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0454A - 알람밸브 - Google Patents

알람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0454A
KR20140140454A KR1020130061338A KR20130061338A KR20140140454A KR 20140140454 A KR20140140454 A KR 20140140454A KR 1020130061338 A KR1020130061338 A KR 1020130061338A KR 20130061338 A KR20130061338 A KR 20130061338A KR 20140140454 A KR20140140454 A KR 20140140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alarm
primary
valve body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1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록
Original Assignee
이덕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록 filed Critical 이덕록
Priority to KR1020130061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0454A/ko
Publication of KR20140140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4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람밸브에 관한 것으로, 밸브 본체(100)와; 밸브시트(110)와; 본넷(110')과, 가이드(120)와; 밸브축(120')과; 밸브 디스크(130)와; 디스크 홀더( 130')와; 홀더축(140)과; 스크류축(140')과; 요크(150)와; 핸들(150')과; 상기 2차측 배출구(102) 측에 설치되는 알람스위치(160)와; 상기 1차측 밸브 본체(100)의 벽체에 설치되는 1차 압력계(170)와; 상기 2차측 밸브 본체(100)의 벽체에 설치되는 2차 압력계(170') 및; 상기 2차측 밸브 본체(100)의 최하단부 벽체에 설치되는 드레인 배관(180)으로 구성되어 밸브를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라인을 밸브에 인접 설치하여 실내가 아닌 실외에 설치함으로써 거주자가 모두 외출하여 부재중인 경우에도 밸브의 테스트를 편리하게 할 수 있고, 패들형 알람스위치의 채용으로 알람밸브 내부 청소시 드레인 밸브를 개방하여도 2차측에서 1차측을 거쳐 배출되는 물의 흐름이 알람스위치를 작동시키지 않아 알람밸브가 작동하여 알람이 울리게 되어서 주변에 소음 및 주민들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오인하여 혼란을 주는 일을 전혀 일으키지 않으며, 사전에 미리 2차측에 물을 채워둘 필요가 없어 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품의 가격 저렴으로 경제성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패들형 알람스위치의 채용으로 오동작 없이 장기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수명이 긴 각별한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알람밸브{Alarm valve}
본 발명은 알람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클리닝 밸브의 작동스위치를 압력변화에 따라 작동하는 스위치 대신에 유체의 흐름에 따라 작동하는 패들형 스위치를 채용하여 스위치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는 알람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화재발생에 대비하여 소화설비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소화설비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스프링쿨러 설비이다.
이러한 스프링쿨러 설비는, 배관의 내부에 소정의 압력을 가지는 가압수가 항상 충전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프링쿨러 헤드의 감열부가 화재로 인해 개방되면, 배관의 가압수가 방출되면서 유수 검지장치인 알람밸브 조립체가 작동하여 경보가 발생하고, 이와 함께 가압 송수장치가 구동되어 소화수가 스프링쿨러 헤드를 통해 연속적으로 살수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종래의 스프링쿨러 설비의 일례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스프링쿨러 설비(1)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도시되지않음)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메인 공급관(10) 상에 알람밸브 조립체(20)가 설치되고, 메인 공급관(10)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소화수가 공급되도록 복수의 스프링쿨러 헤드(30)가 설치되는 가지관(40)이 갖추어지며, 알람밸브 조립체(20)의 일측으로는 내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확인창( 51)(sight glass)이 형성된 배출관(50)이 설치되어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알람밸브 조립체(20)는 메인 공급관(10)과 접속되는 밸브바디(21)와, 이 밸브바디(21)의 일측에 구비되는 알람스위치(22) 및 드레인밸브 구조물(23)로 이루어진다.
또한, 밸브바디(21)의 하부 입구부(21a)와 상부 출구부(21b)측에는 각각 압력게이지(P1)(P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드레인밸브 구조물(23)은 밸브바디(21)의 내부에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클래퍼부(도시되지 않음)의 상부 일측과 연통되어 개폐기능을 수행하는 드레인밸브와, 이 드레인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면서 배출관(50)과 연결되는 드레인연결관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또한, 종래의 스프링쿨러 설비(1)에는 정상적으로 스프링쿨러 설비가 작동되는지 여부를 점검하기 위한 테스트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테스트장치는 스프링클러 헤드(30)가 구비된 가지관(40)의 끝단부에 배출관(50)과 연결되는 테스트배관(60)이 설치되어 있고, 이 테스트배관(60)에는 테스트밸브 조립체(70)가 갖추어지며, 이 테스트밸브 조립체(70)에는 테스트함(8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테스트밸브 조립체(70)는 테스트밸브(71)와 압력게이지(P3)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 테스트 밸브 조립체(70) 및 테스트함(80)은 통상적으로 건물 실내의 화장실 또는 발코니(또는 베란다)에 설치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스프링쿨러 설비(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메인 공급관(10)을 통해 건물, 예를 들어 아파트의 각층 마다 설치된 알람밸브 조립체(20)를 거쳐 가지관(40)의 말단까지 채워져 설정수압을 유지하고 있는데, 스프링쿨러 헤드(30)가 화재 등에 의해 개방되면, 가지관(40)의 압력이 저하되어 닫혀있던 알람밸브 조립체(20)가 개방되면서 메인 공급관(10)을 통해 물이 공급되어서 알람밸브 조립체(20)의 입구부(21a) 및 출구부(21b)를 거쳐서 가지관(40)에 구비된 스프링쿨러 헤드(30)에 공급되어 소화수가 방출되도록 한다. 이때, 화재표시등을 점등시키면서 경보를 울리게 한다.
또한, 상기 가지관(40)의 내부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일 경우, 드레인밸브 구조물(23)을 이루는 드레인연결관을 거쳐서 배출관(50)을 통해 물이 배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스프링쿨러 설비(1)는 물이 메인 공급관(10)을 통해 알람밸브 조립체(20)를 거쳐 가지관(40)의 끝단부까지 채워져서 설정 수압을 유지하게 되는데, 상기 알람밸브 조립체(20)는 평상시에 닫혀있는 상태(개폐기능을 하는 클래퍼부가 닫힌 상태)로 있게 된다.
만일,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알람스위치(22)에서 이를 감지하여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테스트함(80)을 구비하여 테스트함(80)안에 갖추어진 테스트밸브 조립체(70)의 테스트밸브(71)를 개방하여 스프링클러 헤드(30)의 방수압 및 방수량 확인, 해당 방호구역의 음향경보 작동상태, 알람밸브 조립체(20)의 압력게이지(P1)(P2) 작동과 수신반에서 화재표시등 점등 및 가압송수장치의 기동확인 등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테스트함(80)은 건물의 실내, 예를 들어 각 세대 내부의 화장실이나 발코니 등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작동상태를 테스트하려면 테스트함(80)이 설치된 세대의 내부로 작업자가 들어가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테스트를 수행하려면, 테스트함(80)이 설치된 세대에 거주자가 있는 경우에만 가능하고, 거주자가 모두 외출하여 부재중인 경우에는 테스트를 전혀 할 수 없는 불편도 있었다.
한편, 장기간 사용으로 알람밸브 조립체(20)의 내부에 이물질 등이 쌓여서 청소를 해야하는 경우에, 드레인밸브 구조물(23)의 드레인밸브를 개방하여 밸브바디(21)의 내부에 있는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데, 이런 경우에, 가지관(40)안에 채워져 있는 물도 배수되기 때문에, 알람밸브가 작동하여 알람이 울리게 되어서 주변에 소음 및 주민들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오인하여 혼란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밸브바디(21)의 상부에 연결된 메인 공급관(10) 및 가지관(40) 안의 물이 배출되면서 압력이 감소하게 되면, 밸브바디(21)의 하부 입구부(21a)에 연결된 메인 공급관(10)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높은 수압의 물이 차올라오면서 밸브바디(21)안의 클래퍼부를 밀어서 개방하여 상부로 물을 공급한다.
이때, 클래퍼부의 저면에 차올라오는 물이 충돌하면서 청소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청소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드레인밸브 구조물(23)의 드레인밸브를 잠궈서 가지관(40)안으로 물이 채워지도록 하기 때문에, 그만큼 물이 낭비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특히 상기한 종래의 알람밸브 조립체(20)는 알람스위치가 유체가 도입되는 1차측과 유체가 배출되는 2차측의 압력차에 의해 작동하는 것으로, 작은 압력변화에 의해서도 쉽게 작동하여 알람스위치가 오동작하는 문제점도 야기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종래 알람밸브 조립체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결점 및 문제점 들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밸브를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라인을 밸브에 인접 설치하여 실내가 아닌 실외에 설치함으로써 거주자가 모두 외출하여 부재중인 경우에도 밸브의 테스트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알람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패들형 알람스위치의 채용으로 알람밸브 내부 청소시 드레인 밸브를 개방하여도 2차측에서 1차측을 거쳐 배출되는 물의 흐름이 알람스위치를 작동시키지 않아 알람밸브가 작동하여 알람이 울리게 되어서 주변에 소음 및 주민들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오인하여 혼란을 주는 일을 전혀 일으키지 않는 알람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전에 미리 2차측에 물을 채워둘 필요가 없어 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품의 가격 저렴으로 경제성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패들형 알람스위치의 채용으로 오동작 없이 장기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수명이 긴 알람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알람밸브는 일측 단부에 1차측 유입구(101)와 타측 단부에 2차측 배출구(102)를 구비하는 밸브 본체(100)와; 상기 1차측 유입구(101)가 끝나는 부분의 밸브 본체(100)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된 밸브시트(110)와; 상기 밸브 본체(100)의 일측면을 이루는 밸브의 본넷(110')과, 상기 밸브시트(110)의 하부에 연결되는 가이드(120)와; 상기 가이드(120)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밸브축(120')과; 상기 밸브시트(110)에 접속되어 1차측과 2차측을 폐쇄하는 원판상 밸브 디스크(130)와; 상기 밸브 디스크(130)를 홀딩하는 디스크 홀더(130')와; 상기 디스크 홀더(130')의 중앙부에 연결되고 스프링(141)이 감긴 홀더축(140)과; 상기 홀더축(140)에 일측 단부가 삽입되고 타측 단부가 스크류를 이루는 스크류축(140')과; 상기 본넷(110')에 일체로 연결되는 원추상으로 형성된 요크(150)와; 상기 스크류축(140')의 스크류에 체결되는 핸들(150')과; 상기 2차측 배출구(102) 측에 설치되는 알람스위치(160)와; 상기 1차측 밸브 본체(100)의 벽체에 설치되는 1차 압력계(170)와; 상기 2차측 밸브 본체(100)의 벽체에 설치되는 2차 압력계(170') 및; 상기 2차측 밸브 본체(100)의 최하단부 벽체에 설치되는 드레인 배관(18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밸브를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라인을 밸브에 인접 설치하여 실내가 아닌 실외에 설치함으로써 거주자가 모두 외출하여 부재중인 경우에도 밸브의 테스트를 편리하게 할 수 있고, 패들형 알람스위치의 채용으로 알람밸브 내부 청소시 드레인 밸브를 개방하여도 2차측에서 1차측을 거쳐 배출되는 물의 흐름이 알람스위치를 작동시키지 않아 알람밸브가 작동하여 알람이 울리게 되어서 주변에 소음 및 주민들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오인하여 혼란을 주는 일을 전혀 일으키지 않으며, 사전에 미리 2차측에 물을 채워둘 필요가 없어 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품의 가격 저렴으로 경제성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패들형 알람스위치의 채용으로 오동작 없이 장기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수명이 긴 각별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알람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스프링쿨러 설비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 알람밸브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알람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알람밸브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 알람밸브는 일측 단부에 1차측 유입구(101)와 타측 단부에 2차측 배출구(102)를 구비하는 밸브 본체(100)와; 상기 1차측 유입구(101)가 끝나는 부분의 밸브 본체(100)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된 밸브시트(110)와; 상기 밸브 본체(100)의 일측면을 이루는 밸브의 본넷(110')과, 상기 밸브시트(110)의 하부에 연결되는 가이드(120)와; 상기 가이드(120)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밸브축(120')과; 상기 밸브시트(110)에 접속되어 1차측과 2차측을 폐쇄하는 원판상 밸브 디스크(130)와; 상기 밸브 디스크(130)를 홀딩하는 디스크 홀더(130')와; 상기 디스크 홀더(130')의 중앙부에 연결되고 스프링(141)이 감긴 홀더축(140)과; 상기 홀더축(140)에 일측 단부가 삽입되고 타측 단부가 스크류를 이루는 스크류축(140')과; 상기 본넷(110')에 일체로 연결되는 원추상으로 형성된 요크(150)와; 상기 스크류축(140')의 스크류에 체결되는 핸들(150')과; 상기 2차측 배출구(102) 측에 설치되는 알람스위치(160)와; 상기 1차측 밸브 본체(100)의 벽체에 설치되는 1차 압력계(170)와; 상기 2차측 밸브 본체(100)의 벽체에 설치되는 2차 압력계(170') 및; 상기 2차측 밸브 본체(100)의 최하단부 벽체에 설치되는 드레인 배관(18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요크(150)에는 템퍼스위치(151)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1차 압력계(170)와 2차 압력계(170') 사이에는 릴리프 밸브(171)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릴리프 밸브(171)는 알람밸브 내에 내장시킬 수도 있다.
상기 알람스위치(160)는 유체의 흐름에 따라 작동하는 패들형으로 구성된 것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드레인 배관(180)에는 드레인 밸브(181)와 감시창(182)이 설치되어 테스트 라인을 이루고 있다.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알람밸브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 상태에서 템퍼스위치(151)는 밸브시트(110)에 밸브 디스크(130)가 밀착 접속되어 밸브가 닫힌 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화재에 의한 열로 템퍼스위치(151)가 작동하면, 템퍼스위치(151)에 의한 스크류축(140')의 고정이 해제되고, 그에 따라 스프링(141)이 복원되면서 밸브시트(110)에서 밸브 디스크(130)가 떨어져 밸브가 열리게 된다.
밸브가 열리게 되면, 1차측 유입구(101)로 공급되는 물이 밸브를 거쳐 2차측 배출구(102)로 배출되어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쿨러를 통해 분사되게 된다.
이때 2차측 배출구(102) 측으로 흐르는 물의 흐름이 알람스위치(160)를 작동시키고, 알람스위치(160)가 도시하지 않은 경보장치를 동작시킴으로써 스프링쿨러가 물을 분사하는 동안 경보장치가 계속적으로 경보를 하게 된다.
한편, 알람밸브의 내부를 청소할 때는 드레인 밸브(181)를 열어서 알람밸브의 2착측 내부에 있는 물을 드레인 배관(180)을 통해 배출시키면서 배수 상태를 감시창(182)을 통해 확인하면서 청소하게 되고, 알람밸브의 작동을 테스트할 때에는 핸들(150')을 돌려 밸브를 강제로 개폐함으로써 알람밸브의 작동을 용이하게 테스트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밸브 본체 101 : 1차측 유입구
102 : 2차측 배출구 110 : 밸브시트
110' : 본넷 120 : 가이드
120' : 밸브축 130 : 밸브 디스크
130' : 디스크 홀더 140 : 홀더축
141 : 스프링 140' : 스크류축
150 : 요크 151 : 템퍼스위치
150' : 핸들 160 : 알람스위치
170 : 1차 압력계 170' : 2차 압력계
171 : 릴리프 밸브 180 : 드레인 배관
181 : 드레인 밸브 182 : 감시창

Claims (6)

  1. 일측 단부에 1차측 유입구(101)와 타측 단부에 2차측 배출구(102)를 구비하는 밸브 본체(100)와; 상기 1차측 유입구(101)가 끝나는 부분의 밸브 본체(100)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된 밸브시트(110)와; 상기 밸브 본체(100)의 일측면을 이루는 밸브의 본넷(110')과, 상기 밸브시트(110)의 하부에 연결되는 가이드(120)와; 상기 가이드(120)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밸브축(120')과; 상기 밸브시트(110)에 접속되어 1차측과 2차측을 폐쇄하는 원판상 밸브 디스크(130)와; 상기 밸브 디스크(130)를 홀딩하는 디스크 홀더(130')와; 상기 디스크 홀더(130')의 중앙부에 연결되고 스프링(141)이 감긴 홀더축(140)과; 상기 홀더축(140)에 일측 단부가 삽입되고 타측 단부가 스크류를 이루는 스크류축(140')과; 상기 본넷(110')에 일체로 연결되는 원추상으로 형성된 요크(150)와; 상기 스크류축(140')의 스크류에 체결되는 핸들(150')과; 상기 2차측 배출구(102) 측에 설치되는 알람스위치(160)와; 상기 1차측 밸브 본체(100)의 벽체에 설치되는 1차 압력계(170)와; 상기 2차측 밸브 본체(100)의 벽체에 설치되는 2차 압력계(170') 및; 상기 2차측 밸브 본체(100)의 최하단부 벽체에 설치되는 드레인 배관(180)으로 구성된 알람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150)에 템퍼스위치(15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밸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압력계(170)와 2차 압력계(170') 사이에는 릴리프 밸브(17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밸브.
  4. 제 3항에 잇어서, 상기 릴리프 밸브(171)는 알람밸브 내에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밸브.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스위치(160)는 유체의 흐름에 따라 작동하는 패들형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밸브.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배관(180)에는 드레인 밸브(181)와 감시창(182)이 설치되어 테스트 라인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밸브.
KR1020130061338A 2013-05-29 2013-05-29 알람밸브 KR201401404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338A KR20140140454A (ko) 2013-05-29 2013-05-29 알람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338A KR20140140454A (ko) 2013-05-29 2013-05-29 알람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454A true KR20140140454A (ko) 2014-12-09

Family

ID=52458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1338A KR20140140454A (ko) 2013-05-29 2013-05-29 알람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04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170B1 (ko) * 2021-05-11 2021-12-01 (주)삼양발브종합메이커 스윙형 앵글 체크밸브
KR102585997B1 (ko) * 2022-06-16 2023-10-10 유한책임회사 에이티코 알람밸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170B1 (ko) * 2021-05-11 2021-12-01 (주)삼양발브종합메이커 스윙형 앵글 체크밸브
KR102585997B1 (ko) * 2022-06-16 2023-10-10 유한책임회사 에이티코 알람밸브
WO2023244061A1 (ko) * 2022-06-16 2023-12-21 유한책임회사 에이티코 알람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58099A1 (en) Automatic draining back flow prevention device
US20150376874A1 (en) Water leak detection, prevention and water conservation systems and methods
US7032435B2 (en) Liquid leak detector and automatic shutoff system
US7845424B1 (en) Packaged residential fire sprinkler pump system
US8402984B1 (en) Flood preventing system, and method of use
US11573150B2 (en) Fluid leakage control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20110030132A1 (en) Multi-function cleanout plug and method of use
WO2015175393A1 (en) Toilet water damage protection kit and method
US8439062B1 (en) Flood preventing system, and method of use
KR20140140454A (ko) 알람밸브
KR100666405B1 (ko)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누수차단 및 동파방지 기능을 갖는 배관시스템
JP4912827B2 (ja) 消火設備
KR100400046B1 (ko) 습식 배관 스프링클러 시스템, 이의 충수방법, 및 누수발생시 대처방법
KR20060091331A (ko) 스프링클러 시험 밸브함
KR20080001532U (ko) 알람밸브 작동 시험용 테스트 밸브
US20170268209A1 (en) Passive fluid regulation system
KR101193053B1 (ko) 알람밸브 조립체
US116086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solating a pressure-driven system from a source
KR100935550B1 (ko) 확인기능을 가지는 스프링클러 설비의 알람밸브 조립체
KR200414294Y1 (ko) 테스트용 오리피스 및 투명점검구가 구비된 알람밸브드레인 연결관
US20100326676A1 (en) Automatic drum drip
KR20190010930A (ko) 소방용 체크밸브 개도를 조절하는 콘드롤 장치가 설치된 복합체크밸브
JP2008253299A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20080094509A (ko) 스프링클러 설비의 테스트 장치
KR200451906Y1 (ko) 드레인 밸브에 다수개의 연결구를 일체형으로 형성한유수검지 확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