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314B1 -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 - Google Patents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314B1
KR101969314B1 KR1020180131585A KR20180131585A KR101969314B1 KR 101969314 B1 KR101969314 B1 KR 101969314B1 KR 1020180131585 A KR1020180131585 A KR 1020180131585A KR 20180131585 A KR20180131585 A KR 20180131585A KR 101969314 B1 KR101969314 B1 KR 101969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er
outlet
main body
flui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태환
Original Assignee
이상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복 filed Critical 이상복
Priority to KR1020180131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3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8Straine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에 관한 기술이다. 좀 더 상세하게로는, 유체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하여 배관라인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유체의 흐름을 여과통의 어느 특정부위에 집중되어 통과되지 않도록 하여 스트레이너 내부에서 유체흐름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 시킬 수 있고, 여과통에 이물질이 쌓이더라도 여과통내 다른 부분을 통한 원활한 유로를 보장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스트레이너 내부에 이물질이 다량으로 퇴적되는 경우에도 여과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스트레이너로 유입되는 유체가 여과통에서 걸러진 뒤에는 스트레이너 하부에 있는 유체부터 유출되도록 함으로서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오래된 잔수가 스트레이너에 존재하지 못하도록 하는 스트레이너를 제공한다. 그리고 스트레이너의 상단에 개폐용 덮개를 둠으로써 청소 및 여과통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소 또는 유지보수 시 잔수가 쏟아져 내리지 않는 구조를 갖는 스트레이너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 유입관, 유출관, 덮개, 흐름제어수단 및 여과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T Type Strainer}
본 발명은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에 관한 기술이다. 좀 더 상세하게로는, 유체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하여 배관라인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옆에서 본 단면이 T자형이며, 상부에서 덮개를 개폐하도록 함으로써 내부에 있는 여과통의 청소 및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내부에는 흐름제어수단을 갖도록 하여 잔수를 최소화하고, 본체와 여과통 사이에 유로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이물질이 특정부분에만 쌓이지 않도록 하여 유로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에 관한 기술이다.
스트레이너는, 관로에 흐르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로 인하여 관로가 막히거나, 펌프, 유량계, 열교환기, 콘덴서 등의 각종 배관설비에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관로의 중간에 설치하는 일종의 여과설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물 혹은 유류와 같은 유체를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배관을 이용하여 특정한 다른 장소로 유체를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 배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에는 그 자체적으로 이물질을 포함하고 있거나, 배관으로부터 발생되는 녹 등의 오물 또는 용접 시 발생된 슬러지와 함께 모래, 스케일, 금속 쓰레기 등이 존재하게 되어 배관이 막히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이물질들로 인한 배관의 막힘 현상은 특히, 유체를 강제로 이송시키기 위한 펌프, 이송되는 유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조절 밸브 및 기타 조절 밸브 등을 고장을 유발하고 이로 인하여 배관, 펌프, 각종 밸브 등을 교체하여야 한다는 문제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주거생활에도 많은 피해가 발생하여 생활에 불편함을 준다. 특히 대부분이 주철관으로 이루어져 있는 상수도관의 경우에는, 노후화되면서 녹이 발생되고, 각종 불순물이 떨어져 용수에 이물질이 섞이게 되며, 상수도관의 교체나 보수공사 시에도 불순물이 발생하여 용수를 오염시키게 되는데,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계량기를 막는 경우 수돗물이 나오지 않거나 수돗물에 이물질이 섞여 나올 수 있는 문제도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에 이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트레이너를 배관라인 중간에 설치하게 되는데 스트레이너에는 여과통을 두어 녹, 금속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관로에 스트레이너를 설치하게 되면, 스트레이너의 후단에 있는 각종설비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스트레이너에 걸러져서 누적되는 이물질들은 정기적으로 제거해주어야 하는데, 스트레이너의 내부를 청소하거나 내부에 포함되는 여과통을 교체하거나 해야 한다.
한편 종래기술에 의한 스트레이너는, 내부에 있는 여과통 중 특정부분이 유로의 흐름상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여과통 중 특정부분에만 이물질이 집중하여 쌓이게 되는 관계로, 여과통에 쌓여진 이물질들이 유로의 흐름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스트레이너를 자주 청소하거나 여과통을 교체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유로가 차단된 상태에서도 스트레이너 내부에 잔수가 많이 남게 되므로, 유로차단 상태가 오랫동안 지속되는 경우 관로 내부에 오염된 잔수가 다량으로 존재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유로의 흐름은 스트레이너 상부에서 형성되고, 잔수는 스트레이너의 하부에 존재하기 때문에 유로가 차단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잔수 즉 흐르지 않고 정체된 오래된 유체가 스트레이너 내부에 존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뿐만 아니라 이렇게 다량으로 존재하는 잔수는 스트레이너의 청소 또는 여과통 교체 시 밖으로 쏟아져 내리게 되어 작업자에게 직접 노출될 수 있어 작업자에게 불쾌감을 줄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유체가 유해한 것일 경우에는 작업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는, 유체의 흐름을 여과통의 어느 특정부위에 집중되어 통과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스트레이너 내부에서 유체흐름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 시킬 수 있고, 여과통에 이물질이 쌓이더라도 여과통내 다른 부분을 통한 원활한 유로를 보장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스트레이너 내부에 이물질이 다량으로 퇴적되는 경우에도 여과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트레이너로 유입되는 유체가 여과통에서 걸러진 뒤에는 스트레이너 하부에 있는 유체부터 유출되도록 함으로서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오래된 잔수가 스트레이너에 존재하지 못하도록 하는 스트레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스트레이너의 상단에 개폐용 덮개를 둠으로써 청소 및 여과통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소 또는 유지보수 시 잔수가 쏟아져 내리지 않는 구조를 갖는 스트레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의 일 실시예는, 배관라인을 따라 흐르는 유체 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배관라인 상에 설치되며, 본체, 유입관, 유출관, 덮개, 흐름제어수단 및 여과통을 포함하는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중심축이 상기 배관라인과 지면 각각에 대하여 수직인 원통형으로서, 하단은 막혀있고 상단은 개방되며; 상기 유입관은, 일단이 상기 본체의 원통형 측면 중 상부 일 측에 형성된 유입구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배관라인의 유입배관 쪽과 연결될 수 있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유출관은, 일단이 상기 본체의 원통형 측면 상부 중 상기 유입구와 반대쪽에 형성된 유출구에 부착되고, 타단에는 상기 배관라인의 유출배관 쪽과 연결될 수 있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는, 상기 본체의 상단을 덮어서 밀폐시키거나, 열어서 개방시킬 수 있게 결합되며, 상기 흐름제어수단은, 상기 유출구에 대한 직접적인 유체흐름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내주면 중 상기 유출구 쪽에 부착되며 세로방향이 길은 장방형으로 되어 상기 세로방향 양쪽이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종방향으로 각각 부착되는 격벽부, 위에서 본 평면이 활꼴로서, 상기 활꼴의 호 부분은 상기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부착되고 상기 활꼴의 직선부분은 상기 격벽부의 상단과 연결되어 상기 유출구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절곡부, 상기 격벽부의 하단에, 일정크기로 개방되어 상기 유출구에 대한 유체흐름을 형성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통은, 위에서 본 단면이 활꼴이며 속이 빈 기둥모양으로서 상면만 개방되어 있고, 나머지 면은 그물망으로 막혀있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 탈착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는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여과통의 측면이 상기 본체의 원통형 내주면 및 상기 격벽부와 마주하는 부분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함으로써 유로공간을 형성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이에 더하여, 상기 여과통의 하단은 상기 개구부의 상단과 같거나 높은 곳에 위치하며, 상기 여과통의 상단은 상기 유입구의 하단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개구부의 면적은 상기 유출구의 단면적에 비하여 같거나 넓으며, 상기 여과통의 활꼴면적은 상기 절곡부의 활꼴면적보다 넓으며, 상기 절곡부의 활꼴면적은 상기 개구부의 면적에 비하여 같거나 넓게 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잔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는, 유입구는 본체의 상부에 있으며, 여과통의 상면을 제외한 모든 부분은 그물망형태로 되어 있고, 여과통이 본체 및 격벽부와 마주하는 부분에 유로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격벽부의 하단을 통하여 유체가 유출되는 구조로 하였기 때문에 유체의 흐름이 여과통의 어느 특정부위에 집중되지 않고, 여과통의 상면을 제외한 모든 부분이 여과면적으로 작용될 수 있으므로 유체 흐름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이물질이 여과통의 특정부위(예를 들어 아래쪽)에 많이 쌓이게 되더라도 다른 부분으로 유로가 충분히 보장되기 때문에, 스트레이너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여과통에 퇴적된 이물질로 인하여 유로가 막히거나 여과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소나 여과통의 교체주기를 길게 할 수 있어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스트레이너 내부에 별도의 흐름제어수단을 형성하여 스트레이너로 유입되어 걸러진 유체가 스트레이너의 최하단부부터 흡입이 되도록 하는 구조로 하였기 때문에 잔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오래된 잔수로 인한 관로의 오염을 예방하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 상단에 개폐 가능한 덮개를 두어 여과통을 스트레이너의 상부로 인출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스트레이너의 유지보수 시에도 스트레이너에 남아있는 잔수가 쏟아지지 않기 때문에, 유해한 유체가 작업자에게 직접 노출되는 위험을 예방할 수 있고, 여과통의 청소 및 교체 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에 대한, 도 1에서 A-A’방향으로 절개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로서, 덮개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로서, 덮개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의한,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에 대한 도 1의 A-A’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에 대한 도 1의 A-A’방향 단면도로서, 덮개를 열어 여과통을 분리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에서 유체의 이동흐름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에 의한,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에 포함된 여과통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에서 여과통과 흐름제어수단의 단면적비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상술한 목적과 특징이 분명해지도록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한 공지기술 중 이미 그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그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다양한 부가적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특정한 실시 예들이 도면에 표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 예들을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를 A-A‘방향으로 절개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는 배관라인(미도시)을 따라 흐르는 유체 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배관라인 상에 설치되며, 본체(100), 유입관(200), 유출관(300), 덮개(400), 흐름제어수단(500) 및 여과통(600)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단이 막혀있고 상단은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으로 하고, 상기 원통형의 중심축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의 상단은 덮개(400)가 덮여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수단(110)을 더 포함하도록 하고, 상기 본체(100)의 원통형 측면 중 상부 일측에는 유입구(120)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유입구(120)의 반대쪽 측면에는 상기 유입구(120)에 대향하여 유출구(13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입관(200)과 상기 유출관(300)은 상기 본체(100)를 상기 배관라인과 연결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유입관(200)은 일단이 상기 본체(100)의 원통형 측면에 형성된 상기 유입구(120)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배관라인의 유입배관 쪽과 연결될 수 있도록 플랜지(21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출관(300)은 일단이 상기 본체(100)의 원통형 측면에 형성된 상기 유출구(130)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배관라인의 유출배관 쪽과 연결될 수 있도록 플랜지(31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덮개(4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단을 덮어서 밀폐시키거나, 열어서 개방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서 상기 덮개(400)를 열고 상기 본체(100) 내부를 청소하거나 상기 여과통(600)을 꺼내어 교체나 청소 등을 할 수 있게 되어야 하며, 상기 덮개(400)로 상단을 덮은 경우에는 상기 본체(100)에 대한 밀폐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덮개(400)는 상기 결합수단(110)을 통해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1 및 도2에서 보는 것처럼 플랜지식으로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덮개(400)와 관련하여 도 3은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로서, 상기 덮개(400)가 닫힌 상태를 도시되어 있으며, 도 4는 상기 본체(100)에서 덮개가 열린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는 덮개를 열고 상기 여과통(600)까지 분리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원은 상기 흐름제어수단(500)을 둠으로써, 상기 여과통(600)으로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여과통(600) 전체를 통하여 통과하면서 여과되고, 여과된 유체는 상기 흐름제어수단(500)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530)를 통하여 유입되며, 상기 개구부(530)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유출관(300) 및 유출배관(미도시)에 형성되는 흡입압력에 의하여 상기 유출구(130)쪽으로 빨려 올라가는 특징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흐름제어수단(500) 및 상기 여과통(600)의 구조가 도 2 및 도 5 내지 도 8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흐름제어수단(500) 및 상기 여과통(600)의 상세구조 및 작동원리를 도 2 및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도면들에서 보듯이, 상기 흐름제어수단(500)은 격벽부(510), 절곡부(520) 및 개구부(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격벽부(510)는 세로방향 즉 상기 본체(100)의 축방향 쪽이 길은 장방형으로 하고, 상기 세로방향 양쪽이 상기 본체(100)의 내주면에 종방향으로 각각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격벽부(510)로 인하여, 상기 본체(100)를 위에서 본 단면이 활꼴이 되는 두 개의 구역으로 구획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 및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유입구(120) 쪽과 상기 유출구(130) 쪽의 단면이 각각의 활꼴이 되도록 하되, 상기 유출구(130) 쪽 활꼴의 단면적보다는 상기 유입구(120)쪽 활꼴의 단면적을 더 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유입구(120) 쪽에 상기 여과통(600)이 위치하기 때문이다. 상기 각각의 활꼴 단면적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격벽부(510)의 상단은 상기 유출구(130)를 완전히 가릴 수 있는 높이까지 형성되어야 하며, 상기 격벽부(510)의 하단은 상기 개구부(530)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의 바닥에서부터 일정높이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절곡부(520)는 상기 흐름제어수단(500)의 상기 유출구(130) 쪽 상부를 밀폐시키는 구성으로서 위에서 본 평면이 활꼴이며, 활꼴의 호 부분은 상기 본체(100)의 내주면을 따라 부착되고 활꼴의 직선부분은 상기 격벽부(510)의 상단과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유출구(130)의 상부쪽을 밀폐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절곡부(520)는, 옆에서 본 단면이 상기 격벽부(510)에 대하여 90도가 되도록 절곡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 7의 하단에 도시된 상기 절곡부(520)의 다른 실시예 b에서 보듯이 상기 격벽부(510)와 상기 절곡부(520)가 이루는 각도를 90도가 넘게 하여 상기 절곡부(520)의 단면을 비스듬한 경사모양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절곡부(520)가 비스듬한 경사모양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절곡부(520)의 상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와류를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개구부(530)를 통하여 상기 유출구(130)쪽으로 유입되는 유체도 상기 절곡부(520)의 경사면에 부딪치기 때문에 와류로 인한 흐름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 하단의 c에서 보듯이 상기 절곡부(520)의 단면을 곡선모양으로 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렇게 하는 경우에도 위에서 설명한 경사모양으로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530)는, 상기 격벽부(510)의 아래쪽에서, 상기 격벽부(510)로 인하여 분리된 상기 유입구(120)쪽 공간과 상기 유출구(130)쪽 공간을 서로 연결시켜 유로를 형성시키는 공간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격벽부(510)의 하단이 상기 본체(100)의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 이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형성되는, 상기 격벽부(510)의 하단과 상기 본체(100)의 바닥사이의 개방공간을 상기 개구부(53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여과통(600)은, 도 8의 사시도에서 보듯이, 위에서 본 단면이 활꼴이며 속이 빈 기둥모양으로서 상면만 개방되어 있고, 나머지 면은 그물망으로 막혀있고, 상기 본체(100) 중 상기 유입구(120)쪽 공간 내부에 탈착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면의 테두리에는 바깥쪽을 향하여 일정부분 돌출된 걸림턱(610)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턱(610)은 상기 본체(100)의 원통형 내주면 및 상기 격벽부(510)에 형성된 받침턱(140)에 걸리는 구조로 하여 상기 여과통(600)이 상기 본체(100) 내부에 삽입될 때 상기 걸림턱(610)이 상기 받침턱(140)에 받쳐져서 상기 여과통(600)이 상기 본체(100) 내부의 적정위치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여과통(600)은 격자형태의 그물망으로 막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여기서 그물망의 재질을 철망 또는 금속망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수의 구멍을 천공한 스테인레스 판을 원통 형상으로 둥글게 말아 용접하여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여과통(600)은 유체의 흐름에 저항이 발생시키지 않도록 적정한 수압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도록 제조됨으로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여과통(600)에 유체가 흐를 때 압력 강하가 적게 발생하도록 하여 이물질을 걸러내면서 보다 적은 압력 강하를 일으키게 하여 배관시스템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여과통(600)의 측면은 상기 본체(100)의 원통형 내주면 및 상기 격벽부와 마주하는 부분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여과통(600)의 측면 바깥쪽 전체에 걸쳐서 유로공간(S)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여과통(600)의 하단은 상기 개구부(530)의 상단과 같거나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여과통(600)의 하단부와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해 주어 상기 개구부(530)로의 유체유입을 원활히 하기 위함이다. 만일 상기 여과통(600)의 하단이 상기 개구부(530)의 상단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여과통(600)의 측면에서 상기 유로공간(S)을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여과통(600)으로 인하여 저항을 받게 되며, 이로 인하여 유체는 상기 여과통(600)의 측면으로 유입되기 보다는 상기 여과통(600)의 하단으로 집중되어 유입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실질적 여과면적이 줄어들고, 이물질이 쌓일 경우 유체저항이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여과통(600)의 상단은 상기 유입구(120)의 하단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유입구(120)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여과통(600) 내부로 원활히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개구부(530)의 면적은 상기 유출구(130)의 면적에 비하여 같거나 넓은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개구부(530)로의 유입량이 상기 유출구(130)로의 유출량에 비하여 충분히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여과통(600)의 활꼴면적은 상기 절곡부(520)의 활꼴면적보다 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충분한 여과면적을 확보하기 위함이며, 이에 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절곡부(520)의 활꼴면적은 상기 개구부(530)의 면적에 비하여 같거나 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절곡부(520)의 활꼴면적은 상기 절곡부(520)를 위에서 본 평면의 면적이며, 이는 상기 격벽부(510)와 상기 본체(100)의 내주면 중 상기 유출구(130) 쪽 내주면과 사이에 형성되는 활꼴 공간의 단면적이다. 이렇게 상기 절곡부(520)의 활꼴면적을 상기 개구부(530)의 면적 이상으로 하는 이유는 상기 개구부(530)로 유입된 유체에 대하여 충분한 유로공간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본체(100)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 여과과정 및 유출과정, 상기 여과통(600)의 실질적 여과면적, 잔수가 최소화되는 원리, 상기 개구부의 바람직한 면적 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입관(200)으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진입된 유체는 상기 유출관(300)의 상부를 밀폐하고 있는 상기 흐름제어수단(500)의 상기 격벽부(510)와 상기 절곡부(520)에 막혀 상기 유출관(300)으로 흐르는 직접적인 이동이 차단되므로, 모든 유체는 반드시 상기 여과통(600)을 관통하여 그물망에 이물질이 걸러지고, 이물질을 포함하지 않은 유체는 상기 유로공간(S) 및 상기 여과통(600)의 하면을 통하여 빠져나가게 되며, 빠져나온 유체는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개구부(530)를 통해서 흡입되어 상기 유출관(300)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원발명에서는 이렇게 상기 여과통(600)의 측면과 상기 본체(100)의 원통형 내주면 및 상기 격벽부와 마주하는 부분에 유로공간(S)을 형성하도록 하기 때문에, 상기 여과통(600)의 모든 여과망을 통하여 유체가 유출될 수 있기 때문에 특정부분, 예를 들어 상기 여과통(600)의 하단에 이물질이 쌓이더라도 상기 여과통(600)의 측면과 상기 유로공간(S)을 통하여 상기 개구부로의 유체흐름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여과통(600)의 상당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이물질이 쌓이지 않는 한 유체흐름에 전혀 지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본원발명에 포함된 상기 여과통(600)은 상기 여과통(100)의 상단을 제외한 모든 부분에서 여과가 이루어지므로 그물망으로 되어 있는 상기 여과통(600)의 모든 측면 및 하면이 실질적인 여과면적이 된다. 이렇게 실질적인 여과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고 상기 여과통(600)의 교체나 청소 없이 오랫동안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여과통(600)을 빠져나간 유체는 상기 본체(100)의 바닥과 상기 격벽부(520)의 하단 사이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530)를 통하여 상기 유출구(130)쪽으로 흡입되어 나가게 된다. 따라서 배관라인에 유체공급이 더 이상 안되는 경우, 상기 스트레이너에 남게 되는 잔수는 상기 격벽부(520)의 하단 이하의 선이 되므로 본원발명에서는 스트레이너에 남는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렇게 스트레이너 내부의 유체를 최하단부터 유출시키게 되므로, 기존의 스트레이너가 가진 단점 즉, 유체의 흐름에도 불구하고 스트레이너의 여과공간 내부에 오랫동안 체류하는 유체를 가지기 때문에 유체의 오염에 취약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는 상기 흐름제어수단(500)으로 인하여, 두 개의 구역으로 구획되어 있고, 상기 유입구(120) 쪽과 상기 유출구(130) 쪽의 단면이 각각의 활꼴이 되도록 하되, 상기 유출구(130) 쪽 활꼴의 단면적보다는 상기 유입구(120)쪽 활꼴의 단면적을 더 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530)의 면적은 상기 유출구(130)의 단면적에 비하여 같거나 넓으며, 상기 여과통(600)의 활꼴면적은 상기 절곡부(520)의 활꼴면적보다 넓으며, 상기 절곡부(520)의 활꼴면적은 상기 개구부(530)의 면적에 비하여 같거나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절곡부(520)의 활꼴면적 즉 상기 유출구(130) 쪽 활꼴면적은 상기 유출구(130)의 단면적 이상이어야 한다.
도 9에는 여과통과 흐름제어수단의 단면적비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상술한 두 개의 활꼴에 대한, 상기 유출구(130)의 단면적을 고려한, 바람직한 단면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이용하여, 상기 유출구(130)의 단면적을 고려할 때, 상기 유출구(130)쪽 활꼴의 각도에 대한 적정범위를 설명한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원통형 내부반경을 R이라 하고, 상기 유출구(130)쪽 활꼴의 각도를 θ라 하는 경우, 상기 유출구(130) 쪽 활꼴면적은 ‘πR2 x (θ/360) - (R2/2) x sinθ’이 된다. 그리고 상기 유출구(130)의 반경을 r이라 하는 경우 상기 유출구(130)의 단면적은 πr2 이 된다. 그리고 상기 유출구(130)쪽 활꼴면적은 상기 유출구(130)의 단면적 πr2보다 커야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πR2 x (θ/360) - (R2/2) x sinθ > πr2의 식을 만족시켜야 한다. 예를 들어 R=2, r=1 일 경우 θ가 133도 이상이 되어야 위 식을 만족시키며, 만일 θ를 90도로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R이 2인 경우 r을 0.6으로 하여야 하므로 상기 본체(100)의 직경에 비하여 상기 유입관(200) 및 상기 유출관(300)의 직경이 30%정도에 불과하게 되므로 상기 본체(100)의 직경이 과도하게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0)에 비하여 상기 유입관(200) 및 상기 유출관(300)의 직경을 적어도 50%이상이 되게 하려면, θ를 133도 내지 180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θ를 180도 까지만 하는 이유는, 상기 유출구(130) 쪽 활꼴의 면적보다는 상기 유입구(120)쪽 활꼴의 면적을 더 넓게 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유입구(120)쪽 활꼴의 면적 즉 상기 여과통(600)의 활꼴면적을 상기 유출구(130)쪽 활꼴면적 즉 상기 흐름제어수단(500)의 상기 절곡부(520)의 활꼴면적보다 넓게 해야 하는 것은 상기 여과통(600)의 크게 하여 충분한 여과면적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도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여과통(600)의 활꼴면적은 상기 흐름제어수단(500)의 상기 절곡부(520)의 활꼴면적보다 넓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절곡부(520)의 활꼴은 중심각이 180도 미만인 활꼴이고, 상기 여과통(600)의 활꼴은 중심각이 180도를 넘는 활꼴을 가져서, 상기 흐름제어수단(500)이 상기 유출관(300) 쪽으로 편심 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여러 가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본체
110 결합수단 120 유입구
130 유출구 140 받침턱
200 유입관
210 플랜지
300 유출관
310 플랜지
400 덮개
500 흐름제어수단
510 격벽부 520 절곡부
530 개구부
600 여과통
610 걸림턱

Claims (4)

  1. 배관라인을 따라 흐르는 유체 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배관라인 상에 설치되며, 본체, 유입관, 유출관, 덮개, 흐름제어수단 및 여과통을 포함하는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중심축이 상기 배관라인과 지면 각각에 대하여 수직인 원통형으로서, 하단은 막혀있고 상단은 개방되며;
    상기 유입관은, 일단이 상기 본체의 원통형 측면 중 상부 일 측에 형성된 유입구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배관라인의 유입배관 쪽과 연결될 수 있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유출관은, 일단이 상기 본체의 원통형 측면 상부 중 상기 유입구와 반대쪽에 형성된 유출구에 부착되고, 타단에는 상기 배관라인의 유출배관 쪽과 연결될 수 있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는, 상기 본체의 상단을 덮어서 밀폐시키거나, 열어서 개방시킬 수 있게 결합되며,
    상기 흐름제어수단은, 상기 유출구에 대한 직접적인 유체흐름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내주면 중 상기 유출구 쪽에 부착되며,
    - 세로방향이 길은 장방형으로 되어 상기 세로방향 양쪽이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종방향으로 각각 부착되는 격벽부,
    - 위에서 본 평면이 활꼴로서, 활꼴의 호 부분은 상기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부착되고 활꼴의 직선부분은 상기 격벽부의 상단과 연결되어 상기 유출구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절곡부 및
    - 상기 격벽부의 하단에, 일정크기로 개방되어 상기 유출구에 대한 유체흐름을 형성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통은, 위에서 본 단면이 활꼴이며 속이 빈 기둥모양으로서 상면만 개방되어 있고, 나머지 면은 그물망으로 막혀있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 탈착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여과통의 측면이 상기 본체의 원통형 내주면 및 상기 격벽부와 마주하는 부분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함으로써 유로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통의 하단은 상기 개구부의 상단과 같거나 높은 곳에 위치하며, 상기 여과통의 상단은 상기 유입구의 하단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잔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면적은 상기 유출구의 단면적에 비하여 같거나 넓으며, 상기 여과통의 활꼴면적은 상기 절곡부의 활꼴면적보다 넓으며, 상기 절곡부의 활꼴면적은 상기 개구부의 면적에 비하여 같거나 넓은 특징을 더 포함하는, 잔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
KR1020180131585A 2018-10-31 2018-10-31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 KR101969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585A KR101969314B1 (ko) 2018-10-31 2018-10-31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585A KR101969314B1 (ko) 2018-10-31 2018-10-31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9314B1 true KR101969314B1 (ko) 2019-04-16

Family

ID=66281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585A KR101969314B1 (ko) 2018-10-31 2018-10-31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31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62781A (zh) * 2021-01-12 2022-07-19 兼工业株式会社 过滤器
KR102585330B1 (ko) 2023-07-20 2023-10-06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배관의 이물질 여과용 스트레이너
KR102633774B1 (ko) * 2023-06-15 2024-02-05 이학재 이물질 청소형 스트레이너
KR102665389B1 (ko) 2024-02-20 2024-05-10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배관의 이물질 여과용 스트레이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4883Y2 (ja) * 1992-03-04 1998-03-11 株式会社クボタ 管内異物排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4883Y2 (ja) * 1992-03-04 1998-03-11 株式会社クボタ 管内異物排出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62781A (zh) * 2021-01-12 2022-07-19 兼工业株式会社 过滤器
CN114762781B (zh) * 2021-01-12 2024-01-02 兼工业株式会社 过滤器
KR102633774B1 (ko) * 2023-06-15 2024-02-05 이학재 이물질 청소형 스트레이너
KR102585330B1 (ko) 2023-07-20 2023-10-06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배관의 이물질 여과용 스트레이너
KR102665389B1 (ko) 2024-02-20 2024-05-10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배관의 이물질 여과용 스트레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9314B1 (ko)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
US6780310B1 (en) Variable vortex baffle fluid filter
US20210260509A1 (en) Device and method for filtering a fluid circulating in a plumbing and heating system
KR101509234B1 (ko) 스트레이너 필터조립체
CN111346420A (zh) 管道过滤器
JP2007307465A (ja) 管内異物除去装置
US9962633B2 (en) Disk type filtering apparatus
KR101581249B1 (ko) 버킷형 스트레이너
GB2228751A (en) Grease trap
KR100868810B1 (ko) 인라인형 스트레이너
KR101978129B1 (ko)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
KR20230039690A (ko) 흐름 확산기를 구비한 재생 매체 필터
US20090211963A1 (en) Particle Interceptor
KR20180056279A (ko) 무차단 자동 스트레이너
US10016706B2 (en) Disk type filtering apparatus
CN211813773U (zh) 一种循环水脱气反冲洗除污装置
EP1783287A2 (en) Waste water separator device
US7138054B2 (en) Cartridge filter system
CN116348648A (zh) 直接的油脂和/或固体收集系统
KR200358265Y1 (ko) 침전물 제거가 용이한 배수관 구조
CN208587500U (zh) 一种防堵塞自动排水阀以及带排水阀的污水管道
KR100764817B1 (ko) 원통형 탱크
CN217829160U (zh) 一种堆肥废滤液处理装置
KR102140263B1 (ko) 스트레이너
JP3730718B2 (ja) ストレーナ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