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5079B1 - 내부 오염 방지 및 정화 구조를 갖는 물탱크 - Google Patents

내부 오염 방지 및 정화 구조를 갖는 물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5079B1
KR101375079B1 KR1020130096950A KR20130096950A KR101375079B1 KR 101375079 B1 KR101375079 B1 KR 101375079B1 KR 1020130096950 A KR1020130096950 A KR 1020130096950A KR 20130096950 A KR20130096950 A KR 20130096950A KR 101375079 B1 KR101375079 B1 KR 101375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water
water tank
flow hole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6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영배
Original Assignee
(주)동원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원기업 filed Critical (주)동원기업
Priority to KR1020130096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50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06Large containers rigid cylind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생활용수가 저장되는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탱크 내부 유로 상에 정체수 발생을 방지하는 구조를 적용하고, 녹방지 및 스케일 방지를 위한 이온화 필터를 구비한, 내부 오염 방지 및 정화 구조를 갖는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부 오염 방지 및 정화 구조를 갖는 물탱크{A water tank having structure for preventing inner pollution and purification}
본 발명은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탱크 내부 유로 상에 정체수 발생을 방지하는 구조를 적용하고, 물때, 녹 및 스케일 발생 방지를 위한 이온화 필터를 구비한, 내부 오염 방지 및 정화 구조를 갖는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나 건물 옥상 등에 설치되는 대형 물탱크는 금속재로 되며 내부에 저수실이 구비되며, 상부와 하부에는 상판과 하판이 구비되고 상판과 하판 사이에는 원통형태의 측판이 구비된다.
또한 지상에 설치되는 물탱크보다 공간과 설치장소의 제약이 적은 지하 매설용 물탱크는 토압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는 콘크리트 외벽과 내구성이 보장되고 물에 쉽게 녹슬지 않아 위생적인 스테인리스 재질의 내벽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지하매설용 물탱크의 경우 콘크리트로 기초 작업을 한 후 스테인리스 재질 물탱크를 매립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물탱크는,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갖는 함체 상으로 이루어지며, 염소 투입장치를 구비한 급수관을 배관하고, 송수펌프와 관통한 배수관을 하부에 배관한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물탱크는 수십 톤에서 수백 톤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용량으로서 급수와 배수가 동시에 일어나며, 이에 따라 염소 투입 장치에 의해 투입된 염소가 물에 희석되어 저장된다.
상술한 종래의 물탱크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종래의 물탱크에서는 염소가 물 전체로 퍼져 섞이는 시간이 30분 이내로 설계되어 있어서, 염소가 물에 충분히 희석되기 전에 바로 출수구로 배출되거나, 충분한 살균 시간을 갖지 않은 생활용수가 공급될 수 있다.
예컨대, 과도한 잔류염소 농도를 갖는 식수가 공급될 경우, 냄새로 인해 음용수로 적합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발암물질인 트리할로메탄(THM)의 생성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거나, 각종 눈에 보이지 않는 세균 등이 함유된 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위와 같은 문제는, 염소와 물이 충분히 교류하여 잔류염소 농도가 적정선으로 유지되면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물의 원활한 흐름이 유지되면서도, 염소와 물이 충분한 시간 동안 접촉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최선이다. 또한, 급수관과 배수관에서 이격된 물탱크 내부 공간이나, 모서리부에서는 물의 순환 효율이 상대적으로 떨어져 정체수 발생으로 인한 물의 오염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기존의 물탱크는 물탱크 내부를 순환하는 물에 함유된 염소가스로 인해 물때, 녹 및 스케일 발생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주기적으로 상술된 물때, 녹 및 스케일 제거를 위한 청소 작업에 시간과 비용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추가적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물과 염소가 충분히 교류할 수 있도록 유로를 길게 구성하며, 물탱크 내 정체수 발생을 최소화하고,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활성화하여 물탱크 내 물때, 녹 및 스케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물탱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974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탱크 내부 순환 구조를 이용해 물과 염소가 충분히 교류할 수 있는 수로를 길게 형성하고, 정체수를 방지하며, 이온화 필터를 이용해 물을 활성화하여 물탱크 내부를 정화시키는, 내부 오염 방지 및 정화 구조를 갖는 물탱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물탱크는, 물이 저장되며, 급수관과 배수관을 포함하는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상기 배수관이 연통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탱크 몸체;
내부에 상기 급수관에서 급수되는 물이 저장되고, 상기 탱크 몸체의 중앙에 배치되는 급수측벽; 상기 급수측벽이 수용되도록 상기 급수측벽과 상기 탱크 몸체 사이에 형성되며, 각각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 개의 순환측벽; 상기 물을 활성화하도록 이온화 필터로 되며, 상기 급수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측벽과 상기 순환측벽을 연통하는 필터부; 및 상기 순환측벽과, 상기 탱크 몸체를 연통하도록 상기 순환측벽 상에 형성되는 유동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순환측벽은, 상기 급수측벽이 수용되도록 상기 급수측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1 순환측벽; 상기 제2 순환측벽이 수용되도록 상기 제1 순환측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 순환측벽; 으로 구성되며, 상기 유동홀은, 상기 제1 순환측벽에 형성되는 제1 유동홀; 및 상기 제2 순환측벽에 형성되는 제2 유동홀; 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물탱크는, 상기 급수측벽과, 상기 제1 순환측벽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수로를 구획하도록 상기 급수측벽과 상기 제1 순환측벽을 연결하는 단수의 제1 격벽; 상기 제1 순환측벽과, 상기 제2 순환측벽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수로를 구획하도록 상기 제1 순환측벽과, 상기 제2 순환측벽을 연결하는 단수의 제2 격벽; 상기 제2 순환측벽과, 상기 탱크 몸체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수로를 구획하도록 상기 제2 순환측벽과, 상기 탱크 몸체를 연결하는 단수의 제3 격벽; 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유동홀은, 상기 필터부와 인접 배치되되, 상기 제1 필터의 상기 물탱크 원주 방향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유동홀은, 상기 제1 유동홀과 인접 배치되되, 상기 제1 유동홀의 상기 물탱크 원주 방향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격벽은 상기 필터부와 상기 제1 유동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격벽은 상기 제1 유동홀과 상기 제2 유동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3 격벽은 상기 제2 유동홀의 상기 물탱크 원주 방향 타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 격벽은, 상기 제1 격벽과 인접 배치되되, 상기 제1 격벽의 상기 물탱크 원주 방향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3 격벽은, 상기 제2 격벽과 인접 배치되되, 상기 제2 격벽의 상기 물탱크 원주 방향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1 격벽의 일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급수측벽과 상기 필터부를 연결하는 제1 호스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1 유동홀은, 상기 제2 격벽의 일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순환측벽과, 상기 제1 유동홀을 연결하는 제2 호스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2 유동홀은, 상기 제3 격벽의 일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제2 순환측벽과, 상기 제2 유동홀을 연결하는, 제3 호스를 통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물탱크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어느 한 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유동홀은, 상기 물탱크의 상측 또는 하측 중 다른 한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유동홀은, 상기 물탱크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어느 한 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내부가 중공된 필터관; 물이 유동되도록 복수의 제1 통공이 형성되며, 아연 재질의 제1 층; 상기 제1 통공과 연통되는 복수의 제2 통공이 형성되며, 불소 재질의 제2 층;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통공에 연통되는 복수의 제3 통공이 형성되며, 청동 재질의 제3 층; 포함하며,상기 제1 층 및 제2 층은 복수개가 교번 적층된다.
또한, 상기 제1 통공에는, 불소관이 삽입되며, 상기 제2 통공에는, 아연관이 삽입된다.
아울러, 상기 급수측벽의 내측에는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오버플로우관이 형성되며, 상기 오버플로우관의 상측에는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부유물 제거부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내부 오염 방지 및 정화 구조를 갖는 물탱크는, 물탱크 내부의 유로가 연장되어, 물과 염소의 접촉시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가져갈 수 있어 물탱크 내부에 저장되는 식수의 염소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탱크 내부의 정체수를 방지하여 정체수 발생으로 인한 수질 악화 및 염소 희석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이온화 필터를 통해 물을 활성화하여 물탱크 내부에 발생할 수 있는 물때, 녹 및 스케일의 발생을 현저하게 줄여 물탱크 내부 청소에 따른 시간 절약과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고, 더 나아가 물탱크 내구성 증가로 인한 물탱크 유지보수 및 교체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물탱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물탱크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물탱크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온화 필터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오버플로우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물탱크 횡단면도
본 발명의 일실실시 예에 따른 물탱크를 설명하기에 앞서 일반적인 물탱크의 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일반적인 물탱크(1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는 상판(10)과 하판(20) 및 상기 상판(10)과 하판(20)에 용접되고 원통 형태로 되는 측판(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상에는 측판(30)이 원통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사각통의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판(10)은 측판(30)의 상부에 용접되며, 다수 개의 상판플레이트(11)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판플레이트(11)는 선형(扇形)으로 이루어진다.
하판(20)은 측판(30)의 하부에 용접되고, 선형으로 되는 다수개의 판을 용접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하판(20)은 측판(30)과 용접되도록 하는 외측에 플랜지(21)가 구비된다.
측판(30)은 내부에 물을 수용되며, 측판(30)의 강도 보강을 위해 격자형으로 보강 파이프가 용접 결합된다. 측판(30)은 필요에 따라 스테인리스 재질의 내벽과 수지, 강철 또는 콘크리트 재질의 외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상에 설치되는 물탱크의 경우 외벽이 강철 또는 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지하에 매설되는 물탱크의 경우 외벽이 콘크리트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물탱크(1000)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1000)는 탱크 몸체(100), 급수측벽(150), 순환측벽(200), 필터부(300), 격벽(400), 오버플로우부(500), 급수관(600), 응축수관(700), 배수관(800) 및 작업대(9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탱크 몸체(100)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탱크 몸체(100)의 내부에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외부에는 작업대(900)가 구비된다.
급수측벽(150)은 탱크 몸체(100)에 수용되며, 내부에 급수저장공간이 형성되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급수저장공간에는 급수관(600)을 통해 급수되는 물이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기본적으로 급수측벽(150)에 저장되는 물은 탱크 몸체(100)의 내부와 격리되도록 구성된다.
순환측벽(200)은 제1 측벽(210)과 제2 측벽(220)으로 구성된다. 순환측벽(200)은 도면상에 2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일예로 탱크 몸체(100)의 크기에 따라 가감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제1 측벽(210)은 탱크 몸체(100)에 수용되며, 내부에 급수측벽(150)이 수용되도록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1 측벽(210)의 직경은 급수측벽(150)의 직경보다 크고 탱크 몸체(1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급수측벽(150)과 제1 측벽(210) 사이에는 제1 수로가 형성되며, 제1 수로는 탱크 몸체(100) 내부 및 상기 급수저장공간과는 격리되도록 구성된다. 제2 측벽(220)은 탱크 몸체(100)에 수용되며, 내부에 제1 측벽(210)이 수용되도록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2 측벽(220)의 직경은 제1 측벽(210)의 직경보다 크고 탱크 몸체(1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측벽(210)과 제2 측벽(220) 사이에는 제2 수로가 형성되며, 제2 수로는 탱크 몸체(100) 내부 및 제1 수로와 격리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제2 측벽(220)과 탱크 몸체(100) 사이에는 제3 수로가 형성되며, 제3 수로는 제2 수로와 격리되도록 구성된다. 제3 수로 상에는 배수관(800)이 연결될 수 있다.
필터부(300)는 내부를 유동하는 물을 이온화 시키도록 이온화 필터로 구성된다. 필터부(300)의 세부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필터부(300)는 급수측벽(150)에 단수 또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부(300)를 통해 급수저장공간(A1)과, 제1 수로(R1)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물탱크(1000)는 물탱크 내부 물의 유동길이를 최대한 길게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급수측벽(150)에는 필터부(300)가 설치되며, 제1 측벽(210)에는 제1 유동홀(H1)이 형성되고, 제2 측벽(220)에는 제2 유동홀(H2)이 형성된다. 제1 유동홀(H1)을 통해 제1 수로(R1)와 제2 수로(R2)가 연통되며, 제2 유동홀(H2)을 통해 제2 수로(R2)와 제3 수로(R3)가 연통된다. 제1 유동홀(H1)은 필터부(300)가 설치되는 측에서 물탱크 원주방향 타측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제2 유동홀(H2)은 제1 유동홀(H1)이 설치되는 측에서 물탱크 원주방향 타측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격벽(400)은 제1 격벽(410) 제2 격벽(420) 및 제3 격벽(430)으로 구성되며, 제1 격벽(410)은 제1 수로(R1)의 시작점과 끝점을 구획하도록 급수측벽(150)과 제1 측벽(210)을 연결한다. 제2 격벽(420)은 제2 수로(R2)의 시작점과 끝점을 구획하도록 제1 측벽(210)과 제2 측벽(220)을 연결한다. 제3 격벽(430)은 제3 수로(R3)의 시작점과 끝점을 구획하도록 제2 측벽(220)과 탱크 몸체(100)를 연결한다.
이때 제1 격벽(410)은 필터부(300)와, 제1 유동홀(H1) 사이 즉 제1 필터(310)가 설치되는 측에서 물탱크 원주방향 타측에 근접하여 배치되며, 제2 격벽(420)은 제1 유동홀(H1)과 제2 유동홀(H2)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제3 격벽(430)은 제2 유동홀(H2)의 물탱크 원주방향 타측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급수저장공간(A1)에 저장된 물은 필터부(300)를 통해 제1 수로(R1)로 이동하며, 제1 격벽(410)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유동한 후 제1 유동홀(H1)을 통해 제2 수로(R2)로 이동한다. 제2 수로(R2)로 이동한 물은 제2 격벽(420)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유동한 후 제2 유동홀(H2)을 통해 제3 수로(R3)로 이동하고, 제3 격벽(430)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유동한 후 배수관(8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응축수관(700)은 물탱크(1000)가 지하에 매설될 경우 탱크 몸체(100)의 하단과, 콘크리트 지반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탱크 몸체(100)와 콘크리트 지반 사이에 응축수가 생성되어 탱크 몸체(10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물탱크(1000)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측벽(150)에 설치되는 필터부(300)는 급수측벽(150)의 상측에 배치되며, 제1 측벽(210)에 설치되는 제1 유동홀(H1)은 제1 측벽(210)의 하측에 배치된다. 또한 제2 측벽(220)에 설치되는 제2 유동홀(H2)은 제2 측벽(220)의 상측에 배치된다. 즉 필터부(300)와 제1 및 제2 유동홀(H1, H2)은 상하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정체수 발생을 최대한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필터부(300)가 급수측벽(150)의 상측에 배치될 경우 급수관(600)의 노즐(610)은 급수저장공간(A1)의 하측에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 유동홀(H2)이 상측에 배치될 경우 배수관(800) 역시 제3 수로(R3)의 하측에 구성된다.
오버플로우부(500)는 급수측벽(150)의 중앙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끝단 높이는 물탱크(1000)의 최대 허용 수위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세부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 물탱크(1000) 내부를 유동하는 물을 활성화 즉 이온화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필터부(30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필터부(300)는 내부를 흐르는 물이 전위차에 의하여 이온화되게 하여 물을 활성화시켜주며, 항균작용이 있고, 중금속 흡착 작용이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필터부(30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필터부(300)는 필터관(301, 302), 제1 층(310), 제2 층(320), 제3 층(330), 유입구(350) 및 유출구(360)로 구성된다. 필터관(301, 302)은 유입구(350)가 형성된 제1 관(301)과, 유출구(360)가 형성된 제2 관(302)으로 구성된다. 제1 관(301)과 제2 관(302) 사이에는 결합부(370)가 형성되어 나사 또는 볼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필터관(301, 302)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층(310)은 물이 유동되도록 복수의 제1 통공(311)이 형성되고, 아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2 층(320)은 물이 유동되도록 복수의 제2 통공(321)이 형성되고, 불소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3 층(330)은 제1 층(310)과 제2 층(320)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제1 통공(311)과 제2 통공(321)이 연통되는 제3 통공(331)이 형성된다. 제3 층(330)은 청동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층(310)과 제2 층(320)은 복수 개가 교번 적층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유입구(350)를 통해 유입된 물은 제1 내지 제3 통공(311, 321, 331)을 교번 유동하여 이온화 된 후 유출구(360)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본 발명의 필터부(300)는 물의 이온화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추가 구성을 갖는다. 제1 통공(311)에는 불소 재질의 불소관(315)이 삽입되며, 제2 통공(321)에는 아연 재질의 아연관(325)이 삽입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물의 이온화 면적을 최대화 하여 물의 이온화 효율을 높이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필터부(300)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항균 및 이온화 성능이 우수하고, 이물질 제거로 인해 물탱크 내부의 물때, 녹 및 스케일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오버플로우부(5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플로우부(500)는 오버플로우관(510)과, 오버플로우홀(520) 및 부유물제거부(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부유물제거부(530)는 오버플로우관(510)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물탱크 오버플로우 시 부유물이 부유물제거부(530)를 통해 유입되며, 오버플로우된 물은 오버플로우홀(5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오버플로우부(500)는 물탱크 지주대, 오버플로우관 및 이물질 제거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물탱크(1000)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100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을 모두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제1 호스(P1), 제2 호스(P2) 및 제3 호스(P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물탱크(1000)는 필터부(300), 격벽(400)의 구성만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물탱크(1000)와 동일하므로 이하 필터부(300), 격벽(400), 제1 호스(P1), 제2 호스(P2) 및 제3 호스(P3)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필터부(300)는 제1 필터(300a), 제2 필터(300b), 제3 필터(300c)로 구성되며, 제1 격벽(410), 제2 격벽(420) 및 제3 격벽(430) 각각에 단수 또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300)는 제1 격벽(410), 제2 격벽(420) 및 제3 격벽(430)에 모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 격벽(410), 제2 격벽(420) 및 제3 격벽(430)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되고 나머지는 유동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격벽(410)은 제1 수로(R1)의 시작점과 끝점을 구획하도록 급수측벽(150)과 제1 측벽(210)을 연결한다. 제2 격벽(420)은 제2 수로(R2)의 시작점과 끝점을 구획하도록 제1 측벽(210)과 제2 측벽(220)을 연결한다. 제3 격벽(430)은 제3 수로(R3)의 시작점과 끝점을 구획하도록 제2 측벽(220)과 탱크 몸체(100)를 연결한다. 이때 제2 격벽(420)은 제1 격벽(410)이 설치되는 측에서 물탱크 원주방향 타측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제3 격벽(430)은 제2 격벽(420)이 설치되는 측에서 물탱크 원주방향 타측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제1 호스(P1)는 급수측벽(150)과, 제1 필터(310)를 연결하여 급수저장공간(A1)과, 제1 격벽(410)의 일측에 형성된 제1 수로(R1)를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제2 호스(P2)는 제1 측벽(210)과, 제2 필터(320)를 연결하여 제1 격벽(410)의 타측에 형성된 제1 수로(R1)와, 제2 격벽(420)의 일측에 형성된 제2 수로(R2)를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제3 호스(P3)는 제2 측벽(220)과, 제3 필터(330)를 연결하여 제2 격벽(420)의 타측에 형성된 제2 수로(R2)와, 제3 격벽(430)의 일측에 형성된 제3 수로(R3)를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급수저장공간(A1)에서 제1 호스(311)를 통해 유입된 물은 제1 격벽(410)에 형성된 제1 필터(310)를 통해 물탱크 제1 수로(R1) 원주 방향을 따라 분사되도록 하여 물의 순환 효율을 높이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0 : 물탱크
100 : 탱크 몸체
150 : 급수 측벽
200 : 순환 측벽 210 : 제1 측벽
220 : 제2 측벽
300 : 필터부 301 : 제1 필터관
302 : 제2 필터관 310 : 제1 층
320 : 제2 층 330 : 제3 층
350 : 유입구 360 : 유출구
400 : 격벽 410 : 제1 격벽
420 : 제2 격벽 430 : 제3 격벽
500 : 오버플로우부 510 : 오버플로우관
520 : 오버플로우홀 530 : 부유물수집부
600 : 급수관 610 : 노즐
700 : 응축수관
800 : 배수관
900 : 작업대
A1 : 급수저장공간 R1 : 제1 수로
R2 : 제2 수로 R3 : 제3 수로
P1 : 제1 호스 P2 : 제2 호스
P3 : 제3 호스

Claims (9)

  1. 물이 저장되며, 급수관과 배수관을 포함하는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상기 배수관이 연통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탱크 몸체;
    내부에 상기 급수관에서 급수되는 물이 저장되고, 상기 탱크 몸체의 중앙에 배치되는 급수측벽;
    상기 급수측벽이 수용되도록 상기 급수측벽과 상기 탱크 몸체 사이에 형성되며, 각각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 개의 순환측벽;
    상기 물을 활성화하도록 이온화 필터로 되며, 상기 급수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측벽과 상기 순환측벽을 연통하는 필터부; 및
    상기 순환측벽과, 상기 탱크 몸체를 연통하도록 상기 순환측벽 상에 형성되는 유동홀; 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는,
    내부가 중공된 필터관;
    물이 유동되도록 복수의 제1 통공이 형성되며, 아연 재질의 제1 층;
    상기 제1 통공과 연통되는 복수의 제2 통공이 형성되며, 불소 재질의 제2 층;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통공에 연통되는 복수의 제3 통공이 형성되며, 청동 재질의 제3 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 및 제2 층은 복수 개가 교번 적층되는, 내부 오염 방지 및 정화 구조를 갖는 물탱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측벽은,
    상기 급수측벽이 수용되도록 상기 급수측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1 순환측벽;
    상기 제1 순환측벽이 수용되도록 상기 제1 순환측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 순환측벽; 으로 구성되며,
    상기 유동홀은,
    상기 제1 순환측벽에 형성되는 제1 유동홀; 및
    상기 제2 순환측벽에 형성되는 제2 유동홀;
    로 구성되는, 내부 오염 방지 및 정화 구조를 갖는 물탱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상기 급수측벽과, 상기 제1 순환측벽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수로를 구획하도록 상기 급수측벽과 상기 제1 순환측벽을 연결하는 단수의 제1 격벽;
    상기 제1 순환측벽과, 상기 제2 순환측벽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수로를 구획하도록 상기 제1 순환측벽과, 상기 제2 순환측벽을 연결하는 단수의 제2 격벽;
    상기 제2 순환측벽과, 상기 탱크 몸체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수로를 구획하도록 상기 제2 순환측벽과, 상기 탱크 몸체를 연결하는 단수의 제3 격벽; 을 더 포함하는, 내부 오염 방지 및 정화 구조를 갖는 물탱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동홀은, 상기 필터부와 인접 배치되되, 상기 제1 필터의 상기 물탱크 원주 방향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유동홀은, 상기 제1 유동홀과 인접 배치되되, 상기 제1 유동홀의 상기 물탱크 원주 방향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격벽은 상기 필터부와 상기 제1 유동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격벽은 상기 제1 유동홀과 상기 제2 유동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3 격벽은 상기 제2 유동홀의 상기 물탱크 원주 방향 타측에 배치되는, 내부 오염 방지 및 정화 구조를 갖는 물탱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격벽은, 상기 제1 격벽과 인접 배치되되, 상기 제1 격벽의 상기 물탱크 원주 방향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3 격벽은, 상기 제2 격벽과 인접 배치되되, 상기 제2 격벽의 상기 물탱크 원주 방향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1 격벽의 일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급수측벽과 상기 필터부를 연결하는 제1 호스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1 유동홀은, 상기 제2 격벽의 일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순환측벽과, 상기 제1 유동홀을 연결하는 제2 호스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2 유동홀은, 상기 제3 격벽의 일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제2 순환측벽과, 상기 제2 유동홀을 연결하는, 제3 호스를 통해 연결되는, 내부 오염 방지 및 정화 구조를 갖는 물탱크.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물탱크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어느 한 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유동홀은, 상기 물탱크의 상측 또는 하측 중 다른 한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유동홀은, 상기 물탱크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어느 한 측에 배치되는, 내부 오염 방지 및 정화 구조를 갖는 물탱크.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공에는 불소관이 삽입되며,
    상기 제2 통공에는 아연관이 삽입되는, 내부 오염 방지 및 정화 구조를 갖는 물탱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측벽의 내측에는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오버플로우관이 형성되며,
    상기 오버플로우관의 상측에는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부유물 제거부가 형성되는, 내부 오염 방지 및 정화 구조를 갖는 물탱크.
KR1020130096950A 2013-08-14 2013-08-14 내부 오염 방지 및 정화 구조를 갖는 물탱크 KR101375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950A KR101375079B1 (ko) 2013-08-14 2013-08-14 내부 오염 방지 및 정화 구조를 갖는 물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950A KR101375079B1 (ko) 2013-08-14 2013-08-14 내부 오염 방지 및 정화 구조를 갖는 물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5079B1 true KR101375079B1 (ko) 2014-03-20

Family

ID=50648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6950A KR101375079B1 (ko) 2013-08-14 2013-08-14 내부 오염 방지 및 정화 구조를 갖는 물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50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331B1 (ko) * 2016-04-21 2017-04-11 (주)덕일기공 물탱크의 사수방지장치
KR101859202B1 (ko) * 2017-11-10 2018-05-17 한삼코라(주) 회전여과와 이온담체침전기능을 갖는 원통형 물탱크
KR102236163B1 (ko) 2019-11-12 2021-04-05 두리기업 주식회사 물탱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820Y1 (ko) * 2002-11-12 2003-02-05 강동열 정류벽을 갖는 다중 격벽 저장탱크
KR101003378B1 (ko) * 2010-09-07 2010-12-22 (주)동일웰텍 사수방지 구조를 가지는 저수탱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820Y1 (ko) * 2002-11-12 2003-02-05 강동열 정류벽을 갖는 다중 격벽 저장탱크
KR101003378B1 (ko) * 2010-09-07 2010-12-22 (주)동일웰텍 사수방지 구조를 가지는 저수탱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331B1 (ko) * 2016-04-21 2017-04-11 (주)덕일기공 물탱크의 사수방지장치
KR101859202B1 (ko) * 2017-11-10 2018-05-17 한삼코라(주) 회전여과와 이온담체침전기능을 갖는 원통형 물탱크
KR102236163B1 (ko) 2019-11-12 2021-04-05 두리기업 주식회사 물탱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079B1 (ko) 내부 오염 방지 및 정화 구조를 갖는 물탱크
US20040256297A1 (en) In-pip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KR100983375B1 (ko) 독립격벽구조의 활류식 원형 물탱크
KR100886156B1 (ko) 회류유도형 원통저수조
US20140202565A1 (en) Modular community water station
KR100906743B1 (ko) 배수지 또는 정수지에 사용되는 용수저장탱크
KR100885969B1 (ko) 수조의 물 흐름 정체방지 기능을 갖는 소독약 분사장치
CN102297340B (zh) 一种水封排水器
RU130603U1 (ru) Станция глубокой биохим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хозяйственно-бытовых сточных вод
CN107098446B (zh) 一种磁性吸附式水处理装置
KR100512026B1 (ko) 상수도 정수처리 시스템을 구비한 기능성 물탱크
KR20090120622A (ko) 간이 집수정
KR100399488B1 (ko) 다중 격벽을 구비한 원통형 저장탱크
CN206339119U (zh) 一种锅炉定期排污扩容器乏汽消除及污水回收利用系统
CN106277400B (zh) 石灰岩溶区渗沥液调控系统
KR100990197B1 (ko) 무 용접 패널 도류벽 및 이를 이용한 물탱크
RU182467U1 (ru) Устройство очистки хозяйственно-бытовых сточных вод
KR20120094426A (ko) 기능성 친환경 지하수관정 청소 장치
CN210012670U (zh) 一种生活废水的自动过滤装置
KR100764817B1 (ko) 원통형 탱크
KR200271280Y1 (ko) 다중 격벽을 구비한 원통형 저장탱크
KR100642814B1 (ko) 금속의 전위차에 의한 배관의 스케일 방지 및 제거용 모터토출구 장치
CN203639249U (zh) 地埋式生活污水处理系统
JP2014189953A (ja) 非常時水管理構造
CN205347152U (zh) 中水回用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