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5442B1 - 회전수류 입수관의 다수격벽 원통형 물탱크 - Google Patents

회전수류 입수관의 다수격벽 원통형 물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5442B1
KR101005442B1 KR1020100064708A KR20100064708A KR101005442B1 KR 101005442 B1 KR101005442 B1 KR 101005442B1 KR 1020100064708 A KR1020100064708 A KR 1020100064708A KR 20100064708 A KR20100064708 A KR 20100064708A KR 101005442 B1 KR101005442 B1 KR 101005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water tank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수
Original Assignee
한삼코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삼코라(주) filed Critical 한삼코라(주)
Priority to KR1020100064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06Large containers rigid cylindrical
    • B65D88/08Large containers rigid cylindrical with a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4Contents retaining means
    • B65D90/0066Partition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93Devic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of the container and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26Overfill preven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Abstract

본 발명은 대용량의 원통형 물탱크 내부에 도류벽기능의 스파이럴격벽을 갖는 기존의 방법을 대신하여 지름이 다른 내부의 다수격벽 일부를 개구하고 격벽끼리는 연결하는 방법에서 곡면차단벽을 다음 격벽과 연결하여 스파이럴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면서도 곡면 차단벽에 연결된 격벽 소정의 구간에 파이프를 연속 부착한 요철격벽으로 하여 일 방향으로 흐르는 물이 요철격벽에 부딪치면서 물과 약제의 희석 능력을 향상시키고 출수압에 의해 격벽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서는 회전수류에 의해 물이 저장되도록 격벽을 지지하고 있는 입수관을 상부에서 유턴한 다음 수평으로 분기된 다수의 수평 출수구를 두어 입수 시에 수평 출수함으로서 저층수의 물도 흐르는 기술 요소를 갖는다. 한편 격벽 개구로 인한 격벽 변형과 대형 탱크로서 지붕 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격벽에 적층되는 유닛상단 이형플랜지에 원호형 프레임으로 안착하여 개구부 상층부를 건너 연결함으로서 떨어진 격벽을 상호 지지하고 정중앙에는 오버관을 설치하여 최상단 플랜지에 방사형 프레임을 외벽체 상단부의 사각 원호형 프레임까지 연결함으로서 구조적 안정성을 갖는다.

Description

회전수류 입수관의 다수격벽 원통형 물탱크{Rotation Water flow influx pipe's multiple wall Cylindrical water tank}
본 발명은 원통형 물탱크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수도 배수지 또는 마을 상수도에 물을 저장하는 스테인리스 원통형 물탱크에 적용되는 것으로 저장 톤수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대용량 물탱크의 내부에 다수격벽을 설치하여 내부의 다수격벽 일부를 개구하고 격벽끼리 곡면차단벽을 연결하여 스파이럴과 유사한 형상을 갖으며, 회전수류에 의해 물이 저장되도록 하여 체류수를 방지하고 정중앙에 오버관이 있어 방사형 보강대를 설치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갖는 회전수류 입수관의 다수격벽 원통형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상수도에 물을 저장하는 스테인리스 원통형 물탱크에 있어, 저장 톤수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내부에 다수의 격벽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용량이 커짐에 따라 수조 내에 물이 정체되는 체류구간이 늘게 되고 이에 따른 물의 유동현상에 대한 기술은 약제의 희석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만 일부 있었지 체류수를 근원적으로 없애는 것은 전무 하였다. 체류수란 물의 정체구간을 말하는 것으로 물의 흐름에 제외되는 코너, 반대편, 저층구간 등이 이에 해당된다.
따라서 지금까지 용량을 기준으로 하는 양적인 톤수 규모만 존재한 저장탱크 내에 담수 되는 물이 체류수를 가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었다.
이러한 체류수가 발생하는 기존의 원통형 물탱크는 대체적으로 입.배수관 설치구조에 기인한 것이 많다. 즉 시공 편의를 위해 입.배수관을 전면 측방으로 구성하거나 수직의 입수관에 출구를 엘보우 형태로 하는 것 등으로 반대편 또는 저층수에 체류수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한편, 일방향의 유체 흐름을 갖기 위하여 스파이럴 형태의 내부격벽을 설치하는 경우 내부격벽을 지지하는 구성요소가 없어 출수압에 의해 격벽이 파손되거나 변형 가능성이 있는 것도 문제점으로 나타나게 된다. 일례로 대한민국 특허 10-0399488호 다중격벽을 구비한 원통형 저장탱크 청구항 7을 살펴보면 스파이럴 형상이 내부격벽을 지지하지 못하여 출수압에 격벽이 변형될 수 있는 구조적 취약성을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의 스파이럴 형상은 용량이 커서 천장부를 받쳐주는 방사형 보강 대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모양이 코일 형태로 되어있어 지름이 서로 다른 원호 형 보강대를 격벽 최상단에 안착시킬 수 없어 천장부 보강대 설치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의 기술인 스파이럴형상의 내부격벽을 가진 특허등록 제 10-0399488호 다중격벽을 구비한 원통형 저장탱크 청구항 7의 도면으로 입수관은 외측에 배수관은 중앙에 설치되고 격벽을 지지하지 못하여 출수압에 의한 격벽 파손 및 변형의 우려가 있으며 격벽 최상부에 원호형 프레임을 장착할 수가 없어 따라서 천장부를 받쳐주는 방사형 프레임을 설치가 불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도1a는 일반적인 물탱크로 입.배수관을 전면 측방에 구성하여 입.배수시 반대편에는 항상 체류수가 발생할 수 있는 구조의 도면으로 입수관이 엘보우형으로 되어 있어 물이 수직으로 낙하하면서 담수하고 배수하여 반대측은 체류수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수류를 발생하는 입수관(200)을 통하여 저층수의 물도 이동 및 저장되도록 하기 위해, 다수격벽(611,612,613)을 일부를 개구하고 곡면차단벽을 만들어 스파이럴형상(도5)과 유사 형상을 가지면서 일방향의 유체 흐름을 갖는 격벽 흐름에서 곡면차단 벽을 이용 소정의 구간에 형성된 요철격벽에 물과 약제의 희석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입수관(200)은 1격벽(611)을 지지한다.
또한, 또한, 본 발명에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의 중앙에는 오버관(300)이 설치되고, 도 7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관(300)의 최상단 플랜지(331)의 방사형 프레임(332)이 외벽체(614) 및 내부격벽(611,612,613)의 상부에 있는 동형플랜지(614b)의 보강판(643)에 안착된 사각 원호형 프레임(724)과 원호형 보강대(710,720,730)에 연결되는 천장부를 형성함으로서 구조적으로 안정하고 체류수가 없는 원통형 물탱크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층수의 물도 흐르는 회전 수류의 저장방법을 갖는 원통형 물탱크에서, 내부에는 일방향의 물 흐름을 유도하기 위하여 기존에 지름이 다른 다수의 원형 격벽에 일부를 개구하고 격벽끼리는 곡면차단벽을 두어 흡사 스파이럴형상과 유사한 내부격벽(611,612,613)을 만드는데 있다.
따라서 이를 제작하기 위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매트(110)위에 STS(Stainless Steel) 하판(120)을 깔고 그어진 원주선에 따라 원형유닛이 아래부터 적층 시공하되 바닥판이 콘크리트 알칼리 화학반응에 의하여 긁힌 부위 및 용접부분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콜타르 모래(130)를 2-5㎝ 깔고 시공하는 것이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5의 외벽체(614) 및 내부격벽(611,612,613)의 상부유닛에 도 9 또는 도 10의 사각 원호형 프레임(724)과 도 11의 원호형 보강대(710,720,730)가 안착된 후 지붕판(630)이 덮어지고 STS 하판(120)과 외벽체(614)와 내부격벽(611,612,613)의 접합부는 용접으로 밀봉되어 물을 담수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5에서 중앙의 1챔버를 구성하는 1격벽(611) 일부를 개구하고 2격벽(612)에 반원형 같은 곡면차단 벽을 연결하는 것과 2격벽(612) 일부를 개구하고 2격벽(612)과 3격벽(613)에 곡면차단 벽을 연결하고 3격벽(613) 일부를 개구하고 3격벽(613)과 외벽체(614)와를 연결하여 지름이 서로 다른 다수격벽을 흡사 스파이럴형상(도5)과 비슷한 내부격벽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서 입수하여 외측으로 배수되는 흐름을 가지고 약제와 물의 희석능력 즉 CT값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입수관(200)의 분기된 다수의 수평 출수구(220) 내부에 하나 이상의 유도판(221)을 두어 물이 출수 시에 회전하게 되어 물과 약제가 잘 섞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격벽(611)과 2격벽(612)을 연결한 곡면차단벽(611a)에 연결된 2격벽(612) 소정의 구간에 민판인 격벽에 봉 파이프가 수직으로 정렬되고 부착되는 요철격벽(421)을 만들어 물이 흘러가면서 곡면차단벽(611a)으로 인하여 곡면쪽에 물이 빨라지는 베르누이정리에 의해 요철격벽(421)에 물이 부딪치면서 포말 및 미세 와류현상이 발생하여 민판에 비하여 뛰어난 약제의 희석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3격벽(613)과 외벽체(614)에도 요철격벽(422,423)이 있어 같은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개구된 곡면차단벽(611a,612a,613a)은 개구로 인하여 출수압에 의한 파손 및 변형 가능성이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지지가 필요하며 따라서 1격벽(611)의 개구 절단면에 수직의 입수관을 붙히고 용접하여 1격벽의 지지효과를 낸다.
이후, 입수관을 유턴하여 격벽과 비례방향으로 다수의 분기된 수평 출수구(220)를 두어 1챔버(621)의 물이 입수될 때 수평으로 회전하게 하며, 유턴하는 입수관(200)의 사이에는 유도벽(230)이 있어 수평으로 출수되는 1챔버(621)의 물이 2챔버(622)로 잘 빠져나가도록 유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구되는 격벽끼리 상부에서 서로 지지할 수 있도록 내부격벽의 유닛접합부를 본 출원인이 갖고 있는 등록실용 20-0348321호 기술인 도 10에 도시된 이형플랜지(614a)를 사용하여, 내부격벽(611,612,613) 상부유닛의 이형플랜지(614a)에 도 11의 원호형 보강대(710,720,730)가 점용접으로 원호 형으로 안착하여 개구부가 이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외벽체나 내부격벽 상단유닛의 이형플랜지(614a)에 안착된 원호형 보강대(710,720,730)가 1챔버(621) 중앙의 오버관(300) 상부에 있는 최상단 플랜지(331)에 방사형으로 형성된 방사형 프레임(332)에 용접되어 구조물을 형성하여 지붕판(630)을 얹음으로써 격벽이 구조적으로 튼튼하고 폭설 등에 의한 지붕침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유닛의 접합부를 도 9의 이형플랜지가 아닌 도 10의 동형플랜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형플랜지(614a)가 갖는 보강재(624) 안착과 내압성 효과를 위하여 접합되는 플랜지 외측에 소정의 폭을 갖는 보강판(641,642,643)으로 둘레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도 9의 이형플랜지(614a)가 상부유닛 상단에는 원호형 보강대(710,720,730)를 안착시키고 외벽체(614)의 이형플랜지 둘레판에 S자 클립(671,672,673)을 사용하여 보온재(651,652,653) 및 알루미늄 외장재(661,662,663)의 부착에 이용할 수 있는 것처럼 도 10의 동형플랜지(614b)에도 이형플랜지(614a)처럼 둘레면을 형성하는 보강판(641,642,643)을 점용접으로 부착하여 보온재(651,652,653)를 유닛의 상하보강대에 삽입하여 부착할 수 있고 알루미늄 외장재(661,662,663)는 S자 클립(671,672,673)으로 보강판(641,642,643)에 물리적으로 고정되게 함으로서 튼튼하고 미려하게 알루미늄 외장재(661,662,663)를 부착하는 기술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관(200)의 구조가 유턴되어 다수의 수평 출수구(220)로 출수됨으로서 유효수위 아래 저층수에 있는 물도 이동하게 되며 수면이 출수구와 높이가 같아질 때는 출수되는 물과 공기가 수면에서 파열되어 물속에 용존 산소가 풍부해지는 것도 본 발명에서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관(200)의 수평 출수구(220)가 1챔버(621)의 측방에서 격벽(611)과 비례방향으로 되어있어 입수시 회전수류에 의한 저장을 하게 되고 따라서 1격벽(611) 개구를 통하여 일방향의 흐름으로 계속 물이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저층수의 물도 이동하게 됨에 따라 바닥의 침전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3격벽(611,612,613)의 STS 하판(120)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가로방향의 직사각 맨홀(131,132,133)이 설치되고 맨홀 바닥에는 청소관(141)이 연결되어 효율적으로 침전물을 제거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설치되는 오버관(300)의 상단부에 방사형으로 형성된 방사형 프레임(332)이 용접된 최상단 플랜지(331) 아래에 또 하나의 상부 플랜지(321,323)를 구성하되 플랜지 사이에는 소형 파이프(322)로 통공이 될 수 있는 둘레 면을 형성하여 아래로는 물이 오버되게 하고 위로는 가스가 배출되도록 하는 2개의 기능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별도의 ┣ 로 분기된 오버관을 구성할 필요가 없으며 플랜지(323)에서 연결된 상부배관에 벤츄레타(340)를 장착하여 환기기능을 겸하면서 지붕판(630)을 받쳐주는 방사형 프레임(332)이 지지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물탱크는 도 2 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의 기본 구성요소인 지붕판(630)을 출입할 수 있는 외부사다리(510)와 지붕판(630)에서 내부를 출입할 수 있는 맨홀(530)과 내부사다리(540)를 포함하는 탱크로서, 도 3a와 같이, 내부격벽을 설치하지 않는 단일 챔버 구조인 경우에는 오버관(300)을 측방으로 설치하고 중앙에는 청소관(141)으로 대신하여 물의 회전시 원심작용에 의하여 중앙에 침전물이 모이게 한다. 따라서 소정의 깊이를 갖는 원형맨홀(131a)을 중앙에 구성되고 맨홀바닥에 청소 관이 있어 효율적으로 침전물을 제거할 수 있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회전수류를 발생하는 입수관(200)을 갖는 다수격벽 원통형 물탱크로 1챔버(621) 내부에서 출수되는 수평 출수구(220)로 인하여 회전수류로 저장되면서 2챔버(622)로 빠져나가면서 3챔버(623)를 거쳐 4챔버(624)로 일방향의 흐름을 가지면서 저층수의 물도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유동현상은 격벽차단벽이 곡면으로 되어있어 외측쪽의 물의 흐름이 빨라지고 따라서 2.3격벽(612,613) 및 외벽체(614)의 소정의 구간에 설치된 요철격벽(421,422,423)에 물이 부딪치면서 약제와 물의 희석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입수관(200)에 분기된 다수의 수평 출수구(220)로 인하여 수면이 상승함에 따라 계속하여 출수되는 물과 공기가 파열되어 공기방울에 의한 용존산소가 풍부해지고 회전수류로 인하여 저층수의 물도 이동하게 됨으로서 침전물의 제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갖는 이러한 기술요소는 원통형 물탱크에서 내측에서 회전수류로 인하여 저장되고 외측을 향해 저층수까지 일방향으로 흘러가므로 체류수가 발생하지 않으며 먼저 입수되는 물이 먼저 배수될 수 있는 유체거동이 이루어지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한편 저층수의 물이 이동함으로 격벽 개구부 바닥에 침전물 제거를 위한 직사각맨홀(131,132,133)을 설치하여 침전물이 산재되지 않고 맨홀에서 걸러지게 하여 맨홀 바닥의 청소관(141)을 통해 침전물을 효율성 있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내부 격벽을 개구함에 따라 격벽지지가 되지 않아 출수압에 의한 파손 및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우려를 본 발명에서는 입수관(200)에 격벽(611)을 지지하게 하고 개구된 격벽 상부가 이형플랜지(614a)에 안착된 원호형 보강대(730)에 연결되며 중앙의 오버관(300)의 최상단 플랜지(331)에 방사형 프레임(332)까지 연결됨으로서 구조적으로 격벽이 안정하고 지붕판(630) 침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한편 유닛접합부(도9)가 이형플랜지(614a)로 되어있어 보온재를 바인더로 묶는 기존방법을 사용하지 않고도 보온재(651,652,653)를 한쪽에 삽입하여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알루미늄 외장재(661,662,663)를 보온재(651,652,653)에 덧씌울 때 S자 클립(671,672,673)을 이형플랜지(614a)에 물리적으로 결합할 수 있어 튼튼하고 미려하게 알루미늄 외장재(661,662,663)를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기술의 스파이럴형상을 가진 내부격벽
도1a는 종래기술의 전면측방의 입.배수관 구조를 갖는 물탱크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다수격벽물탱크 외형 사시도
도2a는 본 발명의 다수격벽 물탱크 정면도
도3은 콘크리트 기초공사부문과 스테인리스 베이스 사시도
도3a는 내부격벽을 갖지 않는 소형 스테인리스 물탱크 사시도
도4는 다수격벽 내부구조 평면도
도5는 다수격벽을 통한 회전수류 유체자유흐름 방향 안내도
도6은 다수격벽과 내부구조가 설치된 사시도
도7은 오버관의 복합기능이 적용된 정면도
도8은 격벽을 지지하고 유도벽 역할을 하는 입수관 사시도
도9는 외부마감 단면도 및 이형플랜지를 적용한 클립 마감 단면도
도10은 동형플랜지 적용과 클립마감 단면 상세도
도11은 다수격벽물탱크 상부 측 강도 보강 형 트러스트 구조 저면도
도12는 다수격벽물탱크 보강 형 트러스트 설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격벽 물탱크 외형 사시도이며 도2a는 본 발명의 다수격벽 물탱크 정면도이다.
도3은 콘크리트 기초공사부문과 스테인리스 베이스 사시도로 바닥의 직사각맨홀(131,132,133)로 청소관(141)이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즉, 회전수류에 의해 저층수도 다음 챔버로 이동되는 유체 흐름을 갖는 본 발명에서 침전물을 이동을 방지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1.2.3 격벽(611,612,613)의 개구부 바닥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직사각맨홀(131,132,133)을 설치하고 맨홀 바닥에는 청소관(141)을 두어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청소밸브(152)만 개폐만 하여도 쉽게 침전물을 제거하게 한다.
도3a는 본 발명에서 저용량의 소형탱크일 경우에는 내부격벽이 없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는 오버관(300)을 측방으로 세우고 청소관(141)을 중앙에 두며 STS 하판(120)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원형맨홀(131a)을 구성하고 입수관(200)에는 다수의 분기된 수평 출수구(220)의 회전수류에 의해 저장시 원심작용으로 침전물을 중앙에 모이게 됨으로써 손쉽게 침전물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4는 다수격벽 내부구조 평면도로 일방향의 물의 흐름에서 곡면차단벽(611a,612a,613a)과 요철격벽(421,422,423)을 보여주고 있으며 개구부 바닥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직사각맨홀(131,132,133)이 있고 맨홀 바닥에는 청소관(141)이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5는 다수격벽 물탱크 1챔버(621)의 회전수류가 곡면을 따라 일방향의 자유흐름을 갖는 방향 안내도로 요철격벽에서 물과 약제의 희석능력이 향상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6은 다수격벽의 내부구조가 표시된 물탱크의 사시도이다.
도7은 중앙에 설치된 소정의 높이에 있는 오버관(300)이 복합기능이 적용된 정면도로 물의 오버와 가스가 상부 플랜지(321,323) 사이의 소형 파이프(322) 둘레면 사이로 배출되고 최상단 플랜지(323)에는 방사형 프레임(332)이 연결되며 최상부에는 밴츄레타(340)가 장착되어 다수격벽물탱크의 중심축에서 천장부를 받쳐주어 지지 역할(도11)과 가스 및 오버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8은 입수관 사시도로 1격벽(611)을 지지하고 유턴되어 1챔버(621)의 물이 2챔버(622)로 잘 빠져 나갈 수 있는 유도벽(230)을 지지하고 수평 출수구(220)가 다수 분기되어 수평으로 출수됨으로서 저층수의 물도 흐르면서 회전수류로 저장하게 된다. 원안의 절단도는 수평 출수구(220) 내에 하나 이상의 유도판(221)이 있어 물이 출수시 회전하면서 물과 약제의 희석율을 높이게 된다.
도9는 물탱크의 외부마감 단면도로서, 보온재(651,652,653) 및 알루미늄 마감재(661,662,663)를 부착하여 S자 클립(671,672,673)으로 이형플랜지(614a)에 고정하여 튼튼하게 외장을 마감한다.
도10은 동형플랜지(614b)로 시공하는 경우의 외부마감 단면도로서, 플랜지 외측으로 폭 3-5㎝ 보강판(641,642,643)을 점용접으로 부착하고 역시 S자 클립(671,672,673)으로 보온재(651,652,653)와 알루미늄 외장재(661,662,663)를 물리적으로 고정하게 하여 외장재가 외벽체에서 뜨는 것을 방지한다.
도11은 다수격벽 물탱크에 상부측 강도 보강형 트러스트 구조 저변도이며 도12는 다수격벽 물탱크의 보강형 트러스트 설치 사시도 중앙의 오버관 기둥에 방사형으로 지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함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도 5를 참조하면, 외벽체를 갖는 내부의 다수격벽 물탱크에서 격벽(611,612,613)에 소정의 폭을 개구하고 격벽끼리는 곡면형태의 차단벽(611a,612a,613a)을 두어 흡사 스파이럴형상과 유사한 내부격벽을 가지면서도 흐르는 유속 압에 의한 격벽변형을 방지하고 벽면에 흐르는 물이 곡면으로 인하여 속도가 빨라지고 따라서 곡면 차단벽(611a,612a,613a)에 연결된 2격벽(612)과 3격벽(613)과 외벽체(614)의 소정구간에 설치된 요철격벽(421.422.423)으로 물이 부딪치게 하여 약제와 물의 희석능력을 증가시키는 기술요소를 갖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입수관(200)의 수평 출수구(220)에도 내부에 하나 이상의 유도판(221)을 두어 출수시킴으로서 약제와 물의 희석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함께 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관(200)에는 상부에서 유턴하되 최상부에 에어변(240)을 부착하여 입수관(200) 내부가 공기압을 유지케 하여 입수가 중단시 담수된 물이 역류되지 않게 하는 것과 유턴된 입수관에 3개 이상의 분기된 수평 출수구(220)를 두고 격벽에 비례한 방향으로 되어있어 입수시 저층수의 물도 출수압에 의해 이동하게 하고 출수관의 높이로 수면이 차오르면 출수되는 물과 공기가 수면에서 파열되어 물속에 용존산소가 풍부해지도록 하는 기술요소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개구되는 내부격벽(611,612,613)이 출수압에 의하여 파손 및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5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관(200)에 의해 1격벽(611)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 및 외벽체(614)의 유닛 접합부를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 제0324321호 이형플랜지로 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 상단에 이형플랜지(614a)에 사각 원호형 프레임(724)을 안착하여 이를 개구된 격벽의 상부에 연결함으로서 떨어진 격벽을 지지하도록 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의 오버관(300) 상단부에 있는 최상단 플랜지(331)에 방사형 프레임(332)을 형성함으로써 지붕판(630)을 받쳐주도록 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접합부가 이형플랜지(614a)로 되어있어 수직의 외측 보강 판에 S자 클립(671,672,673)으로 상하의 알루미늄 외장재(661,662,663)를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어 외장재를 유닛에 물리적으로 고정하여 밀착되게 함으로서 들뜸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10과 같이 유닛 접합부를 동형플랜지(614b)로 하는경우 폭 3-5㎝가량의 보강판(641,642,643)을 외벽체(614) 둘레에 점용접으로 부착하여 둘레면을 형성함으로서 보온재(651,652,653)를 위 보강판(641,642,643)과 아래 보강판 사이에 삽입하여 유닛에 부착하고 알루미늄 외장재(661,662,663)를 덧씌울 때 보강판(641,642,643)과 알루미늄 외장재(661,662,663) 그리고 S자 클립(671,672,673)을 통해 물리적으로 결합하여 밀착되게 고정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삭제
삭제
100 원통형 물탱크
110 콘크리트 매트
120 STS 하판
130 콜타르 모래
131 직사각맨홀
131a 원형맨홀
132 직사각맨홀
133 직사각맨홀
141 청소관
142 배수관
151 입수밸브
152 청소밸브
153 배수밸브
200 입수관
220 수평 출수구
221 유도판
230 유도벽
240 에어변
300 오버관
321 상부 플랜지
322 소형 파이프
323 상부 플랜지
331 최상단 플랜지
332 방사형 프레임
340 벤추레타
421 요철격벽
422 요철격벽
423 요철격벽
510 외부사다리
520 핸드레일
530 맨홀
540 내부사다리
611 1격벽
611a 곡면차단벽
612 2격벽
612a 곡면차단벽
613 3격벽
613a 곡면차단벽
614 외벽체
614a 이형플랜지
614b 동형플랜지
621 1챔버
622 2챔버
623 3챔버
624 4챔버
630 지붕판
641 보강판
642 보강판
643 보강판
651 보온재
652 보온재
653 보온재
661 알루미늄 외장재
662 알루미늄 외장재
663 알루미늄 외장재
671 S자 클립
672 S자 클립
673 S자 클립
710 원호형 보강대
720 원호형 보강대
724 사각 원호형 프레임
730 원호형 보강대

Claims (6)

  1. 청소관과 연결되는 복수의 맨홀이 형성된 콘크리트 매트;
    상기 콘크리트 매트 상에 장착된 스테인레스 하판;
    상기 스테인레스 하판 상에 동일한 중심을 갖고, 서로 다른 반지름을 갖는 복수의 원기둥을 형성하도록 세워지고 일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된 복수의 격벽들;
    상기 격벽들의 개구부에 형성되어 물흐름의 방향을 변경하는 곡면차단벽;
    상기 곡면차단벽 상에 형성되어 와류현상을 발생시키는 요철격벽;
    물을 입수하고, 회전수류를 발생하여 저층수의 물까지 이동시키며, 상기 격벽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입수관;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관;
    상기 맨홀들 바닥에 형성되며, 서로 연결되어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한 청소관;
    상기 콘트리트 매트의 중심에 형성되어 오버플로우를 배수시키는 오버관; 및
    상기 격벽들을 덮도록 형성된 지붕판을 포함하는 물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관은 상하로 배열된 다수의 수평 출수관이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수평 출수관을 통해 입수된 물을 상기 격벽들 사이로 출수시키는 물탱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출수관이 형성된 메인관은 U자형이고, 상기 메인관에는 물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판이 형성된 물탱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관의 최상단에는 플랜지가 장착되고, 상기 최상단에 장착된 플랜지에는 방사형으로 복수의 방사형 프레임이 연결되고, 상기 방사형 프레임에는 중심으로부터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복수의 원호형 보강대가 장착되고, 상기 지붕판은 상기 방사형 프레임 및 원호형 보강대를 덮도록 장착되는 물탱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관에는 상기 지붕판으로 연결되어 오버플로우를 배수시키고, 가수배출을 수행하는 벤츄레타가 장착된 물탱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관, 배수관 및 청소관에는 개폐가 가능한 밸브가 형성된 물탱크.
KR1020100064708A 2010-07-06 2010-07-06 회전수류 입수관의 다수격벽 원통형 물탱크 KR101005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708A KR101005442B1 (ko) 2010-07-06 2010-07-06 회전수류 입수관의 다수격벽 원통형 물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708A KR101005442B1 (ko) 2010-07-06 2010-07-06 회전수류 입수관의 다수격벽 원통형 물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5442B1 true KR101005442B1 (ko) 2011-01-05

Family

ID=43615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708A KR101005442B1 (ko) 2010-07-06 2010-07-06 회전수류 입수관의 다수격벽 원통형 물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544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266B1 (ko) * 2014-10-24 2015-01-19 성일기계공업 (주) 보온재가 구비된 노출타입의 와류형 물탱크
KR101886677B1 (ko) * 2017-11-10 2018-08-08 한삼코라(주) 회전수류를 발생시키는 연접구조형 물탱크
KR102136965B1 (ko) * 2020-02-24 2020-07-23 한삼코라(주) 수로형 물 고임 방지 저수조
KR102419587B1 (ko) * 2022-02-25 2022-07-11 주식회사 원진 입수압과 내부 수압차를 이용한 회전교반 유도형 물탱크
CN115432317A (zh) * 2022-08-30 2022-12-06 中国石油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油田储油罐稳定来液压力的进油装置
KR102498099B1 (ko) * 2022-06-30 2023-02-10 한삼코라(주) 방열효율이 향상된 물탱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2010A (ja) 1983-12-05 1985-06-29 Yks Co Ltd 船舶用油水分離装置
KR200273237Y1 (ko) 2002-02-08 2002-04-20 방만혁 배관 내장형 저장탱크
KR200281762Y1 (ko) 2002-04-26 2002-07-13 강동열 원통형 저장탱크의 내부 격벽 구조
KR20020073237A (ko) * 2001-03-13 2002-09-23 김성진 세신추출물을 함유하는 뇌세포 보호 및 기억력 증진용조성물
KR20020081762A (ko) * 2001-04-19 2002-10-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콘텐츠를 위한 보안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시스템
KR20060038636A (ko) * 2004-10-30 2006-05-04 한삼코라(주) 오버플로워관을 중앙지지대로하고 내부격벽형태를달리하여 기능성을 향상시킨 원통형유체저장탱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2010A (ja) 1983-12-05 1985-06-29 Yks Co Ltd 船舶用油水分離装置
KR20020073237A (ko) * 2001-03-13 2002-09-23 김성진 세신추출물을 함유하는 뇌세포 보호 및 기억력 증진용조성물
KR20020081762A (ko) * 2001-04-19 2002-10-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콘텐츠를 위한 보안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시스템
KR200273237Y1 (ko) 2002-02-08 2002-04-20 방만혁 배관 내장형 저장탱크
KR200281762Y1 (ko) 2002-04-26 2002-07-13 강동열 원통형 저장탱크의 내부 격벽 구조
KR20060038636A (ko) * 2004-10-30 2006-05-04 한삼코라(주) 오버플로워관을 중앙지지대로하고 내부격벽형태를달리하여 기능성을 향상시킨 원통형유체저장탱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266B1 (ko) * 2014-10-24 2015-01-19 성일기계공업 (주) 보온재가 구비된 노출타입의 와류형 물탱크
KR101886677B1 (ko) * 2017-11-10 2018-08-08 한삼코라(주) 회전수류를 발생시키는 연접구조형 물탱크
KR102136965B1 (ko) * 2020-02-24 2020-07-23 한삼코라(주) 수로형 물 고임 방지 저수조
KR102419587B1 (ko) * 2022-02-25 2022-07-11 주식회사 원진 입수압과 내부 수압차를 이용한 회전교반 유도형 물탱크
KR102498099B1 (ko) * 2022-06-30 2023-02-10 한삼코라(주) 방열효율이 향상된 물탱크
CN115432317A (zh) * 2022-08-30 2022-12-06 中国石油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油田储油罐稳定来液压力的进油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5442B1 (ko) 회전수류 입수관의 다수격벽 원통형 물탱크
JP6713264B2 (ja) 排水システム
US20130029410A1 (en) Digester tank for a biogas plant
KR101886677B1 (ko) 회전수류를 발생시키는 연접구조형 물탱크
WO2007016721A1 (en) Storage of water, rainwater or grey water or other liquids beneath a concrete floor slab
KR100939838B1 (ko) 육각 구조를 갖는 상수용 저수조
CN214006283U (zh) 一种用于雨水自流跨越屋面变形缝的排水结构
US20170167153A1 (en) Drainage system for a fiberglass swimming pool body
KR102201766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앵커를 이용한 중대형 유체 저장 탱크
CN213709560U (zh) 具有排水结构的基坑支护系统
CN104727391B (zh) 一种卫浴室
CN104763023B (zh) 一种给排水集成模块及建筑的给排水系统
CN204492255U (zh) 一种卫浴室
KR101371151B1 (ko) 밸브실
CN204627036U (zh) 一种卫浴室
CN214739575U (zh) 一种网状排水结构及地面排水系统及地板结构
KR101473994B1 (ko) 건축물의 지하수 배수장치
JP5424070B1 (ja) 床下を汚泥槽に使用する浮動型津浪避難シェルター
AU2006279239A1 (en) Storage of water, rainwater or grey water or other liquids beneath a concrete floor slab
JP2896620B2 (ja) 地下構築物用床パネル
CN217054067U (zh) 一种建筑屋面雨排水系统用虹吸雨水斗
KR101100364B1 (ko) 양압력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CN208455801U (zh) 一种沉池式渗漏水收集器
CN212224157U (zh) 一种建筑预埋排水用旋流器
CN211547688U (zh) 引流漏沙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