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497B1 -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497B1
KR101705497B1 KR1020160140196A KR20160140196A KR101705497B1 KR 101705497 B1 KR101705497 B1 KR 101705497B1 KR 1020160140196 A KR1020160140196 A KR 1020160140196A KR 20160140196 A KR20160140196 A KR 20160140196A KR 101705497 B1 KR101705497 B1 KR 101705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rear case
solar cell
hole
magnetic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향기
Original Assignee
이향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향기 filed Critical 이향기
Priority to KR1020160140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4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0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 G09F19/04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operated by the opening or closing of doors, e.g. shop do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7Displays with power supply provided by solar cells or photoce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후부 케이스와 전부 케이스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고정 설치되는 태양전지 패널; 상기 태양전지 패널에 연결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충전용 배터리; 상기 충전용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LED 소자;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마그네틱 스위치; 상기 수용공간 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충전용 배터리, LED 소자 및 마그네틱 스위치가 연결되는 회로기판; 상기 케이스와 분리되어 배치되는 마그네트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교체용 전지가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스에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전선 등이 생략되는 등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APPARATUS FOR INDICATING INDOOR CONDITIONS}
본 발명은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상태의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전지의 교체가 불필요하여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한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중 화장실이나 의류 매장의 피팅 룸의 도어에는 "사용중"임을 알리는 표시장치가 장착되어 있어 실외에서 내부의 사용상태를 확인하게 되어 있다.
상기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는 실내에서 빗장이나 잠금 다이얼의 개폐와 연동하는 부품에 "사용중" 또는 "비었음" 글자를 기재하여 도어의 개폐에 따라 각각 노출되도록 하여 표시할 수도 있고, 빗장이나 잠금 다이얼의 이동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LED로 이루어진 "사용중" 표시를 점등함으로써 실내 사용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다.
그러나, 빗장이나 잠금 다이얼의 이동을 자동으로 감지하는 경우 감지장치와 구동장치 등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외부 전원과 연결하기 위한 전선이 필요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이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외부전원이 아닌 건전지나 충전 전지를 전원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수시로 건전지나 충전 전지를 교체해야 했으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유지 관리에 따른 비용이 계속 발생하였으며, 전지가 모두 방전된 후에 교체시까지 점등이 되지 않음으로 인해 사용이 매우 불편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는 빗장이 완전히 잠겨진 상태에서만 표시장치가 점등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공중 화장실 내에 숨어서 여자를 노리는 치한에 의한 성범죄에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즉, 치한이 공중 화장실의 도어만 닫고 빗장을 채우지 않는 경우 표시장치가 점등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실내가 비어 있는 것으로 생각하여 무심코 도어를 여는 순간 범죄의 대상이 될 수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는 LCD를 채택하기 때문에 정면에서 바라보지 않으면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상태 표시를 확인할 수 없어 사용이 불편하다는 단점도 있었다.
1. 한국특허공개번호 10-2011-0002117(2011.01.07)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가 용이하며 한번 설치 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유지 관리비가 최소화되는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빗장이 체워지지 않은채 도어가 닫히기만해도 점등되어 사용자가 쉽게 사용중 여부를 인지할 수 있으므로 최근 빈번히 발생하는 공중 화장실 내 성범죄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측면에서 바라보아도 사용중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는,
후부 케이스와 전부 케이스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고정 설치되는 태양전지 패널;
상기 태양전지 패널에 연결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충전용 배터리;
상기 충전용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LED 소자;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마그네틱 스위치;
상기 수용공간 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충전용 배터리, LED 소자 및 마그네틱 스위치가 연결되는 회로기판;
상기 케이스와 분리되어 배치되는 마그네트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부 케이스의 앞면에는 제1 나사공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전부 케이스에는 상기 제1 나사공에 대향하도록 복수의 제1 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1 결합돌기 중 2개 이상은 상기 후부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전부 케이스의 상단에는 패널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패널 결합홈과 상기 제1 결합돌기 사이에 상기 태양전지 패널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부 케이스의 앞면에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후부 케이스가 전부 케이스와 결합될 때 상기 태양전지 패널의 후단이 상기 끼움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패널 결합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후부 케이스의 앞면에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고정되고,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후부 케이스의 앞면 사이에 상기 충전용 배터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부 케이스와 전부 케이스에는 서로 대향되는 복수의 제2 관통공과 제3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 관통공과 제3 관통공은 상기 후부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된 제1 결합돌기와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부 케이스의 앞면과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보호 커버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보호 커버에는 앞면에 표시용 개구부가 관통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보호 커버가 상기 전부 케이스에 결합될 때 상기 표시용 개구부를 통해 상기 LED 소자는 노출되고 상기 제1 나사공, 제2 관통공 및 제3 관통공은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측면을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마그네틱 스위치에 근접 배치되고 강자성체로 이루어진 연결바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연결바에는 길이방향으로 스프링이 끼워지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연결바와 케이스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부 케이스 또는 전부 케이스에는 연결바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안내공이 형성된 안내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와 도어 프레임에 각각 설치된 케이스 내의 마그네틱 스위치와 마그네트 조립체가 서로 접근할 때 회로가 닫혀서 LED 소자가 점등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전원으로서,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태양전지 패널과 충전용 배터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교체용 전지가 불필요하고 상기 케이스에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전선 등이 생략되는 등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유지관리비가 최소화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후부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된 제1 결합돌기와 전부 케이스의 상단에 형성된 패널 결합홈 사이에 태양전지 패널이 수용되므로, 상기 후부 케이스와 전부 케이스의 결합시 상기 태양전지 패널이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 내에서 이탈하여 자세가 변형되거나 회로기판 등에 임의의 각도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고장이나 작동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로기판은 후부 케이스의 앞면에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고정되고,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후부 케이스의 앞면 사이에 상기 충전용 배터리가 설치되어,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회로기판과 충전용 배터리가 콤팩트하게 배치되므로 케이스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화장실 등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통행중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와 부딪히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의 적어도 일측면을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며 마그네틱 스위치에 근접 배치되고 강자성체로 이루어진 연결바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연결바에는 길이방향으로 스프링이 끼워지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연결바와 케이스 사이에 연결되므로, 주변 구조의 특성상 상기 케이스와 마그네트 조립체가 멀리 떨어질 수밖에 없는 경우에도 상기 마그네트가 상기 연결바에 인력을 작용시켜서 마그네틱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와 도어 프레임에 각각 설치된 케이스 내의 마그네틱 스위치와 마그네트 조립체가 서로 접근할 때 회로가 닫혀서 LED 소자가 점등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거리가 먼 위치에서도 사용자가 쉽게 표시장치를 인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빗장이 체워지지 않은채 도어가 닫히기만해도 점등되어 사용자가 쉽게 사용중 여부를 인지할 수 있으므로 최근 빈번히 발생하는 공중 화장실 내 성범죄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장치로서 LED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정면으로부터 각도가 큰 측면에서 바라보아도 사용중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전부 케이스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전부 케이스를 분리한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후부 케이스를 분리한 상태에서 연결바가 돌출된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후부 케이스를 분리한 상태에서 연결바가 케이스로 삽입된 상태의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전부 케이스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전부 케이스를 분리한 상태의 배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후부 케이스를 분리한 상태에서 연결바가 돌출된 상태의 배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후부 케이스를 분리한 상태에서 연결바가 케이스로 삽입된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1000)는, 후부 케이스(110)와 전부 케이스(120)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내부에 수용공간(130)이 형성된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에 고정 설치되는 태양전지 패널(200),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에 연결되며 상기 수용공간(130)에 수용되는 충전용 배터리(300), 상기 충전용 배터리(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LED 소자(400), 상기 수용공간(130)에 수용되는 마그네틱 스위치(500), 상기 수용공간 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충전용 배터리(300), LED 소자(400) 및 마그네틱 스위치(500)가 연결되는 회로기판(600), 상기 케이스(100)와 분리되어 배치되는 마그네트 조립체(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도시되지 않은 도어와 도어 프레임에 각각 설치된 케이스(100) 내의 마그네틱 스위치(500)와 마그네트 조립체(700)가 서로 접근할 때 회로가 닫혀서 상기 LED 소자(400)가 점등된다.
상기 LED 소자(400)는 그 특성상 먼 거리에서 정면에 대하여 각도가 크게 형성된 측면에서 바라보아도 빛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화장실 입구 쪽에서 비교적 먼 거리에 위치한 도어를 바라보아도 사용상태 표시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고, 따라서 화장실 사용을 한층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어가 닫힐 때 상기 마그네틱 스위치(500)와 마그네트 조립체(700) 사이의 거리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상기 마그네틱 스위치(500)는 상기 케이스(100)의 양측면에 근접해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회로기판(600)에 마그네틱 스위치(500)를 고정하되 상기 회로기판(600)의 양측에 근접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은 실내 조명으로부터 빛을 받아들여 전기로 전환시켜서 상기 충전용 배터리(300)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기가 공급된 충전용 배터리(300)에 의해 후술하는 LED 소자(400) 및/또는 스피커(S)에 전기가 공급된다.
이와 같이, 전기가 실내조명을 통해 태양전지 패널(200)에 의해 생성되고 태양전지 패널(200)과 충전용 배터리(300)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므로 외부 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전선이 필요 없으며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 충전용 배터리(300), LED 소자(400), 마그네틱 스위치(500) 및 회로기판(600)이 수용되거나 설치되는 케이스(100)와 마그네트 조립체(700)가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어 각각 도어와 도어 프레임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전선의 연결 작업 등이 없어 설치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후부 케이스(110)의 앞면에는 제1 나사공(11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 결합돌기(111)가 형성되고 상기 전부 케이스(120)에는 상기 제1 나사공(112)에 대향하도록 복수의 제1 관통공(122)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나사공(112)과 제1 관통공(122)을 통해 상기 후부 케이스(110)와 전부 케이스(120)가 나사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결합돌기(111) 중 2개 이상은 상기 후부 케이스(1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전부 케이스(120)의 상단에는 패널 결합홈(125)이 형성되어, 상기 패널 결합홈(125)과 상기 제1 결합돌기(111) 사이에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이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후부 케이스(110)와 전부 케이스(120)의 결합시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이 상기 케이스(100)의 수용공간(130) 내에서 전도되거나 이탈되어 자세가 변형되거나 상기 회로기판(600) 등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후부 케이스(110)의 앞면에는 끼움홈(114)이 형성되어, 상기 후부 케이스(110)가 상기 전부 케이스(120)와 결합될 때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의 후단이 상기 끼움홈(114)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이 패널 결합홈(125)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끼움홈(114)에 태양전지 패널(200)이 끼워진 상태에서 패널 결합홈(125)이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을 감싼 상태를 유지하고, 더욱이 상기 제1 결합돌기(111)가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600)은 상기 후부 케이스(110)의 앞면에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고정되고, 상기 회로기판(600)과 상기 후부 케이스(110)의 앞면 사이에 상기 충전용 배터리(3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130) 내에서 상기 회로기판(600)과 충전용 배터리(300)가 콤팩트하게 배치되어 케이스(100)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화장실 등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통행중 부딪히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후부 케이스(110)와 전부 케이스(120)에는 서로 대향되는 복수의 제2 관통공(115)과 제3 관통공(116)이 각각 형성되며, 케이스(100)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 관통공(115)과 제3 관통공(116)은 상기 후부 케이스(110)의 상부에 배치된 제1 결합돌기(111)와 상기 회로기판(600)의 상단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관통공(115)과 제3 관통공(116)을 통해 나사나 볼트를 도어나 도어 프레임에 체결할 수 있으며, 상기 나사나 볼트가 수용공간(130) 내부의 다른 구성요소들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관통공(115)과 제3 관통공(116) 케이스(100)의 테두리에 근접하여 형성되지 않고 테두리로부터 중앙부를 향해 적당한 거리를 두고 배치되므로 2개 정도만 이격되게 형성되면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으로의 견고하고도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회로기판(600)은 나사(601)에 의해 상기 후부 케이스(110)에 고정되며, 나사(602)에 의해 상기 후부 케이스(110)와 전부 케이스(120)에 한번 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1000)는 상기 전부 케이스(120)의 앞면과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보호 커버(800)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보호 커버(800)에는 앞면에 표시용 개구부(810)가 관통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보호 커버(800)가 상기 전부 케이스(120)에 결합될 때 상기 표시용 개구부(810)를 통해 상기 LED 소자(400)는 노출되고 상기 제1 나사공(112), 제2 관통공(115), 제3 관통공(116) 및 나사(601)(602)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각종 체결구성은 노출되지 않고 상기 LED 소자(400)만이 상기 표시용 개구부(810)를 통해 노출되므로 실내 사용상태를 보다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LED 소자(400)를 통해 나온 빛이 상기 전부 케이스(120)를 통과하면서 "사용중" 또는 기타 다양한 문양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00)의 적어도 일측면을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진 연결바(900)가 상기 마그네틱 스위치(500)에 근접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900)에는 길이방향으로 스프링(910)이 끼워지며 상기 스프링(910)은 상기 연결바(900)와 케이스(10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910)은 인장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외력에 의해 상기 연결바(900)가 상기 케이스(100)로부터 돌출된 후에는 상기 케이스(900)를 향해 복원하려는 성질을 갖는다.
상기 스프링(910)은 지나치게 스프링 상수가 큰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자력에 의해 연결바(900)가 빠져나올 때 적당한 탄성 저항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정도면 족하다.
상기 연결바(900)는 케이스(100)의 양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만 결합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마그네트 조립체(700)가 어디에 배치되더라도 작동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그네트 조립체(700)는 마그네트(710)와, 상기 마그네트(710)를 수용하는 마그네트 케이스(720)로 이루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주변 구조의 특성상 마그네틱 스위치(500)와 마그네트가 30mm 이상 이격될 수밖에 없는 경우 상기 마그네트가 상기 연결바(900)에 인력을 작용시켜서 상기 마그네트가 상기 연결바(900)을 이동시킴으로써 마그네틱 스위치(5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 조립체(700)와 케이스(100)가 도어와 도어 프레임에 각각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닫히면 마그네트 조립체(700)의 마그네트(710)의 자력에 의해 상기 강자성체로 이루어진 연결바(900)가 스프링(910)의 탄성 저항력을 극복하고 상기 마그네트 조립체(700)를 향해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연결바(900)가 상기 마그네트 조립체(700)의 마그네트(710)에 근접하게 되면 상기 연결바(900)가 자화되고 상기 연결바(900)에 근접해 있는 마그네틱 스위치(500)가 작동됨으로써 상기 LED 소자(400)가 점등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어를 개방할 경우에는 상기 연결바(900)가 마그네트 조립체(700)로부터 멀어지므로 자연스럽게 상기 연결바(900)로부터 자력이 사라지고 스프링(91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연결바(900)가 상기 케이스(100) 내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마그네틱 스위치(500)를 상기 연결바(900)에 근접한 상태에서 상기 회로기판(600) 내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상기 회로기판(600)의 배치 구성을 한층 자유롭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스프링(910)을 케이스(200)와 연결바(900)에서 함께 지지하기 위해, 상기 후부 케이스(110) 또는 전부 케이스(120)에는 연결바(900)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안내공(171)이 형성된 안내판(170)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바(900)에는 가로걸림편(9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공간(130) 내의 상기 전부 케이스(120)에는 스피커(S)가 설치되고, 상기 전부 케이스(120)에는 상기 스피커(S)와 대향되도록 통공(126)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LED 소자(400)가 점등과 함께 상기 스피커(S)를 통해 소정의 멜로디가 나오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회로기판(600)에 태양전지 패널(200), 충전용 배터리(300), LED 소자(400), 마그네틱 스위치(500) 및 스피커(S)가 연결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며, 일부는 직접 고정되고 나머지 일부는 전선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기타 공지의 다양한 연결구조가 채택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와 도어 프레임에 각각 설치된 케이스 내의 마그네틱 스위치와 마그네트 조립체가 서로 접근할 때 회로가 닫혀서 LED 소자가 점등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전원으로서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태양전지 패널과 충전용 배터리를 사용하므로, 상기 케이스에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전선 등이 생략되는 등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유지관리비가 최소화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후부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된 제1 결합돌기와 전부 케이스의 상단에 형성된 패널 결합홈 사이에 태양전지 패널이 수용되므로, 상기 후부 케이스와 전부 케이스의 결합시 상기 태양전지 패널이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 내에서 이탈하여 자세가 변형되거나 회로기판 등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고장이나 작동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로기판은 후부 케이스의 앞면에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고정되고,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후부 케이스의 앞면 사이에 상기 충전용 배터리가 설치되어,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회로기판과 충전용 배터리가 콤팩트하게 배치되므로 케이스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화장실 등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통행중 부딪히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의 적어도 일측면을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며 마그네틱 스위치에 근접 배치되고 강자성체로 이루어진 연결바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연결바에는 길이방향으로 스프링이 끼워지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연결바와 케이스 사이에 연결되므로, 주변 구조의 특성상 상기 케이스와 마그네트 조립체가 멀리 떨어질 수밖에 없는 경우에도 상기 마그네트가 상기 연결바에 인력을 작용시켜서 마그네틱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00... 케이스
110... 후부 케이스
120... 전부 케이스
130... 수용공간
200... 태양전지 패널
300... 충전용 배터리
400... LED 소자
500... 마그네틱 스위치
600... 회로기판
700... 마그네트 조립체
1000...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

Claims (8)

  1. 후부 케이스와 전부 케이스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고정 설치되는 태양전지 패널;
    상기 태양전지 패널에 연결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충전용 배터리;
    상기 충전용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LED 소자;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마그네틱 스위치;
    상기 수용공간 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충전용 배터리, LED 소자 및 마그네틱 스위치가 연결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케이스와 분리되어 배치되는 마그네트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후부 케이스의 앞면에는 제1 나사공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전부 케이스에는 상기 제1 나사공에 대향하도록 복수의 제1 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1 결합돌기 중 2개 이상은 상기 후부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전부 케이스의 상단에는 패널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패널 결합홈과 상기 제1 결합돌기 사이에 상기 태양전지 패널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부 케이스의 앞면에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후부 케이스가 전부 케이스와 결합될 때 상기 태양전지 패널의 후단이 상기 끼움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패널 결합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후부 케이스의 앞면에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고정되고,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후부 케이스의 앞면 사이에 상기 충전용 배터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부 케이스와 전부 케이스에는 서로 대향되는 복수의 제2 관통공과 제3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 관통공과 제3 관통공은 상기 후부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된 제1 결합돌기와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부 케이스의 앞면과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보호 커버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보호 커버에는 앞면에 표시용 개구부가 관통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보호 커버가 상기 전부 케이스에 결합될 때 상기 표시용 개구부를 통해 상기 LED 소자는 노출되고 상기 제1 나사공, 제2 관통공 및 제3 관통공은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
  7.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측면을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마그네틱 스위치에 근접 배치되고 강자성체로 이루어진 연결바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연결바에는 길이방향으로 스프링이 끼워지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연결바와 케이스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부 케이스 또는 전부 케이스에는 연결바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안내공이 형성된 안내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
KR1020160140196A 2016-10-26 2016-10-26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 KR101705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196A KR101705497B1 (ko) 2016-10-26 2016-10-26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196A KR101705497B1 (ko) 2016-10-26 2016-10-26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497B1 true KR101705497B1 (ko) 2017-02-09

Family

ID=58154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196A KR101705497B1 (ko) 2016-10-26 2016-10-26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4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43549A (zh) * 2020-12-07 2021-03-23 深圳市瑞普创新科技有限公司 电源组件及显示屏
KR200497873Y1 (ko) * 2023-11-14 2024-03-19 양운규 도어용 알림 표시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017Y1 (ko) * 2000-03-30 2000-08-16 데코판넬주식회사 공중화장실의 사용중 표시장치
KR200200008Y1 (ko) * 2000-05-12 2000-10-16 데코판넬주식회사 공중화장실의 사용중 표시장치
KR20090128046A (ko) * 2008-06-10 2009-12-15 김상섭 태양전지를 이용한 표시장치
KR20110002117A (ko) 2009-07-01 2011-01-07 양영규 노터치 방식의 화장실 사용상태 표시장치
KR20150061850A (ko) * 2013-11-28 2015-06-05 (주)상도전기 사용중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017Y1 (ko) * 2000-03-30 2000-08-16 데코판넬주식회사 공중화장실의 사용중 표시장치
KR200200008Y1 (ko) * 2000-05-12 2000-10-16 데코판넬주식회사 공중화장실의 사용중 표시장치
KR20090128046A (ko) * 2008-06-10 2009-12-15 김상섭 태양전지를 이용한 표시장치
KR20110002117A (ko) 2009-07-01 2011-01-07 양영규 노터치 방식의 화장실 사용상태 표시장치
KR20150061850A (ko) * 2013-11-28 2015-06-05 (주)상도전기 사용중 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43549A (zh) * 2020-12-07 2021-03-23 深圳市瑞普创新科技有限公司 电源组件及显示屏
KR200497873Y1 (ko) * 2023-11-14 2024-03-19 양운규 도어용 알림 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497B1 (ko)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
CN110374408B (zh) 安全门开关
ES2816775T3 (es) Dispositivo sensor
JP2020129302A (ja) 避難誘導システム
JP2007102555A (ja) 防災防犯機器の防水構造
US3402405A (en) Self-locking burglar alarm system
KR100678577B1 (ko) 가정용 분전함
ES2656523T3 (es) Instalación de seguridad de salida de emergencia
KR101545535B1 (ko) 사용중 표시장치
ES2661875T3 (es) Instalación de seguridad de salida de emergencia
KR100673989B1 (ko) 경고기능이 구비된 공동주택의 외벽설치용 방범커버
EP2481064B1 (en) An elongate switch for use in an alarm sytem
KR101885840B1 (ko) 공동 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 내선 배전반
KR101161487B1 (ko) 도어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화 도어
CN107980076B (zh) 智能钥匙
KR200193017Y1 (ko) 공중화장실의 사용중 표시장치
KR200376924Y1 (ko) 화재감지기용 케이스 어셈블리
KR20120093660A (ko) 센서 출입 버튼
KR200323216Y1 (ko) 휴대용 비상 조명등 도난방지장치
CN213716763U (zh) 按键导光组件和门磁探测器
KR970003266Y1 (ko) 무접점 도난 경보기
CN210570788U (zh) 感应件及传感器装置
CN214592428U (zh) 一种带停电检测的应急安全出口开关面板
CN206329257U (zh) 门栏
WO2017069788A1 (en) Fire safety visial a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