)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제1 탄성지지체(200)는 외측면 및 내측면을 가지며, 제1 탄성지지체(200)는 전체적으로 고리(ring)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소음저감홀(250)은 제1 방향(X)을 따라 제1 탄성지지체(200)를 관통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소음저감홀(250)은 다각형, 타원형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원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소음저감홀(250)은 제1 방향(X)(전후방향)을 따라 단면이 일정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있다.
제1 탄성지지체(200)는, 하단에서부터 상측을 향할수록 폭이 증가하다가 다시 작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탄성지지체(200)는 수평방향에서 바라볼 때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탄성지지체(200)는 그 외주면(220)이 원형을 이룰 수 있고, 그 내주면(210)이 원형을 이룰 수 있다.
제1 탄성지지체(200)의 외경(d2)은 제1 측벽(111) 및 제2 측벽(112)의 직경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탄성지지체(200)의 외경(d2)은 제1 상부벽(113)의 내경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탄성지지체(200)의 외주면(220) 중 일부는 제1 수용공간(114) 내부에서 제1 캡(100)과 이격된다.
즉, 제1 탄성지지체(200)의 외경(d2)은 제1 수용부(110)의 내경(d1)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탄성지지체(200)가 제1 캡(100)의 제1 수용공간(114)에 삽입되어 제1 캡(100)과 결합될 때, 제1 탄성지지체(200)와 제1 캡(100)의 사이에 제1 연통채널(115)이 구비된다. 제1 연통채널(115)은 방진조립체(1)의 아래쪽 공간(C)과 연통된다.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제1 탄성지지체(200)가 제1 수용부(110)에 삽입되어 제1 지지면(113a)에 접촉 및 지지되면 제1 탄성지지체(200)의 양쪽에 제1 연통채널(115)이 구비된다. 이때, 제1 연통채널(115) 각각의 폭은, 제1 수용부(110)의 내경(d1)과 제1 탄성지지체(200)의 외주면(220)의 직경(d2)의 차이의 1/2과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 연통채널(115)의 폭의 크기는, 제1 수용부(110)의 상측에서부터 하측까지 대체로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수용부(110)의 상하방향 전체에 걸쳐 제1 탄성지지체(200)의 외주면(220)과 제1 상부벽(113)의 내주면 사이에 제1 연통채널(115)이 용이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용부(110) 내부에서 제1 탄성지지체(200)의 탄성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연통채널(115)을 통한 진동 및 소음의 저감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탄성지지체(200)의 제1 소음저감홀(250)의 직경(제1 탄성지지체(200)의 내경, d3)은 제1 탄성지지체(200)의 외경(d2)보다 작게 이루어짐을 물론이다. 실시예에 따라, 제1 탄성지지체(200)의 내경(d3)은 제1 탄성지지체(200)의 외경(d2)의 1/2보다 크고 2/3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탄성지지체(200)의 외경(d2)은 약 35mm, 제1 탄성지지체(200)의 내경(d3)은 약 20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탄성지지체(200)에서 제1 소음저감홀(250)은 제1 탄성지지체(200)의 상측으로 치우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탄성지지체(200)의 내주면(210)은 제1 탄성지지체(200)의 외주면(220)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편심될 수 있다. 제1 탄성지지체(200)의 외주면(220) 및 내주면(210)이 모두 원형으로 이루어질 때, 제1 탄성지지체(200)의 외주면(220)의 중심(P1)보다 제1 탄성지지체(200)의 내주면(210)의 중심(P2)이 높게 위치한다.
이에 따라, 제1 탄성지지체(200)의 반경방향 두께는 상측부분(201)의 두께(t1)가 하측부분(203)의 두께(t2) 보다 얇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탄성지지체(200)의 상측부분(201)의 두께(t1)가 약 5mm 내외로 이루어지고, 제1 탄성지지체(200)의 하측부분(203)의 두께(t2)가 약 10mm 내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탄성지지체(200)는, 그 외주면(220) 및 내주면(210) 이외에, 대향되는 양측면(230, 240)을 포함한다. 제1 탄성지지체(200)의 양측면(230, 240)은 서로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탄성지지체(200)가 제1 캡(100)의 제1 수용공간(114)에 삽입될 때, 제1 탄성지지체(200)의 대향되는 양측면(230, 240)은 제1 캡(10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탄성지지체(200)의 외경(d2)은 제1 탄성지지체(200)의 전후방향(제1 방향(X))의 두께(t3)의 2배 이상이 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탄성지지체(200)의 외경(d2)은 제1 탄성지지체(200)의 전후방향(제1 방향(X))의 두께(t3)의 3~4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탄성지지체(200)의 전후방향의 두께가 약 10mm일 때, 제1 탄성지지체(200)의 좌우방향의 폭은 약 30~40mm가 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탄성지지체(200)의 좌우방향의 폭(직경, d2)은 약 35mm가 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탄성지지체(500)는, 제3 방향(Z)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고, 제2 방향(Y)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제1 방향(X)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제2 탄성지지체(500)의 상측이 제2 캡(400)의 제2 수용공간(414)에 삽입된다.
제2 탄성지지체(500)가 제2 캡(400)의 제2 수용공간(414)에 삽입되면 제2 탄성지지체(500)의 상단면은 제2 캡(400)의 내측면에 직접 밀착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수단을 매개로 제2 캡(400)과 밀착될 수 있다.
제2 탄성지지체(500)의 상단이 제2 캡(400)에 밀착되어 지지된다.
제2 탄성지지체(500)는 상하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탄성지지체(500)는 전후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탄성지지체(500)는 좌우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탄성지지체(500)는 전후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탄성지지체(500)는 상하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탄성지지체(500)는 상하비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탄성지지체(500)는,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제2 소음저감홀(550)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제2 탄성지지체(500)는 외측면 및 내측면을 가지며, 제2 탄성지지체(500)는 전체적으로 고리(ring)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 소음저감홀(550)은 제2 방향(Y)을 따라 제2 탄성지지체(500)를 관통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소음저감홀(550)은 다각형, 타원형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원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소음저감홀(550)은 제2 방향(Y)(좌우방향)을 따라 단면이 일정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있다.
제2 탄성지지체(500)는, 하단에서부터 상측을 향할수록 폭이 증가하다가 다시 작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탄성지지체(500)는 수평방향에서 바라볼 때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탄성지지체(500)는 그 외주면(520)이 원형을 이룰 수 있고, 그 내주면(510)이 원형을 이룰 수 있다.
제2 탄성지지체(500)의 외경(d5)은 제3 측벽(411) 및 제4 측벽(412)의 직경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탄성지지체(500)의 외경(d5)은 제2 상부벽(413)의 내경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탄성지지체(500)의 외주면(520) 중 일부는 제2 수용공간(414) 내부에서 제2 캡(400)과 이격된다.
즉, 제2 탄성지지체(500)의 외경(d5)은 제2 수용부(410)의 내경(d4)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탄성지지체(500)가 제2 캡(400)의 제2 수용공간(414)에 삽입되어 제2 캡(400)과 결합될 때, 제2 탄성지지체(500)와 제2 캡(400)의 사이에 제2 연통채널(415)이 구비된다. 제2 연통채널(415)은 방진조립체(1)의 아래쪽 공간(C)과 연통된다.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제2 탄성지지체(500)가 제2 수용부(410)에 삽입되어 제2 지지면(413a)에 접촉 및 지지되면 제2 탄성지지체(500)의 양쪽에 제2 연통채널(415)이 구비된다. 이때, 제2 연통채널(415) 각각의 폭은, 제2 수용부(410)의 내경(d4)과 제2 탄성지지체(500)의 외주면(520)의 직경(d5)의 차이의 1/2과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2 연통채널(415)의 폭의 크기는, 제2 수용부(410)의 상측에서부터 하측까지 대체로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수용부(410)의 상하방향 전체에 걸쳐 제2 탄성지지체(500)의 외주면(520)과 제2 상부벽(413)의 내주면 사이에 제2 연통채널(415)이 용이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수용부(410) 내부에서 제2 탄성지지체(500)의 탄성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연통채널(415)을 통한 진동 및 소음의 저감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탄성지지체(500)의 제2 소음저감홀(550)의 직경(제2 탄성지지체(500)의 내경, d6)은 제2 탄성지지체(500)의 외경(d5)보다 작게 이루어짐을 물론이다. 실시예에 따라, 제2 탄성지지체(500)의 내경(d6)은 제2 탄성지지체(500)의 외경(d5)의 1/2보다 크고 2/3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탄성지지체(500)의 외경(d5)은 약 35mm, 제2 탄성지지체(500)의 내경(d6)은 약 20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탄성지지체(500)에서 제2 소음저감홀(550)은 제2 탄성지지체(500)의 상측으로 치우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탄성지지체(500)의 내주면(510)은 제2 탄성지지체(500)의 외주면(520)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편심될 수 있다. 제2 탄성지지체(500)의 외주면(520) 및 내주면(510)이 모두 원형으로 이루어질 때, 제2 탄성지지체(500)의 외주면(220)의 중심(P3)보다 제2 탄성지지체(500)의 내주면(210)의 중심(P4)이 높게 위치한다.
이에 따라, 제2 탄성지지체(500)의 반경방향 두께는 상측부분(501)의 두께(t4)가 하측부분(503)의 두께(t5) 보다 얇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탄성지지체(500)의 상측부분(501)의 두께(t4)가 약 5mm 내외로 이루어지고, 제2 탄성지지체(500)의 하측부분(503)의 두께(t5)가 약 10mm 내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탄성지지체(500)는, 그 외주면(520) 및 내주면(510) 이외에, 대향되는 양측면(530, 540)을 포함한다. 제2 탄성지지체(500)의 양측면(530, 540)은 서로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탄성지지체(500)가 제2 캡(400)의 제2 수용공간(414)에 삽입될 때, 제2 탄성지지체(500)의 대향되는 양측면(530, 540)은 제2 캡(40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탄성지지체(500)의 외경(d5)은 제2 탄성지지체(500)의 좌우방향(제2 방향(Y))의 두께(t6)의 2배 이상이 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탄성지지체(500)의 외경(d5)은 제2 탄성지지체(500)의 좌우방향(제2 방향(Y))의 두께(t6)의 3~4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탄성지지체(500)의 좌우방향의 두께가 약 10mm일 때, 제2 탄성지지체(500)의 전후방향의 폭은 약 30~40mm가 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탄성지지체(500)의 전후방향의 폭(직경, d5)은 약 35mm가 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진조립체(1)에서 제1 캡(100)과 제2 캡(400)은 서로 동일한 모양으로 이루어지되 배열방향이 서로 직교하거나 교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캡(100)의 제1 측벽(111) 및 제2 측벽(112)이 제2 방향(Y)과 평행하게 놓일 때 제2 캡(400)의 제3 측벽(411) 및 제4 측벽(412)은 제1 방향(X)과 평행하게 놓일 수 있다.
제1 탄성지지체(200)와 제2 탄성지지체(500)는 서로 동일한 모양으로 이루어지되 배열방향이 서로 직교하거나 교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탄성지지체(200)의 제1 소음저감홀(250)이 제1 방향(X)과 평행하게 놓일 때, 제2 탄성지지체(500)의 제2 소음저감홀(550)은 제2 방향(Y)과 평행하게 놓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짐으로써 방진조립체(1)에서 제1 탄성지지체(200)와 제2 탄성지지체(500)에 의한 안정된 지지구조가 이루어질 수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300)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300)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조립체(1)에서 패널(300)의 상부판(330)이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패널(300)은 전체적으로 단일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패널(300)은 하나의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패널(300)은 내부에 공기층을 갖는 플라스틱 패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패널(300)은, 통상의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발포패널, 폴리우레탄 발포패널, 발포고무 패널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용이한 제조 및 우수한 방진을 위하여 EVA 발포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300)은, 서로 다른 복수 개의 판이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패널(300)은 하부판(310), 중간판(320) 및 상부판(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판(310), 중간판(320) 및 상부판(330)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결합되고, 접착방식에 의하여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패널(300)은 발포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중간판(320)은 발포층(발포체로 형성된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판(310)은 전체적으로 수평방향으로 평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다만, 하부판(310)에는 제1 캡고정입구(315) 및 제2 캡고정입구(316)가 각각 상하로 관통형성된다.
제1 캡고정입구(315)는 제1 캡고정공간(340)의 입구를 이룬다. 하부판(310)에서 제1 캡고정입구(315)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각각의 제1 캡고정입구(315)는 서로 이격된다. 제1 캡고정입구(315)는 수평방향을 따라 긴 구멍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캡고정입구(315)의 크기 및 모양은 제1 수용부(110)의 크기 및 모양(제1 수용부(110)의 평단면의 크기 및 모양)과 상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캡고정입구(316)는 제2 캡고정공간(350)의 입구를 이룬다. 하부판(310)에서 제2 캡고정입구(316)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각각의 제2 캡고정입구(316)는 서로 이격된다. 제2 캡고정입구(316)는 수평방향을 따라 긴 구멍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캡고정입구(316)의 크기 및 모양은 제2 수용부(410)의 크기 및 모양(제2 수용부(410)의 평단면의 크기 및 모양)과 상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캡고정입구(315)가 좌우방향을 따라 긴 구멍 형태로 이루어질 때, 제2 캡고정입구(316)는 전후방향을 따라 긴 구멍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캡고정입구(315)가 전후방향을 따라 긴 구멍 형태로 이루어질 때, 제2 캡고정입구(316)는 좌우방향을 따라 긴 구멍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진조립체(1)가 시공됨에 있어서 하부판(310)은 설치면(B)과 이격되며 하부판(310)과 설치면(B) 사이에 소정의 공간(C)이 구비된다.
하부판(31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제1 수평통로(314)가 구비된다. 하부판(310)은 플라스틱 골판지(Plastic Corrugated Board)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판(310)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PVC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판(310)은, 제1 하부층(311), 제1 상부층(312) 및 제1 격벽(3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하부층(311)은 하부판(310)의 가장 아래쪽 층을 이룰 수 있다. 제1 하부층(311)은 수평방향을 따라 평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상부층(312)은 수평방향을 따라 평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하부층(311)의 상측에 위치하고 제1 하부층(311)과 이격된다.
제1 격벽(313)은, 제1 하부층(311)과 제1 상부층(312)을 세로로 연결하고 수평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된다.
하부판(310)의 내부에는, 제1 하부층(311), 제1 상부층(312) 및 제1 격벽(313)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인 복수 개의 제1 수평통로(314)가 구비된다. 제1 수평통로(314)는 하부판(310)의 전체 면적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하부판(310)이 제1 하부층(311), 제1 상부층(312) 및 제1 격벽(3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하부판(310)의 구조가 전체적으로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고, 하부판(310)의 내부에 복수 개의 제1 수평통로(314)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중간판(320)은 하부판(310)의 상측에 적층결합된다. 중간판(320)은 하부판(310)과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중간판(320)은 전체적으로 수평방향으로 평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중간판(320)에는 중간홀(321)이 구비된다. 중간홀(321)은 중간판(320) 내부에 구비되는 공간이다. 중간홀(321)은 중간판(320)을 상하로 관통하는 구멍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간홀(321)은 복수 개로 구비되고 수평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다. 중간홀(321)은 서로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고, 대각선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중간홀(321)은 평면도상 원형의 구멍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간홀(321)의 직경은 제1 캡고정입구(315)의 장방향 길이보다 길거나 같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캡고정입구(316)의 장방향 길이보다 길거나 같게 이루어질 수 있다.
중간판(320)과 하부판(310)이 적층되어 결합될 때,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중간홀(321) 중 일부는 제1 캡고정입구(315)와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중간홀(321) 중 다른 일부는 제2 캡고정입구(316)와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중간홀(321)들 중에서, 일부의 중간홀(321)은 제1 캡(100)이 수용되는 제1 중간홀(321a)을 이루고, 다른 일부의 중간홀(321)은 제2 캡(400)이 수용되는 제2 중간홀(321b)을 이루고, 또 다른 일부의 중간홀(321)은 제1 캡(100) 및 제2 캡(400)이 모두 수용되지 않는 제3 중간홀(321c)을 이룬다.
제1 중간홀(321a)은 제1 소음저감공간(345)을 이루고 제2 중간홀(321b)은 제2 소음저감공간(355)을 이룬다.
제3 중간홀(321c)은 제1 중간홀(321a)과 제2 중간홀(321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중간홀(321c)은 전후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고, 좌우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단위면적당, 중간판(320)에 형성된 중간홀(321)의 전체 개수는, 하부판(310)에 형성된 제1 캡고정입구(315) 및 제2 캡고정입구(316)를 합친 개수와 같거나 많게 구비될 수 있다.
단위면적당, 하부판(310)에 형성된 제1 캡고정입구(315)의 개수가 n개이고 하부판(310)에 형성된 제2 캡고정입구(316)의 개수가 n개일 때, 중간판에 형성된 중간홀(321)의 전체 개수는 2n개 이거나 2n개 이상일 수 있다.
제1 캡고정입구(315)의 중심과 제2 캡고정입구(316)의 중심 사이의 길이는 서로 인접한 2개의 중간홀(321)의 중심간의 거리의 2배일 수 있다.
상부판(330)은 중간판(320)의 상측에 적층결합된다. 상부판(330)은 전체적으로 수평방향으로 평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부판(330)은 제1 캡고정공간(340) 및 제2 캡고정공간(350)을 차폐한다. 상부판(330)은 중간홀(321)을 차폐한다.
중간판(320)은 상부판(330) 및 하부판(310)보다 더 두껍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판(310)의 두께(h2)는 5mm 내외, 중간판(320)의 두께(h3)는 25mm 내외, 상부판(330)의 두께(h4)는 5mm 내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판(330)의 두께(h4)는 하부판(310)의 두께(h2)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중간판(320)은 흡음패널 또는 방음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간판(320)은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간판(320)은 발포 플라스틱(plastic foam, foamed plastics)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간판(320)은, 폴리우레탄(PUR), 폴리스티렌(PS),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올레핀(polyolefin), 페놀 수지(PF), 폴리염화비닐(PVC), 우레아수지(UF), 실리콘(SI), 폴리이미드(PI), 및/또는 멜라민 수지(MF) 등의 발포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중간판(320)은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간판(320)은 플라스틱 섬유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간판(320)은, 폴리에스터 섬유를 판 형태로 압축시켜 이루어질 수 있다. 중간판(320)은 부직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판(330)은 전체적으로 수평방향으로 평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부판(330)은 플라스틱 골판지(Plastic Corrugated Board)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판(330)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PVC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판(330)은, 제2 하부층(331), 제2 상부층(332) 및 제2 격벽(3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하부층(331)은 상부판(330)의 가장 아래쪽 층을 이룰 수 있다. 제2 하부층(331)은 수평방향을 따라 평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상부층(332)은 수평방향을 따라 평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하부층(331)의 상측에 위치하고 제2 하부층(331)과 이격된다.
제2 격벽(333)은, 제2 하부층(331)과 제2 상부층(332)을 세로로 연결하고 수평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된다.
상부판(330)의 내부에는, 제2 하부층(331), 제2 상부층(332) 및 제2 격벽(333)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인 복수 개의 제2 수평통로(334)가 구비된다. 제2 수평통로(334)는 상부판(330)의 전체 면적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상부판(330)이 제2 하부층(331), 제2 상부층(332) 및 제2 격벽(3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부판(330)의 구조가 전체적으로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고, 상부판(330)의 내부에 복수 개의 제2 수평통로(334)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진조립체(1)에서, 평면도상 제1 수평통로(314)와 제2 수평통로(334)는, 서로 동일한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진조립체(1)에서, 평면도상 제1 수평통로(314)와 제2 수평통로(334)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평면도상, 제1 수평통로(314)와 제2 수평통로(334)가 서로 교차할 때 제1 격벽(313)과 제2 격벽(333)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1 수평통로(314)와 제2 수평통로(334)는 서로 직교할 때 제1 격벽(313)과 제2 격벽(333)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격벽(313)이 제1 방향(X)을 따라 형성될 때 제2 격벽(333)은 제2 방향(Y)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용 방진조립체(1)가 설치된 서로 다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방진조립체(1)가 시공됨에 있어서, 복수 개의 방진조립체(1)가 가장자리 부분이 서로 접촉하는 형태로 연결되어 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방진조립체(1)가 동일 평면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방진조립체(1)가 공동주택에 시공됨에 있어서, 방진조립체(1) 상측에는 방수를 위한 코팅층(3)이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3)은 얇은 필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진조립체(1)가 공동주택에 시공됨에 있어서, 방진조립체(1) 상측에는, 기포콘크리트(4) 및/또는 시멘트몰탈(5)이 각각 적층되는 형태로 시공될 수 있고, 보일러 배관(6)이 추가시공될 수 있고, 가장 위쪽에 바닥표면층(7)이 형성될 수 있다.(도 11 참조)
또한, 방진조립체(1)가 공동주택에 시공됨에 있어서, 방진조립체(1) 상측에 기포콘크리트(4) 및/또는 시멘트몰탈(5) 없이 바닥표면층(7)이 형성되는 형태로 시공될 수 있다.(도 12 참조)
바닥표면층(7)은 공동주택의 바닥의 가장 윗부분을 이루는 층으로서, 바닥 마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닥표면층(7)은, 목재, 플라스틱 또는 돌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마루, 판넬, 타일 또는 장판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조립체(1)에서, 패널(300)을 이루는 중간판(320)은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패널(300)을 이루는 하부판(310) 및 상부판(330)은 각각 플라스틱 골판지(예컨대, PP골판지, PVC골판지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패널(300)은 전체적으로 안정된 구조를 이룰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캡(100) 및 제2 캡(400)이 패널(300)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으면서, 방진조립체(1)의 위쪽에서 가해진 외력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이 아래쪽으로 진행됨에 있어서 상부판(330) 및 중간판(320)에서 진동 및 소음이 상당이 완화될 수 있고, 또한 하부판(310)을 거치면서 수평방향을 따라 분산될 수 있다.
패널(300)에서 중간판(320)은 상부판(330) 및 하부판(310) 보다 두껍게 이루어질 수 있고, 중간판(320)에는 복수 개의 중간홀(321)이 수평면을 따라 반복하여 구비된다. 방진조립체(1)의 위쪽에서 가해진 외력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이 아래쪽으로 진행됨에 있어서 패널(300)을 거칠 때 패널(300)의 형성방향(수평방향)을 따라 전달될 수 있고, 이때, 패널(300)의 중간판(320)에는 복수 개의 중간홀(321)이 형성됨으로써, 패널(300)의 수평면을 따라 여러 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이 각각의 중간홀(321)을 거치면서 차단되고 소멸되며, 진동이 각 중간홀(321)을 거칠 때 해당 중간홀(32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분산될 수 있으며, 진동의 분산 및 감쇠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패널(300)의 수평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은 중간홀(321)을 거치면서 더욱 분산 및 소멸되어, 소음과 진동의 분산 및 감쇠 효과가 우수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방진조립체(1)의 위쪽에서 가해진 외력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이 아래쪽으로 진행됨에 있어서 제1 소음저감공간(345) 및 제2 소음저감공간(355)을 거치게 되고 제1 소음저감공간(345) 및 제2 소음저감공간(355)에서 저감 또는 소멸되며, 이후 제1 탄성지지체(200), 제1 소음저감홀(250), 제2 탄성지지체(500) 및 제2 소음저감홀(550) 등을 거치며 추가적으로 저감 또는 소멸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진조립체(1)에서 제2 탄성지지체(500)는 제1 탄성지지체(200)보다 연질 또는 경질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1 탄성지지체(200)와 제2 탄성지지체(500)는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고, 동일한 외력에 대하여 서로 다른 형태로 탄성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탄성지지체(200)가 경질고무로 이루어지고 제2 탄성지지체(500)가 연질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탄성지지체(200)가 연질고무로 이루어지고 제2 탄성지지체(500)가 경질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쇼어(Shore) A 경도계 기준으로, 제1 탄성지지체(200)와 제2 탄성지지체(500) 중 어느 하나가 70(±5) 경도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가 60(±5)의 경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탄성지지체(200)가 경질고무로 이루어지고 제2 탄성지지체(500)가 연질고무로 이루어질 때, 동일한 외력에 대하여 제1 탄성지지체(200)보다 제2 탄성지지체(500)의 변형량이 크게 된다. 이 경우, 방진조립체(1)의 상측에서 충격이 가해지면, 제1 탄성지지체(200)는 상대적으로 탄성변형이 적게 이루어지고 제2 탄성지지체(500)는 상대적으로 탄성변형이 많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탄성지지체(200)가 먼저 강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제2 탄성지지체(500)가 약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의 충격이 흡수되어 소멸될 수 있고, 넓은 범위의 충격흡수 및 진동감쇠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진조립체(1)에 의하면, 충격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이 제1 탄성지지체(200) 및 제2 탄성지지체(500)로 전달될 때 제1 탄성지지체(200)와 제2 탄성지지체(500)에서 서로 다른 양상으로 감쇠 및 소멸될 수 있고, 제1 탄성지지체(200)와 제2 탄성지지체(500) 중 어느 하나가 상대적으로 강한 충격을 흡수하면서 진동이 감쇠되고 다른 하나가 상대적으로 약한 충격을 흡수하면서 진동이 감쇠될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지지체(200)를 거치면서 감쇠된 진동의 패턴과 제2 탄성지지체(500)를 거치면서 감쇠된 진동의 패턴은 서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고, 진동 및 소음의 분산 및 소멸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소음 및 진동 저감 효과가 우수한 바닥용 방진조립체(1)를 제공할 수 있다.
방진조립체(1)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 중, 제1 탄성지지체(200)의 바로 위쪽 영역(제1 영역(A1))을 거치는 진동 및 이에 따른 소음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영역(A1)을 거치는 진동은, 제1 캡(100) 또는 제1 탄성지지체(200)로 직접 전달되는 것이 아니고, 대부분은 그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1 소음저감공간(345)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제1 소음저감공간(345)을 거침으로써 분산효과가 커지게 되며 상당부분 소멸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탄성지지체(200)는, 그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질 때, 제1 탄성지지체(200) 하단에는 이러한 하중에 따른 반력이 작용하게 되고, 아울러 제1 탄성지지체(200)에는 굽힘응력 및 전단력이 작용하도록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힘의 작용에 의하여 제1 탄성지지체(200)는 탄성변형 및 진동하면서 외력을 분산시켜 소음 및 진동을 매우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탄성지지체(200)에서 제1 소음저감홀(250)은 제1 탄성지지체(200)의 상측으로 치우쳐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1 탄성지지체(200)의 반경방향 두께는 상측부분(201)의 두께(t1)가 하측부분(203)의 두께(t2) 보다 얇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탄성지지체(200)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질 때, 제1 탄성지지체(200)의 하측부분(203) 보다는 제1 탄성지지체(200)의 상측부분(201)에서 대부분의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며, 진동의 분산이 제1 탄성지지체(200)의 상측부분(201)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하면서, 진동 및 소음의 분산 및 소멸이 방진조립체(1)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제1 탄성지지체(200)의 상측부분(201)의 바로 아래에는 제1 소음저감홀(250)이 구비되므로, 제1 탄성지지체(200)에서 하측방향으로 전달되는 소음 및 진동은 제1 소음저감홀(250)을 거치게 되며, 제1 소음저감홀(250)에서 분산 및 소멸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진조립체(1)에서 제1 캡(100)과 제1 탄성지지체(200) 사이에는 제1 연통채널(115)이 구비되며, 제1 연통채널(115)로 전달된 공기의 진동은 패널(300)의 아래쪽 공간(C)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진조립체(1)의 전체 영역에 걸쳐 진동의 분산 및 소멸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방진조립체(1) 상측에서 충격 발생시 우수한 소음 및 진동 저감 효과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탄성지지체(200)의 상측에서 가해진 외력에 따른 진동은 제1 소음저감공간(345)에서 1차적으로 분산 및 소멸될 수 있고, 또한 제1 소음저감홀(250)을 거쳐 2차적으로 분산 및 소멸될 수 있다. 또한 일부의 진동은 제1 연통채널(115)을 거치면서 3차적으로 분산 및 소멸될 수 있다.
방진조립체(1)에서, 제2 캡(400)은 제1 캡(100)과 동일한 형태 및 결합구조로 이루어지고, 제2 탄성지지체(500)는 제1 탄성지지체(200)와 동일한 형태 및 결합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방진조립체(1)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 중, 제2 탄성지지체(500)의 바로 위쪽 영역을 거치는 진동 및 이에 따른 소음은 상술한 제1 탄성지지체(200)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분산 및 소멸될 수 있다.
즉, 방진조립체(1)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 중, 제2 탄성지지체(500)의 바로 위쪽 영역(제4 영역(B1))을 거치는 진동 및 이에 따른 소음은 제2 소음저감공간(355)에서 1차적으로 분산 및 소멸될 수 있고, 또한 제2 소음저감홀(550)을 거쳐 2차적으로 분산 및 소멸될 수 있다. 또한 일부의 진동은 제2 연통채널(415)을 거치면서 3차적으로 분산 및 소멸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용 방진조립체(1)에 의하면, 방진조립체(1)의 상측에서 발생한 진동 및 소음이 순차적인 공간을 거치면서 분산 및 소멸될 수 있다.
방진조립체(1)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 중, 제1 탄성지지체(200)의 양 옆의 위쪽 영역(제2 영역(A2) 및/또는 제3 영역(A3))을 거치는 진동 및 이에 따른 소음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영역(A2) 및/또는 제3 영역(A3)을 거치는 진동 중 일부는 패널(300)의 하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패널(300)을 이루는 상부판(330)의 내부에는 수평방향의 제2 수평통로(334)가 구비되고, 이러한 제2 수평통로(334)는 패널(300)의 전체 면적에 걸쳐 형성되는데, 방진조립체(1)에 가해진 진동은, 패널(300)의 상측을 이루는 상부판(330)의 제2 수평통로(334)에 의하여, 패널(300)의 전체 면적에 걸쳐 분산될 수 있으므로, 진동 및 소음의 저감 및 소멸이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패널(300)을 이루는 하부판(310)의 내부에는 수평방향의 제1 수평통로(314)가 구비되고, 이러한 제1 수평통로(314)는 패널(300)의 전체 면적에 걸쳐 형성되는데, 패널(300)의 하측으로 전달된 진동은 패널(300)의 전체 면적에 걸쳐 분산될 수 있으므로, 진동 및 소음의 저감 및 소멸이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2 영역(A2) 및/또는 제3 영역(A3)을 거치는 진동 중 다른 일부는 제1 캡(100) 및 제1 탄성지지체(200) 쪽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진동의 상당 부분은 그 옆쪽에 위치하는 제1 소음저감공간(345) 및 중간홀(321)로 이동할 수 있으며,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제1 소음저감공간(345) 및 중간홀(321)을 거침으로써 분산효과가 커지게 되며 상당부분 소멸하게 된다. 또한, 패널(300)과 제1 캡(100)이 직접 접촉하는 부분을 통하여 제1 캡(100) 쪽으로 전달되는 진동 또한 앞서 언급한 제1 탄성지지체(200), 제1 소음저감홀(250) 및 제1 연통채널(115)에 의하여 분산 및 소멸될 수 있다.
방진조립체(1)에서, 제2 캡(400)은 제1 캡(100)과 동일한 형태 및 결합구조로 이루어지고, 제2 탄성지지체(500)는 제1 탄성지지체(200)와 동일한 형태 및 결합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방진조립체(1)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 중, 제2 탄성지지체(500)의 양 옆의 위쪽 영역(제5 영역(B2) 및/또는 제6 영역(B3))을 거치는 진동 및 이에 따른 소음은 상술한 제1 탄성지지체(200)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분산 및 소멸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용 방진조립체(1)에 의하면, 방진조립체(1)의 위쪽에서 가해진 외력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이 아래쪽으로 진행됨에 있어서 설치면(B)쪽으로 바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제1 소음저감공간(345), 제1 캡(100), 제1 탄성지지체(200), 제1 소음저감홀(250), 중간홀(321), 제1 수평통로(314) 및 제2 수평통로(334)를 거쳐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진동 및 소음은 저감 또는 소멸된다.
또한, 방진조립체(1)의 위쪽에서 가해진 외력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이 아래쪽으로 진행됨에 있어서 설치면(B)쪽으로 바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제2 소음저감공간(355), 제2 캡(400), 제2 탄성지지체(500), 제2 소음저감홀(550), 중간홀(321), 제1 수평통로(314) 및 제2 수평통로(334)를 거쳐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진동 및 소음은 저감 또는 소멸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용 방진조립체(1)에 의하며, 패널(300)의 상측에서 가해진 외력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이 설치면(B)쪽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용 방진조립체(1)에서, 패널(300)은 하부판(310), 중간판(320) 및 상부판(330)으로 구분되고, 중간판(320)은 발포성 소재 또는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지면서 패널(300)의 전체면적에 걸쳐 진동 및 소음의 흡수/저감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바닥용 방진조립체 100 : 제1 캡
110 : 제1 수용부 111 : 제1 측벽
112 : 제2 측벽 113 : 제1 상부벽
114 : 제1 수용공간 115 : 제1 연통채널
150 : 제1 날개부 200 : 제1 탄성지지체
210 : 제1 탄성지지체의 내주면 220 : 제1 탄성지지체의 외주면
230, 240 : 제1 탄성지지체의 양측면 250 : 제1 소음저감홀
300 : 패널 310 : 하부판
311 : 제1 하부층 312 : 제1 상부층
313 : 제1 격벽
315 : 제1 캡고정입구 316 : 제2 캡고정입구
320 : 중간판 321 : 중간홀
330 : 상부판 331 : 제2 하부층
332 : 제2 상부층 333 : 제2 격벽
340 : 제1 캡고정공간
345 : 제1 소음저감공간 350 : 제2 캡고정공간
355 : 제2 소음저감공간 400 : 제2 캡
410 : 제2 수용부 411 : 제3 측벽
412 : 제4 측벽 413 : 제2 상부벽
414 : 제2 수용공간 415 : 제2 연통채널
450 : 제2 날개부 500 : 제2 탄성지지체
510 : 제2 탄성지지체의 내주면 520 : 제2 탄성지지체의 외주면
530, 540 : 제2 탄성지지체의 양측면 550 : 제2 소음저감홀
110 : 제1 수용부 111 : 제1 측벽
112 : 제2 측벽 113 : 제1 상부벽
114 : 제1 수용공간 115 : 제1 연통채널
150 : 제1 날개부 200 : 제1 탄성지지체
210 : 제1 탄성지지체의 내주면 220 : 제1 탄성지지체의 외주면
230, 240 : 제1 탄성지지체의 양측면 250 : 제1 소음저감홀
300 : 패널 310 : 하부판
311 : 제1 하부층 312 : 제1 상부층
313 : 제1 격벽
315 : 제1 캡고정입구 316 : 제2 캡고정입구
320 : 중간판 321 : 중간홀
330 : 상부판 331 : 제2 하부층
332 : 제2 상부층 333 : 제2 격벽
340 : 제1 캡고정공간
345 : 제1 소음저감공간 350 : 제2 캡고정공간
355 : 제2 소음저감공간 400 : 제2 캡
410 : 제2 수용부 411 : 제3 측벽
412 : 제4 측벽 413 : 제2 상부벽
414 : 제2 수용공간 415 : 제2 연통채널
450 : 제2 날개부 500 : 제2 탄성지지체
510 : 제2 탄성지지체의 내주면 520 : 제2 탄성지지체의 외주면
530, 540 : 제2 탄성지지체의 양측면 550 : 제2 소음저감홀
Claims (10)
- 슬래브와 바닥표면층 사이에 개재되어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을 방지 또는 저감하도록 이루어지는 방진조립체로서,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패널;
아래로 개구된 제1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패널 내부로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 캡; 및
탄성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제1 소음저감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캡에 지지되고 일부가 상기 패널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1 탄성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중간판;
상기 중간판의 하측에 결합되고,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수평통로가 내부에 구비되는 플라스틱 소재의 하부판;
상기 중간판의 상측에 결합되고,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수평통로가 내부에 구비되는 플라스틱 소재의 상부판;
상기 제1 캡이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개구되는 복수 개의 제1 캡고정공간; 및
상기 제1 캡고정공간의 위쪽 공간으로서, 상기 패널과 상기 제1 캡이 서로 이격되는 제1 소음저감공간;을 포함하는,
바닥용 방진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용 방진조립체는,
아래로 개구된 제2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패널 내부로 끼워져 결합되며, 수평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캡과 반복되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2 캡;
탄성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탄성지지체보다 연질 또는 경질로 이루어지고,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제2 소음저감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캡에 지지되고 일부가 상기 패널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2 탄성지지체;를 포함하는,
바닥용 방진조립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은, 상기 제1 캡이 끼워지는 입구를 이루도록 상하로 관통형성된 제1 캡고정입구 및 상기 제2 캡이 끼워지는 입구를 이루도록 상하로 관통형성된 제2 캡고정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판은, 수평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 개의 중간홀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판의 상측에 적층결합되며,
일부의 상기 중간홀은 상기 제1 캡이 수용되는 제1 중간홀을 이루고, 다른 일부의 상기 중간홀은 상기 제2 캡이 수용되는 제2 중간홀을 이루고, 또 다른 일부의 중간홀은 상기 제1 중간홀과 상기 제2 중간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중간홀을 이루며,
상기 중간판은 발포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바닥용 방진조립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제2 캡이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개구되는 복수 개의 제2 캡고정공간; 및
상기 제2 캡고정공간의 위쪽 공간으로서, 상기 패널과 상기 제2 캡이 서로 이격되는 제2 소음저감공간;을 포함하는,
바닥용 방진조립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은,
상기 제1 수용공간을 이루며 상기 제1 캡고정공간에 삽입되는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1 수용부의 하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패널에 고정되는 제1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캡은,
상기 제2 수용공간을 이루며 상기 제2 캡고정공간에 삽입되는 제2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의 하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패널에 고정되는 제2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소음저감공간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제1 수용부의 중간에서 가장 짧고 상기 제1 수용부의 양쪽으로 갈수록 길어지고,
상기 제2 소음저감공간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제2 수용부의 중간에서 가장 짧고 상기 제2 수용부의 양쪽으로 갈수록 길어지는,
바닥용 방진조립체.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제1 소음저감홀의 관통 방향과 직교하는 면을 이루고, 테두리가 각각 상측으로 볼록한 반원판 형태로 이루어져 서로 나란하게 이격되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의 곡선의 테두리를 서로 연결하고, 내측면의 중앙에 상기 제1 탄성지지체와 접촉하는 수평방향의 제1 지지면이 구비되는 제1 상부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날개부는 상기 제1 측벽, 상기 제2 측벽 및 상기 제1 상부벽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패널의 저면에 밀착결합되고,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제2 소음저감홀의 관통 방향과 직교하는 면을 이루고, 테두리가 각각 상측으로 볼록한 반원판 형태로 이루어져 서로 나란하게 이격되는 제3 측벽 및 제4 측벽;
상기 제3 측벽과 상기 제4 측벽의 곡선의 테두리를 서로 연결하고, 내측면의 중앙에 상기 제2 탄성지지체와 접촉하는 수평방향의 제2 지지면이 구비되는 제2 상부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날개부는 상기 제3 측벽, 상기 제4 측벽 및 상기 제2 상부벽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패널의 저면에 밀착결합되는,
바닥용 방진조립체.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지지체 및 상기 제2 탄성지지체는 각각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탄성지지체의 외경은 상기 제1 수용부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제2 탄성지지체의 외경은 상기 제2 수용부의 내경보다 작은,
바닥용 방진조립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음저감홀은 상기 제1 탄성지지체의 상측으로 치우쳐 형성되어, 상기 제1 탄성지지체의 반경방향 두께는 상측부분이 하측부분보다 얇고,
상기 제2 소음저감홀은 상기 제2 탄성지지체의 상측으로 치우쳐 형성되어, 상기 제2 탄성지지체의 반경방향 두께는 상측부분이 하측부분보다 얇고,
상기 제1 탄성지지체의 대향되는 양측면이 상기 제1 캡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1 탄성지지체의 외주면의 일부는, 상기 제1 캡과 상기 제1 탄성지지체의 사이에서 아래쪽으로 연통되는 제1 연통채널이 구비되도록, 상기 제1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기 제1 캡과 이격되고,
상기 제2 탄성지지체의 대향되는 양측면이 상기 제2 캡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2 탄성지지체의 외주면의 일부는, 상기 제2 캡과 상기 제2 탄성지지체의 사이에서 아래쪽으로 연통되는 제2 연통채널이 구비되도록, 상기 제2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기 제2 캡과 이격되는,
바닥용 방진조립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은,
테두리가 각각 상측으로 볼록한 반원판 형태로 이루어져 서로 나란하게 이격되며, 상기 제1 캡고정공간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의 곡선의 테두리를 서로 연결하고 곡면을 이루며, 상기 제1 캡고정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소음저감공간을 이루도록 상기 패널과 이격되는 제1 상부벽; 및
상기 제1 측벽, 상기 제2 측벽 및 상기 제1 상부벽의 하단에서 절곡되게 연장되고, 상기 패널의 저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제1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캡은,
테두리가 각각 상측으로 볼록한 반원판 형태로 이루어져 서로 나란하게 이격되며, 상기 제2 캡고정공간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3 측벽 및 제4 측벽;
상기 제3 측벽과 상기 제4 측벽의 곡선의 테두리를 서로 연결하고 곡면을 이루며, 상기 제2 캡고정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제2 소음저감공간을 이루도록 상기 패널과 이격되는 제2 상부벽; 및
상기 제3 측벽, 상기 제4 측벽 및 상기 제2 상부벽의 하단에서 절곡되게 연장되고, 상기 패널의 저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제2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지지체는,
외주면이 원형이되 외경이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의 직경보다 작고, 양쪽 측면이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의 내측에 각각 밀착되며, 상기 제1 소음저감홀을 이루는 내주면이 원형이되 상측으로 편심되게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탄성지지체는,
외주면이 원형이되 외경이 상기 제3 측벽 및 상기 제4 측벽의 직경보다 작고, 양쪽 측면이 상기 제3 측벽 및 상기 제4 측벽의 내측에 각각 밀착되며, 상기 제2 소음저감홀을 이루는 내주면이 원형이되 상측으로 편심되게 이루어지는,
바닥용 방진조립체.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은,
제1 하부층;
상기 제1 하부층에서 상측으로 이격되는 제1 상부층; 및
상기 제1 하부층과 상기 제1 상부층을 연결하고 복수 개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1 수평통로를 구획하는 제1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판은,
제2 하부층;
상기 제2 하부층에서 상측으로 이격되는 제2 상부층; 및
상기 제2 하부층과 상기 제2 상부층을 연결하고 복수 개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2 수평통로를 구획하는 제2 격벽을 포함하는,
바닥용 방진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3965A KR102577821B1 (ko) | 2022-01-11 | 2022-01-11 | 바닥용 방진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3965A KR102577821B1 (ko) | 2022-01-11 | 2022-01-11 | 바닥용 방진조립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08501A KR20230108501A (ko) | 2023-07-18 |
KR102577821B1 true KR102577821B1 (ko) | 2023-09-12 |
Family
ID=87423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03965A KR102577821B1 (ko) | 2022-01-11 | 2022-01-11 | 바닥용 방진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77821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3839B1 (ko) * | 2005-12-01 | 2007-02-15 | 엠에스건설(주) | 공동주택 온돌바닥의 중량충격음 소음방지재 |
KR102165602B1 (ko) * | 2020-02-27 | 2020-10-14 | 조창문 | 바닥용 방진조립체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9722B1 (ko) | 2015-08-04 | 2016-08-19 | 조창문 | 바닥용 방진조립체 |
KR20200113757A (ko) * | 2019-03-26 | 2020-10-07 | 김다애 | 층간소음 차단구조의 시공방법 및 그 층간소음 차단구조 |
KR102370085B1 (ko) * | 2019-05-29 | 2022-03-04 |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재 |
-
2022
- 2022-01-11 KR KR1020220003965A patent/KR10257782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3839B1 (ko) * | 2005-12-01 | 2007-02-15 | 엠에스건설(주) | 공동주택 온돌바닥의 중량충격음 소음방지재 |
KR102165602B1 (ko) * | 2020-02-27 | 2020-10-14 | 조창문 | 바닥용 방진조립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08501A (ko) | 2023-07-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65602B1 (ko) | 바닥용 방진조립체 | |
KR100563097B1 (ko) |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 |
KR101589525B1 (ko) | 복층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 |
JP6409137B2 (ja) | 床材 | |
KR100624357B1 (ko) | 띄움바닥 구조를 이루는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완충재 | |
KR102628126B1 (ko) | 바닥용 방진조립체 | |
KR101735764B1 (ko) |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 |
KR20190076174A (ko) | 층간소음방지 메쉬에어볼매트 | |
KR101062268B1 (ko) | 다층건물의 중공층을 갖는 충격음 차단구조 | |
KR102255604B1 (ko) | 층간소음 저감을 위해 벽체-고정 강선케이블을 이용한 뜬바닥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 |
KR200420631Y1 (ko) | 띄움바닥 구조를 이루는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완충재 | |
KR102577821B1 (ko) | 바닥용 방진조립체 | |
KR102543894B1 (ko) | 바닥용 방진조립체 | |
KR100683839B1 (ko) | 공동주택 온돌바닥의 중량충격음 소음방지재 | |
KR101492508B1 (ko) | 건축물의 층간 소음 차단 구조 | |
KR20220017802A (ko) | 이중 뜬바닥 구조를 갖는 층간소음방지용 바닥구조재 | |
KR101094503B1 (ko) | 소음방지부재 | |
KR200385010Y1 (ko) | 층간차음재 | |
KR102194835B1 (ko) | 이중 뜬바닥 구조를 갖는 층간소음방지용 바닥구조재 | |
KR101707643B1 (ko) | 충격흡수용 판넬 | |
KR200374236Y1 (ko) | 건축물 바닥용 조립체 | |
KR101428760B1 (ko) | 층간소음 바닥재 | |
KR20240111120A (ko) | 이중 층간소음 저감구조 | |
KR200391127Y1 (ko) | 아파트의 층간방음구조 | |
KR102667833B1 (ko) | 방진구가 구비된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 완충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