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129B1 -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 - Google Patents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129B1
KR101978129B1 KR1020180142362A KR20180142362A KR101978129B1 KR 101978129 B1 KR101978129 B1 KR 101978129B1 KR 1020180142362 A KR1020180142362 A KR 1020180142362A KR 20180142362 A KR20180142362 A KR 20180142362A KR 101978129 B1 KR101978129 B1 KR 101978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er
pipe
fluid
inle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태환
Original Assignee
상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상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2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1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8Straine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을 전환시킬 수 있는 방향전환수단을 스트레이너에 포함하도록 하여,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상부로 이송시키고 상부로 이송된 이물질들이 하방으로 다시 낙하하면서 방향전환수단과는 격리된 여과통 하부공간에 쌓이도록 함으로써 여과통의 청소주기를 길게 할 수 있으며, 이물질로 인한 유체이동 저항을 최소화 하여 유체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스트레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유체의 흐름이 여과통의 어느 특정부위에 집중되어 통과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유체흐름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 시킬 수 있고, 여과통에 이물질이 쌓이더라도 여과통내 다른 부분을 통한 원활한 유로를 보장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체가 빠져나가는 유출구를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스트레이너 내부의 남아있는 잔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단에 개폐용 덮개를 둠으로써 청소 및 여과통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소 또는 유지보수 시 잔수가 쏟아져 내리지 않는 구조를 갖는 스트레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 유입관, 유출관, 덮개, 방향전환수단 및 여과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 {Strainer}
본 발명은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에 관한 기술이다. 좀 더 상세하게로는, 배관라인을 따라 흐르는 유체 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을 전환시킬 수 있는 방향전환수단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상부로 이송시키고 상부로 이송된 이물질들이 하방으로 다시 낙하하면서 방향전환수단과는 격리된 여과통 하부공간에 쌓이도록 함으로써 여과통의 청소주기를 길게 할 수 있으며, 여과망에 부착된 이물질로 인한 유체이동 저항을 최소화 하여 유체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스트레이너에 관한 것이다
스트레이너는, 관로에 흐르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로 인하여 관로가 막히거나, 펌프, 유량계, 열교환기, 콘덴서 등의 각종 배관설비에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관로의 중간에 설치하는 일종의 여과설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물 혹은 유류와 같은 유체를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배관을 이용하여 특정한 다른 장소로 유체를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 배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에는 그 자체적으로 이물질을 포함하고 있거나, 배관으로부터 발생되는 녹 등의 오물 또는 용접 시 발생된 슬러지와 함께 모래, 스케일, 금속 쓰레기 등이 존재하게 되어 배관이 막히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이물질들로 인한 배관의 막힘 현상은 특히, 유체를 강제로 이송시키기 위한 펌프, 이송되는 유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조절 밸브 및 기타 조절 밸브 등을 고장을 유발하고 이로 인하여 배관, 펌프, 각종 밸브 등을 교체하여야 한다는 문제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주거생활에도 많은 피해가 발생하여 생활에 불편함을 준다. 특히 대부분이 주철관으로 이루어져 있는 상수도관의 경우에는, 노후화되면서 녹이 발생되고, 각종 불순물이 떨어져 용수에 이물질이 섞이게 되며, 상수도관의 교체나 보수공사 시에도 불순물이 발생하여 용수를 오염시키게 되는데,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계량기를 막는 경우 수돗물이 나오지 않거나 수돗물에 이물질이 섞여 나올 수 있는 문제도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에 이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트레이너를 배관라인 중간에 설치하게 되는데 스트레이너에는 여과통을 두어 녹, 금속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관로에 스트레이너를 설치하게 되면, 스트레이너의 후단에 있는 각종설비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스트레이너에 걸러져서 누적되는 이물질들은 정기적으로 제거해주어야 하는데, 스트레이너의 내부를 청소하거나 내부에 포함되는 여과통을 교체하거나 해야 한다.
한편 종래기술에 의한 스트레이너는, 내부에 있는 여과통 중 특정부분이 유체의 주된 흐름상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여과통 중 유체의 주된 흐름상에 있는 특정부분에만 이물질이 집중하여 쌓이게 되는 관계로, 여과통에 쌓여진 이물질들이 유체의 흐름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스트레이너를 자주 청소하거나 여과통을 교체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유로가 차단된 상태에서도 스트레이너 내부에 잔수가 많이 남게 되므로, 유로차단 상태가 오랫동안 지속되는 경우 관로 내부에 오염된 잔수가 다량으로 존재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유체의 흐름은 스트레이너 상부에서 형성되고, 잔수는 스트레이너의 하부에 존재하기 때문에 유로가 차단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잔수 즉 흐르지 않고 정체된 오래된 유체가 스트레이너 내부에 존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뿐만 아니라 이렇게 다량으로 존재하는 잔수는 스트레이너의 청소 또는 여과통 교체 시 밖으로 쏟아져 내리게 되어 작업자에게 직접 노출될 수 있어 작업자에게 불쾌감을 줄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유체가 유해한 것일 경우에는 작업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는,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을 전환시킬 수 있는 방향전환수단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상부로 이송시키고 상부로 이송된 이물질들이 하방으로 다시 낙하하면서 방향전환수단과는 격리된 여과통 하부공간에 쌓이도록 함으로써 여과통의 청소주기를 길게 할 수 있으며, 이물질로 인한 유체이동 저항을 최소화 하여 유체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스트레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유체의 흐름이 여과통의 어느 특정부위에 집중되어 통과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스트레이너 내부에서 유체흐름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 시킬 수 있고, 여과통에 이물질이 쌓이더라도 여과통내 다른 부분을 통한 원활한 유로를 보장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체가 빠져나가는 유출구를 스트레이너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스트레이너 내부의 남아있는 잔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스트레이너의 상단에 개폐용 덮개를 둠으로써 청소 및 여과통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소 또는 유지보수 시 잔수가 쏟아져 내리지 않는 구조를 갖는 스트레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의 일 실시예는, 유체에 섞여 있는 이물질로 인하여 배관이 막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관라인 상에 설치되며, 본체, 유입관, 유출관, 덮개, 방향전환수단 및 여과통을 포함하는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중심축이 상기 배관라인과 지면 각각에 대하여 수직인 원통형으로서, 하단은 막혀있고 상단은 개방되며; 상기 유입관은, 일단이 상기 본체의 원통형 외주면 중 하부 일 측에 형성된 유입구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배관라인의 유입배관 쪽과 연결될 수 있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유출관은, 일단이 상기 본체의 원통형 외주면 하부 중 상기 유입구의 반대쪽에 형성된 유출구에 부착되고, 타단에는 상기 배관라인의 유출배관 쪽과 연결될 수 있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는, 상기 본체의 상단을 덮어서 밀폐시키거나 열어서 개방시킬 수 있게 결합되며; 상기 방향전환수단은, 상기 본체의 내부 아래쪽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사각덕트 모양의 인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인입관의 일단부는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인입관의 타단부는 수평방향으로부터 일정각도 경사진 경사판으로 막혀있고, 상기 인입관의 상면 중 상기 경사판과 접한 부분에는 사각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사각덕트 모양인 분출관이 수직방향으로 일정높이까지 형성되고, 상기 분출관의 종단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통은, 중심축이 상기 본체의 중심축과 같고 속이 빈 정사각기둥 모양으로서, 상부는 전면 개방되어 있고, 네 개의 측면은 그물망형태로 막혀있고, 하부에는 상기 분출관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중 상기 삽입구를 제외한 부분은 그물망 형태로 막혀있고, 상기 본체에 삽탈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술한 특징들 외에 4개의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4개의 가이드레일 각각은, 상기 본체의 내주면 중 상기 여과통의 4모서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4모서리 각각을 지지하도록 그 단면이 ㄱ자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인입관은 사각덕트 모양이 아닌 파이프모양이며, 상기 개구부는 사각이 아닌 활꼴이며, 상기 분출관도 사각덕트 모양이 아니고 활꼴의 단면을 갖는 통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개구부의 면적은 상기 유입구의 면적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분출관의 종단은, 상기 배관라인과 수직되는 쪽에서 본 측면이 상기 유입구쪽을 향하여 하향경사지도록 상기 유출구쪽 보다 상기 유입구쪽 높이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는, 스트레이너 내부에 방향전환수단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스트레이너의 하부에서 유입된 유체를 여과통 내에서 상부로 이송시키고, 상부로 이송된 유체에 섞인 이물질은 여과통 내에서 하방으로 낙하되면서 분출관 바깥에 격리된 공간인 여과통 바닥에 쌓이게 되는 구조인 반면, 여과통은 스트레이너의 상단까지 사방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과통의 전체 벽면적을 통하여 유로가 형성되므로, 여과통 하방에 이물질이 다량으로 퇴적되더라도 퇴적된 이물질로 인하여 유로가 막히거나 여과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청소나 여과통의 교체주기를 길게 할 수 있어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입구 및 유출구는 본체의 하부 쪽에 있고, 여과통의 상면을 제외한 모든 부분은 그물망형태로 되어 있는 반면, 여과통이 스트레이너의 본체가 마주하는 사이에는 유로공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체의 흐름이 여과통의 어느 특정부위에 집중되지 않고, 여과통의 상면을 제외한 모든 부분이 여과면적으로 작용될 수 있으므로 유체 흐름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유체가 빠져나가는 유출구가 스트레이너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스트레이너 내부에 잔수가 방치되지 않고 모두 유출되므로, 오래된 잔수로 인한 관로의 오염을 예방하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 상단에 개폐 가능한 덮개를 두어 여과통을 스트레이너의 상부로 인출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여과통의 청소 및 교체 작업도 용이하고, 뿐만 아니라 스트레이너의 유지보수 시에도 스트레이너에 남아있던 잔수가 쏟아지지 않기 때문에, 유해한 유체가 작업자에게 직접 노출되는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에 대한, 도 1에서 A-A’방향으로 절개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로서, 덮개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로서, 덮개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와 여과통을 분리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에 대한 도 1의 A-A’방향 단면도로서, 덮개를 분리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에 대한 도 1의 A-A’방향 단면도로서, 유체의 이동흐름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를 수평에서 자른 여러 가지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에 대한 도 1의 B-B’방향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의한,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에 가이드레일이 장착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스트레이너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의한,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절개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의한,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의 다른 실시예에서 방향전환수단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의한,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1의 A-A’방향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상술한 목적과 특징이 분명해지도록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한 공지기술 중 이미 그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그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다양한 부가적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특정한 실시 예들이 도면에 표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 예들을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에 대하여, 도 1에서 A-A’방향으로 절개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는, 유체에 섞여 있는 이물질로 인하여 배관이 막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관라인(미도시) 상에 설치되며, 본체(100), 유입관(200), 유출관(300), 덮개(400), 방향전환수단(500) 및 여과통(600)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단이 막혀있고 상단은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으로 하고, 상기 원통형의 중심축은 지면과 배관라인에 대하여 수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의 상단은 상기 덮개(4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수단(110)을 더 포함하도록 하고, 상기 본체(100)의 원통형 측면 중 하부 일측에는 배관라인을 통하여 공급되는 유체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120)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유입구(120)의 반대쪽 측면에는 상기 유입구(120)와 대향하여 상기 여과통(600)에 의하여 이물질이 걸러진 유체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유출구(13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입관(200)과 상기 유출관(300)은 상기 본체(100)를 상기 배관라인과 연결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유입관(200)은 일단이 상기 본체(100)의 원통형 측면에 형성된 상기 유입구(120)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배관라인의 유입배관 쪽과 연결될 수 있도록 플랜지(21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출관(300)은 일단이 상기 본체(100)의 원통형 측면에 형성된 상기 유출구(130)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배관라인의 유출배관 쪽과 연결될 수 있도록 플랜지(31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덮개(4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단을 덮어서 밀폐시키거나, 열어서 개방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서, 상기 덮개(400)를 열고 상기 본체(100) 내부를 청소하거나 상기 여과통(600)을 꺼내어 교체나 청소 등을 할 수 있게 되어야 하며, 상기 덮개(400)로 상단을 덮은 경우에는 상기 본체(100)에 대해 밀폐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덮개(400)는 상기 결합수단(110)을 통해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것처럼 플랜지식으로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덮개(400)와 관련하여 도 3에는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로서, 상기 덮개(400)가 닫힌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상기 본체(100)에서 상기 덮개(400)가 열린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내부 아래쪽에는 상기 방향전환수단(50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방향전환수단(500)은 상기 배관라인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사각덕트 모양의 인입관(54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인입관(540)의 일단부는 상기 유입구(120)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인입관(540)의 타단부는 수평방향으로부터 일정각도 경사진 경사판(510)으로 막혀있도록 하며, 상기 인입관(540)의 상면 중 상기 경사판(510)과 접한 부분에는 사각의 개구부(520)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개구부(520)에는 사각덕트 모양인 분출관(530)이 수직방향으로 일정높이까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분출관(530)의 종단 즉 상기 개구부(520)의 반대쪽은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일정각도 즉 수평면으로부터 상기 경사판(510)의 각도는 40도 내지 50도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40도 미만이 되는 경우 상기 인입관(540)의 직선부 길이가 너무 짧아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유체가 유입되는 단면적이 너무 적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데, 이는 상기 개구부(520) 중 상기 유입구(120)쪽 변과 상기 경사판(510) 사이에 형성되는 수직단면이 유체가 흐르는 단면이기 때문에 수평각도가 작아지게 되면 상기 개구부(520) 중 상기 유입구(120)쪽 변과 상기 경사판(510)과의 수직거리가 짧아지게 되어 유체가 흐르는 단면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일정각도가 50도를 넘어서게 되면 상기 방향전환수단(500)과 상기 유출구(130) 사이의 공간(F)이 너무 협소하게 되어 상기 유출구(130) 앞에서 와류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유체흐름에 저항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일정각도는 40도 내지 50도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입관(540)의 하면에서 상기 경사판(510)의 상향경사각이 시작되는 지점을 상기 개구부(520) 중 상기 유입구(120)쪽 변의 직 하방에 위치하도록 하는 각도로 하는 것이 좋은데, 이렇게 하는 경우 45도가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분출관(530)의 높이는 상기 여과통(600) 높이의 절반정도가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분출관(530) 위로 부유되는 이물질(X)들이 하방으로 낙하할 때 상기 분출관(530)의 안쪽에서 계속 유입되는 유체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부유하지 않고, 상기 분출관(530)의 바깥쪽으로 분리되어 상기 여과통(600)의 바닥으로 낙하하여 퇴적되도록 하는 적절한 높이를 보장하기 위함이다. 상기 분출관(530)의 높이는 상기 여과통(600) 높이의 절반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분출관(530)의 바깥쪽으로 상향 이동한 이물질(X)들이 하방으로 낙하할 때 상기 여과통(600)의 바닥에 쌓이기도 전에, 상기 개구부(520)를 통하여 분출되는 유체의 분출압력이 전달되어 이물질(X)들이 계속하여 부유하게 되며, 절반 보다 높은 경우에는 이물질(X)들이 상기 분출관(530)의 바깥쪽으로 나가질 못하고 계속하여 체류하게 되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구부(520)의 면적은 상기 유입구(120)의 면적보다 적게 하는 것이 좋은데, 상기 개구부(520)의 면적을 상기 유입구(120)의 면적보다 적게 하는 경우 상기 유입구(120)로 유입되는 유체의 속도보다 상기 개구부(520)를 통하여 상부로 분출되는 유체의 속도가 높아지게 되므로 상기 본체(100)의 상부 쪽으로 효과적인 분출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한편 도 2, 도 4 ?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출관(530)의 수직면 4면 중 상기 유출구(130)쪽에 위치하는 면은 상기 여과통(600)의 한 면과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인입관(540) 내에서 급격한 와류현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상기 인입관(540)에 대하여 충분한 길이를 확보하는 것이 좋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분출관(530)을 가급적 상기 유입구(120)에서 먼 쪽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여과통(600) 바닥에 이물질(X)이 효과적으로 쌓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좁은 면적보다는 하나의 넓은 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인데, 상기 분출관(530)이 상기 여과통(600)의 4면 모두와 떨어진 중심부쪽으로 오게 되면 상기 여과통(600)의 바닥은 상기 분출관(530)의 4면 바깥에 각각의 좁은 면적으로 형성되는 반면 상기 분출관(530)을 상기 여과통(600)의 한쪽 면에 붙여놓게 되면 한쪽 면에 넓은 면적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분출관(530)의 위치를 상기 유입구(120)에서 최대한 먼 곳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유출구(130)쪽에서 상기 분출관(530)의 한 면과 상기 여과통(600)의 한 면이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방향전환수단(500)의 상부에는 상기 여과통(600)이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여과통(600)은 상기 방향전환수단(5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여과통(6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에서 여과통을 분리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의 A-A’방향 단면도로서, 덮개를 분리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여과통(600)은 그 중심축이 상기 본체(100)의 중심축과 같고, 그 모양은 속이 빈 정사각기둥 모양으로서, 상부는 전면 개방되어 있고, 네 개의 측면은 그물망 형태로 막혀있으며, 하부에는 상기 분출관(5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61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여과통(600)은 상기 본체(100)의 상부로 부터 상기 본체(100)에 삽입되어 내려오면서, 단면이 ㅁ자 모양인, 사각덕트 모양으로 된 상기 방향전환수단(500)의 분출관(530)이 상기 삽입구(610)에 끼워지도록 하여 고정되는 구조로 하고, 상기 여과통(600)의 하부 중 상기 삽입구(610)를 제외한 부분은 그물망 형태로 막혀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여과통(600)은 도 2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속이 빈 정사각기둥 형태로 된 그물망 바스켓 모양으로서 하부에 상기 분출관(530)을 삽입할 수 있는 상기 삽입구(610)가 형성되어 있는 모양이다. 한편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여과통(600)의 상단은 상기 본체(100)의 상단 끝까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덮개(400)가 상기 본체(100)를 덮어 결합될 때 상기 덮개(400) 하면에 상기 여과통(600)의 상면이 마주 닿도록 하여 상기 덮개(400)와 상기 여과통(600)의 상면 사이에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여과통(600)의 상단에는 청소 및 유지보수 시 편의성 제고를 위하여 상기 여과통(600)을 잡아서 상기 본체(100)에서 분리시킬 수 있는 손잡이(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여과통(600)의 네 측면과 하면은, 상기 삽입구(610)를 제외하고는, 격자형태의 그물망으로 막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여기서 그물망의 재질을 금속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스테인레스 판에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여 원통 형상으로 둥글게 말아 용접하여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여과통(600)은 유체의 흐름에 대한 저항을 가급적 적게 발생시켜야 하고, 적정한 수압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도록 제조됨으로서 상기 여과통(600)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여과통(600)의 외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정사각기둥 모양이기 때문에 상기 여과통(600)의 측면과 상기 본체(100)의 원통형 내주면이 마주하는 부분에는 일정공간(S)이 생길 수밖에 없으며, 그 간격은 유체가 이동하는 유로공간(S)으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에 대한 도 1의 A-A’방향 단면도로서, 유체의 이동흐름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며, 도 8은 스트레이너를 수평방향으로 자른 여러 가지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1의 B-B’방향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핵심적 구성요소인 상기 방향전환수단(500) 및 상기 여과통(600)의 결합구조와 작동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파란 색 점선 참조) 상기 유입관(200)과 상기 유입구(120)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유체는, 상기 방향전환수단(500)의 인입관(540)을 지나오다가 상기 경사판(510)에 의하여 방향이 전환되어 상기 본체(100)의 위쪽으로 흐름이 전환되게 된다. 따라서 유체흐름은 상기 여과통(600)의 삽입구(610)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개구부(520)를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개구부(520)의 면적은 상기 유입구(120)의 면적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개구부(520)에서의 유속은 빨라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유체흐름은 상기 분출구(530)를 통하여 상기 본체(100)의 위쪽으로 빠르게 분출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X) 또한 상기 개구부(520) 및 상기 분출구(530)를 통과하여 위쪽으로 분산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520)의 면적을 상기 유입구(120)의 면적보다 작게 하지 않더라도, 상기 경사판(510)의 경사각으로 인하여 상기 경사판(510) 부분에서의 단면적이 상기 인입관(540) 부분의 단면적 보다 작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상기 개구부(520)를 지나올 때 쯤의 유속은 상기 인입관(540)에서의 유속보다 빨라지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경사판(510)은 유체흐름에 대한 방향의 전환뿐만 아니라 유속을 빠르게 하는 수단으로도 작동된다. 그러나 이에 더하여 상기 개구부(520)의 면적을 설정할 때 상기 유입구(120)의 면적은 물론 상기 경사판(510) 부분에서의 단면적 보다도 작게 하는 경우 유체가 흐르는 단면적을 점진적으로 좁게 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에 (인입관 단면적 > 경사판 부분 단면적 > 개구부 면적) 급격한 단면적 축소로 인한 와류발생 등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520)를 통과한 유체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출관(530)의 상부로 분출된다(파란 색 점선 참조). 상부로 분출된 유체는 상기 여과통(600)의 네 측면 및 하방의 그물망을 통하여 빠져나가게 되는데, 유체 속에 포함된 이물질(X)은 유체와 함께 상기 여과통(600) 내에서 이동하다가(빨간 색 점선 참조) 유체의 흐름에 의하여 계속 부유되기도 하지만 점진적으로 상기 여과통(600)의 하방으로 낙하하게 되며, 결국에는 도 7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여과통(600)의 바닥에 쌓이게 된다. 즉, 유체 속에 포함된 이물질(X)은 일종의 격리공간에 해당하는 상기 여과통(600)의 바닥에 쌓여서 퇴적되게 되며, 유체의 흐름은 자연스럽게 상기 여과통(600)의 네 측면 위주로 형성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여과통(600)의 외형은 정사각기둥 모양이며 상기 본체(100)는 원통형이기 때문에 상기 여과통(600)의 네 측면과 상기 본체(100)의 내주면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될 수밖에 없는데, 이 공간은 상기 여과통(600)을 빠져나온 유체가 상기 유출구(130)로 이동해 나갈 수 있는 유로공간(S)이 된다. 따라서 상기 여과통(600)을 빠져나면서 이물질이 걸러진 유체는 상기 유로공간(S)을 통하여 상기 본체(100)의 하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유출구(130) 및 상기 유출관(300)을 통하여 배관라인으로 나가게 된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에서는 상기 여과통(600)의 측면에 유로공간(S)이 형성되기 때문에 특정부분, 예를 들어 상기 여과통(600)의 하단에 이물질(X)이 쌓이더라도 상기 여과통(600)의 측면과 상기 유로공간(S)을 통하여 상기 유출구(130)로 유체흐름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여과통(600)의 상당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이물질(X)이 쌓이지 않는 한 유체흐름에 전혀 지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본원발명에 포함된 상기 여과통(600)은 상기 여과통(600)의 상단을 제외한 부분에서 여과가 이루어지므로 상기 여과통(600)의 모든 측면이 실질적인 여과면적이 된다. 이렇게 실질적인 여과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고 상기 여과통(600)을 오랫동안 사용이 가능하여 상기 여과통(600)의 교체나 청소시기를 단축시킬 수 있어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스트레이너를 여러 위치에서 수평방향으로 자른 단면이 참고로 도시되어 있는데, 도 8(A)는 a-a'방향으로 자른 단면으로서, 원통형의 상기 본체(100)와 정사각기둥의 상기 여과통(600)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며, 도 8(B)는 b-b'방향으로 자른 단면으로서, 상기 여과통(600) 내부의 위치하는 상기 분출관(500)의 ㅁ자형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8(C)는 c-c'방향으로 자른 단면으로서 상기 여과통(600)의 바닥이 상기 유입관(200)과 상기 유출관(30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여과통(600)의 하단에 상기 삽입구(610)를 제외한 부분이 그물망으로 막혀있으며, 그물망 위에 이물질(X)이 쌓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8(D)는 d-d'방향으로 자른 단면으로서, 상기 방향전환수단(500)이 상기 유입구(120)에 연결되어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9에는 도 1에 대하여 B-B’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가 참고로 도시되어 있는데,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물질(X)은 상기 분출관(530) 바깥쪽에 있는 상기 여과통(600)의 바닥에 퇴적되어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가이드레일이 장착된 실시예로서, 위에서 바라다본 평면도이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한,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에서는 4개의 가이드레일(140)을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4개의 가이드레일(140) 각각은, 상기 본체(100)의 내주면 중 상기 여과통(600)의 4모서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4모서리 각각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그 단면이 ㄱ자 모양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00)에 4개의 가이드레일(140)을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경우, 상기 여과통(600)을 상기 본체(100)안에 장착할 때 상기 삽입구(610)에 상기 방향전환수단(500)의 분출관(520)을 정확하게 삽입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여과통(600)이 상기 본체(100)의 내부의 정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고, 작동 중 유체의 압력변화 등으로 인한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여과통(600)을 상기 본체(100)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 11 및 도 12에는 본 발명 중 방향전환수단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1은 이에 관한 절개사시도이며, 도 12는 방향전환수단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포함되는 방향전환수단(501)은 상기 본체(100)의 내부 아래쪽에 상기 배관라인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직경이 상기 유입구(120)와 같은 파이프모양의 인입관(541)을 포함하며, 상기 인입관(541)의 일단부는 상기 유입구(120)와 연결되며, 상기 인입관(541)의 타단부는 수평방향으로부터 일정각도 경사진 경사판(511)으로 막혀있으며, 상기 경사판(511)과 접한 상부에는 활꼴의 개구부(521)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521)에는 위에서 본 단면이 위가 닫힌 U자 모양, 즉 활꼴인 분출관(531)이 일정높이까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여과통(600)의 삽입구(610) 또한 상기 분출관(531)의 단면과 같은 모양인 활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경우 상기 유입구(120)와 상기 방향전환수단(501)의 단면을 같은 모양 및 크기로 일치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와류발생으로 인한 유체저항 등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일정각도 및 상기 일정높이에 관하여는 사각덕트 모양의 인입관(540)을 갖는 방향전환수단(500)에 대하여 설명한 내용과 같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출관(531) 중 상기 경사판(511)에 접한 면은 상기 여과통(600)의 한 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에 대하여도 위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1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는, 상기 분출관(530)의 종단의 높이를, 상기 경사판(510)과 연결된 쪽의 높이(h1)보다 반대쪽 높이(h2)를 더 낮게 함으로써, 측면에서 바라다 볼 때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120)쪽으로 하향 경사진 모양이 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도 12의 경우에도 이와 같이 경사진 모양으로 되어 있다). 이렇게 하는 경우 상기 분출관(530) 종단의 개방된 면적이 상기 개구부(520)보다 넓어질 뿐만 아니라, 상기 경사판(510)에 의하여 상부로 방향 전환된 유체에 대하여, 상기 분출관(530)의 종단에서 상기 유입구(120)쪽으로의 흐름이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파란 색 점선 참조)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여과통(600) 내에서 효율적으로 확산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이물질은 상기 분출관(530)의 바깥쪽 하방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밀려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분출관(530)과 닿아 있는 쪽의 상부 그물망(K) 즉, 상기 유출구(130)쪽 그물망(K)은 상기 분출관(530)으로부터의 분출압력에 의하여 유체가 많이 빠져나가는 부분이기 때문에 상기 유출구(130)쪽 그물망(K)에 이물질(X)이 걸려 달라붙는 경우가 많이 있을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상기 분출관(530)의 종단을 상기 유입구(120)쪽으로 하향 경사진 모양으로 하는 경우 분출되는 유체가 상기 유출구(130)쪽 그물망(K)의 반대쪽으로 더 많이 분출되기 때문에 상기 유출구(130)쪽 그물망(K)에 이물질이 걸리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여러 가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본체
110 결합수단 120 유입구
130 유출구 140 가이드레일
200 유입관
210 플랜지
300 유출관
310 플랜지
400 덮개
500/501 방향전환수단
510/511 경사판 520/521 개구부
530/531 분출관 540/541 인입관
600 여과통
610 삽입구

Claims (5)

  1. 유체에 섞여 있는 이물질로 인하여 배관이 막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관라인 상에 설치되며, 본체, 유입관, 유출관, 덮개, 방향전환수단 및 여과통을 포함하는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중심축이 상기 배관라인과 지면 각각에 대하여 수직인 원통형으로서, 하단은 막혀있고 상단은 개방되며;
    상기 유입관은, 일단이 상기 본체의 원통형 외주면 중 하부 일 측에 형성된 유입구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배관라인의 유입배관 쪽과 연결될 수 있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유출관은, 일단이 상기 본체의 원통형 외주면 하부 중 상기 유입구의 반대쪽에 형성된 유출구에 부착되고, 타단에는 상기 배관라인의 유출배관 쪽과 연결될 수 있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는, 상기 본체의 상단을 덮어서 밀폐시키거나 열어서 개방시킬 수 있게 결합되며;
    상기 방향전환수단은,
    - 상기 본체의 내부 아래쪽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사각덕트 모양의 인입관을 포함하고,
    - 상기 인입관의 일단부는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고,
    - 상기 인입관의 타단부는 수평방향으로부터 일정각도 경사진 경사판으로 막혀있고,
    - 상기 인입관의 상면 중 상기 경사판과 접한 부분에는 사각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 상기 개구부에는 사각덕트 모양인 분출관이 수직방향으로 일정높이까지 형성되고,
    상기 분출관의 종단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통은,
    - 중심축이 상기 본체의 중심축과 같고 속이 빈 정사각기둥 모양으로서,
    - 상부는 전면 개방되어 있고, 네 개의 측면은 그물망형태로 막혀있고,
    - 하부에는 상기 분출관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 상기 하부 중 상기 삽입구를 제외한 부분은 그물망 형태로 막혀있고,
    - 상기 본체에 삽탈 가능하며;
    상기 분출관의 종단은, 상기 배관라인과 수직되는 쪽에서 본 측면이 상기 유입구쪽을 향하여 하향경사지도록 상기 유출구쪽 보다 상기 유입구쪽 높이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4개의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4개의 가이드레일 각각은, 상기 본체의 내주면 중 상기 여과통의 4모서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4모서리 각각을 지지하도록 그 단면이 ㄱ자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관은 파이프모양이며,
    상기 개구부는 활꼴이며,
    상기 분출관은 상기 활꼴의 단면을 갖는 통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면적은 상기 유입구의 면적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
  5. 삭제
KR1020180142362A 2018-11-19 2018-11-19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 KR101978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362A KR101978129B1 (ko) 2018-11-19 2018-11-19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362A KR101978129B1 (ko) 2018-11-19 2018-11-19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129B1 true KR101978129B1 (ko) 2019-05-14

Family

ID=66581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362A KR101978129B1 (ko) 2018-11-19 2018-11-19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1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19019A (zh) * 2024-01-25 2024-03-01 大庆炬圣石化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石油化工生产的过滤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2013A (en) * 1990-05-24 1992-07-21 Thompson James E Filter assembly with a hollow perforated body
KR200337362Y1 (ko) * 2003-09-20 2004-01-03 박철수 스트레이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2013A (en) * 1990-05-24 1992-07-21 Thompson James E Filter assembly with a hollow perforated body
KR200337362Y1 (ko) * 2003-09-20 2004-01-03 박철수 스트레이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19019A (zh) * 2024-01-25 2024-03-01 大庆炬圣石化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石油化工生产的过滤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9314B1 (ko)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
EP202925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filtering particles and organisms from a high volume flowing liquid
JP4990393B2 (ja) 逆洗可能なストレーナ装置
US6641737B2 (en) Vertical filter
KR102244809B1 (ko) 우회수가 역세척에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우회수 제어 기능이 있는 프레임형 디스크 필터
JP2010236819A (ja) 熱交換器伝熱管洗浄装置
KR101978129B1 (ko)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
KR101581249B1 (ko) 버킷형 스트레이너
KR960004227B1 (ko) 직교류 냉각 시스템
JP2007307465A (ja) 管内異物除去装置
CN211813773U (zh) 一种循环水脱气反冲洗除污装置
KR101573682B1 (ko) 스트레이너장치
CN208406217U (zh) 污水自动清洗过滤设备
KR102022187B1 (ko) 스트레이너 장치
JP5048635B2 (ja) 汚水中継ポンプ設備
KR200457585Y1 (ko) 분해 조립없이 청소가 가능한 스트레이너 조립체
CN116332255B (zh) 环卫车水循环系统
CN113046119B (zh) 一种集油分离装置
CN215691958U (zh) 自洁过滤器
CN118600936B (zh) 一种灌渠供水机组
CN210978567U (zh) 一种污水处理机构与化工锅炉接口处的再清式阀门
JP3842032B2 (ja) 移床式上向流濾過装置
KR100896566B1 (ko) 유체 분사장치
JP2872534B2 (ja) グリーストラップにおけるオイル阻集装置
KR200337362Y1 (ko) 스트레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