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969B1 -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 - Google Patents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969B1
KR101585969B1 KR1020150072995A KR20150072995A KR101585969B1 KR 101585969 B1 KR101585969 B1 KR 101585969B1 KR 1020150072995 A KR1020150072995 A KR 1020150072995A KR 20150072995 A KR20150072995 A KR 20150072995A KR 101585969 B1 KR101585969 B1 KR 101585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fire
controller
button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2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근
이희민
Original Assignee
이윤근
이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근, 이희민 filed Critical 이윤근
Priority to KR1020150072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9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8/00Hand tool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fire-fighting, e.g. tool box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G08B3/1033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with voice message aler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은 전면에 개폐판을 구비한 안전함의 내부에 다수의 도구배치부가 구획 형성하고, 다수의 버턴으로 구성된 버턴부가 상기 안전함의 전면에 설치되고, 위생 처리된 물마스크를 밀봉 내장한 다수의 마스크팩이 상기 안전함의 도구거치부에 내장되고, 상기 안전함의 개폐판 외부면에 도광판이 설치되며, 마스크팩을 내장함과 아울러 도광판이 설치된 안전함이 건축물 내부에 구획된 각 공간의 출입구의 내부 또는 각 공간의 출입구에 근접한 벽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이의 제어방법은 화재버턴을 누르면 제어기가 화재버턴의 온 신호를 받아서 스피커를 통하여 화재를 알림과 동시에 해당 안전함의 위치를 송신기를 통하여 출력하고 안전함 전체의 수신기에서 화재 알림 신호를 받아서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화재 발생 장소를 알리는 화재발생알림단계, 긴급버턴을 누르면 제어기가 긴급버턴의 온 신호를 받아서 스피커를 통하여 긴급 상황을 알림과 동시에 해당 안전함의 위치를 송신기를 통하여 출력하고 안전함 전체의 수신기에서 긴급 알림 신호를 받아서 안전함 전체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긴급 발생 장소를 알리는 긴급발생알림단계, 화재감지기에서 화재를 감지하여 제어기에 화재 감지 신호를 보내면 제어기가 버턴부를 점멸하면서 해당 안전함의 위치를 송신기를 통하여 출력하고 안전함 전체의 수신기에서 화재 알림 신호를 받아서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화재 발생 장소를 알리는 화재발생자동알림단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와 긴급 상황 발생시, 화재 또는 위급 상황의 발생 장소를 알릴 수 있고, 화재 시 신속하게 소화함와 아울러 안전도구를 찾아서 신속하게 대피할 있고, 정전시에도 대피자에게 대피유도와 대피정보 등을 알릴 수 있으며, 화재 및 위급 상황이 발생되면 관리자, 거주자 및 방문자하여금 신속한 조치를 취하도록 하고, 건물이나 업체 등의 방문자 등의 안전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MULTI-PURPOSE SAFETY SYSTEM}
본 발명은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위급 상황시 건물이나 업체 등의 거주자 또는 방문자의 안전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과 공동주택 등에서는 화재 또는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손수건 등으로 입을 막고 대비하거나 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소화기 등 각종 안전도구 및 안전함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비교적 규모가 큰 빌딩 또는 공동주택에서는 안전함을 구비하고 있으며, 소규모 사업장에서는 벽면에 매립식 형태의 안전함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밖에도 소화기, 망치, 손전등 등이 벽면에 설치되는 형태로 소방안전에 대비하게 된다.
그래서 종래에는 특허등록 제10-1351939호, 제10-905234호, 제10-1039133호, 제10-1018583호, 제10-1034387호 등으로 많은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안전함에는 화재 발생시 사용자가 직접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안전함이 구비되어 있으나, 위급상황이나 화재 발생시 전문성이 없는 일반인이 사용하기에 위험성이 따를 뿐만 아니라 사용방법 등을 숙지하지 못하여 안전사고를 줄이기에 매우 미흡하다는 단점이 있다.
더우기 화재 발생시 어둠속에서 물손수건을 한손으로 잡아서 인체의 코와 입을 막고 다른 한손으로 건물 내부를 더듬고 대피하기 때문에, 대피자의 불편함으로 인하여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대피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화재 발생이나 위급 상황시에는 발생 장소를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 장소를 찾아서 신속한 조치를 할 수 없어 혼란함으로 인하여 안전사고를 증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또는 위급 상황의 발생 장소를 알리고, 화재 시 신속하게 소화함와 아울러 안전도구를 찾아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으며, 정전시에도 대피자에게 대피유도와 대피정보 등을 알림으로써, 위급 상황시 건물이나 업체 등의 거주자 또는 방문자의 안전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는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에 있어서, 전면에 개폐판을 구비한 안전함의 내부에 다수의 도구배치부가 구획 형성되고, 다수의 버턴으로 구성된 버턴부가 상기 안전함의 전면에 설치되며, 위생 처리된 물마스크를 밀봉 내장한 다수의 마스크팩이 상기 안전함의 도구거치부에 내장되고, 상기 안전함의 개폐판 외부면에 도광판이 설치되며, 상기 안전함이 건축물 내부에 구획된 각 공간의 출입구의 내부 또는 각 공간의 출입구에 근접한 벽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도광판과 버턴부와 연결되는 제어기가 상기 안전함 내부에 설치되고, 연기 또는 열을 감지하는 화재감지기가 제어기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함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버턴부의 온 신호에 따라 화재 또는 긴급 상환을 소리로 알리는 스피커가 상기 안전함에 설치되고, 상기 버턴부와 화재감지기의 신호를 받아서 모든 안전함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유무선 송신기가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어 상기 안전함의 내부에 설치되며, 모든 안전함의 송신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유무선 수신기가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어 상기 안전함의 내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안전함 중에 일부의 안전함의 송신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어기가 받아서 해당 안전함의 위치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어 상기 안전함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버턴부는 화재 발생시에 누르게 되는 점멸등 일체형 화재버턴, 긴급 상황시에 누르게 되는 점멸등 일체형 긴급상황버턴 및 스프링클러를 작동하기 위한 점멸등 일체형 스프링클러버턴으로 구성되며, 상기 안전함은 개폐판을 단속하는 전자잠금장치가 제어기와 연결되어 안전함의 개폐판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안전함의 내부에는 전기를 충전하는 배터리가 제어기와 연결되어 설치되며, 상기 안전함의 도구거치부는 상기 마스크팩을 보관하는 팩보관부, 망치를 보관하는 망치보관부, 구급함을 보관하는 구급보관부, 그리고 손전등을 보관하는 손전등보관부로 구성되고, 상기 손전등보관부에는 손전등에 내장된 손전등배터리에 전기를 충전하기 위한 손전등충전거치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클러의 연결 배관 내의 물을 단속하는 전자밸브가 구비되는 스프링클러부재가 건축물 내부에 구획된 각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안전함 내부의 제어기가 상기 스프링클러부재의 전자밸브와 연결되고, 대피자의 대피 방향을 유도하는 유도등이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어 건축물 내부에 구획된 각 공간에 최초로 입장하는 것을 감지하는 최초출입감지기가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어 제어기의 신호에 따라 안전함에 관한 사용 설명과 대피 요령을 스피커를 통하여 방문자에게 알리는 것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은 화재 발생시와 긴급 상황 발생시, 화재 또는 위급 상황의 발생 장소를 알릴 수 있으며, 화재 시 신속하게 소화함와 아울러 안전도구를 찾아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고, 정전시에도 대피자에게 대피유도와 대피정보 등을 알릴 수 있으며, 화재 및 위급 상황이 발생되면 관리자, 거주자 및 방문자로 하여금 신속한 조치를 취하도록 하고, 건물이나 업체 등의 방문자 등의 안전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에 적용되는 안전함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에 적용되는 안전함의 개폐판을 개방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에 적용되는 안전함에 내장되는 마스크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은 안전함(1)의 전면 상측에는 버턴부(2)가 설치되고, 상기 안전함(1)의 내부에는 마스크팩(3)이 배치되며, 상기 안전함(1)의 외부 전면에 도광판(4)이 설치되어 건축물(100) 내부에 구획된 공간에 다수의 안전함(1)이 배치된다.
즉 상기 안전함(1)의 전면에는 개폐판(1a)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안전함(1)의 내부에는 다수의 도구배치부(1b)가 구획 형성되며, 상기 마스크팩(3)은 위생 처리된 물에 적신 물마스크(3a)를 밀봉 내장한 것이고, 다수의 마스크팩(3)이 상기 안전함(1)의 도구거치부(3b)에 내장되며, 마스크팩(3)을 내장함과 아울러 도광판(4)을 설치한 안전함(1)이 건축물(100) 내부에 구획된 각 공간의 출입구의 내부 또는 각 공간의 출입구에 근접한 벽면에 설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안전함(1)의 도구거치부(1b)는 상기 마스크팩(3)을 보관하는 팩보관부(1ba), 소화기(5)를 보관하는 소화기보관부(1bb), 망치(6)를 보관하는 망치보관부(1bc), 구급함(7)을 보관하는 구급보관부(1bd), 그리고 손전등(8)을 보관하는 손전등보관부(1be)로 구성되고, 상기 손전등보관부(1be)에는 손전등(8)에 내장된 손전등배터리(미도시)에 전기를 충전하기 위한 손전등충전거치대(9)가 설치되어 있다.
물론 상기 소화기보관부(1bb)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함(1) 외측 상부면에 구비하여 소화기(5)를 안전함(1) 외측 상부면에 노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버턴부(2)는 화재 발생시에 누르게 되는 점멸등 일체형 화재버턴(2a), 긴급 상황시에 누르게 되는 점멸등 일체형 긴급상황버턴(2b) 및 스프링클러(10a)를 작동하기 위한 점멸등 일체형 스프링클러버턴(2c)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점멸등 일체형 버턴(2a,2b,2c)은 통상적으로 기계기구의 컨트롤박스에 사용되는 버턴으로 종래에 많이 사용되는 것이며, 손전등을 거치하면 손전등 내의 배터리에 전기를 충전하는 기술을 구비한 손전등충전거치대(9)도 종래에 많이 사용되는 것이어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광판(4)과 버턴부(2)와 연결되는 제어기(11)가 상기 안전함(1) 내부에 설치되고, 연기 또는 열을 감지하는 화재감지기(12)가 제어기(11)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함(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버턴부(2)의 온 신호에 따라 화재 또는 긴급 상황을 소리로 알리는 스피커(13)가 상기 안전함(1)에 설치되고, 상기 버턴부(2)와 화재감지기(12)의 신호를 받아서 모든 안전함(1)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유무선 송신기(14)가 상기 제어기(11)와 연결되어 상기 안전함(1)의 내부에 설치되며, 모든 안전함(1)의 송신기(14)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유무선 수신기(15)가 상기 제어기(11)와 연결되어 상기 안전함(1)의 내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안전함(1) 중에 일부의 안전함(1)의 송신기(14)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어기(11)가 수신기(15)를 통하여 받아서 해당 안전함(1)의 위치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6)가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어 상기 안전함의 전면에 설치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전함(1)의 개폐판(1a)을 단속하는 전자잠금장치(17)가 상기 제어기(11)와 연결되어 상기 안전함(1)의 개폐판(1a) 일측에 설치되며, 이러한 전자잠금장치(17)는 종래의 일반문 등에 설치된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안전함(1)의 개폐판(1a)를 단속하는 것이어서 이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물론 상기 안전함(1)의 개폐판(1a)은 상기 전자잠금장치(17)의 해제에 따라 사용자가 수동으로 개폐판(1a)를 개방하거나, 개폐판(1a)의 내부에 공기실린더 또는 스프링 등을 결합하여 저절로 개방되도록 함은 자명한 것이다.
아무튼 상기 안전함(1)에 설치되는 제어기(11)는 버턴부(2)와 화재감지기(12), 후술하는 지진감지센서(21), 다른 위치에 배치된 다수의 안전함(1)의 송신기(14) 신호를 받아서, 스피커(13), 스프링클러(10a), 송신기(14) 및 수신기(15), 잠금장치(17), 도광판(4) 및 디스플레이(16), 후술하는 유도등(18)과 최초출입감지기(19), 카메라(22)를 동작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클러(10a)는 스프링클러부재(10)에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스프링클러부재(10)는 물을 분사하는 스프링클러(10a)가 구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스프링클러(10a)의 연결 배관(미도시) 내의 물을 단속하는 전자밸브(10b)가 구비되어 상기 건축물(100) 내부에 구획된 각 공간의 천정에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전함(1)의 개폐판(1a)이 완전 개방되면 개폐판(1a) 내부면에 도 3과 같이 대피 요령과 함께 건축물 배치도를 부착하여 사용자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건축물(100)의 해당 공간에 설치된 안전함(1) 내부의 제어기(11)가 상기 스프링클러부재(10)의 전자밸브(10b)와 연결되며, 대피자의 대피 방향을 유도하는 유도등(18)이 상기 제어기(11)와 연결되고, 건축물(100) 내부에 구획된 각 공간에 최초로 입장하는 것을 감지하는 최초출입감지기(19)가 상기 제어기(11)와 연결되어 제어기(11)의 신호에 따라 안전함(1)과 그 구성에 관한 사용 설명과 대피 요령을 스피커(13)를 통하여 방문자에게 알리는 것이다.
물론 상기 최초출입감지기(19)는 건축물(100)의 각 구획공간에 설치된 잠금키의 해제 신호, 각 구획공간 내의 조명등 온(ON)의 최초신호, 각 구획공간 내의 노래방기기의 작동시작 신호 등을 감지하는 것이며, 이러한 기술은 현재의 전자 기술로 충분히 실현할 수 있는 것이어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실내에 방문자 등이 있을 때, 지진이 발생되면 지진으로 인하여 방문자 등이 다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안전함(1)에 지진을 감지하는 지진감지센서(21)가 설치되는 구조를 포함하여, 지진이 발생될 경우에는 지진감지센서(2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어기(11)가 받아서 스피커(13)를 통하여 지진을 알림과 아울러 대피 요령 즉 낮은 자세에서 책상 등의 아래로 대피하거나 건물 붕괴의 위험이 발생될 때에 건물밖으로 안내하는 등을 알리게 된다.
물론 상기 제어기(11)는 지진감지센서(2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이를 산출하여 위험할 정도의 진도 이상에서 사용자 등에서 알림은 자명한 것이다.
더우기 상기 안전함에는 상기 제어기(11)와 연결되는 카메라(22)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기(11)에 일체형 또는 분리형 메모리(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버턴부(2)와 화재감지센서(12)의 신호를 받아서 제어기(11)가 카메라(22)를 온(on)시켜서 안전함(1) 주변 상황을 동영상으로 촬영 저장하는 구조를 포함한다.
그러면 화재 또는 긴급 상황에서 발생되는 영상을 토대로 보다 우수한 기능의 개발과 안전함 위치의 선정 등에 대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그 때 상황의 책임 소재로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전기를 충전하는 배터리(20)가 상기 제어기(1)와 연결되어 상기 안전함(1)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기가 끊기면 배터리(20)의 전기로 제어기(11)를 동작하게 함과 아울와 화재버턴(2a), 스프링클러버턴(2b), 긴급버턴(2c), 화재감지기(12), 스피커(13), 스프링클러부재(10)의 전자밸브(10b), 송신기(14) 및 수신기(15), 잠금장치(17), 유도등(18), 도광판(4) 및 디스플레이(16), 카메라(22)를 상기 배터리(20)의 전기로 동작하게 한다.
그러면 긴급한 상황에서 정전이 발생되더라도 사용자 등의 안전한 대피와 조명 등을 제공하여 심각한 안전 사고를 줄이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제어되는 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의 제어방법은 기본적으로 화재발생알림단계와 긴급발생알림단계, 화재발생자동알림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화재발생알림단계에서는 화재버턴(2a)을 누르면 제어기(11)가 화재버턴(2a)의 온 신호를 받아서 스피커(13)를 통하여 화재를 알림과 동시에 해당 안전함의 위치를 송신기(14)를 통하여 화재 신호를 출력하고, 건축물(100) 내에 배치된 다수의 안전함(1) 전체의 수신기(15)에서 화재 알림 신호를 받아서 디스플레이(16)를 통하여 화재 발생 장소를 알리게 된다.
상기 긴급발생알림단계에서는 긴급버턴(2b)을 누르면 제어기(11)가 긴급버턴(2b)의 온 신호를 받아서 스피커(13)를 통하여 긴급 상황을 알림과 동시에 해당 안전함(1)의 위치를 송신기(15)를 통하여 긴급 발생 신호를 출력하며, 건축물(100) 내에 배치된 다수의 안전함(1) 전체의 수신기(15)에서 긴급 알림 신호를 받아서 안전함(1) 전체의 디스플레이(16)를 통하여 긴급 발생 장소를 알리게 된다.
상기 화재발생자동알림단계에서는 화재감지기(12)에서 화재를 감지하여 제어기(11)에 화재 감지 신호를 보내면 제어기(11)가 버턴부(2)를 점멸하면서 해당 안전함(1)의 위치를 송신기(14)를 통하여 화재 신호를 출력하고, 건축물(100) 내에 배치된 다수의 안전함(1) 전체의 수신기(15)에서 화재 알림 신호를 받아서 디스플레이(16)를 통하여 화재 발생 장소를 알리게 된다.
물론 상기 화재발생알림단계와 긴급발생알림단계에서도 제어기(11)에 의해 버턴부(2)가 점멸하게 되며, 예컨대 화재 등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기(11)가 스피커(13)를 통하여 벨소리를 3초 내지 5초 동안 출력한 뒤에 대피 요령과 안전함 사용 방법을 전달하게 된다.
한편 관리자, 방문자 및 사용자가 안전함(1) 내의 안전도구 즉 마스크팩(3)과 소화기(5), 망치(6), 구급함(7), 손전등(8)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화재 또는 긴급 상황시 안전함(1)의 개폐판(1a)이 개방되어야 한다.
그래서 상기 화재발생알림단계와 화재발생자동알림단계에서는 상기 제어기(11)가 잠금장치(17)를 해제하여 사용자가 안전함(1) 내의 마스크팩(3)과 소화기(5), 망치(6), 구급함(7), 손전등(8)을 꺼내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화재 발생 상황에서는 사용자 등이 스프링클러버턴(2c)을 누르면 상기 제어기(11)가 스프링클러부재(10)의 전자밸브(10b)를 작동하여 스프링클러(10a)로 물을 분사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기(11)가 유도등(18)을 점멸하게 된다.
물론 상기 유도등(18)은 적색과 녹색을 발광하도록 하여 화재 등 긴급 상황에서 적색과 녹색을 반복 점멸함이 바람직하며, 긴급상황이나 화재발생 상황이 아닌 상태에서 사용자의 실수로 스프링클러버턴(2c) 만을 누르더라도 스프링클러자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무튼 화재 발생시 사용자가 안전함(1) 내의 마스크팩(3)을 꺼내서 마스크팩(3) 내의 물마스크(3a)를 착용하여 대피할 수 있어,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어서 대피의 신속성과 편리성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정전시 긴급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 발생시 안전함(1)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기가 끊기거나 건축물 내부의 전기 배선의 멸실로 인하여 정전되는 상황을 대비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안전함(1)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기가 끊어지면 상기 제어기(11)가 이를 감지하여 안전함(1) 내부의 배터리(20)의 전기를 제어기(11)에 인가함과 아울러 상기 제어기(11)의 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20)의 전기로 화재버턴(2a), 스프링클러버턴(2b), 긴급버턴(2c), 화재감지기(12), 스피커(13), 스프링클러부재(10)의 전자밸브(10b), 송신기(14) 및 수신기(15), 잠금장치(17), 유도등(18), 도광판(4) 및 디스플레이(16), 카메라(22)를 동작하도록 하는 배터리전기전환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면 화재 발생 등과 같이 긴급한 상황이 발생되는 사용자가 안전함의 조작과 안전함 내의 안전도구를 이용할 수 있는 바, 사용자가 방문하면 안전함의 사용 방법과 대피 요령을 알리게 되고, 화재 발생시 화재버턴을 누르면 스피커를 통하여 벨소리를 울린 후에 대피 요령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화재버턴을 누름후에 스프링클러버턴을 누르면 스프링클러를 통하여 화재 진압용 물이 분사되고, 화재 발생 등과 같이 긴급 상황의 발생 장소를 모든 안전함을 통하여 방문자 또는 거주자 및 관리자에게 알림으로써 신속한 처리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특히 화재 발생시 안전함 내부의 마스크팩을 착용하도록 함으로써 긴급 대피자의 양손을 제한없이 사용하도록 하여 대피자 자신의 대피를 편리하게 하는 것이다.
1 : 안전함 2 : 버턴부
3 : 마스크팩 4 : 도광판
5 : 소화기 6 : 망치
7 : 구급함 9 : 손전등
10 : 손전등충전거치대 11 : 제어기
12 : 화재감지기 13 : 스피커
14 : 송신기 15 : 수신기
16 : 디스플레이 17 : 잠금장치
18 : 유도등 19 : 최초출입감지기
20 : 배터리 21 : 지진감지센서
22 : 카메라

Claims (12)

  1. 전면에 개폐판을 구비한 안전함의 내부에 다수의 도구배치부가 구획 형성되고, 다수의 버턴으로 구성된 버턴부가 상기 안전함의 전면에 설치되며, 위생 처리된 물마스크를 밀봉 내장한 다수의 마스크팩이 상기 안전함의 도구거치부에 내장되고, 상기 안전함의 개폐판 외부면에 도광판이 설치되며, 상기 안전함이 건축물 내부에 구획된 각 공간의 출입구의 내부 또는 각 공간의 출입구에 근접한 벽면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과 버턴부와 연결되는 제어기가 상기 안전함 내부에 설치되며, 연기 또는 열을 감지하는 화재감지기가 제어기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함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버턴부의 온 신호에 따라 화재 또는 긴급 상황을 소리로 알리는 스피커가 상기 안전함에 설치되며, 상기 버턴부와 화재감지기의 신호를 받아서 모든 안전함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유무선 송신기가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어 상기 안전함의 내부에 설치되고, 모든 안전함의 송신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유무선 수신기가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어 상기 안전함의 내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안전함 중에 일부의 안전함의 송신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어기가 받아서 해당 안전함의 위치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어 상기 안전함의 전면에 설치되며,
    또한, 스프링클러의 연결 배관 내의 물을 단속하는 전자밸브가 구비된 스프링클러부재가 건축물 내부에 구획된 각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안전함 내부의 제어기가 상기 스프링클러부재의 전자밸브와 연결되며, 대피자의 대피 방향을 유도하는 유도등이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고, 건축물 내부에 구획된 각 공간에 최초로 입장하는 것을 감지하는 최초출입감지기가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어 제어기의 신호에 따라 안전함에 관한 사용 설명과 대피 요령을 스피커를 통하여 방문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함은 개폐판을 단속하는 전자잠금장치가 제어기와 연결되어 안전함의 개폐판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함에는 지진을 감지하는 지진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지진이 발생되면 지진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어기가 받아서 스피커를 통하여 지진경보와 아울러 대피 요령을 알리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함에는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는 카메라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기에 메모리가 구비되며, 상기 버턴부와 화재감지센서의 신호를 받아서 제어기가 카메라를 온(on)시켜서 안전함 주변 상황을 동영상으로 촬영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함의 도구거치부는 상기 마스크팩을 보관하는 팩보관부, 망치를 보관하는 망치보관부, 구급함을 보관하는 구급보관부, 그리고 손전등을 보관하는 손전등보관부로 구성되고, 상기 손전등보관부에는 손전등에 내장된 손전등배터리에 전기를 충전하기 위한 손전등충전거치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턴부는 화재 발생시에 누르게 되는 점멸등 일체형 화재버턴, 긴급 상황시에 누르게 되는 점멸등 일체형 긴급상황버턴 및 스프링클러를 작동하기 위한 점멸등 일체형 스프링클러버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함의 내부에는 전기를 충전하는 배터리가 제어기와 연결되어 설치되며,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기가 끊기면 배터리의 전기에 의해 상기 제어기가 작동됨과 아울러 제어기와 연결된 각 구성요소가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50072995A 2015-05-26 2015-05-26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 KR101585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995A KR101585969B1 (ko) 2015-05-26 2015-05-26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995A KR101585969B1 (ko) 2015-05-26 2015-05-26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5969B1 true KR101585969B1 (ko) 2016-01-15

Family

ID=55173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2995A KR101585969B1 (ko) 2015-05-26 2015-05-26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96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9543B1 (ko) * 2016-11-14 2017-05-24 (주)건창기술단 건축물 다목적 소방용 화재경보기
KR101902976B1 (ko) * 2017-05-12 2018-10-01 조규갑 비상용품이 구비되는 비상 경보 장치
KR101940068B1 (ko) * 2018-07-25 2019-01-18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어시스템
KR101965534B1 (ko) * 2018-07-13 2019-04-03 박용주 다기능 화재경보 발신기
KR20190093380A (ko) * 2018-02-01 2019-08-09 허성범 안전 기구함
KR102054319B1 (ko) * 2019-06-25 2019-12-11 (주)제이엠디지텍 임시소방설비용 비상경보장치
KR20210000633A (ko) * 2019-10-07 2021-01-05 (주)제이엠디지텍 임시소방설비용 비상경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0858A (ko) * 2008-02-22 2009-08-26 제천시 시각장애인용 화재경보장치
KR101233481B1 (ko) * 2010-08-19 2013-02-14 강상용 승객구호장비 보관함
KR200466854Y1 (ko) * 2010-10-08 2013-05-13 주식회사 다스 코리아 화재 발생 표시 및 진압 박스
KR101289463B1 (ko) * 2011-08-16 2013-07-24 (주)창조 비상기구 통합수납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0858A (ko) * 2008-02-22 2009-08-26 제천시 시각장애인용 화재경보장치
KR101233481B1 (ko) * 2010-08-19 2013-02-14 강상용 승객구호장비 보관함
KR200466854Y1 (ko) * 2010-10-08 2013-05-13 주식회사 다스 코리아 화재 발생 표시 및 진압 박스
KR101289463B1 (ko) * 2011-08-16 2013-07-24 (주)창조 비상기구 통합수납함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9543B1 (ko) * 2016-11-14 2017-05-24 (주)건창기술단 건축물 다목적 소방용 화재경보기
KR101902976B1 (ko) * 2017-05-12 2018-10-01 조규갑 비상용품이 구비되는 비상 경보 장치
KR20190093380A (ko) * 2018-02-01 2019-08-09 허성범 안전 기구함
KR102103631B1 (ko) * 2018-02-01 2020-04-22 허성범 안전 기구함
KR101965534B1 (ko) * 2018-07-13 2019-04-03 박용주 다기능 화재경보 발신기
KR101940068B1 (ko) * 2018-07-25 2019-01-18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어시스템
KR102054319B1 (ko) * 2019-06-25 2019-12-11 (주)제이엠디지텍 임시소방설비용 비상경보장치
KR20210000633A (ko) * 2019-10-07 2021-01-05 (주)제이엠디지텍 임시소방설비용 비상경보장치
KR102224167B1 (ko) * 2019-10-07 2021-03-08 (주)제이엠디지텍 임시소방설비용 비상경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969B1 (ko)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
US10553086B2 (en) Social safety network system having portable light for both wireless disaster fire detection and crime prevention
KR101772806B1 (ko) 화재 발생 위치에 따라 대피 방향이 자동으로 변환되는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70106665A (ko) 지능형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JP6139793B2 (ja) 避難誘導報知装置およびシステム
KR101841761B1 (ko) 건설현장 임시소방시설용 화재감지 및 대피유도 시스템
KR102103631B1 (ko) 안전 기구함
CN111258251B (zh) 一种面向智能建筑的消防系统
KR101867923B1 (ko) 소화기에 부착된 화재경보시스템
CN111243219A (zh) 一种用于智能建筑的防火警报系统
KR20160005641A (ko) 대피용 다목적 안전도구함
CN111199625A (zh) 一种建筑整体消防安全智能系统
CN111596637A (zh) 一种智慧消防管理系统及方法
KR101289463B1 (ko) 비상기구 통합수납함
KR101897756B1 (ko) 대피자 맞춤형 피난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81137B1 (ko) 공공장소용 양방향의 화재경보시스템
JP5111765B2 (ja) 建物内状況確認システム
CN107689133A (zh) 一种火灾智能预警减灾防护系统
KR200466854Y1 (ko) 화재 발생 표시 및 진압 박스
KR101925876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 제어장치
KR101902976B1 (ko) 비상용품이 구비되는 비상 경보 장치
KR101897757B1 (ko) 화재분석을 통한 최적의 피난경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722090B1 (ko) 전기밀폐공간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207216828U (zh) 一种火灾智能预警减灾防护系统
CN112150754B (zh) 一种应急救生箱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