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334Y1 - 오조작 감시카메라를 갖는 스위치박스 - Google Patents

오조작 감시카메라를 갖는 스위치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334Y1
KR200488334Y1 KR2020170005839U KR20170005839U KR200488334Y1 KR 200488334 Y1 KR200488334 Y1 KR 200488334Y1 KR 2020170005839 U KR2020170005839 U KR 2020170005839U KR 20170005839 U KR20170005839 U KR 20170005839U KR 200488334 Y1 KR200488334 Y1 KR 2004883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cover
support wall
hole
electrical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8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엔케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엔케이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엔케이솔루션
Priority to KR20201700058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3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3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3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위치박스의 주변을 실시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구비하되, 누름스위치를 눌렀을 때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녹화 저장하도록 하여 누름스위치를 누를 조작자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어 누름스위치를 오조작하거나 허위조작하였을 때 오조작 행위자를 찾을 수 있기 때문에 누름스위치 오조작이나 허위조작에 따른 경각심을 줄 수 있도록 하여 누름스위치에 대한 오조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오조작 감시카메라를 갖는 스위치박스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오조작 감시카메라를 갖는 스위치박스{sprinkler switch box with miss-operation cctv}
본 고안은 오조작 감시카메라를 갖는 스위치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를 수동작으로 진압하는 스위치박스의 허위조작이나 오조작을 감시하여 오조작이나 허위조작에 따른 소방용수탱크가 불필요하게 낭비됨은 물론 소방용수탱크에 소방용수를 다시 채움에 따른 비용부담을 미연에 방지하며 화재 발생 시 초기진압이 발생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오조작 감시카메라를 갖는 스위치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은 건물에는 화재 예방 및 진화를 위한 설비 예를 들면, 스프링클러장치나 소화약제장치, 제연장치와 같은 소방설비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소방설비들은 발생된 화재를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감지하여 자동으로 소방설비를 작동시키는 것과,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최초 목격자가 수동으로 소방설비를 작동시켜 발생된 화재를 초기 진압하는 수동작 방식이 있으며, 수동작방식의 경우에는 스위치박스가 노출되어 설치된다.
종래 스프링클러와 같은 소방설비를 수동작으로 조작하는 스위치박스는, 소방설비의 작동 및 제어를 위한 배선기판과 스위치, 램프, 통신용잭이나 마이크와 같은 수동조작을 위한 부품들이 구비되어 화재 시 이들을 직접 조작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스위치박스는, 내부에 화재 예방 및 진화를 위한 장치들의 작동 및 제어를 위해 배선기판이나 램프, 스위치, 통신용 잭과 같은 부품들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한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 공간을 외부로부터 가리는 자세로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스위치박스는,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최초 목격자가 즉시 스위치를 눌러 소방설비를 작동시키기 위해 건물 경계 구역의 출입문 외측 벽체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이 벽체로부터 스위치박스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되지 않더라도 어린아이나 현장 작업자들이 장난으로 스위치박스에 구비된 스위치를 누르는 오조작이나 허위조작 행위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스위치박스의 오조작이 발생되더라도, 스위치박스에 구비된 제어부는 오조작임을 감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소방설비 예를 들어 스프링클러를 화재가 발생한 것과 같이 작동시키게 되어 소방용수탱크에 저장된 소방용수가 스프링클러를 통해 분사되어 소방용수가 그대로 소비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소비된 소방용수를 다시 소방용수탱크에 채워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은 물론 소방용수를 채움에 따른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오조작에 의해 소방용수가 불필요하게 소비된 후 소방용수를 다시 채우기 전, 화재가 발생될 경우 발생된 화재를 초기진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위치박스의 오조작에 의해 건물 입주자들이나 산업현장의 작업자들이 긴급히 대피하게 되는 소동이 벌어지는 문제점은 물론, 분사되는 스프링클러에 의해 주변 물품에 피해를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실용 20-0185266호인 소화설비용 수동 조작함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건물의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노출 박스의 전면에 위치하며 전원이 투입된 상태와 화재를 소화시키는 소방호스의 밸브작동을 확인하기 위한 작동 표시램프와, 중앙 방재실과 통화 가능하게 연결된 전화 잭 및 화재시 초기 발견자가 눌러서 화재발생을 외부에 알리는 누름스위치와, 이 누름 스위치를 보호하는 보호판이 구비된 커버를 갖춘 소화설비용 수동 조작함에 있어서, 상기한 커버에는 이 커버에 힌지 고정되어 보호판 및 전화 잭을 보호하는 도어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동 조작함의 조작오류를 방지하면서 누름 스위치의 보호판 및 전화 잭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스위치박스의 오조작 또는 허위조작 행위자를 찾을 수 없기 때문에 오조작이나 허위조작에 따른 피해에 대한 책임소재를 분명히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어린아이나 작업현장의 작업자들로 하여금 스위치박스의 오조작 행위에 대한 경각심을 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 20-0185266호(2000.03.30. 등록) 대한민국등록실용 20-0369300호(2004.11.24. 등록)
본 고안은 스위치박스의 주변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감시카메라를 구비하여 스위치박스의 스위치를 누르는 행위가 발생될 때, 이를 녹화하여 스위치박스의 오조작 또는 허위조작 행위자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오조작 또는 허위조작 행위자를 찾아낼 수 있도록 하고 스위치박스의 오조작 또는 허위조작에 따른 경각심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오조작 감시카메라를 갖는 스위치박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오조작 감시카메라를 갖는 스위치박스는,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컨트롤체가 구비되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개방된 전면을 덮어 함체 내부를 보호하고 상기 컨트롤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프링클러를 개방하여 소방용수가 분사되도록 하는 누름스위치가 구비된 커버를 포함하는 스위치박스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누름스위치 상부측으로 카메라노출구멍이 통공되고, 상기 커버의 후면에는 상기 카메라노출구멍과 대응되어 상기 카메라노출구멍을 통해 커버의 전면측으로 카메라렌즈가 노출되는 감시카메라와; 상기 감시카메라와 상기 컨트롤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카메라기판부와; 상기 카메라기판부와 상기 감시카메라를 커버의 후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고정하는 카메라고정구가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노출구멍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커버에는 램프노출구멍과, 상기 램프노출구멍과 대응되게 밀착되어 상기 램프노출구멍을 통해 커버의 전면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카메라기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감시카메라의 촬영됨을 표시하는 촬영표시램프가 구비되며, 상기 촬영표시램프 상부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커버에는 전원표시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원표시구멍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커버 후면에 구비되고 엘이디램프가 구비된 엘이디기판을 갖는 전원표시부가 구비되며, 상기 누름스위치 하부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커버의 전면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컨트롤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시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이동시키도록 USB메모리를 연결하는 USB커넥터가 구비되며, 상기 누름스위치 하부 타측에 위치되고 상기 커버의 전면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컨트롤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시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모니터링하도록 디스플레이부의 HDMI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HDMI커넥터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함체 가장자리에는 상기 함체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되고 내측에 제1피스연결구멍을 갖는 제1커버연결편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제1커버연결편의 제1피스연결구멍과 대응되는 제1피스체결구멍이 통공되어, 상기 제1피스연결구멍과 상기 제1피스체결구멍을 체결하는 제1체결피스에 의해 상기 함체와 커버가 서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함체는, 사각형 베이스판과; 상기 사각형 베이스판의 상측과 하측으로부터 서로 대응되게 돌출되고 상단 양측에 각각 제1경사면이 구비되며 하단에 제2피스연결구멍이 각각 구비된 제1지지벽 및 제2지지벽과; 상기 사각형 베이스판 좌측과 우측으로부터 서로 대응되게 돌출되되 상기 제1지지벽 및 제2지지벽 사이에 인입공간부가 형성되는 제3지지벽 및 제4지지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절곡연장되되 상기 제1지지벽 및 제2지지벽 상단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제1경사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경사면과 동일 경사각도로 각각 절곡연장되는 제2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3지지벽 및 제4지지벽을 덮어주는 제1측판 및 제2측판과; 상기 제1측판 및 제2측판 하단 양측에 각각 절곡되되 상기 인입공간부에 인입되고 상기 제2피스연결구멍과 대응되는 제2피스체결구멍이 각각 통공된 절곡체결편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스위치박스의 주변을 실시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구비하되, 누름스위치를 눌렀을 때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녹화 저장하도록 하여 누름스위치를 누를 조작자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어 누름스위치를 오조작하거나 허위조작하였을 때 오조작 행위자를 찾을 수 있기 때문에 누름스위치 오조작이나 허위조작에 따른 경각심을 줄 수 있도록 하여 누름스위치에 대한 오조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오조작 감시카메라를 갖는 스위치박스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오조작 감시카메라를 갖는 스위치박스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오조작 감시카메라를 갖는 스위치박스의 커버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오조작 감시카메라를 갖는 스위치박스의 커버 다른 예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오조작 감시카메라를 갖는 스위치박스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조작 감시카메라를 갖는 스위치박스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컨트롤체(1)가 구비되는 함체(10)와 상기 함체(10)의 개방된 전면을 덮어 함체(10) 내부를 보호하고 상기 컨트롤체(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프링클러를 개방하여 소방용수가 분사되도록 하는 누름스위치(30)가 구비된 커버(20)를 포함하는 스위치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스위치박스는, 컨트롤체(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누름스위치(30)를 누르면 스프링클러에 의해 소방용수가 분사되는 것으로, 화재 발생 시 수동작에 의해 발생된 화재를 초기진압 할 수 있다.
즉, 누름스위치(30)를 수동작으로 눌러주면 차단되었던 스프링클러가 개방되어 공급되는 소방용수가 개방된 스프링클러를 통해 분사되는 것으로, 이에 따라 화재를 목격한 최초목격자로 하여금 발생된 화재를 수동작으로 초기에 진압하도록 한다.
이 때,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 누름스위치(30)를 누르더라도 스프링클러를 통해 소방용수가 분사되기 때문에 장난에 의해 누름스위치(30)를 누르는 오조작 또는 허위조작 행위에 따른 소방용수의 낭비가 발생되고 소방용수를 다시 채워주어야 하는 경제적인 비용 부담이 발생되는 바, 본 고안은 누름스위치(30)의 오조작 또는 허위조작에 대한 행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상기 커버(20)에 상기 누름스위치(30) 상부측으로 카메라노출구멍(41)이 통공되고, 상기 커버(20)의 후면에는 상기 카메라노출구멍(41)과 대응되어 상기 카메라노출구멍(41)을 통해 커버(20)의 전면측으로 카메라렌즈(42)가 노출되는 감시카메라(43)와, 상기 감시카메라(43)와 상기 컨트롤체(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카메라기판부(44)와, 상기 카메라기판부(44)와 상기 감시카메라(43)를 커버(20)의 후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고정하는 카메라고정구(45)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감시카메라(43)는 본 고안의 스위치박스 커버(20) 전면으로부터 카메라렌즈(42)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누름스위치(30)에 대해 오조작하는 행위자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감시카메라(43)에 의해 스위치박스 커버(20) 주변이 실시간으로 촬영되기 때문에 시간에 관계없이 누름스위치(30)에 대해 오조작하는 행위자를 촬영할 수 있어 누름스위치 오조작에 따른 경각심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촬영된 영상을 확인하여 누름스위치 오조작 행위자를 찾을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카메라노출구멍(41)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커버(20)에는 램프노출구멍(51)과, 상기 램프노출구멍(51)과 대응되게 밀착되어 상기 램프노출구멍(51)을 통해 커버(20)의 전면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카메라기판부(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감시카메라(43)의 촬영됨을 표시하는 촬영표시램프(52)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촬영표시램프(52)는 상기 컨트롤체(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시카메라(43)의 촬영이 진행되는 동안에 점등되는 것으로, 타인으로 하여금 점등되는 촬영표시램프(52)를 통해 감시카메라(43)의 촬영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하여 누름스위치(30)의 오조작에 따른 경각심을 높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촬영표시램프(52)는 필요에 따라 감시카메라(43)의 촬영이 진행되는 동안에 소등되도록 하거나 또는 감시카메라(43)의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점등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상기 촬영표시램프(52) 상부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커버(20)에는 전원표시구멍(61)이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체(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원표시구멍(61)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커버(20) 후면에 구비되고 엘이디램프(62)가 구비된 엘이디기판(63)을 갖는 전원표시부(64)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전원표시부(64)가 상기 커버(20)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이 인가되어 감시카메라(43)가 촬영됨을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야간의 감시카메라(43) 촬영을 위한 조명으로 활용할 수 있다.
더욱이, 전원표시부(64)가 엘이디램프(62)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되는 전기료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어 상기 전원표시부(64)의 엘이디램프(62)를 24시간 동안 점등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누름스위치(30) 하부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커버(20)의 전면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컨트롤체(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시카메라(43)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이동시키도록 USB메모리를 연결하는 USB커넥터(71)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관리자로 하여금 USB메모리를 상기 USB커넥터(71)에 꽂아 감시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옮겨 모니터링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조작에 대한 증거자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스위치(30) 하부 타측에 위치되고 상기 커버(20)의 전면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컨트롤체(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시카메라(43)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모니터링하도록 디스플레이부의 HDMI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HDMI커넥터(72)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HDMI커넥터(72)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HDMI 케이블을 이용하여 직접 관리자의 노트북과 같은 전자기기에 연결하여 촬영된 영상을 모니터링 할 수 있어 사용성과 편의성은 물론 관리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함체(10) 가장자리에는 상기 함체(10)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되고 내측에 제1피스연결구멍(81)을 갖는 제1커버연결편(82)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20)에는 상기 제1커버연결편(82)의 제1피스연결구멍(81)과 대응되는 제1피스체결구멍(83)이 통공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피스연결구멍(81)과 상기 제1피스체결구멍(83)을 제1체결피스(84)로 연결하여 체결할 수 있어 상기 함체(10)와 커버(20)를 쉽고 용이하게 연결하여 체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커버(20)를 함체(10)로부터 분리하여 함체(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컨트롤체와 같은 구성요소들의 교체 및 수리작업은 물론 생산라인에서의 조립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고안의 상기 함체(10)는, 사각형 베이스판(11)과, 상기 사각형 베이스판(11)의 상측과 하측으로부터 서로 대응되게 돌출되고 상단 양측에 각각 제1경사면(12)이 구비되며 하단에 제2피스연결구멍(13)이 각각 구비된 제1지지벽(14) 및 제2지지벽(15)과, 상기 사각형 베이스판(11) 좌측과 우측으로부터 서로 대응되게 돌출되되 상기 제1지지벽(14) 및 제2지지벽(15) 사이에 인입공간부(16)가 형성되는 제3지지벽(17) 및 제4지지벽(18)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커버(20)는, 전면판(21)과, 상기 전면판(21)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절곡연장되되 상기 제1지지벽(14) 및 제2지지벽(15) 상단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제1경사면(12)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경사면(12)과 동일 경사각도로 각각 절곡연장되는 제2경사면(22)과, 상기 제2경사면(22)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3지지벽(17) 및 제4지지벽(18)을 덮어주는 제1측판(23) 및 제2측판(24)과, 상기 제1측판(23) 및 제2측판(24) 하단 양측에 각각 절곡되되 상기 인입공간부(16)에 인입되고 상기 제2피스연결구멍(13)과 대응되는 제2피스체결구멍(25)이 각각 통공된 절곡체결편(26)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함체(10)와 커버(20)는, 커버(20)의 전면판(21)과 제2경사면(22), 제1측판(23), 제2측판(24)이 상기 함체(10)의 제1경사면(12)과 제1지지벽(14), 제2지지벽(15), 제3지지벽(17), 제4지지벽(18)에 밀착되어 덮어지기 때문에 함체(10)의 내부에 구비된 구성요소들에 대한 보호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커버(20)에 구비된 절곡체결편(26)의 제2피스체결구멍(25)과 함체(10)의 제2피스연결구멍(13)이 체결피스에 의해 체결되기 때문에, 함체(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요소들의 수리 및 교체작업을 진행할 때 커버(20)를 함체(10)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커버(20)의 일측만 함체(10)로부터 분리하여 수리 및 교체작업을 할 수 있어 교체 및 수리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함체 11 : 베이스판
12 : 제1경사면 13 : 제2피스연결구멍
14 : 제1지지벽 15 : 제2지지벽
16 : 인입공간부 17 : 제3지지벽
18 : 제4지지벽 20 : 커버
21 : 전면판 22 : 제2경사면
23 : 제1측판 24 : 제2측판
25 : 제2피스체결구멍 26 : 절곡체결편
30 : 누름스위치 41 : 카메라노출구멍
42 : 카메라렌즈 43 : 감시카메라
44 : 카메라기판 45 : 카메라고정구
51 : 램프노출구멍 52 : 촬영표시램프
61 : 전원표시구멍 62 : 엘이디램프
63 : 엘이디기판 64 : 전원표시부
71 : USB커넥터 72 : HDMI커넥터
81 : 제1피스연결구멍 82 : 제1커버연결편
83 : 제1피스체결구멍 84 : 제1체결피스

Claims (3)

  1.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컨트롤체(1)가 구비되는 함체(10)와 상기 함체(10)의 개방된 전면을 덮어 함체(10) 내부를 보호하고 상기 컨트롤체(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프링클러를 개방하여 소방용수가 분사되도록 하는 누름스위치(30)가 구비된 커버(20)를 포함하는 스위치박스에 있어,
    상기 커버(20)에는 상기 누름스위치(30) 상부측으로 카메라노출구멍(41)이 통공되고,
    상기 커버(20)의 후면에는 상기 카메라노출구멍(41)과 대응되어 상기 카메라노출구멍(41)을 통해 커버(20)의 전면측으로 카메라렌즈(42)가 노출되는 감시카메라(43)와, 상기 감시카메라(43)와 상기 컨트롤체(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카메라기판부(44)와, 상기 카메라기판부(44)와 상기 감시카메라(43)를 커버(20)의 후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고정하는 카메라고정구(45)가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노출구멍(41)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커버(20)에는 램프노출구멍(51)과, 상기 램프노출구멍(51)과 대응되게 밀착되어 상기 램프노출구멍(51)을 통해 커버(20)의 전면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카메라기판부(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감시카메라(43)의 촬영됨을 표시하는 촬영표시램프(52)가 구비되며,
    상기 촬영표시램프(52) 상부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커버(20)에는 전원표시구멍(61)이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체(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원표시구멍(61)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커버(20) 후면에 구비되고 엘이디램프(62)가 구비된 엘이디기판(63)을 갖는 전원표시부(64)가 구비되며,
    상기 누름스위치(30) 하부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커버(20)의 전면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컨트롤체(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시카메라(43)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이동시키도록 USB메모리를 연결하는 USB커넥터(71)가 구비되며,
    상기 누름스위치(30) 하부 타측에 위치되고 상기 커버(20)의 전면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컨트롤체(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시카메라(43)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모니터링하도록 디스플레이부의 HDMI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HDMI커넥터(72)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조작 감시카메라를 갖는 스위치박스에 있어서,
    상기 함체(10)는,
    사각형 베이스판(11)과;
    상기 사각형 베이스판(11)의 상측과 하측으로부터 서로 대응되게 돌출되고 상단 양측에 각각 제1경사면(12)이 구비되며 하단에 제2피스연결구멍(13)이 각각 구비된 제1지지벽(14) 및 제2지지벽(15)과;
    상기 사각형 베이스판(11) 좌측과 우측으로부터 서로 대응되게 돌출되되 상기 제1지지벽(14) 및 제2지지벽(15) 사이에 인입공간부(16)가 형성되는 제3지지벽 (17)및 제4지지벽(18)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20)는,
    전면판(21)과;
    상기 전면판(21)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절곡연장되되 상기 제1지지벽(14) 및 제2지지벽(15) 상단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제1경사면(12)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경사면(12)과 동일 경사각도로 각각 절곡연장되는 제2경사면(22)과;
    상기 제2경사면(22)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3지지벽(17) 및 제4지지벽(18)을 덮어주는 제1측판(23) 및 제2측판(24)과;
    상기 제1측판(23) 및 제2측판(24) 하단 양측에 각각 절곡되되 상기 인입공간부(16)에 인입되고 상기 제2피스연결구멍(13)과 대응되는 제2피스체결구멍(25)이 각각 통공된 절곡체결편(26)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조작 감시카메라를 갖는 스위치박스.
  2. 삭제
  3. 삭제
KR2020170005839U 2017-11-14 2017-11-14 오조작 감시카메라를 갖는 스위치박스 KR2004883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839U KR200488334Y1 (ko) 2017-11-14 2017-11-14 오조작 감시카메라를 갖는 스위치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839U KR200488334Y1 (ko) 2017-11-14 2017-11-14 오조작 감시카메라를 갖는 스위치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334Y1 true KR200488334Y1 (ko) 2019-01-15

Family

ID=65012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839U KR200488334Y1 (ko) 2017-11-14 2017-11-14 오조작 감시카메라를 갖는 스위치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3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2745A (zh) * 2019-11-11 2020-02-11 王生 一种灭火消防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266Y1 (ko) 1999-12-21 2000-06-15 신화전자주식회사 소화설비용 수동 조작함
KR200369300Y1 (ko) 2004-08-30 2004-12-04 금성방재공업 주식회사 수동조작함
KR20110047405A (ko) * 2009-10-30 2011-05-09 장화성 감시 카메라가 구비된 화재진압용 수동조작장치
KR101529011B1 (ko) * 2014-12-12 2015-06-29 주식회사 브이에스컴텍 휴대용 cctv 모니터링 시스템
JP2017120945A (ja) * 2015-12-28 2017-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空中撮影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266Y1 (ko) 1999-12-21 2000-06-15 신화전자주식회사 소화설비용 수동 조작함
KR200369300Y1 (ko) 2004-08-30 2004-12-04 금성방재공업 주식회사 수동조작함
KR20110047405A (ko) * 2009-10-30 2011-05-09 장화성 감시 카메라가 구비된 화재진압용 수동조작장치
KR101529011B1 (ko) * 2014-12-12 2015-06-29 주식회사 브이에스컴텍 휴대용 cctv 모니터링 시스템
JP2017120945A (ja) * 2015-12-28 2017-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空中撮影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2745A (zh) * 2019-11-11 2020-02-11 王生 一种灭火消防柜
CN110772745B (zh) * 2019-11-11 2020-11-24 山东亚泰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灭火消防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60131C (en) Battery socket for smoke detector
KR102476215B1 (ko) 화재감지 및 자동 경보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화재감지장치
KR200488334Y1 (ko) 오조작 감시카메라를 갖는 스위치박스
KR100825415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 확인용 소방알람장치
KR101585969B1 (ko)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
US20110291843A1 (en) Fire alarm
KR102165093B1 (ko) 건축물의 화재감시 소방시스템
KR101289463B1 (ko) 비상기구 통합수납함
JP2010119643A (ja) 消火栓装置
KR102331467B1 (ko)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 및 그 작동 방법
PT1595236E (pt) Equipamento para fornecimento, processamento e recolha de sinais de telemetria
JP2006288459A (ja) 防災機器
CN106097633A (zh) 一种智能化火灾监测系统
KR20110047405A (ko) 감시 카메라가 구비된 화재진압용 수동조작장치
KR200185266Y1 (ko) 소화설비용 수동 조작함
KR200485665Y1 (ko) 전원 어댑터 내장형 cctv용 하이 박스
JP4631507B2 (ja) 非常通報用ボタン装置
KR20120002640U (ko) 화재 발생 표시 및 진압 박스
KR20170004389U (ko) 기동 용기함의 수전 및 솔레노이드밸브 부착 확인장치
CN215741475U (zh) 一种消防用消防面具存放箱
KR20170063357A (ko) 다목적 안전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TW201601124A (zh) 指示裝置及公共急救設備
JP5284922B2 (ja) スプリンクラ制御盤
WO2024075630A1 (ja) 冷媒検知装置
JPH113045A (ja) 投射型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