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762Y1 - 원통형 저장탱크의 내부 격벽 구조 - Google Patents

원통형 저장탱크의 내부 격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762Y1
KR200281762Y1 KR2020020012749U KR20020012749U KR200281762Y1 KR 200281762 Y1 KR200281762 Y1 KR 200281762Y1 KR 2020020012749 U KR2020020012749 U KR 2020020012749U KR 20020012749 U KR20020012749 U KR 20020012749U KR 200281762 Y1 KR200281762 Y1 KR 2002817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water
flow
partitions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27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열
Original Assignee
강동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동열 filed Critical 강동열
Priority to KR20200200127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7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7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762Y1/ko
Priority to PCT/KR2002/002346 priority patent/WO2003064290A1/en
Priority to JP2003563926A priority patent/JP4327602B2/ja

Links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로를 갖는 격벽들로 인하여 원활한 물의 회전 유동을 유도함으로써, 물과 염소의 접촉시간을 길게 가져가면서도 약제의 희석 성능을 증가시키는 원통형 저장탱크의 내부 격벽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외벽체에 상판과 바닥판을 밀봉시켜 유체를 담을 수 있도록 구성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서로 다른 직경을 갖고 다단으로 적층시공된 원통유니트들이 축심으로부터 나이테 형상을 갖게 다중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격벽들과, 상기 격벽들에 의해 구획된 챔버로 이루어진 원통형 저장탱크에 저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챔버(118, 128, 138, 148)들에 채워지는 물이 원주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유도하는 경사유동 가이드관(201, 201'), 유입구(204a), 사각 관통공간(205a), 통로(206a, 206a)인 유로가 상기 격벽(111, 112, 113)을 관통하게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원통형 저장탱크의 내부 격벽 구조{INNER BULKHEADS STRUCTURE OF CYLINDER TYPE STORAGE TANK}
본 고안은 원통형 저장탱크의 내부 격벽 구조에 관한 것으로, 물, 유류(油類) 등의 액체를 저장하는 곳에서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며, 특히 고도정수처리시스템의 정수지와 같이 물을 염소 소독하는데 이용되는 원통형 저장탱크의 내부 격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장탱크는 저장한 매체의 사용 규모나 용도에 따라 여러 재질로 제작되고, 그 사용처와 함께 경제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갖는다.
종래 기술에 따른 원통형 저장탱크는 본 출원인이 2002년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272호에 개시한 바와 같이, 상수 또는 중수를 비축하여 다수의 사람들이 사용가능한 대용량 물탱크 또는 고도정수처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다중 격벽을 구비한 원통형 저장탱크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 저장탱크는 지상에 설치되며, 스테인레스 재질로서 원통형 외형상과 내부에 다수의 격벽을 구비하여서 원활한 물의 회전 유동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물과 염소의 접촉시간을 길게 가져가면서도 물의 살균역할을 하는 염소와 같은 약제를 균일하게 희석하도록 되어 있다.
이런 원통형 저장탱크는 지중에 설치한 토대(101)와, 토대(101)의 상부로 지상 1m 높이의 콘크리트 기저부(102)와, 이 기저부(102)에 세워져 있는 원통형 본체(100)로 이루어져 있다. 기저부(102)에는 원통형 본체(100)의 각각의 챔버(chamber)와 관통하고, 챔버의 개수에 대응한 수의 청소관(105)들이 내설되어 있으며, 중앙의 챔버와 관통하는 배수관(106)이 내설되어 있다.
또한, 원통형 본체(100)에는 일반적인 물탱크에서 입수되는 배관이 상단부쪽에 설치된 것과 달리, 지상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위치에 위치한 수원(10: 흡착지)과 관통한 입수관(104)이 하단부쪽에 배관되어 있다. 입수관(104)과 연통하는 배관시설에는 염소투입기(20)가 배관되어서, 수원(10)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에 염소를 투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원통형 본체(100)는 외원주면에 고정되어서 기저부(102)의 상면으로부터 본체 상면까지 연장된 외부사다리(107)와, 상판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 높이로 세워진 난간(107a)과, 각각의 챔버에 대응하게 형성된 공기 배출관(108)과 맨홀(109)을 제공한다.
이런 원통형 본체(100)는 바닥판과 외벽체와 상판으로 구성되며, 대략 높이 4m ∼ 5m, 직경 18m ∼ 20m, 내부 체적 1000㎥ ∼ 1600㎥을 갖는 실제 물 저장 용량 900톤 ∼ 1100톤 급 저장공간을 갖고, 필요에 따라 상기 언급한 용량 보다 소형으로 또는 대형으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원통형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된 격벽은 내부에 나이테 형상을 갖게 다중으로 배열되고 동일 높이의 다중 원통형 벽체 형상을 갖는다. 이런 격벽들은 원통형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었을 때, 나이테 형상의 챔버(chamber)를 본체의 내부에 형성한다.
따라서, 원통형 본체(100)의 내부에서는 입수된 물이 각각의 격벽으로 분할된 첫번째 챔버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채워지고, 이후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된 유입구를 따라 격벽을 월류하여 다음번째 챔버로 순차적으로 채워짐으로써, 입수시에서부터 출수시까지의 시간을 제어할 수 있으며, 본체의 형상이 역시 원통형이므로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유량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격벽은 스테인레스 재질로서 동일형상의 일체형 원통유니트를 적층하여 쌓은 후 용접시공한 것이며, 여기에서 원통유니트는 미리 공장에서 벤딩 가공하여서 튜브형 몸체의 양 끝단에 절곡형성된 플랜지부를 일체로 갖는 것이다. 이런 원통유니트는 본 출원인의 2001년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7648호의 '저장탱크의 플랜지형 원통유니트 제조장치'에 의해 제작되어서, 스테인레스 재질을 갖는 직경 3m 에서 20m 정도의 원통형 저장탱크 조립용 구조재이다. 이런 원통유니트는 적층 시공방법과 용접 시공방법을 통해서 다수의 격벽들과 외벽체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원통형 저장탱크는 단순히 격벽의 소정 위치에 다수의 유입구들을 형성함으로써 물의 유동량과 저장시간을 조절하였지만, 채워지는 물이 각각의 격벽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과하면서 좌우측 방향으로 불규칙하게 퍼져나가기 때문에, 한쪽 원주방향으로의 흐름을 방해하는 쪽으로 저항력이 생기거나, 중앙쪽에서 흐름이 미약한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또한, 종래의 원통형 저장탱크는 다양한 형태의 내부 격벽 구조를 제공하지 못함으로써, 사용 장소에 따른 다양한 스타일의 원통형 저장탱크 제품을 기호가 까다로운 소비자에게 제공하지 못하는 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의 원통형 저장탱크는 격벽으로 각각의 챔버가 분리되어 있어서 청소작업시 출입이 불편하여, 저장탱크의 청소관리가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경사유동 가이드관, 유입구, 사각 관통공간, 통로를 갖는 내부 격벽들로 인하여 원활한 물의 회전 유동을 유도함으로써, 물과 염소의 접촉시간을 길게 가져가면서도 약제의 희석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원통형 저장탱크의 내부 격벽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경사유동 가이드관, 유입구, 사각 관통공간, 통로를 갖는 내부 격벽들을 제공함으로써, 사용 장소에 따른 다양한 스타일의 원통형 저장탱크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원통형 저장탱크의 내부 격벽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원통형 저장탱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저장탱크의 내부 격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원통형 저장탱크의 선 A-A를 따라 절단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내부 격벽 구조의 경사유동 가이드관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내부 격벽 구조의 유입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내부 격벽 구조의 사각 관통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내부 격벽 구조의 단방향 통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6실시예에 따른 내부 격벽 구조의 양방향 통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
111, 112, 113 : 격벽
104, 104' : 입수관
105 : 청소관
106, 106' : 배수관
114 : 외벽체
118, 128, 138, 148 : 챔버
180 : 바닥판
201, 201', 202, 202', 203, 203' : 경사유동 가이드관
204a, 204b, 204c : 유입구
205a, 205b, 205c : 사각 관통공간
260a, 260b, 260c : 단방향 통로
207a, 207b, 208a, 208b, 209a, 209b : 양방향 통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들은 외벽체에 상판과 바닥판을 밀봉시켜 유체를 담을 수 있도록 구성한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서 서로 다른 직경을 갖고 다단으로 적층시공된 원통유니트들이 축심으로부터 나이테 형상을 갖게 다중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격벽들과, 격벽들에 의해 구획된 챔버로 이루어진 원통형 저장탱크의 내부 격벽 구조에 있어서, 챔버들에 채워지는 물이 원주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유도하는 유로가 격벽을 관통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저장탱크의 내부 격벽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유로는 용접시공을 통해서 격벽의 내원주면에 관통하게 고정된 다수의 경사유동 가이드관들로서, 격벽에 형성된 통공에서 각각 내원주면의 접선에 대하여 물의 유동 방향쪽으로 경사지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유동 가이드관들은 챔버를 구획하는 각각의 격벽들의 일측 상단과 하단에 차례로 교차되게 배치됨으로써, 입체 나선형의 물의 유동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로는 용접시공을 통해서 격벽의 외원주면에 관통하고 경사지게 고정된 다수의 경사유동 가이드관들로서, 입수관을 본체의 중심에 배관하고 배수관을 본체의 외곽에 배관하여, 원활한 회전 유동을 유도하면서도 물을 본체의 중앙으로부터 채울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로는 격벽의 일측 부위에 형성된 유입구들로서, 소정 폭을 유지하면서 하단부에서부터 상단부까지 다수로 천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로는 지그재그식으로 서로 반대되게 격벽에 배치된 사각 관통공간들로서, 격벽의 재료로 사용되는 원통유니트의 원주길이를 짧게 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유량으로 월류를 일으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로는 'C'자 구조의 격벽들의 단방향 통로로서, 물의 회전 유동을 유도하면서 챔버들간의 출입이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로는 반원통유니트들을 적층하여 용접한 격벽의 양방향 통로들로서, 십자 방향으로 교차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실시예>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도 2는 원통형 저장탱크의 내부 격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원통형 저장탱크의 선 A-A를 따라 절단한 측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외벽체(114)의 상부와 하부에 상판과 바닥판(180)을 용접하여 유체를 담을 수 있도록 구성하고 유량계(도시 안됨)를 구비하여 적정 저수용량 만큼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원통형 저장탱크의 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된다.
원통형 저장탱크의 본체(100)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원통유니트들을 다단으로 적층 시공하여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외벽체(114)와 함께 상판을 지지하는 구조재의 역할을 담당하는 격벽(111, 112, 113)들을 갖는다. 이런 격벽(111, 112, 113)들은 본체(100)의 축심으로부터 나이테 형상을 갖게 다중으로 배열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본체(100)의 내부 공간을 다수의 챔버(118, 128, 138, 148)로 분할한다.
특히, 본 고안 전체에서 격벽(111, 112, 113)들은 유체 유동을 위해서 다양하게 고안된 '유로(流路)'와 같은 경사유동 가이드관(201, 202, 203)들과, 격벽의 설치 재료가 되는 원통유니트들을 다단으로 적층 시공 후 점 용접할 때, 점 용접이 되어 있지 않은 부위(도 3의 도면부호 120, 121, 122 참조)를 형성하고 있다.
예컨대, 제 1격벽(111)의 내원주면에는 다수의 제 1경사유동 가이드관(201)들이 용접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런 제 1경사유동 가이드관(201)들은 원주방향으로 5 ∼ 10개 정도가 입수관(104)의 반대편에 배열되어있으며, 제 2챔버(128)의 물이 제 1챔버(118)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관통하게 배관되어 있다.
또한, 제 1경사유동 가이드관(201)들은, 확대 도시한 점선 원의 내부에 보이듯이, 제 1격벽(111)에 형성된 통공(119)에서 내원주면의 접선에 대하여 물의 유동 방향쪽으로 경사진 관의 축선 사이에 소정의 고정각()을 갖도록 용접된다. 고정각()은 물의 흐름을 원주방향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담당할 뿐 그 각도의 변화에 따라 물의 흐름 속도에 거의 관여하지 않기 때문에 각도 30° ∼ 45°정도이면 충분하다. 또한, 제 1경사유동 가이드관(201)들의 개수와 내경은 입수관의 내경에 대응하게 계산되어서, 입수되는 물의 양이 역류됨 없이 유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방식과 동일하게 제 2격벽(112)과 제 3격벽(113)에도 동일한 고정각을 갖게 제 2, 제 3경사유동 가이드관(202, 203)들이 내원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때, 제 1경사유동 가이드관(201)의 반대편으로 제 2경사유동 가이드관(202)은 제 2격벽(112)의 내원주면에 관통하게 고정되며, 이런 제 2경사유동 가이드관(202)의 반대편으로 제 3경사유동 가이드관(203)은 제 3격벽(113)의 내원주면에 관통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외벽체(114)는 상기 격벽(111, 112, 113)들과 동일하게 원통유니트들을 다단으로 적층 시공하고, 각각 접촉 원주부위를 용접하여 밀봉하며, 외원주면에 단열재를 감싸서 단열처리를 한 후, 알루미늄 박판으로 단열재의 외원주면을 감싸 고정함으로써 완성된다.
이런 외벽체(114)의 외측면에는 입수관(104)이 관통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본체(100)의 내부로 외부 수원의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배관되어 있다. 이때 입수관(104)의 배출부위(104a)는 각도 45°∼ 90°로 꺾여 있어서 배출되는 물을 제 4챔버(148)의 원주방향(도면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체(100)의 내부에서는 입수관(104)을 통한 입수(Water In : W/I)시, 배출부위(104a)에 의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유동 흐름(a)이 생기고, 경사지게 고정된 경사유동 가이드관(201, 202, 203)들을 따라 차례로 물이 월류하며, 이때 물은 매우 원활한 유동 흐름(b, c, d)을 유지하면서 각각의 챔버(118, 128, 138, 148)에 채워지고, 본체(100)의 저수용량만큼 다 채워진 후 배수밸브가 개방되었을 때 배수관(106)으로 빠져나가게 된다(Water Out : W/O).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유동 가이드관(201, 202, 203)은 각각의 챔버(118, 128, 138, 148)를 구획하는 각각의 격벽(111, 112, 113)들에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례로 교차되게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은 입체 나선형의 물의 유동(e)을 갖게 된다.
예컨대 차례로 교차되게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한다는 의미는 제 1격벽(111)의 우측 상단에는 제 1경사유동 가이드관(201)이 배치되며, 제 2격벽(112)의 좌측 하단에는 제 2경사유동 가이드관(202)이 배치되고, 제 3격벽(113)의 우측 상단에는 제 3경사유동 가이드관(203)이 배치되고, 외벽체(114)의 좌측 하단에는 입수관(104)이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입수된 물은 제 4챔버(148)에 채워지면서 원주방향으로 돌면서 채워지고 점 용접이 되어 있지 않은 부위(120)들을 통해서 조금씩 제 3챔버(138)로 월류하게 된다. 그리고 월류하는 유량에 비해서 입수관(104)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양이 많기 때문에 제 4챔버(148)에서는 물이 점차적으로 차 오르게 되며, 이후 제 3경사유동 가이드관(203)의 고정위치까지 물수위가 올라오면, 물은 제 3경사유동 가이드관(203)을 통해 제 3챔버(138)로 흘러내린다.
계속해서 제 3챔버(138)에 채워지는 물은 제 3경사유동 가이드관(203)에 의해서 한쪽 원주방향(반시계 방향)으로 유동하게 되고, 이후 제 2경사유동 가이드관(202)을 통해 제 2챔버(128)로 유입된다.
또한, 제 2챔버(128)에 물이 채워지고 물수위가 제 1경사유동 가이드관(201)의 고정위치까지 올라오면, 물은 제 1경사유동 가이드관(201)을 통해서 제 1챔버(118)로 유입된다.
한편 각각의 격벽(111, 112, 113)들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점 용접이 되어 있지 않은 부위(120, 121, 122)들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본체(100)의 하부쪽부터 점차적으로 물을 채울 수 있으며, 또한 경사유동 가이드관(201, 202, 203)의 역할에 따라 물의 유동을 각각의 챔버(118, 128, 138, 148) 내부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물의 유동을 일으키면서 약제를 장시간 동안 희석시킨다.
물론 경사유동 가이드관(201, 202, 203)을 앞서 설명한 방식과 달리 반대의 경사 방향으로 고정시키고, 입수관(104)의 배출부위를 시계 방향으로 꺾은 경우, 물의 유동을 시계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것도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관의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각각의 챔버(118, 128, 138, 148)에서의 물의 유동 방향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본 고안의 제품 제작시에 설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2실시예>
본 실시예의 도 4는 내부 격벽 구조에서 경사유동 가이드관의 배치관계에 따라 변경되는 물의 입수 및 출수 방향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제 1실시예의 원통형 저장탱크에 적용되는 것이므로, 도 2 내지 도 4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각각의 경사유동 가이드관(201, 202, 203)들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달리 각각의 격벽(111, 112, 113)의 외원주면에 관통하고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부 수원에 연결된 입수관(104')은 본체(100)의 중앙, 즉 제 1챔버(118)의 바닥면에 배관되며, 외부 배수로와 연결된 배수관(106')은 본체(100)의 외곽, 즉 제 4챔버(148)의 바닥면에 배관되어 있다.
이는 저장탱크의 내부로 물이 채워질 때, 제 1챔버(118)로 입수(W/I)되고, 차례로 제 2, 제 3, 제 4챔버(128, 138, 148)에 물이 채워진 후, 배수관(106')을 통해서 외부로 출수(W/O)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물은 본체(100)의 중심으로부터 제 1, 제 2, 제 3, 제 4챔버(118, 128, 138, 148)를 차례로 채우면서 원주방향으로 매우 원활한 유동 흐름(b, c, d)을 유지하게 된다.
<제 3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고안의 원통형 저장탱크의 내부 격벽 구조는 유로의 역할을 하는 다수의 유입구들을 소정폭으로 격벽의 일측 하단부에서부터 상단부까지 형성하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앞서 실시예들과 동일하며,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되고, 이것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내부 격벽 구조는 종래의 유입구와 달리, 각각의 격벽(111, 112, 113)의 일측 부위에 다수의 유입구(204a, 204b, 204c)들이 소정 폭을 유지하면서 다수로 천공되어 있다.
이들 유입구(204a, 204b, 204c)들은 격벽(111, 112, 113)의 하단부에서부터 상단부까지 거의 일자에 가깝게 다수로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반대되는 일측 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예컨대, 제 1격벽(111)에는 도면에서 보이듯이 우측 부위에 유입구(204a)들이 배치되며, 제 2격벽(112)에는 좌측 부위에 유입구(204b)들이 배치되고, 다시 제 3격벽(113)에는 우측 부위에 유입구(204c)들이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유입구(204a, 204b, 204c)들이 서로 반대되는 측에 배치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입수관(104)으로부터 배수관(106)까지 물이 회전하면서 유동(i, j)할 수 있고, 각각의 챔버(118, 128, 138, 148)에 거의 비슷하게 물이 채워질 수 있는 효과가 있어서 물과 약제가 장시간 고르게 희석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제 4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고안의 원통형 저장탱크의 내부 격벽 구조는 채워지는 물이 월류할 수 있도록 유로의 역할을 하는 사각 관통공간을 격벽의 상부또는 하부에 배치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앞서 실시예들과 유사하거나 동일하므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되고, 이것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도 역시 생략될 것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챔버(118, 128, 138, 148)를 구획하고 있는 외벽체(114)와 격벽(111, 112, 113)들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체형 원통유니트들을 적층 후 용접한 것이다. 그리고, 이런 원통유니트들은 본 출원인에 의한 '저장탱크의 플랜지형 원통유니트 제조장치'에 의해서 매우 용이하게 대량 제작될 수 있으나, 여기에 다수의 유입구들을 천공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거나 작업량이 많아 제품 단가 상승에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저장탱크의 플랜지형 원통유니트 제조장치를 통해서 원통유니트를 제작할 때 일부 원통유니트를 다른 원통유니트의 원주길이보다 짧게 만들어서 유로를 형성하는 공법을 제공한다.
예컨대, 제 3격벽(113)의 경우 하단의 제 1원통유니트 내지 제 3원통유니트(117)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원주길이를 갖는 월류용 제 4원통유니트(116)를 적층시공 후 용접함으로써, 제 3격벽(113)의 일측에 사각 관통공간(205c)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 1격벽(111)의 경우 도면에서 보이듯이 우측 상단 원통유니트에 사각 관통공간(205a)이 형성되며, 제 2격벽(112)의 경우 좌측 하단 원통유니트에 사각 관통공간(205b)이 형성된다.
이렇게 사각 관통공간(205a, 205b, 205c)들이 지그재그식으로 서로 반대되게격벽(111, 112, 113)에 배치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입수관(104)으로부터 배수관(106)까지 물이 회전 및 월류하면서 유동(k, l)할 수 있고, 각각의 챔버(118, 128, 138, 148)에 순차적으로 물이 채워지면서 물과 약제를 장시간 동안 균일하게 희석시킴과 동시에, 기존에 유입구 내지 유입관을 통한 유량 보다 대량으로 월류를 일으킬 수 있고, 제작 단가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제 5실시예>
도면에서, 도 7은 본 고안의 내부 격벽 구조에서 유로의 역할을 하는 단방향 통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본체(100)의 내부는 'C'자 구조의 격벽(111', 112', 113')들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 나이테 형상의 챔버(118, 128, 138, 148)를 형성하고 있다.
격벽(111', 112', 113')들은 소정 폭으로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일자로 개방된 단방향 통로(260a, 260b, 260c)를 서로 일치하지 않게 배치하고 있다. 이런 관리자가 청소관리를 위해서 상판의 맨홀을 통해 저장탱크의 본체 내부로 들어갈 경우, 격벽(111', 112', 113')의 단방향 통로(260a, 260b, 260c)를 통해서 자유롭게 챔버들을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격벽(111', 112', 113')들은 'C'자 구조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거의 동시에 물이 각각의 챔버(118, 128, 138, 148)에 채워지지만 물의 흐름을 원주방향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담당하기에 충분하다.
<제 6실시예>
도면에서, 도 8은 본 고안의 내부 격벽 구조에서 유로의 역할을 하는 양방향 통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본체(100)의 내부에는 앞서 제 5실시예와 유사한 구조로서, 각각의 격벽에 양방향 통로(207a, 207b, 208a, 208b, 209a, 209b)들이 십자 방향으로 교차되게 배치되어 있고, 이들은 인접하는 챔버들을 서로 연결하는 통로 및 유로의 역할을 담당한다.
이런 양방향 통로(207a, 207b, 208a, 208b, 209a, 209b)들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저장탱크의 플랜지형 원통유니트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원통유니트보다 절반 정도의 원주길이를 갖는 반원통유니트들을 격벽의 사이즈별로 제작 후, 실제 저장탱크의 설치시 바닥판의 상면에 각각 적층 용접시공하여 각각의 격벽들을 설치할 때, 각각의 반원통유니트들 사이에 서로 마주보는 두개의 양방향 통로(207a, 207b, 208a, 208b, 209a, 209b)들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형성된 양방향 통로(207a, 207b, 208a, 208b, 209a, 209b)들은 챔버 내부로 채워지는 물의 흐름을 원주방향과 십자방향으로 유도하는 역할과 함께 본체(100)의 상판을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통형 저장탱크의 내부 격벽 구조는 경사유동 가이드관, 유입구, 사각 관통공간, 통로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어서, 물의 유동 방향과 유동량과 저장시간을 조절하고, 다양한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충분히 만족시킴으로써 산업분야에 널리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원통형 저장탱크의 내부 격벽 구조는 원통유니트를 적층시공하여 제작함으로써, 대용량 저수조의 건설이 짧은 공사기간 내에 제작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원통형 저장탱크의 내부 격벽 구조는 외벽체와 함께 구조재의 역할과 함께 동시에, 다양한 형태로 물을 회전 유동시키면서 물과 약제가 균일하게 희석되도록 하여, 몸에 해롭지 않은 깨끗한 물을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원통형 저장탱크의 내부 격벽 구조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스트립을 일체형으로 절곡성형한 원통유니트를 적층시공함으로써, 공사기간 단축을 실현함과 함께 구조적 강성을 배가한 원통형 구조로서 외부 개방형 저수조의 시공을 실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원통형 저장탱크의 내부 격벽 구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8)

  1. 외벽체에 상판과 바닥판을 밀봉시켜 유체를 담을 수 있도록 구성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서로 다른 직경을 갖고 다단으로 적층시공된 원통유니트들이 축심으로부터 나이테 형상을 갖게 다중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격벽들과, 상기 격벽들에 의해 구획된 챔버로 이루어진 원통형 저장탱크의 내부 격벽 구조에 있어서,
    상기 챔버(118, 128, 138, 148)들에 채워지는 물이 원주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유도하는 유로가 상기 격벽(111, 112, 113)을 관통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저장탱크의 내부 격벽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용접시공을 통해서 상기 격벽(111, 112, 113)의 내원주면에 관통하게 고정된 다수의 경사유동 가이드관(201, 202, 203)들로서, 상기 격벽(111, 112, 113)에 형성된 통공(119)에서 각각 내원주면의 접선에 대하여 물의 유동 방향쪽으로 경사지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저장탱크의 내부 격벽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유동 가이드관(201, 202, 203)들은 상기 챔버(118, 128, 138, 148)를 구획하는 각각의 격벽(111, 112, 113)들의 일측 상단과 하단에 차례로 교차되게 배치됨으로써, 입체 나선형의 물의 유동(e)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저장탱크의 내부 격벽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용접시공을 통해서 상기 격벽(111, 112, 113)의 외원주면에 관통하고 경사지게 고정된 다수의 경사유동 가이드관(201', 202', 203')들로서, 입수관(104')을 상기 본체(100)의 중심에 배관하고 배수관(106')을 상기 본체(100)의 외곽에 배관하여, 원활한 회전 유동을 유도하면서도 물을 상기 본체(100)의 중앙으로부터 채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저장탱크의 내부 격벽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격벽(111, 112, 113)의 일측 부위에 형성된 유입구(204a, 204b, 204c)들로서, 소정 폭을 유지하면서 하단부에서부터 상단부까지 다수로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저장탱크의 내부 격벽 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지그재그식으로 서로 반대되게 격벽(111, 112, 113)에 배치된 사각 관통공간(205a, 205b, 205c)들로서, 상기 격벽(111, 112, 113)의 재료로 사용되는 상기 원통유니트의 원주길이를 짧게 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유량으로 월류를 일으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저장탱크의 내부 격벽 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C'자 구조의 격벽(111', 112', 113')들의 단방향 통로(260a, 260b, 260c)로서, 물의 회전 유동을 유도하면서 상기 챔버(118, 128, 138, 148)들간의 출입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저장탱크의 내부 격벽 구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반원통유니트들을 적층하여 용접한 격벽의 양방향 통로(207a, 207b, 208a, 208b, 209a, 209b)들로서, 십자 방향으로 교차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저장탱크의 내부 격벽 구조.
KR2020020012749U 2002-01-24 2002-04-26 원통형 저장탱크의 내부 격벽 구조 KR2002817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749U KR200281762Y1 (ko) 2002-04-26 2002-04-26 원통형 저장탱크의 내부 격벽 구조
PCT/KR2002/002346 WO2003064290A1 (en) 2002-01-24 2002-12-12 Liquid reservoir tank with multiple partition walls
JP2003563926A JP4327602B2 (ja) 2002-01-24 2002-12-12 多重隔壁を有する液体貯蔵タン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749U KR200281762Y1 (ko) 2002-04-26 2002-04-26 원통형 저장탱크의 내부 격벽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762Y1 true KR200281762Y1 (ko) 2002-07-13

Family

ID=73075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749U KR200281762Y1 (ko) 2002-01-24 2002-04-26 원통형 저장탱크의 내부 격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76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442B1 (ko) 2010-07-06 2011-01-05 한삼코라(주) 회전수류 입수관의 다수격벽 원통형 물탱크
KR101115398B1 (ko) 2010-12-14 2012-02-15 김여선 불순물 차단 기능을 갖춘 스테인레스 스틸 원통유니트 조립형 원형 물탱크
KR102070177B1 (ko) 2019-11-21 2020-01-28 이수행 다중탱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442B1 (ko) 2010-07-06 2011-01-05 한삼코라(주) 회전수류 입수관의 다수격벽 원통형 물탱크
KR101115398B1 (ko) 2010-12-14 2012-02-15 김여선 불순물 차단 기능을 갖춘 스테인레스 스틸 원통유니트 조립형 원형 물탱크
KR102070177B1 (ko) 2019-11-21 2020-01-28 이수행 다중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515946A (ja) 多重隔壁を有する液体貯蔵タンク
KR20030007786A (ko) 다층으로된 바스 콘덴서
WO2009072796A2 (en) The disk rotary motion device by buoyancy
DE102006008379B4 (de) Rohrsystem zur Abwasserentsorgung und Wärmerückgewinnung
KR200281762Y1 (ko) 원통형 저장탱크의 내부 격벽 구조
KR101044475B1 (ko) 도류벽이 구비된 물탱크
US4537678A (en) Rotary biological contactor
JP2003279288A (ja) 熱交換器の流通チューブ支持体
KR101886677B1 (ko) 회전수류를 발생시키는 연접구조형 물탱크
KR20080052013A (ko) 회류유도형 원통저수조
US20230175786A1 (en) Exchanger device
ES2615633T3 (es) Conjunto de descarga
JP3998100B1 (ja) 管・充填物ユニット、内部熱交換型蒸留塔およびその製造方法
ATE430908T1 (de) Wärmetauscher mit einer mehrzahl von rohrelementen
KR20130045027A (ko) 블록식 우수 저류조
KR100486852B1 (ko) 저장탱크를 이용한 배수지
KR100399488B1 (ko) 다중 격벽을 구비한 원통형 저장탱크
JP7188990B2 (ja) 縦管構造体
KR200271280Y1 (ko) 다중 격벽을 구비한 원통형 저장탱크
EP0578852B1 (en) A sewage well or a small sewage purification plant
KR102293696B1 (ko) 무도류벽 자연순환수류 구조의 원통 물탱크
KR20210155683A (ko) 다수 원형 연접 구조의 웨이브 물탱크
KR101998989B1 (ko) 다층형 용수저장탱크
AU2004212549A1 (en) Improved (shower drain) heat exchanger
KR100764817B1 (ko) 원통형 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