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3682B1 - 스트레이너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레이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682B1
KR101573682B1 KR1020140076208A KR20140076208A KR101573682B1 KR 101573682 B1 KR101573682 B1 KR 101573682B1 KR 1020140076208 A KR1020140076208 A KR 1020140076208A KR 20140076208 A KR20140076208 A KR 20140076208A KR 101573682 B1 KR101573682 B1 KR 101573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opening
screen member
flow path
byp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6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0833A (ko
Inventor
오순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스티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스티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스티머
Publication of KR20150000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7Arrangement or mounting of 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or dra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트레이너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좌우 양측을 관통하는 유로를 갖는 몸체; 일단만이 개구된 길이를 갖는 통체를 이루어, 상기 몸체의 유로 중간에 상기 개구된 일단이 상기 유로의 일측 개구와 대향하게 설치되며, 상기 유로의 타측 개구로 유입되고 상기 유로를 따라 유동하여 상기 유로의 일측 개구로 출수되는 유체의 이물질을 스크린하는 망 형태의 스크린부재; 및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유로의 중간에 상기 유로와 수직되게 연결되어 상기 유로와 함께 T자형을 이루며, 상기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가 상기 스크린부재의 외벽에 스크린된 이물질을 세척하며 바이패스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바이패스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트레이너장치{STRAINER}
본 발명은 스트레이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트레이너의 분리 없이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이너 장치는 원통형의 금속망으로 되어 있는 여과기를 말한다. 스트레이너 장치는 예를 들면, 응축수와 같은 유체가 유동하는 배관에 연결되어 스트레이너 장치 안의 원통형 금속망 내부에 모래, 스케일, 녹, 금속 쓰레기 등과 같은 이물질을 걸러 각 기구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며, 스트레이너 장치 내부에 이물질이 걸러져 쌓인다. 청소 등 유지 관리는 배관으로부터 스트레이너를 분리해 낸 후 스트레이너 내부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수행되며, 작업이 무척 번거롭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 특허공보 특1988-0000572호 "증기라인등의 응축수 제거장치"가 있다.
한국 특허공보 특1988-0000572호 "증기라인등의 응축수 제거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레이너장치의 분리 없이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체의 이물질을 스크린하는 스크린부재의 구조를 견고히 할 수 있고, 유체의 입구와 출구의 간격을 최대한 좁힐 수 있는 스트레이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좌우 양측을 관통하는 유로를 갖는 몸체; 일단만이 개구된 길이를 갖는 통체를 이루어, 상기 몸체의 유로 중간에 상기 개구된 일단이 상기 유로의 일측 개구와 대향하게 설치되며, 상기 유로의 타측 개구로 유입되고 상기 유로를 따라 유동하여 상기 유로의 일측 개구로 출수되는 유체의 이물질을 스크린하는 망 형태의 스크린부재; 및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유로의 중간에 상기 유로와 수직되게 연결되어 상기 유로와 함께 T자형을 이루며, 상기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가 상기 스크린부재의 외벽에 스크린된 이물질을 세척하며 바이패스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바이패스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크린부재의 개구된 일단에는 상기 스크린부재를 지지하는 지지캡이 더 끼움 설치되며, 상기 지지캡은 양단이 개구된 통체를 이루어 상기 스크린부재의 개구된 일단에 끼워져 상기 스크린부재의 길이를 지지하는 돌부와, 상기 돌부의 내부와 연결되는 구멍을 갖고 상기 돌부의 일단에 일체로 결합되는 원판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돌부는 원통 또는 원뿔대 형상이고 벽체에는 원주를 따라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돌부의 개구된 타단에는 링부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부는 원통 또는 원뿔대 형상이고 벽체에는 상기 돌부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을 향해 원주를 따라 3개 이상의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부는 원통 또는 원뿔대 형상이고 벽체에는 상기 돌부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을 향해 원주를 따라 2개의 통공이 서로 대칭을 이루게 형성되며, 상기 돌부의 개구된 타단에는 링부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유로 중간에는 상기 스크린부재를 끼움 고정하는 링형의 고정돌기가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로가 관통하는 상기 몸체의 부위에는 돌기가 더 돌출 형성되어 상기 몸체가 T자형을 이루며, 상기 바이패스로는 상기 돌기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의 선단 외주연에는 나사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로는 상기 돌기의 선단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돌기의 선단에는 상기 바이패스로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탈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돌기에는 상기 바이패스로와 연결되는 배출로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로를 개폐하여 상기 바이패스로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일체로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과 같이 금속망의 내부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방식이 아닌 스크린의 외부에서 스케일 등의 이물질을 걸러냄으로써 유체의 입구와 출구의 거리가 기존의 스트레이너 장치보다 짧아져 플랜지의 면간 거리에 의한 각종 제약에서 수월해질 수 있다.
즉, 기존의 Y형 스트레이너 장치가 Y형 각도를 취함으로써 어쩔 수 없이 스트레이너 장치의 입구와 출구의 간격이 일정한 길이를 유지할 수밖에 없는 것에 비해 본 발명의 장치는 그 간격이 최대한 좁힐 수 있어 플랜지 면간의 거리 제약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
또한, 이물질을 배출하는 바이패스로에 밸브 구조를 갖는 개폐수단이 일체화되어 배관작업이 용이하며, 스크린의 외벽에 이물질이 쌓여 있기 때문에, 개폐수단만 개방하면, 이물질이 쉽게 바이패스로를 통해 배출되므로, 스트레이너 장치의 분리 없이 청소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스트레이너 장치의 분리 없이 유지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특히, 스케일 배출 등의 유지관리를 함에 있어 와이형 밸브, 글로브 밸브 등을 연결하는데 설치 및 밸브 개폐가 용이하다.
또한, 스크린에 지지캡이 설치됨으로 인해 이물질 청소시 유체의 유동이 급격히 직각으로 전환되어도 스크린의 쏠림 및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스크린은 유선형 또는 원뿔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됨으로 인해 이물질 배출 시 유속에 의한 영향(쏠림 및 파손 등)을 적게 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트레이너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트레이너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트레이너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스크린부재과 지지캡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지지캡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지지캡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지지캡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트레이너장치는 몸체(10), 스크린부재(20) 및 바이패스로(30)로 대별된다. 몸체(10)는 예를 들면, 응축수와 같은 유체가 유동하는 배관(미도시)에 연결되고, 스크린부재(20)는 유체의 이물질을 스크린하며, 바이패스로(30)는 청소시 이물질 배출 통로를 형성한다.
몸체(10)는 내부에 좌우 양측을 관통하는 유로(11)를 갖는다. 유체는 몸체(10)의 좌우측에 형성된 유로(11)의 개구들(12)(13)을 통해 유로(11)로 유입되고 출수된다.
이하에서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로(11)의 좌측 개구(12)를 "입구(12)"라고 하고, 유체가 출수되는 유로(11)의 우측 개구(13)를 "출구(13)"라고 한다. 따라서, 유체는 입구(12)를 통해 유로(11)로 유입되고 출구(13)를 통해 출수된다. 입구(12)와 출구(13)에는 배관이 각각 연결된다.
스크린부재(20)는 망 형태이며, 일단만이 개구된 길이를 갖는 통체를 이룬다. 스크린부재(20)는 막힌 타단이 유체의 진로방향 즉, 유동방향을 등지고 몸체(10)의 유로(11) 중간에 설치되어 모래, 스케일, 녹, 금속 쓰레기 등과 같은 이물질을 걸러 스크린한다. 유체는 스크린부재(20)의 외벽을 관통한 후 내부를 경유하여 개구된 일단을 통해 출구(13)로 출수되고, 이물질은 스크린부재(20)의 외벽에 쌓인다.
바이패스로(30)는 몸체(10)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유로(11)의 중간에 유로(11)와 수직되게 연결되어 유로(11)와 함께 T자형을 이룬다. 바이패스로(30)는 유로(11)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가 스크린부재(20)의 외벽에 스크린된 이물질을 세척하며 바이패스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한다.
스크린부재(20)는 길이의 중앙이 바이패스로(30)의 수직선상에 놓이도록 유로(11)의 중간에 설치되어, 유체가 스크린부재(20)의 외벽에 스크린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세척하며 바이패스될 수 있도록 한다.
스크린부재(20)는 몸체(10)의 유로(11) 중간에 형성된 링형의 고정돌기(18)에 끼우져 단단히 고정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연에 유체 이동로가 형성된 홈들(71)이 가공된 너트부재(70)를 스크린부재(20)의 선단에 설치하여 스크린부재(20)를 더 견고히 지지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로(30)가 관통하는 몸체(10)의 부위에는 돌기(15)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몸체(10)가 T자형을 이루며, 바이패스로(30)는 돌기(15)에 까지 연장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로(30)는 돌기(15)의 선단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돌기(15)의 선단에는 바이패스로(30)를 개폐하는 개폐수단(40)이 탈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개폐수단(40)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관부(41)와 그 관부(41)를 개폐하는 밸브 작동부(43)로 이루어진 통상의 밸브이며, 돌기(15)의 선단에 관부(41)가 탈착되게 연결되고, 밸브 작동부(43)는 관부(41)를 개폐하여 바이패스로(30)를 개폐한다.
개폐수단(40)은 평소에 폐쇄되어 바이패스로(30)를 막고, 스크린부재(20)의 청소시 개방되어 바이패스로(30)를 오픈한다. 바이패스로(30)가 개방되면, 유체의 유동방향이 바이패스로(30)로 급격히 전환되고, 이때 유체는 스크린부재(20)의 외벽에 쌓인 이물질을 세척하며 바이패스로(30)로 배출된다.
돌기(15)는 선단 외주연에 나사(16) 즉, 수나사를 형성하여 밸브 구조를 갖는 개폐수단(40)의 결합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보통 개폐수단(40)은 관부(41)의 내부에 암나사를 형성하여 관 등과 결합되며, 이와 같은 밸브의 구조적 특성을 고려해 돌기(15)는 선단 외주연에 나사(16)를 형성하여 개폐수단(40)의 결합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15)에는 바이패스로(30)와 연결되는 배출로(17)가 형성될 수 있고, 배출로(17)를 개폐하여 바이패스로(30)를 개폐하는 개폐수단(50)이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개폐수단(50)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통상의 밸브에서 관부(41)를 제외한 밸브 작동부이며, 배출로(17)가 관부(41)를 대신한다. 결국, 돌기(15)에 통상의 밸브가 일체로 결합된 것으로 보면 정확하다. 개폐수단(50)은 배출로(17)를 개폐하여 바이패스로(30)를 개폐한다.
배출로(17)가 열려 바이패스로(30)가 개방되면, 유체는 스크린부재(20)의 외벽에 쌓인 이물질을 세척하며 바이패스로(30)와 배출로(17)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부재(20)는 지지캡(80)의 지지를 받아 유속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 한다. 지지캡(80)은 스크린부재(20)의 개구된 일단에 끼움 설치되어 스크린부재(20)를 지지한다.
지지캡(80)은 양단이 개구된 통체를 이루어 스크린부재(20)의 개구된 일단에 끼워져 스크린부재(20)의 길이를 지지하는 돌부(81)와, 돌부(81)의 내부와 연결되는 구멍(83)을 갖고 돌부(81)의 일단에 일체로 결합되는 원판부(85)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부(81)를 감싸 지지를 받는 스크린부재(20)는 돌부(81)의 형상에 따라 원통, 원뿔 또는 원뿔대 등의 형상을 갖는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부(81)는 원통 또는 원뿔대 형상일 수 있고, 벽체에는 돌부(81)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을 향해 원주를 따라 3개 이상의 홈부(81a)가 형성되어 유체의 이동을 원활히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부(81)는 원통 또는 원뿔대 형상일 수 있고, 벽체에는 원주를 따라 다수개의 통공(81b)이 형성되어 유체의 이동을 원활히 하며, 돌부(81)의 개구된 타단에는 링부(86)를 일체로 결합하여 스크린부재(20)의 막힌 타단의 구조를 견고히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부(81)는 원통 또는 원뿔대 형상일 수 있고, 벽체에는 돌부(81)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을 향해 원주를 따라 2개의 통공(81c)이 서로 대칭을 이루게 형성되어 유체의 이동을 원활히 하며, 돌부(81)의 개구된 타단에는 링부(87)가 일체로 결합되어 스크린부재(20)의 막힌 타단의 구조를 견고히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과 같이 금속망의 내부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방식이 아닌 스크린부재(20)의 외부에서 스케일 등의 이물질을 걸러냄으로써 유체의 입구(12)와 출구(13)의 거리가 기존의 스트레이너 장치보다 짧아져 플랜지의 면간 거리에 의한 각종 제약에서 수월해질 수 있다.
즉, 기존의 Y형 스트레이너 장치가 Y형 각도를 취함으로써 어쩔 수 없이 스트레이너 장치의 입구(12)와 출구(13)의 간격이 일정한 길이를 유지할 수밖에 없는 것에 비해 본 발명의 장치는 그 간격이 최대한 좁힐 수 있어 프랜지 면간의 거리 제약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
또한, 이물질을 배출하는 바이패스로(30)에 밸브 구조를 갖는 개폐수단(40)(50)이 일체화되어 배관작업이 용이하며, 스크린부재(20)의 외벽에 이물질이 쌓여 있기 때문에, 개폐수단(40)(50)만 개방하면, 이물질이 쉽게 바이패스로(30)를 통해 배출되므로, 스트레이너 장치의 분리 없이 청소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스트레이너 장치의 분리 없이 유지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특히, 스케일 배출 등의 유지관리를 함에 있어 와이형 밸브, 글로브 밸브 등을 연결하는데 설치 및 밸브 개폐가 용이하다.
또한, 스크린부재(20)에 지지캡(80)이 설치됨으로 인해 이물질 청소시 유체의 유동이 급격히 직각으로 전환되어도 스크린부재(20)의 쏠림 및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스크린부재(20)는 유선형 또는 원뿔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됨으로 인해 이물질 배출 시 유속에 의한 영향(쏠림 및 파손 등)을 적게 받을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몸체 11: 유로
12: 입구 13: 출구
15: 돌기 16: 나사
17: 배출로 18: 고정돌기
20: 스크린부재 30: 바이패스로
40: 개폐수단 41: 관부
43: 밸브 작동부 50: 개폐수단
70: 너트부재 71: 홈
80: 지지캡 81: 돌부
81a: 홈부 81b,81c: 통공
83: 구멍 85: 원판부
86,87: 링부

Claims (10)

  1. 내부에 좌우 양측을 관통하는 유로를 갖는 몸체;
    일단만이 개구된 길이를 갖는 통체를 이루어, 상기 몸체의 유로 중간에 상기 개구된 일단이 상기 유로의 일측 개구와 대향하게 설치되는 망 형태의 스크린부재; 및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유로의 중간에 상기 유로와 수직되게 연결되어 상기 유로와 함께 T자형을 이루는 바이패스로를 포함하며,
    유체는 상기 유로의 타측 개구로 유입되고 상기 유로를 따라 유동하여 상기 유로의 일측 개구로 출수되고, 유체의 이물질은 상기 스크린부재의 막힌 타단이 상기 유로의 타측 개구를 향해 설치됨으로써 상기 스크린부재의 외벽에 스크린되고, 상기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가 상기 바이패스로를 통해 바이패스되어 배출시 상기 스크린부재의 외벽에 스크린된 이물질도 배출시켜 상기 스크린부재를 세척하며,
    상기 스크린부재의 개구된 일단에는 상기 스크린부재를 지지하는 지지캡이 끼움 설치되며, 상기 지지캡은 양단이 개구된 통체를 이루어 상기 스크린부재의 개구된 일단에 끼워져 상기 스크린부재의 길이를 지지하는 돌부와, 상기 돌부의 내부와 연결되는 구멍을 갖고 상기 돌부의 일단에 일체로 결합되는 원판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부는 원통 또는 원뿔대 형상이고 벽체에는 원주를 따라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돌부의 개구된 타단에는 링부가 일체로 결합되거나, 원통 또는 원뿔대 형상이고 벽체에는 상기 돌부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을 향해 원주를 따라 3개 이상의 홈부가 형성되거나, 또는 원통 또는 원뿔대 형상이고 벽체에는 상기 돌부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을 향해 원주를 따라 2개의 통공이 서로 대칭을 이루게 형성되며 상기 돌부의 개구된 타단에는 링부가 일체로 결합되는 것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유로 중간에는 상기 스크린부재를 끼움 고정하는 링형의 고정돌기가 더 돌출 형성되는 스트레이너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로가 관통하는 상기 몸체의 부위에는 돌기가 더 돌출 형성되어 상기 몸체가 T자형을 이루며, 상기 바이패스로는 상기 돌기에 연장 형성되는 스트레이너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선단 외주연에는 나사가 더 형성되는 스트레이너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로는 상기 돌기의 선단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돌기의 선단에는 상기 바이패스로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탈착되게 설치되는 스트레이너장치.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에는 상기 바이패스로와 연결되는 배출로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로를 개폐하여 상기 바이패스로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일체로 더 설치되는 스트레이너장치.
KR1020140076208A 2013-06-25 2014-06-23 스트레이너장치 KR1015736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757 2013-06-25
KR20130072757 2013-06-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833A KR20150000833A (ko) 2015-01-05
KR101573682B1 true KR101573682B1 (ko) 2015-12-09

Family

ID=52474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6208A KR101573682B1 (ko) 2013-06-25 2014-06-23 스트레이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6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712B1 (ko) 2016-02-19 2016-09-09 주식회사 에너리트 스트레이너장치
KR102022187B1 (ko) 2018-03-23 2019-09-17 오순웅 스트레이너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03423B (zh) * 2020-05-08 2020-11-03 杭州唛唐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附带多用途辅助管道段的管道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9890A (ja) * 2006-04-26 2007-11-08 Toshiba Corp ストレーナ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9890A (ja) * 2006-04-26 2007-11-08 Toshiba Corp ストレーナ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712B1 (ko) 2016-02-19 2016-09-09 주식회사 에너리트 스트레이너장치
WO2017155169A1 (ko) * 2016-02-19 2017-09-14 주식회사 에너리트 스트레이너장치
KR102022187B1 (ko) 2018-03-23 2019-09-17 오순웅 스트레이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833A (ko) 2015-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0393B2 (ja) 逆洗可能なストレーナ装置
US3789990A (en) Strainer for liquid pipe lines
US3369665A (en) Tubular filter with sliding casing
WO2013025128A1 (ru) Промывной фильтр и фильтру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него
CN103372341A (zh) 反冲洗式前置水过滤器
KR101573682B1 (ko) 스트레이너장치
KR20210001678A (ko) 버켓 타입 스트레이너장치
CN111035979A (zh) 减压器-过滤器-装置
US11529574B2 (en) Pipeline strainer
KR100868810B1 (ko) 인라인형 스트레이너
CN109939480B (zh) 反冲洗过滤器
RU111451U1 (ru) Промывной фильтр и фильтру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него
US119514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creening
KR101577682B1 (ko) 지하수나 하천수 또는 해수의 시료 검사용 여과장치
JP2008229575A (ja) 固型異物除去用濾過装置
KR102192343B1 (ko) 스트레이너장치
KR20170099168A (ko) 스트레이너장치
JP6378592B2 (ja) ストレーナ
KR20170099178A (ko) 스트레이너장치
JP2010162480A (ja) 気液分離器
JP6378593B2 (ja) ストレーナ
KR20200049048A (ko) 유체 내 비자성-자성 물질의 여과를 위한 유체 필터링용 복합 여과 장치
JP2006082031A (ja) Y形ストレーナ
WO2019211658A1 (en) An irrigation filter and a method for cleaning thereof
KR101252105B1 (ko) 이물질 제거용 이중 여과형 스트레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