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391B1 - 템퍼 스위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템퍼 스위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391B1
KR102419391B1 KR1020220001283A KR20220001283A KR102419391B1 KR 102419391 B1 KR102419391 B1 KR 102419391B1 KR 1020220001283 A KR1020220001283 A KR 1020220001283A KR 20220001283 A KR20220001283 A KR 20220001283A KR 102419391 B1 KR102419391 B1 KR 102419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witch
housing
temper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1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화순
Original Assignee
최화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화순 filed Critical 최화순
Priority to KR1020220001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3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41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valve param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의 소방시설 급수밸브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템퍼 스위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고정장치는 통상의 밸브스템에 결합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 일측에 형성되며 상면에 삽입 홈이 형성된 고정부, 상기 삽입 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템퍼 스위치, 상기 고정부 단부에 형성된 케이블 접속부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접속부는 상기 삽입 홈과 연통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된 단자 커넥터 및 상기 하우징 일측에 형성된 연결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은 상기 통로를 통하여 하우징 내로 인입되어 커넥터로 연결되는 제1 케이블과, 상기 커넥터에서 템퍼 스위치로 연결되는 제2 케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템퍼 스위치 고정장치 {Fixing device for temper switch}
본 발명은 템퍼 스위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폐밸브의 감시를 위하여 소방시설의 급수부에 제공되는 템퍼 스위치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쿨러 등 소방시설의 급수부는 급수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의 개/폐상태를 원거리에 배치된 감시 제어반 또는 수신기에서 감지하여 알람 또는 램프에 의한 신호음 또는 점멸로 표시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소방시설의 배관 수리 및 교체 후 상기 밸브를 잠금 상태에서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화재시 스프링-쿨러가 동작하지 않아 많은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급수부에 템퍼 스위치를 장착하여 상기 급수밸브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템퍼 스위치(100)는 밸브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도록 동작하는 리미트스위치(101)와 상기 리미트스위치(101)를 밸브스템에 장착하기 위한 고정구(102)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102) 일단에는 케이블 보호관(103)이 별도로 제공된다. 예컨대 밸브의 핸들조작에 의하여 상기 스템이 회전하면 밸브가 개방/폐쇄되는데 이 상태는 상기 리미트스위치(101)의 승강에 따른 눌림/해제에 의하여 감지되어 원거리 감시제어반 또는 수신기로 신호 전송되며, 이 상태를 확인한 작업자가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템퍼 스위치(100)는 급수밸브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측면에서 유효하게 이용될 수는 있지만,
첫째, 외부에서 상기 리미트스위치(101)로 연결되는 케이블 라인이 단순히 직접 연결됨으로써 공간적으로 불리할 뿐 아니라, 내부 좁은 공간에서의 케이블 연결/분리 등이 매우 어려우면서 임의 단락되는 문제;
둘째, 상기 리미트스위치(101)가 별도의 보호 케이싱 관련 구조도 없이 고정구(102) 홈에 직접 삽입 배치됨으로써 유동성이 심하고 동시에 외부 충격에 구조적으로 취약한 문제;
등이 있다.
<신행기술문헌>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3767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4355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0705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7347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템퍼 스위치 고정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 활용의 측면에서도 유리하며 특히, 템퍼 스위치로 연결되는 케이블의 연결/분리/점검 등의 편리성·안정성·견고성을 보장하는 템퍼 스위치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장치 내에 템퍼 스위치가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템퍼 스위치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템퍼 스위치 고정장치는,
통상의 밸브스템에 결합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 일측에 형성되며 상면에 삽입 홈이 형성된 고정부, 상기 삽입 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템퍼 스위치를 포함하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단부에 형성된 케이블 접속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속부는:
상기 삽입 홈과 연통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된 단자 커넥터 및 상기 하우징 일측에 형성된 연결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은:
상기 통로를 통하여 하우징 내로 인입되어 커넥터로 연결되는 제1 케이블과, 상기 커넥터에서 템퍼 스위치로 연결되는 제2 케이블을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여기에서 상기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은 상호 직각이 되는 관계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커넥터는 일자형이거나 또는 'ㄱ'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은 내부 바닥면에 돌출 형성된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거치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템퍼 스위치는:
좌·우 대향으로 조립되어 상기 홈에 삽입되는 케이싱;
일측 또는 양측 케이싱 내측에 고정되면서, 전극단자는 노출되어 상기 제2 케이블이 접속되도록 하는 대칭형 두 전극;
두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 상측으로 돌출되며, 스프링 탄력에 의하여 눌림/해제되면서 두 전극을 통전/단락시키는 스위치;
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은 노출된 전극단자 및 제2 케이블 연결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측에 형성된 커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템퍼 스위치 고정장치에 따르면, 하우징 및 커넥터를 이용하여 케이블 연결구조를 설계함으로써 공간 활용의 측면 및 템퍼 스위치로 연결되는 케이블의 연결/분리/점검/교체 등의 편리성·안정성·견고성 측면에서 종래에 비하여 현저히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템퍼 스위치의 고정을 위한 케이싱 구조를 최적 설계함으로써 외부 충격이나 마찰 등에 대하여 고정장치 내 템퍼 스위치가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각별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템퍼 스위치 고정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템퍼 스위치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평면도.
도 5는 도 2의 템퍼 스위치 부분 분해 사시도.
이상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발명의 '템퍼 스위치 고정장치'(이하 '고정장치'라 함)의 특징과 작용효과는,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 기재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2 이하에서 부호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를 나타낸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통상의 밸브스템(미도시)에 결합되는 브래킷(11), 상기 브래킷(11) 일측에 형성되며 상면에 삽입 홈(13)이 형성된 고정부(12), 상기 삽입 홈(13)에 끼워져 고정되는 템퍼 스위치(30), 상기 고정부(12) 단부에 형성된 케이블 접속부(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장치(10)는 브래킷(11)을 통하여 통상의 밸브스템에 결합 고정되는 장치로서 이때 밸브로는, 별도의 핸들 작동에 의하여 밸브스템이 회전하면 밸브가 개방/폐쇄되며 이 상태가 밸브스템 회전에 의한 템퍼 스위치(20)의 승강에 따른 스위치 눌림/해제에 의하여 감지되어 원거리 감시제어반 또는 수신기로 신호 전송되도록 설계된 일반적인 소방시설용 급수밸브를 상정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브래킷(11)은 밸브스템을 감싸는 형태의 C-링과 그 단부를 맞대 결합시키는 볼트로 구성된다. 다만, 이러한 브래킷(11) 형태가 본 발명에서 특별한 것은 아니다. 상기 고정부(12)는 브래킷(11) 일측에 형성되며 상면에 삽입 홈(13)이 형성된 것으로, 그 하면에는 제2 케이블(16b)이 통과하는 선로(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템퍼 스위치(30)는 고정부(12) 상면의 삽입 홈(13)에 끼워져 고정되며, 이때 탄력 스위치(31)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외부와 접촉 또는 분리되며, 그 전극단자는 홈(13) 내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케이블(16b)이 접속된다. 전술한 바, 밸브의 개방/폐쇄는 템퍼 스위치(30)의 승강에 따른 스위치(31)의 눌림/해제에 의하여 감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속부(14)는 삽입 홈(13)과 연통하는 하우징(17)과, 상기 하우징(17) 내부에 장착된 단자 커넥터(18) 및 상기 하우징(17) 일측에 형성된 연결 통로(1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부호 20은 상기한 하우징(17)의 커버이다. 제작의 편의상 상기 브래킷(11), 고정부(12) 및 접속부(14)는 플라스틱으로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로(19)는 접속 및 연결의 편의상 하우징(17)의 일측에 돌출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블은, 상기 통로(19)를 통해 하우징(17) 내로 인입되어 커넥터(18)로 연결되는 제1 케이블(16a)과, 상기 커넥터(18)에서 선로(15)를 통해 템퍼 스위치(30)로 연결되는 제2 케이블(16b)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케이블 연결구조는, 케이블이 직접 템퍼 스위치(30)로 연결되는 구조에 비하여, 공간적으로 유리하고 케이블의 연결/분리/점검/교체가 편리하여 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특히, 외부 압력이 많이 작용하는 제2 케이블(16b)을 공간적으로 비교적 조작이 용이한 하우징(17) 내에서 자유롭게 연결/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상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한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17)은 내부 바닥면에 돌출 형성된 거치부(21)를 더 포함하며, 이에 상기 커넥터(18)는 거치부(2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케이블(16a)과 제2 케이블(16b)은 상호 직각이 되는 관계로 설치된다. 달리 설명하면 상기 고정부(12)와 통로(19)가 직각되는 방향으로 구성되는 것인데, 이는 고정장치(10) 전체의 형태적·공간적 이익을 고려한 설계인 동시에 이로써 케이블(16a,16b) 전반에 전달되는 임의의 압력을 분산하는 장점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커넥터(18)는 일자형으로서 제2 케이블(16b)이 그 끝단에서 절곡되도록 하거나 아예 'ㄱ'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전자를 예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템퍼 스위치(30)는 상기 삽입 홈(13)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케이싱(32)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좌·우 대향으로 조립되어 상기 홈에 삽입되는 케이싱(32)과, 일측 또는 양측 케이싱(32) 내측에 고정되면서 전극단자(34)는 노출되어 상기 제2 케이블(16b)이 접속되도록 하는 두 전극(33), 두 전극(33)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32) 상측으로 돌출되며 스프링(36) 탄력에 의하여 눌림/해제되면서 두 전극(33)을 통전/단락시키는 스위치(31)를 포함한다.
구성의 콤팩트 및 견고성을 고려하여,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케이싱(32)은 원통형이며 상기 두 전극(33)은 라운드형으로 각 케이싱(32) 부분에 대칭으로 배치된다. 도면에서 부호 37은 스위치(31) 봉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스위치(31)와 함께 이동하면서 두 전극(33)을 통전/단락시키는 통전봉으로서, 여기의 통전봉(37) 구성은 공지의 것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템퍼 스위치(30)는 별도의 케이싱(32) 구조를 이용하여 설계됨으로써 그 안정성 및 견고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싱(32)은 노출된 전극단자(34) 및 제2 케이블(16b) 연결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측에 수평으로 돌출 형성된 커버부(35)를 포함한다.
10. 템퍼 스위치 고정장치
11. 브래킷
12. 고정부
13. 삽입 홈
14. 접속부
15. 선로
16a. 제1 케이블
16b. 제2 케이블
17. 하우징
18. 커넥터
19. 통로
20. 커버
21. 거치부
30. 템퍼 스위치
31. 스위치
32. 케이싱
33. 전극
34. 전극단자
35. 커버부
36. 스프링
37. 통전봉

Claims (7)

  1. 통상의 밸브스템에 결합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 일측에 형성되며 상면에 삽입 홈이 형성된 고정부, 상기 삽입 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템퍼 스위치를 포함하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단부에 형성된 케이블 접속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속부는:
    상기 삽입 홈과 연통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된 단자 커넥터 및 상기 하우징 일측에 형성된 연결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은:
    상기 통로를 통하여 하우징 내로 인입되어 커넥터로 연결되는 제1 케이블과, 상기 커넥터에서 템퍼 스위치로 연결되는 제2 케이블을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퍼 스위치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은 상호 직각이 되는 관계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퍼 스위치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일자형이거나 또는 'ㄱ'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퍼 스위치 고정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 바닥면에 돌출 형성된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거치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퍼 스위치 고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템퍼 스위치는:
    좌·우 대향으로 조립되어 상기 홈에 삽입되는 케이싱;
    일측 또는 양측 케이싱 내측에 고정되면서, 전극단자는 노출되어 상기 제2 케이블이 접속되도록 하는 대칭형 두 전극;
    두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 상측으로 돌출되며, 스프링 탄력에 의하여 눌림/해제되면서 두 전극을 통전/단락시키는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퍼 스위치 고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노출된 전극단자 및 제2 케이블 연결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측에 형성된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퍼 스위치 고정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32)은 원통형이며, 상기 두 전극(33)은 라운드형으로 각 케이싱(32) 부분에 대칭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퍼 스위치 고정장치.
KR1020220001283A 2022-01-05 2022-01-05 템퍼 스위치 고정장치 KR102419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283A KR102419391B1 (ko) 2022-01-05 2022-01-05 템퍼 스위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283A KR102419391B1 (ko) 2022-01-05 2022-01-05 템퍼 스위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391B1 true KR102419391B1 (ko) 2022-07-08

Family

ID=82407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1283A KR102419391B1 (ko) 2022-01-05 2022-01-05 템퍼 스위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3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705Y1 (ko) * 2012-02-23 2012-06-13 유성준 탬퍼 스위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705Y1 (ko) * 2012-02-23 2012-06-13 유성준 탬퍼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5351B1 (ko) 배전형 지중선로의 보호를 위한 전선관
US20120025994A1 (en) Environmental alarm sensor panel and related method for a telecommunication cable station
WO2011150535A1 (zh) 快接式户外防水电连接器
KR102047358B1 (ko) 화재진압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커넥터
KR102419391B1 (ko) 템퍼 스위치 고정장치
KR101792526B1 (ko) 내부식성 소화전
KR101227658B1 (ko) 누설전류 차단 기능을 갖는 콘센트
CN214667048U (zh) 一种雷达流量计
KR200486999Y1 (ko) 소방용 종단저항 접속함
KR101261455B1 (ko) 케이블접속구가 구비된 돔형 감시카메라
KR200460705Y1 (ko) 탬퍼 스위치
CN210827683U (zh) 新型消防栓
CN211885101U (zh) 一种带流量计的智能消火栓监测终端及消火栓
KR200490138Y1 (ko) 결합분리형 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
KR20070002229A (ko)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
JP2000091033A (ja) 接続装置
CN215427110U (zh) 一种用于消防管道泄露检测仪
KR200475286Y1 (ko) 템퍼 스위치
CN214313761U (zh) 一种带保险装置的连接器
KR200454355Y1 (ko) 개량 템퍼스위치 고정구
CN218411492U (zh) 一种电缆接头温度警示装置
US3902168A (en) Surge current indicator
CN219673889U (zh) 一种便于拆装的烟雾报警器
CN216565352U (zh) 矿用智能ai球机
JPH01115021A (ja) ガス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