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924Y1 - 화재감지기용 케이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화재감지기용 케이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924Y1
KR200376924Y1 KR20-2004-0033753U KR20040033753U KR200376924Y1 KR 200376924 Y1 KR200376924 Y1 KR 200376924Y1 KR 20040033753 U KR20040033753 U KR 20040033753U KR 200376924 Y1 KR200376924 Y1 KR 2003769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etector
door
battery
case assembly
detecto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37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호
Original Assignee
금성방재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방재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성방재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37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9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9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9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1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n ionisation chamber for detecting smoke or gas
    • G08B17/11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단독형 화재감지기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전기 공급을 위한 배터리(battery)의 미장착에 의한 작동 불능 상태를 방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용 케이스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이러한 화재감지기용 케이스 어셈블리는, 실내 온도나 연기입자 등의 감지를 위한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본체와, 이 케이스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전기 공급을 위한 배터리가 설치될 수 있는 개구된 공간을 가지는 수납부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수납부의 개구측을 외부에서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와,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측에서 상기 도어를 향하는 자세로 돌출 형성되어 배터리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의 닫힘 동작을 제한하는 차단돌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재감지기용 케이스 어셈블리{case assembly for fire alarm}
본 고안은 화재감지기용 케이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공급을 위한 배터리의 미장착에 의한 작동 불능 상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용 케이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독형 화재감지기는, 건물 실내의 온도 및 연기입자의 감지가 용이하도록 천정이나 벽체 등에 설치된 후, 지속적으로 화재를 감지하고 화재 발생시에는 자체 경보음을 발생함으로서 실내에 머무는 사람들에게 화재 발생을 알려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단독형 화재감지기는 센싱 방식에 따라 연기입자를 빛의 산란(散亂) 작용으로 감지하는 광전식 감지기와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정온식 감지기 등이 있으며,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은 대면적의 건물에서 중앙제어방식의 방재시스템 등과 연계되어 작동하는 연동식 구조와는 달리, 주로 단독주택이나 연립주택과 같이 소면적의 건물에서 자체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면서 개별적으로 화재를 감지한다.
상기 단독형 화재감지기의 일반적인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부를 가지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공간부에 위치하고 실내의 연기입자 또는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어셈블리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화재시 경보음을 발생하는 부져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에는 일정량의 전기가 충전된 배터리에 의해 상기 센서어셈블리와 부져의 작동 및 제어 등을 위한 전기를 자체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천정이나 벽체 등과 접하면서 고정되는 피고정면측에 상기 배터리가 수납되기 위한 수납부가 형성된다.
상기 수납부는, 상기 케이스의 피고정면측에서 상기 배터리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로 개구된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이 공간은 도어에 의해 열리거나 닫히면서 상기 배터리를 수납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한 수납부는, 배터리의 장착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도어의 닫힘 동작이 가능하므로 외부에서 배터리의 장착 여부를 용이하게 인식하기 어렵고, 특히, 배터리가 수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케이스를 천정이나 벽체 등에 설치가 가능하여 배터리의 교환과 같은 유지보수를 행할 때에 자칫 배터리가 미장착된 상태로 설치되는 일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화재시 조기 경보가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서 대형의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
게다가, 단독형 화재감지기는 각 가정에서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기술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가 직접 배터리를 교환 및 장착하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배터리의 미장착 상태가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유지보수시에 전기 공급을 위한 배터리의 설치 유무를 간단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배터리가 수납되지 않은 상태로는 천정이나 벽체와 같은 고정면측에 설치할 수 없도록 한 화재감지기용 케이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실내 온도나 연기입자 등의 감지를 위한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본체와, 이 케이스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전기 공급을 위한 배터리가 설치될 수 있는 개구된 공간을 가지는 수납부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수납부의 개구측을 외부에서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와,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측에서 상기 도어를 향하는 자세로 돌출 형성되어 배터리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의 닫힘 동작을 제한하는 차단돌기부를 포함하는 화재감지기용 케이스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의 연기입자를 감지하는 광전식 화재감지기 구조를 일예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화재감지기용 케이스 어셈블리는, 실내의 연기입자의 감지를 위한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본체(2)와, 이 케이스 본체(2)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전기 공급을 위한 배터리(B)가 설치될 수 있는 개구된 공간을 가지는 수납부(4)와, 상기 케이스 본체(2)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수납부(4)의 개구측을 외부에서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6)와, 상기 수납부(4)의 바닥면측에서 상기 도어(6)를 향하는 자세로 돌출 형성되어 배터리(B)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6)의 닫힘 동작을 제한하는 차단돌기부(8)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본체(2)는 상하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부케이스(C1)와 하부케이스(C2)가 1조로 이루어지고, 이들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공간부에는 도 1에서와 같은 센서어셈블리(U1)와 부져(U2) 그리고,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기판(U3)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센서어셈블리(U1)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내부가 암실(暗室)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 암실측에는 수광 및 발광 센서들이 설치되어 화재시 빛의 산란 작용으로 연기입자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부져(U2)는, 상기 2개의 케이스(C1, C2) 내부에서 상기 센서어셈블리(U1)와 이격 설치되며, 상기 센서어셈블리(U1)에 의해 연기입자가 센싱되면 상기 회로기판(U3)에 의해 제어되면서 화재를 알리는 경보음의 발생이 가능하도록 셋팅된다.
상기한 구조의 센서어셈블리(U1)와 부져(U2), 그리고, 회로기판(U3)은 해당분야에서 이미 널리 알려지고 사용되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상부케이스(C1)와 하부케이스(C2)의 재질은 내구성은 물론이거니와 내열성이 우수한 합성수지가 사용되며, 이들은 돌기와 홈들에 의해 도 1에서와 같은 자세로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수납부(4)는, 상기 하부케이스(C2)측에서 도 2에서와 같이 일측이 개구된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이 공간에는 전기공급원 즉, 배터리(B)가 수납된다.
상기 수납부(4)에는 상기 센서어셈블리(U1)나 부져(U2), 그리고 회로기판(U3)측과 전기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전기선(W)이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B)와 연결된다.
상기 도어(6)는 상기 수납부(4)의 개구부측을 가릴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C2)와 힌지 결합되어 상하방향의 회동에 의해 상기 수납부(4)의 개구측을 외부에서 열거나 닫을 수 있다.
상기 도어(6)는 상기 수납부(4)에서 걸림 접촉에 의해 닫힌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6)의 힌지측 반대편에 록킹부(10)가 형성된다.
상기 록킹부(10)는 도 2에서와 같이 일정한 폭을 가지며 자체 탄성력을 보유할 수 있도록 대략 "U"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수납부(4)측에는 도면에서와 같은 홈부(12)가 형성된다.
상기 록킹부(10)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홈부(12)측에 탄력적으로 걸려져서 상기 도어(6)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차단돌기부(8)는, 상기 수납부(4) 내측에서 상기 도어(6)의 힌지 지점측 내벽면에 대응하여 도 4에서와 같이 하측단이 고정되어 도면에서와 같은 자세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차단돌기부(8)는 상기 수납부(4)의 공간에서 상기 배터리(B)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도어(6)가 닫힐 때에 고정단측에서 일정한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상측단과 상기 도어(6)의 저면이 직접 접촉하면서 닫힘 방향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는 크기 범위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6)측에는 상기 수납부(4)에 배터리(B)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차단돌기부(8)의 상측단이 통과하면서 닫힘 동작이 가능하도록 도 4에서와 같은 가이드홈(14)이 형성된다.
상기 차단돌기부(8)는 상기 하측케이스(C2)측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도면에서와 같은 모양으로 금속판이나 합성수지판을 별도 제작하여 체결부재나 끼움 결합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한 차단돌기부(8)는 상기 수납부(4)에서 상기 배터리(B)가 끼워지는 공간을 일정부분을 점유하는 형태로 가지며 탄력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4)측에 상기 배터리(B)가 끼워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은 자세로 위치하면서 상기 도어(6)의 저면과 접촉하여 닫힘 방향으로의 회동을 제한한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4)측에 상기 배터리(B)가 설치된 상태에서는 이 배터리(B)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도 5에서와 같이 고정단을 중심으로 상측단이 상기 도어(6)의 가이드홈(14)측을 관통할 수 있는 자세로 변화되면서 상기 도어(6)에 의해 상기 수납부(4)의 개구측이 닫힐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수납부(4)는 상기한 차단돌기부(8)의 작용에 의해 배터리(B)가 장착된 상태에서만 상기 도어(6)가 닫히게 되고, 이와 반대로 상기 배터리(B)가 미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6)가 닫히지 않으므로 배터리(B)의 장착 여부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수납부(4)측에 상기 배터리(B)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6)의 닫힘 동작이 제한되면서 이 도어(6)가 힌지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케이스(C2)의 배면측에서 도 4에서와 같은 상태가 되고, 이와 같은 상태로는 상기 하부케이스(C2)를 천정이나 벽체 등에 설치할 수 없으므로 상기 수납부(4)측에 배터리(B)가 미장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도 1에서와 같은 수동조작부(1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수동조작부(16)는, 외부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2) 일측면에 부착되는 판넬(18)과, 이 판넬(18)측에서 자체 탄성력에 의해 누름 조작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수동버튼(20)을 포함한다.
상기 판넬(18)은 상기 상부케이스(C1)의 중심부 표면을 일정부분 점유하는 크기를 가지며 도 1에서와 같은 자세로 부착된다.
상기 수동버튼(20)은 도 7에서와 같이 링 모양의 고정부(24)가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수동버튼(20)과 상기 고정부(24)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연결부(26)들로 연결된다.
상기 수동버튼(20)은 상기 판넬(18)을 통하여 외부에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판넬(18)의 홀부(22)측에 끼워져서 도면에서와 같은 자세로 위치한다.
이때, 상기 상부케이스(C1)의 내측에는 상기 판넬(18)에 대응하는 보조기판(28)이 이격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24)측에는 도 6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연장부(30)들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24)가 상기 판넬(18)측에 밀착 고정되면서 상기 수동버튼(20)이 상기 홀부(22)측에서 탄력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보조기판(28)에는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수동버튼(20)의 누름 조작시 스위칭되는 스위치(32)가 설치되고, 이외에도 램프(34)가 설치되어 상기 판넬(18)측의 램프커버(36)를 통하여 상기 센서어셈블리(U1)나 부져(U2)의 작동 상태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램프(34)는 상기 수동버튼(20)이 작동할 때에만 점등되어 외부에서 수동조작 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기판(28)은 상기 수동버튼(20)의 조작시 상기 스위치(32)를 통하여 상기 센서어셈블리(U1)나 부져(U2)의 수동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로기판(U3)측과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26)들은 상기 수동버튼(20)과 고정부(24) 사이에 적어도 1개 이상이 도 8에서와 같이 형성된다.
상기한 연결부(26)들은 상기 수동버튼(20)을 상기 고정부(24)측에 탄력적으로 고정하여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수동버튼(20)을 누른 후 외력을 제거하면 원래의 위치로 리턴된다.
상기와 같은 수동버튼(20)의 구조는 누름 조작 후 리턴 동작을 위한 코일스프링이나 판스프링과 같은 별도의 탄성부재와 이 탄성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 등을 확보하지 않아도 되므로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사출과 같은 방법으로 상기 고정부(24)와 연결부(26)들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이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 등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26)의 연결 구간에는 탄성력을 보유한 금속 박판의 보강재(38)가 더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재(38)는 상기 수동버튼(20)을 성형할 때에 이미 잘 알려진 방법으로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부(26) 내측에 삽입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부(26)들에 보강재(38)가 내장되면 상기 수동버튼(20)의 잦은 조작에 의해 상기 연결부(26)의 내구성이나 탄성력 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수명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재감지기용 케이스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기 공급을 위한 배터리가 장착되는 수납공간 내측에 차단돌기부가 형성되고, 이 차단돌기부는 상기 배터리의 미장착 상태에서만 도어의 닫힘 동작을 제한함으로서, 간단한 구조로 배터리의 장착 여부를 외부에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특히, 배터리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차단돌기부에 의해 도어가 경사지게 열린 상태가 되고, 이와 같은 도어의 열림 상태로는 케이스를 천정이나 벽체 등에 설치할 수 없으므로 배터리가 미장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재감지기용 케이스 어셈블리의 전체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재감지기용 케이스 어셈블리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도어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도 4, 도 5는 도 2의 차단돌기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재감지기용 케이스 어셈블리의 수동조작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수동버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수동버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수동버튼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6의 수동버튼의 다른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A선 확대단면도이다.

Claims (8)

  1. 실내 온도나 연기입자 등의 감지를 위한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본체와, 이 케이스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전기 공급을 위한 배터리가 설치될 수 있는 개구된 공간을 가지는 수납부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수납부의 개구측을 외부에서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와,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측에서 상기 도어를 향하는 자세로 돌출 형성되어 배터리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의 닫힘 동작을 제한하는 차단돌기부를 포함하는 화재감지기용 케이스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에서 천정이나 벽체 등에 고정되기 위한 피고정면측에 형성되는 화재감지기용 케이스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 또는 상기 수납공간에는 배터리가 설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차단돌기부의 상측단이 관통할 수 있는 홈부가 형성되는 화재감지기용 케이스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돌기부는, 상기 수납부에서 상기 도어의 힌지 지점에 대응하는 하부측에 아래측 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도어를 향하는 자세를 가지며 탄력적으로 형성되는 화재감지기용 케이스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돌기부는, 상기 수납부측에 배터리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의 닫힘 동작을 물리적인 접촉으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용 케이스 어셈블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기용 케이스 어셈블리는, 수동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동조작부는, 외부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판넬과, 이 판넬측에서 자체 탄성력에 의해 누름 조작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수동버튼을 포함하는 화재감지기용 케이스 어셈블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동버튼은, 버튼 본체와, 이 버튼 본체의 외부 둘레를 감싸는 자세로 이격 형성되고 상기 판넬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버튼 본체와 상기 고정부 사이의 이격된 지점을 적어도 1군데 이상을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화재감지기용 케이스 어셈블리.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보강재가 삽입되고, 이 보강재는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화재감지기용 케이스 어셈블리.
KR20-2004-0033753U 2004-11-29 2004-11-29 화재감지기용 케이스 어셈블리 KR2003769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753U KR200376924Y1 (ko) 2004-11-29 2004-11-29 화재감지기용 케이스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753U KR200376924Y1 (ko) 2004-11-29 2004-11-29 화재감지기용 케이스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924Y1 true KR200376924Y1 (ko) 2005-03-10

Family

ID=43678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3753U KR200376924Y1 (ko) 2004-11-29 2004-11-29 화재감지기용 케이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92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356B1 (ko) * 2019-03-07 2020-02-12 김기대 방화문 led 장치
KR20220150697A (ko) 2021-05-04 2022-11-11 우용성 배터리 오장착 방지형 감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356B1 (ko) * 2019-03-07 2020-02-12 김기대 방화문 led 장치
KR20220150697A (ko) 2021-05-04 2022-11-11 우용성 배터리 오장착 방지형 감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8283B2 (en) Sensitive lighting fixture for construction junction box
CN108605394B (zh) 用于控制建筑物中的装置的内置机电设备
US5820406A (en) Terminal and door latch for battery operated devices
US5055830A (en) Battery sensing mechanism
JP5481733B2 (ja) 家具
US20060176697A1 (en) Combination light fixture and motion sensor apparatus
JPH05266872A (ja) バッテリーの装填不良を検出する装置
CN101142367A (zh) 用于门窗的监控装置
KR200376924Y1 (ko) 화재감지기용 케이스 어셈블리
JP2019183543A (ja) 安全ドアスイッチ
ES2816775T3 (es) Dispositivo sensor
KR101022746B1 (ko) 감전사고발생을 방지하는 공동주택의 벽체매설형 콘센트박스
KR100696243B1 (ko) 타이머 스위치
KR101644855B1 (ko) 공동주택용 스위치보호함
KR101705497B1 (ko)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
WO2022070984A1 (ja) 引戸装置及びセンサーユニット
JP2000018812A (ja) 冷蔵庫の扉開閉検知装置
KR200193017Y1 (ko) 공중화장실의 사용중 표시장치
KR20130117150A (ko) 실내용 조명장치
WO1999019666A1 (en) Lamp fitting and monitoring device
KR20120093660A (ko) 센서 출입 버튼
JP2007065933A (ja) 防犯装置
CN218899336U (zh) 基站以及清洁机器系统
KR200369300Y1 (ko) 수동조작함
KR100648798B1 (ko) 냉장고용 제어기의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