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9838B1 - 육각 구조를 갖는 상수용 저수조 - Google Patents

육각 구조를 갖는 상수용 저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9838B1
KR100939838B1 KR1020080109490A KR20080109490A KR100939838B1 KR 100939838 B1 KR100939838 B1 KR 100939838B1 KR 1020080109490 A KR1020080109490 A KR 1020080109490A KR 20080109490 A KR20080109490 A KR 20080109490A KR 100939838 B1 KR100939838 B1 KR 100939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pipe
wall
hexag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수
Original Assignee
조남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남수 filed Critical 조남수
Priority to KR1020080109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9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8Interconnections of wall parts; Sea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B65D90/041Rigid liners fixed to the container
    • B65D90/042Rigid liners fixed to the container fixed pointwise or linewise
    • B65D90/043Rigid liners fixed to the container fixed pointwise or linewise the liners being in the form of tiles o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02Wall construction
    • B65D2590/023Special coating or treatment of the internal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를 저장하는 저수조에 관한 것으로, 유입되는 물을 저장하여 외부로 이송하기 위해 구성되는 상수용 저수조에 있어서, 천장과 바닥 사이에 형성되는 벽면이 육면체를 이루는 육각 형태로서 내부에는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탱크; 상기 탱크의 내측면에 근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탱크 내에서 물이 나선형의 회전을 일으키도록 벽면을 따라 출수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된 출수구가 구비된 유입송수관; 상기 유입송수관의 출수구를 통해 탱크 내부로 투입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탱크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관;을 포함하여 상기 유입송수관의 출수구로부터 출수되는 물이 탱크 내부 벽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 저장되고 스파이럴 형태로 회전하면서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탱크를 인접하도록 복수 개로 구성하여 육각으로 형성된 벽면이 탱크 사이에 서로 격벽을 이루도록 집합구조를 갖도록 설치하되, 상기 인접한 탱크 사이의 격벽에는 하나의 탱크로부터 물이 S자 형태로 회전하면서 유동혼합되어 인접한 다른 탱크로 원할하게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개방구가 관통 형성되며, 탱크 내로 유입되는 상수가 내부에서 체류되지 않고 유입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배수되도록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여 항상 최상의 신선함를 유지하고, 다수 개의 탱크를 결합한 집합구조에서는 구조적 안정성과 다양한 형태의 결합이 가능하여 토지의 활용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얻도록 한다.
육각탱크, 유입송수관, 배수관, 회전, 체류, 개방구

Description

육각 구조를 갖는 상수용 저수조{The water tank having hexagon structural tank}
본 발명은 상수도를 저장하는 저수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탱크 내부로 저장되는 물이 유입된 순서대로 배수되도록 하여 상기 탱크 내부에는 체류하는 물이 존재하지 않고 구조적 안정성 및 유체의 흐름과 방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육각 구조를 갖는 상수용 저수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상수도를 저장하는 물탱크가 원형이나 사각,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물 사용량 증가에 따른 대형화 추세에 따라 물탱크 내부에 격벽을 설치하여 약제희석능력(CT값)과 저장수압으로부터 구조적 안정성을 얻고자 하였다.
현재 수돗물의 수질악화와 불신을 유발하는 원인 중의 하나가 급수설비인 저수조 및 급수관에서 비롯되고 있음에 따라 상수도를 저장하는 탱크는 물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유입된 물이 순차적으로 배수되도록 하고 상기 탱크 내부에는 오랫동안 체류하는 물이 없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여 유체의 흐름과 방향을 제어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어 있지만, 대부분 원형 및 사각형 형태의 탱크로 국한되어 있고 그 효과 역시 미미한 상태이다.
국내 연구대상인 지하 저수조의 수리적 움직임과 수질변화특성평가 자료에 의하면 물의 체류시간이 평균 36.3시간으로 이것은 약 1.51일에 해당하여 일본의 평균 0.5일의 약 3배 이상이 되며, 잔류염소농도를 측정한 결과 유입농도에 비하여 유출농도의 감소율이 1000㎥ 이하가 체류시간 23.36시간에 평균 43%인데 반해, 1000㎥ 이상은 49.72시간에 평균 60%의 감소율을 나타내어, 오랫동안 체류하는 물이 있으면 그만큼 수질오염가능성이 높다는 걸 알 수 있다.
특히 저수조의 대표적 형태인 직사각 저수조는 내부 격벽 뒤편이나 코너부분에 정체하는 물이 있어 수질오염이 매우 심각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는 전산 유체역학기법으로 한 시뮬레이션 결과로도 확인할 수 있다.
원형물탱크의 구조 또한 시공 편의상 유입관과 유출관을 한 방향으로 설치하여 역시 반대편에 체류하는 물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수도법시설기준에 따른 두 갈래로 구성할 경우, 탱크 내에 별도의 탱크를 두는 2중 탱크로 하거나 아니면 분리되 별도의 탱크를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는 토지면적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콘크리트 구조로는 적합지 못해 매립이 불가하고 특히 건축물의 지하공간설치도 불가능하여 원형물탱크는 주로 스테인리스 및 FRP 재질로 구성하여 지상에만 설치되고 있는 한계가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등록특허 제0598365호에서는 6개의 스테인리스 외벽체를 바닥 판과 상판을 접합시켜 육각형 물탱크를 만들어 이를 제4탱크의 육각 탱크로 인접 시공함으로써 집합형 육각 물탱크를 만들고, PE 또는 콘크리트로 시공할 경우에도 제1탱크에 유입구와 제4탱크에 배수구를 설치하고 유입수가 제1탱크에서 내부 또는 외부측면에서 유입되더라도 제1탱크내 상부에서 출수되면 차올라 인접된 제2탱크와의 낮은 내부격벽인 제1월류웨어로 균일하게 월류(越流, 넘쳐 흐름)되고, 이는 다음 제3탱크와 인접된 내부격벽 하단부에 반시계방향으로 관통된 "ㄱ"자 관을 통하여 제3탱크에서는 회전 물흐름을 발생하여 모래 등 이물질을 콘형 경사면 중앙부에 분리한 다음 이어 제4탱크로 제2월류웨어로 월류(越流)되어 저장되면서 배수구로 수용가에 공급되는 입수부터 출수까지 체류하지 않고 흐르면서 저장되고 무거운 이물질은 회전 물흐름에 의해 하단부로 모이게 하여 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격벽을 이용한 것으로 육각형 탱크를 서로 집합한 다수격벽 물탱크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발명은 기술구성상 제1탱크에서 차오르는 물이 제2탱크에 인접된 격벽으로 넘어가기 위하여 제2탱크의 수위가 낮아져야 격벽을 통해 월류가 되고, 낮아진 제2, 3탱크 수위에 비하여 제4탱크의 수위가 더 낮아져야 제3탱크의 물이 월류가 되는 문제점이 있어 대형저수조에 맞는 새로운 구조의 육각형 탱크가 필요하게 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탱크 내부로 기 유입된 물이 체류되지 않으면서 먼저 배수되도록 하고 독립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저수조의 대용량 추세에 맞추어 격벽을 인접하여 다수의 집합형태로 구성되며, 토지의 이용성을 높이고 구조적 안정성과 위생성이 보장되는 상수용 저수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입되는 물을 저장하여 외부로 이송하기 위해 구성되는 상수용 저수조에 있어서, 천장과 바닥 사이에 형성되는 벽면이 육면체를 이루는 육각 형태로서 내부에는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탱크; 상기 탱크의 내측면에 근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탱크 내에서 물이 나선형의 회전을 일으키도록 벽면을 따라 출수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된 출수구가 구비된 유입송수관; 상기 유입송수관의 출수구를 통해 탱크 내부로 투입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탱크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관;을 포함하여 상기 유입송수관의 출수구로부터 출수되는 물이 탱크 내부 벽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 저장되고 스파이럴 형태로 회전하면서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탱크를 인접하도록 복수 개로 구성하여 육각으로 형성된 벽면이 탱크 사이에 서로 격벽을 이루도록 집합구조를 갖도록 설치하되, 상기 인접한 탱크 사이의 격벽에는 하나의 탱크로부터 물이 S자 형태로 회전하면서 유동혼합되어 인접한 다른 탱크로 원할하게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개방구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통해 탱크 내로 유입되는 상수가 내부에서 체류되지 않고 기 유입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배수되도록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여 항상 최상의 신선도를 유지하고, 다수 개의 탱크를 결합한 집합구조에서는 원형탱크가 가질 수 없는 구조적 안정성과 다양한 형태의 결합이 가능하여 토지의 활용성이 높아지도록 한다.
또한 향후 물 사용량이 늘어나 증설이 필요한 경우에도 기존의 육면체에 격벽을 연결하여 선택적으로 증설이 가능함에 따라 설치가 용이하고 공사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에 앞서 일반적인 상수저장탱크의 형태를 알아보면, 도 1a는 3개의 도류벽(導流壁)(10)이 구성된 직사각형 탱크(1)의 물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로써, 상기 직사각형 탱크(1) 내부의 물 흐름은 사각의 코너나 도류벽(10)으로 인해 형성된 굴곡지점에서 체류하는 물이 발생하도록 유도된다. 이는 기존에 담수된 물이 입수구(20)를 통해 새로 유입되는 유입수와 혼합되어 배수구(30)를 통해 배출되지 않고 저수조 내부에서 장시간 정체됨으로써 수질의 신선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도 1b는 두 갈래로 구성된 원형 탱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앞서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용량의 저수조로 구성하기 위해 다중의 집합형태로 설치할 경우 인접하여 구성하기가 난해하고 구조적 안정성과 토지이용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저수조의 탱크형태가 육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회전하는 물의 흐름에 따라 체류하는 물이 존재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하나의 육각탱크를 독립적으로 운영하거나 또는 2개 이상의 탱크를 다수 집합하여 한 갈래, 두 갈래 또는 세 갈래 이상의 저수조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수질의 신선도가 유지되고 토지 및 공간 형태에 따라 집합되는 구조를 횡렬, 병렬 또는 마름모꼴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대용량 저수조에 적용 가능하며, 유휴 토지 및 공간방향으로 1개 또는 2개 이상의 탱크를 추가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 2는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육각 구조의 탱크와 그 내부의 물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과 바닥 사이에 형성되는 벽면이 육면체를 이루는 육각형태의 저수조로 제작되며, 상기 저수조 내부에는 전면 벽면의 우측에 물이 좌측으로 출수되도록 유입송수관(110)이 관통되어 구비되고, 중앙 바닥에는 청소드레인관(130) 및 배수관(120)이 설치되며 전면 외벽측에는 소정 높이의 오버플로워관(140)을 구성하여, 상기 유입송수관(110)에서 출수되는 물이 육각으로 형성된 벽체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내부중심에 위치한 배수관(120)에 도달하는 스파이럴(나선형) 형태의 물의 흐름을 형성하여 기 유입된 순서대로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기존의 저수조에서는 탱크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수가 수직으로 낙하하거나 수직으로 세워 포물선 형태로 낙하하도록 배관을 형성하여 저수조의 변동수위가 배수되는 유출구의 높이가 아닌 유출구의 일정 높이 이상, 즉 수위감지봉의 저수위와 고수위 사이의 유효수위에서 유입과 유출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물의 상하 변동수위는 실제 저수조의 높이와 비교할 때 평균 37.6%에 불과하여 변동수위 아래에 있는 저층수가 상하로 유동혼합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탱크 내부에는 체류 또는 정체하는 물이 생기고 이는 곧 수질오염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도 3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구성된 본 발명의 유입송수관(110)을 도시한 사시도로써, 본 발명에서는 탱크 내부에서 담수된 물이 체류되지 않으면서 변동수위 아래에 있는 저층수까지 이동하여 탱크 내에서는 물의 회전에 의한 내외부의 유동혼합이 이루어지는 유체 흐름을 유도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송수관(110)은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출수구(111)가 형성된 ∩ 형태로 육각탱크의 내벽면에 근접하도록 세워져 설치하고, 바닥에서 수직으로 유입되는 물이 다시 하강하면서 상기 출수구(111)를 통해 수평으로 출수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출수되는 물이 육각으로 형성된 외벽을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육각탱크 내부를 회전하면서 저장되는 형태를 이루도록 한다.
따라서 다수의 출수구(111)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 수평으로 출수되어 수면의 공기와 접촉 용존산소량을 풍부하게 하고 변동 수위의 아래에 위치한 저층수까지 이동하게 하며, 상기와 같이 저층수가 이동하면서 저장되는 저장방법은 새로운 물의 유입시 육각탱크 내 중앙의 물도 지속적인 신, 구의 유동혼합이 이루어져 CT값(약제희석능력)을 향상시키면서 체류하는 물이 없도록 하는 작용효과를 얻도록 한다.
상기한 유입송수관(110)의 출수구(111)는 구멍을 내거나 분기관으로 부착할 수 있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분기관 내에 약제혼합과 출수압력을 높이기 위해 라인믹서를 장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4는 육각 구조를 갖는 제1탱크(100)와 제2탱크(200)를 한 갈래로 구성하는 집합구조의 저수조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상기 탱크 내부의 물의 흐름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b는 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 형태의 유입송수관(110)과 소정 높이의 오버플로워관(140)과 중앙 바닥면에 구비되는 청소드레인관(130) 및 배수관(12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탱크(100)에는 유입송수관(110)이 구비되어 상기 제1탱크(100) 내부에서 물이 회전하도록 하여 저장되고, 제1탱크(100)에 인접하여 설치된 제2탱크(200)로 물의 흐름을 유도하여 담수된 물과 회전하는 물에 의한 유동혼합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수위가 상승되면서 기 유입된 물이 먼저 배수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다.
상기 제1탱크(100)로 유입되는 물을 제2탱크(200)로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탱크들이 서로 접하는 격벽(隔壁)에는 일부가 개방되는 개방구(150)를 형성하는데, 제1탱크(100)의 내부로 기 유입된 물이 순차적으로 제2탱크(200)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유입송수관(110)으로부터 출수된 물이 시계방향으로 한 바퀴 회전하는 지점, 즉 유입송수관(110)에서 출수되는 방향의 배면으로 최대한 근접한 지점에 개방구(15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탱크(100)에 구비된 유입송수관(110)의 출수구(111)를 통해 수평으로 출수된 물이 시계방향의 회전하면서 저장되면서 제2탱크(200)로 유입되어 상기 제1탱크(100)와 제2탱크(200)로 이동되는 물의 흐름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개략적인 S자의 형태를 이루어 이동되고, 상기 제2탱크(200)는 스파이럴 형태의 물흐름을 형성하여 중앙의 바닥면에 약간 돌출되도록 구비된 배수관(120)을 통해 유입되는 순서대로 물을 배수시키도록 한다.
도 5는 집합구조의 저수조에서 탱크들이 인접하는 격벽(隔壁)에 물의 흐름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해 형성되는 본 발명의 개방구(150)를 다양한 실시예로 도시한 것으로, 도 5a는 상기 격벽을 소정 크기로 관통하는 홀 형태로 제작하고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물의 유입을 원활하게 유도하기 위해 일정한 각도의 경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저수조의 용량에 따라 홀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로도 형성이 가능하다.
또는 도 5c와 같이 회전하여 이동하는 물의 유입을 원활하게 유도하기 위해 일정한 각도의 경사가 지도록 형성되되, 인접한 격벽이 소정의 간격으로 분리되는 완전 개방된 형태로도 구성이 가능하여 2개 이상의 탱크를 인접하여 설치한 집합형태의 저수조에서도 물이 회전하면서 저장되고 이웃한 탱크로의 물의 이동을 원활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다수 개의 육각탱크를 결합하여 두 갈래로 구성되는 다양한 형태의 저수조를 도시한 실시예로써, 도 6a 및 도 6b는 2개의 육각탱크가 한 갈래가 되어 총 4개의 육각탱크가 두 갈래로 결합된 것이고, 도 6c는 3개의 육각탱크가 한 갈래가 되어 총 6개의 육각탱크가 두 갈래로 결합된 저수조이며, 도 6d는 6개의 육각탱크가 한 갈래가 되어 총 12개의 육각탱크가 두 갈래로 결합된 저수조의 형태를 회전하는 물의 흐름과 함께 개략적인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탱크를 다수 개로 결합하여 대용량 저수조로의 활용이 가능하고 토지 및 공간 형태에 따라 집합되는 구조를 횡렬, 병렬 또는 마름모꼴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서는 향후 물 사용량이 늘어남에 따라 활용 가능한 토지형태에 맞춰 기존의 육면체에 격벽을 연결 설치하여 선택적인 증설이 가능하다.
도 7은 7개의 육각탱크를 마름모꼴로 결합하여 각각 두 갈래와 세 갈래로 구성된 육각 구조의 저수조를 도시한 것으로 그 구성을 비교해보면, 도 7a는 유입송수관(110)이 설치된 제1탱크(100)에서부터 제2, 3, 4, 5탱크를 차례로 회전하면서 저장 이동하고 제5탱크(500)에 형성된 배수관(120a)을 통해 상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한 갈래와, 제6탱크(600)에 설치된 유입송수관(110)과 제7탱크(700)에 형성되는 배수관(120b)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두 갈래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반면에 도 7b는 유입송수관(110a)이 설치된 제1탱크(100)에서 출수되는 물이 제2탱크(200)를 경유하여 중앙에 위치한 제3탱크(300)에서 배출되는 한 갈래와, 제4탱크(400)에서 출수되는 물이 제5탱크(500)에서 배출되는 두 갈래와, 제6탱크(600)에서 출수되는 물이 제7탱크(700)에서 배출되는 세 갈래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탱크(100) 내지 제7탱크(700)의 명칭은 모형순서가 아니라 물이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방향에 따라 명시한 것으로 상기의 여러 실시예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와 구조의 배열이 가능하고 물의 흐름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S자 형태로 이동되도록 흐름을 유도하여 체류하는 물이 존재하지 않고 순차적인 저장과 이동이 가능하며, 배수관(120)이 형성된 탱크에서는 스파이럴 형태의 물의 흐름이 형성되어 중심에 구비된 상기 배수관(120)을 통해 외부로 이송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육각 구조를 갖는 상수용 저수조는 원통형에 비하여 응력이 떨어지므로 구조상 콘크리트로 하는 구조물이 바람직하며 저장수압에 맞는 두께의 철근콘크리트를 사용하고, 내벽체는 PE시트를 타일로 하여 프라이머 조성물에 의한 접착방법으로 라이닝하거나 또는 라이닝 재료를 스테인리스로 사용할 수 있고 방수용 에폭시계 코팅제로 코팅하여 마감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콘크리트 이외에도 격벽을 PDF(Polyethylene Doubie Frame)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육각의 꼭지점을 콘크리트 기둥으로 하여 격벽을 PDF로 구성하고, PDF로만 구성할 경우에는 저장수압에 맞는 상수도용 PE시트와 철골을 내장한 판넬로 콘크리트 기둥 없이 조립하여 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탱크 상부에 설치되는 맨홀과 사다리는 인접 격벽의 개방구(150)가 홀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는 제1탱크와 제2탱크 및 결합된 모든 탱크에 설치해야 하지만, 개방구(150)가 상기 인접 격벽이 소정 간격으로 분리되는 완전 개방 형태로 구성된 경우에는 한 탱크에만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고, 환기시설은 시설용량에 맞는 엘보형 가스배출구로 하되 해충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망이 설치되며 필요시 벤추레타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수조가 지상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기초콘크리트 외벽체에 보온재를 구비하고 있는 알루미늄이나 우레탄 재질의 외장재로 마감하고, 지하에 매립하여 설치할 경우에는 콘크리트 외벽체에 콜타르방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상수저장탱크의 개략적인 평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육각탱크의 내부 구성과 흐름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입송수관의 사시도.
도 4a는 제1탱크와 제2탱크로 구성된 육각탱크의 내부 평면도.
도 4b는 제1탱크와 제2탱크로 구성된 육각탱크의 개략적인 내부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구의 실시예.
도 6은 다수 개의 육각탱크를 결합하여 두 갈래로 구성되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7개의 육각탱크를 마름모꼴로 결합한 실시예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직사각탱크
10. 도류벽 20. 입수구 30. 배수구
100. 제1탱크 200. 제2탱크
110. 유입송수관 111. 출수구 120. 배수관
130. 청소드레인관 140. 오버플러워관 150. 개방구

Claims (6)

  1. 유입되는 물을 저장하여 외부로 이송하기 위해 구성되는 상수용 저수조에 있어서,
    천장과 바닥 사이에 형성되는 벽면이 육면체를 이루는 육각 형태로서 내부에는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탱크; 상기 탱크의 내측면에 근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탱크 내에서 물이 나선형의 회전을 일으키도록 벽면을 따라 출수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된 출수구가 구비된 유입송수관; 상기 유입송수관의 출수구를 통해 탱크 내부로 투입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탱크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관;을 포함하여 상기 유입송수관의 출수구로부터 출수되는 물이 탱크 내부 벽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 저장되고 스파이럴 형태로 회전하면서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탱크를 인접하도록 복수 개로 구성하여 육각으로 형성된 벽면이 탱크 사이에 서로 격벽을 이루도록 집합구조를 갖도록 설치하되, 상기 인접한 탱크 사이의 격벽에는 하나의 탱크로부터 물이 S자 형태로 회전하면서 유동혼합되어 인접한 다른 탱크로 원할하게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개방구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 구조를 갖는 상수용 저수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송수관은 ∩ 자형으로 구성되며, 상하로 다수 개로 형성된 출수구가 수평으로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 구조를 갖는 상수용 저수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내부에는 청소드레인관과 오버플로워관이 포함되며, 맨홀, 환기구 및 내부사다리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 구조를 갖는 상수용 저수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콘크리트로 구성되거나 또는 PDF 판넬로 조립 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 구조를 갖는 상수용 저수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를 콘크리트로 할 경우에는 내벽을 PE시트의 배면에 부직포가 부착된 PE타일이나 스테인리스로 라이닝하거나 또는 방수용 에폭시계 코팅제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 구조를 갖는 상수용 저수조.
KR1020080109490A 2008-11-05 2008-11-05 육각 구조를 갖는 상수용 저수조 KR100939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490A KR100939838B1 (ko) 2008-11-05 2008-11-05 육각 구조를 갖는 상수용 저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490A KR100939838B1 (ko) 2008-11-05 2008-11-05 육각 구조를 갖는 상수용 저수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9838B1 true KR100939838B1 (ko) 2010-02-02

Family

ID=42082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490A KR100939838B1 (ko) 2008-11-05 2008-11-05 육각 구조를 갖는 상수용 저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98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5928A1 (en) * 2013-12-23 2015-07-02 Richard Thorp A storage unit for holding water
KR101886677B1 (ko) * 2017-11-10 2018-08-08 한삼코라(주) 회전수류를 발생시키는 연접구조형 물탱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567Y1 (ko) 2003-10-18 2004-01-16 한삼코라(주) 육각형탱크를 서로 집합한 다수격벽 물탱크.
KR200339892Y1 (ko) 2003-10-18 2004-01-28 한삼코라(주) 회전 수류저장방법의 육각형 및 원통형물탱크.
KR20050037234A (ko) * 2003-10-17 2005-04-21 한삼코라(주) 육각형탱크를 서로 집합한 다수격벽 물탱크.
KR20050041195A (ko) * 2003-10-30 2005-05-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빗물 저수장치와 저수조 형성용 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7234A (ko) * 2003-10-17 2005-04-21 한삼코라(주) 육각형탱크를 서로 집합한 다수격벽 물탱크.
KR200338567Y1 (ko) 2003-10-18 2004-01-16 한삼코라(주) 육각형탱크를 서로 집합한 다수격벽 물탱크.
KR200339892Y1 (ko) 2003-10-18 2004-01-28 한삼코라(주) 회전 수류저장방법의 육각형 및 원통형물탱크.
KR20050041195A (ko) * 2003-10-30 2005-05-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빗물 저수장치와 저수조 형성용 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5928A1 (en) * 2013-12-23 2015-07-02 Richard Thorp A storage unit for holding water
KR101886677B1 (ko) * 2017-11-10 2018-08-08 한삼코라(주) 회전수류를 발생시키는 연접구조형 물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33564A1 (en) Module and Method for Managing Water and Other Fluids
KR101005442B1 (ko) 회전수류 입수관의 다수격벽 원통형 물탱크
KR102120457B1 (ko) 내부 무보강 내진용 pdf 물탱크
KR100939838B1 (ko) 육각 구조를 갖는 상수용 저수조
KR101886677B1 (ko) 회전수류를 발생시키는 연접구조형 물탱크
WO2020256536A1 (es) Sistema modular prefabricado para construcción de vivienda sustentable
CN216892546U (zh) 抗浮地下空间及地下车库
JP2017193938A (ja) 雨水貯留装置
KR100813995B1 (ko) 주철판넬을 이용한 저류조 구조물 및 저류조 축조방법
US9884780B2 (en) Wetland roof technology for treating domestic wastewater
KR101140762B1 (ko) 순환 유도판이 내장된 물탱크
KR101889320B1 (ko) 향상된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을 가지는 사각 웨이브 물탱크
KR20180016224A (ko) 그레이팅룸이 구비된 수 처리 장치 시공구조 및 그 시공구조가 결합된 다양한 수공간/수경 시설물의 시공법
CN206494816U (zh) 一种污水处理装置
CN214402966U (zh) 一种隔震建筑
KR100982283B1 (ko) 다수의 격벽이 형성된 저수탱크
KR101064279B1 (ko) 수영장용 밸런싱탱크 및 이를 이용한 수영장의 밸런싱탱크 배치구조
KR100598365B1 (ko) 육각형탱크를 서로 집합한 다수격벽 물탱크.
JP5468049B2 (ja) 雨水貯水槽における換気装置
WO2012135921A1 (pt) Parede reservatório para água
AU2010219382A1 (en) Water storage system in buildings
CN206071107U (zh) 一种环保卫生间
KR100764817B1 (ko) 원통형 탱크
EP3919694A1 (en) System, method, modular prefabricated water tank, developed for full architectural integration into walls
CN219298268U (zh) 地下建筑物及地下车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