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4817B1 - 원통형 탱크 - Google Patents

원통형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4817B1
KR100764817B1 KR1020060138513A KR20060138513A KR100764817B1 KR 100764817 B1 KR100764817 B1 KR 100764817B1 KR 1020060138513 A KR1020060138513 A KR 1020060138513A KR 20060138513 A KR20060138513 A KR 20060138513A KR 100764817 B1 KR100764817 B1 KR 100764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cylindrical
purification column
inner tank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8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만혁
Original Assignee
(주)금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강 filed Critical (주)금강
Priority to KR1020060138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48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06Large containers rigid cylind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2011/005Tanks with two or more separate compartments divided by, e.g. a flexible membr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원통형 탱크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위에 설치된 원통형 외부탱크; 상기 베이스 위에서 상기 원통형 외부탱크 내에 설치되며 소정의 유동경로에 의해 상기 원통형 외부탱크와 연통되는 원통형 내부탱크; 상기 원통형 내부탱크의 중심 위치에서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며 하부의 소정 위치에 입수구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정화 기둥; 상기 원통형 외부탱크의 외부로부터 상기 정화 기둥의 소정 높이로 연결되어 외부의 유체를 상기 정화 기둥에 공급하는 입수관; 상기 정화 기둥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정화 기둥으로 유입된 침전물이 집적되는 침전물 집적관; 상기 침전물 집적관에 연결되어 상기 침전물 접적관 내부의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청소관; 및 상기 원통형 내부탱크 및/또는 상기 원통형 외부탱크의 바닥면으로부터 외부로 연결되어 상기 원통형 내부탱크 및/또는 상기 원통형 외부탱크 내의 유체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관을 포함하는 원통형 탱크를 제공한다.
상수도, 침전물 집적관, 정화 기둥, 원통형 탱크

Description

원통형 탱크{CYLINDRICAL TAN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탱크를 도시하는 일부절개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탱크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탱크에 사용되는 정화 기둥 및 침전물 집적관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2의 원통형 탱크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탱크의 지붕을 구성하는 방사형 프레임 및 연결 프레임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지붕 판넬의 배치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탱크에 설치되는 격벽의 배치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베이스 12..입수관 20..원통형 외부탱크
30..원통형 내부탱크 40..정화 기둥 42..입수구
50..침전물 집적관 52..청소관 60..보강부재
70..방사형 프레임 72..연결 프레임 76..지붕 판넬
80..격벽
본 발명은 원통형 탱크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및 내부 탱크의 이중구조를 가지며 상수도를 저장하는 이중 원통형 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 배수지에 설치되는 상수도 저장탱크는 관계법령상 이중 탱크 또는 2지 개념의 내부 격벽을 두게 되어 있다. 이러한 상수도 저장탱크는 대용량으로 구성되어, 물에 의한 압력을 줄이기 위해 내부 공간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종래의 상수도 저장탱크는 유입되는 물에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주기적으로 내부를 청소하여 탱크 바닥에 쌓인 이물질을 청소해야 한다. 이러한 청소작업은 일반적으로 제작업자 또는 용역업체에 의해 수작업으로 진행되며, 사람이 직접 탱크 내로 진입하여 이물질을 외부로 반출하여야 하므로 복잡한 다수 격벽의 구획마다 작업자가 투입되어, 청소 및 관리가 힘들고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었다.
또한, 종래의 상수도 저장탱크는 물과 함께 염소가스가 탱크 내로 유입되어 탱크를 부식시키는 원인이 되었으며, 이는 상수도 오염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탱크의 상부 또는 전체를 고내식성 재료로 제작하는 기술이 있으나, 이는 상수도 저장탱크의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된다. 게다가, 종 래의 상수도 저장탱크는 일반적으로 탱크의 상부로 연장된 입수관을 통해 물을 바닥으로 떨어뜨리는 형태로 상수도를 탱크 내로 공급하게 되는데, 이 경우 저장된 물의 수위가 낮으면 소음이 많음은 물론 탱크 내부에 파동이 일어 침전물이 부유되어 혼탁해지고, 수위가 높으면 저장된 물이 다른 물과 섞이지 못하고 그대로 잔존하여 탱크 하부에 사수가 발생하여 오염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상수도 저장탱크는 지붕을 설치하기 위하여 별도의 기둥을 탱크 내에 설치하거나 지붕의 하중을 견디기 위해 탱크 내에 필요 이상의 다수 격벽 구조물을 설치하게 되어, 탱크의 내부구조가 복잡할 뿐 아니라 이러한 구조물이 염소가스의 배출을 막고 저장된 유체에 닿아 부식되어 물을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통형 외부탱크 및 내부탱크의 이중적인 구조로 설치하여, 탱크에 저장된 물을 안정적인 원통형상의 탱크에 분산하여 수용함으로써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된 이중 구조의 원통형 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로부터 물을 유입하는데 사용되는 정화 기둥이 탱크의 지붕을 설치하기 위한 지주 역할을 함으로써, 트러스나 기둥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구조적으로도 안정된 원통형 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화 기둥의 하부를 통하여 탱크 내로 물을 공급함으로써 물이 입수되는 과정에서 소음이 거의 없으며, 내부탱크의 하부로 입수된 물이 상부의 유통경로를 통해 외부탱크로 전달됨으로써 내부탱크 내의 물을 지속적으로 순환시켜 사수 발생에 의한 오염문제가 없는 원통형 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화 기둥을 통해 입수되는 물과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이 정화 기둥의 하부에 배치된 침전물 집적관에 집적되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탱크 내에 저장되는 물을 청결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청소를 용이하게 하며, 사람에 의한 탱크 내부 청소작업이 거의 필요하지 않은 원통형 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화 기둥으로 유입되는 물에 혼합된 염소가스 등의 기체가 정화 기둥 내에서 상부로 배출됨으로써 염소가스 제거가 용이하며, 입수되는 물에 혼합된 염소가스가 내부탱크로 유입되기 전에 정화 기둥 내에서 외부로 방출되므로 탱크의 수명을 늘임과 동시에 탱크 자체를 내식성이 강한 재질로 만들 필요가 없어 보다 경제적인 원통형 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화 기둥과 외부탱크를 이용하여 방사형 프레임을 설치하고, 방사형 프레임을 이용하여 연결 프레임을 설치하며, 그 내부에 하나 이상의 지붕 판넬을 설치함으로써, 지붕 설치가 보다 용이해지며, 원가를 절감하고 유지보수가 간편한 원통형 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탱크와 내부탱크를 다수의 보강부재를 이용하여 물레방아 형태로 서로 일체형으로 연결하여 구조를 보강하며, 이러한 봉에 다수의 격벽을 외부탱크 및 내부탱크와 반복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하여 외부탱크 내의 유동경로를 늘인 원통형 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탱크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위에 설치된 원통형 외부탱크; 상기 베이스 위에서 상기 원통형 외부탱크 내에 설치되며 소정의 유동경로에 의해 상기 원통형 외부탱크와 연통되는 원통형 내부탱크; 상기 원통형 내부탱크의 중심 위치에서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며 하부의 소정 위치에 입수구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정화 기둥; 상기 원통형 외부탱크의 외부로부터 상기 정화 기둥의 소정 높이로 연결되어 외부의 유체를 상기 정화 기둥에 공급하는 입수관; 상기 정화 기둥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정화 기둥으로 유입된 침전물이 집적되는 침전물 집적관; 상기 침전물 집적관에 연결되어 상기 침전물 접적관 내부의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청소관; 및 상기 원통형 내부탱크 및/또는 상기 원통형 외부탱크의 바닥면으로부터 외부로 연결되어 상기 원통형 내부탱크 및/또는 상기 원통형 외부탱크 내의 유체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관을 포함하는 원통형 탱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침전물 집적관은 상기 베이스로부터 소정 높이까지 연장된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정화 기둥의 입수구는 상기 침전물 집적관의 내부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 내부탱크 및 외부탱크의 상부에는 지붕이 설치되며, 상기 정화 기둥은 상기 지붕의 지주로서 기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화 기둥은 상기 지붕의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지붕의 외측으로 노출된 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구부러진다.
또한, 상기 정화 기둥은 적어도 상기 입수관과 연결된 지점의 상부 영역이 내식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내부탱크의 상부에는 상기 내부탱크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출관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스배출관은 상기 내부탱크의 지붕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탱크의 외부에서 상기 정화 기둥과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탱크의 상부에는 상기 외부탱크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출관이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원통형 외부탱크와 상기 원통형 내부탱크는 소정의 유통경로에 의해 서로 연통되며, 상기 유통경로는 상기 원통형 내부탱크의 상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 외부탱크와 상기 원통형 내부탱크는 보강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호간의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는 다수의 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봉 각각은 양단부가 상기 원통형 외부탱크의 내면과 상기 원통형 내부탱크의 외면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입수관, 상기 청소관 및 상기 배수관은 상기 베이스 내부를 경유하여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화 기둥의 상부에는 다수의 방사형 프레임이 상기 원통형 외부탱크를 향하도록 방사상으로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연결 프레임이 상기 다 수의 방사형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정화 기둥을 중심으로 설치되고, 상기 방사형 프레임 및 연결 프레임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각각 하나 이상의 지붕 판넬이 설치되어 상기 원통형 외부탱크 및 내부탱크의 상부를 밀폐된다.
이때, 상기 방사형 프레임 및 상기 연결 프레임에 의해 구획된 공간은 대략적으로 상기 연결 프레임에 수직한 하나 이상의 평행한 선으로 다시 세분화되고, 상기 세분화된 영역마다 하나의 지붕 판넬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평행한 선은 상기 방사형 프레임 및 상기 연결 프레임이 만나는 지점을 지나가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통형 외부탱크 및 상기 원통형 내부탱크 사이에는 다수의 격벽이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격벽은 일단이 상기 원통형 외부탱크 및 내부탱크 중 하나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원통형 외부탱크 및 내부탱크 중 다른 하나와 이격되도록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원통형 외부탱크와 상기 원통형 내부탱크는 다수의 봉으로 이루어진 보강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호간의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고, 상기 다수의 격벽은 상기 다수의 봉에 일체형으로 설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탱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탱크를 도시하는 부분절개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원통형 탱크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통형 탱크는 대략적으로 베이스(10), 원통형 외부탱크(20) 및 원통형 내부탱크(30)를 포함한다. 베이스(10)는 본 발명의 원통형 탱크가 설치되는 기초가 되며, 바람직하게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 내에는 후술하는 입수관, 청소관, 배수관 등이 매설될 수 있다.
원통형 외부탱크(20)와 원통형 내부탱크(30)는 각각 베이스(10) 위에 설치되어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내부탱크(30)는 외부탱크(20) 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외부탱크(20)와 내부탱크(30)는 동심원을 중심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동심원상으로 배치된 외부탱크(20)와 내부탱크(30)는 탱크 전체의 수용공간을 다중으로 나누어 수압을 낮추는 동시에, 각 수용공간이 안정적인 원통형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구조적으로도 매우 안정적이다. 또한, 내부탱크(30)에는 소정 위치에 유통경로(24)가 설치되어 외부탱크(20)와 서로 연통된다. 유통경로(24)는 항상 개방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외부탱크(20)와 내부탱크(30)의 바닥에는 물을 외부로 배출할 때 사용되는 배수관(22)(32)이 연결된다. 배수관(22)(32)에도 각각 소정 위치에 밸브가 설치된다.
외부탱크(20)와 내부탱크(30)의 중심에는 정화 기둥(40)이 설치된다. 정화 기둥(40)은 도 3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정화 기둥(40)은 내부탱크(30)의 중심 위치에서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며, 내부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파이프 형상을 가진다. 또한, 정화 기둥(40)은 후술하는 지붕을 설치할 때 지주의 역할을 하며, 정화 기둥(40)의 하단에는 입수구(42)가 형성된다.
정화 기둥(40)은 원통형 탱크의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입수관(12)과 연결된다. 입수관(12)은 원통형 탱크의 외부로부터 내부탱크(30) 내로 연장되어 소정 높이에서 정화 기둥(40)에 연결된다. 이때, 입수관(12)에는 밸브(14)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입수관(12)을 통해 유입된 물은 정화 기둥(40)을 통해 하부로 유동한다. 이때, 입수관(12)을 통해 유입된 물에는 염소가스 등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염소가스는 물이 정화 기둥(40)에 유입되어 하부로 유동할 때 낮은 비중에 의해 위로 상승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정화 기둥(40)은 염소가스가 내부탱크(30) 내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격리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정화 기둥(40)은 적어도 입수관(12)과 연결된 지점의 상부 영역이 내식성이 우수한 물질로 이루어져 염소가스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통형 탱크에서는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염소가스가 내부탱크(30)에 도달하기 전에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내부탱크(30)를 고가의 내식성 재료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며, 내부탱크(30)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것처럼 정화 기둥(40)을 통해 염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데도 불구하고 내부탱크(30) 내로 소량의 염소가스가 유입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내부탱크(30) 내로 유입된 염소가스는 탱크 내벽을 부식시키는 등의 문제를 야기하므 로, 내부탱크(30) 내의 염소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출관(48)을 설치한다. 가스배출관(48)은 내부탱크(30)의 지붕 중 가장 높은 지점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정화 기둥(40)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내부탱크(30) 외부에서 정화 기둥(4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탱크(20)에도 가스배출관(49)을 설치하여 탱크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외부탱크(20)의 가스배출관(49) 또한 외부탱크(20)의 지붕 중 가장 높은 지점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화 기둥(40)의 하부에는 침전물 집적관(50)이 설치된다. 침전물 집적관(50)은 정화 기둥(4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베이스(1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침전물 집적관(50)의 하단에는 청소관(52)이 연결된다. 청소관(52)은 베이스(10)를 통해 외부로 연장될 수 있으며, 개폐를 위해 소정 위치에 밸브(미도시)가 설치된다.
정화 기둥(40)의 입수구(42)는 바람직하게 침전물 집적관(50)의 내부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위치에 형성된다. 즉, 정화 기둥(40)의 하단부에는 폭이 좁아진 형태로 침전물 집적관(50)의 내부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며, 침전물 집적관(50)의 내부 위치에 입수구(42)가 형성된다. 또한, 정화 기둥(40)은 입수구(42)의 상부에서 침전물 집적관(50)과 결합되고, 침전물 집적관(50)과의 결합부에 입수경로(44)가 형성된다. 즉, 정화 기둥(40)을 통해 유입된 물은 하단의 입수구(42)를 통해 침전물 집적관(50)으로 유입된 후, 그 상부에 위치하는 입수경로(44)를 통해서 내부탱크(30)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서, 정화 기둥(40)을 통해 물과 함 께 유입된 이물질은 침전물 집적관(50) 내에 침전되며, 이물질이 제거된 물이 입수경로(44)를 통해 내부탱크(30)로 유입된다.
정화 기둥(40)의 상부는 원통형 탱크의 지붕 외부로 연장되며, 그 상단부에는 염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46)가 설치될 수 있다. 배출부(46)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단부가 막힌 상태로 측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배출부(46')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지붕의 외부로 노출된 정화 기둥(40)의 상단부를 하방을 향하도록 구부려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탱크에서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내부탱크(30)의 하부에 형성된 입수경로(44)를 통해 유입된다. 또한, 내부탱크(30)와 외부탱크(20)를 연결하는 유통경로(24)는 바람직하게는 내부탱크(30)의 상부에 형성되어, 내부탱크(30) 내부의 물이 자연스럽게 상하로 순환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내부탱크(30) 내의 물은 내부에서 고여있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동하게 되며, 따라서 저장된 물을 보다 신선하게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탱크의 외부탱크(20)와 내부탱크(30)는 보강부재(60)에 의해 상호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보강부재(60)는 다수의 사각 또는 원형 파이프나 형강 등과 같은 봉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봉은 양단부가 각각 외부탱크(20)의 내면과 내부탱크(30)의 외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외부탱크(20)와 내부탱크(30)는 구조적으로 보다 안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탱크에는 외부탱크(20)와 내부탱크(30) 사이에 다수의 격벽(80)이 설치된다. 상기 격벽(80)은 도 7에 잘 도시된 것처럼 일단이 외부탱크(20)와 내부탱크(30) 중 하나와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탱크(20)와 내부탱크(30) 중 다른 하나와 이격되도록 번갈아 배치된다. 즉, 하나의 격벽(80)은 일단이 외부탱크(20)와 연결되고 타단은 내부탱크(30)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그에 인접한 다른 격벽(80)은 일단이 내부탱크(30)와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탱크(20)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다. 물론, 내부탱크(30)와 연결된 격벽(80)에 인접한 다른 격벽은 외부탱크(20)와 연결되고 내부탱크(30)로부터 약간 이격된다.
이러한 격벽구조에 의하여 외부탱크(20) 내의 저장공간은 지그재그형으로 유동경로가 형성되며, 따라서 외부탱크(20)에 유입된 물은 외부로 빠져나갈 때까지 보다 긴 유동거리를 갖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격벽구조는 외부탱크(20) 내의 유동거리를 늘일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각 격벽(80)이 외부탱크(20)와 내부탱크(30) 중 하나에만 연결되고 다른 하나와는 이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외부탱크(20) 내부를 이동하기가 편리하며, 각 격벽(80)으로 나뉘어진 구획을 이동하는 동안 사다리와 같은 별도의 장비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한편, 이러한 격벽(80)은 상술한 보강부재(60)와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즉, 외부탱크(20)와 내부탱크(30) 사이에 다수의 봉으로 이루어진 부강부재(60)를 설치하고, 상기 보강부재(60)에 격벽(80)을 일체형으로 설치할 수 있다. 각 격벽(80)은 하나의 봉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다수의 봉에 하나의 격벽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격벽(80)의 설치가 보다 용이하며, 원통형 탱크의 구조를 보강 하면서 동시에 외부탱크(20) 내의 유동경로를 늘리는 장점이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통형 탱크에는 정화 기둥(40)의 상부에는 다수의 방사형 프레임(70)이 설치된다. 방사형 프레임(70)은 정화 기둥(40)을 중심으로 외부탱크(20)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외부탱크(20)의 상부에 고정된다. 또한, 방사형 프레임(70)은 하나 이상의 연결 프레임(7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연결 프레임(72)은 정화 기둥(40)을 중심으로 대략적으로 동심원을 형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프레임(72)은 방사형 프레임(70) 사이에 직선으로 설치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다각형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방사형 프레임(70)과 연결 프레임(72)은 원통형 탱크의 지붕 영역을 다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며, 이 다수의 영역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대략적으로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갖게 된다. 또한, 다각형을 이루는 연결 프레임(72)에 상응하도록 외부탱크(20) 또한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방사형 프레임(70), 연결 프레임(72) 및 외부탱크(20)는 사다리꼴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방사형 프레임(70), 연결 프레임(72) 및 외부탱크(20)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지붕 판넬(76)이 설치된다. 지붕 판넬(76)은 방사형 프레임(70), 연결 프레임(72) 및 외부탱크(20)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하나씩 설치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방사형 프레임(70), 연결 프레임(72) 및 외부탱크(20)에 의해 구획된 공간을 대략적으로 상기 연결 프레임(72)에 수직한 하나 이상의 평행선(74)으로 다시 세분화하고, 상기 세분화된 영역마다 하나의 지붕 판넬(76)을 설치한다. 이때, 하나 이상의 평행선(74)은 방사 형 프레임(70)과 연결 프레임(72)이 만나는 지점을 지나가도록 설정되어, 평행선(74)에 의해 세분화된 방사형 프레임(70), 연결 프레임(72) 및 외부탱크(20) 사이의 공간이 삼각형 및 직사각형으로만 세분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지붕 판넬(76)은 상기 세분화된 영역에 따라서 삼각형 및 사각형으로만 제작되면 되므로, 지붕 판넬(76)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원통형 탱크는 상수도를 저장하는 저장탱크로서 매우 적합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저장하는 용도의 모든 종류의 탱크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탱크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첫째, 본 발명의 원통형 탱크는 원통형 외부탱크 및 내부탱크의 이중적인 구조로 설치되므로, 탱크에 저장된 물을 안정적인 원통형상의 탱크에 분산하여 수용함으로써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하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원통형 탱크는 외부로부터 물을 유입하는데 사용되는 정화 기둥이 탱크의 지붕을 설치하기 위한 지주 역할을 함으로써, 기둥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구조적으로도 안정하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원통형 탱크는 정화 기둥의 하부를 통하여 탱크 내로 물을 공급하기 때문에 물이 입수되는 과정에서 소음이 거의 없으며, 내부 탱크의 하부로 입수된 물이 상부의 유통경로를 통해 외부탱크로 전달됨으로써 내부탱크 내의 물을 지속적으로 순환시켜 사수 발생에 의한 오염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원통형 탱크는 정화 기둥을 통해 입수되는 물과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이 정화 기둥의 하부에 배치된 침전물 집적관에 집적되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탱크 내에 저장되는 물을 청결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청소를 용이하게 하며, 사람에 의한 탱크 내부 청소작업이 거의 필요하지 않거나 종래에 비해 훨씬 긴 주기로 진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의 원통형 탱크는 정화 기둥으로 유입되는 물에 혼합된 염소가스 등의 기체가 정화 기둥 내에서 상부로 배출됨으로써 염소가스 제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입수되는 물에 혼합된 염소가스가 내부탱크로 유입되기 전에 정화 기둥 내에서 외부로 방출되므로 탱크의 수명을 늘임과 동시에 탱크 자체를 내식성이 강한 재질로 만들 필요가 없어 보다 경제적이며, 염소가스가 지나는 정화 기둥 영역만을 내식성이 강한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의 원통형 탱크는 정화 기둥과 외부탱크를 이용하여 방사형 프레임을 설치하고, 방사형 프레임을 이용하여 연결 프레임을 설치하며, 그 내부에 하나 이상의 지붕 판넬을 설치함으로써, 지붕 설치가 보다 용이해지며, 원가를 절감하고 유지보수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일곱째, 본 발명의 원통형 탱크는 외부탱크와 내부탱크를 다수의 봉으로 서로 일체형으로 연결하여 구조를 보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봉에 다수의 격벽을 외부탱크 및 내부탱크와 반복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하여 외부탱크 내의 유동경로를 늘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7)

  1. 베이스;
    상기 베이스 위에 설치된 원통형 외부탱크;
    상기 베이스 위에서 상기 원통형 외부탱크 내에 설치되며 소정의 유동경로에 의해 상기 원통형 외부탱크와 연통되는 원통형 내부탱크;
    상기 원통형 내부탱크의 중심 위치에서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며 하부의 소정 위치에 입수구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정화 기둥;
    상기 원통형 외부탱크의 외부로부터 상기 정화 기둥의 소정 높이로 연결되어 외부의 유체를 상기 정화 기둥에 공급하는 입수관;
    상기 정화 기둥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정화 기둥으로 유입된 침전물이 집적되는 침전물 집적관;
    상기 침전물 집적관에 연결되어 상기 침전물 접적관 내부의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청소관; 및
    상기 원통형 내부탱크 및/또는 상기 원통형 외부탱크의 바닥면으로부터 외부로 연결되어 상기 원통형 내부탱크 및/또는 상기 원통형 외부탱크 내의 유체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탱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물 집적관은 상기 베이스로부터 소정 높이까지 연장된 파이프 형상 을 가지며, 상기 정화 기둥의 입수구는 상기 침전물 집적관의 내부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탱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내부탱크 및 외부탱크의 상부에는 지붕이 설치되며, 상기 정화 기둥은 상기 지붕의 지주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탱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기둥은 상기 지붕의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지붕의 외측으로 노출된 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구부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탱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기둥은 적어도 상기 입수관과 연결된 지점의 상부 영역이 내식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탱크 내부로 염소가스가 유출되지 않는 격리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탱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탱크의 상부에는 상기 내부탱크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출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탱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관은 상기 내부탱크의 지붕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탱크의 외부에서 상기 정화 기둥과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탱크.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탱크의 상부에는 상기 외부탱크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출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탱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외부탱크와 상기 원통형 내부탱크는 소정의 유통경로에 의해 서로 연통되며, 상기 유통경로는 상기 원통형 내부탱크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탱크.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외부탱크와 상기 원통형 내부탱크는 보강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호간의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탱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다수의 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봉 각각은 양단부가 상기 원통형 외부탱크의 내면과 상기 원통형 내부탱크의 외면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탱크.
  12.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관, 상기 청소관 및 상기 배수관은 상기 베이스 내부를 경유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탱크.
  13.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기둥의 상부에는 다수의 방사형 프레임이 상기 원통형 외부탱크를 향하도록 방사상으로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연결 프레임이 상기 다수의 방사형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정화 기둥을 중심으로 설치되고, 상기 방사형 프레임 및 연결 프레임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각각 하나 이상의 지붕 판넬이 설치되어 상기 원통형 외부탱크 및 내부탱크의 상부를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탱크.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형 프레임 및 상기 연결 프레임에 의해 구획된 공간은 대략적으로 상기 연결 프레임에 수직한 하나 이상의 평행한 선으로 다시 세분화되고, 상기 세분화된 영역마다 하나의 지붕 판넬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탱크.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평행한 선은 상기 방사형 프레임 및 상기 연결 프레임이 만나는 지점을 지나가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탱크.
  16.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외부탱크 및 상기 원통형 내부탱크 사이에는 다수의 격벽이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격벽은 일단이 상기 원통형 외부탱크 및 내부탱크 중 하나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원통형 외부탱크 및 내부탱크 중 다른 하나와 이격되도록 번갈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탱크.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외부탱크와 상기 원통형 내부탱크는 다수의 봉으로 이루어진 보강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호간의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고,
    상기 다수의 격벽은 상기 다수의 봉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탱크.
KR1020060138513A 2006-12-29 2006-12-29 원통형 탱크 KR100764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513A KR100764817B1 (ko) 2006-12-29 2006-12-29 원통형 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513A KR100764817B1 (ko) 2006-12-29 2006-12-29 원통형 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4817B1 true KR100764817B1 (ko) 2007-10-08

Family

ID=39419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8513A KR100764817B1 (ko) 2006-12-29 2006-12-29 원통형 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48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940B1 (ko) * 2013-10-28 2014-04-24 (주)금강 교반구조를 갖는 유체 저장 탱크 및 그 작동 방법
CN105399035A (zh) * 2015-10-13 2016-03-16 郭阴群 一种立式售酒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3383A (ja) * 1994-11-10 1996-05-28 Morimatsu Kogyo Kk タンク
JPH08326107A (ja) * 1995-05-29 1996-12-10 Nkk Corp 貯水タンク
JPH09202390A (ja) * 1995-11-20 1997-08-05 Morimatsu Kogyo Kk 液体貯溜タンク
JPH09278082A (ja) * 1996-04-10 1997-10-28 Morimatsu Sogo Kenkyusho:Kk タンク
KR20040095542A (ko) * 2003-05-09 2004-11-15 강동열 콘크리트 철제패널 일체형 다중 격벽 물탱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3383A (ja) * 1994-11-10 1996-05-28 Morimatsu Kogyo Kk タンク
JPH08326107A (ja) * 1995-05-29 1996-12-10 Nkk Corp 貯水タンク
JPH09202390A (ja) * 1995-11-20 1997-08-05 Morimatsu Kogyo Kk 液体貯溜タンク
JPH09278082A (ja) * 1996-04-10 1997-10-28 Morimatsu Sogo Kenkyusho:Kk タンク
KR20040095542A (ko) * 2003-05-09 2004-11-15 강동열 콘크리트 철제패널 일체형 다중 격벽 물탱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940B1 (ko) * 2013-10-28 2014-04-24 (주)금강 교반구조를 갖는 유체 저장 탱크 및 그 작동 방법
CN105399035A (zh) * 2015-10-13 2016-03-16 郭阴群 一种立式售酒罐
CN105399035B (zh) * 2015-10-13 2020-08-18 郭阴群 一种立式售酒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8940B1 (ko) 교반구조를 갖는 유체 저장 탱크 및 그 작동 방법
JPH11262603A (ja) 同時逆洗分配装置
KR101969314B1 (ko)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
KR100764817B1 (ko) 원통형 탱크
KR100886156B1 (ko) 회류유도형 원통저수조
US3240343A (en) Combined septic tank and leaching pool
KR101886677B1 (ko) 회전수류를 발생시키는 연접구조형 물탱크
KR101718898B1 (ko) 맨홀구멍이 형성된 도류벽과 측벽이 일체형 구조로 되어 내구성이 향상된 사각 물탱크
KR100982283B1 (ko) 다수의 격벽이 형성된 저수탱크
RU2656405C2 (ru) Станция перекачки сточных вод
KR101375079B1 (ko) 내부 오염 방지 및 정화 구조를 갖는 물탱크
KR102265161B1 (ko) 염소가스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는 물탱크
JP2004332365A (ja) 汚水中継ポンプ設備
KR101532907B1 (ko) 정화조 및 수처리시설용 블록의 결합구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블록
KR100598365B1 (ko) 육각형탱크를 서로 집합한 다수격벽 물탱크.
KR200210025Y1 (ko) 위생 물탱크
KR100772337B1 (ko) 수압방지 및 도류벽 기능을 갖는 물탱크
CN212731355U (zh) 一种工艺水箱改进结构
KR102556218B1 (ko) 물탱크 천장판 세정장치
RU209999U1 (ru) Септик
JP2006181434A (ja) 濾過ユニット
JP7011125B2 (ja) 災害時水洗トイレシステム
CN218280816U (zh) 一种一体化污水处理设备
CN219755541U (zh) 一种防漫流防喷射管廊
KR100809868B1 (ko) 수압방지 및 도류벽 기능을 갖는 물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