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314B1 - T Type Strainer - Google Patents

T Type Str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314B1
KR101969314B1 KR1020180131585A KR20180131585A KR101969314B1 KR 101969314 B1 KR101969314 B1 KR 101969314B1 KR 1020180131585 A KR1020180131585 A KR 1020180131585A KR 20180131585 A KR20180131585 A KR 20180131585A KR 101969314 B1 KR101969314 B1 KR 101969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er
outlet
main body
flui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5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류태환
Original Assignee
이상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복 filed Critical 이상복
Priority to KR1020180131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31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3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8Straine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ainer capable of minimizing residual water, and more particularly, a strainer installed in a pipe line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mixed in a fluid, which prevents the fluid flow from being concentrated to a specific site of a filtration container so as not to pass therethrough, such that resistance against the fluid flow inside the strainer can be minimized, and can ensure a smooth flow path through another part in the filtration container even when the foreign substances are accumulated in the filtration container. Accordingly, the filtering performance can be maintained even when a large amount of the foreign substances are deposited in the strainer, residual water can be minimized by firstly discharging a fluid in a lower portion of the strainer after the fluid flowing into the strainer is filtered out from the filtration container, and old residual water is prevented from being present in the strainer. Also, the str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cleaning and replacement of the filtration container can be easily performed by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cover at an upper end of the strainer, and the residual water is not spilled during cleaning or maintenance. To this end, the str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an inflow pipe, an outflow pipe, a cover, a flow control means, and a filtration container.

Description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T Type Strainer}A T-type strainer capable of minimizing the number of wastes {T Type Strainer}

본 발명은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에 관한 기술이다. 좀 더 상세하게로는, 유체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하여 배관라인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옆에서 본 단면이 T자형이며, 상부에서 덮개를 개폐하도록 함으로써 내부에 있는 여과통의 청소 및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내부에는 흐름제어수단을 갖도록 하여 잔수를 최소화하고, 본체와 여과통 사이에 유로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이물질이 특정부분에만 쌓이지 않도록 하여 유로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에 관한 기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type strainer capable of minimizing the residual water. More specifically, the strainer installed in the piping line for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mixed with the fluid has a T-shaped cross-section as viewed from the side, and the lid is opened and closed at the upper portion, A flow control means is provided to minimize the number of residues and a flow path space is form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filtration tube to prevent the foreign matter from accumulating only in a specific portion, to be.

스트레이너는, 관로에 흐르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로 인하여 관로가 막히거나, 펌프, 유량계, 열교환기, 콘덴서 등의 각종 배관설비에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관로의 중간에 설치하는 일종의 여과설비를 말한다. The strainer is a type of filtering equipment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pipeline in order to prevent the pipeline from becoming clogged due to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pipeline, and to prevent malfunctions in various piping facilities such as pumps, flow meters, heat exchangers, It says.

일반적으로, 물 혹은 유류와 같은 유체를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배관을 이용하여 특정한 다른 장소로 유체를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 배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에는 그 자체적으로 이물질을 포함하고 있거나, 배관으로부터 발생되는 녹 등의 오물 또는 용접 시 발생된 슬러지와 함께 모래, 스케일, 금속 쓰레기 등이 존재하게 되어 배관이 막히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이물질들로 인한 배관의 막힘 현상은 특히, 유체를 강제로 이송시키기 위한 펌프, 이송되는 유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조절 밸브 및 기타 조절 밸브 등을 고장을 유발하고 이로 인하여 배관, 펌프, 각종 밸브 등을 교체하여야 한다는 문제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주거생활에도 많은 피해가 발생하여 생활에 불편함을 준다. 특히 대부분이 주철관으로 이루어져 있는 상수도관의 경우에는, 노후화되면서 녹이 발생되고, 각종 불순물이 떨어져 용수에 이물질이 섞이게 되며, 상수도관의 교체나 보수공사 시에도 불순물이 발생하여 용수를 오염시키게 되는데,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계량기를 막는 경우 수돗물이 나오지 않거나 수돗물에 이물질이 섞여 나올 수 있는 문제도 발생한다.Generally, in order to transfer a fluid such as water or oil, the fluid is moved to a specific other place by using a pipe. The fluid flowing inside the pipe includes foreign substances by itself, or rust There is a problem that sludge generated in the case of dirt or welding, sand, scale, metal garbage or the like is present and the pipe is clogged. The clogging of piping due to these foreign substances is particularly troublesome due to the failure of the pump for forced transfer of the fluid, the temperature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transferred fluid, and other control valves, Not only does it cause the problem of replacing the valve, but also causes a lot of damage in the residential life, which is inconvenient to the lif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water pipe composed mostly of a cast iron pipe, rust is generated as a result of aging, various impurities are released, foreign substances are mixed with the water, and impurities are generated even when the water pipe is replaced or repai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ap water does not come out or the foreign matter may mix with the tap water.

이러한 상황에 이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트레이너를 배관라인 중간에 설치하게 되는데 스트레이너에는 여과통을 두어 녹, 금속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관로에 스트레이너를 설치하게 되면, 스트레이너의 후단에 있는 각종설비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스트레이너에 걸러져서 누적되는 이물질들은 정기적으로 제거해주어야 하는데, 스트레이너의 내부를 청소하거나 내부에 포함되는 여과통을 교체하거나 해야 한다. In order to prevent this situation from occurring, the strainer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piping line. The strainer is provided with a filter box to serve as a filter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rust and metal scum. Therefore, if the strainer is installed in the pipeline,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into the various facilities at the rear end of the strainer. Any foreign matter that accumulates in the strainer must be removed regularly. It is necessary to clean the inside of the strainer or replace the filter bag included in the strainer.

한편 종래기술에 의한 스트레이너는, 내부에 있는 여과통 중 특정부분이 유로의 흐름상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여과통 중 특정부분에만 이물질이 집중하여 쌓이게 되는 관계로, 여과통에 쌓여진 이물질들이 유로의 흐름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스트레이너를 자주 청소하거나 여과통을 교체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유로가 차단된 상태에서도 스트레이너 내부에 잔수가 많이 남게 되므로, 유로차단 상태가 오랫동안 지속되는 경우 관로 내부에 오염된 잔수가 다량으로 존재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유로의 흐름은 스트레이너 상부에서 형성되고, 잔수는 스트레이너의 하부에 존재하기 때문에 유로가 차단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잔수 즉 흐르지 않고 정체된 오래된 유체가 스트레이너 내부에 존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뿐만 아니라 이렇게 다량으로 존재하는 잔수는 스트레이너의 청소 또는 여과통 교체 시 밖으로 쏟아져 내리게 되어 작업자에게 직접 노출될 수 있어 작업자에게 불쾌감을 줄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유체가 유해한 것일 경우에는 작업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rain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since a specific portion of the filter bag inside is designed to be positioned on the flow path, foreign substances are concentrated only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filter bag. Therefore, In addition to this,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strainer is frequently cleaned or the filter bag is replaced. In addition, since a large amount of residual water remains in the strainer even when the flow path is blocked,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amount of contaminated residual water exists in the pipe when the flow path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Also, since the flow of the flow path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trainer and the remaining water exists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train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ld fluid remains in the strainer even when the flow path is not blocked. In addition, such a large amount of residual water is poured out when the strainer is cleaned or the filter bag is poured out, which can directly expose to the operator, which not only discomforts the operator, but also can damage the operator's health if the fluid being used is harmful A problem also occurs.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는, 유체의 흐름을 여과통의 어느 특정부위에 집중되어 통과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스트레이너 내부에서 유체흐름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 시킬 수 있고, 여과통에 이물질이 쌓이더라도 여과통내 다른 부분을 통한 원활한 유로를 보장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스트레이너 내부에 이물질이 다량으로 퇴적되는 경우에도 여과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type strainer capable of minimizing the residual water by minimizing the resistance to the fluid flow in the strainer by preventing the flow of the fluid from being concentrated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filter.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ainer capable of ensuring a smooth flow path through other portions of a filtration tube even if foreign matter accumulates in the filtration tube.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ainer which can maintain filtration performance even when a large amount of foreign matter is deposited inside the strain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트레이너로 유입되는 유체가 여과통에서 걸러진 뒤에는 스트레이너 하부에 있는 유체부터 유출되도록 함으로서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오래된 잔수가 스트레이너에 존재하지 못하도록 하는 스트레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스트레이너의 상단에 개폐용 덮개를 둠으로써 청소 및 여과통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소 또는 유지보수 시 잔수가 쏟아져 내리지 않는 구조를 갖는 스트레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ainer that can minimize the amount of residual water and prevent old residues from being present in the strainer by allowing the flui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trainer to flow out after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strainer is filtered by the filtering strainer.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ain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n opening / closing lid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a strainer so as to facilitate cleaning and replacement of a filter bag, and to prevent the remaining water from being poured during cleaning or maintenanc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that are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There will be.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의 일 실시예는, 배관라인을 따라 흐르는 유체 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배관라인 상에 설치되며, 본체, 유입관, 유출관, 덮개, 흐름제어수단 및 여과통을 포함하는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중심축이 상기 배관라인과 지면 각각에 대하여 수직인 원통형으로서, 하단은 막혀있고 상단은 개방되며; 상기 유입관은, 일단이 상기 본체의 원통형 측면 중 상부 일 측에 형성된 유입구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배관라인의 유입배관 쪽과 연결될 수 있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유출관은, 일단이 상기 본체의 원통형 측면 상부 중 상기 유입구와 반대쪽에 형성된 유출구에 부착되고, 타단에는 상기 배관라인의 유출배관 쪽과 연결될 수 있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는, 상기 본체의 상단을 덮어서 밀폐시키거나, 열어서 개방시킬 수 있게 결합되며, 상기 흐름제어수단은, 상기 유출구에 대한 직접적인 유체흐름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내주면 중 상기 유출구 쪽에 부착되며 세로방향이 길은 장방형으로 되어 상기 세로방향 양쪽이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종방향으로 각각 부착되는 격벽부, 위에서 본 평면이 활꼴로서, 상기 활꼴의 호 부분은 상기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부착되고 상기 활꼴의 직선부분은 상기 격벽부의 상단과 연결되어 상기 유출구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절곡부, 상기 격벽부의 하단에, 일정크기로 개방되어 상기 유출구에 대한 유체흐름을 형성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통은, 위에서 본 단면이 활꼴이며 속이 빈 기둥모양으로서 상면만 개방되어 있고, 나머지 면은 그물망으로 막혀있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 탈착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embodiment of a T-type str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minimizing residual water is provided on the pipeline to remov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fluid flowing along the pipeline, A strainer comprising a body, an inlet pipe, an outlet pipe, a lid, a flow control means, and a filter bag, wherein the body is cylindrical in shape with a central axis perpendicular to the pipe line and the ground, ; Wherein the inlet pipe is connected to an inlet formed at one upper side of the cylindrical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formed at the other end with a flange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inlet pipe side of the pipe line; Wherein the outlet pipe is attached to an outlet formed at one end of the cylindrical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opposite to the inlet and formed at the other end with a flange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outlet pipe side of the pipe line; And the flow control means is attached to the outlet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block direct fluid flow to the outlet port, Wherein the arc shape of the arc shape is oblong and the arc shape of the arc shape is oblong and the arcuate arcuate portion is attach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partition has a bent portion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partition wall to seal an upper portion of the outlet, and an opening portion opened at a lower end of the partition wall to form a fluid flow to the outlet, Preferably, the filtration tube has an oblique section in an oblique view and has an open hollow shape and only an upper surface thereof is opened, the other surface is closed with a mesh, and is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body.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는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여과통의 측면이 상기 본체의 원통형 내주면 및 상기 격벽부와 마주하는 부분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함으로써 유로공간을 형성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이에 더하여, 상기 여과통의 하단은 상기 개구부의 상단과 같거나 높은 곳에 위치하며, 상기 여과통의 상단은 상기 유입구의 하단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개구부의 면적은 상기 유출구의 단면적에 비하여 같거나 넓으며, 상기 여과통의 활꼴면적은 상기 절곡부의 활꼴면적보다 넓으며, 상기 절곡부의 활꼴면적은 상기 개구부의 면적에 비하여 같거나 넓게 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T-type str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surface of the filter cylinder is spaced apart from the cylindrical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portion facing the partition wall, The lower end of the filtration tube is located at the same or higher position than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and the upper end of the filtration tube is located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inlet. . In addition to the features described above, the area of the opening is equal to or wid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utlet, the bushing area of the bushing is wider than the bushing area of the bending part, and the bushing area of the bending part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opening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features that are equal to or wider than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잔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는, 유입구는 본체의 상부에 있으며, 여과통의 상면을 제외한 모든 부분은 그물망형태로 되어 있고, 여과통이 본체 및 격벽부와 마주하는 부분에 유로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격벽부의 하단을 통하여 유체가 유출되는 구조로 하였기 때문에 유체의 흐름이 여과통의 어느 특정부위에 집중되지 않고, 여과통의 상면을 제외한 모든 부분이 여과면적으로 작용될 수 있으므로 유체 흐름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type strainer capable of minimizing the residual water has an inlet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ll portions except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tube are in the form of a mesh, Since the flow space is formed at the opposite portion and the fluid flows out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the flow of the fluid is not concentrated on a specific portion of the filtration tube, and all portions except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ration tube act as the filtration area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esistance against fluid flow can be minimized.

또한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이물질이 여과통의 특정부위(예를 들어 아래쪽)에 많이 쌓이게 되더라도 다른 부분으로 유로가 충분히 보장되기 때문에, 스트레이너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여과통에 퇴적된 이물질로 인하여 유로가 막히거나 여과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소나 여과통의 교체주기를 길게 할 수 있어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Even if the strainer is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in the filter bag may clog the flow path, or the filtration performance may be deteriorated. It is possible not only to prevent the water from falling down but also to lengthen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cleaning and the filter bag, thereby saving time and effort required for maintenance.

그리고 스트레이너 내부에 별도의 흐름제어수단을 형성하여 스트레이너로 유입되어 걸러진 유체가 스트레이너의 최하단부부터 흡입이 되도록 하는 구조로 하였기 때문에 잔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오래된 잔수로 인한 관로의 오염을 예방하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해 줄 수 있다.Since a separate flow control means is formed in the strainer and the filtered fluid introduced into the strainer is sucked from the bottom end of the strainer, the residual water can be minimized, thereby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pipeline due to old residual water , And maintenance can be facilitated.

또한, 본 발명은 본체 상단에 개폐 가능한 덮개를 두어 여과통을 스트레이너의 상부로 인출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스트레이너의 유지보수 시에도 스트레이너에 남아있는 잔수가 쏟아지지 않기 때문에, 유해한 유체가 작업자에게 직접 노출되는 위험을 예방할 수 있고, 여과통의 청소 및 교체 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lid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to draw the filtration tube to the upper part of the strainer, so that the residue remaining in the strainer is not poured even during maintenance of the strain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isk that the filter bag is cleaned and replace the filter bag.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에 대한, 도 1에서 A-A’방향으로 절개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로서, 덮개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로서, 덮개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의한,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에 대한 도 1의 A-A’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에 대한 도 1의 A-A’방향 단면도로서, 덮개를 열어 여과통을 분리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에서 유체의 이동흐름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에 의한,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에 포함된 여과통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에서 여과통과 흐름제어수단의 단면적비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T-type strainer capable of minimizing the residual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type strainer capable of minimizing the residual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incision in the direction of A-A 'in FIG. 1. FIG.
3 is a top plan view of a T-type strainer capable of minimizing residual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lid.
4 is a top plan view of a T-type strainer capable of minimizing residual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is opened.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for a T-type strainer capable of minimizing the residual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type strainer in FIG. 1,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in which residual water is minimiz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flow of fluid in a T-type strainer capable of minimizing the residual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case included in a T-type strainer capable of minimizing the residual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ross-sectional area ratio of the filtration tube and the flow control means in the T-type strainer capable of minimizing the residual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상술한 목적과 특징이 분명해지도록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한 공지기술 중 이미 그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그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clarify the objects and features described abo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ny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lready been known in the art, and if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is consider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omitted.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In addition, although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ed as a general term that is widely used at present, there are some terms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a specific case. In this case, since the meaning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releva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grasped as a meaning of a term that is not a nam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다양한 부가적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특정한 실시 예들이 도면에 표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 예들을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are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may have various additional embodiments, in which specific embodiments are shown in the drawings and are described in further detail in connection with the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but are to be understoo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embodiments.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를 A-A‘방향으로 절개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는 배관라인(미도시)을 따라 흐르는 유체 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배관라인 상에 설치되며, 본체(100), 유입관(200), 유출관(300), 덮개(400), 흐름제어수단(500) 및 여과통(600)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a T-type strainer capable of minimizing the residual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T-type strainer capable of minimizing the residual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AA ' FIG. As shown in FIGS. 1 and 2, a T-type strainer capable of minimizing residual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pipeline to remov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fluid flowing along a pipeline (not show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main body 100, the inflow pipe 200, the inflow pipe 300, the lid 400, the flow control means 500 and the filter bag 600.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단이 막혀있고 상단은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으로 하고, 상기 원통형의 중심축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의 상단은 덮개(400)가 덮여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수단(110)을 더 포함하도록 하고, 상기 본체(100)의 원통형 측면 중 상부 일측에는 유입구(120)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유입구(120)의 반대쪽 측면에는 상기 유입구(120)에 대향하여 유출구(13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the main body 10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the lower end closed and the upper end opened, and the center axis of the cylindrical shape is preferably perpendicular to the paper. The cylindrical upper end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means 110 to allow the lid 400 to be covered and coupled. An inlet 120 is formed at an upper side of the cylindrical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nd an outlet 130 is form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inlet 120 so as to face the inlet 120.

한편 상기 유입관(200)과 상기 유출관(300)은 상기 본체(100)를 상기 배관라인과 연결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유입관(200)은 일단이 상기 본체(100)의 원통형 측면에 형성된 상기 유입구(120)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배관라인의 유입배관 쪽과 연결될 수 있도록 플랜지(21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출관(300)은 일단이 상기 본체(100)의 원통형 측면에 형성된 상기 유출구(130)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배관라인의 유출배관 쪽과 연결될 수 있도록 플랜지(31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let pipe 200 and the outlet pipe 300 are connected to the piping line. The inlet pipe 200 has one end formed on the cylindrical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nd a flange 21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outlet pipe 30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inlet pipe of the pipe line. The outlet pipe 30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cylindrical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nd a flange 310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lange 31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outlet pipe of the pipe line.

그리고 상기 덮개(4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단을 덮어서 밀폐시키거나, 열어서 개방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서 상기 덮개(400)를 열고 상기 본체(100) 내부를 청소하거나 상기 여과통(600)을 꺼내어 교체나 청소 등을 할 수 있게 되어야 하며, 상기 덮개(400)로 상단을 덮은 경우에는 상기 본체(100)에 대한 밀폐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덮개(400)는 상기 결합수단(110)을 통해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1 및 도2에서 보는 것처럼 플랜지식으로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덮개(400)와 관련하여 도 3은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로서, 상기 덮개(400)가 닫힌 상태를 도시되어 있으며, 도 4는 상기 본체(100)에서 덮개가 열린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는 덮개를 열고 상기 여과통(600)까지 분리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The cover 400 may cover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0 and may be opened or closed by opening the cover 400 to clea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or to remove the filtering cylinder 600 And when the upper end is covered with the cover 400, the closed state of the main body 100 should be maintained.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lid 400 is coupled through the coupling means 110. It is also possible to combine the lid 400 with a flange as shown in FIGS. 3 is a top plan view of the lid 400, showing the lid 400 in a closed state, and Fig. 4 is a state in which the lid is opened in the main body 100. As shown in Fig.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lid is opened and separated to the filtration cylinder 600. FIG.

한편 본원은 상기 흐름제어수단(500)을 둠으로써, 상기 여과통(600)으로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여과통(600) 전체를 통하여 통과하면서 여과되고, 여과된 유체는 상기 흐름제어수단(500)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530)를 통하여 유입되며, 상기 개구부(530)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유출관(300) 및 유출배관(미도시)에 형성되는 흡입압력에 의하여 상기 유출구(130)쪽으로 빨려 올라가는 특징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흐름제어수단(500) 및 상기 여과통(600)의 구조가 도 2 및 도 5 내지 도 8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흐름제어수단(500) 및 상기 여과통(600)의 상세구조 및 작동원리를 도 2 및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In the meantime, since the flow control means 500 is installed, the fluid flowing into the filtration cylinder 600 is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entire filtration cylinder 600, and the filtered fluid is suppli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low control means 500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opening 530 is sucked toward the outlet 130 by the suction pressure formed in the outlet pipe 300 and the outlet pipe (not shown) . The structures of the flow control means 500 and the filtration tube 600 are shown in detail in FIGS. 2 and 5 to 8. FIG. Hereinafter, the detailed structure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flow control means 500 and the filtration tube 6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5 to 8. FIG.

상술한 도면들에서 보듯이, 상기 흐름제어수단(500)은 격벽부(510), 절곡부(520) 및 개구부(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격벽부(510)는 세로방향 즉 상기 본체(100)의 축방향 쪽이 길은 장방형으로 하고, 상기 세로방향 양쪽이 상기 본체(100)의 내주면에 종방향으로 각각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격벽부(510)로 인하여, 상기 본체(100)를 위에서 본 단면이 활꼴이 되는 두 개의 구역으로 구획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 및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유입구(120) 쪽과 상기 유출구(130) 쪽의 단면이 각각의 활꼴이 되도록 하되, 상기 유출구(130) 쪽 활꼴의 단면적보다는 상기 유입구(120)쪽 활꼴의 단면적을 더 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유입구(120) 쪽에 상기 여과통(600)이 위치하기 때문이다. 상기 각각의 활꼴 단면적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격벽부(510)의 상단은 상기 유출구(130)를 완전히 가릴 수 있는 높이까지 형성되어야 하며, 상기 격벽부(510)의 하단은 상기 개구부(530)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의 바닥에서부터 일정높이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flow control means 500 preferably includes a partition wall portion 510, a bent portion 520, and an opening portion 530. Here, the partition wall portion 510 has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length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an axi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attach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body 100 is divided into two sections having an oblique section as viewed from above. 2 and 4, the cross-section of the inlet 120 and the outlet 130 may be oblique,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 120 may be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utlet 130,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cross-sectional area wider because the filtration cylinder 600 is located on the inlet 120 side. Each of the above-mentioned cross-sectional are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upper end of the partition wall 510 may be formed to a height enough to completely cover the outlet 130 and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wall 510 may be formed in the main body 100 to form the opening 530. [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is equal to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frame.

한편 상기 절곡부(520)는 상기 흐름제어수단(500)의 상기 유출구(130) 쪽 상부를 밀폐시키는 구성으로서 위에서 본 평면이 활꼴이며, 활꼴의 호 부분은 상기 본체(100)의 내주면을 따라 부착되고 활꼴의 직선부분은 상기 격벽부(510)의 상단과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유출구(130)의 상부쪽을 밀폐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절곡부(520)는, 옆에서 본 단면이 상기 격벽부(510)에 대하여 90도가 되도록 절곡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 7의 하단에 도시된 상기 절곡부(520)의 다른 실시예 b에서 보듯이 상기 격벽부(510)와 상기 절곡부(520)가 이루는 각도를 90도가 넘게 하여 상기 절곡부(520)의 단면을 비스듬한 경사모양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절곡부(520)가 비스듬한 경사모양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절곡부(520)의 상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와류를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개구부(530)를 통하여 상기 유출구(130)쪽으로 유입되는 유체도 상기 절곡부(520)의 경사면에 부딪치기 때문에 와류로 인한 흐름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 하단의 c에서 보듯이 상기 절곡부(520)의 단면을 곡선모양으로 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렇게 하는 경우에도 위에서 설명한 경사모양으로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The bent portion 520 is configured to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flow control means 500 on the side of the outlet 130. The bent surface is oblique in plan view and the arcuate arc portion is formed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linear portion of the arc shape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partition portion 510 to seal the upper side of the outlet 130. [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bend the bent portion 520 so that the cross-section viewed from the side is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portion 510.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b of the bent portion 520 shown in the lower end of FIG. 7 The angle formed by the partition wall portion 510 and the bent portion 520 may be more than 90 degrees so that the bent portion 520 has an oblique slope. When the bent portion 520 has an oblique slope shap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vortex that may occur at the upper portion of the bent portion 520, and also to flow toward the outlet 130 through the opening portion 530 The fluid also hit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bent portion 520, so that the flow resistance due to vortex can be reduced. Also, as shown in the lower part c of FIG. 7, the bent section 520 may have a curved section. Even in this case, the same effect as that of the inclined shape described above can be obtained.

그리고 상기 개구부(530)는, 상기 격벽부(510)의 아래쪽에서, 상기 격벽부(510)로 인하여 분리된 상기 유입구(120)쪽 공간과 상기 유출구(130)쪽 공간을 서로 연결시켜 유로를 형성시키는 공간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격벽부(510)의 하단이 상기 본체(100)의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 이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형성되는, 상기 격벽부(510)의 하단과 상기 본체(100)의 바닥사이의 개방공간을 상기 개구부(53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pening 530 is formed below the partition 510 by connecting the space between the inlet 120 and the outlet 130 separated by the partition 510 to each other to form a flow passage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510 and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510 are formed to be at leas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0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ing 530 is an open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한편 상기 여과통(600)은, 도 8의 사시도에서 보듯이, 위에서 본 단면이 활꼴이며 속이 빈 기둥모양으로서 상면만 개방되어 있고, 나머지 면은 그물망으로 막혀있고, 상기 본체(100) 중 상기 유입구(120)쪽 공간 내부에 탈착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면의 테두리에는 바깥쪽을 향하여 일정부분 돌출된 걸림턱(610)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턱(610)은 상기 본체(100)의 원통형 내주면 및 상기 격벽부(510)에 형성된 받침턱(140)에 걸리는 구조로 하여 상기 여과통(600)이 상기 본체(100) 내부에 삽입될 때 상기 걸림턱(610)이 상기 받침턱(140)에 받쳐져서 상기 여과통(600)이 상기 본체(100) 내부의 적정위치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8, the upper end of the filtration cylinder 600 is open, and the other side thereof is closed with a mesh, and the inlet port (not shown) of the main body 100 120). It is preferable to form a latching protrusion 610 protruding a certain distance toward the outside on the rim of the upper surface. When the filtering tube 600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0, the latching jaw 610 is hooked on the cylindrical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receiving jaw 140 formed on the partition wall portion 510, It is preferable that the catching jaw 610 is supported on the supporting jaw 140 so that the filtering tube 600 is stably stably installed in the proper position inside the main body 100.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여과통(600)은 격자형태의 그물망으로 막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여기서 그물망의 재질을 철망 또는 금속망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수의 구멍을 천공한 스테인레스 판을 원통 형상으로 둥글게 말아 용접하여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여과통(600)은 유체의 흐름에 저항이 발생시키지 않도록 적정한 수압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도록 제조됨으로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여과통(600)에 유체가 흐를 때 압력 강하가 적게 발생하도록 하여 이물질을 걸러내면서 보다 적은 압력 강하를 일으키게 하여 배관시스템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tering cylinder 600 is clogged with a lattice-like net.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netting material is made of a wire mesh or a metal net, and a stainless steel plat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is round- It is also possible to weld and connect. The filtration tube 600 is manufactured to have a strength enough to withstand a proper water pressure so as not to generate a resistance to the flow of the fluid, so that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When the fluid flows through the filtration tube 600, So tha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piping system by causing less pressure drop while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그리고 상기 여과통(600)의 측면은 상기 본체(100)의 원통형 내주면 및 상기 격벽부와 마주하는 부분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여과통(600)의 측면 바깥쪽 전체에 걸쳐서 유로공간(S)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여과통(600)의 하단은 상기 개구부(530)의 상단과 같거나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여과통(600)의 하단부와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해 주어 상기 개구부(530)로의 유체유입을 원활히 하기 위함이다. 만일 상기 여과통(600)의 하단이 상기 개구부(530)의 상단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여과통(600)의 측면에서 상기 유로공간(S)을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여과통(600)으로 인하여 저항을 받게 되며, 이로 인하여 유체는 상기 여과통(600)의 측면으로 유입되기 보다는 상기 여과통(600)의 하단으로 집중되어 유입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실질적 여과면적이 줄어들고, 이물질이 쌓일 경우 유체저항이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여과통(600)의 상단은 상기 유입구(120)의 하단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유입구(120)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여과통(600) 내부로 원활히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side surface of the filtration tube 600 is spaced apart from the cylindrical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portion facing the partition wall portion so that the flow path space S is formed over the entire outer side surface of the filtration tube 600 .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nd of the filtration cylinder 600 is located at the same level as or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530. This is because there is sufficient spa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filtration cylinder 60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0 Thereby ensuring a space and facilitating the inflow of the fluid into the opening 530. If the lower end of the filtration cylinder 600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530,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flow path space S from the side of the filtration cylinder 600 flows into the filtration cylinder 600 The fluid is concentra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filter case 600 rather than flowing into the side of the filter case 600. As a result, the substantial filtration area is reduced, and when the foreign substance is accumulated, the fluid resistance is increased .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 of the filtration cylinder 600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inlet 120 so that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inlet 120 can be smoothly introduced into the filtration cylinder 600 to be.

한편 상기 개구부(530)의 면적은 상기 유출구(130)의 면적에 비하여 같거나 넓은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개구부(530)로의 유입량이 상기 유출구(130)로의 유출량에 비하여 충분히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여과통(600)의 활꼴면적은 상기 절곡부(520)의 활꼴면적보다 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충분한 여과면적을 확보하기 위함이며, 이에 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절곡부(520)의 활꼴면적은 상기 개구부(530)의 면적에 비하여 같거나 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절곡부(520)의 활꼴면적은 상기 절곡부(520)를 위에서 본 평면의 면적이며, 이는 상기 격벽부(510)와 상기 본체(100)의 내주면 중 상기 유출구(130) 쪽 내주면과 사이에 형성되는 활꼴 공간의 단면적이다. 이렇게 상기 절곡부(520)의 활꼴면적을 상기 개구부(530)의 면적 이상으로 하는 이유는 상기 개구부(530)로 유입된 유체에 대하여 충분한 유로공간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area of the opening 530 is preferably equal to or larger than the area of the outlet 130 so that the amount of the inflow to the opening 530 is sufficiently greater than the amount of the inflow to the outlet 130. Also, it is preferable that the bobbin area of the filtration tube 600 is wider than the bobbin area of the bending part 520, in order to secure a sufficient filtration area,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bending area of the bent portion 520 is preferably equal to or wider than the area of the opening 530. The bending area of the bending part 520 is an area of the plane viewed from above the bending part 520. This is because the bending part 520 is located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Sectional area of the arcuate space. The reason why the bending area of the bending part 520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area of the opening part 530 is to secure a sufficient flow path space for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opening part 530.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본체(100)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 여과과정 및 유출과정, 상기 여과통(600)의 실질적 여과면적, 잔수가 최소화되는 원리, 상기 개구부의 바람직한 면적 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flow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main body 100, the filtration process and the outflow process, the principle of minimizing the residual filtration area and the residual filtration area of the filtration tub 600, the preferable area of the opening And the like will be described.

도 2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입관(200)으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진입된 유체는 상기 유출관(300)의 상부를 밀폐하고 있는 상기 흐름제어수단(500)의 상기 격벽부(510)와 상기 절곡부(520)에 막혀 상기 유출관(300)으로 흐르는 직접적인 이동이 차단되므로, 모든 유체는 반드시 상기 여과통(600)을 관통하여 그물망에 이물질이 걸러지고, 이물질을 포함하지 않은 유체는 상기 유로공간(S) 및 상기 여과통(600)의 하면을 통하여 빠져나가게 되며, 빠져나온 유체는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개구부(530)를 통해서 흡입되어 상기 유출관(300)으로 이동하게 된다. As shown in FIGS. 2 and 7,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inflow pipe 200 enters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0. The fluid that has entered the main body 100 is clogged with the partition wall portion 510 of the flow control means 500 and the bent portion 520 that hermetically seal the upper portion of the outlet pipe 300, All the fluids pass through the filtration cylinder 600 and foreign matter is trapped in the network and the fluids that do not contain the foreign material pass through the flow path space S and the filtration cylinder 600 And the discharged fluid is sucked through the opening 530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0 and is moved to the outflow pipe 300.

본원발명에서는 이렇게 상기 여과통(600)의 측면과 상기 본체(100)의 원통형 내주면 및 상기 격벽부와 마주하는 부분에 유로공간(S)을 형성하도록 하기 때문에, 상기 여과통(600)의 모든 여과망을 통하여 유체가 유출될 수 있기 때문에 특정부분, 예를 들어 상기 여과통(600)의 하단에 이물질이 쌓이더라도 상기 여과통(600)의 측면과 상기 유로공간(S)을 통하여 상기 개구부로의 유체흐름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여과통(600)의 상당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이물질이 쌓이지 않는 한 유체흐름에 전혀 지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본원발명에 포함된 상기 여과통(600)은 상기 여과통(100)의 상단을 제외한 모든 부분에서 여과가 이루어지므로 그물망으로 되어 있는 상기 여과통(600)의 모든 측면 및 하면이 실질적인 여과면적이 된다. 이렇게 실질적인 여과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고 상기 여과통(600)의 교체나 청소 없이 오랫동안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Since the channel space S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ltration tube 600 and the cylindrical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portion facing the partition wal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of fluid to the opening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filtration cylinder 600 and the flow path space S is formed even if foreign matter accumulates at a specific portion, for example, the lower end of the filtration tube 600 So that it is not disturbed by the fluid flow as long as foreign matter is accumulated so as to occupy a substantial portion of the filter case 600. Accordingly, since the filtration tube 600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iltered at all portions except the upper end of the filtration tube 100, all the side surfaces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ration tube 600, which is a mesh network, become a substantial filtration area. As the actual filtration area is widened, the flow of the fluid is smooth and the filter can be used for a long time without replacing or cleaning the filtration tube 600.

한편 상기 여과통(600)을 빠져나간 유체는 상기 본체(100)의 바닥과 상기 격벽부(520)의 하단 사이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530)를 통하여 상기 유출구(130)쪽으로 흡입되어 나가게 된다. 따라서 배관라인에 유체공급이 더 이상 안되는 경우, 상기 스트레이너에 남게 되는 잔수는 상기 격벽부(520)의 하단 이하의 선이 되므로 본원발명에서는 스트레이너에 남는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렇게 스트레이너 내부의 유체를 최하단부터 유출시키게 되므로, 기존의 스트레이너가 가진 단점 즉, 유체의 흐름에도 불구하고 스트레이너의 여과공간 내부에 오랫동안 체류하는 유체를 가지기 때문에 유체의 오염에 취약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The fluid that has exited the filter box 600 is sucked toward the outlet 130 through the opening 530 formed betwee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520. Therefore, when no more fluid is supplied to the piping line, the remaining water remaining in the strainer becomes a line below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520, so that the residual water remaining in the strainer can be minimiz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since the fluid inside the strainer flows out from the lowermost end, the disadvantage of the conventional strainer, that is, despite the flow of the fluid, has the fluid staying in the strainer's filtration space for a long time, have.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는 상기 흐름제어수단(500)으로 인하여, 두 개의 구역으로 구획되어 있고, 상기 유입구(120) 쪽과 상기 유출구(130) 쪽의 단면이 각각의 활꼴이 되도록 하되, 상기 유출구(130) 쪽 활꼴의 단면적보다는 상기 유입구(120)쪽 활꼴의 단면적을 더 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530)의 면적은 상기 유출구(130)의 단면적에 비하여 같거나 넓으며, 상기 여과통(600)의 활꼴면적은 상기 절곡부(520)의 활꼴면적보다 넓으며, 상기 절곡부(520)의 활꼴면적은 상기 개구부(530)의 면적에 비하여 같거나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절곡부(520)의 활꼴면적 즉 상기 유출구(130) 쪽 활꼴면적은 상기 유출구(130)의 단면적 이상이어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100 is divided into two sections by the flow control means 500, so that the cross sections of the inlet 120 and the outlet 130 are each in an arc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tional area of the arc of the inlet 120 is wider than the sectional area of the arc of the outlet 130. The area of the opening 530 is equal to or wider than the sectional area of the outlet 130 and the area of the filter 600 is wider than the area of the bend 520, Is preferably equal to or wider than the area of the opening 530. Therefore, the bending area of the bent portion 520, that is, the bending area on the side of the outlet 130, should be not less than the sectional area of the outlet 130.

도 9에는 여과통과 흐름제어수단의 단면적비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상술한 두 개의 활꼴에 대한, 상기 유출구(130)의 단면적을 고려한, 바람직한 단면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이용하여, 상기 유출구(130)의 단면적을 고려할 때, 상기 유출구(130)쪽 활꼴의 각도에 대한 적정범위를 설명한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원통형 내부반경을 R이라 하고, 상기 유출구(130)쪽 활꼴의 각도를 θ라 하는 경우, 상기 유출구(130) 쪽 활꼴면적은 ‘πR2 x (θ/360) - (R2/2) x sinθ’이 된다. 그리고 상기 유출구(130)의 반경을 r이라 하는 경우 상기 유출구(130)의 단면적은 πr2 이 된다. 그리고 상기 유출구(130)쪽 활꼴면적은 상기 유출구(130)의 단면적 πr2보다 커야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πR2 x (θ/360) - (R2/2) x sinθ > πr2의 식을 만족시켜야 한다. 예를 들어 R=2, r=1 일 경우 θ가 133도 이상이 되어야 위 식을 만족시키며, 만일 θ를 90도로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R이 2인 경우 r을 0.6으로 하여야 하므로 상기 본체(100)의 직경에 비하여 상기 유입관(200) 및 상기 유출관(300)의 직경이 30%정도에 불과하게 되므로 상기 본체(100)의 직경이 과도하게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0)에 비하여 상기 유입관(200) 및 상기 유출관(300)의 직경을 적어도 50%이상이 되게 하려면, θ를 133도 내지 180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θ를 180도 까지만 하는 이유는, 상기 유출구(130) 쪽 활꼴의 면적보다는 상기 유입구(120)쪽 활꼴의 면적을 더 넓게 하여야 하기 때문이다.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ross-sectional area ratio of the filtration tube and the flow control means.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eferabl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wo arcs, taking into accoun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utlet 130.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9, an appropriate range for the angle of the arc on the side of the outlet 130 will be described in consideration of the sectional area of the outlet 130. FIG. 9, when the cylindrical inner radius of the main body 100 is R and the angle of the arc of the outlet 130 is?, The arc area of the outlet 130 is? R 2 x? / 360) - is a (R 2/2) x sinθ '. And if as a radius of said outlet 130, r cross-sectional area of the outlet port 130 is the πr 2. And the outlet 130 side arcuate area there is great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πr 2 of the outlet (130), πR 2 x ( θ / 360) For this purpose - to satisfy the formula of (R 2/2) x sinθ > πr 2 do. For example, in the case of R = 2 and r = 1, the above equation is satisfied only if the angle θ is 133 degrees or more. If θ is 90 degrees, The diameter of the inlet pipe 200 and the diameter of the outlet pipe 300 is only about 30% of the diameter of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diameter of the main body 100 becomes excessively large. Therefore, in order to make the diameter of the inflow pipe 200 and the outflow pipe 300 at least 50% or more as compared with the main body 100, the angle? Is preferably set to 133 to 180 degrees. The reason why the angle is limited to 180 degrees is because the area of the arc of the inlet 120 should be wider than the area of the arc of the outlet 130.

상기 유입구(120)쪽 활꼴의 면적 즉 상기 여과통(600)의 활꼴면적을 상기 유출구(130)쪽 활꼴면적 즉 상기 흐름제어수단(500)의 상기 절곡부(520)의 활꼴면적보다 넓게 해야 하는 것은 상기 여과통(600)의 크게 하여 충분한 여과면적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도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여과통(600)의 활꼴면적은 상기 흐름제어수단(500)의 상기 절곡부(520)의 활꼴면적보다 넓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절곡부(520)의 활꼴은 중심각이 180도 미만인 활꼴이고, 상기 여과통(600)의 활꼴은 중심각이 180도를 넘는 활꼴을 가져서, 상기 흐름제어수단(500)이 상기 유출관(300) 쪽으로 편심 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necessary to make the area of the inlet port 120 side to be larger than that of the outlet port 130, that is, the area of the bending portion 520 of the flow control means 500 The size of the filtration tube 600 is increased to secure a sufficient filtration area. 2 and 4, the bobbin area of the filtration cylinder 600 is wider than the bobbin area of the bending section 520 of the flow control means 500,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ral axis of the filtration cylinder 600 has an arc shape with a center angle of more than 180 degrees and the flow control means 500 is positioned eccentrically toward the outlet tube 300. [

상술한 여러 가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xample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xample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본체
110 결합수단 120 유입구
130 유출구 140 받침턱
200 유입관
210 플랜지
300 유출관
310 플랜지
400 덮개
500 흐름제어수단
510 격벽부 520 절곡부
530 개구부
600 여과통
610 걸림턱
100 body
110 coupling means 120 inlet
130 outlet 140 base jaw
200 inlet pipe
210 Flange
300 outflow pipe
310 flange
400 cover
500 flow control means
510 partition wall portion 520 bent portion
530 opening
600 sheets
610 jaws

Claims (4)

배관라인을 따라 흐르는 유체 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배관라인 상에 설치되며, 본체, 유입관, 유출관, 덮개, 흐름제어수단 및 여과통을 포함하는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중심축이 상기 배관라인과 지면 각각에 대하여 수직인 원통형으로서, 하단은 막혀있고 상단은 개방되며;
상기 유입관은, 일단이 상기 본체의 원통형 측면 중 상부 일 측에 형성된 유입구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배관라인의 유입배관 쪽과 연결될 수 있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유출관은, 일단이 상기 본체의 원통형 측면 상부 중 상기 유입구와 반대쪽에 형성된 유출구에 부착되고, 타단에는 상기 배관라인의 유출배관 쪽과 연결될 수 있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는, 상기 본체의 상단을 덮어서 밀폐시키거나, 열어서 개방시킬 수 있게 결합되며,
상기 흐름제어수단은, 상기 유출구에 대한 직접적인 유체흐름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내주면 중 상기 유출구 쪽에 부착되며,
- 세로방향이 길은 장방형으로 되어 상기 세로방향 양쪽이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종방향으로 각각 부착되는 격벽부,
- 위에서 본 평면이 활꼴로서, 활꼴의 호 부분은 상기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부착되고 활꼴의 직선부분은 상기 격벽부의 상단과 연결되어 상기 유출구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절곡부 및
- 상기 격벽부의 하단에, 일정크기로 개방되어 상기 유출구에 대한 유체흐름을 형성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통은, 위에서 본 단면이 활꼴이며 속이 빈 기둥모양으로서 상면만 개방되어 있고, 나머지 면은 그물망으로 막혀있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 탈착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여과통의 측면이 상기 본체의 원통형 내주면 및 상기 격벽부와 마주하는 부분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함으로써 유로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
1. A strainer comprising: a main body; an inlet pipe; an outlet pipe; a lid; a flow control means; and a filter bag, disposed on the pipe lin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fluid flowing along the pipe line,
Wherein the body is cylindrical in shape, the central axis of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piping line and the ground, respectively, the lower end is closed and the upper end is open;
Wherein the inlet pipe is connected to an inlet formed at one upper side of the cylindrical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formed at the other end with a flange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inlet pipe side of the pipe line;
Wherein the outlet pipe is attached to an outlet formed at one end of the cylindrical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opposite to the inlet and formed at the other end with a flange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outlet pipe side of the pipe line;
The lid is hermetically closed or opened so as to cover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flow control means is attached to the outlet side of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block direct fluid flow to the outlet,
A partition wall part having a rectangular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eing attach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a planar surface viewed from above is oblique, the arcuate arcuate portion is attach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and the linear portion of the arcuate shape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to seal the upper portion of the outlet;
An opening at a lower end of the partition wall, the opening being open to a predetermined size to form a fluid flow to the outlet;
Wherein the filtration tube has an oblique cross section viewed from above and is hollow and open only on its upper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is closed with a mesh and is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body, And a flow path space is formed by maintaining a constant gap between the partition wall portion and the portion facing the partition wall portion. The T-type strainer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통의 하단은 상기 개구부의 상단과 같거나 높은 곳에 위치하며, 상기 여과통의 상단은 상기 유입구의 하단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잔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end of the filtration tube is located at the same level as or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and the upper end of the filtration tube is located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inle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면적은 상기 유출구의 단면적에 비하여 같거나 넓으며, 상기 여과통의 활꼴면적은 상기 절곡부의 활꼴면적보다 넓으며, 상기 절곡부의 활꼴면적은 상기 개구부의 면적에 비하여 같거나 넓은 특징을 더 포함하는, 잔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T형 스트레이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rea of the opening is equal to or wider than the sectional area of the outlet, the bushing area of the bushing is wider than the bushing area of the bending part, and the bushing area of the bending part is equal to or wider than the area of the opening T-type strainer that minimizes the number of residuals
KR1020180131585A 2018-10-31 2018-10-31 T Type Strainer KR1019693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585A KR101969314B1 (en) 2018-10-31 2018-10-31 T Type Str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585A KR101969314B1 (en) 2018-10-31 2018-10-31 T Type Str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9314B1 true KR101969314B1 (en) 2019-04-16

Family

ID=66281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585A KR101969314B1 (en) 2018-10-31 2018-10-31 T Type Str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314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62781A (en) * 2021-01-12 2022-07-19 兼工业株式会社 Filter
KR102585330B1 (en) 2023-07-20 2023-10-06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Strain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water pipes
KR102633774B1 (en) * 2023-06-15 2024-02-05 이학재 Strainer
KR102665389B1 (en) 2024-02-20 2024-05-10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Strain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water pip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4883Y2 (en) * 1992-03-04 1998-03-11 株式会社クボタ Pipe foreign matter discharge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4883Y2 (en) * 1992-03-04 1998-03-11 株式会社クボタ Pipe foreign matter discharge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62781A (en) * 2021-01-12 2022-07-19 兼工业株式会社 Filter
CN114762781B (en) * 2021-01-12 2024-01-02 兼工业株式会社 Filter device
KR102633774B1 (en) * 2023-06-15 2024-02-05 이학재 Strainer
KR102585330B1 (en) 2023-07-20 2023-10-06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Strain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water pipes
KR102665389B1 (en) 2024-02-20 2024-05-10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Strain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water pip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9314B1 (en) T Type Strainer
US6780310B1 (en) Variable vortex baffle fluid filter
US20210260509A1 (en) Device and method for filtering a fluid circulating in a plumbing and heating system
KR101509234B1 (en) Strainer filter assembly
CN111346420A (en) Pipeline filter
JP2007307465A (en)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ter in pipe
US9962633B2 (en) Disk type filtering apparatus
KR101581249B1 (en) Bucket Type Strainer
GB2228751A (en) Grease trap
KR100868810B1 (en) In-line type strainer
KR101978129B1 (en) Strainer
KR101064635B1 (en) Filter with self clean funtion
KR20230039690A (en) Regeneration media filter with flow diffuser
US20090211963A1 (en) Particle Interceptor
US10016706B2 (en) Disk type filtering apparatus
KR20090118264A (en) Strainer with omega type screen
CN214019434U (en) Filter
CN211813773U (en) Circulating water degassing back-flushing decontamination device
CN116348648A (en) Direct grease and/or solids collection system
CN208406217U (en) Sewage cleans filter plant automatically
KR200358265Y1 (en) Drainpipe structure easily swept for deposits
KR200337362Y1 (en) Strainer
KR100764817B1 (en) Cylindrical tank
CN217829160U (en) Compost waste filtrate treatment device
KR102140263B1 (en) Str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