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263B1 - 스트레이너 - Google Patents

스트레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263B1
KR102140263B1 KR1020160033976A KR20160033976A KR102140263B1 KR 102140263 B1 KR102140263 B1 KR 102140263B1 KR 1020160033976 A KR1020160033976 A KR 1020160033976A KR 20160033976 A KR20160033976 A KR 20160033976A KR 102140263 B1 KR102140263 B1 KR 102140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fluid
filtering
flang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9853A (ko
Inventor
전용준
김태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033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263B1/ko
Publication of KR20170109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2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8Pipe-line systems for liquids or viscous pro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3/00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 F17D3/16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for eliminating particles in suspension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에 접촉되는 여과망의 여과 면적을 증대시켜 여과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이너는, 유체를 이송하는 배관에 유입구와 유출구로 연결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체를 유입하여 필터링 된 유체를 상기 유출구로 유출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유입되는 유체를 필터링 하여 유출하는 여과망을 포함하며, 상기 여과망은 상기 하우징의 제한된 용적 내에서 여과 면적을 증대시키도록 복수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스트레이너 {STRAINER}
본 발명은 스트레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유체 이송용 배관에 설치되어 유체 중에 함유된 고형물을 필터링 하는 스트레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 오일, 가스 및 스팀 등 각종 유체의 이송에 배관이 사용된다. 배관의 도중에는 유체를 강제로 이송시키기 위한 펌프, 배관의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 및 유체의 유량을 계측하기 위한 계량기 등의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다.
배관의 내부에는 유체에 함유된 오물이나, 배관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녹, 배관을 용접으로 서로 연결시킬 때 발생된 슬러그 등의 고형물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고형물은 펌프, 밸브 및 계량기 등의 부품을 손상시켜 부품들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고형물은 배관의 내벽에 부착되어 유량을 감소시키거나 심할 경우 배관을 폐색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지 위하여, 배관에 스트레이너가 설치되어 고형물을 필터링 한다. 즉 스트레이너는 유체를 따라 이동되는 배관 내의 고형물을 여과시키고, 여과된 고형물을 정기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하므로 배관의 내부를 청결하게 한다.
즉, 스트레이너는 배관의 도중에 설치되어 일측으로 유체를 유입하고 다른 일측으로 유체를 배출하는 하우징, 및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체에 함유된 고형물을 필터링 하는 여과망을 포함한다.
일례를 들면, 버킷 타입의 스트레이너는 하우징에 내장되는 버킷 타입의 여과망을 구비하고, 여과망의 내측으로 유체를 유입하여 여과홀을 경유하여 여과망의 외측으로 배출한다. 따라서 여과망의 내측에 고형물이 코팅되며, 필터링에 사용된 여과망은 주기적으로 교체된다.
스트레이너에서 하우징의 용적이 제한되므로 여과망은 제한된 여과 면적을 형성하게 된다. 즉 여과망의 여과 면적은 유체에 함유된 고형물의 여과 성능을 결정하게 되고, 여과 성능은 유체와의 접촉되는 여과 면적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에 접촉되는 여과망의 여과 면적을 증대시켜 여과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이너는, 유체를 이송하는 배관에 유입구와 유출구로 연결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체를 유입하여 필터링 된 유체를 상기 유출구로 유출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유입되는 유체를 필터링 하여 유출하는 여과망을 포함하며, 상기 여과망은 상기 하우징의 제한된 용적 내에서 여과 면적을 증대시키도록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여과망은 복수의 원통체로 형성되어 동심을 기준으로 다중 결합되고 서로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여과망은 최외곽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제1간격을 설정하는 제1여과 부재, 상기 제1여과 부재에 삽입되어 상기 제1여과 부재의 내면과 제2간격을 설정하는 제2여과 부재, 및 상기 제2여과 부재에 삽입되어 상기 제2여과 부재의 내면과 제3간격을 설정하는 제3여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내면에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여과 부재는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도록 외측에 제1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제3여과 부재는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지지부에 체결 부재로 체결되도록 상기 제1플랜지에 대응하는 제3플랜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플랜지는 상기 제2간격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2여과 부재의 상단에 밀착 배치되는 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플랜지는 상기 밀착부에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체결 부재의 관통구를 형성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여과 부재는 상기 제2간격으로 유입되는 유체가 하방으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제2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제2플랜지는 상기 제1여과 부재의 하측 내면에 밀착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우징에 내장되는 여과망을 복수로 형성하여 겹 층으로 배치므로 하우징 내의 제한된 용적에서 여과망과 유체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여과망의 여과 면적이 증대되고, 이로 인하여, 스트레이너의 여과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여과하고자 하는 이물질의 크기 및 목적에 따라 여과망의 크기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고, 사용 중에 적은 비용으로 여과망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이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되는 여과망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이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이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되는 여과망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스트레이너는 유체를 이송하는 배관(미도시)의 도중에 설치되어 배관에 연결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내장되어 유체를 필터링 하는 여과망(20)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배관에 연결되는 유입구(11)와 유출구(12)를 구비한다. 유입구(11)는 배관에 연결되어 이송되는 유체를 유입하도록 하우징(10)의 측방 상부에 구비되고, 유출구(12)는 배관에 연결되어 필터링 된 유체를 유출하도록 하우징(10)의 측방 하부에 구비된다.
또한, 하우징(10)은 여과망(20)을 내장하는 바디(13)와, 바디(13)의 상부를 덮는 뚜껑(14)을 포함한다. 뚜껑(14)은 바디(13)의 상부에서 개폐되어 바디(13)에 내장되는 여과망(20)의 교체를 가능하게 한다. 바디(13)와 뚜껑(14)은 서로 마주하는 플랜지(139, 149)를 구비하여, 볼트(15)와 너트(16)로 체결될 수 있다.
여과망(20)은 하우징(10)에 내장되고 복수 개로 형성되어, 하우징(10)의 제한된 용적 내에서 여과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여과망(20)은 유입되어 유출되는 유체와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시킬 수 있도록 복수로 형성된다.
여과망(20)은 기본 골격의 타공 홀의 크기와 재질을 사용 조건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여과망(20)은 기본 골격(이하에서 제1, 제2, 제3여과 부재)의 내, 외부에 추가로 메쉬를 구성하여 여과할 목적 및 대상에 맞도록 다양하게 변경하거나 메쉬 사이즈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여과망(20)은 복수의 원통체로 형성되어 하우징(10)의 중심에 일치하는 동심을 기준으로 다중 결합되고 서로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여과망(20)은 제1여과 부재(211)와 제2여과 부재(212) 및 제3여과 부재(213)을 포함한다. 제2, 3여과 부재(212, 213)는 제1여과 부재(211)보다 더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배관을 통하여 하우징(10)의 상측 유입구(11)로 유입되는 유체는 제1, 제2, 제3여과 부재(211, 212, 213)를 다양한 경로로 경유하면서 고형물의 필터링 후, 하측 유출구(12)를 유출된다.
이때, 제1여과 부재(211)는 여과망(20)에서 최외곽에 배치되어 하우징(10)의 내면과의 사이에 제1간격(G1)을 설정한다. 제1여과 부재(211)는 그 측방과 하방에 여과홀(113)을 구비한다.
제1여과 부재(211)의 상부로 유입되는 유체는 여과홀(113)을 통하여 필터링 되면서 제1간격(G1)으로 유출되고 이어서 하부로 떨어져 하우징(10)의 바디(13)에 수용된다.
제2여과 부재(212)는 제1여과 부재(211)에 삽입되어 제1여과 부재(211)의 내면과의 사이에 제2간격(G2)을 설정한다. 제2여과 부재(212)는 그 측방에 여과홀(123)을 구비한다.
제1여과 부재(211)의 상방이면서 제2여과 부재(212)의 측방으로 유입되는 유체는 여과홀(123)을 통하여 필터링 되면서 제2여과 부재(212)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어서 하부로 떨어져 하우징(10)의 바디(13)에 수용된다.
또한 제1여과 부재(211)에 대응하는 제2간격(G2) 측에서 제2여과 부재(212)의 측방으로 유입되는 유체는 여과홀(123)을 통하여 필터링 되면서 제2여과 부재(212)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어서 하부로 떨어져 하우징(10)의 바디(13)에 수용된다.
제3여과 부재(213)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제2여과 부재(212)에 삽입되어 제2여과 부재(212)의 내면과의 사이에 제3간격(G3)을 설정한다. 제3여과 부재(213)는 그 측방과 하방에 여과홀(133)을 구비한다.
제3여과 부재(213)의 상방으로 유입되는 유체는 측방의 여과홀(133)을 통하여 필터링 되면서, 제3여과 부재(213)의 외부로 유출되어 제3간격(G3)으로 유도되어 하부로 떨어져 하우징(10)의 바디(13)에 수용된다.
동시에 제3여과 부재(213)의 상방으로 유입되는 유체는 제3여과 부재(213)의 하부 여과홀(133)을 통하여 필터링 되면서 하부로 떨어져 하우징(10)의 바디(13)에 수용된다.
제1, 제2, 제3여과 부재(211, 212, 213)을 통하여 필터링 될 때, 제1, 제2, 제3간격(G1, G2, G3)은 유체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킨다. 이와 같이 필터링 된 후, 하우징(10)의 바디(13)에 수용된 유체는 유출구(12)를 통하여 배관으로 유출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은 제1여과 부재(211)를 지지하기 위하여, 바디(13)의 내면에 지지부(131)를 구비한다. 제1여과 부재(211)는 지지부(131)에 설치되도록 상단 외측에 제1플랜지(311)를 구비한다. 바디(13)의 내면과 제1여과 부재(211)의 제1플랜지(311)의 외면 사이는 기밀 구조로 형성되어 필터링 되지 않은 유체의 유출을 방지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바디(13)의 내면과 제1여과 부재(211)의 제1플랜지(311)의 외면 사이에 개스킷이 개재될 수 있다.
제3여과 부재(213)는 제1플랜지(311)에 대응하는 제3플랜지(313)를 구비한다. 제1여과 부재(211)의 제1플랜지(311)를 지지부(131)에 설치한 후, 제3플랜지(313) 측에서 체결 부재(17)를 삽입하고, 제1플랜지(311)를 관통하여 지지부(131)에 체결함으로써, 여과망(20)이 하우징(10) 내에 고정 설치된다.
체결 부재(17)를 체결 및 분리함으로써, 하우징(10) 내에 여과망(20)을 설치 및 교체할 수 있다. 즉 제1플랜지(311)와 제3플랜지(313)를 체결하므로 제2여과 부재(212)는 제1, 제3여과 부재(211, 213) 사이에 설치된다. 그리고 하우징(10)과 제1, 제2, 제3여과 부재(211, 212, 213)은 서로의 사이에 제1, 제2, 제3간격(G1, G2, G3)을 설정하여 유체와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킨다.
제3플랜지(313)는 상단 외측으로 돌출되고, 직경 방향 내측에 밀착부(134)를 구비한다. 밀착부(134)는 제2여과 부재(212)의 상단에 밀착 배치되는 제2간격(G2)으로 유체가 직접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여과 부재(212)와 밀착부(134) 사이에 개스킷이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제3플랜지(313)는 직경 방향에서 밀착부(134)의 외측에 체결부(135)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체결부(135)는 관통구(136)를 구비하여 체결 부재(17)의 관통을 가능하게 한다.
체결부(135)는 밀착부(134)의 원주 방향에서 부분적으로 밀착부(134)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체결부(135)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방향에서 부분적으로 형성되므로 유입구(11)로 유입되는 유체가 제3여과 부재(213)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2여과 부재(212)는 하단 외측에 제2플랜지(121)를 더 구비한다. 제2플랜지(121)는 제1여과 부재(211)의 하측 내면에 밀착 배치되어, 제2간격(G2)으로 유입되는 유체가 제1여과 부재(211)의 하방으로 바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플랜지(121)와 제1여과 부재(211)의 하측 내면 사이에 개스킷이 개재될 수 있다.
즉 제2플랜지(121)는 제2간격(G2)으로 유입되는 유체가 제1여과 부재(211)를 경유하거나, 제2여과 부재(212)를 경유한 후, 하부로 떨어져 하우징(10)의 바디(13)에 수용될 수 있게 한다. 즉 여과망(20)과 유체의 접촉 면적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여과망(20)을 형성하는 제1여과 부재(211)와 제2여과 부재(212) 및 제3여과 부재(213)는 상기와 같은 결합 구조로 결합되며, 더 다양한 방법 및 결합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여과망(20)은 여과하고자 하는 이물질의 크기 및 목적에 따라 제1, 제2, 제3여과 부재(211, 212, 213)의 크기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고, 사용 중에도 적은 비용으로 부재(211, 212, 213)를 쉽게 변경 및 교체 가능케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입구(11)로 유입되는 유체는 하우징(10) 내의 여과망(20)을 경유하면서 필터링 작용에 의하여 함유된 고형물을 여과망(20)에 코팅한 후, 유출구(12)로 유출된다.
이때, 유입구(11)로 유입되는 유체는 3가지 경로, 즉 제1경로(P1) 제2경로(P2) 및 제3경로(P3)를 형성하게 된다. 제1경로(P1)는 제1, 제2여과 부재(211, 212)의 높이 차이에 의하여, 유입구(11)오 유입된 후 제2간격(G2)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제1여과 부재(211)의 여과홀(113)을 경유하여 필터링 하면서 하부로 유도한다.
제2경로(P2)는 유입구(11)로 유입되는 유체 및 제2간격(G2)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제2여과 부재(212)의 여과홀(123)을 경유하여 필터링 하면서 하부로 유도한다.
제3경로(P3)는 유입구(11)로 유입되는 유체를 제3여과 부재(213)의 내부에서 외부로 측방의 여과홀(133)을 경유하여 필터링 하면서 제3간격(G3)으로 공급하여 하부로 유도하고, 하방의 여과홀(133)을 경유하여 필터링 하면서 하부로 유도한다.
이와 같이, 제1경로(P1)만으로 필터링 경로를 형성하는 종래의 버킷 타입의 스트레이너에 비하여, 일 실시예는 제2, 제3경로(P2, P3)를 더 구비하여 필터링 작용하므로 하우징(10) 내의 제한된 용적에도 불구하고 여과망(20)과 유체의 접촉 면적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의 여과망(20)은 제1, 제2, 제3경로(P1, P2, P3)를 구비하여 유체의 여과 면적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즉 스트레이너의 여과 성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스트레이너의 교체 기간이 길어지고, 유지 보수 비용이 줄어들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하우징 11: 유입구
12: 유출구 13: 바디
14: 뚜껑 15: 볼트
16: 너트 17: 체결 부재
20: 여과망 113, 123, 133: 여과홀
131: 지지부 121, 311, 313: 제2, 제1, 제3플랜지
134: 밀착부 135: 체결부
136: 관통구 139, 149: 플랜지
211: 제1여과 부재 212: 제2여과 부재
213: 제3여과 부재 G1, G2, G3: 제1, 제2, 제3간격
P1, P2, P3: 제1, 제2, 제3경로

Claims (7)

  1. 유체를 이송하는 배관에 유입구와 유출구로 연결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체를 유입하여 필터링 된 유체를 상기 유출구로 유출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유입되는 유체를 필터링 하여 유출하는 여과망을 포함하며,
    상기 여과망은
    상기 하우징의 제한된 용적 내에서 여과 면적을 증대시키도록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여과망은
    최외곽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제1간격을 설정하는 제1여과 부재,
    상기 제1여과 부재에 삽입되어 이격되는 제2여과 부재, 및
    상기 제2여과 부재에 삽입되어 이격되는 제3여과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내면에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여과 부재는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도록 외측에 제1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제3여과 부재는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지지부에 체결 부재로 체결되도록 상기 제1플랜지에 대응하는 제3플랜지를 구비하는
    스트레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망은
    복수의 원통체로 형성되어 동심을 기준으로 다중 결합되고 서로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는 스트레이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여과 부재는
    상기 제1여과 부재의 내면과 제2간격을 설정하고,
    상기 제3여과 부재는
    상기 제2여과 부재의 내면과 제3간격을 설정하는 스트레이너.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플랜지는
    상기 제2간격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2여과 부재의 상단에 밀착 배치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이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플랜지는
    상기 밀착부에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체결 부재의 관통구를 형성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스트레이너.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여과 부재는
    상기 제2간격으로 유입되는 유체가 하방으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제2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제2플랜지는
    상기 제1여과 부재의 하측 내면에 밀착 배치되는 스트레이너.
KR1020160033976A 2016-03-22 2016-03-22 스트레이너 KR102140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976A KR102140263B1 (ko) 2016-03-22 2016-03-22 스트레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976A KR102140263B1 (ko) 2016-03-22 2016-03-22 스트레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853A KR20170109853A (ko) 2017-10-10
KR102140263B1 true KR102140263B1 (ko) 2020-07-31

Family

ID=60190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976A KR102140263B1 (ko) 2016-03-22 2016-03-22 스트레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2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438B1 (ko) 2021-04-16 2021-09-02 권동혁 스트레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234B1 (ko) 2014-07-30 2015-04-08 (주)승진엔지니어링 스트레이너 필터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894B2 (ja) * 1981-08-07 1985-01-24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ストレ−ナ
JPH08323116A (ja) * 1995-06-05 1996-12-1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ストレーナ
JP3344616B2 (ja) * 1996-07-22 2002-11-11 株式会社荏原製作所 回転ろ過装置
KR200204889Y1 (ko) * 1998-01-23 2001-01-15 이정수 상향식스트레이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234B1 (ko) 2014-07-30 2015-04-08 (주)승진엔지니어링 스트레이너 필터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853A (ko) 2017-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31007A (zh) 过滤装置和滤芯
KR101509234B1 (ko) 스트레이너 필터조립체
KR102000229B1 (ko) 배관용 스트레이너
WO2005115583A1 (en) Apparatus for filtering of solids suspended in fluids
US20100116732A1 (en) In-line strainer
CN105682766A (zh) 过滤装置
EP3801815A1 (en) Device and method for filtering a fluid circulating in a plumbing and heating system
CN207575937U (zh) 一种y型过滤器
WO2013025128A1 (ru) Промывной фильтр и фильтру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него
KR101581249B1 (ko) 버킷형 스트레이너
KR102140263B1 (ko) 스트레이너
US20140021121A1 (en) Filter media retainer assembly
KR101285605B1 (ko)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정수필터의 필터 헤드
KR100868810B1 (ko) 인라인형 스트레이너
EP2727639A1 (en) Reverse rinsing filter
KR101064635B1 (ko) 자체 세정 기능을 갖춘 필터
KR100919816B1 (ko) 수도계량기용 스트레이너
KR101573682B1 (ko) 스트레이너장치
CN210302656U (zh) 多联过滤装置
KR102637384B1 (ko) 역세척 타입의 여과장치, 이를 포함하는 여과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CN100502996C (zh) 滤清器滤芯总成
CN101721852A (zh) 管线过滤器
KR102177390B1 (ko) 유체 내 비자성-자성 물질의 여과를 위한 유체 필터링용 복합 여과 장치
JP4376068B2 (ja) ストレーナーの逆洗システム
JP6762182B2 (ja) エア抜き弁を備える下水用ポンプ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