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08Y1 - 공중화장실의 사용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공중화장실의 사용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08Y1
KR200200008Y1 KR2020000013459U KR20000013459U KR200200008Y1 KR 200200008 Y1 KR200200008 Y1 KR 200200008Y1 KR 2020000013459 U KR2020000013459 U KR 2020000013459U KR 20000013459 U KR20000013459 U KR 20000013459U KR 200200008 Y1 KR200200008 Y1 KR 2002000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isplay
toilet
magnet
public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4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옥
Original Assignee
데코판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코판넬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데코판넬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34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00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Abstract

본 고안은 공중화장실의 사용중과 공실을 알리는 전기적인 표시장치를 설치하여 평상시 문이 열렸을 때는 소등되고 문이 닫혔을 때는 점등되어 사용중임을 알 수 있도록 한 공중화장실의 사용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중화장실은 화장실 문의 내측에 잠금구만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사용중인지 비어 있는지를 알 수가 없고, 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필히 노크를 하게 되지만, 화장실 안에서 노크에 대한 답을 한다고 하더라도 경우에 따라서는 어느 칸의 화장실에서 답을 하는지 분간하기 어려울 때가 많다.
본 고안에 의한 공중화장실의 사용중 표시장치는 화장실 문(2)의 상변 일측에 매설한 마그네트 스위치의 마그네트부(6a)와; 문(2)의 상측에 위치하는 챈널부재(4)상의 상기 마그네트부(6a)의 대응위치에 부착하여 마그네트부(6a)의 자력에 의해 단자가 접속되는 단자부(6b)와; 표시기구(25)가 내장되도록 보호케이스(15)와 표시창부재(35)를 결합한 통상적인 표시구(5)의 표시창부재(35)를 문(2) 상측의 챈널부재(4)내에서 투시공(14)을 향하도록 체결하여 표시구(5)와 단자부(6b)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공중화장실의 사용중 표시장치{Used Indicator for Public Toilet}
본 고안은 공중화장실의 사용중과 공실을 알리는 전기적인 표시장치를 설치 하여 평상시 문이 열렸을 때는 소등되고 문이 닫혔을 때는 점등되어 사용중임을 알 수 있도록 한 공중화장실의 사용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중화장실은 화장실 문의 내측에 잠금구만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사용중인지 비어 있는지를 알 수가 없고, 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필히 노크를 하게 되지만, 화장실 안에서 노크에 대한 답을 한다고 하더라도 경우에 따라서는 어느 칸의 화장실에서 답을 하는지 분간하기 어려울 때가 많다.
또한, 확인을 위해 밖에서 자주 노크를 하게 되면 용변을 보는 사람은 심리적으로 매우 불안해지는 문제가 있다.
근래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화장실이 사용중임을 알릴 수 있는 여러 유형의 표시장치가 소개되고 있다.
이들 표시장치들은 대개 잠금구를 이용한 것으로, 화장실의 사용자가 안에서 잠금구를 걸었을 때 잠금구의 작동에 따라 표시장치가 회동된다던가 슬라이딩되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들은 화장실 안에서 잠금구를 필히 걸어야만이 표시되는 것으로, 이들은 대부분이 그 표시부분이나 표시부분을 작동시키는 조작부가 문이나 벽체로부터 돌출되어 불필요한 접촉이 많이 발생함에 따라 쉽게 손상되므로 결국 수명이 짧아지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화장실의 사용중에 잠금구의 잠금여부와는 관계없이 문만 닫혀 있으면 사용중임을 알리는 표시가 정확히 나타나도록 한 공중화장실의 사용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표시부분과 표시부분을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부분을 문이나 벽체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데 있으며, 더 나가서 문을 여닫을 때 표시구에 충격이 가해지지 아니하여 수명이 오래갈 수 있는 공중화장실의 사용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화장실 문의 상변 일측에 매설한 마그네트 스위치의 마그네트부와, 문의 상측에 위치하는 챈널부재상의 상기 마그네트부의 대응위치에 부착하여 마그네트부의 자력에 의해 단자가 접속되는 단자부와, 표시기구가 내장되도록 보호케이스와 표시창부재를 결합한 통상적인 표시구의 표시창부재를 문 상측의 챈널부재내에서 투시공을 향하도록 체결하여 표시구와 단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표시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표시장치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챈널부재내에 설치한 단자부 및 표시구를 보인 평단면도
도 4는 표시구의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5는 문의 하측 힌지부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벽판넬 2 : 문 4 : 챈널부재
5 : 표시구 6a : 마그네트부 6b : 단자부
14 : 투시창 15 : 보호케이스 25 : 표시기구
35 : 표시창부재
도 1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분리사시도로서, 양쪽 벽판넬(1)의 사이에 위치하는 문(2)의 하측 힌지부(3a)는 바닥면에 앵커로 고정되어 있고, 상측 힌지축(3b)은 벽판넬(1)의 상단을 지지하는 챈널부재(4)에 삽입되어 있다.
챈널부재(4)에서 문(2)의 직상방 중간부에는 표시구(5)가 설치되어 있고, 문(2)의 상변 일측에는 마그네트부(6a)를 매설되어 있으며, 챈널부재(4)상의 상기 마그네트부(6a)의 대응위치에는 단자부(6b)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마그네트부(6a)와 단자부(6b)는 이들 2개를 1조로 하여 스위치 기능을 가지는 이른바 마그네트 스위치로서, 단자부(6b)와 마그네트부(6a)가 대향상태로 일치되면 마그네트부(6a)의 강한 자력에 의해 단자부(6b)내의 단자가 접속되어 전원이 ON 되고, 단자부(6b)에서 마그네트부(6a)의 위치가 어긋나면 단자가 단락되어 OFF 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챈널부재(4)내에 설치되는 단자부(6b)와 표시구(5)간에는 서로 전선(7)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2 및 도 4에서, 표시구(5)는 문(2)의 상방에 위치하는 챈널부재(4)내에서 정면에 뚫은 투시공(14)을 향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표시구(5)는 보호케이스(15)와 표시기구(25) 및 표시창부재(35)로 이루어져 있다.
보호케이스(15)는 좌우측의 내벽면에 표시창부재(35)를 결합할 때 사용하는 조립공(45)이 뚫려 있다.
표시기구(25)는 고정판재(55)와 회로기판(65) 및 회로기판(65)에 '사용중'의 문자를 구성하도록 형성한 발광체(75)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발광체(75)로는 발광다이오드(LED)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발광이 가능한 것이라면 다른 것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표시창부재(35)는 제조원가를 고려할 때 합성수지재 사출성형품으로 제작함으로써 중앙부분에 인서트사출의 방법으로 투명창(85)을 형성하고, 뒷면의 좌우측에는 상기 보호케이스(15)의 조립공(45)에 걸리는 조립돌기(105)를 선단에 형성한 조립편(95)을 돌출되게 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서 표시구(5)의 조립과정을 설명하여 보면, 보호케이스(15)내에 표시기구(25)를 수용하고 표시창부재(35)의 뒷면 좌우측의 조립편(95)를 상기 보호케이스(15)의 좌우측면에 위치되도록 하여 그 내부로 밀어 넣으면 조립편(95)의 선단에 돌출된 반구형 조립돌기(105)가 이에 대응하는 조립공(45)에 끼워지면서 표시구(5)가 완성된다.
상기한 조립과정을 거쳐 완성된 표시구(5)를 설치할 때는 도 3에서 보듯이, 투명창(85)을 문(2)의 상방에 위치하는 챈널부재(4)의 투시공(14)을 향하도록 밀착시킨 후 일치된 체결공을 통하여 나사로서 체결하여 설치한다.
이어서, 문(2)의 상변 일측에는 마그네트부(6a)를 매설하고 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챈널부재(4)내에는 단자부(6b)를 부착하고, 먼저 설치한 표시구(5)의 회로기판(65)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표시장치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표시구(5)를 문(2) 상방의 챈널부재(4)상에 설치함으로써 문(1)을 여닫을 때 접촉이 없을 뿐만 아니라 충격이 가해지지 아니하여 접촉이나 충격으로 인한 손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서, 화장실 문(2)의 힌지부(3a)는 도 5에서 보듯이 경사면을 가지는 축을 사용한다.
힌지부(3a)는 고정축(13)의 상단에 한 쪽으로 기울어진 경사면(23)을 가지며, 또 상기 고정축(13) 상방의 회전축(33)의 하단도 상기 경사면(23)에 대응하는 경사면(43)을 가지게 하여 문(2)을 열은 다음에 그대로 두면 문(2)의 자중에 의해 회전축(33)의 경사면(43)이 고정축(13)의 경사면(23)에 맞닿는 위치로 회전하면서 닫히게 된다.
이 경우 문(2)이 닫혔을 때, 즉 경사면(23)(43)끼리 맞닿을 대의 정지 각도는 닫힌상태를 기준으로 볼 때 약 15°정도의 각도로 열려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문(2)이 경사면(23)(43)끼리 맞닿아 약 15°정도의 각도로 열려 있을 때는 문(2)의 상변 일측에 매설된 마그네트부(6a)와 그 상측의 챈널부재(4)내에 부착된 단자부(6b)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 있는 상태이므로 마그네트부(6a)의 자력이 단자부(6b)에 미치지 못하여 단자의 단락으로 전원이 OFF 되어 표시구(5)상의 발광체(75)는 켜지지 않는다.
한편, 사용자가 화장실의 문(2)을 열고 들어가 완전히 닫게 되면 단자부(6b)와 마그네트부(6a)의 위치가 일치되어 마그네트부(6a)의 자력에 의해 단자부(6b)의 단자가 접속되므로 전원이 ON 되면서 잠금구의 잠금여부와는 상관없이 표시구(5)의 발광체(75)가 점등되면서 '사용중'이라는 문자가 표시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공중화장실 사용중 표시장치는 화장실 사용자가 화장실에 들어가 문를 닫으면 잠금여부와 상관없이 즉시 사용중으로 표시되어 바깥의 다른 사람이 사용중임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여유를 가지고 문을 잠글 수 있게 된다.
특히, 표시구를 문의 상측인 챈널부재에 설치하여 문을 여닫을 때 충격이 미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마그네트 스위치의 마그네트부와 단자부를 문의 상변과 챈널부재에 내장함으로써 외관을 해치지 않는다.
또, 표시구와 함께 마그네트 스위치를 모두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했기 때문에 신체에 접촉되거나 걸리적거리지 않아 기기의 손상이 미연에 예방되어 수명이 길어지는 장점도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화장실 문(2)의 상변 일측에 매설한 마그네트 스위치의 마그네트부(6a)와;
    문(2)의 상측에 위치하는 챈널부재(4)상의 상기 마그네트부(6a)의 대응위치에 부착하여 마그네트부(6a)의 자력에 의해 단자가 접속되는 단자부(6b)와;
    표시기구(25)가 내장되도록 보호케이스(15)와 표시창부재(35)를 결합한 통상적인 표시구(5)의 표시창부재(35)를 문(2) 상측의 챈널부재(4)내에서 투시공(14)을 향하도록 체결하여 표시구(5)와 단자부(6b)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의 사용중 표시장치.
KR2020000013459U 2000-05-12 2000-05-12 공중화장실의 사용중 표시장치 KR2002000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459U KR200200008Y1 (ko) 2000-05-12 2000-05-12 공중화장실의 사용중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459U KR200200008Y1 (ko) 2000-05-12 2000-05-12 공중화장실의 사용중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8Y1 true KR200200008Y1 (ko) 2000-10-16

Family

ID=19655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459U KR200200008Y1 (ko) 2000-05-12 2000-05-12 공중화장실의 사용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497B1 (ko) * 2016-10-26 2017-02-09 이향기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497B1 (ko) * 2016-10-26 2017-02-09 이향기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3364B2 (en) Multi-control entry door hardware
CN105484576B (zh) 带有集成天线、触摸激活和光通讯装置的无线锁具
US8324518B2 (en) Incorporated switch, especially a switch for opening a door
US7248163B2 (en) Knob assembly with a lock and a status indicator
CA2559168C (en) Illuminating mechanism for a lock
JP2008537039A (ja) パッシブ・エントリー・センサ・システム
US4803467A (en) Magnetic key lock provided with an alarm system
US3719821A (en) Illuminated attachment for a lock-equipped door knob
SK4302000A3 (en) Door terminal with an emergency door opening button and a display module
KR100710902B1 (ko) 경보 자물쇠
KR200200008Y1 (ko) 공중화장실의 사용중 표시장치
US20020067605A1 (en) Illuminated pad lock
CN111954744B (zh) 开门通知和门把手/防恐杆位置表示装置
KR200193017Y1 (ko) 공중화장실의 사용중 표시장치
KR200243885Y1 (ko) 화장실의 사용 표시장치
CA2651238C (en) Lock light
JPS6335043B2 (ko)
KR20090021925A (ko) 공중화장실의 사용시간 표시장치
KR200373352Y1 (ko) 자동 및 수동 겸용 전자식 도어록장치
GB2182975A (en) A card-type combination lock
KR100429065B1 (ko) 도어록 잠김상태 자동감지장치
CN212897984U (zh) 一种门锁防撬防钻报警机构
KR200310225Y1 (ko) 자물쇠의 잠김 상태 확인 기능이 추가된 열쇠
KR100635254B1 (ko) 키감지 스위치의 마운팅 구조
KR100301641B1 (ko) 잠금상태및키삽입확인이용이한자물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