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017Y1 - 공중화장실의 사용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공중화장실의 사용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017Y1
KR200193017Y1 KR2020000009038U KR20000009038U KR200193017Y1 KR 200193017 Y1 KR200193017 Y1 KR 200193017Y1 KR 2020000009038 U KR2020000009038 U KR 2020000009038U KR 20000009038 U KR20000009038 U KR 20000009038U KR 200193017 Y1 KR200193017 Y1 KR 2001930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oilet
embedded
seating portion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90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옥
Original Assignee
데코판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코판넬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데코판넬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90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0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0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0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중화장실의 문에 사용중과 공실을 알리는 전기적인 표시장치를 부착하여 평상시 문이 열렸을 때는 소등되고 문이 닫혔을 때는 자동으로 점등되도록 한 공중화장실의 사용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중화장실은 화장실 문의 내면에 잠금고리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사용중인지 비어 있는지를 알지 못하고, 비어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대부분 외부에서 노크를 하게 되지만, 노크에 대하여 화장실 안에서 답을 한다고 하더라도 경우에 따라서는 어느 칸의 화장실에서 답을 하는지 분간하기 어려울 때가 많다..
본 고안의 공중화장실의 사용중 표시장치는 화장실 문(1)의 문(1)의 일측 벽판넬(2)의 세로변에 매설한 마그네트 단자(3a)와; 상기 문(1)의 정면에 형성한 안착부(11)와; 상기 안착부(11)의 내면에 맞도록 내장시킨 보호케이스(4)와; 상기 보호케이스(4)의 속에 내장하여 전원에 의해 점등되도록 발광체(33)를 구비한 표시기구(3)와; 상기 안착부(11)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고정한 표시창부재(5)와; 상기 마그네트 단자(3a)와 대향하도록 문(1)의 일측 세로변에 매설한 마그네트 단자(3b)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공중화장실의 사용중 표시장치{Used indicator for public toilet}
본 고안은 공중화장실의 문에 사용중과 공실을 알리는 전기적인 표시장치를 부착하여 평상시 문이 열렸을 때는 소등되고 문이 닫혔을 때는 자동으로 점등되도록 한 공중화장실의 사용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중화장실은 화장실 문의 내면에 잠금고리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사용중인지 비어 있는지를 알지 못하고, 비어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대부분 외부에서 노크를 하게 되지만, 노크에 대하여 화장실 안에서 답을 한다고 하더라도 경우에 따라서는 어느 칸의 화장실에서 답을 하는지 분간하기 어려울 때가 많다.
또한, 확인을 위해 밖에서 자주 노크를 하게 되면 용변을 보는 사람은 심리적으로 매우 불안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화장실이 사용중임을 알릴 수 있는 여러가지 표시장치가 소개되었다.
이러한 표시장치들은 대부분 잠금고리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화장실을 사용하는 사람이 안에서 잠금고리를 걸었을 때 잠금고리의 작동에 따라 표시장치가 회동된다던가 슬라이딩되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표시장치들은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즉, 화장실 안에서 잠금고리를 걸어야만 표시되기 때문에 문을 닫았더라도 실수로 잠금고리를 걸지 않으면 표시장치가 사용중이 아닌 것으로 표시되므로 문제가 있다.
또한, 대부분의 표시장치는 표시부분이나 표시부분을 작동시키는 조작부분이문이나 벽체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접촉이 많이 생기고, 이러한 접촉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결국 수명이 짧아지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화장실의 사용 중에 잠금고리를 잠그지 않아도 문만 닫히면 사용중임을 알리는 표시가 표시부분에 정확히 나타나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표시부분과 표시부분을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부분을 문이나 벽체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데 있으며, 더 나가서 표시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수명이 오래갈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화장실 문의 일측 측면에 매설한 마그네트 단자와, 상기 문의 정면에 형성한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내면에 맞도록 내장시킨 보호케이스와, 상기 보호케이스의 속에 내장하여 전원에 의해 점등되도록 발광체를 구비한 표시기구와, 상기 안착부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고정한 표시창부재와, 상기 문의 마그네트 단자와 대향하도록 벽판넬에 매설한 마그네트 단자로 구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을 보인 평단면도
도 4는 문의 하측 힌지부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문 2 : 벽판넬
3 : 표시기구 3a,3b : 마그네트 단자
4 : 보호케이스 5 : 표시창부재 6 : 전선
7 : 하측 힌지부 7a : 상측 힌지축 8 : 챈널부재
11 : 안착부 30 : 마그네트 스위치
31 : 고정판재 32 : 회로기판 33 : 발광체 41 : 플랜지 42 : 체결공 43 : 조립공
51 : 투명창 52 : 조립편
도 1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문(1)은 양쪽 벽판넬(2)의 사이에 위치하고, 문(1)의 하측 힌지부(7)는 바닥면의 앵커로 고정되어 있고, 상측 힌지축(7a)은 벽판넬(2)을 설치하기 위한 챈널부재(8)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문(1)의 정면 중앙에는 표시기구(3)가 설치되고, 문(1)의 일측 벽판넬(2)의 세로변에는 마그네트 단자(3a)를, 문(1)의 벽판넬(2)을 향한 쪽의 일측 세로변에서 상기 마그네트 단자(3a)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마그네트 단자(3b)가 각각 매설되어 있다.
그리고, 각 마그네트 단자(3a)(3b)를 연결하기 위한 전선(6)은 벽판넬(2)의 속 및 문(1)의 속과 상측 힌지축(7a)의 속을 통해서 각각 챈널부재(8)의 위로 배선된다.
여기서 사용하는 스위치는 이른바 마그네트 스위치(30)로서, 2개의 마그네트 단자(3a)(3b)를 대향되게 설치하여 마그네트 단자(3a)와 (3b)간의 자기를 이용하여 전원을 ON/OFF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컨대, 마그네트 단자(3a)와 (3b)가 대향상태로 서로 일치될 때는 전원이 ON 되고, 서로 위치가 어긋날 때는 전원이 OFF 되는 것이다.
상기 표시기구(3)는 문(1)의 바깥 쪽에서 임의의 크기로 두께의 일부를 파내어 안착부(11)를 형성한 후, 보호케이스(4)와 표시기구(3)와 표시창부재(5)의 순서로 끼워 넣어서 조립한다.
보호케이스(4)는 그 외곽이 상기 안착부(11)의 내면에 꼭 맞도록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체결공(42)을 가진 고정용 플랜지(41)가 테두리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좌우 양측의 내벽면에는 표시창부재(5)의 결합할 때 사용하는 조립공(43)이 형성되어 있다.
표시기구(3)는 고정판재(31)와 회로기판(32)과 회로기판(32)에 문자를 구성하도록 형성한 발광체(33)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발광체(33)로는 발광다이오드(LED) 등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것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그 외에 고정판재(31)와 회로기판(32) 등의 조립상태도 어느 한가지 구조로 한정하지 않는다.
표시창부재(5)는 제조원가를 고려할 때 합성수지재 사출성형품으로 제작함으로써 중앙부분에 인서트 사출의 방법으로 투명창(51)을 형성하고, 또 뒷면의 좌우 양측에는 조립편(52)을 돌출시키고 그 끝단에 형성된 조립돌기(53)들이 상기 보호케이스(4)의 조립공(43)에 걸려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같이 조립하면 상기 표시창부재(5)의 두께 만큼만 문(1)의 표면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활동하는 사람들에게 큰 접촉이 없게 되고, 또 마그네트 스위치(30)를 구성하는 마그네트 단자(3a)(3b) 역시 모두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손으로 만질 수 있거나 신체에 닿는 일이 없으므로 손상되지 않는다.
참고로 화장실 문(1)의 힌지부(7)는 도 4에서 보듯이, 경사면을 가지는 축을 사용한다.
힌지부(7)는 고정축(71)의 상단에 한 쪽으로 기울어진 경사면(72)을 가지며, 또 상기 고정축(71)에 대향하는 상방의 회전축(73)의 하단도 경사면(74)을 가지게 하여 문(1)에 열은 다음에 닫지 않고 그대로 두면 문(1)의 자중에 의해 회전축(73)의 경사면(74)이 고정축(71)의 경사면(72)에 맞닿는 위치로 회전하여 일치되면서 닫히게 된다.
이 경우 문(1)이 닫혀서 정지된 각도는 도 3의 가상선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약 15°정도의 각도로 열려 있는 상태가 된다.
도 3에서 보듯이, 문(1)이 가상선의 위치에 있을 때는 벽판넬(2)의 측면에 매설된 마그네트 단자(3a)와 문(1)의 측면에 매설된 마그네트 단자(3b)가 위치가 떨어진 상태로 어긋나 있으므로 자기가 흐르지 않아 표시기구(3)의 발광체(33)는 켜지지 않는다.
사용자가 화장실에 들어가 문(1)을 닫게 되면 잠금고리를 꼭 잠그지 않아도 마그네트 단자(3a)와 (3b)가 대향상태로 일치되어 자기의 작용으로 전기가 흐르게 되므로, 표시기구(3)의 발광체(33)가 점등되면서 '사용중'이라는 문자가 표시된다.
본 고안의 공중화장실 사용중 표시장치는 화장실 사용자가 화장실에 들어가 문를 닫으면 즉시 사용중으로 표시가 되므로 실수로 잠금고리를 잠그지 않더라도 다른 사람이 사용중임을 인식하게 된다.
특히, 마그네트 스위치의 두 단자가 모두 내장되어 있으므로 외관을 해치지 않으며, 또 표시기구 역시 문의 두께 속으로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신체에 접촉되거나 걸리적거리지 않아 기기의 손상이 미연에 예방되고, 수명이 길어지는 장점도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화장실 문(1)의 문(1)의 일측 벽판넬(2)의 세로변에 매설한 마그네트 단자(3a)와; 상기 문(1)의 정면에 형성한 안착부(11)와; 상기 안착부(11)의 내면에 맞도록 내장시킨 보호케이스(4)와; 상기 보호케이스(4)의 속에 내장하여 전원에 의해 점등되도록 발광체(33)를 구비한 표시기구(3)와; 상기 안착부(11)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고정한 표시창부재(5)와; 상기 마그네트 단자(3a)와 대향하도록 문(1)의 일측 세로변에 매설한 마그네트 단자(3b)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의 사용중 표시장치.
KR2020000009038U 2000-03-30 2000-03-30 공중화장실의 사용중 표시장치 KR2001930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038U KR200193017Y1 (ko) 2000-03-30 2000-03-30 공중화장실의 사용중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038U KR200193017Y1 (ko) 2000-03-30 2000-03-30 공중화장실의 사용중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3017Y1 true KR200193017Y1 (ko) 2000-08-16

Family

ID=19649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038U KR200193017Y1 (ko) 2000-03-30 2000-03-30 공중화장실의 사용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01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775A (ko) * 2002-09-17 2004-03-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화장실용 표시장치
KR100512682B1 (ko) * 2000-08-04 2005-09-07 오진환 도어용 광고시스템
KR101705497B1 (ko) * 2016-10-26 2017-02-09 이향기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
KR101858191B1 (ko) * 2017-10-11 2018-05-15 서두나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실 유닛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682B1 (ko) * 2000-08-04 2005-09-07 오진환 도어용 광고시스템
KR20040025775A (ko) * 2002-09-17 2004-03-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화장실용 표시장치
KR101705497B1 (ko) * 2016-10-26 2017-02-09 이향기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
KR101858191B1 (ko) * 2017-10-11 2018-05-15 서두나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실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8283B2 (en) Sensitive lighting fixture for construction junction box
US5055830A (en) Battery sensing mechanism
US7248163B2 (en) Knob assembly with a lock and a status indicator
US20170356638A1 (en) Electrical Outlet with Covering and Light and Method of Use for the Same
KR200193017Y1 (ko) 공중화장실의 사용중 표시장치
JP2019183543A (ja) 安全ドアスイッチ
KR101487733B1 (ko) 도어의 점등시스템
CA2651238C (en) Lock light
KR101705497B1 (ko)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
KR200200008Y1 (ko) 공중화장실의 사용중 표시장치
KR102097548B1 (ko)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 및 이의 제조방법
ES2656523T3 (es) Instalación de seguridad de salida de emergencia
KR200243885Y1 (ko) 화장실의 사용 표시장치
KR200270052Y1 (ko) 분전반 커버
CN220914093U (zh) 一种自带磁性开关的旋钮
JP6007351B1 (ja) 表示灯
KR20090021925A (ko) 공중화장실의 사용시간 표시장치
KR200376924Y1 (ko) 화재감지기용 케이스 어셈블리
CN117198792A (zh) 一种自带磁性开关的旋钮
KR200235471Y1 (ko) 발광램프를 구비한 안전콘센트
JP2000215943A (ja) コ―ドコンセント、インレット、コンセント装置
KR960007497Y1 (ko) 콘센트의 야광장치
KR100301641B1 (ko) 잠금상태및키삽입확인이용이한자물쇠
CN213346962U (zh) uv杀菌灯
CN210798559U (zh) 一种防止幼儿开启的磁力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