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286Y1 - 템퍼 스위치 - Google Patents

템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286Y1
KR200475286Y1 KR2020140006805U KR20140006805U KR200475286Y1 KR 200475286 Y1 KR200475286 Y1 KR 200475286Y1 KR 2020140006805 U KR2020140006805 U KR 2020140006805U KR 20140006805 U KR20140006805 U KR 20140006805U KR 200475286 Y1 KR200475286 Y1 KR 2004752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main housing
unit
front plat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8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준
Original Assignee
유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준 filed Critical 유성준
Priority to KR20201400068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2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2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2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방시설의 급수부 등에 결합되어 밸브의 개폐 여부를 감시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템퍼 스위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고안에 따른 템퍼 스위치는, 소방시설의 급수부 밸브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의 개폐 상태를 감지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템퍼 스위치로서, 상호 결합되는 전면판 및 후면판을 포함하는 메인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의 전면판 외측면에 설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내부 관통홀을 구비한 볼트 형태를 갖는 고정유닛; 상기 메인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서브 하우징과 상기 서브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하우징의 외측으로부터 인입되는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들을 포함하는 단자유닛; 및 상기 단자유닛의 서브 하우징 및 상기 메인 하우징의 전면판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유닛의 내부 관통홀에 그의 끝단 일부분이 상기 고정유닛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삽입된 감지돌기와, 상기 고정유닛의 서브 하우징 외측으로부터 상기 감지돌기에 결합되는 스위치스프링을 포함하는 감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볼트 형태를 갖는 고정유닛이 상기 밸브에 볼트 결합되어 상기 밸브에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템퍼 스위치{Temper switch}
본 고안은 탬퍼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방시설의 급수부 등에 결합되어 밸브의 개폐 여부를 감시하는 템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 쿨러 등의 소방시설의 급수부는 개폐 밸브를 포함하며, 이러한 밸브의 개폐 상태를 원거리에 배치된 감시제어반 또는 수신기에서 감지하여 알람에 의한 신호음이나 램프에 의한 점멸 등으로 표시함으로써 상기 밸브의 개폐 상태를 확인하도록 하고 있다.
이는 소방시설의 배관을 수리 및 교체 후, 밸브를 잠금 상태로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화재 시 스프링 쿨러가 동작하지 않아, 많은 피해가 유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급수부에 템퍼 스위치를 장착함으로써 밸브의 개폐 여부를 감지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소방시설의 밸브에 장착되는 템퍼 스위치를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밸브는 디스크가 내장된 바디(140), 디스크와 연결되어 상,하 이동하는 밸브스템(120), 밸브스템(12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핸들(110), 그리고, 핸들(110)과 바디(140) 사이에 장착되는 요크(130)를 포함한다.
템퍼 스위치는 밸브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200)와, 리미트스위치(200)를 밸브스템(120)에 장착하기 위한 브라켓(235)과, 브라켓(235)과 볼트(225)로 결합되는 뒤판(230) 및 리미트스위치(200)의 하측에 볼트(225)로 장착된 커플링(220)을 포함한다. 상기 리미트스위치(200)에 연결된 스위칭스프링(210)은 밸브스템(120)에 장착된 커플링(220)과 요크(130) 사이에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핸들(110)을 조작하여 밸브스템(120)을 위로 올리면 밸브가 개방되고, 아래로 내리면 밸브가 폐쇄되며, 이 상태는 밸브스템(120)에 고정된 리미트스위치(200)의 스위칭스프링(210)의 접촉 및 이격에 의해 감지되어 원거리의 감시제어반 또는 수신기로 신호 전송된다.
그런데, 상기한 밸브 구조 및 템퍼 스위치 구조는 밸브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 이용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설치공간이 매우 협소하기 때문에 이러한 복잡한 구조를 적용시키기가 매우 까다로운 문제가 있으며, 특히,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별도의 템퍼 스위치 고정구가 제안됨으로써 이러한 템퍼 스위치 고정구를 이용해서 밸브에의 템퍼 스위치 고정이 보다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43767에 개시된 고정구가 그것인데, 자세하게 도시하고 설명하지는 않지만, 이와 같은 고정구를 이용하는 경우는 기존에 비해 템퍼 스위치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은 있지만, 브라켓의 구조 및 결합구조가 복잡하고, 그에 따라 조립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스프링에 의한 유격 조정은 탄성 손실에 의한 부작용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상존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43767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66061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60705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별도의 고정구를 이용함이 없이도 밸브에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템퍼 스위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제작 비용이 저렴한 템퍼 스위치를 제공함에 그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템퍼 스위치는, 소방시설의 급수부 밸브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의 개폐 상태를 감지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템퍼 스위치로서, 상호 결합되는 전면판 및 후면판을 포함하는 메인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의 전면판 외측면에 설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내부 관통홀을 구비한 볼트 형태를 갖는 고정유닛; 상기 메인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서브 하우징과 상기 서브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하우징의 외측으로부터 인입되는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들을 포함하는 단자유닛; 및 상기 단자유닛의 서브 하우징 및 상기 메인 하우징의 전면판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유닛의 내부 관통홀에 그의 끝단 일부분이 상기 고정유닛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삽입된 감지돌기와, 상기 고정유닛의 서브 하우징 외측으로부터 상기 감지돌기에 결합되는 스위치스프링을 포함하는 감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볼트 형태를 갖는 고정유닛이 상기 밸브에 볼트 결합되어 상기 밸브에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템퍼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단자유닛은 상기 고정유닛으로부터 돌출된 감지돌기 부분이 상기 밸브와의 접촉 유무에 따라 상기 밸브의 개폐 유무 신호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템퍼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하우징의 전면판 및 후면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단자유닛의 서브 하우징이 삽입되는 내부 홈이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템퍼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하우징은 그의 상단면에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결합에 의해 원형 홈이 만들어지며, 상기 원형 홈의 표면에는 관 연결유닛과의 연결을 위해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템퍼 스위치에 따르면, 전체 구성을 단순하게 함과 아울러, 메인 하우징에 볼트 형태를 가지면서 내부에 감지돌기가 돌출 가능하게 삽입된 고정유닛을 설치해 줌으로써, 이러한 고정유닛을 볼트 결합하는 것에 의해 소방시설 급수부의 밸브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템퍼 스위치는 그 구성이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이 저렴하며, 무엇보다 별도의 고정구를 이용하지 않고도 급수부 밸브에 매우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경쟁력이 매우 우수하다.
도 1은 종래 급수밸브에 장착된 템퍼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템퍼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템퍼 스위치와 밸브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템퍼 스위치의 결합부에 관결합부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상의 본 고안의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실시 예들을 통하여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또한, 제1구성요소가 제2구성요소 상에서 동작 또는 실행된다고 언급될 때,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가 동작 또는 실행되는 환경에서 동작 또는 실행되거나 또는 제2구성요소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을 통해서 동작 또는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즉,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면에서의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어떤 경우에는 고안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고안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템퍼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템퍼 스위치(100)는 메인 하우징(10), 고정유닛(20), 단자유닛(30) 및 감지유닛(40)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템퍼 스위치(100)는 관 결합유닛(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하우징(10)은 전면판(10-1)과 후면판(10-2)으로 구성되어 상호 결합시 대체로 사각 박스 형상의 외관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메인 하우징은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하우징(10)에 있어서, 적어도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전면판(10-1)에는 후면판(10-2)과 마주하는 내측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단자유닛(30)이 삽입 배치되는 내부 홈(도시안됨)이 구비되며, 또한, 내부 홈으로부터 전면판(10-1)의 외측면까지 도달하는 제1관통홀(도시안)이 구비된다. 여기서, 이후에 설명되겠지만, 제1관통홀은 감지유닛(40)의 감지돌기(42) 및 스위치스프링(44)이 삽입되기 위한 구성이다.
전면판(10-1)과 결합되는 후면판(10-2)에는 단자유닛(30)과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서 전면판(10-1)에 마련된 내부 홈과 마주하는 내측면 부분에 홈(도시안됨)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홈의 깊이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단자유닛(30)이 삽입되는 홈의 대부분을 전면판(10-1)에 마련하고, 후면판(10-2)에는 단자유닛(10a)과의 용이한 결합을 위한 깊이로만 홈을 형성하지만, 이와 다르게 전면판(10-1) 및 후면판(10-2)에 동일 깊이로 내부 홈들을 형성함으로써 단자유닛(30)이 전면판(10-1) 및 후면판(10-2)의 내부 홈들에 반씩 삽입 배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메인 하우징(10)은 그의 상단면에 관 결합유닛(60)과의 결합을 위해 전면판(10-1)과 후면판(10-2)이 상호 결합되어 만들어지는 원형 홈(12)을 구비하며, 이러한 원형 홈(12)의 표면에는 나사산(14)이 형성된다. 또한, 원형 홈(16)의 저면 중앙부에는 내부 홈에 도달하는 깊이로 제2관통홀이 형성되며, 이러한 제2관통홀(18)을 통해 외부로부터 내부 홈(12)으로 전선(60)이 삽입된다.
메인 하우징(10)은 전면판(10-1)과 후면판(10-2)의 상호 결합을 위해 적절한 위치, 예를 들어, 각 모서리 인접 부위들에 나사 홀들(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나사 홀들(14)은 전면판(10-1)에서는 관통하는 깊이로, 그리고, 후면판(10-2)에는 소정 깊이까지만 도달하는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후면판(10-2)의 나사 홀은 견고한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상기 고정유닛(20)은 밸브(200)에의 결합을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볼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볼트 형태의 고정유닛(20)은 밸브(200)에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볼트 형태의 고정유닛(20)은 길이 방향에 따른 그 내부 중앙에 감지유닛(40)의 감지돌기(42)의 삽입 및 돌출을 위한 중앙 제3관통홀(도시안됨)이 마련된다.
이러한 볼트 형태의 고정유닛(20)은 메인 하우징(10)의 전면판(10-1) 외측면에, 예를 들어, 스크류 방식에 따라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단자유닛(30)은 서브 하우징(32)과 한 쌍의 단자(3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하우징(32)은 메인 하우징(10)의 내부 홈에 삽입 배치되는 것으로서, 열에 잘 녹지않는 내열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단자들(34)이 삽입될 요홈들 및 감지유닛(40)의 감지돌기(42) 및 스위치스프링(44)의 삽입을 위한 중앙홀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중앙홀은 메인 하우징(10)에 결합되는 고정유닛(40)의 제3관통홀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감지돌기(42)가 고정유닛(20)의 제3관통홀에 삽입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단자(34)는 본 고안에 따른 템퍼 스위치(100)의 외부로부터 그 내부로 인입된 케이블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 및 (-) 단자들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서브 하우징(32)이 이격해서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단자들(34)의 형태 및 단자들(34)이 삽입되는 요홈들의 형태는 다양하게 설계 변경 가능하다.
상기 감지유닛(40)은 밸브(200)의 개폐 유무를 감지하고, 그 결과를 전송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감지돌기(42) 및 스위치스프링(44)을 포함한다. 감지돌기(42)는 단자유닛(30)의 서브 하우징(32)에 마련된 중앙홀을 관통하여 볼트 형태를 갖는 고정유닛(20)의 제3관통홀 내에 삽입되면서 그 끝단 일부가 고정유닛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삽입되며, 스위치스프링(44)은 감지돌기(42)를 밀어줄 수 있도록 단자유닛(30)의 서브 하우징(32)에 마련된 중앙홀에 삽입된다. 따라서, 감지돌기(42)는 그의 끝단 일부분만 고정유닛(20)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도록 단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스위치스프링(44)은 감지돌기(42)의 단턱 상에 안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스위치스프링(44)의 일부분은 서브 하우징(32)으로부터 돌출되며, 이렇게 돌출된 스위치스프링(44) 부분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메인 하우징(10)의 후면판(10-2)과 접촉하게 되고, 따라서, 감지돌기(42)는 스위치스프링(44)에 의해 밀리게 되어 그 끝단이 고정유닛(20)의 제3관통홀로부터 돌출하게 되며, 반대로, 밸브의 밸브스템과의 접촉시에는 고정유닛(20) 쪽으로 밀리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템퍼 스위치(100)는 그 구성이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제작 비용 또한 저렴하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템퍼 스위치(100)는 볼트 형태를 갖는 그의 고정유닛(20)을 밸브에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밸브에의 결합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그 설치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고정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서 경쟁력이 매우 높다.
자세하게,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템퍼 스위치와 밸브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템퍼 스위치(100)는 그의 고정유닛(20)에 의해 밸브(200)에 결합된다. 즉, 본 고안에 템퍼 스위치(100)는 특별한 고정구를 이용함이 없이, 단지, 그의 고정유닛(20)이 볼트 형태를 갖도록 마련된 것에 의해 밸브의 소정 부위에 나사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밸브(200)는 자세하게 도시되지 않았으나 볼트 삽입홀을 구비한 바디와, 바디 내부에 설치되어 좌,우 또는 상,하 이동하는 밸브스템, 그리고, 밸브스템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고안에 따른 템퍼 스위치(100)는 볼트 형태를 갖는 그의 고정유닛(20)이 바디에 마련된 볼트 삽입홀에 볼트 결합된다. 이때, 감지돌기(42)의 끝 부분은 고정유닛(20)의 제3관통홀로부터 돌출하여 밸브의 일부분, 예를 들어, 밸브스템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볼트 삽입홀은 기존 밸브(200)에 있는 것으로, 즉 밸브(200) 자체의 조립을 위해 기존에도 있는 것으로, 기존의 볼트 삽입홀에 삽입결합되는 볼트 대신 본 고안의 고정유닛(20)이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템퍼 스위치(100)를 밸브(200)에 결합시킨 경우, 핸들을 조작하여 밸브스템을 우측 또는 위로 올리면 밸브가 개방되며, 이때, 감지돌기(42)가 밸브스템과 이격하는 것에 의해 밸브가 오픈되었음이 감지되어 그에 해당하는 신호를 단자유닛(30)을 통해 원거리의 감시제어반 또는 수신기로 전송하게 되고, 반대로, 핸들을 조작하여 밸브스템을 좌측 또는 아래로 내리면 밸브가 폐쇄되며, 이때, 감지돌기(42)가 밸브스템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밸브가 폐쇄되었음이 감지되어 그에 해당하는 신호를 단자유닛(30)을 통해 원거리의 감시제어반 또는 수신기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감지돌기(42)의 밸브스템과의 접촉 유무는, 예를 들어, 스위칭스프링(44)이 밀려나오는 정도에 따라, 또는, 단자(34)에 인접하는 감지돌기(42)의 단부가 단자들(34)과 접촉하는 유무에 의해 파악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른 템퍼 스위치(100는 그 구성이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이 저렴하며, 무엇보다도 볼트 형태를 갖는 그의 고정유닛(20)을 밸브의 볼트 삽입홀에 볼트 결합하는 것만으로 손쉽게 밸브에의 결합을 이룰 수 있어서, 그 설치가 매우 용이하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템퍼 스위치의 결합부에 관 결합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본 실시 예에서 관 결합유닛 이외에 다른 구성요소들은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의 그것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이하에서는 관 결합유닛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템퍼 스위치(100)는 그의 메인 하우징(10)에 마련된 원형 홀(12)에 관 결합유닛(6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관 결합유닛(60)은 오링 및 볼트를 포함한 다양한 부품들로 구성 가능하며, 케이블을 포함한 템퍼 스위치(100)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은 물론, 기타 다른 부품들과의 용이한 결속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상, 여기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정신과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다.
10: 메인 하우징 12: 원형 홈
14: 나사 삽입홀 20: 고정유닛
30: 단자유닛 32: 서브 하우징
34: 단자 40: 감지유닛
42: 감지돌기 44: 스위치스프링
50: 케이블 60: 관 결합유닛
200: 밸브

Claims (4)

  1. 소방시설의 급수부 밸브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의 개폐 상태를 감지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템퍼 스위치로서,
    상호 결합되는 전면판 및 후면판을 포함하는 메인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의 전면판 외측면에 설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내부 관통홀을 구비한 볼트 형태를 갖는 고정유닛;
    상기 메인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서브 하우징과 상기 서브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하우징의 외측으로부터 인입되는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들을 포함하는 단자유닛; 및
    상기 단자유닛의 서브 하우징 및 상기 메인 하우징의 전면판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유닛의 내부 관통홀에 그의 끝단 일부분이 상기 고정유닛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삽입된 감지돌기와, 상기 고정유닛의 서브 하우징 외측으로부터 상기 감지돌기에 결합되는 스위치스프링을 포함하는 감지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볼트 형태를 갖는 고정유닛이 상기 밸브에 볼트 결합되어 상기 밸브에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퍼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유닛은 상기 고정유닛으로부터 돌출된 감지돌기 부분이 상기 밸브와의 접촉 유무에 따라 상기 밸브의 개폐 유무 신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퍼 스위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하우징의 전면판 및 후면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단자유닛의 서브 하우징이 삽입되는 내부 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퍼 스위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하우징은 그의 상단면에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결합에 의해 원형 홈이 만들어지며, 상기 원형 홈의 표면에는 관 연결유닛과의 연결을 위해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퍼 스위치.
KR2020140006805U 2014-09-18 2014-09-18 템퍼 스위치 KR2004752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805U KR200475286Y1 (ko) 2014-09-18 2014-09-18 템퍼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805U KR200475286Y1 (ko) 2014-09-18 2014-09-18 템퍼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286Y1 true KR200475286Y1 (ko) 2014-11-20

Family

ID=52291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805U KR200475286Y1 (ko) 2014-09-18 2014-09-18 템퍼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286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3763U (ko) * 1997-09-30 1999-04-26 이석재 소방설비용 개폐밸브의 개폐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3763U (ko) * 1997-09-30 1999-04-26 이석재 소방설비용 개폐밸브의 개폐감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7573B1 (ja) 発信機及び表示灯付き発信機
KR101305625B1 (ko) 소방 밸브 개폐 감지용 탬퍼 스위치
KR200475286Y1 (ko) 템퍼 스위치
JP2007102555A (ja) 防災防犯機器の防水構造
KR101915148B1 (ko) 개선된 기능을 갖는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 컨넥터
KR200460705Y1 (ko) 탬퍼 스위치
KR101705497B1 (ko)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
KR100673989B1 (ko) 경고기능이 구비된 공동주택의 외벽설치용 방범커버
KR101193117B1 (ko) 공동주택의 led 통전 배전선 보호관
EP1320405A1 (en) Sprinkler system
KR200482975Y1 (ko) 조립이 용이한 등기구 장치
CN205722269U (zh) 一种用于火灾探测器的蜂鸣器底座及火灾探测器
KR102056171B1 (ko) 특고압 배전선로 전선관장치
KR101482179B1 (ko) 화재감지기
JP2006053598A (ja) 警報装置
US7515057B2 (en) Power socket having a reed to activate an alarm
KR101625113B1 (ko) 지중배전케이블의 배전연결을 위한 배전반
KR20100011923U (ko) 개량 템퍼스위치 고정구
KR101725977B1 (ko) 공동주택용 전기설비의 안전장치
KR200369300Y1 (ko) 수동조작함
CN219457522U (zh) 一种带声光报警装置的熔断器
KR102419391B1 (ko) 템퍼 스위치 고정장치
JP3925596B2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
KR100594935B1 (ko) 경보기가 채용된 유수검지장치
KR101439144B1 (ko) 퓨즈박스 커버의 체결 이상 알림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