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300Y1 - 수동조작함 - Google Patents
수동조작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69300Y1 KR200369300Y1 KR20-2004-0024790U KR20040024790U KR200369300Y1 KR 200369300 Y1 KR200369300 Y1 KR 200369300Y1 KR 20040024790 U KR20040024790 U KR 20040024790U KR 200369300 Y1 KR200369300 Y1 KR 20036930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case
- cover body
- outside
- cover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은 건물의 지정된 구역에 설치되어 화재 예방이나 진화 등을 위한 각종 설비를 용이하게 작동 및 제어할 수 있으며, 특히 벽체와 같은 피고정측에 돌출 또는 매립되는 형태로 설치될 때에 만족할만한 설치 호환성 등을 얻을 수 있는 수동조작함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수동조작함은, 건물의 화재 예방 및 진화를 위한 설비들의 작동 및 제어를 위한 부품들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공간부를 가리는 자세로 설치되는 커버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스에 대응하는 가림 면적을 가지는 커버 본체와, 이 커버 본체에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는 일부 부품을 외부에서 식별 및 조작이 가능하게 가리기 위한 보호판과, 상기 커버 본체측에서 상기 보호판들을 외부로부터 개방 가능하게 차단하는 보조 커버와, 상기 커버 본체측에서 상기 케이스에 대응하는 가림 면적의 확장을 위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림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수동조작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은 건물의 지정된 구역에 설치되어 화재 예방이나 진화 등을 위한 각종 설비를 용이하게 작동 및 제어할 수 있으며, 특히 벽체와 같은 피고정측에 돌출 또는 매립되는 형태로 설치될 때에 만족할만한 설치 호환성 등을 얻을 수 있는 수동조작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아파트 등에는 화재 예방 및 진화를 위한 설비 예를들면, 스프링클러장치나 소화약제 장치, 제연장치 등이 설치되고, 이 장치들은 수동조작함에 의해 작동 및 제어된다.
상기 수동조작함은 상기 장치들의 작동 및 제어 등을 위한 배선 기판과 스위치, 램프, 통신용 잭이나 마이크 등과 같은 수동 조작을 위한 부품들이 구비되어 화재시 이들을 직접 조작하면서 상기한 화재 예방 및 진화 등을 위한 장치를 작동 및 제어함과 아울러 중앙방재실이나 관리실 등에 신속하게 화재발생을 알릴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수동조작함의 일반적인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내부에 화재 예방 및 진화 등을 위한 장치들의 작동 및 제어를 위해 배선기판이나 램프, 스위치, 통신용 잭 등과 같은 부품들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한 케이스와, 이 케이스 내부 공간을 외부로부터 가리는 자세로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는 건물에 요구되는 소방 환경 등에 따라 예를들면, 각 경계구역의 출입문 외측의 벽체측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거나 돌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는 상기 케이스의 공간 전체를 가릴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측과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결합되며, 이때 상기 커버에 가려지는 일부 부품 예를들면, 물리적인 조작을 행하여야하는 스위치 등은 외부에서 식별 및 조작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커버측에 투명한 아크릴과 같은 보호판이 부착되어 이 보호판에 의해 식별이 가능한 상태로 가려진다.
상기 보호판은 상기 커버측에 부착될 때에 화재시 외부에서 손이나 막대 등으로 강하게 누루면 상기 커버에서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끼움 결합이나 접착제 등으로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와 같이 케이스가 커버에 가려질 때에 상기 보호판으로 스위치와 같은 일부 부품을 외부에서 식별이 가능한 상태로 가리는 이유는 평상시 보행자의 보행 또는 아이들의 호기심에 의한 물리적인 접촉 등에 의해 오작동이 유발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수동조작함은, 상기 화재예방 및 진화를 위한 설비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부품 즉, 스위치가 외부에서 식별이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에 부착된 투명한 보호판에 의해 전체가 가려지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는 예를들면, 주기적으로 행해지는 소방 점검이나 유지 보수시에 상기 스위치의 작동 여부 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기 보호판을 상기 커버에서 강제로 분리하거나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기 커버를 분리하여야만 하므로 점검 등을 위한 작업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과다한 시간 등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상기 커버는 상기 케이스에 대응하는 일정한 가림 면적으로만 형성되므로 예를들면, 상기 케이스가 벽체 내부에 매립 설치될 때에는 상기 케이스 테두리와 벽체 사이의 틈새 등이 발생되어 미관이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이물질 등이 유입될 수 있으므로 그 구조상 만족할 만한 설치 품질을 얻을 수 없다.
특히, 상기와 같은 커버의 구조는 상기 케이스의 설치 형태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가림 면적을 가지는 크기로 각각 제작하여야 하므로 과다한 제작비가 소요됨은 물론이거니와 만족할 만한 설치 호환성 등을 기대하기 어렵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스위치가 상기 커버측의 투명한 보호판에 의해서만 외부로부터 식별이 가능하게 가려지면,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에 의한 파손은 물론이거니와 오작동 등이 쉽게 유발되어 제품의 수명 및 신뢰도 등을 저하시키는 한 요인이 된다.
게다가, 상기 스위치가 상기 투명한 보호판에 가려져서 외부에 그대로 식별이 가능한 상태로 셋팅되면 예를들어 어린 아이들로부터 시각적인 호기심을 유발하여 오작동이나 파손 등이 더욱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케이스의 설치 환경에 따라 커버의 가림 면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더욱 향상된 설치 호환성 및 기능성 등을 얻을 수 있는 수동조작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건물의 화재 예방 및 진화를 위한 설비들의 작동 및 제어를 위한 부품들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공간부를 가리는 자세로 설치되는 커버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스에 대응하는 가림 면적을 가지는 커버 본체와, 이 커버 본체에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는 일부 부품을 외부에서 식별 및 조작이 가능하게 가리기 위한 보호판과, 상기 커버 본체측에서 상기 보호판들을 외부로부터 개방 가능하게 차단하는 보조 커버와, 상기 커버 본체측에서 상기 케이스에 대응하는 가림 면적의 확장을 위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림판을 포함하는 수동조작함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동조작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동조작함의 커버 어셈블리의 배면측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동조작함이 벽체측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매립 설치에 대응하는 가림면적을 가지도록 셋팅된 커버 어셈블리의 결합사시도.
도 5, 도 6은 도 1의 커버 어셈블리에서 보조 커버의 구조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단면도.
도 7, 도 8은 도 1의 커버 어셈블리에서 커버 본체와 가림판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단면도.
도 9는 도 3의 다른 설치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돌출 설치에 대응하는 가림면적을 가지도록 셋팅된 커버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수동조작함은, 공간부(G)가 형성되는 케이스(2)와, 이 케이스(2)의 공간부(G)를 가리는 자세로 설치되는 커버 어셈블리(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2)가 도 3에서와 같이 벽체(W) 내측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고, 화재 진화를 위하여 건물에 설치되는 이미 잘 알려진 소화약제 설비의 작동 및 제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일예로 설명한다.
상기 케이스(2)는 도 1에서와 같이 일측이 개구된 공간부(G)가 내부에 형성되는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도 3에서와 같이 벽체(W)의 매립홈(W1)측에 끼워질 때에 상기 공간부(G)의 개구측이 후술하는 커버 어셈블리(4)에 의해 외부로부터 가려질 수 있도록 셋팅된다.
상기 케이스(2)의 재질은 내구성 및 내부식성 등이 우수한 합성수지이거나 금속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공간부(G)에는 소화약제 설비의 작동 및 제어를 위해 도 2에서와 같은 부품(P) 즉, 기판과 같은 배선용 부품(P1)과 스위치와 같은 조작용부품(P2), 램프와 같은 표시용 부품(P3) 그리고, 인터폰 등의 연결을 위한 잭이나 마이크와 같은 통신용 부품(P4) 등이 후술하는 커버 어셈블리(4)에 의해 전체 또는 일부분이 가려질 수 있는 상태로 위치하고, 이들은 도면에서와 같이 후술하는 커버 어셈블리(4)의 배면측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부품(P)들은 소화약제 설비의 작동 및 제어를 위하여 건물에 설치되는 수동조작함 등에 이미 널리 사용되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부품(P)들은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2) 상부측에 뚫려진 배선용 홀들을 통하여 소화약제 설비의 작동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전기선 등으로 배선되며, 이와 같은 전기적 연결구조는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커버 어셈블리(4)는 상기 벽체(W) 내부에 매립 설치되는 케이스(2) 즉, 공간부(G)의 개구측을 가리는 자세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스(2) 의 공간부(G)를 가리는 자세로 설치되는 커버 본체(6)와, 이 커버 본체(6)에서 상기 케이스(2) 내측에 위치하는 부품(P)중에서 외부에서 물리적인 조작이 이루어지는 조작용 부품(P2)을 식별 및 조작이 가능하게 가리기 위한 보호판(8)과, 이 보호판(8)들을 외부로부터 선택적으로 개방 가능하게 차단하기 위한 보조 커버(10)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커버 본체(6)에서 가림 면적의 확장을 위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림판(12)을 더욱 포함한다.
상기 커버 본체(6)는, 상기 케이스(2)의 공간부(G)에 대응하여 도 3에서와 같은 자세로 결합하고, 이와 같은 자세로 상기 공간부(G) 전체를 가릴 수 있는 크기 범위내로 이루어진다. 이 커버 본체(6)와 상기 케이스(2)의 결합은 도 1에서와 같은 체결부재(14) 즉, 볼트의 체결력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결합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커버 본체(6)는 내구성 및 내부식성 등이 우수한 합성수지이거나 금속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미 잘 알려진 성형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 본체(6)는 외부에서 볼 때에 식별이 용이하도록 예를들면, 적색이나 청색, 주황색 등으로 고유의 표면 색상이 표현되도록 도료 등으로 코팅 처리하거나 성형시 안료 등을 섞어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보호판(8)은 상기 커버 본체(6)에서 상기 케이스(2) 내측에 위치하는 부품(P)들 중에서 물리적인 조작이 이루어지는 스위치와 같은 조작용 부품(P2)에 대응하여 외부에서 식별이 가능한 상태로 가리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커버 본체(6)에 설치되면서 상기 케이스(2) 내측에 위치하는 조작용 부품(P2)즉, 2개의 스위치들과 대응하여 뚫려진 홀(16)들의 개방된영역 전체를 가릴 수 있는 위치에 상기 보호판(8)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배선용 부품(P1)은 상기 커버 본체(6)에 의해 전체가 가려지고, 나머지 표시용 부품(P3)과 통신용부품(P4) 등은 외부에서 식별 및 통신 등이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 본체(6)의 표면측에서 도 4에서와 같은 상태로 셋팅될 수 있다.
상기 보호판(8)은 투명한 아크릴과 같은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보호판(8)에는 상기 조작용 부품(P2)을 외부에서 제한적인 범위내에서 물리적인 접촉이 가능하도록 도 5에서와 같이 중심부측에 일정한 크기로 뚫려진 가이드홀(18)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보호판(8)측에 가이드홀(18)이 형성되면 예를들어, 상기 케이스(2)측에 상기 커버 본체(6)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용 부품(P2) 즉, 스위치들의 작동을 주기적으로 점검할 때에 상기 커버 본체(6) 또는 상기 보호판(8)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가이드홀(18)을 통하여 스위치를 눌러서 작동 여부를 용이하게 테스트할 수 있으므로 점검이나 유지보수 시에 더욱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판(8)은 상기 커버 본체(6)측에서 상기 조작용 부품(P2)들의 위치에 대응하여 뚫려진 홀(16)들에서 도 5에서와 같은 모양의 돌기부들에 의해 끼움 결합으로 고정되거나 접착제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 본체(6)에 형성되는 홀(16)측에 상기 보호판(8)이 고정될 때에는 예를들면, 화재시 손이나 막대 등으로 누루면 상기 커버 본체(6)측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범위의 고정력을 갖도록 결합되어야 한다.
만일, 상기 보호판(8)이 상기 커버 본체(6)측에 너무 견고하게 고정되면 화재시 상기 보호판(8)들이 원활하게 분리되지 못하게 되므로 화재 진압 등이 지연될 수 있고, 상기 커버 본체(6)측에서 만족할 만한 고정력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가 되어도 보행자나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 등에 의해 쉽게 분리되어 오작동은 물론이거니와 파손 등이 쉽게 유발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본체(6)측에는 상기 보호판(8)들에 대응하여 이들을 외부로부터 선택적으로 가리기 위한 보조 커버(1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보조 커버(10)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커버 본체(6)측에서 상기 보호판(8)들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들을 가릴 수 있는 면적을 가지며 도면에서와 같이 일측변이 상기 커버 본체(6)측과 힌지 결합되어 이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는 이미 잘 알려진 여닫이 도어 형태의 개폐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 본체(6)와 보조 커버(10)가 동일한 표면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커버 본체(6)에는 보조 커버(10)가 설치되는 위치에 도 5에서와 같은 모양의 자리홈이 일정한 깊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보조 커버(10)의 개폐 구조는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보조 커버(10)는 상기 커버 본체(6)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커버 본체(6)측에서 상기 보호판(8)들에 대응하여 이들이 점유하는 면적을 개폐 동작에 의해 외부로부터 개방 가능하게 가릴 수 있는 크기 범위내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커버 본체(6)측에 상기 조작용 부품(P2) 즉, 스위치들을 식별 가능하게 가리는 보호판(8)을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가리거나 개방이 가능하도록 보조 커버(10)가 설치되면, 필요시에 따라 상기 조작용 부품(P2)을 외부로부터 이중으로 보호할 수 있으므로 보행이나 물리적인 충격 등에 의한 오작동이나 파손 등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보호판(8)들에 의해 상기 조작용 부품(P2)이 외부에 식별 가능한 상태로만 가려지면 어린 아이들로 하여금 시각적인 호기심을 자극하여 이로 인한 오작동이나 파손 등에 의해 잦은 유지보수를 행하여야하므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되는 것을 상기 보조 커버(10)에 의해 미연에 방지가 가능한 가림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보조 커버(10)는 상기 커버 본체(6)에서 개폐 동작될 때에 이와 같은 개폐 동작의 센싱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보조 커버(10)측에는 센싱돌기(20)가 도면에서와 같은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 본체(6)측에는 상기 센싱돌기(20)의 센싱이 가능하도록 센서(22)가 셋팅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센서(22)는 이미 잘 알려진 광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센서(22)는 상기 보조 커버(10)가 도 6에서와 같이 닫힌 상태에서 도 5에서와 같이 열리면서 상기 센싱돌기(20)가 센싱 영역을 벗어난 상태가 되면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센서(22)는 상기 보조 커버(10)가열리면 이를 센싱하여 예를들면, 중앙방재실이나 관리실 등에 센싱된 신호의 전송이 가능한 시스템과 같이 설치되는 경우 원거리에서도 상기 보조 도어(10)의 개폐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센싱 구조는 외부에서 무단 조작이나 어린아이들에 의한 오작동이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센서(22)가 광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물리적인 접촉력으로 센싱이 이루어지는 이미 잘 알려진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본 고안의 목적을 만족하는 센싱 구조를 갖는 센서는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림판(12)은 상기 커버 본체(6)에서 가림 면적의 확장이 가능하도록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커버 본체(6) 4개의 테두리변 크기에 대응하는 결합홈(24)을 갖으며 상기 4개의 변들에서 외측을 향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연장된 가림 면적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도면에서와 같은 모양으로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가림판(12)의 재질은 상기 커버 본체(6)와 동일한 재질 즉, 합성수지이거나 금속이 사용될 수 있으며, 몰드 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가림판(12)과 상기 커버 본체(6)는 물리적인 접촉에 의한 끼움 결합력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림판(12) 즉, 결합홈(24)의 테두리측에 도 2에서와 같은 돌기(26)들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 본체(6)의 테두리측에는 상기 돌기(26)들에 대응하는 홈(28)들이 형성되어 이들의끼움 결합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림판(12)은 상기 커버 본체(6)와 결합될 때에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커버 본체(6)의 후방측에서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예를들면, 상기 홈(28)의 구간이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커버 본체(6)의 후방측을 향하여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커버 본체(6)를 상기 케이스(2)측에 결합 한 후 상기 커버 본체(6)와 결합된 가림판(12)이 상기 커버 본체(12)측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가림판(12)는 상기 커버 본체(6)측에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커버 본체(6)의 가림 면적을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가림판(12)이 상기 커버 본체(6)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2)측에 결합되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2)의 테두리와 이 케이스(2)가 매립되는 벽체(W)의 매립홈(W1)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 등을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가릴 수 있으므로 미관 향상은 물론이거니와 상기 틈새(W1)사이로 외부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가림판(12)이 상기 커버 본체(6)측에 결합되어 벽체(W)측에 매립된 케이스(2)의 테두리 외측을 향하여 더욱 확장된 가림 면적의 확보가 가능하게 셋팅되는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상기 케이스(2)가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벽체(W)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될 때에는 상기 가림판(12)을 상기 커버 본체(6)측에서 분리하여 이 본체(6)에의해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2)만 가려진 상태가 되도록 셋팅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케이스(2)가 상기 벽체(W)측에 매립 또는 돌출된 상태로 설치될 때에 상기 가림판(12)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2)를 가리기 위한 면적을 선??적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더욱 향상된 설치 호환성을 얻을 수 있으며,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돌기(26)와 홈(28)들의 끼움 결합력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면서 간단하게 가림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동조작함은, 도 3 및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2)가 벽체(W)측에 도면에서와 같이 매립 또는 돌출 설치된 후, 이 케이스(2)가 상기 커버 어셈블리(4)에 가려진 상태에서 예를들면, 상기 커버 본체(6)의 보조 커버를(10)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2) 내측에서 물리적인 조작이 이루어지는 스위치와 같은 조작용 부품(P2)을 도 5에서와 같은 개폐 동작으로 개방이 가능하게 차단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조작용 부품(P2) 즉, 스위치들의 작동 여부 등을 주기적으로 점검할 때에 상기 케이스(2)측에서 상기 커버 본체(6)를 분리하지 않고도 상기 보조 커버(10)를 연 상태로 상기 보호판(8)의 가이드홀(18)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을 통하여 작동 여부를 용이하게 테스트할 수 있으므로 더욱 향상된 기능성 및 사용 편의성 등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본체(6)는 상기 케이스(2)에 대응하여 가림 면적의 확장이 가능한 구조 즉, 상기 케이스(2)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벽체(W)에 매립 설치될 때에는 상기 가림판(12)을 상기 커버 본체(6)측에 결합하여 상기 케이스(2)는 물론이거니와 이 케이스(2)의 외측 테두리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확장된 가림 면적에 의해 예를들면, 상기 케이스(2)의 테두리와 상기 벽체(W)의 매립홈(W1)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들을 외부로부터 가릴 수 있으므로 이 틈새측에 이물질들이 유입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미관 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반대로 상기 케이스(2)가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벽체(W)에서 돌출 설치될 때에는 상기 커버 본체(6)에서 상기 가림판(12)을 분리하여 상기 케이스(2)에 대응하는 크기의 가림 면적을 갖도록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요구되는 설치 환경에 따라 최적의 가림 환경을 제공하여 만족할 만한 설치 호환성 및 기능성 등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동조작함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케이스가 벽체에 매립 또는 돌출 설치될 때에 이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 어셈블리 즉, 커버 본체에서 가림판을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시키면서 최적의 가림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만족할 만한 설치 호환성 및 기능성 등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커버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스 내측에 위치하는 스위치와 같은 부품을 상기 보호판에 의해 식별 가능하게 가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보호판들을 보조 커버에 의해 외부로부터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차단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물리적인 충격은 물론이거니와 어린 아이들에 의한 무단 조작 등에 의해 오작동이나 파손 등이 유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가람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판에는 외부에서 접촉이 가능한 최소한의 공간이 형성된 구조이므로 이와 같은 구조는 예를들면, 상기 스위치류의 작동 여부를 주기적으로 점검할 때에 상기 보호판이나 상기 커버 본체를 분리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점검이 가능하므로 더욱 향상된 사용 편의성을 얻을 수 있다.
Claims (8)
- 건물의 화재 예방 및 진화를 위한 설비들의 작동 및 제어를 위한 부품들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공간부를 가리는 자세로 설치되는 커버 어셈블리를 포함하며.상기 커버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스에 대응하는 가림 면적을 가지는 커버 본체와, 이 커버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는 일부 부품을 외부에서 식별 및 조작이 가능하게 가리기 위한 보호판을 포함하고, 이 보호판은 상기 케이스 내측에 위치하는 일부 부품에 대응하여 외부에서 물리적인 접촉으로 점검이 가능하도록 홀이 형성되는 수동조작함.
- 건물의 화재 예방 및 진화를 위한 설비들의 작동 및 제어를 위한 부품들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공간부를 가리는 자세로 설치되는 커버 어셈블리를 포함하며.상기 커버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스에 대응하는 가림 면적을 가지는 커버 본체와, 이 커버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는 일부 부품을 외부에서 식별 및 조작이 가능하게 가리기 위한 보호판과, 상기 커버 본체측에서 상기 보호판들을 외부로부터 개방 가능하게 차단하는 보조 커버를 포함하는 수동조작함.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 커버는, 센서에 의해 상기 커버 본체측에서열리거나 닫히는 동작의 센싱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센서는 광센서나 리미트 스위치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수동조작함.
- 건물의 화재 예방 및 진화를 위한 설비들의 작동 및 제어를 위한 부품들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공간부를 가리는 자세로 설치되는 커버 어셈블리를 포함하며.상기 커버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스에 대응하는 가림 면적을 가지는 커버 본체와, 이 커버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는 일부 부품을 외부에서 식별 및 조작이 가능하게 가리기 위한 보호판과, 상기 커버 본체측에서 상기 케이스에 대응하는 가림 면적의 확보를 위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림판을 포함하는 수동조작함.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림판은, 상기 커버 본체측에서 돌기와 홈들의 끼움 결합력으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수동조작함.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림판은, 상기 커버 본체의 후방측으로만 끼워지면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수동조작함.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림판은 상기 커버 본체의 전체 또는 일부 테두리 외측으로 연장된 가림 공간의 확보가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수동조작함.
- 건물의 화재 예방 및 진화를 위한 설비들의 작동 및 제어를 위한 부품들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공간부를 가리는 자세로 설치되는 커버 어셈블리를 포함하며.상기 커버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스에 대응하는 가림 면적을 가지는 커버 본체와, 이 커버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는 일부 부품을 외부에서 식별 및 조작이 가능하게 가리기 위한 보호판과, 상기 커버 본체측에서 상기 보호판들을 외부로부터 개방 가능하게 차단하는 보조 커버와, 상기 커버 본체측에서 상기 케이스에 대응하는 가림 면적의 확장을 위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림판을 포함하는 수동조작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24790U KR200369300Y1 (ko) | 2004-08-30 | 2004-08-30 | 수동조작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24790U KR200369300Y1 (ko) | 2004-08-30 | 2004-08-30 | 수동조작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69300Y1 true KR200369300Y1 (ko) | 2004-12-04 |
Family
ID=49352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24790U KR200369300Y1 (ko) | 2004-08-30 | 2004-08-30 | 수동조작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69300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4904B1 (ko) | 2004-08-23 | 2006-06-30 | (주)제일피앤피 | 차단기의 보호방법 및 보호장치 |
KR20160094792A (ko) * | 2015-02-02 | 2016-08-10 | 이용재 | 셔터 및 푸시 타입 도어를 구비한 배전반 |
KR200488334Y1 (ko) | 2017-11-14 | 2019-01-15 | 주식회사 피엔케이솔루션 | 오조작 감시카메라를 갖는 스위치박스 |
-
2004
- 2004-08-30 KR KR20-2004-0024790U patent/KR20036930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4904B1 (ko) | 2004-08-23 | 2006-06-30 | (주)제일피앤피 | 차단기의 보호방법 및 보호장치 |
KR20160094792A (ko) * | 2015-02-02 | 2016-08-10 | 이용재 | 셔터 및 푸시 타입 도어를 구비한 배전반 |
KR101689951B1 (ko) * | 2015-02-02 | 2017-01-09 | 이용재 | 셔터 및 푸시 타입 도어를 구비한 배전반 |
KR200488334Y1 (ko) | 2017-11-14 | 2019-01-15 | 주식회사 피엔케이솔루션 | 오조작 감시카메라를 갖는 스위치박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109365B2 (en) | Insulated cover for attic openings | |
KR20170076688A (ko) | 내수성 터치 키패드를 가지는 잠금장치 | |
CA2598225C (en) | Window or door with monitoring and alarm module | |
KR200369300Y1 (ko) | 수동조작함 | |
US7011460B1 (en) | Surveillance system | |
KR101105191B1 (ko) | 소화전함 | |
KR200473168Y1 (ko) | 개폐형 커버를 갖는 수납박스 | |
KR101824868B1 (ko) |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 | |
GB2250367A (en) | Alarm arrangements | |
KR20200124393A (ko) | 압력 상태가 확인 가능한 옥내 소화전 | |
KR102069294B1 (ko) | 건축물의 화재 확산 방지 외벽구조 | |
JP6781060B2 (ja) | 発信機 | |
KR200185266Y1 (ko) | 소화설비용 수동 조작함 | |
KR101985213B1 (ko) | 공동주택의 고층 창호 구조물 | |
KR101978189B1 (ko) |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보호케이스 | |
KR20160000197U (ko) | 방화문 결합 구조물 | |
JP3233881U (ja) | 配電盤装置 | |
JP2016160737A (ja) | 建具 | |
JP3368170B2 (ja) | 遠隔試験端子付き戸外表示器 | |
KR100666510B1 (ko) |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 |
KR200376924Y1 (ko) | 화재감지기용 케이스 어셈블리 | |
GB2501377A (en) | A Smart Meter Commodities Measuring Device | |
JP7569281B2 (ja) | 配線器具覆い部材及び配線器具覆い構造 | |
JP7384589B2 (ja) | 防災監視システム用受信機 | |
JP2010159123A (ja) | エレベータの地震感知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06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