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163B1 - 물탱크 장치 - Google Patents
물탱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36163B1 KR102236163B1 KR1020190144407A KR20190144407A KR102236163B1 KR 102236163 B1 KR102236163 B1 KR 102236163B1 KR 1020190144407 A KR1020190144407 A KR 1020190144407A KR 20190144407 A KR20190144407 A KR 20190144407A KR 102236163 B1 KR102236163 B1 KR 1022361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tank
- water
- tank body
- state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the variations of parameters of electromagnetic or acoustic waves applied directly to the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 G01F23/296—Acoustic waves
-
- G01F25/0061—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5/00—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 G01F25/20—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of apparatus for measuring liquid level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물탱크 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물탱크 장치는, 용수가 담겨지는 저장공간과 이 저장공간 측과 대응하는 맨홀을 구비한 물탱크 본체와, 상기 물탱크 본체의 맨홀 개폐와 연계하여 상기 저장공간 내부를 조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조명부와, 상기 물탱크 본체의 둘레부 표면 측에 발생된 물기를 접촉 감응으로 감지할 수 있는 상태로 배치되는 케이블형 감지센서를 구비한 누수 감지부, 그리고 상기 물탱크 본체의 상부 측에 자세 보정이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저장공간 측에 담겨진 용수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 감지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물탱크 장치는, 용수가 담겨지는 저장공간과 이 저장공간 측과 대응하는 맨홀을 구비한 물탱크 본체와, 상기 물탱크 본체의 맨홀 개폐와 연계하여 상기 저장공간 내부를 조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조명부와, 상기 물탱크 본체의 둘레부 표면 측에 발생된 물기를 접촉 감응으로 감지할 수 있는 상태로 배치되는 케이블형 감지센서를 구비한 누수 감지부, 그리고 상기 물탱크 본체의 상부 측에 자세 보정이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저장공간 측에 담겨진 용수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 감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탱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수(用水)가 담겨지는 물탱크들은 어느 한 지점에 배치된 상태에서 각 수요 지점으로 용수의 공급이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로 설치 시공된다.
이러한 물탱크들은 대부분 합성수지나 금속 패널들이 서로 평면 및 각을 이루는 상태로 연결 고정되면서 내측에 용수가 안정적으로 담겨질 수 있는 형태의 물탱크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특히, 대형 물탱크들은 대용량의 용수가 지속적으로 담겨진 상태로 사용되므로, 일반 소형이나 중형 물탱크들에 비하여 사용 안전성과 편의성 확보를 위한 기능이나 구조들이 더욱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용량의 물탱크에 요구되는 사용 안전성 및 편의성 확보와 부합하는 개선된 기능 및 구조를 갖는 물탱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용수가 담겨지는 저장공간과, 이 저장공간 측과 대응하는 맨홀을 구비한 물탱크 본체;
상기 물탱크 본체의 맨홀 개폐와 연계하여 상기 저장공간 내부를 조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조명부;
상기 물탱크 본체의 둘레부 표면 측에 발생된 물기를 접촉 감응으로 감지할 수 있는 상태로 배치되는 케이블형 감지센서를 구비한 누수 감지부; 및
상기 물탱크 본체의 상부 측에 자세 보정이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저장공간 측에 담겨진 용수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 감지부;
를 포함하는 물탱크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물탱크 본체 측에 조명부, 누수 감지부 및 수위 감지부가 각각 형성되어 특히 대용량의 용수가 담겨지는 대형 물탱크 시공 후 요구되는 사용 안전성 및 사용 편의성 확보와 부합하는 조명, 누수 감지 및 수위 감지와 같은 기능들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물탱크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장치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장치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해당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용이하게 실시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9는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장치는, 물탱크 본체(10), 조명부(20), 누수 감지부(30), 및 수위 감지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물탱크 본체(10)는 다각통 형태의 외형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에서와 같이 내측에 용수(W)가 담겨지기 위한 저장공간(11)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물탱크 본체(10)는 주로 복수 개의 패널들이 서로 평면 및 각을 이루는 배열 상태로 연결 고정되면서 내측에 저장공간(11)이 구비되는 물탱크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탱크 본체(10)는 저장공간(11) 측에 용수(W)가 지속적으로 담겨진 상태로 사용되므로, 대용량의 용수(W) 압력이나 하중 등에 대한 형태 안정성 및 수밀성이 확보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물탱크 본체(10)의 상부 측에는 맨홀(12)이 형성되며, 이 맨홀(12)은 물탱크 본체(10) 내부의 점검이나 유지보수를 위한 개폐 통로 역할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맨홀(12)은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일측이 핀(12a) 결합으로 연결되어 이 핀(12a) 결합지점을 중심으로 회동 조작되는 상태로 물탱크 본체(10)의 상부 일부를 개폐하는 여닫이 방식의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맨홀(12)은 여닫이 방식의 개폐 구조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미닫이(슬라이딩)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물탱크 본체(10)는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의 기초 프레임(F) 상에 놓여져서 배치된 상태로 시공 설치될 수 있다.
조명부(20)는 물탱크 본체(10)의 저장공간(11) 내부를 밝힐 수 있는 조명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특히 물탱크 본체(10) 측의 맨홀(12) 개폐 조작과 서로 연계되어 작동이 온,오프 상태로 전환 제어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조명부(20)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발광소자(21)와, 이 발광소자(21)를 커버하기 위한 램프커버(22)와, 맨홀(12)의 개폐 조작과 연계되어 발광소자(21)를 온,오프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전환기(2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발광소자(21)는 예를 들어, 엘이디를 사용할 수 있고, 한 개 이상이 램프커버(22) 내측에 배열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발광소자(21)는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서 작동되도록 전기선(21a)으로 연결 셋팅될 수 있다.
램프커버(22)는 외부 충격이나 먼지, 습기 등으로부터 발광소자(21)를 보호함과 아울러 케이스(하우징) 역할이 가능한 커버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램프커버(22)는 물탱크 본체(10)의 저장공간(S) 측을 조명할 수 있는 상태로 도 1에서와 같이 설치될 수 있다.
전환기(23)는 도 2에서와 같이 발광소자(21) 측과 연결된 전기선(21a)의 배선 구간 일측을 전기 공급 또는 차단이 가능하게 연결하거나 단락시킬 수 있는 상태로 작동되도록 셋팅되며, 이와 부합하는 여러 가지의 스위치나 센서류 중에서 예를 들어, 리미트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맨홀(12) 측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접촉부(12b)가 형성되고, 전환기(23)는 물탱크 본체(10)의 상부 측에서 맨홀(12) 개폐 조작시 접촉부(12a) 측에 눌림 또는 눌림 해제될 수 있는 상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조명부(20)는 도 3에서와 같이 맨홀(12)의 개폐 조작시 이와 연계되어 접촉부(12b)에 의해 전환기(23) 측이 눌림 또는 눌림 해제되고, 이로 인하여 전기선(21a)을 통해 전기 공급이 제어되면서 발광소자(21)가 온,오프 상태로 작동될 수 있는 조명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조명부(20)는 물탱크 본체(10)의 내부를 점검하거나 유지보수하는 작업을 진행할 때, 발광소자(21)의 점등 작동을 위한 별도의 조작을 행하지 않고도 맨홀(12)을 개방하는 동작만으로 간편하게 점등 구동될 수 있다.
조명부(20)는 램프커버(22)의 표면 측을 와이핑 처리하기 위한 와이퍼(24)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와이퍼(24)는 맨홀(12)의 개폐 동작과 연계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방식으로 와이핑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와이퍼(24)는 도 3에서와 같이 물탱크 본체(10) 내측에서 램프커버(22)의 표면 측 와이핑 동작으로 닦아낼 수 있는 상태로 배치되되, 양단 측이 핀(24a) 결합으로 연결되어 이 핀(24a) 결합지점을 중심으로 와이핑 동작되도록 셋팅될 수 있다.
그리고, 와이퍼(24)의 핀(24a) 결합지점과, 맨홀(12)의 핀(12a) 결합지점은 피니언 기어(24b)에 의해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서로 연결되어 맨홀(12)의 개폐 동작과 연계하여 기어물림 방식으로 와이퍼(24) 측에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셋팅될 수 있다.
즉, 피니언 기어(24b)는 맨홀(12)이 핀(12a) 결합지점을 중심으로 개폐될 때 발생하는 일정 각도의 회전력을 기어물림으로 와이퍼(24)의 핀(24a) 측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이로 인하여 와이퍼(24)의 와이핑 동작이 유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와이퍼(24) 구조는 추가적인 조작이나 별도의 구동원(예: 모터, 실린더)을 일체 사용하지 않고, 단지 맨홀(12)의 개폐 조작과 연계하여 작동이 유도되는 방식으로 램프커버(22) 표면을 간편하게 와이핑할 수 있다.
누수 감지부(30)는 수분 접촉 감응 방식으로 물탱크 본체(10)의 둘레부 측의 누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누수 감지부(30)는 케이블(또는 와이어)형의 감지센서(31)를 구비하고, 이 케이블형 감지센서(31)는 물탱크 본체(10)의 둘레부 표면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감지 동작되도록 셋팅된다.
케이블형 감지센서(31)는 일반적으로 수분(액체) 접촉시 케이블 구간 내의 미세 전류 차이에 의한 감응 방식으로 물기(W1)를 감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케이블 센서(31a)와, 수신기(31b)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블 센서(31a)는 물탱크 본체(10)의 둘레부 측에 부착된 상태로 감지 작용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케이블 외부면 측에 물기(W1)가 접촉되면 이를 감지하여 수신기(31b) 측에 감지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셋팅된다.
수신기(31b)는 케이블 센서(31a)의 단부 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감지신호가 인가되면 예를 들어, 램프 점멸 또는 알람 방식으로 감지 여부를 알릴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센서(31a)는 예를 들어,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물탱크 본체(10)의 둘레부 측에 감겨진 상태로 배치되고, 수신기(31b)는 케이블 센서(31a)의 단부 측과 연결된 상태로 물탱크 본체(10)의 측부에 배치되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케이블 센서(31a)는 물탱크 본체(10)의 둘레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띄우고 2단 이상이 배치되는 상태로 셋팅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물탱크의 형태나 설치 환경 등에 따라 이와 부합하는 상태로 한 군데 이상의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누수 감지부(30)는 도 4에서와 같이 가이드구(32)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구(32)는 물탱크 본체(10)의 둘레부 표면 측에 발생된 물기(W1)가 누수 감지부(30) 측에 더욱 원활하고 신속하게 감지되도록 물기(W1)의 자연 낙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가이드구(32)는 도 4에서와 같이 복수 개가 한 조로 구성되며, 물탱크 본체(10)의 둘레부 표면 측에 맺혀진 물기(W1)의 자연 낙하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가이드구(32)는 실이나 끈 형태로 이루어지며, 재질은 방수성(防水性)을 갖는 합성수지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이드구(32)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 재질의 모노 필라멘트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과 부합하는 여러 가지 형태의 실이나 끈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이드구(32)는 도 4를 기준으로 할 때, 물탱크 본체(10)의 둘레부 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도구간을 가지며, 좌,우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띄우고 복수 개가 배열되는 상태로 셋팅될 수 있다.
가이드구(32)는 길이방향 하부 끝단 측이 케이블 센서(31a) 측과 연결되는 배열 상태를 이루도록 셋팅된다. 이때, 가이드구(32)들은 물탱크 본체(10)의 둘레부 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도구간을 이루도록 배치되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진행되면서 어느 한쪽으로 경사진 상태의 유도구간을 이루도록 셋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물탱크 본체(10)의 둘레부 표면 측에서 두 개의 가이드구(32) 사이에 발생된 물기(W1)가 아래쪽으로 이동될 때, 경사진 유도 구간 측에 조기(早期)에 접촉되면서 자연 낙하 흐름이 더욱 신속하게 유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구(32)는 예를 들어, 물탱크 본체(10)의 둘레부 크랙 부위를 통해서 표면에 맺혀진 상태로 물기(W1)가 발생할 때, 도 5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가이드 구간 일측에 물기(W1)가 조기에 접촉된 후 케이블 센서(31a) 측에 신속하게 감지되도록 자연 낙하 흐름을 더욱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수위 감지부(40)는 물탱크 본체(10)의 저장공간(11) 측에 담겨진 용수(W)의 수위(水位)를 초음파 송,수신 방식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수위 감지부(40)는 물탱크 본체(10) 측에서 수위 감지를 위한 자세 보정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수위 감지부(40)는, 용수(W)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 감지기(41)와, 이 수위 감지기(41)의 감지 자세 보정이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상태로 물탱크 본체(10)의 상부 측에 배치되는 보정 지지구(4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수위 감지기(41)는 센서부(41a) 및 제어부(41b)에 의한 초음파 송,수신 방식으로 물탱크 본체(10) 내부의 용수(W) 수위를 감지 측정할 수 있는 초음파 수위 감지기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위 감지기(41)는 예를 들어, 센서부(41a) 측의 진동자(미도시) 구동 의해 발생된 고주파(예: 20,000Hz~300MHz)가 용수(W)의 수면을 향하여 송신된 후, 반사되어 다시 진동자 측에 수신되는 시간 차이를 제어부(41b) 측에서 판독하여 용수(W)의 수위를 감지 측정하는 방식 및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수위 감지기(41)는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물탱크 본체(10)의 상부 측에서 제어부(41b)의 아래쪽에 센서부(41a)가 위치되도록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되, 이 센서부(41a)는 저장공간(11) 상부 측에 노출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용수(W)의 수위 측정과 부합하는 상태로 고주파 송,수신 처리가 가능하게 셋팅될 수 있다.
보정 지지구(42)는 수위 감지기(41)의 감지 자세가 정상적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적어도 한 방향 이상으로 자세 보정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보정 지지구(42)는 도 7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둘레부 크기의 링 형태를 갖는 제1 지지구(42a)와 제2 지지구(42b)가 한조로 구성되고, 제1 지지구(42a)의 링 둘레부 내측에는 제1 가이드홀(H1)이 형성되고, 제2 지지구(42b)의 링 둘레부 내측에는 제2 가이드홀(H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지지구(42a)는 물탱크 본체(10) 상부 측에 형성된 설치홀(H) 측에 제1 연결핀(P1)으로 연결되고, 제2 지지구(42b)는 제1 지지구(42a)의 제1 가이드홀(H1) 내측에서 제1 지지구(42a) 측과 제2 연결핀(P2)으로 연결되는 상태로 셋팅된다.
제2 지지구(42b)의 제2 가이드홀(H2) 측에는 수위 감지기(41) 측이 끼워져서 지지되는 상태로 배치되되, 센서부(41a) 측이 제2 가이드홀(H1) 측을 관통하여 물탱크 본체(10)의 저장공간(11) 측을 향하여 노출된 상태로 셋팅된다.
즉, 제1 지지구(42a) 및 제2 지지구(42b)는 물탱크 본체(10)의 설치홀(H) 측에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연결핀(P1) 또는 제2 연결핀(P2)의 축선을 중심으로 각각 일정 각도로 자유 회전되는 상태로 자세 보정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셋팅된다.
이때, 제1 연결핀(P1)과 제2 연결핀(P2)은 도 8에서와 같이 핀 축선이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고, 제1 지지구(42a) 및 제2 지지구(42b)는 각각 핀 축선을 중심으로 수평하게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상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제1 지지구(42a) 및 제2 지지구(42b)는 물탱크 본체(10)의 상부 측에서 수위 감지기(41)를 지지하는 상태로 설치되되, 제1 연결핀(P1) 및 제2 연결핀(P2)으로 연결되어 서로 평면을 이루거나, 각각의 핀 축선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수위 감지부(40)는 도 7에서와 같이 자세 유도구(43)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자세 유도구(43)는 수위 감지기(41)의 센서부(41a) 측이 물탱크 본체(10)의 바닥면(시공면)으로부터 항상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자세)로 초음파 송,수신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제1 지지구(42a) 및 제2 지지구(42b)의 자세 보정 동작을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자세 유도구(43)는 일종의 무게추 방식으로 제1 지지구(42a) 및 제2 지지구(42b)의 자세 보정 동작을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재질은 자중(自重)에 의한 자세 보정력 확보가 용이하도록 가급적 비중이 높은 금속재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세 유도구(43)는 도 7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연결로드(R)에 의해 제2 지지구(42b) 측과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을 띄우고 연결 배치된 상태로 셋팅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로드(R)는 로드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 나사부(R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나사부(R1)는 제2 지지구(42b) 측을 관통하여 조절너트(N)와 서로 체결되는 상태로 셋팅될 수 있으며, 로드 연결구간 중에서 제2 지지구(42b)와 자세 유도구(43) 사이에는 압축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S)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조절너트(N)의 정,역 회전 조작에 의해 연결로드(R) 측을 로드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당기거나 밀어서 제2 지지구(42b) 측과 서로 간격이 좁혀지거나, 벌어지는 상태로 자세 유도구(43)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자세 유도구(43)에 의한 자세 보정력을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구(42b) 측으로부터 간격이 더 벌어지는 방향으로 자세 유도구(43) 위치를 셋팅하면, 무게추 기능에 의해 제2 연결핀(P2)의 축선을 중심으로 제2 지지구(42b) 측의 관성 모멘트를 더욱 원활하게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지지구(42b) 측이 제2 연결핀(P2)의 축선을 중심으로 지면과 서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자세 보정 동작이 더욱 안정적으로 유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위 감지부(40)는 예를 들어 도 9에서와 같이 물탱크 본체(10)의 상부 측이 비(非)정상적인 형태 변형에 의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일 때, 보정 지지구(42) 측이 도면에서와 같은 상태로 자세 보정 동작이 유도되면서 제2 지지구(42b) 측이 바닥면(지면) 측과 지속적으로 수평한 상태의 감지 자세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수위 감지부(40)는 물탱크 본체(10)의 비(非)정상적인 형태 변형에 의해 감지 자세가 변화되면서 감지 오차나 오작동이 발생되는 현상이 최대한 억제 및 방지될 수 있는 수위 감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누수 감지부(30) 및 수위 감지부(40)는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별도의 중앙 관제실(T) 측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감지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연결 형성되어, 누수 및 수위 감지 상태의 확인이나 작동 제어 등이 중앙 관제실(T)을 통해서 이루어지도록 셋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물탱크 본체(10) 측에 조명 확보를 위한 조명부(20)는 물론이거니와, 누수 감지를 위한 누수 감지부(30) 및 수위 감지를 위한 수위 감지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사용 안전성 및 편의성이 한층 더 향상된 물탱크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10: 물탱크 본체 20: 조명부
30: 누수 감지부 40: 수위 감지부
W: 용수
30: 누수 감지부 40: 수위 감지부
W: 용수
Claims (9)
- 용수가 담겨지는 저장공간과, 이 저장공간 측과 대응하는 맨홀을 구비한 물탱크 본체;
상기 물탱크 본체의 맨홀 개폐와 연계하여 상기 저장공간 내부를 조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조명부;
상기 물탱크 본체의 둘레부 표면 측에 발생된 물기를 접촉 감응으로 감지할 수 있는 상태로 배치되는 케이블형 감지센서를 구비한 누수 감지부; 및
상기 물탱크 본체 측에 담겨진 용수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 감지기와, 이 수위 감지기의 감지 자세 보정이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물탱크 본체의 상부 측에 배치되는 보정 지지구, 및 이 보정 지지구 측과 연계하여 상기 수위 감지기 측이 상기 물탱크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의 감지 자세를 이루도록 자세 보정을 유도하기 위한 자세 유도구를 구비한 수위 감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수위 감지부의 보정 지지구는,
서로 다른 둘레부 크기의 링 형태를 갖는 제1 지지구와 제2 지지구로 구성되되, 상기 제1 지지구는 상기 물탱크 본체 상부 측에 제1 연결핀으로 연결 고정되고, 상기 제2 지지구는 상기 수위 감지기 측이 지지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지구의 둘레부 내측에서 이 제1 지지구 측에 제2 연결핀으로 연결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위 감지부의 자세 유도구는,
링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지지구 아래쪽에서 이 제2 지지구 측과 서로 간격을 띄우고 연결로드로 연결된 상태로 배치되되, 이 연결로드 측에는 상기 제2 지지구와 상기 자세 유도구 사이에 탄성부재가 배치되고, 로드 일측 단부는 조절너트 측과 나사부 결합으로 체결 연결되어 이 조절너트의 정,역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자세 유도구와 상기 제2 지지구 측이 서로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발광소자와, 이 발광소자를 커버하기 위한 램프커버와, 상기 맨홀의 개폐 조작과 연계되어 상기 발광소자를 온,오프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전환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물탱크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환기는,
상기 맨홀의 개폐 동작 중에 일측이 눌림 또는 눌림 해제되면서 상기 발광소자 측에 전기 공급 또는 차단이 가능하게 전환 작동되도록 셋팅되는 물탱크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수 감지부는,
상기 물탱크 본체의 둘레부 측을 수평하게 감싸는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띄우고 1단 이상의 배열로 상기 케이블형 감지센서가 설치되며, 이 케이블형 감지센서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물기의 자연 낙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구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구는,
실 또는 끈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물탱크 본체의 둘레부 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도구간을 가지며, 좌,우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띄우고 복수 개가 배열 형성되는 물탱크 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위 감지부의 수위 감지기는,
초음파 수위 감지기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하고,
상기 물탱크 본체의 상부 측에서 용수의 수면 측을 향하여 고주파 송,수신 처리가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태로 셋팅되는 물탱크 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위 감지부의 제1 연결핀 및 제2 연결핀은,
핀 축선이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고, 핀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지지구 및 제2 지지구 측이 각각 수평하게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상태로 셋팅되는 물탱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4407A KR102236163B1 (ko) | 2019-11-12 | 2019-11-12 | 물탱크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4407A KR102236163B1 (ko) | 2019-11-12 | 2019-11-12 | 물탱크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36163B1 true KR102236163B1 (ko) | 2021-04-05 |
Family
ID=75461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4407A KR102236163B1 (ko) | 2019-11-12 | 2019-11-12 | 물탱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36163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85594A (ja) * | 1994-04-07 | 1995-10-31 | Tamada Kogyo Kk | 二重殻タンクの検知層形成用耐熱性樹脂フィルムの装着構造 |
JP2002255281A (ja) * | 2001-02-23 | 2002-09-11 | Yokogawa Shoji Kk | 浮屋根式液体タンクの漏液検知システム。 |
KR101375079B1 (ko) | 2013-08-14 | 2014-03-20 | (주)동원기업 | 내부 오염 방지 및 정화 구조를 갖는 물탱크 |
KR101560247B1 (ko) * | 2014-04-30 | 2015-10-27 | 주식회사 삼양테크 | 조명장치가 구비된 저수탱크 |
JP6060937B2 (ja) * | 2014-06-06 | 2017-01-18 | 三菱電機株式会社 | 画像読取装置 |
-
2019
- 2019-11-12 KR KR1020190144407A patent/KR10223616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85594A (ja) * | 1994-04-07 | 1995-10-31 | Tamada Kogyo Kk | 二重殻タンクの検知層形成用耐熱性樹脂フィルムの装着構造 |
JP2002255281A (ja) * | 2001-02-23 | 2002-09-11 | Yokogawa Shoji Kk | 浮屋根式液体タンクの漏液検知システム。 |
KR101375079B1 (ko) | 2013-08-14 | 2014-03-20 | (주)동원기업 | 내부 오염 방지 및 정화 구조를 갖는 물탱크 |
KR101560247B1 (ko) * | 2014-04-30 | 2015-10-27 | 주식회사 삼양테크 | 조명장치가 구비된 저수탱크 |
JP6060937B2 (ja) * | 2014-06-06 | 2017-01-18 | 三菱電機株式会社 | 画像読取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935496A1 (en) | Lifting apparatus for highly mounted equipment | |
CA3178727A1 (en) | Buried-pipe damage location detection device | |
KR102236163B1 (ko) | 물탱크 장치 | |
CN201513722U (zh) | 一种视频管道检查系统 | |
KR100873746B1 (ko) |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 | |
US8746040B2 (en) | Device for tightness control and marking of holes and/or other damages on hose, and optional automatic detection of holes | |
JP2015034771A (ja) | ケーブルの張力測定器 | |
KR102591152B1 (ko) | 수도미터와 누수 판정기와의 연결 기구 및 이 연결 기구를 이용한 누수 판정기 | |
KR101686476B1 (ko) | 가스 점검장치 | |
KR200480990Y1 (ko) | 센서 검사 장치 | |
US5600998A (en) | Level sensor offset mounting mechanism | |
CN212721605U (zh) | 一种天然气输送管道用的气体流量计 | |
KR102153681B1 (ko) | 전력구 배치 지중배전라인용 고정행거기구 | |
KR102307091B1 (ko) | 홀센서를 이용한 액체수위 감지장치 | |
KR102236164B1 (ko) | 수위 감지 구조를 갖는 물탱크 | |
KR20070002229A (ko) |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 | |
CN210296666U (zh) | 一种带智能状态显示接地线 | |
CN209092592U (zh) | 一种灭火系统灭火气瓶失重互联网报警监测系统 | |
CN208055724U (zh) | 一种印刷机织物自动检测设备 | |
KR100960154B1 (ko) | 송전용 가공전선 지지철탑 | |
CN211577084U (zh) | 一种可远程控制的节能水分滴定仪 | |
CN215866320U (zh) | 一种大口径软管织物内异物检测装置 | |
KR102186557B1 (ko) | 조명구조를 갖는 물탱크 | |
KR102320803B1 (ko) | 폐지 압축 장치 | |
CN220649699U (zh) | 一种液位测控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