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0902B1 - 경보 자물쇠 - Google Patents

경보 자물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0902B1
KR100710902B1 KR1020050076936A KR20050076936A KR100710902B1 KR 100710902 B1 KR100710902 B1 KR 100710902B1 KR 1020050076936 A KR1020050076936 A KR 1020050076936A KR 20050076936 A KR20050076936 A KR 20050076936A KR 100710902 B1 KR100710902 B1 KR 100710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window
alarm
main body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6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0548A (ko
Inventor
요시유키 마쓰나가
Original Assignee
카켄한바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켄한바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켄한바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0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0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001Covers preventing access to handles or ke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79Locks with audio features
    • E05B17/0083Sound emitting devices, e.g. loudspea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0Illuminating devices on or for locks or keys; Transparent or translucent lock parts; Indicator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05B45/061Electric alarm locks for combinatio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05B2045/065Switch or sensor type used in alarm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침입자가 창문에서 건물로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는 경보 자물쇠를 제공한다.
경보 자물쇠(1)의 본체(2)의 설치부(3)를 통해 창문틀(30)에 회전작동 가능하게 부착한다. 본체(2)의 아랫쪽 단면에 대체로 U자 형태로 들어간 오목부분(5)을 형성한다. 본체(2)를 아랫쪽으로 회전작동시켜 오목부분(5)의 내부에 창문용자물쇠(20)의 조작레버(23)를 집어 넣은 상태에서 잠금으로서, 조작레버(23)를 조작할 수 없게 된다(회전 작동시킬 수 없다). 누름버튼(91~94)을 사전에 정해진 순서에 따라 누르지 않고 본체(2)를 잠금상태에서 무리하게 윗쪽으로 회전 작동시킬 경우에는 본체(2)의 내부에 갖추어진 스피커에서 경보가 발생한다.

Description

경보 자물쇠{Warning Locker for window}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경보 자물쇠를 앞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경보 자물쇠를 뒤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경보 자물쇠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상태에서 경보 자물쇠의 본체를 아랫쪽으로 회전시켰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로써, (a)는 본체를 도중까지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며 (b)는 본체를 맨 아랫쪽까지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경보 자물쇠의 일부를 긴 쪽 방향을 따라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을 난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솔레노이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경보 자물쇠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경보 자물쇠를 사용할 때의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한 제어 내용을 나타낸 플로 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경보 자물쇠를 앞쪽에서 본 개략적인 사시도로써, (a)는 잠금 상태에서의 경보 자물쇠의 사시도이며, (b)는 잠금을 해제 시킨 상태에서의 경보 자물쇠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경보 자물쇠를 뒤쪽에서 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경보 자물쇠를 앞쪽에서 본 개략적인 사시도로써 (a)는 잠금 상태에서의 경보 자물쇠의 사시도이며, (b)는 잠금을 해제시킨 상태에서의 경보 자물쇠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관한 경보 자물쇠를 앞쪽에서 본 개략적인 사시도로써, (a)는 잠금 상태에서의 경보 자물쇠의 사시도이며, (b)는 잠금을 해제시킨 상태에서의 경보 자물쇠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관한 경보 자물쇠를 앞쪽에서 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a)는 잠금 상태에서의 경보 자물쇠의 사시도이며, (b)는 잠금을 해제시킨 상태에서의 경보 자물쇠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경보자물쇠 5: 오목부분
10: 스피커 13: 기능중 통지램프
17: 마이크로 컴퓨터 20: 창문용 자물쇠
21: 지지축 22: 계지체
23: 조작레버 30: 창문틀
91~94: 누름버튼 101: 경보자물쇠
103: 커버 113: 발광다이오드(기능중 통지램프)
191~194: 누름버튼 201: 경보자물쇠
205: 오목부분 213: 기능중 통지램프
291~294: 누름버튼 301: 경보자물쇠
305: 오목부분 313: 발광다이오드(기능중 통지램프)
391~394: 누름버튼 401: 경보자물쇠
403: 커버 413: 발광다이오드(기능중 통지램프)
491~494: 누름버튼
본 발명은 창문틀에 설치하여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하는 계지체 및 이러한 계지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작 레버를 갖춘 창문용 자물쇠에 적용되는 경보 자물쇠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창문틀에 설치되어 지지축을 중심으로(약 180°) 회전 운동함으로서 닫힌 창문을 닫힌 상태로 고정하고 또한 열 수 있는 상태로 할 수 있는 창문용 자물쇠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창문용 자물쇠는 예를 들어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하는 초승달 형태의 계지체(이른바 크레센트)와 이 계지체를 회전시키기 위해 계지체에 연결된 조작 레버를 구비하고 있다.
도둑과 같은 침입자가 창문을 통해 건물에 침입하고자 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창문의 자물쇠 가까운 쪽에 있는 창문 유리의 일부를 부수고 그곳을 통해 손을 집어넣어 조작 레버를 잡고 계지체를 회전시킴으로서 창문을 열 수 있는 상태로 한 뒤, 창문을 열고 건물에 침입한다.
이와 같은 침입자의 침입을 저지하기 위하여, 창문용 자물쇠의 회전 운동(자물쇠 열기)를 검지하여 경보를 울릴 수 있는 세큐리티 시스템이 알려져 있고,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3~27781 호 공보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창문의 자물쇠가 열리는 것을 저지할 수 없기 때문에 경보는 울리지만 침입자가 창문의 자물쇠를 연 뒤 창문을 통해 건물 내부로 침입할 수 있다. 따라서 경보가 울리는 동안 침입자가 건물에 침입하여 절도를 할 가능성이 있어 세큐리티가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한편, 침입자가 침입 가능한 정도의 광범위하게 창문 유리를 부수고 건물에 침입하는 일은 매우 드물며 침입자는 창문의 자물쇠가 쉽게 열리지 않는다면 건물 내부로의 침입을 단념할 것이 예상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 아래 안출된 것으로 침입자가 창문을 통해 건물에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경보 자물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창문틀에 설치하여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하는 계지체 및 상기 계지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작 레버를 갖춘 창문의 자물쇠에 적용되는 경보 자물쇠로써, 상기 조작 레버에 씌워져 조작 레버를 조작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커버와, 복수개의 누름버튼과, 경보를 발생기키는 작동을 하는 경보발생 수단, 상기 복수개의 버튼을 사전에 정해진 순서에 따라 누를 때에는 위의 경보발생 수단을 작동시키지 않지만, 상기 복수개의 버튼이 상기 사전에 정해진 순서에 따라 눌러지지 않고 상기 커버가 벗겨졌을 때에는 상기 경보발생 수단을 작동시키는 제어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자물쇠를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커버가 조작 레버에 씌워져 있음으로써 조작 레버를 조작할 수 없도록 할 수 있어, 침입자가 창문용 자물쇠 부근의 창문 유리의 일부를 부수고 그곳을 통해 손을 집어넣어도 조작 레버를 잡고 계지체를 회전시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침입자는 창문 자물쇠를 쉽게 열 수 없게 되어 건물로의 침입을 단념하게 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침입자가 창문을 통해 건물에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누름버튼이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눌러지지 않고 커버가 벗겨졌을 때에는 경보발생 수단이 작동하여 경보가 울리므로 커버를 무리하게 벗기고 조작 레버를 회전시키는 것을 저지할 수 있어 침입자가 창문을 통해 건물에 침입하는 것을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를 상기 조작 레버에 씌워놓은 상태로 잠글 수 있는 잠금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복수개의 누름버튼이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눌러졌을 때에는 상기 경보발생 수단을 작동시키지 않고, 상기 잠금 기능에 의한 잠금 상태를 해제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누름버튼은 4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4개의 누름버튼중 1개는 누름버튼을 사전에 정해진 순서에 따라 눌렀을 때에 조작 개시를 알리는 입력을 위한 것이며. 나머지 누름버튼중 1개는 누름버튼을 상기 사전에 정해진 순서에 따라 눌렀을 때에 조작 종료를 알리는 입력을 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커버가 상기 조작 레버에 씌워져 있는 상태에서 창문 바깥쪽으로부터 시각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발광 다이오드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제어 회로는 기능중임을 알리기 위해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발광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건물에 침입하고자 하는 침입자는 발광(예를 들어, 점멸)하고 있는 발광 다이오드를 창문 바깥쪽에서 눈으로 확인함으로서 제어 회로가 가능중임을 인식하고 건물에 대한 침입을 단념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침입자가 창문을 통해 건물에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경보 자물쇠(1)를 앞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경보 자물쇠(1)를 뒷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보 자물쇠(1)는 창문틀에 설치되어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하는 계지체 및 상기 계지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작 레버를 구비하는 창문용 자물쇠에 적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경보 자물쇠(1)에는 본체(2)와, 상기 본체(2)를 창문틀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본체(2)는, 그 외형이 긴 형상의 케이싱(4)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4)의 길이 방향의 일단면에는 길이 방향을 향해 대체로 U자 형태로 오목한 오목부분(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분(5)의 내부에 자물쇠의 조작 레버를 집어 넣음으로서 조작 레버를 조작할 수 없도록(회전시킬 수 없음)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4)에서의 오목부분(5)의 주변 부분은 조작 레버를 덮고 있어서, 조작 레버를 조작할 수 없도록 한 커버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설치부(3)는 상기 본체(2)와 대향 배치되어 있으며, 본체(2)의 길이 방향에 따라 긴 형상을 가지는 박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설치부(3)에는 설치부(3)를 창문틀에 설치할 때에 피스 등과 같은 고정구를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관통공(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설치부(3)의 본체(2)를 마주보고 있는 면의 소정 부위에는 본체(2)의 내부에 배치된 후술할 잠금기구로써 솔레노이드(7)을 계지시키기 위한 계지돌기(8)가 본체(2)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4)의 설치부(3)와 반대쪽 면에는 복수개(예를 들면 4개)의 누름버튼(91,92,93,94)이 케이싱(4)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상기 누름버튼(91~94)의 옆부분에는 각 누름버튼(91~94) 에 대응하여 각 누름버튼(91~94)의 조작에 응답하여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조작통지램프)(91A, 92A, 93A, 94A)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4)의 내부에는 후술한 스피커(10)가 배치되어 있으며, 케이싱(4)의 설치부(3)와 반대쪽 면의 오목부분(5) 측에는 상기 스피커(10)에서 발생 하는 음을 케이싱(4)의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복수개의 작은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경보자물쇠(1)는, 4개의 누름버튼(91~94)이 사전에 정해진 순서에 따라 눌러지는 것에 응답하여 기능하며(경보를 발생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기능중에 4개의 누름버튼(91~94)이 상술한 바와 같이, 사전에 정해진 순서에 따라 눌러졌을 경우, 기능 상태(경보를 발생할 수 있는 상태)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4개의 누름버튼(91~94) 중 1개[예를 들면 오목부분(5)와 반대쪽에 위치하는 누름버튼 (91)]는 누름버튼(91~94)을 사전에 정해진 순서에 따라 눌렀을 때에 조작 개시의 뜻을 입력하기 위한 것(조작 개시키)이며, 나머지 누름버튼(92~94) 중 1 개[예를 들어 오목부분(5) 쪽에 위치하는 누름버튼(94)]는 누름버튼(91~9)을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눌렀을 때 조작 종료의 뜻을 입력하기 위한 것(입력 종료키)이다. 즉, 상기 경보자물쇠(1)를 동작시키거나 또는 동작상태를 해제시킬 때에는 조작개시키(91)를 조작한 뒤, 다른 2 개(예를 들어, 한가운데에 있는 2 개)의 누름 버튼(입력조작키)(92, 93)을 정해진 순서에 따라 누르고 마지막으로 조작종료키(94)를 조작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4)의 전면에는 솔레노이드(7)의 계지돌기(8)에 대한 잠금상태(로킹상태)가 해제되어 있을 때(자물쇠가 열려 있을 때) 점등하는 발광 다이오드(잠금해제 통지램프)(12)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4)의 후면에는 경보자물쇠(1)가 동작하고 있는 것(경보를 발생할 수 있는 상태인 것)을 통지하기 위한 발광 다이오드(기능중 통지램프)(13)이 배치되어 있다. 기능중 통지램프(13)의 측면에는 솔러패널(14)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솔러패널(14)에서 받아들인 빛을 이용하여 발전을 하며, 발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기능중인 통지램프(13)을 발광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본체(2)는, 그 전측에서의 길이방향의 2개소 및 후측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2개소, 합 4개소에서, 봉형상의 연결부(15)를 통하여 설치부(3)와 연결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각각의 연결부(15)는 설치부(3)에 대하여 설치부(3)의 짧은쪽 방향(앞뒤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본체(2)에 대하여 본체(2)의 짧은쪽 방향(앞뒤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2)를 잡고 길이 방향으로 변위시킴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2)를 설치부(3)에서 간격이 벌어지게 하거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본체(2)를 회전시켜 본체(2)를 설치부(3)에 근접(또는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 본체(2)의 길이 방향의 일측[오목부분(5) 측]에 설치된 2 개의 연결부(15)와, 본체(2)의 길이 방향의 타측[오목부분(5)의 반대측]에 설치된 2 개의 연결부(15)는 각각 대략 ㄷ형자 형태로 굴곡 형성되어 있는 봉형상 부재의 양단부에 의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도 3은 본 발명의 경보자물쇠(1)의 설치 태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경보자물쇠(1)는 지지축(21)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하는 초승달 모양의 계지체(22)(소위 크레센트)와, 상기 계지체(22)를 회전시키기 위해 계지체에 연결된 조작레버(23)을 구비한 일반적인 창문용 자물쇠(20)가 설치된 창문틀(30)에 설치된다. 상기 창문용 자물쇠(20)는 예를 들어 창문유리(30A)가 삽입되어 있는 창문틀(30)의 바깥면[창문유리(30A)에 직교하는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창문유리(30A)에 대하여 평행하는 지지축(21)을 중심으로 계지체(22)를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창문용 자물쇠(20)가 설치된 창문틀(30)의 뒤쪽에 배치된[창문유리(31A)이 삽입되어 있는] 창문틀(31)에 계지체(22)를 계지시켜 이들 2 개의 창문틀(30,31)의 상대적인 위치를 규제하며 닫혀있는 창문을 닫힌 상태로 고정시키는 것과 동시에, 이러한 상태에서 조작레버(23)를 앞쪽으로 회전시켜 지지축(21)을 중심으로 계지체(22)를 대략 180°정도 회전시킴으로서 창문틀(31)에 대한 계지체(22)의 계지 상태를 해제하여 창문을 열 수 있는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상기 계지체(22)가 계지 상태에 있을 때에는, 조작레버(23)가 창문틀(30)의 바깥면을 따라서 계지체(22) 부터 윗쪽을 향하여 뻗어있다.
상기 경보자물쇠(1)는, 창문용 자물쇠(20)가 설치되어 있는 창문틀(30)의 외측면에 대하여 창문용 자물쇠(20)의 윗쪽 방향[계지체(22)가 계지 상태에 있을 때에 계지체(22)에 대하여 조작레버(23)가 뻗어있는 쪽]으로 오목부분(5)이 창문용자물쇠(20) 쪽을 향하는 자세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경보자물쇠(1)에 대하여 앞쪽에 건물 내부가 위치하며, 경보자물쇠(1)에 대하여 뒷쪽(창문의 뒷쪽 방향)에 건물의 외부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케이싱(4)의 뒷면에 배치된 기능중 통지램프(13)는 후방을 향하게 되고, 뒷쪽에 배치된 창문틀(31)의 창문유리(31A)를 통하여 창문의 바깥쪽에서 시각을 통해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보자물쇠(1)의 본체(2)를 설치부(3)에 대하여 맨 윗쪽에서 회전시킨 상태에서는 창문용 자물쇠(20)의 조작레버(23)가 본체(2)의 오목부분(5)에 들어가 있지 않아 조작레버(23)는 조작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상태에서, 경보자물쇠(1)의 본체(2)를 아랫쪽으로 회동시킬 때의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로써, (a)는 본체(2)를 도중까지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며, (b)는 본체(2)를 맨 아랫쪽까지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에 나타낸 상태에서 도 4의 (a)로 나타낸 상태까지 본체(2)를 회전시킨 경우에도 창문용자물쇠(20)의 조작레버(23)는 여전히 본체(2)의 오목부분(5)에 들어가 있지 않아 조작레버(23)는 조작이 가능한 상태이다. 그리고 도 4의 (a)에 도시한 상태에서 도 4의 (b)로 도시한 상태까지 본체(2)를 회전시키면 창문용 자물쇠(20)의 조작레버(23)가 본체(2)의 오목부분(5) 내에 들어가서, 조작레버(23)는 조작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5 는 본 발명의 경보자물쇠(1)의 일부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의 케이싱(4) 내부에는, 본체(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시킬 수 있는 축상의 플런저(70)를 구비하고 있는 솔레노이드(7)와, 상기 본체(2)와 설치부(3)의 대향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시킬 수 있는 축상의 가동부(16A)를 구비하고 있는 스위치(16)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2)의 케이싱(4)에 있어서의 설치부(3)에 대향하는 커버(40)에는, 솔레노이드(7)의 플런저(70)에 대향하는 위치와, 스위치(16)의 가동부(16A)에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관통공멍(41, 42)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를 설치부(3)에 대하여 맨 아랫쪽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는 설치부(3)의 계지돌기(8)가 관통구멍(41)을 거쳐 본체(2)의 케이싱(4)안으로 들어간다. 상기 계지돌기(8)에는 솔레노이드(7)의 플런저(70)에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관통공(8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관통공(8A)에 플런저(70)을 삽입관통시킴으로써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본체(2)를 잠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16)의 가동부(16A)는 상기 관통공(42)을 거쳐 케이싱(4)의 외부[설치부(3) 측]으로 빠져나와 있으며,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를 설치부(3)에 대하여 맨 아랫쪽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가동부(16A)의 끝부분이 설치부(3)에 접촉하여 본체(2) 측으로 누르는 압력을 가함으로써 가동부(16A)가 본체(2)의 내측으로 슬라이드되어 스위치(16)가 온(온)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6 은 솔레노이드(7)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솔레노이드(7)는 소위 자기유지형이므로 그 외형을 구획하는 바닥이 있는 통상의 프레임(71)과, 일단부가 상기 프레임(71)의 개구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타단부가 상기 프레임(71) 내에 삽입된 축상의 플런저(70)와, 상기 플런저(70)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도록 잡아주는 슬리브(72)와, 상기 슬리브(72)의 위치를 결정해주기 위한 베이스(73)와, 상기 프레임(71) 내에서 플런저(70)의 타단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슬리브(72)가 삽입관통되어 있는 보빈(74)과, 상기 보빈(74)의 외주면에 감겨있는 코일(75)과, 상기 프레임(71) 내에서 플런저(70)의 일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슬리브(72)가 삽입관통되어 있는 영구자석(76)과, 상기 프레임(71)의 개구부를 막아주는 플레이트(77), 그리고 상기 플런저(70)를 축방향을 따라 일단부측에서 타단부를 향하여 탄성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78)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플런저(70)는 예를 들면 철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코일(75)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면 자력으로 인해 플런저(70)가 축 방향을 따라 프레임(71)의 안쪽 방향으로 흡인된다. 이렇게 흡인된 플런저(70)는 영구자석(76)에 흡착되며 코일(75)로 흐르는 통전이 종료된 뒤에도 그 위치를 그대로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코일(75)에 역극성 전압을 인가하면 자력에 의해 플런저(70)가 축 방향을 따라 프레임(71)의 바깥 방향으로 회복된다. 회복된 플런저(70)는 스프링(78)의 탄성력에 의하여, 코일(75)로 흐르는 통전이 종료된 뒤에도 그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도 7 은 본 발명의 경보자물쇠(1)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보자물쇠(1)의 작동은 본체(2)의 케이싱(4) 내에 배치된 제어 회로에 포함되어 있는 마이크로 컴퓨터(마이컴)(17)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7)에는, 상기 누름버튼(91~94)을 포함하는 키입력부(9) 이외에, 스위치(16)와, 솔레노이드(7), 솔러패널(14), 발광다이오드(12, 13,91A~94A), 그리고 스피커(10) 등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4)의 내부에는 건전지와 같은 축전 장치를 배치할 수 있도록 되 어 있으며, 이러한 축전 장치에서 공급된 전력을 통해 솔레노이드(7), 조작통지램프(91A~94A), 잠금해제 통지램프(12), 그리고 스피커(10) 등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것과 같이 기능중 통지램프(13)는 솔러패널(14)을 통해 받아들인 빛을 이용해 발전한 전력을 사용하여 작동(발광)하도록 되어 있다.
도 8은 상기 경보자물쇠(1)를 사용할 때의 마이크로 컴퓨터(17)에 의한 제어 내용을 나타낸 플로 차트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컴퓨터(17)는 조작개시키(91)이 눌러져 있는가(S1) 및 스위치(16)가 온상태에서 오프로 되었는가(S12)를 감시하고 있다.
그리고 스위치(16)가 온상태에서 오프된 경우(S12에서 YES), 이 때의 솔레노이드(7)이 잠금 상태라면(S13 에서 YES), 마이크로 컴퓨터(17)은 본체(2)가 무리하게 위쪽 방향으로 회전되었다고 판단하여 스피커(10)에서 경보를 발생시킨다(S14). 한편, 스위치(16)가 온 상태에서 오프되었을 때, 상기 솔레노이드(7)이 잠금 상태가 아니라면(S13 에서 NO), 마이크로 컴퓨터(17)는 경보를 발생시키지 않고 재차 조작개시키(91)가 눌러졌는가(스텝 S1) 또는 스위치(16)가 온 상태에서 오프상태로 되었는가(S12)를 감시한다.
그리고 조작개시키(91)가 눌러진 경우(S1 에서 YES), 마이크로 컴퓨터(17)는 그 이후에 조작종료키(94)가 눌러졌는가를 감시하여(S2), 조작종료키(94)가 눌러진 시점에서(S2 에서 YES), 상기 조작개시키(91)가 눌러졌기 때문에 조작개시키(94)가 눌러질 때까지 눌러진 입력키(92,93)의 순서가 올바른 순서인가를 판정한다(S3).
그리고 입력조작키(92,93)가 올바른 순서대로 눌러져 있는 경우에는(S3 에서 YES),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7)는 이때 솔라노이드(7)가 잠금 상태인가의 여부를 확인한다(S4). 그리고 솔레노이드(7)가 잠금 상태가 아닐 경우에는(S4 에서 NO), 마이크로 컴퓨터(17)는 솔레노이드(7)를 복귀시키고 잠금 상태로 한 뒤에(S8), 소등중인 기능중 통지램프(13)를 점등시키며(S9), 아울러 점등하고 있는 잠금해제 통지램프(12)를 소등시킨다(S10). 한편 상기 솔레노이드(7)가 잠금 상태이라면(S4 에서 YES), 마이크로 컴퓨터(17)는 솔레노이드(7)를 흡인시켜 잠금 장치를 해제한 뒤(S5), 점멸하고 있는 기능중 통지램프(13)를 소등시키며(S6) 아울러 소등하고 있는 잠금해제 통지램프(12)를 점등시킨다(S7). 다음,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7)는 재차 기능개시키(91)가 눌러졌는가(S1), 그리고 스위치(16)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되었는가(S12)를 감시한다.
상기 입력조작키(92,93)가 올바른 순서에 따라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도(S3 에서 NO), 이는 정해진 회수까지(예를 들어 1 회까지) 눌러지지 않았으면(S11 에서 NO),마이크로 컴퓨터(17)는 경보를 발생하지 않고 재차 조작개시키(91)가 눌러졌는가(S1), 그리고 스위치(16)가 온 상태에서 오프 되었는가(S12)를 감시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조작키(92,93)를 누르는 순서를 1회 잘못한 것만으로 경보를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입력조작키(92,93)가 2회 이상 올바른 순서로 눌러지 않았을 경우에는(S11 에서 YES), 마이크로 컴퓨터(17)는 스피커(10)를 통하여 경보를 발생시킨다(S14).
그리고 상기 스피커(10)에서 발생한 경보는 예를 들어 100dB 정보이며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15초)만 연속하여 발생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커버[본체(2)의 케이싱(4)에서 오목부분(5)의 주변 부분]가 조작레버(23)를 덮고 있는 것에 의하여 조작레버(23)의 조작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으므로 침입자가 창문용자물쇠(20) 가까이에 있는 창문 유리의 일부를 부수고 그곳을 통해 손을 집어넣었다고 하더라도 상기 조작레버(23)를 쥐고 계지체(22)를 회전시킬 수는 없다. 따라서 침입자는 창문용 자물쇠(20)를 쉽게 열 수 없어 건물에 대한 침입을 단념할 것을 기대할 수 있으며 침입자가 창문을 통해 건물로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누름버튼(91~94)이 사전에 정해진 순서에 따라 눌러지지 않고 커버가 벗겨졌을 때[본체(2)가 위쪽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에는 스피커(10)에서 경보를 발생하므로 커버를 무리하게 벗기고 조작레버(23)를 회전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침입자가 창문을 통해 건물로 침입하는 것을 한층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더욱이 건물에 침입하려고 하는 침입자는 점멸하고 있는 기능중 통지램프(13)를 창문의 바깥쪽에서 시각으로 확인함으로서 제어 회로가 기능중임을 인삭하고 건물에 대한 침입을 단념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침입자가 창문을 통해 건물로 침입하는 것을 한층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도 9 는 이러한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경보자물쇠(10)를을 앞쪽 방향에서 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a)는 잠금 상태에서 경보자물쇠(101)의 사시도이고, (b)는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경보자물쇠(101)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 은 이러한 경보자물쇠(101)를 뒤쪽에서 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보자물쇠(101)는 창문틀(30)에 설치되어 지지축(21)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하는 계지체(22) 및 상기 계지체(22)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작레버(23)를 구비한 창문용 자물쇠(20)에 적용되는 것이다. 상기 경보자물쇠(101)에는 경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스피커(도시 생략)를 갖춘 본체(102)와, 상기 본체(102)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커버(10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본체(102)는 그 외형이 긴 형상이 케이싱(104)으로 구획되어 있다. 상기 본체(102)에는 케이싱(104)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윗쪽 끝부분)에 설치된 회전축(104A)을 중심으로 커버(103)가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커버(103)는 전면판(103A), 후면판(103B), 측면판(103C), 그리고 상면판(103D)을 구비한 속이 빈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커버(103) 내에 창문용 자물쇠(20)를 넣음으로서 조작레버(23)를 조작할 수 없도록(회전시킬수 없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커버(103)의 후면판(103B)에 있어서의 측면판(103C)과 반대쪽의 옆면 테두리에는, 오목부분(103E)이 형성되어 있고, 커버(103)를 닫은 상태에서는 상기 오목부분(103E)과 창문틀(30)로 구획된 공간 안에, 커버(103) 내에 들어가 있는 창문용 자물쇠(20)의 계지체(22)의 일부를 삽입관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커버(103)의 후면편(103B)에 있어서의 상면판(103D)과 반대쪽의 가장자리에는 평판 상태의 돌기(10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2)의 길이 방향의 일단면(상단면)에는 상기 커버(103)를 닫은 상태에서 돌기(105)를 삽입관통시키기 위한 십입관통공멍(10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2)의 내부에는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하고 설명한 바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는 솔레노이드(7) 및 스위치(16)(도시 생략)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103)를 닫은 상태에서 스위치(16)의 가동부분(16A)이 돌기(105)에 눌러져 스위치(16)가 온 상태로 되는 것과 동시에 솔레노이드(7)의 플런저(70)가 돌기(105)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멍(도시 생략)에 계지되는 것에 의하여 커버(103)가 닫힌 상태에서 로크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4)의 전면에는, 복수개(예를 들면 4 개)의 누름버튼(191,192,193,194)이 상기 케이싱(104)의 짧은쪽 방향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상기 경보자물쇠(101)는 4 개의 누름버튼(191~194)이 사전에 정해진 순서에 따라 눌러지는 것에 응답하여 기능하며, 기능중에는 4 개의 누름버튼(191~194)가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눌러지면 기능상태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4 개의 누름버튼(191~194) 중 하나는 누름버튼을 상기 사전에 정해진 순서에 따라 누를 때에 조작 개시의 뜻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며(조작 개시키), 나머지 누름버튼 가운데 1 개는 누름버튼을 상기 사전에 정해진 순서에 따라 눌렀을 때에 조작 종료의 뜻을 입력하기 위한 것(조작 종료키)이다. 즉 상기 경보자물쇠(101)를 동작시키거나 또는 기능 상태를 해제시킬 때에는 조작 개시키를 조작한 뒤, 다른 2 개의 누름버튼(입력 조작키)을 정해진 순서에 따라 누르고 마지막으로 조작 종료키를 누르면 된다.
상기 케이싱(104)의 전면에는 솔레노이드(7)의 계지 상태(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있을때(자물쇠가 열려 있을 때)에 점등하는 발광 다이오드(잠금해제 통지램프 (1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104)의 뒷면에는 경보자물쇠(101)가 기능중인 것을 알리기 위한 발광 다이오드(기능중 통지램프)(113)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기능중 통지램프(113)의 측면에는 솔러패널(114)이 배치되어 있어, 상기 솔러패널(114)에서 받아들인 광을 이용해 발전하고 있으며 이렇게 발전된 전력을 사용하여 기능중 통지램프(113)를 발광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경보자물쇠(101)는, 그 본체(102)가 창문용 자물쇠(20)가 설치되어 있는 창문틀(30)의 외측면에 대하여 창문용자물쇠(20)의 하방에, 상기 커버(103)가 닫힌 상태에서 본체(102)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경보자물쇠(101)에 대하여 전방에 건물의 내부가 위치하며, 상기 경보자물쇠(101)에 대하여 뒷쪽(창문의 뒷쪽)에 건물의 외부가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케이싱(104)의 뒷면에 배치되어 있는 기능중 통지램프(113)는 뒤를 향해 있으며 뒤쪽에 배치되어 있는 창문틀의 창문 유리를 통하여 창문의 바깥쪽에서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경보자물쇠(101)의 본체(102)내부에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한 제어 회로(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어 회로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도 8 에 나타낸 것은 제어와 동일한 제어를 행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103)가 조작레버(23)를 덮어 씌움으로서 조작레버(23)의 조작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어, 침입자가 창문용자물쇠(20)의 가까운쪽에 있는 창문 유리의 일부를 부수고 그쪽을 통해 손을 집어넣어도 조작레버(23)을 잡고 계지체(22)를 회전시킬수 없다. 따라서, 침입자는 창문용 자물쇠(20) 를 쉽게 열 수 없어 건물에 대한 침입을 단념할 것이 기대되어 침입자가 창문을 통해 건물로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누름버튼(191~194)이 사전에 정해진 순서에 따라 눌러지지 않고 커버(103)가 벗겨질 때[커버(103)가 회전할 때]에는 스피커에서 경보가 발생하므로 커버(103)를 무리하게 벗겨 조작레버(23)를 회전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침입자가 창문을 통해 건물로 침입하는 것을 한층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더욱이 건물로 침입하고자 하는 침입자는 점멸하고 있는 기능중 통지램프(113)를 창문 바깥쪽에서 시각으로 확인함으로서 제어 회로가 기능중인 것을 인식하고 건물에 대한 침입을 단념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침입자가 창문을 통해 건물로 침입하는 것을 한층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경보자물쇠(201)를 앞쪽에서 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a)는 잠금 상태에서의 경보자물쇠(201)의 사시도이며 (b)는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의 경보자물쇠(201)의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보자물쇠(201)는 창문틀(30)에 설치되어 지지축(21)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하는 계지체(22) 및 상기 계지체(22)를 회전 운동시키기 위한 조작레버(23)를 갖춘 창문용자물쇠(20)에 적용되는 것이다. 경보자물쇠(201)에는 경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스피커(도시 생략)를 구비한 본체(202)와, 상기 본체(202)를 창문틀(30)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203)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202)는 그 외형이 긴 형태의 케이싱(204)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204)의 길이 방향의 일단면(아랫쪽 단면)에는 길이 방향을 향하여 대략 U 자 형태로 오목한 오목부분(20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분(205)의 내부에 창문용자물쇠(20)의 조작레버(23)를 집어넣음으로서 조작레버(23)를 조작할 수 없도록(회전시킬 수 없다)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204)에 있어서의 오목부분(205)의 주변 부분은 조작레버(23)에 씌워져 있어 조작레버(23)의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커버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설치부(203)는 본체(202)에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본체(202)의 길이 방향에 따라 긴 형태를 갖춘 박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202)는 설치부(203)에 대하여 길이 방향(위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202)의 내부에는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솔레노이드(7) 및 스위치(16)(도시 생략)가 배치되어 있으며 본체(202)를 설치부(203)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슬라이드시켜 오목부분(205)의 내부에 창문용자물쇠(20)의 조작레버(23)을 집어넣은 상태[도 11에서 (a)로 나타낸 상태]에서 스위치(16)의 가동부(16A)가 눌러져 스위치(16)가 온으로 되는 동시에 솔레노이드(7)의 플런저(70)가 설치부(3)에 걸려서 멈춰짐으로서 커버가 닫힌 상태로 잠기도록 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204)의 설치부(203)와 반대쪽 면에는 복수(예를 들어 4 개)의 누름버튼(291,292,293,294)이 케이싱(204)의 짧은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상기 경보자물쇠(201)는 4 개의 누름버튼(291~294)이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눌러지면 기능 상태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4 개의 누름버튼(291~294)중 하나는 누름버튼을 상기 사전에 정해져 있는 순서에 따라 눌렀을 때에 조작 개시의 뜻을 입력하기 위한 것(조작 개시키)이며, 나머지 누름버튼 가운데 1 개는 누름버튼을 상기 사전에 정해진 순서에 따라 눌렀을 때에 조작 종료의 뜻을 입력하기 위한 것(조작 종료키)이다. 즉, 이 경보자물쇠(201)을 기능시키거나 또는 기능 상태를 해제시킬 때에는 조작 개시키를 조작한 뒤에 다른 2 개의 누름버튼(입력 조작키)을 정해진 순서에 따라 누르고 마지막으로 조작 종료키를 조작하면 된다.
상기 케이싱(204)의 앞쪽에는 솔레노이드(7)의 계지 상태(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있을 때(자물쇠가 열려 있을 때)에 점등하는 발광 다이오드(로크해제 통지램프)(212)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204)의 뒷면에는 경보자물쇠(201)가 기능중인 것을 알리기 위한 발광 다이오드(기능중 통지램프)(213)가 배치되어 있다. 기능중 통지램프(213)의 솔러패널(도시 생략)이 배치되어 있어, 상기 솔러패널에서 받아들인 빛을 이용해 발전을 하고 발전된 전력을 사용하여 기능중 통지램프(213)를 발광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경보자물쇠(201)는, 창문용자물쇠(20)가 설치되어 있는 창문틀(30)의 바깥쪽면에 대하여 창문용자물쇠(20)의 위쪽[계지체(22)가 계지 상태에 있을 때에 계지체(22)에 대하여 조작레버(23)가 연장되어 있는 측]에 오목부분(205)이 창문용자물쇠(20)를 마주보는 자세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창문용 자물쇠(20)에 대하여 앞쪽에 건물 내부가 위치하며, 경보자물쇠(201)에 대하여 뒤쪽(창문의 뒤쪽)에 건물의 외부가 위치해 있다. 따라서 케이싱(204)의 뒷면에 배치되어 있는 기능중 통지램프(213)은 뒤를 향해 있으며 뒤쪽에 배치되어 있는 창문틀의 창문 유리를 통하여 창문의 바깥쪽에서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경보자물쇠(201)의 본체(202) 내부에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한 제어 회로(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어 회로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도 8 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제어를 행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본체(202)의 케이싱(204)에 있어서 오목부분(205)의 주변 부분]이 조작레버(23)에 씌워져 있음으로서 조작레버(23)의 조작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어 침입자가 창문용자물쇠(20)의 가까운 쪽에 있는 창문 유리의 일부를 부수고 그를 통해 손을 집어 넣어도 조작레버(23)를 잡고 계지체(22)를 회전시킬수 없다. 따라서, 침입자는 창문용 자물쇠(20)를 쉽게 열 수 없게 되어 건물에 대한 침입을 단념할 것이 기대되며 침입자가 창문을 통해 건물로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누름버튼(291~294)이 사전에 정해진 순서에 따라 눌러지지 않고 커버가 벗겨졌을 때[본체(202)가 위쪽으로 슬라이드 되었을 때]에는 스피커에서 경보가 발생하므로 커버를 무리하게 벗기고 조작레버(23)를 회전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침입자가 창문을 통해 건물로 침입하는 것을 한층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더욱이 건물로 침입하고자 하는 침입자는 점멸하고 있는 기능중 통지램프(213)를 창문 바깥쪽에서 시각으로 확인함으로서 제어 회로가 기능중인 것을 확인하고 건물에 대한 침입을 단념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침입자가 창문을 통 해 건물로 침입하는 것을 한층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관한 경보자물쇠(301)를 앞쪽에서 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a)는 잠금 상태에서의 경보자물쇠(301)의 사시도이며 (b)는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의 경보자물쇠(301)의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보자물쇠(301)는 창문틀(30)에 설치되어 지지축(21)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하는 계지체(22) 및 상기 계지체(22)를 회전 운동시키기 위한 조작레버(23)를 구비한 창문용자물쇠(20)에 적용되는 것이다. 경보자물쇠(301)에는 경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스피커(도시 생략)를 구비한 본체(302) 와 상기 본체(302)를 창문틀(30)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30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체(302)는 그 외형이 긴 형태의 케이싱(304)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304)의 길이 방향의 일단면(아랫쪽 단면)에는 길이 방향을 향하여 대략 U 자 형태로 오목한 오목부분(30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분(305)의 내부에 창문용자물쇠(20)의 조작레버(23)를 집어 넣음으로서 조작레버(23)를 조작할 수(회전시키지 못한다) 없도록 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304)에 있어서의 오목부분(305)의 주변 부분은 조작레버(23)를 덮고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23)를 조작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커버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설치부(303)는 본체(302)에 대향 배치되고, 본체(3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긴 형태를 갖춘 박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302)는 그 길이 방향의 일단면(위쪽 단면)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축(도시 생략)을 중심으로 설치부(303)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302)의 내부에는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 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솔레노이드(7) 및 스위치(16)(도시 생략)가 배치되어 있으며, 본체(302)를 설치부(303) 측으로 회전시켜 오목부분(305) 내부에 창문용자물쇠(20)의 조작레버(23)를 집어넣은 상태[도 12의 (a)로 나타낸 것과 같은상태]에서 스위치(16)의 가동부(16A)가 눌러져서 스위치(16)가 온 으로 되는 동시에 솔레노이드(7)의 플런저(70)이 설치부(303)에 걸려서 멈춰짐으로서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잠기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본체(302)의 설치부(303)와 반대쪽 면에는 복수개(예를 들어 4 개)의 누름버튼(391,392,393,394)이 케이싱(304)의 짧은 방향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상기 경보자물쇠(301)는 4 개의 누름버튼(391~394)이 사전에 정해진 순서에 따라 눌러지는 것에 응답하여 동작하며 기능중에는 4개의 누름버튼(391~394)중 하나는 누름버튼을 상기 사전에 정해져 있는 순서에 따라 눌렀을 때에 기능상태가 해제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4 개의 누름버튼(391~394) 중의 하나는 누름버튼을 상기 사전에 정해져 있는 순서로 눌렀을 때 조작 개시의 뜻을 입력하기 위한 것(조작 개시키)이며, 나머지 누름버튼중 1 개는 누름버튼을 상기 사전에 정해진 순서에 따라 눌렀을 때에 조작 종료의 뜻을 입력하기 위한 것(조작 종료키)이다. 즉, 상기 경보자물쇠(301)를 기능시키거나 또는 기능 상태를 해제시킬 때에는 조작 개시키를 조작한 뒤에 다른 2 개의 누름버튼(입력 조작키)을 정해진 순서에 따라 누른 뒤에 조작 종료키를 조작하면 된다.
상기 케이싱(304)의 앞쪽에는 솔레노이드(7)의 계지 상태(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있을 때(자물쇠가 열려 있을 때)에 점등하는 발광 다이오드(로크해제 통지램 프)(312)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304)의 뒷면에는 경보자물쇠(301)이 기능중인 것을 알리기 위한 발광 다이오드(기능중 통지램프)(313)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중 통지램프(313)의 옆면에는 솔러패널(도에는 나타나 있지 않음)이 배치되어 있어 이 솔라 패널에서 받아들인 빛을 이용해 발전을 하고 발전된 전력을 사용하여 가능중 통지램프(313)를 발광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경보자물쇠(301)는 창문용자물쇠(20)가 설치되어 있는 창문틀(30)의 바깥쪽면에 대하여 창문용자물쇠(20)의 위쪽[계지체(22)가 계지 상태에 있을 때에 계지체(22)에 대하여 조작레버(23)가 뻗어있는 쪽]에 오목부분(305)가 창문용자물쇠(20) 측에 마주보는 자세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창문용 자물쇠(20)에 대하여 앞쪽에 건물 내부가 위치하며 경보자물쇠(301)에 대하여 뒤쪽(창문의 뒤쪽)에 건물의 외부가 위치해 있다. 따라서 케이싱(304)의 뒷면에 배치되어 있는 기능중 통지램프(313)는 뒤쪽을 향해 있으며 뒤쪽에 배치되어 있는 창문틀의 창문 유리를 통하여 창문의 바깥쪽에서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경보자물쇠(301)의 본체(302) 내부에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한 제어 회로(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제어 회로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도 8에 도시한 제어와 동일한 제어를 행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커버[본체(302)의 케이싱(304)에 있어서의 오목부분(305)의 주변 부분]가 조작레버(23)에 덮어 씌워져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23)를 조작할 수 없게 할 수 있어 침입자가 창문용자물쇠(20)의 가까운 쪽에 있는 창문 유리의 일부를 부수고 그쪽에서 손을 집어 넣어도 조작레버(23)를 잡아 계지체(22)를 회전시킬수 없다. 따라서, 침입자는 창문용 자물쇠(20)를 쉽게 열 수 없게 되어 건물에 대한 침입을 단념할 것이 기대되며 침입자가 창문을 통해 건물로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누름버튼(391~394)이 사전에 정해진 순서에 따라 눌러지지 않고 커버가 벗겨졌을 때[본체(302)가 위쪽으로 회전하였을 때]에는 스피커에서 경보가 발생하므로 커버를 무리하게 벗겨 조작레버(23)를 회전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침입자가 창문을 통해 건물로 침입하는 것을 한층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더욱이 건물로 침입하고자 하는 침입자는 점멸하고 있는 기능중 통지램프(313)를 창문 바깥쪽에서 시각으로 확인함으로서 제어 회로가 기능중인 것을 확인하고 건물에 대한 침입을 단념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침입자가 창문을 통해 건물로 침입하는 것을 한층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관한 경보자물쇠(401)를 앞쪽에서 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a)는 잠금 상태에서의 경보자물쇠(401)의 사시도, (b)는 잠금 해제상태에서의 경보자물쇠(401)의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보자물쇠(401)는, 창문틀(30)에 설치되어 지지축(21)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는 계지체(22) 및 상기 계지체(22)를 회전운동시키기 위한 조작레버(23)를 구비한 창문용자물쇠(20)에 적용되는 것이다. 상기 경보자물쇠(401)에는 경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스피커(도시 생략)를 구비한 본체(402) 와, 상기 본체(402)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커버(403)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402)는 그 외형이 긴 형태의 케이싱(404)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상기 본체(402)에는 케이싱(404)의 길이 방향의 일단면(아랫쪽 단면)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축(403A)을 중심으로 커버(403)가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403)는 앞뒤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므로 창문용자물쇠(20)의 조작레버(23)의 앞쪽[창문을 열 때 조작레버(23)가 회전운동을 하는 쪽]을 커버(403)로 덮음으로서 조작레버(23)를 조작할 수 없도록(앞쪽으로 회전시킬 수 없다) 되어 있다.
상기 본체(402)의 내부에는,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 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솔레노이드(7) 및 스위치(16)(도시 생략)이 배치되어 있으며, 커버(403)를 본체(402)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회전시켜 창문용자물쇠(20)의 조작레버(23)의 앞쪽을 덮고 있는 상[도 13의 (a)로 나타낸 것과 같은 상태]에서 스위치(16)의 가동부(16A)가 눌러져서 스위치(16)가 온 되는 동시에 솔레노이드(7)의 플런저(70)가 커버(40)에 걸려서 멈춰짐으로서 커버(40)가 닫히 상태에서 잠기도록 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404)의 앞면에는 복수(예를 들어 4 개)의 누름버튼(491,492,493,494 )이 케이싱(404)의 짧은 방향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상기 경보자물쇠(401)는 4 개의 누름버튼(491~494)이 사전에 정해진 순서에 따라 눌러지는 것에 응답하여 동작하며 기능중에는 4 개의 누름버튼(491~49)이 상술한 바와 같이 사전에 정해져 있는 순서에 따라 눌러지면 기능상태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4 개의 누름버튼(491~494) 중 1 개는 누름버튼을 상기 사전에 정해진 순서에 따라 눌렀을 때에 조작 개시의 뜻을 입력하기 위한 것(조작 개시키)이며,나머지 누름버튼중 1 개는 누름버튼은 상기 사전에 정해진 순서에 따라 눌렀을 때에 조작 종료의 뜻을 입력하기 위한 것(조작 종료키)이다. 즉, 상기 경보자물쇠(401)를 기능시키거나 또는 기능 상태를 해제시킬 때에는 조작 개시키를 조작한 뒤에 다른 2 개의 누름버튼(입력 조작키)을 정해진 순서에 따라 누르고 마지막으로 조작 종료키를 조작하면 된다.
상기 케이싱(404)의 앞쪽에는 솔레노이드(7)의 계지 상태(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있을 때(자물쇠가 열려 있을 때)에 점등하는 발광 다이오드(로크해제 통지램프 412)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싱(404)의 뒷면에는 경보자물쇠(401)가 동작중인 것을 알리기 위한 발광 다이오드(기능중 통지램프)(413)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기능중 통지램프(413)의 옆면에는 솔러패널(도에는 나타나 있지 않음)이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솔러패널에서 받아들인 빛을 이용하여 발전을 하고 발전된 전력을 사용하여 기능중 통지램프(413)를 발광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경보자물쇠(401)는 창문용자물쇠(20)가 설치되어 있는 창문틀(30)의 바깥쪽면에 대하여 창문용자물쇠(20)의 위쪽[계지체(22)가 계지 상태에 있을 때에 계지체(22)에 대하여 조작레버(23)가 뻗어있는 쪽]에 커버(403)가 창문용자물쇠(20)를 마주보는 자세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창문용 자물쇠(20)에 대하여 앞쪽에 건물 내부가 위치하며 경보자물쇠(401)에 대하여 뒤쪽(창문의 뒤쪽)에 건물의 외부가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케이싱(404)의 뒷면에 배치되어 있는 기능중 통지램프(413)는 뒤쪽을 향해 있으며 뒤쪽에 배치되어 있는 창문틀의 창문 유리를 통하여 창문의 바깥쪽에서 시각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경보자물쇠(401)의 본체(402) 내부에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한 제어 회로(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제어 회로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도 8 에 나타낸 제어와 동일한 제어를 행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403)가 조작레버(23)에 덮어져[조작레버(23)의 앞쪽을 덮고 있다]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23)를 조작할 수 없도록 하여 침입자가 창문용자물쇠(20)의 가까운 쪽에 있는 창문 유리의 일부를 부수고 그를 통해 손을 집어넣어도 조작레버(23)을 잡고 계지체(22)를 회전시킬수 없다. 따라서, 침입자를 창문용 자물쇠(20)를 쉽게 열 수 없게 되어 건물에 대한 침입을 단념할 것이 기대되며 침입자가 창문을 통해 건물로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누름버튼(491~494)이 사전에 정해진 순서에 따라 눌러지지 않고 커버(403)가 벗겨졌을 때[커버(403)가 회전하였을 때]에는 스피커에서 경보가 발생하기 때문에, 커버(403)가 무리하게 벗겨져 조작레버(23)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침입자가 창문을 통해 건물로 침입하는 것을 한층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더욱이 검물로 침입하고자 하는 침입자는 점멸하고 있는 기능중 통지램프(413)을 창문 외측에서 시각으로 확인함으로서 제어 회로가 기능중인 것을 확인하고 건물에 대한 침입을 단념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침입자가 창문을 통해 건물로 침입하는 것을 한층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의 내용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항 기재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능중 통지램프(13,113,213,313,413)는 발광시에 점멸하는 것과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점등하는 것같은 구성도 할 수 있다. 그리고 잠금해제 통지램프(12,112,212,312,412)도 발광시에 점등하는 것과 같은 구성에 한하지 않고 점멸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는 경보자물쇠(1,101,201,301,401)의 본체(2,102,202,302,402)에 누름버튼이 4 개 구비되어 있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누름버튼은 3 개 이하여도 가능하며 5 개 이상이어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경보자물쇠(1,101,201,301,401)를 창문틀(30)에 설치하는 방법은 피스와 같은 고정구를 사용하여 설치하는 것과 같은 방법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강력한)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여 설치하는 것과 같은 방법에서는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가 조작레버에 덮어져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를 조작할 수 없도록 하여, 침입자가 창문용자물쇠의 가까운 쪽에 있는 창문 유리의 일부를 부수고 그를 통해 손을 집어넣어도 조작레버을 잡고 계지체를 회전시킬수 없다. 따라서, 침입자를 창문용 자물쇠를 쉽게 열 수 없게 되어 건물에 대한 침입을 단념할 것이 기대되며 침입자가 창문을 통해 건물로 침입하는 것을 효과 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누름버튼이 사전에 정해진 순서에 따라 눌러지지 않고 커버가 벗겨졌을 때(커버가 회전하였을 때)에는 스피커에서 경보가 발생하기 때문에, 커버가 무리하게 벗겨져 조작레버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침입자가 창문을 통해 건물로 침입하는 것을 한층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더욱이 검물로 침입하고자 하는 침입자는 점멸하고 있는 기능중 통지램프를 창문 외측에서 시각으로 확인함으로서 제어 회로가 기능중인 것을 확인하고 건물에 대한 침입을 단념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침입자가 창문을 통해 건물로 침입하는 것을 한층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창문틀에 설치하여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하는 계지체와, 상기 계지체를 회전시키는 조작 레버를 갖춘 창문용 자물쇠에 적용되는 경보 자물쇠로써,
    상기 조작 레버에 씌워져 조작 레버를 조작할 수 없게 하기 위한 커버와,
    복수개의 누름버튼,
    경보를 발생시키는 작동을 하는 경보발생 수단,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누름버튼이 사전에 정해진 순서로 눌러질 때, 상기 경보발생 수단을 작동시키지 않고, 상기 복수개의 누름버튼이 미리 정해진 순서로 눌러지는 것 없이 상기 커버가 벗겨졌을 때에는 상기 경보발생 수단을 작동시키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자물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은 4 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경보 자물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조작 레버에 씌워진 상태에서 창문 바깥쪽에서 눈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설치된 발광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기능중임을 알리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자물쇠.
KR1020050076936A 2004-10-29 2005-08-22 경보 자물쇠 KR1007109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16614A JP4468788B2 (ja) 2004-10-29 2004-10-29 警報錠
JPJP-P-2004-00316614 2004-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548A KR20060050548A (ko) 2006-05-19
KR100710902B1 true KR100710902B1 (ko) 2007-04-27

Family

ID=36720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6936A KR100710902B1 (ko) 2004-10-29 2005-08-22 경보 자물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468788B2 (ko)
KR (1) KR100710902B1 (ko)
CN (1) CN10052931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84897B2 (ja) * 2009-12-15 2014-09-10 エフビーオートメ株式会社 防犯装置
JP6525549B2 (ja) * 2014-10-27 2019-06-05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外付け電気錠
CN104933815A (zh) * 2015-07-10 2015-09-23 吴华明 一种防盗预警方法及装置
CN108005481B (zh) * 2017-12-22 2023-11-10 珠海广通汽车有限公司 报警锁具及报警门窗
JP7317508B2 (ja) * 2019-01-09 2023-07-31 三協立山株式会社 建具
CN112282516A (zh) * 2020-09-28 2021-01-29 欣晴(温州)创意设计有限公司 一种利用光敏电阻实现自动取证的智能化安防锁
CN112796577A (zh) * 2021-01-05 2021-05-14 刘洪� 一种具有机械密码的智能门锁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38359B4 (de) * 1996-09-19 2013-07-18 Pax Ag Einbruchsicherung
IN186662B (ko) * 1997-09-08 2001-10-20 Grindwell Norton Ltd
DE20110780U1 (de) * 2001-06-29 2001-09-06 H H Heim Und Haus Holding Gmbh Vorrichtung zum Überwachen des Verschlusszustandes von Gebäudenöffnungsverschlüss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29315C (zh) 2009-08-19
KR20060050548A (ko) 2006-05-19
JP4468788B2 (ja) 2010-05-26
CN1769636A (zh) 2006-05-10
JP2006125101A (ja) 200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0902B1 (ko) 경보 자물쇠
EP0189147B1 (en) Padlock with tamper-actuated audible and/or inaudible alarm
US10494836B2 (en) Bored lock occupancy indicator
US6970084B2 (en) Alarm generating door lock
JP2004232293A (ja) 防犯システム
JP2008274669A (ja) 開口部の施錠構造
US5783995A (en) Doorknob assembly with intrusion alarm
JP2010514042A (ja) 防火器具の盗難防止としての警報装置
JP3841466B2 (ja) サッシ
ES2656523T3 (es) Instalación de seguridad de salida de emergencia
JP3898413B2 (ja) ドア
KR100437097B1 (ko) 비상문 자동 해정 장치
KR100301641B1 (ko) 잠금상태및키삽입확인이용이한자물쇠
KR200217262Y1 (ko) 도어록 장치
KR0139218Y1 (ko) 전자석을 이용한 도어 개폐장치
JP3655958B2 (ja) 自動ロック装置
KR100457301B1 (ko) 변위 감지 장치
KR200248858Y1 (ko) 비상문 자동 해정 장치
JP4257585B2 (ja) 電気錠装置
JP2005032022A (ja) 自動販売機の盗難防止装置。
KR200255461Y1 (ko) 도어 록
JP2003286785A (ja) 防犯機能付クレセントおよび防犯システム
KR200295518Y1 (ko) 전자 도어 록킹 장치
KR200200008Y1 (ko) 공중화장실의 사용중 표시장치
JP3629606B2 (ja) 盗難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