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4393A - 압력 상태가 확인 가능한 옥내 소화전 - Google Patents

압력 상태가 확인 가능한 옥내 소화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4393A
KR20200124393A KR1020190047639A KR20190047639A KR20200124393A KR 20200124393 A KR20200124393 A KR 20200124393A KR 1020190047639 A KR1020190047639 A KR 1020190047639A KR 20190047639 A KR20190047639 A KR 20190047639A KR 20200124393 A KR20200124393 A KR 20200124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hydrant
angle valve
water
fire hyd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주달
Original Assignee
손주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주달 filed Critical 손주달
Priority to KR1020190047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4393A/ko
Publication of KR20200124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3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내부 벽체의 개구부 상에 매립되어 화재 발생 시 소화호스(2)를 통해 화재 진압이 가능한 옥내 소화전(1)에 있어서: 상기 소화호스(2)와 연결되어 화재 발생 시 소화호스(2)로 물을 공급하여 화재진압이 가능하게 구비하는 앵글밸브(10); 및 상기 앵글밸브(10)와 연결되어 소화전 커버(3) 상에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확인 가능하게 구비하는 게이지수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옥내에 설치된 소화전 상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 화재 진압을 위해 앵글밸브를 개폐하지 않아도 노출된 게이지(또는 표시등)등 을 통해 한 눈에 확인 가능하여 소화전에 가압된 물이 없어 소화에 실패하는 일이 없도록 안전하게 화재 진압이 가능하도록 소화전함에서 평상시 압력 상태가 확인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압력 상태가 확인 가능한 옥내 소화전{Indoor fire hydrant with pressure status}
본 발명은 압력 상태가 확인 가능한 옥내 소화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옥내에 설치된 소화전 상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 화재 진압을 위해 앵글밸브를 개폐하지 않아도 노출된 게이지(또는 표시등)등 을 통해 한 눈에 확인 가능하여 소화전에 가압된 물이 없어 소화에 실패하는 일이 없도록 안전하게 화재 진압이 가능하도록 소화전함에서 평상시 압력 상태가 확인 가능한 옥내 소화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옥내 소화전은 펌프 또는 고층 물탱크가 있는 곳에 설치되는 소화용 수전으로 이러한 옥내 소화전은 화재발생 시 신속하게 소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실내에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옥내 소화전은 건물 등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건물의 화재 시 빠른 대응을 실행할 수 있어 화재 진압의 시간 단축과 소방차 등의 출동 전에도 화재를 빠르게 진압할 수 있어 화재의 초기 진압이 가능하다. 하지만 관리자 또는 사용자 등이 옥내 소화전 배관속에 가압된물이 들어있는지 평소에 확인이 불가능하고, 소화전 커버를 개방하여 확인해야만 했기 때문에 불편함은 물론이고, 화재 발생 시 긴박한 상황에서 수압을 확인 안한 상태로 사용하게 된다면 가압된 물이 없어 초기소화에 실패 또는 과압 시 부상의 염려도 발생한다.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 제1888355호에 따르면, '건물 벽체의 개구부 내에 매립 설치되는 내함과, 상기 내함에 결합되는 커버를 구비하는 옥내소화전에 있어서, 상기 내함의 외면 둘레와 상기 개구부의 내면 둘레 사이를 일정거리 이격시키는 내진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내진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차폐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함의 외면과 상기 개구부의 내면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개구부 내에서 상기 내함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벽체에서 내함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스프링과, 상기 내함의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완충스프링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스프링시트와, 상기 완충스프링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2스프링시트와, 상기 제2스프링시트가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개구부의 내면 상에 고정되는 고정체를 포함하며, 상기 내함 및 제1스프링시트에 관통 체결되어 상기 완충스프링의 일단에 삽입되는 제1축볼트와, 상기 고정체 및 제2스프링시트에 관통 체결되어 상기 완충스프링의 타단에 삽입되는 제2축볼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완충스프링이 축방향으로만 신축 가능하도록 상기 제1축볼트와 상기 제2축볼트에는 상기 완충스프링의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거동을 제한하는 원통형 외면이 형성되되, 상기 제1축볼트와 상기 제2축볼트의 마주보는 각 단부는 서로 일정거리 이격 배치되어 상기 완충스프링이 축방향 진동과 축방향에 수직한 진동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소화전.'을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옥내소화전에 경우 물의 수압을 한 번에 알기 힘들어 소화전 커버를 개방하여 확인해야만 했기 때문에 불편함은 물론이고, 화재 발생 시 긴박한 상황에서 수압을 확인 안한 상태로 사용하게 된다면 가압된 물이 없어 초기 소화에 실패 또는 부상의 염려도 발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419174호에 따르면, '소화전함 외부 커버에 있어 내함(1)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안쪽으로 절곡되어지고 옆면에 나사못 고정을 위한 다수 개의 구멍이 뚫어져 있는 커버 프레임(2)과 경첩(5)으로 개폐가 가능토록 부착된 상,하부의 문짝(3,10), 화재시 발광 되도록 전등 내장이 가능한 소화전 명판(14)이 부착된 소화전함의 커버.'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소화전함의 커버 또한 외부에 별도로 물의 수압을 알 수 있는 구성이 존재하지 않아 소화전 커버를 개방하여 확인해야만 했기 때문에 불편함은 물론이고, 화재 발생 시 긴박한 상황에서 수압을 확인 안한 상태로 사용하게 된다면 부상의 염려도 발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458762호에 따르면, '몸체의 내부 상,하단에 각각 상부도어와 하부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상,하부도어의 일측에는 각각 부분에 작게 손잡이가 형성됨은 물론 이 손잡이에는 푸쉬버튼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도어에는 경보버튼과 표시등 그리고 경보음홀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부도어에는 '소화전'이라는 텍스트 글자가 설치되어 구성된 옥내 소화전 커버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도어(11)(15)의 일측에는 세로길이 방향으로 전체면에 손잡이(16a)(16)가 형성되고, 손이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입구가 경사면(17)으로 형성되며, 하부도어의 정면 하단에 요철부로 형성된 인식픽토그램부(22)가 하부도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요철부 중 돌출된 '∩'부분과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에는 각각 다른 색상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관과 기능이 개선된 옥내 소화전 커버.'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외관과 기능이 개선된 옥내 소화전 커버도 평소 또는 화재 발생 시 수압을 확인할 수 없어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 등록특허 제1888355호 "옥내소화전"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419174호 "소화전함의 커버"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458762호 "외관과 기능이 개선된 옥내 소화전 커버"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옥내에 설치된 소화전 상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 화재 진압을 위해 앵글밸브를 개폐하지 않아도 노출된 게이지(또는 표시등)등 을 통해 한 눈에 확인 가능하여 소화전에 가압된 물이 없어 소화에 실패하는 일이 없도록 안전하게 화재 진압이 가능하도록 소화전함에서 평상시 압력 상태가 확인 가능한 옥내 소화전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 내부 벽체의 개구부 상에 매립되어 화재 발생 시 소화호스를 통해 화재 진압이 가능한 옥내 소화전에 있어서: 상기 소화호스와 연결되어 화재 발생 시 소화호스로 물을 공급하여 화재진압이 가능하게 구비하는 앵글밸브; 및 상기 앵글밸브와 연결되어 소화전 커버 상에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확인 가능하게 구비하는 게이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게이지수단은 앵글밸브와 연결되어 물의 수압을 확인 가능하게 소화전 커버 상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노출형 압력게이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게이지수단의 노출형 압력게이지는 앵글밸브에 연결된 매립형 압력게이지와 서로 연동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옥내에 설치된 소화전 상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 화재 진압을 위해 앵글밸브를 개폐하지 않아도 노출된 게이지(또는 표시등)등 을 통해 한 눈에 확인 가능하여 소화전에 가압된 물이 없어 소화에 실패하는 일이 없도록 안전하게 화재 진압이 가능하도록 소화전함에서 평상시 압력 상태가 확인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상태가 확인 가능한 옥내 소화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상태가 확인 가능한 옥내 소화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 상태가 확인 가능한 옥내 소화전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건물 내부 벽체의 개구부 상에 매립되어 화재 발생 시 소화호스(2)를 통해 화재 진압이 가능한 옥내 소화전(1)에 관련되며, 앵글밸브(10) 및 게이지수단(2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앵글밸브(10)는 상기 소화호스(2)와 연결되어 화재 발생 시 소화호스(2)로 물을 공급하여 화재진압이 가능하게 구비한다. 앵글밸브(10)는 옥내에 설치되어 있는 소화전(1)에 설치된 소방호수(2)와 연결하여 소화시 방수를 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러한, 앵글밸브(10)는 밸브 몸통의 입구와 출구의 중심선이 직각으로 형성되며 유체의 흐름 방향이 직각으로 변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소화전(1)의 외부에서 부터 유입되는 물을 소화호스(2)를 통해 화재 지점에 분사할 수 있도록 레버(11)가 형성된다. 레버(11)를 회전시키게 되면 외부 방향에서 물이 앵글밸브(10)의 내부로 유입하게 되고, 앵글밸브(10)의 하부에 연결된 소화호스(2)를 통해 물은 분사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게이지수단(20)은 상기 앵글밸브(10)와 연결되어 소화전 커버(3) 상에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확인 가능하게 구비한다. 게이지수단(20)은 상술한 앵글밸브(10)와 연결되어 소화전(1)에 형성된 소화전 커버(3) 상에 공급되는 물의 수압이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게이지수단(20)은 앵글밸브(10)와 연결되어 물의 수압을 확인 가능하게 소화전 커버(3) 상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노출형 압력게이지(2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존의 소화전(1)의 경우 소화전 커버(3)에는 화재 발생 시 화재를 알리기 위해 경고버튼(4)이 형성되고, 상기 경고버튼(4)을 누르게 되면 육안으로 화재 사실을 알 수 있도록 경고등(5)에서 불빛이 발생하게 되어 대피자는 화재 사실을 더욱 빨리 인지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소화전 커버(3)에는 화재 사실을 청각에 의해 알 수 있도록 화재벨(미도시)가 형성되고 화재벨을 통해 소리가 외부로 발생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6)이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통공(6)은 화재벨의 벨소리가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경고버튼(4), 경고등(5), 통공(6)과 함께 소화전 커버(3)에는 게이지수단(20)인 노출형 압력게이지(21)가 설치하게 된다. 노출형 압력게이지(21)는 앵글밸브(10)에 수압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노출형 압력게이지(21)의 역할을 화재 발생 시 사용자가 앵글밸브(10)로부터 발생되는 수압을 정확히 인지하여 화재를 빠르게 진압하거나 수압의 이상을 인지하고 빠른 다른 방법을 강구할 수 있도록 하고, 평상시에는 관리자가 더욱 빠르게 인지하여 확실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게이지수단(20)의 노출형 압력게이지(21)는 앵글밸브(10)에 연결된 매립형 압력게이지(22)와 서로 연동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노출형 압력게이지(21)의 경우에는 앵글밸브(10) 상에 노출형 압력게이지(21)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노출형 압력게이지(21)로부터 앵글밸브(10)의 수압을 알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소화전(1)의 내부에 별도의 매립형 압력게이지(22)가 설치되지 않은 구성이고, 매립형 압력게이지(22)가 소화전(1)의 내부에 설치될 경우에는 노출형 압력게이지(21)는 앵글밸브(10)에 연결된 매립형 압력게이지(22)와 서로 연동되어 외부로 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소화전(1)의 내부에 매립형 압력게이지(22)가 없을 경우 앵글밸브(1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노출형 압력게이지(21)를 형성할 수 있고, 소화전(1)의 내부에 매립형 압력게이지(22)가 있을 경우 매립형 압력게이지(22)와 노출형 압력게이지(21)가 연동되어 앵글밸브(10)의 수압을 알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옥내에 설치된 소화전 상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 화재 진압을 위해 앵글밸브를 개폐하지 않아도 노출된 게이지(또는 표시등)등 을 통해 한 눈에 확인 가능하여 소화전에 가압된 물이 없어 소화에 실패하는 일이 없도록 안전하게 화재 진압이 가능하도록 소화전함에서 평상시 압력 상태가 확인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옥내 소화전 2: 소화호스
3: 소화전 커버 4: 경고버튼
5: 경고등 6: 통공
10: 앵글밸브 11: 레버
20: 게이지수단 21: 노출형 압력게이지
22: 매립형 압력게이지

Claims (3)

  1. 건물 내부 벽체의 개구부 상에 매립되어 화재 발생 시 소화호스(2)를 통해 화재 진압이 가능한 옥내 소화전(1)에 있어서:
    상기 소화호스(2)와 연결되어 화재 발생 시 소화호스(2)로 물을 공급하여 화재진압이 가능하게 구비하는 앵글밸브(10); 및
    상기 앵글밸브(10)와 연결되어 소화전 커버(3) 상에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확인 가능하게 구비하는 게이지수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상태가 확인 가능한 옥내 소화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수단(20)은 앵글밸브(10)와 연결되어 물의 수압을 확인 가능하게 소화전 커버(3) 상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노출형 압력게이지(2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상태가 확인 가능한 옥내 소화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수단(20)의 노출형 압력게이지(21)는 앵글밸브(10)에 연결된 매립형 압력게이지(22)와 서로 연동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상태가 확인 가능한 옥내 소화전
KR1020190047639A 2019-04-24 2019-04-24 압력 상태가 확인 가능한 옥내 소화전 KR202001243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639A KR20200124393A (ko) 2019-04-24 2019-04-24 압력 상태가 확인 가능한 옥내 소화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639A KR20200124393A (ko) 2019-04-24 2019-04-24 압력 상태가 확인 가능한 옥내 소화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393A true KR20200124393A (ko) 2020-11-03

Family

ID=73197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639A KR20200124393A (ko) 2019-04-24 2019-04-24 압력 상태가 확인 가능한 옥내 소화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43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3244A1 (en) * 2022-09-29 2024-04-04 Rosemount Inc. Smart conduit plu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174B1 (ko) 1999-12-28 2004-02-14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환원로 풍구 연소대의 온도 측정방법
KR100458762B1 (ko) 1995-10-06 2005-02-07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흡수식냉동기및그의제조방법
KR101888355B1 (ko) 2016-12-20 2018-08-14 신영공업 주식회사 내진용 옥내소화전 및 그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762B1 (ko) 1995-10-06 2005-02-07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흡수식냉동기및그의제조방법
KR100419174B1 (ko) 1999-12-28 2004-02-14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환원로 풍구 연소대의 온도 측정방법
KR101888355B1 (ko) 2016-12-20 2018-08-14 신영공업 주식회사 내진용 옥내소화전 및 그 설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3244A1 (en) * 2022-09-29 2024-04-04 Rosemount Inc. Smart conduit plu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3403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관리 시스템
US9320929B2 (en) Protective cap of sprinkler head and sprinkler head
KR101058553B1 (ko) 소방용 경보장치
JP2012235910A (ja) 消火栓装置
KR20200124393A (ko) 압력 상태가 확인 가능한 옥내 소화전
KR20200047167A (ko) 누수 감지 소화전
KR20120006308U (ko) 선박용 소방 장비의 보관함
JP5851380B2 (ja) トンネル消火栓装置
JP2016047313A (ja) トンネル消火栓装置
KR102200631B1 (ko) 공동주택의 소방배관시스템
KR102231652B1 (ko)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방 방화벽 장치 작동시스템
JP2014121357A (ja) スプリンクラ消火システム
KR101824868B1 (ko)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
KR20080001532U (ko) 알람밸브 작동 시험용 테스트 밸브
KR20220104610A (ko) 즉시 확인기능을 겸비한 압력계기판 구비의 옥내소화전용 개폐밸브
JP2011152182A (ja) 流水検知装置
KR20100138127A (ko) 방화문 차압측정용 커넥터
KR102298642B1 (ko) 공동주택의 전기시설을 이용한 소방감지용 템퍼스위치를 구비한 소방장치
KR200414294Y1 (ko) 테스트용 오리피스 및 투명점검구가 구비된 알람밸브드레인 연결관
KR200425965Y1 (ko) 소방용 자동 경보밸브 어셈블리
KR100823139B1 (ko) 제연구역 내 방화문의 도어클로저 닫힘보조장치
KR20230118413A (ko) 옥내소화전의 기능 확인 및 최적화 전달시스템
KR102300167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 안정화 시스템
KR20140140454A (ko) 알람밸브
KR20070000633U (ko) 수도 직결 스프링클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296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1207

Effective date: 2021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