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2229A -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02229A KR20070002229A KR1020050057643A KR20050057643A KR20070002229A KR 20070002229 A KR20070002229 A KR 20070002229A KR 1020050057643 A KR1020050057643 A KR 1020050057643A KR 20050057643 A KR20050057643 A KR 20050057643A KR 20070002229 A KR20070002229 A KR 200700022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hole
- lifting
- lifting shaft
- elev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0—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41—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valve parame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75—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 F16K37/0083—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by measuring valve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는, 유로를 가지며 소방용 급수관에 접속되는 몸체와 그 몸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승강에 의해 상기 유로를 개폐하도록 된 승강축을 구비하는 소방용 밸브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유로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한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에 있어서, 승강축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며 배치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축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며 배치되는 제1날개부와, 본체부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축의 외주면 일부를 감사며 배치되며 제1날개부에 결합되는 제2날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승강축에 결합되어 이 승강축과 함께 승강되는 커플링부재;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 상하방향을 따라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승강가능하게 커플링부재에 결합되는 승강부재; 승강부재를 제1위치쪽으로 상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 및 승강축과 함께 커플링부재가 상승하여 승강부재가 소방용 밸브의 몸체에 접촉되어 눌림으로써 제2위치로 하강되었을 때 소화전 밸브가 개방되었음을 감지하며, 승강축과 함께 상기 커플링부재가 하강하여 승강부재가 제1위치로 상승되었을 때 소화전밸브의 폐쇄되었음을 감지하기 위한 개폐감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Ⅴ-Ⅴ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화전 밸브 2 ... 소화전 밸브 몸체
3 ... 유로 4 ... 승강축
10 ... 커플링부재 11 ... 본체부
12 ... 제1날개부 13 ... 제2날개부
18 ... 볼트부재 20 ... 승강부재
30 ... 스프링 40 ... 자석
50 ... 자기센서 71 ... 제1접점
72 ... 제2접점 73 ... 접속부재
본 발명은 소방용 급수관에 그 급수관을 개폐하기 위해 설치되는 소화전 밸브에 사용되어 이 소화전 밸브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화전 밸브에 설치가 용이한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모든 건물 및 시설에는 화재를 대비하여 소방용 급수관 및 이 급수관을 개폐할 수 있는 소화전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불시의 화재에 대처하여 물을 즉각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 소방용 급수관은 언제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한편, 소방용 급수관이나 소화전 밸브를 보수하는 경우, 또는 소방용 급수관을 청소하는 경우 등, 상기 소화전 밸브를 잠궈 급수관을 일시적으로 폐쇄시켜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보수 작업 또는 청소작업 등을 마치고 나면 다시 소방용 급수관을 개방시켜야 하지만, 작업자의 부주의 등으로 소방용 급수관을 페쇄시킨 상태로 방치할 수 있다. 따라서, 소방용 급수관의 개폐여부를 항상 체크할 필요가 있다. 소방용 급수관의 개폐여부는 이 급수관에 사용되는 소화전 밸브의 개폐에 따라 정해지게 되므로, 이 소화전 밸브의 개폐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가 사용되어 왔다.
소화전 밸브 및 이 소화전 밸브에 설치된 종래의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소화전 밸브(1)는 몸체(2)가 소방용 급수관(9)에 설치된다. 이 몸체(2)의 내부에는 유로(3)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몸체(2)가 소방용 급수관(9)에 설치되면, 상기 유로(3)는 소방용 급수관(9)의 유로와 통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2)에는 승강축(4)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승강축(4)은 상기 몸체(2)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예컨대, 상기 소화전 밸브(1)의 핸들(2a)을 회전시키면, 이 핸들(2a)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는 너트(미도시)가 위치고정된 상태로 회전하게 되며, 이렇게 너트가 위치고정된 상태로 회전하게 되면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승강축(4)은 회전하지는 않으면서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상기 소화전 밸브(1)의 유로(3)에는 이 유로(3)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체(미도시)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 밸브체(미도시)는 상기 승강축(4)이 상승함에 따라 유로(3)를 개방하고 하강함에 따라 유로(3)를 폐쇄한다. 한편, 상기 몸체(2)에는 상기 승강축(4)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노출부(2a)가 형성되어 있다.
종래의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5)는 자석(6)을 상기 승강축(4)에 삽입시키고, 자기센서(7)를 소화전 밸브(1)의 몸체(2)에 고정시켜 구성하였다.
상기 승강축(4)이 상승하여 상기 유로(3)를 개방시켰을 때, 이 승강축(4) 중 상기 소화전 밸브(1) 몸체(2)의 노출부(2a)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상기 자석(6)을 설치하는데,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자석(6)은 승강축(4)에 홈을 파내고 이 홈에 삽입시켜서 설치한다.
상기 자기센서(7)는 상기 노출부(2a)내의 승강축(4)을 향하도록 상기 몸체(2)에 고정된다. 이 자기센서(7)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바(8)가 사용된다. 즉, 상기 몸체(2)에 나사구멍을 형성하고 나사결합을 통해 상기 고정바(8)를 고정시키며, 상기 자기센서(7)를 이 고정바(8)에 끼워서 고정시킨다. 이렇게 종래의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5)를 설치하면, 소화전 밸브(1)의 승강축(4)의 승강에 따라 자석(6)이 함께 승강하게 되고, 자기센서(7)는 고정바(8)에 끼워져 위치 고정된다. 상기 승강축(4)이 상승하여 유로(3)가 개방되면, 이 자석(6)은 상기 몸체(2)의 노출부(2a)가 형성된 지점에 위치하게 되며, 이 때 그 자석(6)이 자기센서(7)에 의해 감지됨으로써, 유로(3)가 개방된 것이 감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5)를 설치할 때, 자석(6)을 승강축(4)에 삽입시키기 위하여 승강축(4)에 구멍을 형성해야할 뿐만 아니라, 고정바(8)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몸체(2)에 구멍을 형성해야 하므로, 설치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화전 밸브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 는, 유로를 가지며 소방용 급수관에 접속되는 몸체와 그 몸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승강에 의해 상기 유로를 개폐하도록 된 승강축을 구비하는 소방용 밸브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유로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승강축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며 배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승강축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며 배치되는 제1날개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승강축의 외주면 일부를 감사며 배치되며 상기 제1날개부에 결합되는 제2날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승강축에 결합되어 이 승강축과 함께 승강되는 커플링부재; 상기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 상하방향을 따라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승강가능하게 상기 커플링부재에 결합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를 제1위치쪽으로 상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 및 상기 승강축과 함께 상기 커프링부재가 상승하여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소방용 밸브의 몸체에 접촉되어 눌림으로써 상기 제2위치로 하강되었을 때 상기 소화전 밸브가 개방되었음을 감지하며, 상기 승강축과 함께 상기 커플링부재가 하강하여 상기 승강부재가 제1위치로 상승되었을 때 상기 소화전밸브의 폐쇄되었음을 감지하기 위한 개폐감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폐감지수단은, 상기 승강부재에 결합되어 이 승강부재와 함께 승강되는 자석;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제2위치에 놓였을 때 상기 자석을 감지하도록, 상기 커플링부재에 결합되는 자기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커플링부재의 본체부에는, 이 커플링부재 본체부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수직관통공과,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관통공과 통해 있는 수평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부재는 봉형으로서 상기 수직관통공내에 끼워지며, 상기 자석은 중공형으로서 상기 승강부재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자기센서는 상기 수평관통공 내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자석이 상기 수평관통공을 통해 상기 자기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날개부의 단부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제2날개부의 단부에 배치되며 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공과,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나사공에 체결되는 볼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폐감지수단은, 상기 커플링부재 본체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접점 및 제2접점과, 상기 승강부재에 하부에 고정되어 이 승강부재가 제2위치에 놓여질 때 상기 제1접점과 제2접점에 동시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제1접점과 제2접점을 전기적으로 도통시키는 접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선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Ⅴ-Ⅴ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10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소화전 밸브(1)에 사용되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100)는 커플링부재(10), 승강부재(20), 스프링(30) 및 개폐감지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커플링부재(10)는 상기 소화전 밸브(1)의 승강축(4)에 결합되어 이 승강축(4)과 함께 승강되는 것으로서, 본체부(11)와, 제1날개부(12)와 제2날개부(13)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부(11)는 상기 소화전 밸브(1)의 승강축(4) 일부를 감싸며 배치되는 것으로서, 대략 원호형 단면을 가진다. 상기 본체부(11)의 양측에는 후술할 제1날개부(11)와 제2날개부(12)와의 결합을 위한 돌출부(111,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111,112)에는 각각 수직한 방향을 따라 삽입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날개부(12)는 상기 승강축(4)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1)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날개부(12)의 일측에는 오목한 수용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한 수용부(121)는 상기 본체부(11)의 돌출부(111)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날개부(12) 중 이 수용부(121)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된 부분에는 수직한 방향을 따라 핀삽입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날개부(12)와 본체부(11)의 결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본체부(11)의 돌출부(111)가 상기 수용부(121)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결합용 핀(14)이 상기 제1날개부(12)의 상측부 핀삽입공과, 본체부(11)의 삽입공 및 제1날개부(12)의 하측부 핀삽입공에 순차적으로 끼워짐으로써 상기 본체부(11)와 제1날개부(12)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날개부(12)이 이 결합용 핀(14)을 회동포인트로 하여 상기 본체부(11)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제1날개부(12)는 상기 승강축(4)의 외주면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그 단면이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날개부(13)는 상기 승강축(4)의 일부 즉, 상기 본체부(11)와 제1날개부(12)에 의하여 감싸지지 않는 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1)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날개부(13)의 일측에는 오목한 수용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한 수용부(131)는 상기 본체부(11)의 돌출부(112)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날개부(13) 중 이 수용부(131)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된 부분에는 수직한 방향을 따라 핀삽입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날개부(13)와 본체부(11)의 결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본체부(11)의 돌출부(112)가 상기 수용부(131)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결합용 핀(15)이 상기 제2날개부(13)의 상측부 핀삽입공과, 본체부(11)의 삽입공 및 제2날개부(13)의 하측부 핀삽입공에 순차적으로 끼워짐으로써 상기 본체부(11)와 제2날개부(13)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날개부(13)이 이 결합용 핀(15)을 회동포인트로 하여 상기 본체부(11)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제2날개부(13)는 상기 승 강축(4)의 외주면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그 단면이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11)와, 제1날개부(12) 및 제2날개부(13)가 상기 승강축(4)을 감싸게 배치되면, 이 승강축(4)의 거의 전부분을 감쌀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날개부(12)와 제2날개부(13)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1날개부(12)와 제2날개부(13)를 상호 결합시켜 상기 커플링부재(10)가 상기 소화전밸브(1)의 승강축(4)에 압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결합수단은 관통공(16), 나사공(17) 및 볼트부재(18)를 구비한다. 상기 관통공(16)은 상기 제1날개부(12)의 단부에 배치되며, 이 제1날개부(12)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나사공(17)은 상기 관통공(16)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날개부(13)의 단부에 배치된다. 이 나사공(17)은 상기 제2날개부(13)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그 내주면에는 나사산(17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트부재(18)는 상기 관통공(16)에 삽입되어 상기 나사공(17)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날개부(12)와 제2날개부(13)를 상호 체결시킨다. 또한, 상기 볼트부재(18)에는 압축스프링(19)이 끼워져, 이 압축스프링(19)의 볼트부재(18)의 머리와 제1날개부(12) 사이에서 지지된다. 이 압축스프링(19)은 상기 볼트부재(18)를 바이어스시켜 상기 나사공(17)과 볼트부재(18) 사이의 나사결합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볼트부재(18)를 상기 관통공(16)에 삽입하여 나사공(17)에 체결하면 상기 커플링부재(10)는 소화전밸브(1)의 승강축(4)에 완전히 압착되어, 커플링부재(10)가 승강축(4)에 완전히 고정된다.
한편, 상기 커플링부재(10) 본체부(11)에는 수직관통공(113)과 수평관통공 (1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관통공(113)은 이 본체부(11)의 상면과 하면 사이를 수직하게 관통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관통공(114)은 이 수직관통공(113)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11)의 일측면과 수직관통공(113) 사이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평관통공(114)은 상기 수직관통공(113)과 연통되어 있다.
상기 승강부재(20)는 개략 봉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직관통공(113)에 끼워져 결합된다. 즉, 이 승강부재(20)는 상기 수직관통공(113)의 외부 즉, 상기 커플링부재(10)의 상면 위로 돌출된 제1위치와, 상기 수직관통공(113) 내부로 몰입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 수직관통공(113)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30)은 상기 승강부재(20)에 끼워지게 된다. 이 스프링(30)의 하단은 상기 수직관통공(113)의 지지부(115)에 지지되며, 상단은 상기 승강부재(20)의 상부에 끼워져 있는 고정부재(23)에 지지되어, 상기 스프링은 이 승강부재(20)를 상기 제1위치 즉, 상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킨다.
상기 개폐감지수단은 소화전밸브의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미도시된 통제시스템에 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승강부재(20)가 제1위치 즉 승강부재(20)가 소화전밸브에 의하여 눌리지 않는 위치에 있을 때 소화전밸브가 폐쇄되었음을 감지하며, 상기 승강부재(20)가 제2위치 즉 승강부재(20)가 소화전밸브에 의하여 눌려 있는 위치에 있을 때 소화전밸브가 개방되었음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소화전밸브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개폐감지수단은 자석 (40)과 자기센서(50)를 구비한다.
상기 자석(40)은 고리형으로서 상기 승강부재(20)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 자석(40)은 상기 승강부재(20)의 승강시에 함께 승강된다.
상기 자기센서(50)는 상기 자석(40)이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 이 자석(40)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기센서 수용체(51)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링부재(10) 본체부(11)의 수평관통공(114)에 설치된다. 즉, 상기 자기센서 수용체(51)의 내부에는 공간(c)이 마련되어 있어 상기 자기센서(50)가 삽입되며, 이 자기센서 수용체(5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평관통공(114)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116)에 체결된다. 상기 자기센서(50)에는 전선(52)이 연결되어 있어, 이 자기센서(50)가 자석을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미도시된 통제시스템에 송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100)의 사용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100)를 마련하여 소화전 밸브(1)의 승강축(4)에 설치한다. 즉, 도 2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플링부재(10)의 제1날개부(12)와 제2날개부(13)를 상기 본체부(11)에 대하여 회동시켜 제1날개부(12)와 제2날개부(13)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벌어지게 한다. 그 후, 상기 본체부(11)를 승강축(4)에 인접하게 배치시키고 상기 제1날개부(12)와 제2날개부(13)를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회동시켜 제1날개부(12)와 제2날개부(13)가 상기 승강축(4)을 감싸도록 배치시킨다. 이 후, 상기 볼트부재(18)를 제1날개부(12)의 관통공(16)에 삽입시키고 제2날개부(13)의 나사공(17)에 체결한다. 이렇 게 볼트부재(18)를 이용하여 상기 제1날개부(12)와 제2날개부(13)를 상호 체결하면, 상기 커플링부재(10)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부(11), 제1날개부(12) 및 제2날개부(13)는 상기 승강축(4)의 외주면에 완전히 압착되어 이 커플링부재(10)는 승강축(4)에 고정되어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축(4)의 승강시에 상기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100)도 함께 승강된다.
상기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100)를 소화전 밸브(1)의 승강축(4)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즉, 종래의 개폐감지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 필요했던 승강축(4)과 몸체(2)에 각각 구멍을 형성해야 하는 복잡한 작업이 생략되게 됨으로써, 설치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용이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커플링부재(10)를 설치한 후, 상기 승강축(4)을 상승시키면 상기 승강축(4)에 결합되어 있는 커플링부재(10)는 이 승강축(4)과 함께 상승하게 된다. 상기 승강축(4)이 상승하여 밸브체(미도시)가 유로(3)를 개방하게 되는 시점에서, 상기 승강부재(20)는 상기 소화전 밸브(1)의 몸체(2)와 접촉하게 된다. 계속적으로 승강축(4)을 상승시키면, 상기 승강부재(20)는 상기 몸체(2)에 의하여 눌리게 되어, 이 승강부재(20)는 수직관통공(113)의 내부 즉, 제2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승강부재(20)가 제2위치로 하강하면 상기 자석(40)도 함께 하강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기센서(50)의 옆에 배치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자석(40)이 자기센서(40)의 옆에 배치되면, 상기 자기센서(50)는 수평관통공(114)을 통해 이 자석(40)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즉, 상기 자기센서(50)가 자석(40)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소화전 밸브(2)가 개방된 것을 감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소화전 밸브(1)의 유로(3)를 폐쇄시키기 위하여 상기 승강축(4)을 하강시키면 상기 승강부재(20)가 소화전밸브(1)의 몸체(2)에 의하여 눌리지 않게 되고, 상기 스프링(30)이 탄성복원되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재(20)가 제1위치 즉, 수직관통공(113)의 외부로 다시 돌출되며, 상기 자석(40)도 함께 상승된다. 이렇게 자석(40)이 상승하게 되면 상기 자기센서(50)는 이 자석(40)을 감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소화전 밸브(1)의 유로(3)가 폐쇄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지금까지, 상기 소화전밸브(1)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한 개폐감지수단이 자석(40)과 자기센서(50)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소화전밸브(1)의 개폐감지수단은 반드시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른바 접지스위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접지스위치를 상기 개폐감지수단으로 사용한 형태의 실시예가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Ⅶ-Ⅶ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개폐감지수단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모두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도 6 및 도 7에서 사용된 참조번호 중 도 2 내지 도 5에 기재된 참조번호와 동일한 것은 반복 설명을 회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개폐감지수단은 제1접점(71), 제2접점(72) 및 접 속부재(7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접점(71)과 제2접점(72)은 통전체로 이루어져 각각 상기 수직관통공(113)의 양단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접점(71)은 (+)단자이며, 상기 제2접점(72)은 (-)단자이다. 이 제1접점(71)과 제2접점(72)은 각각 도선(74,75)에 의하여 미도시된 통제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접속부재(73)는 상기 제1접점(71)과 제2접점(72)에 동시에 접속됨으로써 이 제1접점(71)과 제2접점(72)을 전기적으로 도통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통전체로 이루어져 있다. 이 접속부재(73)는 상기 승강부재(20)의 하부에 고정되어 승강부재(20)와 함께 승강됨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20)가 제1위치에 놓여질 때 상기 제1접점(71) 및 제2접점(72)으로부터 윗쪽으로 이격되어 접속이 되지 않으며, 상기 승강부재(20)가 제2위치에 놓여질 때 상기 제1접점(71) 및 제2접점(72)과 접속되어 제1접점(71)과 제2접점(72)을 상호 도통시킨다. 상기 통제시스템은 제1접점(71)과 제2접점(72)이 통전된 경우 상기 소화전밸브(1)가 폐쇄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으며, 반면 제1접점(71)과 제2접점(72)이 통전되어 있지 않은 경우 소화전밸브(1)가 폐쇄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접지스위치와 동일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는, 종래의 개폐감지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 승강축과 몸체에 각각 구멍을 내는 복잡한 작업을 거쳐야 했던 것과는 달리, 매우 용이하게 승강축에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 유로를 가지며 소방용 급수관에 접속되는 몸체와 그 몸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승강에 의해 상기 유로를 개폐하도록 된 승강축을 구비하는 소방용 밸브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유로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한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에 있어서,상기 승강축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며 배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승강축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며 배치되는 제1날개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승강축의 외주면 일부를 감사며 배치되며 상기 제1날개부에 결합되는 제2날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승강축에 결합되어 이 승강축과 함께 승강되는 커플링부재;상기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상하방향을 따라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승강가능하게 상기 커플링부재에 결합되는 승강부재;상기 승강부재를 제1위치쪽으로 상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 및상기 승강축과 함께 상기 커프링부재가 상승하여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소방용 밸브의 몸체에 접촉되어 눌림으로써 상기 제2위치로 하강되었을 때 상기 소화전 밸브가 개방되었음을 감지하며, 상기 승강축과 함께 상기 커플링부재가 하강하여 상기 승강부재가 제1위치로 상승되었을 때 상기 소화전밸브의 폐쇄되었음을 감지하기 위한 개폐감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밸브용 개 폐감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개폐감지수단은,상기 승강부재에 결합되어 이 승강부재와 함께 승강되는 자석;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제2위치에 놓였을 때 상기 자석을 감지하도록, 상기 커플링부재에 결합되는 자기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커플링부재의 본체부에는, 이 커플링부재 본체부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수직관통공과,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관통공과 통해 있는 수평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상기 승강부재는 봉형으로서 상기 수직관통공내에 끼워지며, 상기 자석은 중공형으로서 상기 승강부재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며,상기 자기센서는 상기 수평관통공 내에 설치되며,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자석이 상기 수평관통공을 통해 상기 자기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결합수단은,상기 제1날개부의 단부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제2날개부의 단부에 배치되며 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공과,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나사공에 체결되는 볼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개폐감지수단은,상기 커플링부재 본체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접점 및 제2접점과,상기 승강부재에 하부에 고정되어 이 승강부재가 제2위치에 놓여질 때 상기 제1접점과 제2접점에 동시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제1접점과 제2접점을 전기적으로 도통시키는 접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감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7643A KR100702141B1 (ko) | 2005-06-30 | 2005-06-30 |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7643A KR100702141B1 (ko) | 2005-06-30 | 2005-06-30 |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02229A true KR20070002229A (ko) | 2007-01-05 |
KR100702141B1 KR100702141B1 (ko) | 2007-03-30 |
Family
ID=37869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57643A KR100702141B1 (ko) | 2005-06-30 | 2005-06-30 |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0214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1500B1 (ko) | 2008-06-26 | 2010-11-04 | 주식회사 동진밸브 | 소방용 바깥나사 게이트 밸브 |
KR200467347Y1 (ko) * | 2010-07-06 | 2013-06-07 | 정기옥 | 바깥나사식 게이트 밸브 |
KR200469945Y1 (ko) * | 2011-12-20 | 2013-11-14 | 김영철 |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 |
AU2023202458B1 (en) * | 2023-04-21 | 2023-11-09 | Fst Innovation Pty Ltd | Gate valve monitor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06303A (en) | 1981-08-04 | 1983-09-27 | Acf Industries, Incorporated | Gate valve with position indicator |
JPS61153080A (ja) | 1984-12-27 | 1986-07-11 | Toshiba Corp | 弁開度検出装置 |
JPH02113189A (ja) * | 1988-10-20 | 1990-04-25 | Yoneki Enjiniriangu Kk | 機器の位置検出・送信装置 |
BR9304416A (pt) * | 1993-10-29 | 1995-06-27 | Petroleo Brasileiro Sa | Dispositivo para indicação da condição de operação de uma válvula de acionamento linear |
JPH08326950A (ja) * | 1995-05-26 | 1996-12-10 | Mitsubishi Heavy Ind Ltd | 弁開閉状態検出装置 |
JPH10169833A (ja) * | 1996-12-04 | 1998-06-26 | Fuji Oozx Inc | リリーフバルブの作動検知装置 |
DE10016636A1 (de) | 2000-04-04 | 2001-10-18 | Siemens Ag | Stellungsregler, insbesondere für ein durch einen Antrieb betätigbares Ventil |
-
2005
- 2005-06-30 KR KR1020050057643A patent/KR10070214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02141B1 (ko) | 2007-03-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51193B2 (en) | Valve arrangement, a method for identifying an underground valve of a valve arrangement and use of a use of valve arrangement | |
KR100702141B1 (ko) |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 | |
KR100907747B1 (ko) | 매설 배전선의 누전방지용 절연대 | |
KR102326004B1 (ko) |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 | |
KR102181151B1 (ko) | 누수 감지 소화전 | |
PT86560B (pt) | Detector de fuga de fluidos | |
CN110822163A (zh) | 漏水保护器 | |
US10487480B2 (en) | Water leak detection and prevention device | |
KR100619541B1 (ko) |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 | |
JP6553325B2 (ja) | 水位制御装置 | |
KR100619540B1 (ko) |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 | |
KR100960154B1 (ko) | 송전용 가공전선 지지철탑 | |
KR200460705Y1 (ko) | 탬퍼 스위치 | |
JP3553167B2 (ja) | レベル計 | |
CN208140225U (zh) | 一种水位检测装置和储水装置 | |
JP2009075348A (ja) | 光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 |
US6923252B2 (en) | Borehole sounding device with sealed depth and water level sensors | |
KR200405825Y1 (ko) | 소방설비용 개폐밸브의 개폐감지스위치 | |
KR100311280B1 (ko) | 수위 감지기 | |
KR102236163B1 (ko) | 물탱크 장치 | |
CN221178071U (zh) | 一种消防通讯设施测试装置 | |
JPH09105661A (ja) | 水槽の監視装置 | |
CN205254867U (zh) | 油样取样嘴扳手套件 | |
KR102419391B1 (ko) | 템퍼 스위치 고정장치 | |
JP5514622B2 (ja) | ボールタップ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